KR100801343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343B1
KR100801343B1 KR1020020016895A KR20020016895A KR100801343B1 KR 100801343 B1 KR100801343 B1 KR 100801343B1 KR 1020020016895 A KR1020020016895 A KR 1020020016895A KR 20020016895 A KR20020016895 A KR 20020016895A KR 100801343 B1 KR100801343 B1 KR 100801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seam
lock stitc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164A (ko
Inventor
이와타토시유키
하토리요시카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바느질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솔기모양의 락 스티치를 간단하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봉제물(6)상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 개의 데이터만을 기초로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하는 락 스티치 데이터 작성수단과, 설정된 락 스티치 바늘 수에 걸쳐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1바늘 마다 바늘진동장치(100)에 의한 재봉바늘(5)의 이동량을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락 스티치를 형성하는 락 스티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락 스티치시에는 피봉제물의 이송핏치를 소정의 이송핏치보다 작게한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틀의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a)는 24바늘로 형성되는 스캘럽모양의 단위모양, (b)는 RAM내에 기억되는 단위모양의 솔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양봉제 및 락 스티치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그 솔기데이터 및 락 스티치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양봉제 및 락 스티치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그 솔기데이터 및 락 스티치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스캘럽모양의 「산 시작」을 선택한 경우의 모양봉제 및 봉제시작 의 락 스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바늘진동장치를 갖는 재봉틀로 봉제할 수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지그재그모양, (b)는 원형의 단위모양을 반복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스캘럽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원호부분이 오른쪽을 향한 스캘럽모양, (b)는 원호부분이 왼쪽을 향한 스캘럽모양을 도시한다.
도12는 (a)는 지그재그모양의 봉제시작 및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b)는 락 스티치를 행하지 않고 (a)의 지그재그모양을 형성한 경우의 솔기모양을 도시한다.
도13은 (a)는 스캘럽모양의 봉제시작 및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b)는 락 스티치를 행하지 않고 (a)의 스캘럽모양을 형성한 경우의 솔기모양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이송톱니(천이송 장치) 5: 재봉바늘
6: 피봉제물 9: 이송핏치 조정다이얼
10: 조작패널 10a: 솔기모양 선택스위치
10c: 락스티치 바늘수 설정스위치
12: 스텝핑모터 20: 제어장치
26: RAM
40: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이송핏치 변경장치)
41: 락 스티치 솔레노이드(이송핏치 변경장치)
56: 솔기모양 56A: 단위모양
58,60: 락 스티치 100: 바늘진동장치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1바늘마다 피봉제물을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이송핏치로 반송하는 천이송장치와, 재봉바늘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임의의 이동량으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장치를 구비하고,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재봉바늘의 이동량을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단위모양을 반복하여 솔기모양을 형성하는 재봉틀은 종래부터 공지이다. 이와같은 재봉틀에 있어서는 상기 솔기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재봉바늘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솔기데이터가 바늘수에 대응하여 격납된 기억수단과, 이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각 바늘마다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재봉바늘의 이동량을 변경하여 솔기모양을 형성하는 모양봉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시작 또는 봉제종료의 실단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락 스티치를 행하는 것도 종래부터 공지이다.
피봉제물의 반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재봉바늘을 이동시키는 재봉틀에 있어서 형성되는 솔기모양으로서 도 10(a)와 같이 모양개시점으로부터 모양종료점에 이를 때 까지 바느질 폭(W)이 일정한 지그재그모양(50)과, 도 10(b)과 같이 바느질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단위모양(56A)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솔기모양(56)이 있다. 또한 피봉제물은 천이송장치에 의해 C방향으로 반송되고, 재봉바늘은 바늘진동장치에 의해 AB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b)에서는 원형의 모양을 예시하고 있지만 도 11은 바느질 폭이 변화하는 단위모양(56A)의 다른 예로서 24바늘로 형성되는 스캘럽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a)은 원호부분이 오른쪽을 향한 스캘럽모양, 도 11(b)는 원호부분이 왼쪽을 향한 스캘럽모양이다. 스캘럽(Scallop)모양은 초생달형의 조개껍데기 형상의 모양으로 예를들면 거들이나 바디슈트 등의 피봉제물의 앞부의 봉제에 이용되어 피봉제물에 고급감을 부여한다.
도 12(a)는 지그재그모양(50)의 봉제시작 및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52)(54)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락 스티치(52)(54)를 행할 때의 재봉바늘의 이동량은 지그재그모양(50)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재봉바늘의 이동량을 그 대로 이용하고, 천이송장치에 의한 피봉제물의 이송핏치를 작게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도 12(b)는 이송핏치를 변경하지 않고 도 12(a)의 락 스티치(52)(54)를 행한 경우의 솔기모양을 나타낸다.
그러나 바느질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솔기모양(56)의 경우에는 락 스티치를 행하기 위해 재봉바늘의 이동량으로서 솔기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이동량을 그 대로 이용하고, 피봉제물의 반송핏치를 작게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외관상 좋지 않다. 도 13에 도시한 스캘럽모양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면 (a)와 같이 솔기모양(56)의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58) 및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60)는 (b)의 솔기모양(56)의 봉제시작부분(57) 및 봉제종료부분(59)을 단순히 이송방향으로 줄인 형상이므로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락 스티치(58)(60)의 일부가 극단히 왼쪽으로 돌출한 형상이 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
이와같은 피봉제물에 소정의 솔기모양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재봉틀에 이용되는 락 스티치 데이터의 작성장치로서 일본국 특개 2000-157766에 개시되고 있는 예가 있다. 이 장치는 솔기데이터의 임의의 바늘 수에 대응하는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재봉바늘의 이동량을, 그 임의의 바늘 수에 대응하는 솔기데이터와, 그 솔기데이터에 근접하는 솔기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최소한 2개의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솔기의 이동량의 평균치 근방이 되도록 도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설정된 락 스티치의 바늘 수의 모두에 대해 상기와 같은 계산을 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장치에는 피봉제물의 1스텝마다의 반송에 대응하여 격납된 멈춤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모양메모리안의 기억영역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원가 상승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느질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솔기모양의 락 스티치를, 모양메모리안의 기억영역이 작고 간단하게 또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봉제시작 또는 봉제종료의 실단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이동가능한 재봉바늘과, 1바늘마다 피봉제물을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이송핏치로 반송하는 천이송장치와, 상기 이송핏치를 변경가능한 이송핏치 변경장치와, 상기 재봉바늘을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임의의 바늘진동위치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장치와, 소정의 바늘수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모양을 선택하는 솔기모양 선택수단과, 피봉제물상에 상기 단위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바늘진동위치를 결정하는 솔기데이터를 각 바늘수에 대응시켜 기억한 기억수단과, 락 스티치의 바늘 수를 설정하는 락 스티치 바늘수 설정수단과, 상기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각 바늘마다 상기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상기 선택된 단위모양을 반복하여 솔기모양을 형성하는 모양봉제 제어수단과, 피봉제물상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상기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와,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에 의해 락 스티치데이터를 작성하는 락 스티치 데이터 작성장치와, 상기 락 스티치 바늘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바늘수에 걸쳐 상기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각 바늘마다 상기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락 스티치를 형성하는 락 스티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락 스티치시에는 상기 이송핏치 변경장치에 의해 피봉제물의 이송핏치를 상기 소정의 이송핏치보다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 데이터는 상기 솔기모양의 최종바늘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를 번갈아 반복하여 작성된다.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 데이터는 상기 솔기모양의 제 0바늘에서의 상기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를 번갈아 반복하여 작성된다.
피봉제물상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상기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로부터 이끌리는 바느질 폭에 소정의 계수를 곱해 얻어지는 바느질 폭이 되도록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재봉틀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재봉틀은 재봉틀 프레임(1)과, 재봉틀 프레임(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재봉틀 주축(2)과, 주축(2)에 연동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한 바늘봉(3)과, 동 주축(2)에 연동하여 피봉제물을 반송방향(도 2의 C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이송운동을 행하는 이송톱니(천이송장치)(4)와, 바늘봉(3)을 피봉제물(6)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의 AB방향)으로 임의의 이동량으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장치(100)를 구비한다. 바늘봉(3)의 하단에는 재봉바늘(5)이 고정된다.
피봉제물(6)을 지지하는 재봉틀 베드(7)의 위쪽에는 이송톱니(4)에 대향하여 천누름부(8)가 배치된다. 이 천누름부(8)는 봉제시에 하강하여 피봉제물(6)을 누른다. 이송톱니(4)는 주축(2)에 연동하여 상하좌우로 타원형의 운동궤적(D)을 그리고, 재봉틀 베드(7)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부상하는 동안, 이송톱니(4)사이에 협지된 피봉제물(6)을 반송방향(C)으로 반송한다. 재봉틀 프레임(1)에는 또한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과,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과, 조작패널(10)이 부착된다.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은 1바늘마다 반송량(이송핏치)을 설정한다. 또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은 락 스티치시의 이송핏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과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로 설정된 이송핏치는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조절체(도시생략)의 이동에 의해 설정된 한쪽의 이송핏치가 선택된다.
통상 이송조절체는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부세된다. 그리고 피봉제물은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의 설정량에 의해 보내진다. 또 락 스티치시는 도 3에 도 시하는 락 스티치 솔레노이드(41)가 구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부세력에 맞서 이송조절체를 이동한다. 그리고 피봉제물은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의 이송핏치로 보내진다. 락 스티치 솔레노이드(41)와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과 이송조절체로 이송핏치 변경장치를 구성한다.
조작패널(10)에는 소정의 바늘 수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모양을 선택하는 솔기모양 선택스위치(10a), 락 스티치방식 선택스위치(10b), 락 스티치의 바늘 수를 설정하는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 모양개시위치 선택스위치(10d), 솔기의 바늘 수를 설정하는 모양봉제 바늘수 설정스위치(10e)등이 배치되다. 락 스티치방식 선택스위치(10b)는 여러가지 락 스티치 방식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지만 다음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락 스티치 방식이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조작패널(10)에서는 이 외에,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의 유무,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의 유무 그 외 여러가지 선택 혹은 설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바늘진동장치(100)는 바늘봉 지지대(11)와, 스텝핑 모터(12)와, 바늘진동 링크(13)와, 바늘봉 지지대축(14)을 구비하고 있다. 바늘봉 지지대(11)는 바늘봉(3)을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스텝핑모터(12)는 그 출력축(12a)을 정역 중 어느 방향으로도 간헐회동가능하다.
스텝핑모터(12)의 출력축(12a)에는 바늘진동 구동팔(15)이 고정되고, 바늘진동 구동팔(15)에는 바늘진동 링크핀(13a)을 통해 바늘진동 링크(1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늘봉 지지대축(14)은 바늘봉 지지대축 감싸는 부(16)를 통 해 일단이 바늘진동 링크핀(13b)에 의해 바늘진동 링크(13)의 타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이 바늘봉 지지대(11)에 고정된다. 이 바늘봉 지지대축(14)은 재봉틀 프레임(1)에 부착되는 제 1 및 제 2의 바늘봉 지지대 베어링(17a)(17b)에 축방향의 접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스텝핑모터(12)의 출력축(12a)이 회전하면 바늘진동 구동팔(15) 및 바늘진동 링크(13)를 통해 바늘봉 지지대축(14)이 왕복운동을 한다. 이 바늘봉 지지대축(14)의 왕복운동에 의한 바늘봉(3)의 왕복운동과, 그에 직교하는 천이송의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 모양봉제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블록도를 기초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재봉틀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한다. 제어장치(20)는 봉제작업 프로그램 등의 재봉틀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는 ROM(22), 각종 계산 및 처리를 행하는 CPU(24) 및 RAM(기억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RAM(26)에는 피봉제물(6)상에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지는 단위모양(56A)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재봉바늘(5)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솔기데이터를 각 바늘마다 대응시켜 기억됨과 동시에 CPU(24)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가 기억된다. CPU(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8)에 접속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8)의 입력부에는 페달 스위치(30), 조작패널(10)의 솔기모양 선택스위치(10a), 락 스티치방식 선택스위치(10b),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 모양개시위치 선택스위치(10d) 및 모양봉제 바늘 수 설정스위치(10e)가 접속된다. 페달 스위치(30)는 발을 밟는 식의 것으로 앞 밟음에 의해 모양봉제의 개시신호, 되 밟음에 의해 모양봉제의 종료신호를 출력한다.
재봉틀의 주축(2)을 회전구동하는 재봉틀 모터(32)와, 바늘봉(3)을 이동하기 위한 스텝핑모터(12)는 각각 모터드라이버(33)(3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28)의 출력부에 접속된다.
도 4(a)는 24바늘로 형성되는 스캘럽모양의 단위모양(56A), 도 4(b)는 RAM(26)내에 기억되는 단위모양(56A)의 솔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있어서 M0,M1,M2, …은 각 바늘낙하점을 나타내고, 그 첨자는 바늘 수를 나타낸다. O은 재봉바늘(5)의 기준위치를 나타내며 이 기준위치로부터 각 바늘낙하점까지의 거리(Dx)가 솔기데이터로서 이 솔기데이터를 바늘수에 대응시켜 RAM(26)내에 기억된다. 즉 D0, D1, D2, …는 솔기데이터를 나타내고, 그 첨자는 대응하는 바늘 수를 나타낸다. 이 단위모양(56A)은 피봉제물상으로 반복하여 형성되므로 제 24번째의 바늘낙하의 솔기데이터(D24)의 다음은 제 1바늘째의 바늘낙하의 솔기데이터(D1)가 된다.
또한 모양개시위치 선택스위치(10d)에서는 예를들면 스캘럽모양(56A)의 경우에는 스캘럽모양(56A)의 중앙의 가장 바느질 폭이 넓은 위치부터 봉제시작하는 「산 시작」과, 최초의 가장 바느질 폭이 좁은 위치부터 봉제시작하는 「골짜기 시작」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골짜기 시작」의 경우의 솔기모양(56) 및 솔기데이터를 나타내고, 「산시작」의 경우는 도 4의 바늘낙하점(M12)을 제 0바늘로 하여 솔기모양을 개시한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의 플로우챠트를 기초로 본 실시의 제어장치(20)에 의한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 플로우챠트는 제어장치(20)에 의한 제어동작만을 도시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은 도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이 플로우챠트에 의한 동작전에 오퍼레이터가 조작패널(10)의 스위치군을 조작함으로써 솔기모양 및 락 스티치방식이 선택되어, 락 스티치 바늘 수 및 모양개시위치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의 S1,S2, …은 처리순(스텝)의 번호를 나타낸다. 우선 S1에서 페달 스위치(30)의 앞 밟음에 의한 봉제개시요구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요구가 있으면 S2로 나아가 봉제시작시의 락 스티치가 설택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S2a에서 락 스티치 솔레노이드(41)가 구동되고,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에서 설정된 이송핏치로 변환된다. 다음에 S3에서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락 스티치 데이터의 작성방법은 도 7과 같이 솔기모양(56)의 제 0바늘의 솔기데이터(D0)와 제 1바늘의 솔기데이터(D1)를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에서 설정된 바늘 수 만큼 번갈아 반복하여 락 스티치 데이터로 한다. 또한 도 7에서는 락 스티치의 설정바늘 수를 5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모양 봉제 바늘 수로서 설명의 편의상, 단위모양(56A)을 구성하는 바늘 수(Mx)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24바늘의 다음을 1바늘로 하고 있지만 모양봉제 바늘 수 설정스위치(10e)에서 설정되는 바늘 수는 각 단위모양(56A)에서의 바늘 수의 누계이기 때문에 24바늘의 다음은 25바늘로서 계산되는 것이다.
S3에서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한 후 S4로 진행하여 봉제동작이 행해진다. 즉 작성된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스텝핑모터(12)를 소정스텝 구동하여 바늘진 동장치(100)에 의해 재봉바늘(5)을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재봉바늘(5)을 상하이동한다. 또한 락 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에서 설정된 이송핏치로 피봉제물(6)을 반송방향 1바늘 만큼, 이송톱니(4)에 의해 반송한다. S5에서는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에서 설정된 락 스티치 바늘 수에 이르렀는 지를 판단하여,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S4를 반복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설정바늘 수의 락 스티치(58)가 실행된다.
S5에서 락 스티치 바늘 수가 설정바늘 수에 이르면 S5a로 진행한다. S5a에서 락스티치 솔레노이드(41)의 통전이 정지되고,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에서 설정된 통상의 이송핏치로 변환된다. S5a의 종료 및 S2에서 봉제시작시의 락스티치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S6으로 진행하고, 모양봉제을 위한 솔기데이터를 RAM(26)으로부터 읽어낸다. 계속해서 S7로 진행하여 S6에서 읽은 솔기데이터에 의해 스텝핑모터(12)를 소정 스텝구동하여 바늘진동장치(100)에 의해 재봉바늘(5)을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재봉바늘(5)을 상하이동하며 또한 이송톱니(4)에 의해 피봉제물(6)을 반송방향으로 1바늘만큼 반송한다. S8에서는 페달 스위치(30)의 되 밟음에 의해 봉제종료 요구가 있는 지 없는 지 혹은 모양봉제 바늘 수 설정스위치(10e)에서 설정된 모양봉제 바늘 수에 이르렀는 지가 판단되어, 봉제종료 요구가 없는 경우 및 설정 바늘 수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S7을 반복함으로써 소요의 모양봉제가 실행된다.
모양봉제가 종료하면 S9로 나아가 봉제종료의 락스티치가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S9a에서 락스티치 솔레노이드(41)가 구동되고, 락스티치용 이송핏치 조정다이얼(40)에서 설정된 이송핏치로 변환된다. 다음에 S10에서 락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락스티치 데이터의 작성방법은 도 8과 같이 모양봉제 종료시점에서의 솔기모양(56)의 최종바늘(도시한 예에서는 M15)의 솔기데이터(D15)와 다음의 바늘낙하점(M16)의 솔기데이터(D16)를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에서 설정된 바늘 수 만큼 번갈아 반복하여 락 스티치 데이터로 한다. 또한 도 8에서는 락 스티치의 설정바늘 수를 4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S11로 진행하여 1바늘분의 봉제동작이 행해진다. S12에서는 락 스티치 바늘 수 설정스위치(10c)에서 설정된 락 스티치 바늘 수에 이르렀는 지를 판단하여,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S11을 반복함으로써 도 8과 같이 설정바늘 수의 락스티치(60)가 실행된다. 설정 바늘수의 락 스티치가 종료하면 S12a로 진행한다. S12a에서 락 스티치 솔레노이드(41)의 통전이 정지되고, 이송핏치 조정다이얼(9)에서 설정된 통상의 이송핏치로 변환된다. 다음에 S13으로 진행하여 실절단이 행해지고 봉제작업이 종료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예는 모두 모양개시위치 선택스위치(10d)로서, 「골짜기 시작」을 선택한 예를 도시했지만 「산시작」을 선택한 경우의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58)의 예를 도 9에 도시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재봉틀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를 기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a)와 같이 재봉바늘(5)의 기준위치(O)(기선)로부터 각 바늘 낙하점까지의 거리(Dx)(솔기데이터)에 의해 재봉바늘의 이동 량을 결정하여 바늘진동위치가 변경되었다. 이를 대신하여 솔기데이터를 기준위치(O)로부터의 위치데이터(절대위치)로서 구비하고,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하여 스캘럽모양 등을 작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예를들면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의 경우, 솔기모양(56)의 제 0바늘의 솔기데이터(D0)와 제 1바늘의 솔기데이터(D1)를 번갈아 반복하여 솔기데이터를 작성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제 1바늘의 솔기데이터(D1)를 대신하여 제 2바늘의 솔기데이터(D2), 혹은 제 3의 솔기데이터(D3)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의 경우, 모양봉제 종료시점에서의 솔기모양(56)의 최종바늘(M15)의 솔기데이터(D15)와 다음의 바늘 낙하점(M16)의 솔기데이터(D16)를 번갈아 반복하여 락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다음의 바늘낙하 점(M16)의 솔기데이터(D16)를 대신하여 그 1바늘 앞쪽의 바늘낙하점(M14)의 솔기데이터(D14), 혹은 그 앞쪽의 바늘낙하점(M13)의 솔기데이터(D13)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2개의 솔기데이터로부터 이끌려진 바느질 폭에 소정의 계수를 곱해 얻어지는 바느질 폭이 되도록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계수는 조작패널(10)로 임의의 값(예를들면 0.1~1.0)으로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때 봉제시작의 락 스티치는 왼쪽바늘 낙하점을 기준으로, 봉제종료의 락 스티치는 최종 바늘낙하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솔기를 형성하면 봉제후의 외관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락 스티치 데이터 작성장치에 의해 피봉제물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의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만을 기초로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하고, 설정된 락 스티치 바늘수에 걸쳐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1바늘마다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락 스티치를 형성하는 락 스티치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락 스티치시에는 피봉제물의 이송핏치를 소정의 이송핏치보다도 작게 하므로 바느질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솔기모양의 락 스티치 데이터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고 또한 이 락 스티치를 외관상 좋게할 수 있다.



Claims (4)

  1. 상하이동가능한 재봉바늘과,
    1바늘마다 피봉제물을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이송핏치로 반송하는 천이송장치와,
    상기 이송핏치를 변경가능한 이송핏치 변경장치와,
    상기 재봉바늘을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임의의 바늘진동위치로 이동가능한 바늘진동장치와,
    소정의 바늘수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모양을 선택하는 솔기모양 선택수단과,
    피봉제물위에 상기 단위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바늘진동위치를 결정하는 솔기데이터를 각 바늘수에 대응시켜 기억한 기억수단과,
    락 스티치의 바늘 수를 설정하는 락 스티치 바늘수 설정수단과,
    상기 솔기데이터를 기초로 각 바늘마다 상기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피봉제물상에 상기 선택된 단위모양을 반복하여 솔기모양을 형성하는 모양봉제 제어수단과,
    피봉제물상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상기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와,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에 의해 락 스티치데이터를 작성하는 락 스티치 데이터 작성수단과,
    상기 락 스티치 바늘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바늘수에 걸쳐 상기 락 스티치 데이터를 기초로 각 바늘마다 상기 바늘진동장치에 의한 바늘진동위치를 변경함 으로써 피봉제물상에 락 스티치를 형성하는 락 스티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락 스티치시에는 상기 이송핏치 변경장치에 의해 피봉제물의 이송핏치를 상기 소정의 이송핏치보다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봉제종료에서의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 데이터는 상기 솔기모양의 최종바늘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를 번갈아 반복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봉제시작에서의 락 스티치의 락 스티치 데이터는 상기 솔기모양의 제 0바늘에서의 상기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를 번갈아 반복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 1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상의 락 스티치가 행해지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상기 솔기모양의 솔기데이터 및 그 근방에서의 솔기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로부터 이끌리는 바느질 폭에 소정의 계수를 곱해 얻어지는 바느질 폭이 되도록 락 스티치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20016895A 2001-03-28 2002-03-28 재봉틀 KR100801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1531 2001-03-28
JP2001091531 200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164A KR20020077164A (ko) 2002-10-11
KR100801343B1 true KR100801343B1 (ko) 2008-02-05

Family

ID=1894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895A KR100801343B1 (ko) 2001-03-28 2002-03-28 재봉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1343B1 (ko)
CN (1) CN122740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843A (ko) * 2010-03-11 2011-09-19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솔기의 풀림 방지 방법 및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188A (ja) * 2005-01-20 2006-08-03 Juki Corp ミシン
JP6010357B2 (ja) * 2012-06-20 2016-10-19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583A (ja) * 1991-03-13 1992-10-09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JPH0663268A (ja) * 1991-01-25 1994-03-08 Juki Corp ミシンの糸結び装置および方法
JPH06154440A (ja) * 1992-07-27 1994-06-03 Janome Sewing Mach Co Ltd 電子ミシン
JPH08141236A (ja) * 1994-11-21 1996-06-04 Brother Ind Ltd ボタンホール縫いミシン
JPH1119350A (ja) * 1997-07-08 1999-01-26 Janome Sewing Mach Co Ltd オーバロックミシ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268A (ja) * 1991-01-25 1994-03-08 Juki Corp ミシンの糸結び装置および方法
JPH04285583A (ja) * 1991-03-13 1992-10-09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JPH06154440A (ja) * 1992-07-27 1994-06-03 Janome Sewing Mach Co Ltd 電子ミシン
JPH08141236A (ja) * 1994-11-21 1996-06-04 Brother Ind Ltd ボタンホール縫いミシン
JPH1119350A (ja) * 1997-07-08 1999-01-26 Janome Sewing Mach Co Ltd オーバロックミシ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843A (ko) * 2010-03-11 2011-09-19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솔기의 풀림 방지 방법 및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KR101961839B1 (ko) * 2010-03-11 2019-03-25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솔기의 풀림 방지 방법 및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401C (zh) 2005-11-16
CN1379137A (zh) 2002-11-13
KR20020077164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115B2 (ja) ミシン
JP2003181173A (ja) 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方法と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装置
JP2927579B2 (ja) 縫い模様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ミシン
JPH0557071A (ja) 電子制御式ミシン用外部メモリ
KR100801343B1 (ko) 재봉틀
JP2006280764A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H05228276A (ja) ミシンの布送り制御装置
JP5142454B2 (ja) ミシン
JP2006263177A (ja) ミシン
KR101027591B1 (ko) 재봉틀의 눌러올리는 장치
JP4486773B2 (ja) ミシン
JP2007195957A (ja) ミシン
JP2005131255A (ja) 縫製装置
JP4509847B2 (ja) ミシン
JPH0523472A (ja) 針棒・釜別駆動ミシンの制御装置
JP2850519B2 (ja) ミシンの送り量修正装置
JP2687441B2 (ja) 上下送りミシン
JP4509627B2 (ja) ミシン
JPH11333169A (ja) ミシンの布切りメス制御装置
JP7356260B2 (ja) 針送りミシン
JP2005087336A (ja) ミシン
JP2010179014A (ja) ミシン及び糸張力設定プログラム
JP2006263178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H0549770A (ja) 電子制御式模様縫いミシン
JP3627543B2 (ja) 止め縫いデータ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