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33B1 -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33B1
KR100801033B1 KR1020050104827A KR20050104827A KR100801033B1 KR 100801033 B1 KR100801033 B1 KR 100801033B1 KR 1020050104827 A KR1020050104827 A KR 1020050104827A KR 20050104827 A KR20050104827 A KR 20050104827A KR 100801033 B1 KR100801033 B1 KR 10080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tion
circuit
impedance control
control signal
imped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931A (ko
Inventor
장영욱
현동호
황석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033B1/ko
Priority to US11/585,615 priority patent/US7612578B2/en
Priority to DE102006053281.3A priority patent/DE102006053281B4/de
Publication of KR2007004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5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 G01R31/318533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using scanning techniques, e.g. LSSD, Boundary Scan, JTAG
    • G01R31/318572Input/Output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2Optimisation aspects, e.g. using functional pin as test pin, pin multiple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8Arrangement for terminating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테스트하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검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반도체 장치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경계 스캔 회로를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에 결합되어 있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킨다. 경계 스캔 회로는 종단 임피던스들을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는 보다 적은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고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 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TESTING ON DIE TERMINATION CIRCUIT USING A BOUNDARY SCAN CIRCUIT, TEST SYSTEM AND TEST METHOD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와 경계 스캔 회로를 가지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 조정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와 경계 스캔 회로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 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 조정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30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00, 3100 :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1110, 1130, 1130, 3110, 3120, 3130, 3140 : 터미네이션 회로
1200, 3200 :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1300, 3300 : 경계 스캔 회로(1300)
1310, 1320, 1330, 3310, 3320, 3330, 3340 : 경계 스캔 레지스터
1410, 1420, 1430, 1440, 1450, 3410, 3420, 3430, 3440, 3450 : 패드
2000 : 검사 장비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장치의 온 다이 터미네 이션(on die termination) 회로의 테스트 회로 및 그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호의 전달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반도체 장치들 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스윙 폭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신호의 스윙 폭이 줄어들수록 반도체 장치는 외부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반도체 장치들 간의 임피던스 부정합(mismatching)에 기인하는 신호의 반사도 증가하게 된다. 반도체 장치들 간에 임피던스 부정합이 존재하면 신호의 고속전송이 어렵고 반도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왜곡되어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들 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반사파(reflection wave)의 양도 줄이기 위해 전자 장치 내에 터미네이션(termination)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도체 장치, 특히 패드들에 결합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생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9606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MP1), NMOS 트랜지스터(MN1), 인버터(2), 저항들(R1, R2), 및 패드(4)를 구비한다. 저항들(R1, R2)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터미네이션 저항들이다. 도 1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제어신호(ODT_EN)가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MP1)와 NMOS 트랜지스터(MN1)는 모두 오프되어 온 다이 터미네이션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제어신호(ODT_EN)가 로직 "하이" 상태 이면, PMOS 트랜지스터(MP1)와 NMOS 트랜지스터(MN1)는 모두 온되어 패드(4)에 인가되는 신호는 저항(R1)과 저항(R2)에 의해 분배된 전압으로 종단된다(terminated). 터미네이션 전압은 전원전압(VDDQ)과 접지전압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저항(R1)과 저항(R2)이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지면 전원전압의 1/2인 전압 레벨을 가진다. 즉, 도 1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병렬 연결된 두 저항(R1, R2)으로 원하는 터미네이션 저항 값을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PMOS 트랜지스터(MP1)와 NMOS 트랜지스터(MN1)는 온 저항을 줄이기 위해 큰 사이즈를 갖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패드(4)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터미네이션 할 경우에는 로직 '하이" 상태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제어신호(ODT_EN)를 인가하여 패드(4)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의 전압 레벨로 터미네이션시키고, 패드(4)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터미네이션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직 '로우" 상태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제어신호(ODT_EN)를 인가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반도체 장치들 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반도체 장치 내에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들에 결합된 핀들을 각각 따로따로 테스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수십 개의 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수백 개를 동시에 검사할 경우, 동시에 검사해야 할 핀의 수는 수천 개에 이른다. 이렇게 수많은 다른 핀들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검사의 정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수의 핀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불량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적은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경계 스캔 회로를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킨다. 경계 스캔 회로는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스트 시스템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검사 장비를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경계 스캔 회로를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킨다. 경계 스캔 회로는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검사 장비는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를 발생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모드 커맨드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와 경계 스캔 회로를 가지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와 검사 장비(2000)를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00),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 경계 스캔 회로(1300), 및 패드들(1410, 1420, 1430, 1440, 1450)을 구비한다. 검사 장비(2000)는 패드들(1420, 1430, 1440)에 연결된 저항들(R3, R4, R5)을 구비한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00)는 패드들(1420, 1430, 1440)에 연결된 터미네이션 회로들(1110, 1120, 1130)을 포함한다. 경계 스캔 회로(1300)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boundary scan registers)(1310, 1320, 1330)을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는 패드(1410)를 통해 외부 저항(Rext)과 결합될 수 있다. 패드들(1410, 1420, 1430, 1440, 1450)은 핀들(미도시)을 통해 반도체 장치의 외부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i, ICONNi)을 발생시킨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00)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1420, 1430, 1440)에 결합되어 있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i, ICONNi)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ODTO1~ODTOm)를 발생시킨다. 경계 스캔 회로(13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가 인에이블 되었을 때 종단 임피던스들(ODTO1~ODTOm)을 저장하고 패드(1450)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핀들의 콘텍 불량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해 반도체 장치 내에 있는 패드들에 결합된 경계 스캔 회로(1300)를 구비한다.
검사 장비(20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를 발생시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에 제공하고 종단 임피던스들(ODTO1~ODTOm)을 측정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네이션 회로(1110)는 복수의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branch)(1111~1113)를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1)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11)와 저항(R11), 및 라인 (L2)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저항(R12)과 NMOS 트랜지스터(MN11)를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2)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12)와 저항(R13), 및 라인(L2)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저항(R14)과 NMOS 트랜지스터(MN12)를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3)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13)와 저항(R15), 및 라인(L2)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저항(R16)과 NMOS 트랜지스터(MN13)를 구비한다.
이하, 도 3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라인(L2)은 패드(도 2의 1420)를 통해 검사 장비(2000)에 결합되어 있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1~ICONPn)이 모두 로직 "하이" 상태이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N1~ICONNn)이 모두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11, MP12, MP13)과 NMOS 트랜지스터들(MN11, MN12, MN13)은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이 때는 저항들(R11~R16)은 패드(도 2의 1420)에 연결된 라인(L2)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이 때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1)가 로직 "로우" 상태이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N1)가 로직 "하이"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MP11)와 NMOS 트랜지스터(MN11)가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1)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 때, 종단 임피던스의 값은 서로 병렬 연결된 두 저항(R11, R12)에 의해 결정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2)가 로직 "로우" 상태이고, 종단 임피던스 제 어신호(ICONN2)가 로직 "하이"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MP12)와 NMOS 트랜지스터(MN12)가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2)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 때, 종단 임피던스의 값은 서로 병렬 연결된 두 저항(R13, R14)에 의해 결정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1)와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2)가 로직 "로우" 상태이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N1)와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N2)가 로직 "하이"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11, MP12)과 NMOS 트랜지스터들(MN11, MN12)이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1)와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1112)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도 3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1~ICONPn)의 로직 값에 응답하여 다양한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는 모드 레지스터 세트 회로(1210), 자기 조정부(1220), 및 멀티플렉서(1230)를 구비한다.
이하, 도 4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1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드 레지스터 세트(mode register set) 회로(121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MRSi)를 발생시킨다. 자기 조정부(1220)는 셀프 터미네이션 조절을 위한 제 1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 및 제 2 셀프 가 변 제어신호(CONNi)를 발생시킨다. 멀티플렉서(1230)는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MRSi)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 CONNi)를 멀티플렉싱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i, ICONNi)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도 4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 조정부(1220)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기 조정부(1220)는 제 1 및 제 2 자기 조정 회로(1221, 1222), 비교기들(1223, 1225), 업/다운 카운터들(1224, 1226)을 구비한다.
이하, 도 5의 자기 조정부(12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 자기 조정 회로(1222)에 대한 임피던스 제어가 수행된 후 제 1 자기 조정 회로(1221)에 대한 임피던스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패드(1410)에 연결된 외부 저항(Rext)의 저항 값을 140Ω으로 설정하고, 제 2 자기 조정 회로(1221)에 대하여 70 Ω을 목표로 임피던스 매칭을 행할 경우, 제 1 비교기(1223)는 패드(1410)의 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비교신호(UP1/DN1)를 발생시킨다. 상기 패드(1410)의 전압이 70Ω보다 낮은 저항 값에 의해 생성된 전압이라면, 비교신호(UP1/DN1)는 로직 "로우"인 신호, 즉 업 신호로서 출력되어 제 1 업/다운 카운터(1224)에 제공된다. 제 1 업/다운 카운터(1224)는 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 동작을 행하고 PMOS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자기조정 회로(1221, 1222) 내에 있는 PMOS 트랜지스터들(MP21, MP22, MP23, MP24, MP25, MP26) 중에서 선택된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예를 들어, 제 1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 중 신호(CONP1)만이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21, MP24)이 턴온되어 저항(RP11)이 전기적으로 전원전압(VDDQ)에 연결된다. 결국, 패드(1410)의 전압이 70Ω의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이 되면 비교신호(UP1/DN1)는 업 신호(UP1)와 다운 신호(DN1) 사이에서 진동하고 제 1 업/다운 카운터(1224)는 제 2 자기조정 회로(1222)에 대한 임피던스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종료신호(END)를 출력한다. 제 2 비교기(1225)는 종료신호(END)에 응답하여 비교 동작을 시작한다. 제 2 비교기(1225)는 저항들(RPi)과 저항(RNi)의 연결점의 전압과 패드(1410)의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신호(UP2/DN2)를 발생시킨다. 제 2 업/다운 카운터(1226)는 비교신호(UP2/DN2)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 동작을 행하고 NMOS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Ni)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1 자기조정 회로(1221) 내에 있는 NMOS 트랜지스터들(MN21, MN22, MN23) 중에서 선택된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제 1 및 제 2 자기조정 회로(1221, 1222) 내에 있는 MOS 트랜지스터들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에 따라 전원전압(VDDQ)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들의 병렬 합성 저항 값이 변화되므로 전원전압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매칭되는 임피던스의 값도 변화된다. 제 1 및 제 2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 CONNi)는 멀티플렉서(도 4의 1230)에 제공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경계 스캔 회로(1300)는 반도체 장치는 핀들의 콘텍 불량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해 반도체 장치 내에 있는 패드들에 결합된 회로일 수 있다.
경계 스캔 회로(1300)를 구성하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1310, 1320, 1330)은 각각 기본적으로 저장 기능, 및 쉬프트 기능을 가지며 스캔 체인(chain)을 형성한다. 경계 스캔 레지스터(1310)의 출력(BSO1)은 경계 스캔 레지스터(1320)에 입력되고, 경계 스캔 레지스터(1320)의 출력(BSO2)은 다음 경계 스캔 레지스터에 입력된다.
패드(1420)에 연결되어 있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가 검사 장비(2000)에 의해 테스트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의 출력인 종단 임피던스(ODTO1)가 경계 스캔 레지스터(1310)에 저장되었다가 쉬프트 동작에 의해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1310, 1330)을 통과하여 출력된다. 경계 스캔 회로(1300)의 출력신호(BSOm)는 패드(1450)를 통해 검사 장비(2000)에 제공된다. 결국,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의 출력인 종단 임피던스(ODTO1)가 패드(1450)를 통해 출력되고 검사 장비(2000)에 의해 측정된다.
패드(1430)에 연결되어 있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20)가 검사 장비(2000)에 의해 테스트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20)의 출력인 종단 임피던스(ODTO2)가 경계 스캔 레지스터(1320)에 저장되었다가 쉬프트 동작에 의해 경계 스캔 레지스터(1330)를 통과하여 출력된다. 결국,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20)의 출력인 종단 임피던스(ODTO2)가 패드(1450)를 통해 출력되고 검사 장비(2000)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은 경계 스캔 회로(1300)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드(1450)를 사용하 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의 패드들(1420, 1430, 1440)에 연결되어 있는 터미네이션 회로들(1110, 1120, 1130)의 종단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는 패드(1450)에 결합된 하나의 핀을 사용하여 터미네이션 회로들(1110, 1120, 1130)의 불량유무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6은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와 경계 스캔 회로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와 검사 장비(2000)를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부(3100),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3200), 경계 스캔 회로(3300), 및 패드들(3410, 3420, 3430, 3440, 3450)을 구비한다. 검사 장비(2000)는 패드들(3420, 3430, 3440)에 연결된 저항들(R3, R4, R5)을 구비한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부(3100)는 패드들(3420, 3430, 3440)에 연결된 터미네이션 회로들(3110, 3120, 3130)을 포함한다. 경계 스캔 회로(3300)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boundary scan registers)(3310, 3320, 3330)을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3200)는 패드(3410)를 통해 외부 저항(Rext)과 결합될 수 있다. 패드들(3410, 3420, 3430, 3440, 3450)은 핀들(미도시)을 통해 반도체 장치의 외부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온 다이 터 미네이션 검사 시스템과 회로 구성이 유사하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검사 시스템과 달리,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 내에 있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3100)를 제어하기 위한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가 다르다. 도 6의 검사 시스템에서 검사하려고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3100)가 P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도 PMOS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i)만 구비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32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i)를 발생시킨다.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3100)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3420, 3430, 3440)에 결합되어 있고,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i)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ODTO1~ODTOm)를 발생시킨다. 경계 스캔 회로(33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가 인에이블 되었을 때 종단 임피던스들(ODTO1~ODTOm)을 저장하고 패드(3450)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핀들의 콘텍 불량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해 반도체 장치 내에 있는 패드들에 결합된 경계 스캔 회로(3300)를 구비한다.
검사 장비(200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를 발생시켜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에 제공하고 종단 임피던스들(ODTO1~ODTOm)을 측정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터미네이션 회로(3110)는 복수의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 (branch)(3111~3113)를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1)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31)와 저항(R31)을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2)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32)와 저항(R32)을 구비한다.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3)는 라인(L2)과 전원전압(VDDQ)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MP33)와 저항(R33)을 구비한다.
이하, 도 7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31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라인(L2)은 패드(도 6의 3420)를 통해 검사 장비(2000)에 결합되어 있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1~ICONPn)이 모두 로직 "하이"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31, MP32, MP33)은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이 때는 저항들(R31~R33)은 패드(도 6의 3420)에 연결된 라인(L2)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이 때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1)가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MP31)가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1)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 때, 종단 임피던스의 값은 저항(R31)에 의해 결정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2)가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MP32)가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2)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 때, 종단 임피던스의 값은 저항(R32)에 의해 결정된다.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1)와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2)가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31, MP32)이 턴 온되어 터미네이션 회로 가 지(3111)와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3111)가 라인(L2)에 종단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도 3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1110)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ICONP1~ICONPn)의 로직 값에 응답하여 다양한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0)에 포함되어 있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3200)는 모드 레지스터 세트(3210), 자기 조정부(3220), 및 멀티플렉서(3230)를 구비한다.
이하, 도 8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3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드 레지스터 세트(mode register set) 회로(3210)는 테스트 모드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MRSi)를 발생시킨다. 자기 조정부(3220)는 셀프 터미네이션 조절을 위한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를 발생시킨다. 멀티플렉서(3230)는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MRSi)에 응답하여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를 멀티플렉싱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ICONPi)를 발생시킨다.
도 9는 도 8의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 조정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자기 조정부(3220)는 자기 조정 회로(3221), 비교기(3223), 업/다운 카운터(3224)를 구비한다.
이하, 도 9의 자기 조정부(32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의 자기 조정부(3220)에 포함된 자기 조정 회로(3221)는 PMOS 트랜지스 터들(MP24, MP25, MP2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드(3410)에 연결된 외부 저항(Rext)의 저항 값을 140Ω으로 설정하고, 자기 조정 회로(3221)에 대하여 70Ω을 목표로 임피던스 매칭을 행할 경우, 비교기(3223)는 패드(3410)의 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비교신호(UP1/DN1)를 발생시킨다. 패드(3410)의 전압이 70Ω보다 낮은 저항 값에 의해 생성된 전압이라면, 비교신호(UP1/DN1)는 로직 "로우"인 신호, 즉 업 신호로서 출력되어 업/다운 카운터(3224)에 제공된다. 업/다운 카운터(3224)는 업 신호에 응답하여 업 카운팅 동작을 행하고 PMOS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자기조정 회로(3221) 내에 있는 PMOS 트랜지스터들(MP24, MP25, MP26) 중에서 선택된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예를 들어,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 중 신호(CONP1)만이 로직 "로우" 상태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MP24)이 턴온되어 저항(RP11)이 전기적으로 전원전압(VDDQ)에 연결된다. 결국, 패드(3410)의 전압이 70Ω의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이 되면 비교신호(UP1/DN1)는 업 신호(UP1)와 다운 신호(DN1) 사이에서 진동한다. 자기조정 회로(3221) 내에 있는 MOS 트랜지스터들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에 따라 합성 저항 값이 변화되므로 전원전압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매칭되는 임피던스의 값도 변화된다. 셀프 가변 제어신호(CONPi)는 멀티플렉서(도 8의 3230)에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예로 들어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테스트하는 기술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반도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보다 적은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정확하게 테스트 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나의 핀을 사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테스트 할 수 있다.

Claims (24)

  1.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복수의 패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키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되어 있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을 구비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상기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종단 임피던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 시켜 출력하는 경계 스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은 하나의 핀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는
    P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와 N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2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들 각각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터미네이션 회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회로들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패드들 중 대응하는 패드에 연결된 제 1 노드에 소정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회로들 각각은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와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NMOS 트랜지스터와 제 2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는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 레지스터 세트 회로;
    셀프 터미네이션 조절을 위한 제 1 및 제 2 셀프 가변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기조정부; 및
    상기 모드 레지스터 세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셀프 가변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조정부는
    반도체 장치 외부에 있는 외부 저항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는
    P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는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들 각각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터미네이션 회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회로들 각각은
    상기 제 1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패드들 중 대응하는 패드에 연결된 제 1 노드에 소정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네이션 회로 가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션 회로들 각각은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와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는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 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 레지스터 세트 회로;
    셀프 터미네이션 조절을 위한 제 1 셀프 가변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기조정부; 및
    상기 모드 레지스터 세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셀프 가변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조정부는
    반도체 장치 외부에 있는 외부 저항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종단 임피던스 제어회로;
    복수의 입출력 패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키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되어 있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을 구비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상기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종단 임피던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 시켜 출력하는 경계 스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은 하나의 핀을 통해 출력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를 발생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는 검사 장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는
    P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와 N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2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는
    P 채널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테스트 모드 커맨드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테스트 모드 커맨드에 응답하여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종단 임피던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종단 임피던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되어 있는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을 구비한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상기 경계 스캔 레지스터들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종단 임피던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 시켜 하나의 핀을 통해 검사장비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종단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테스트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방법은
    측정하려는 반도체 장치의 패드에 결합되어 있는 저항의 제 1 단자를 로직 "로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 테스트 방법.
KR1020050104827A 2005-11-03 2005-11-03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KR10080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27A KR100801033B1 (ko) 2005-11-03 2005-11-03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US11/585,615 US7612578B2 (en) 2005-11-03 2006-10-24 Semiconductor device, test system and method of testing on die termination circuit
DE102006053281.3A DE102006053281B4 (de) 2005-11-03 2006-11-02 Halbleiterbauelement, Testsystem und ODT-Test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27A KR100801033B1 (ko) 2005-11-03 2005-11-03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31A KR20070047931A (ko) 2007-05-08
KR100801033B1 true KR100801033B1 (ko) 2008-02-04

Family

ID=3800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27A KR100801033B1 (ko) 2005-11-03 2005-11-03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12578B2 (ko)
KR (1) KR100801033B1 (ko)
DE (1) DE10200605328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673B1 (ko) * 2007-05-14 2008-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및 이의 캘리브래이션 방법
KR100861308B1 (ko) * 2007-06-29 2008-10-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JP5175597B2 (ja) * 2007-11-12 2013-04-03 エスケーハイニッ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100915810B1 (ko) 2008-02-18 2009-09-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패드를 공유하는 멀티 칩 패키지
US7885129B2 (en) * 2008-05-28 2011-02-0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chi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608630B2 (en) * 2009-05-06 2017-03-28 Micron Technology, Inc. Reference voltage circuits and on-die termination circuits, methods for updating the same, and methods for tracking supply, temperature, and/or process variation
JP2011004216A (ja) * 2009-06-19 2011-01-06 Renesas Electronics Corp インピーダンス調整回路
TWI400455B (zh) * 2009-09-30 2013-07-01 Mstar Semiconductor Inc 校準輸出入電路之方法與相關裝置
KR101789077B1 (ko) * 2010-02-2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데이터 출력 버퍼, 반도체 메모리 장치, 메모리 모듈,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구동 방법, 데이터 출력 버퍼의 구동 방법 및 온-다이 터미네이션 트레이닝 방법
US8957700B2 (en) * 2012-09-28 2015-02-17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gital configura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9088445B2 (en) * 2013-03-0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erminating signals on a bidirectional bus based on bus speed
KR102103865B1 (ko) * 2013-11-05 2020-04-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시스템
TWI745666B (zh) * 2018-03-27 2021-11-1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裝置及其操作方法、記憶體控制器及其操作方法
US10630289B1 (en) * 2019-03-01 2020-04-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On-die-termina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400A (en) * 1994-02-15 1996-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gically configurable impedance matching input terminators for VLSI
JP2004215128A (ja) * 2003-01-08 2004-07-29 Nec Electronics Corp 終端抵抗装置、データ伝送装置及び終端抵抗回路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930A (ja)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回路
KR100410552B1 (ko) 2001-07-13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의 종단임피던스 정합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451B1 (ko) * 2002-05-24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 터미네이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어회로
JP2004023248A (ja) 2002-06-13 2004-01-22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Dsl通信装置及びdsl通信プログラムのダウンロード方法
JP4086757B2 (ja) * 2003-10-23 2008-05-1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入出力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100744039B1 (ko) * 2005-09-27 2007-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드라이버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400A (en) * 1994-02-15 1996-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gically configurable impedance matching input terminators for VLSI
JP2004215128A (ja) * 2003-01-08 2004-07-29 Nec Electronics Corp 終端抵抗装置、データ伝送装置及び終端抵抗回路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3189A1 (en) 2007-05-10
KR20070047931A (ko) 2007-05-08
US7612578B2 (en) 2009-11-03
DE102006053281B4 (de) 2018-06-14
DE102006053281A1 (de)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033B1 (ko) 경계 스캔 회로를 이용하여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이를 구비한 테스트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KR100780646B1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US764336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testing same
CN100576341C (zh) 具有zq校准电路的半导体存储器件及其操作方法
JP5171246B2 (ja) インピーダンスマッチング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素子
KR101045086B1 (ko) 터미네이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KR10073343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642808B2 (en) Impedance adjus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503954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140000855A (ko) 테스트 인터페이스 보드 및 테스트 시스템
US103241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pad capacitance
CN111418019B (zh) 用于改进存储器装置中的输入信号质量的系统和方法
KR100870427B1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
KR20070088845A (ko)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모듈에 포함되는 반도체디바이스들의 임피던스 교정방법
US7737712B2 (en) Probe-testing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7352252B2 (en) Circuit and method to measure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s in SRAM devices
KR100618882B1 (ko) 반도체 테스트 회로
CN111406285B (zh) 用于在存储器件中产生交错延迟的系统和方法
JP2008244729A (ja) 終端抵抗調整方法および終端抵抗調整回路
KR101063441B1 (ko) Odt 저항 테스트 시스템
KR20090022043A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장치의 캘리브래이션 회로
CN101159431A (zh) 信号传输电路
KR100219545B1 (ko) 반도체장치의 입력지연 측정회로 및 측정방법
KR20070017651A (ko) 입력핀에 터미네이션 저항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방법
KR20100027777A (ko) 반도체 장치의 zq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구동 저항 측정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