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581B1 - 와이퍼 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581B1
KR100800581B1 KR1020060085898A KR20060085898A KR100800581B1 KR 100800581 B1 KR100800581 B1 KR 100800581B1 KR 1020060085898 A KR1020060085898 A KR 1020060085898A KR 20060085898 A KR20060085898 A KR 20060085898A KR 100800581 B1 KR100800581 B1 KR 10080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support shaft
receiving hole
vehic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위영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81B1/ko
Priority to PCT/KR2007/003482 priority patent/WO20080299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a link piece and a mounting head
    • B60S1/3452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a link piece and a mounting head the joint being a snap fit pivot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60S1/3465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with coil springs
    • B60S1/3468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는, 일단부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축을 가지는 암 헤드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헤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암 헤드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며 주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차량의 유리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암 헤드에 걸리도록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일단부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축을 가지는 암 헤드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헤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암 헤드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며 주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차량의 유리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암 헤드에 걸리도록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지 않는 특정위치에서 상 기 리테이너는 상기 지지축의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암 조립체{Wiper arm assembly}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암 조립체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암 조립체가 록 백(lock back)된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와이퍼 암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적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암 조립체가 록 백(lock back)된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의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암 조립체의 회전방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로부터 인장 스프링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로부터 상기 리테이너가 회전하여 록 백 방지턱에 걸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암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와이퍼 암 조립체 11...피벗 샤프트
20...암 헤드 22...지지축
24...록 백 방지턱 30...리테이너
32...수용공 33...수용부
34...개방부 36...걸림부
40...블레이드 50...인장 스프링
221...직선부 223...곡선부
226...간섭회피용 홈 341...개방부의 벽면
d1...제1직경 d2...제2직경
X...분리방향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와이퍼 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도하지 않은 임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리어 와이퍼 암 조립체가 록 백(lock back)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글라스에는 그 글라스의 경사각도에 따라 리어 와이퍼가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세단이라 불리는 노치 백(notch back) 스타일의 승용차의 리어 글라스에는 리어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SUV(sports utility vehicle)등과 같은 해치 백(hatch back) 스타일의 차량의 리어 글라스에는 리어 와이퍼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것은 차량의 스타일에 따라 그 차량의 주행중에 리어 글라스(rear glass)에 음압이 발생하여 먼지 등이 그 리어 글라스에 쌓이기 쉽게 때문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리어 글라스에 리어 와이퍼가 장착된 차량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와이퍼는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리어 와이퍼를 와이퍼 암 조립체(wiper arm assembly)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와이퍼 암 조립체(1)는 크게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암 헤드(2, arm head)와, 리테이너(3, retainer)와, 블레이드(4, blade)가 그것이다. 상기 암 헤드(2)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6, pivot shaft)에 고정되어 그 피벗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그 피벗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3)는 상기 암 헤드(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그 암 헤드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레이드(4)는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차량의 유리에 묻은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의 와이퍼 암 조립체(1)는 상기 블레이드(4)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3)와 상기 암 헤드(2)의 연결구조에는 일반적으로 인장 스프링(5,tension spring)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인장 스프 링(5)의 일단은 상기 리테이너(3)에 걸려있고 타단은 상기 암 헤드(2)에 걸려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 스프링(5)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리테이너(3)를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그 회전각도의 범위에 따라 상기 인장 스프링의 복원력의 작용방향이 서로 반대가 위치,즉 도 4에 TL 로 도시된 작용선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장 스피링의 복원력의 작용방향이 바뀌는 기능을 토글(toggle)작용이라 하며, 상기 토글작용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TL 선을 넘어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4)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가압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 백(lock back)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록 백 상태를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의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해 그 와이퍼 암 조립체(1)를 해체하는 경우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차량의 세차를 위한 자동 세차기가 대량으로 보급됨에 따라 손세차를 하는 경우보다 자동 세차기로 차량을 세차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자동 세차기에서 차량을 세차하는 경우에 자동 세차기 내에서 브러시등이 회전하면서 차량의 외부를 닦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에 브러시의 일부가 끼여서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가 의도하지 않은 록 백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세차 과정이 진행될 경우 그 와이퍼 암 조립체(1)가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차량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이 와 같은 경향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리테이너(3)의 단면이 일반적으로 "ㄷ" 형상이며 열린 단면이 차량의 유리를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면으로 인해 자동 세차기의 건조 공정에서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차량의 유리에 가해지게 되면 상기 차량의 유리에 반사된 공기가 상기 "ㄷ" 형상의 열린 단면 부위로 진입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강제로 회전시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 백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 세차기 내에서 차량의 외부의 윤곽을 따라 이동하는 센서부재 등과 충돌하여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와이퍼 암 조립체(1)의 록 백 상태를 방지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또한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의 효과적인 조립 및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3)와 상기 암 헤드(2) 조립과 분해가 쉽게 되도록 하는 요구 사항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퍼 암 조립체가 의도하지 않은 임의의 외력에 의해 록 백(lock back)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되거나 록 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블레이드가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중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는, 일단부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축을 가지는 암 헤 드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헤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암 헤드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며 주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차량의 유리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암 헤드에 걸리도록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목적 중 다른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는, 일단부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축을 가지는 암 헤드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헤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암 헤드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며 주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차량의 유리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걸리 고 타단부는 상기 암 헤드에 걸리도록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지 않는 특정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지지축의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암 헤드로부터 돌출 형성된 록 백 방지턱과,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되며, 그 리테이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 백 방지턱에 걸려서 그 리테이너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지지축의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이 원의 일부가 절단된 "D" 형상이고, 그 단면에서 직선부의 길이 방향의 치수인 제1직경(d1)이 상기 개방부의 치수보다 크며,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치수인 제2직경이 상기 개방부의 치수보다 작아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 지 못하여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방향으로 상기 개방부를 통과할 때, 상기 개방부의 벽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의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암 조립체의 회전방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퍼 암 조립체(10)는, 암 헤드(20)와, 리테이너(30)와, 블레이드(40)와, 인장 스프링(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암 헤드(20)는 차량에 고정 설치된 피벗 샤프트(11)에 일단부가 예컨대 캡 너트(cap nut)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벗 샤프트(11)는 모터 측에 연결된 링크 구조체(미도시)에 연결되어 그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암 헤드(20)는 상기 피벗 샤프트(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벗 샤프트(11)에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암 헤드(20)는 지지축(22)과 록 백 방지턱(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22)은 상기 피벗 샤프트(11)에 고정되는 부분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2)은 상기 암 헤드(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축(22)은 상기 암 헤드(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그 지지축(22)의 단면은 "D" 형상이며 곡선부(223)는 원의 일부이고 직선부(221)는 그 원의 임의의 직경방향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곡선부(223)에는 간섭회피용 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회피용 홈(226)은 상기 곡선부(223)의 기본 원주에서 그 원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2)의 단면에서 직선부(221)의 길이 방향의 치수인 제1직경(d1)이 상기 직선부(22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치수인 제2직경(d2)보다 크다. 상기 지지축(22)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리테이너(30)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와, 그 리테이너(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는 리테이너(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되므로 그 작용은 리테이너(30)를 서술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록 백 방지턱(24)은 상기 암 헤드(2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30)의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4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걸림부(36)와 수용공(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36)는 상기 암 헤드(20)에 마련된 록 백 방지턱(24)에 걸려서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걸림부(36) 및 상기 록 백 방지턱(24)은 상기 리테이너(30)가 록 백(lock back) 상태에 이르기 전에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이 멈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상기 록 백 방지턱(24)의 위치와 상기 걸림부(36)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암 헤드(20)의 지지축(22)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수용공(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32)은 수용부(33)와 개방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33)는 상기 지지축(22)을 수용하며 그 지지축(22)과 접촉하면서 그 지지축(22)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3)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축(22)의 곡선부(223)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개방부(34)는 상기 수용부(33)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를 향해 열려있는 부분이다. 상기 개방부(34)는 상기 지지축(22)의 제1직경(d1)보다 작고 상기 지지축(22)의 제2직경(d2)보다 큰 거리로 나란하게 이격된 벽면(341)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벽면(341)들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부(33)로부터 분리 또는 그 수용부(33)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수용공(32)이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방부(34)를 상기 지지축(22)의 제1직경(d1)을 가지는 부분이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위치이다.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수용공(32)이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방부(34)를 상기 지지축(22)의 제2직경(d2)을 가지는 부분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지지축(22)에 마련된 간섭회피용 홈(226)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리테이너(30)의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개방부(34)의 벽면(341)과 간섭을 피하도록 그 벽면(341)들과의 간격 을 확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40)는 상기 리테이너(3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40)는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의 유리와 직접 접촉하여 그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블레이드(40)는 후술하는 인장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유리에 가압 되게 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50)은 상기 암 헤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를 서로 결합하도록 그 인장 스프링(50)의 일단부는 상기 암 헤드(20)에 걸려있고, 그 인장 스프링(50)의 타단부는 상기 리테이너(30)에 걸려 있다. 상기 인장 스프링(50)은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회전할 때 그 인장 스프링(50)의 토글(toggle) 위치, 즉 도 7에서 상기 리테이너(30)가 TL 로 지시된 위치를 넘도록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이 상실되어 그 리테이너(30)를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더 멀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 경우를 일컬어 록 백(lock back) 상태라 함은 앞서 언급한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록 백 상태가 상기 록 백 방지턱(24)과 걸림부(36)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10)의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가 차량의 유리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인장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상 기 차량의 유리에 가압되게 된다. 그러나, 예컨대 자동 세차기의 건조 공정에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분사되는 경우에는, 그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그 리테이너(30)에 연결된 상기 블레이드(40)가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지지축(22)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걸림부(36)가 상기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암 헤드(20)에 마련된 록 백 방지턱(24)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록 백 방지턱(24)은 상기 걸림부(36)와 결합하여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인장 스프링(50)이 상기 리테이너(3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이 그대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외력이 제게되면 그 인장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30)는 초기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즉, 상기 리테이너(30)가 록 백 상태로 전이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30)에 연결된 블레이드(40)도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차량의 유리에 가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로부터 상기 리테이너(30)를 해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의 부가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은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가 차량의 유리에 설치된 초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로부터 상기 와이퍼 조립체의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해서 상기 리테이너(30)를 상기 암 헤드(20)로부터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도구(미도시)를 사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50)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리테이너(30)를 상기 암 헤드(2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즉, 이 상태는 상기 제1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로서 상기 지지축(22)의 제1직경(d1)을 가지는 부분이 상기 개방부(34)에 걸리므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리테이너(30)를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리테이너(30)에 마련된 걸림부(36)가 상기 암 헤드(20)에 마련된 록 백 방지턱(24)과 결합하는 위치, 즉 상기 제2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축(22)의 제2직경(d2)을 가지는 부분이 상기 개방부(34)의 벽면(341)과 인접하여 그 개방부(34)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분리방향(X)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간섭회피용 홈(226)은 상기 개방부(34)의 벽면(341)과 상기 지지축(22)의 외부면간의 간격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개방부(3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록 백 방지턱(24)과 상기 걸림부(36)의 결합에 의한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록 백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여 그 록 백으로 인해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10)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축(22)과 상기 수용공(32)을 적절히 조합하면,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지 제2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상기 와이퍼 조 립체의 유지 또는 보수에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암 헤드(20)로부터 돌출 형성된 록 백 방지턱(24)과, 상기 리테이너(30)에 형성되며, 그 리테이너(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 백 방지턱(24)에 걸려서 그 리테이너(30)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부(3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서술하고 도시하였으나 상기 록 백 방지턱(24)과 상기 걸림부(36)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지지축(22)의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개방부(34)를 가지는 수용공(32)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22)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지지축(22)의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더라도 상기 제2위치에서 그 단면이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져서 상기 개방부(34)를 통과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22)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이 원의 일부가 절단된 "D" 형상이고, 그 단면에서 직선부(221)의 길이 방향의 치수인 제1직경(d1)이 상기 개방부(34)의 치수보다 크며, 상기 직선부(22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치수인 제2직경(d2)이 상기 개방부(34)의 치수보다 작아서, 상 기 제1위치에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개방부(34)를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축(22)이 상기 개방부(34)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지지축(22)의 단면이 "D" 형상이 아니라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22)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수용공(32)으로부터 분리방향(X)으로 상기 개방부(34)를 통과할 때, 상기 개방부(34)의 벽면(34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용 홈(2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간섭회피용 홈(226)이 아니더라도 상기 개방부(34)의 벽면(341)과 상기 지지축(22)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록 백 방지턱과 상기 걸림부의 결합에 의한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록 백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여 그 록 백으로 인해 상기 와이퍼 암 조립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록 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수용공을 적절히 조합하면,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축이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지 제2위치에서는 상기 지지축이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상기 와이퍼 조립체의 유지 또는 보수에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단부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축을 가지는 암 헤드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헤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블레이드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암 헤드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며 주어진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차량의 유리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암 헤드에 걸리도록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지 않는 특정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지지축의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없는 제1위치 와,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이 원의 일부가 절단된 "D" 형상이고, 그 단면에서 직선부의 길이 방향의 치수인 제1직경이 상기 개방부의 치수보다 크며, 상기 직선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치수인 제2직경이 상기 개방부의 치수보다 작아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분리방향으로 상기 개방부를 통과할 때, 상기 개방부의 벽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차량의 유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회전각도 범위를 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리테이너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암 헤드로부터 돌출 형성된 록 백 방지턱과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되며, 그 리테이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 백 방지턱에 걸려서 그 리테이너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조립체.
KR1020060085898A 2006-09-06 2006-09-06 와이퍼 암 조립체 KR10080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98A KR100800581B1 (ko) 2006-09-06 2006-09-06 와이퍼 암 조립체
PCT/KR2007/003482 WO2008029988A1 (en) 2006-09-06 2007-07-19 Wiper arm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98A KR100800581B1 (ko) 2006-09-06 2006-09-06 와이퍼 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81B1 true KR100800581B1 (ko) 2008-02-04

Family

ID=3915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898A KR100800581B1 (ko) 2006-09-06 2006-09-06 와이퍼 암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0581B1 (ko)
WO (1) WO2008029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3595A1 (de) 2012-03-13 2013-09-19 Dongyang Mechatronics Corp. Scheibenwischervorrichtung mit verbesserter Lebensdau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0174A (ja) 2011-12-16 2015-01-05 フェデラル−モグル エス.エー.Federal−Mogul.S.A. ウィンドスクリーン用ワイパーアーム
US11548477B2 (en) * 2019-10-24 2023-01-10 Volvo Truck Corporation Wiper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ip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466A (ja) * 1999-09-09 2001-03-27 Nifco Inc ワイパアーム構造
JP2003335223A (ja) * 2002-05-21 2003-11-25 Asmo Co Ltd ワイパアーム及びワイパアームの連結方法
JP2004345583A (ja) * 2003-05-26 2004-12-09 Mitsuba Corp ワイパア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466A (ja) * 1999-09-09 2001-03-27 Nifco Inc ワイパアーム構造
JP2003335223A (ja) * 2002-05-21 2003-11-25 Asmo Co Ltd ワイパアーム及びワイパアームの連結方法
JP2004345583A (ja) * 2003-05-26 2004-12-09 Mitsuba Corp ワイパアー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3595A1 (de) 2012-03-13 2013-09-19 Dongyang Mechatronics Corp. Scheibenwischervorrichtung mit verbesserter Lebensdauer
US8726452B2 (en) 2012-03-13 2014-05-20 Dongyang Mechatonics Corp. Wiper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9988A1 (en)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0124B2 (ja) ワイパアーム
KR100800581B1 (ko) 와이퍼 암 조립체
FR2825063A1 (fr) Module d&#39;equi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JP5084500B2 (ja) ワイパーレバーとワイパーレバー支持体との間の関節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関節装置を備えるワイパーアーム
FR2863991A1 (fr) Agencement pour le guidage d&#39;un arbre d&#39;entrainement de mecanisme d&#39;essuyage permettant l&#39;effacement de l&#39;arbre d&#39;entrainement en cas de choc
FR2992612A1 (fr) Dispositif de balai d&#39;essuie-glace
KR100692068B1 (ko) 리어 와이퍼 암의 암 헤드 캡 이탈 방지구조
KR100767444B1 (ko) 와이퍼 암 조립체
EP0958976B1 (en) Wip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JP5653729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1008778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조립체
KR100586054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WO2004028874A1 (fr)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mecanisme d’essuyage comportant un ecrou secabl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înement
KR101351931B1 (ko) 볼 조인트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1305573B1 (ko) 차량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체결구조
KR100336536B1 (ko) 와이퍼 링크의 고정구조
KR10118216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와이퍼 장치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0969006B1 (ko) 블레이드의 균일하중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
KR101119487B1 (ko)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KR200380475Y1 (ko) 와이퍼 커넥터
KR100681177B1 (ko) 차량용 리어 와이퍼
KR200238763Y1 (ko) 자동차용 커버타입 와이퍼장치
KR101916584B1 (ko) 유격량 축소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싱글 암 와이퍼 장치
KR10068077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