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487B1 -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 Google Patents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487B1
KR101119487B1 KR1020100005398A KR20100005398A KR101119487B1 KR 101119487 B1 KR101119487 B1 KR 101119487B1 KR 1020100005398 A KR1020100005398 A KR 1020100005398A KR 20100005398 A KR20100005398 A KR 20100005398A KR 101119487 B1 KR101119487 B1 KR 10111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iper arm
arm head
groove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547A (ko
Inventor
전성욱
Original Assignee
(주) 보쉬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쉬전장 filed Critical (주) 보쉬전장
Priority to KR102010000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4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79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 B60S1/3481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for moun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와이퍼암과 결합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와이퍼암헤드에 있어서, 상기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 중앙에 상기 피봇샤프트를 안내하여 삽입시키기 위해 관통 형성된 축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을 밀폐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은 삽입 부위가 신축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홈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A WIPER-ARM HEAD WITH INSERTION TYPE CAP}
본 발명은 와이퍼암과 결합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와이퍼암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암헤드의 타측에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와이퍼암헤드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으로 구성하여 결과적으로 홈에 삽입되는 캡의 노출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캡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블레이드는 차량의 앞유리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 뒷유리에 장착되어 유리에 묻은 이물질 및 빗물을 쓸어내려 운전자로 하여금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 어셈블리는 도 7과 같이, 통상 와이퍼암(200)과 결합된 블레이드(3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200)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와이퍼암헤드(1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와이퍼암헤드(100)에는 타측에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를 삽입시켜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암헤드(100)의 결합공(102)으로 체결수단 및 피봇샤프트가 노출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퍼암헤드(100)에는 결합공에 캡(140)이 외장되어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외부충격에 의해 캡이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자동 세차시에는 회전하는 브러쉬에 의해 캡이 종종 탈거 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와이퍼암헤드의 타측에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와이퍼암헤드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으로 구성하여 결과적으로 홈에 삽입되는 캡의 노출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캡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캡에 형성된 핀부를 버튼 방식으로 눌러 홈부에서 캡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에 관한 것으로, 와이퍼암과 결합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와이퍼암헤드에 있어서,
상기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 중앙에 상기 피봇샤프트를 안내하여 삽입시키기 위해 관통 형성된 축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을 밀폐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은 삽입 부위가 신축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홈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축공에는 피봇샤프트를 안내하고 체결수단과의 조립면을 제공하기 위한 부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1발명 또는 제 2발명에서, 상기 캡의 절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기울기를 갖고,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바닥면 외각으로 핀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타면에는 캡의 이탈방지를 위해 핀부의 걸림턱과 결합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관통홀의 외각에 위치시켜 관통홀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2발명 또는 제 5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타면에는 부시의 둘레를 지지하기 위해 홈의 내주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캡의 핀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스토퍼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핀부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7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측면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에 따르면, 와이퍼암헤드의 타측에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와이퍼암헤드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으로 구성하여 결과적으로 홈에 삽입되는 캡의 노출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캡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캡에 형성된 핀부를 버튼 방식으로 눌러 홈부에서 캡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캡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캡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와이퍼암헤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캡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캡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와이퍼암(200)과 결합된 블레이드(3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200)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미도시)에 축 결합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100)에 관한 것이다.(도 7에 도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암헤드의 타측에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와이퍼암헤드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으로 구성하여 결과적으로 홈에 삽입되는 캡의 노출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캡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100)는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해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홈부(1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피봇샤프트를 안내하여 삽입시키기 위해 축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축공(111)에는 피봇샤프트를 안내하고 체결수단과의 조립면을 제공하기 위한 금속재질의 부시(120)가 더 결합되어 있어 피봇샤프트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지탱하고, 더불어 체결수단의 조립면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홈부(110)에는 체결수단을 밀폐시키기 위한 캡(14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러한 구조는 캡(140)의 노출부위를 최소화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암헤드(10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홈부(110)를 형성시키고, 상기 홈부(110)에 캡(140)을 삽입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캡(140)이 노출되는 부위가 와이퍼암헤드(100)의 상부면으로 한정하여 부분 노출시킴으로써, 캡(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캡(140)은 삽입 부위가 신축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141)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110)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캡(140)은 조립과 더불어 쉽게 홈부(11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절개부(141) 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기울기를 갖고,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핀부(142)를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홈부(110)는 바닥면 외각으로 핀부(142)를 삽입시키기 위한 관통홀(113)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캡(140)을 홈부에 진입시키기에 앞서 먼저 핀부(142)를 홈부(110)의 관통홀(113)로 삽입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핀부(142)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140)의 끝단부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142a)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핀부(142)의 전체 길이는 캡(140)을 홈부(110)에 결합시키면 상기 와이퍼암헤드(100)의 타면으로 부분 노출될 수 있는 길이이다. 이는 차량의 유리와 이격된 와이퍼암헤드(100)의 여유공간으로 손가락을 넣어 핀부(142)를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와이퍼암헤드(100)의 타면에는 캡(140)의 이탈방지를 위해 핀부(142)의 걸림턱(142a)과 결합되는 스토퍼(112)가 더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12)는 관통홀(113)의 외각에 위치시켜 관통홀(113)과 연계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핀부(142)를 관통홀(113)로 삽입시키면, 핀부(142)의 삽입부위가 기울기로 인해 외각으로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핀부(142)의 걸림턱(142a)이 와이퍼암헤드(100)의 타면에 형성된 스토퍼(112)에 결합되어 캡(140)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와이퍼암헤드(100)의 타면에는 부시(120)의 둘레를 지지하기 위해 홈부(110)의 내주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부(130)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의 외주면에는 캡(140)의 핀부(142)에 형성된 걸림턱(142a)이 스토퍼(112)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핀부(142)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안내홈(1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홈(131)은 관통홀(113)의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핀부(142)가 삽입되면 핀부(142)가 안내홈(131)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관통홀(113)의 크기는 핀부(142)가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여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의 분해 조립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와이퍼암헤드(100)의 부시(120)를 구동수단(미도시)과 결합된 피봇샤프트에 삽입시켜 홈부(110)에 피봇샤프트가 부분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퍼암헤드(100)의 홈부(110)에 노출된 피봇샤프트를 와이퍼암헤드(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수단(너트:150)를 피봇샤프트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 후, 상기 캡(140)의 핀부(142)가 홈부(110)에 형성된 관통홀(113)에 삽입되로록 위치를 맞춘 후 홈부(110)에 삽입시키면 핀부(142)에 형성된 걸림턱(142a)이 기울기에 의해 스토퍼(112)에 결합되여 캡(140)이 홈부(110)에서 이탈됨이 없이 고정된다.
캡의 분해는 도 5와 같다.
상기 캡(140)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차량의 유리와 이격된 와이퍼암헤드(100)의 여유공간으로 손가락을 넣어 버튼 방식으로 핀부(142)를 부시의 안내홈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핀부(142)의 걸림턱(142a)은 스토퍼(112)에서 이탈되어 캡(140)을 와이퍼암헤드(100)의 홈부(110)에서 손쉽게 분리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차량의 유리와 이격된 와이퍼암헤드(100)의 여유공간이 작은 차량의 경우에는 와이퍼암헤드(100)의 측면에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손가락삽입부(101)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손가락을 와이퍼암헤드(100)의 측면으로 진입시켜 핀부(142)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쉽게 캡(140)을 와이퍼암헤드(100)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와이퍼암헤드 101: 손가락삽입부
102: 결합공
110: 홈부 111: 축공
112: 스토퍼
113: 관통홀
120: 부시
130: 지지부 131: 안내홈
140: 캡 141: 절개부
142: 핀부
142a: 걸림턱
200: 와이퍼암

Claims (8)

  1. 와이퍼암과 결합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은 상기 와이퍼암과 탄력적으로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피봇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와이퍼암헤드에 있어서,
    상기 피봇샤프트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 중앙에 상기 피봇샤프트를 안내하여 삽입시키기 위해 관통 형성된 축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을 밀폐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은 삽입 부위가 신축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홈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캡의 절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기울기를 갖고,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바닥면 외각으로 핀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에는 피봇샤프트를 안내하고 체결수단과의 조립면을 제공하기 위한 부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타면에는 캡의 이탈방지를 위해 핀부의 걸림턱과 결합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관통홀의 외각에 위치시켜 관통홀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타면에는 부시의 둘레를 지지하기 위해 홈의 내주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캡의 핀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스토퍼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핀부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암헤드의 측면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8. 삭제
KR1020100005398A 2010-01-21 2010-01-21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KR10111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98A KR101119487B1 (ko) 2010-01-21 2010-01-21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98A KR101119487B1 (ko) 2010-01-21 2010-01-21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547A KR20110085547A (ko) 2011-07-27
KR101119487B1 true KR101119487B1 (ko) 2012-03-20

Family

ID=4492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98A KR101119487B1 (ko) 2010-01-21 2010-01-21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070A (ja) * 1998-09-21 2000-04-04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アーム
KR20010060606A (ko) * 1999-12-27 2001-07-07 이계안 자동차용 와이퍼 암의 체결구조
US6581238B1 (en) * 1998-01-27 2003-06-24 Valeo System D'essuyage Motor vehicle wip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238B1 (en) * 1998-01-27 2003-06-24 Valeo System D'essuyage Motor vehicle wiper
JP2000095070A (ja) * 1998-09-21 2000-04-04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アーム
KR20010060606A (ko) * 1999-12-27 2001-07-07 이계안 자동차용 와이퍼 암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547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056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0985317B1 (ko) 와이퍼암과 와이퍼블레이드 연결용 연결 장치
JP5444454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20150246659A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wiper blade with wiper arm and wiper blade including the same
US2013009779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173278B1 (ko) 멀티 어댑터용 커넥터
KR20110040262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665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1212283B1 (ko)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KR10099912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676068B2 (en) Cap and driving arm for a wip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119487B1 (ko) 삽입형 캡을 갖는 와이퍼암헤드
KR200442554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KR101211096B1 (ko) 와이퍼 장치
KR200475851Y1 (ko)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KR100800581B1 (ko) 와이퍼 암 조립체
WO2017213037A1 (ja) ワイパ装置
KR100586054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0692068B1 (ko) 리어 와이퍼 암의 암 헤드 캡 이탈 방지구조
KR100681177B1 (ko) 차량용 리어 와이퍼
KR101351931B1 (ko) 볼 조인트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0778571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암 조립체
JP2002079916A (ja) ウィ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のバーティブラ
KR101189710B1 (ko) 차량용 와이퍼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