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51Y1 -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51Y1
KR200475851Y1 KR2020140000312U KR20140000312U KR200475851Y1 KR 200475851 Y1 KR200475851 Y1 KR 200475851Y1 KR 2020140000312 U KR2020140000312 U KR 2020140000312U KR 20140000312 U KR20140000312 U KR 20140000312U KR 200475851 Y1 KR200475851 Y1 KR 200475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p
wiper
ba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갑
Original Assignee
유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갑 filed Critical 유병갑
Priority to KR2020140000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의 양 단에 설치하여 와이퍼의 스프링 뒤틀림 방지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와이퍼의 작동시 이탈하지 않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이 삽입하는 방향 및 하측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이 삽입하는 방향과 마주하는 제2 면 및 상측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의 공간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스프링의 측면과 결합하여 스프링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결합부 결합홈을 포함하고 있는 측면 결합부와;상기 측면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 끝단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홈 결합부와; 상기 캡의 제2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단부가 결합하는 단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단부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어, 측면 결합부의 연장길이를 짧게 형성해 스프링 곡률을 저해하지 않아 와이퍼에 적용시 이물질 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홈 결합부의 경우 탄성바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스프링 결합시 결합턱 및 탄성바의 파손을 줄여 와이퍼의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결합턱에 수직면을 형성해 원심력 및 스프링력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단부 결합부에 스프링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단부 결합홈을 형성하여 스프링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엔드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An endcap of wip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와이퍼의 양 단에 설치하여 와이퍼의 스프링 뒤틀림 방지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와이퍼의 작동시 이탈하지 않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용 와이퍼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빗물, 눈, 먼지 등)에 대하여 아암과 어댑터에 연결된 브라켓,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 및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조립되어 좌, 우 선회작동에 의해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부품이며,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작동시 차량의 앞 또는 앞, 뒤 유리창 면에 직접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유리창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깨끗이 긁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 부재로서 결합의 견고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와이퍼에는 추가로 와이퍼 스트립 상측으로 스포일러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 또는 스프링, 와이퍼 스트립 및 스포일러의 양단을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의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엔드캡의 경우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 양단의 뒤틀림 방지 및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엔드캡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29161호(2006.09.2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가 있다.
이 등록특허는 한쌍의 스프링 사이에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장홈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스프링의 끝단부에는 요입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및 스포일러을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에는 쐐기 형상의 끼움턱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엔드캡에 스프링의 끝단을 밀어넣어 스프링의 요입부가 엔드캡의 끼움턱에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때에, 상기 끼움턱은 스프링의 삽입시 스프링의 끝단면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31788(2011.03.29)호는 립과 레일홈으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제1 고정홈을 형성하고 끝단에는 제2 고정홈을 형성한 스프링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과 결합하기 위한 엔드캡은 스프링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스프링의 제1 고정홈과 대응하는 제1 고정돌기와 제2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2 고정돌기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프링에 엔드캡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을 엔드캡의 슬라이드 결합부에 삽입시켜 밀어 넣게 되면, 스프링의 제2 고정홈이 형성된 끝단이 제1 고정돌기를 밀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 하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스프링의 삽입시 끝단 부분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스프링에 형성된 제2 고정홈이 엔드캡의 제2 고정돌기에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였던 제1 고정돌기가 스프링의 제1 고정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29161호의 경우 스프링의 결합시 스프링 끝단 부분을 통해 끼움턱이 탄성작용에 의해 내려갈 때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통상적으로 엔드캡은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 또는 스프링, 와이퍼 스트립 및 스포일러를 고정결합하기 위해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엔드캡에 형성된 끼움턱이 파손될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어 와이퍼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엔드캡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엔드캡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두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스프링의 경우 브라켓을 통해 중앙부분의 수평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긴 하지만 스프링의 끝단 부분은 엔드캡을 통해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엔드캡의 이탈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력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은 엔드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어, 엔드캡이 스프링의 수평력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 끝단 부분에서는 스프링을 통한 결합력 저하로 인해 와이퍼 스트립이 와이퍼가 작동할 때마다 눕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31788호의 경우도 상술한 등록특허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즉, 스프링과 엔드캡(240)의 결합시 스프링 중 제2 고정홈이 형성된 끝단이 제1 고정돌기를 밀어서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스프링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때에,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 고정돌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상기 스프링의 삽입시 슬라이드 결합부를 통해 스프링을 이동하는 구조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스프링의 끝단이 제1 고정돌기를 파손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스프링과 엔드캡의 결합시 고정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슬라이드 결합부 및 제2 고정돌기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2 고정돌기는 스프링의 고정력 보다는 위치를 선정하여 자리를 잡아주는 역할만 수행할 뿐 고정력의 발생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슬라이드 결합부에서만 고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엔드캡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슬라이드 결합부가 각각의 스프링 외측면 만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스프링이 좌, 우측으로 뒤틀려지게 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이 와이퍼가 작동할 때마다 눕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고정돌기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와이퍼의 작동시 엔드캡을 고정할 수 있을만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의 경우 스프링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가 상당히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드 결합부는 스프링과의 접촉면이 늘어나 스프링 양 단의 곡률을 유지할 수 없도록 작용하게 되어 와이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도록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제1 고정돌기의 경우 스프링 삽입시 탄성력이 적게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최초 조립시 파손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랑용 와이퍼의 엔드캡은 스프링의 가장자리 측면을 클램핑하는 측면 결합부와 스프링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는 홈 결합부와 스프링 단부를 클램핑하는 단부 결합부를 통해 스프링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가장자리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결합부의 연장길이를 짧게 하여 스프링의 곡률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유리에 와이퍼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홈에 결합하는 홈 결합부의 탄성바의 탄성력을 유지하여 걸림턱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걸림턱에 수직면을 형성해 원심력 및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측면 결합부의 연장길이를 짧게 형성해 스프링 곡률을 저해하지 않아 와이퍼에 적용시 이물질 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홈 결합부의 경우 탄성바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스프링 결합시 결합턱 및 탄성바의 파손을 줄여 와이퍼의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결합턱에 수직면을 형성해 원심력 및 스프링력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부 결합부에 스프링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단부 결합홈을 형성하여 스프링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a)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에 스프링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의 (b)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에 스프링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B)를 결합하고 있는 와이퍼(1)의 스프링(S) 양 단에 결합하여 스프링(S)의 뒤틀림 방지 및 견고한 결합을 위해 구성된다.
우선, 캡(10)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이 삽입되는 방향 및 하측이 개방되어 있고, 스프링(S)의 단부가 배치되는 위치의 제2 면(12) 및 상측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공간부(13)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10)의 상측은 도면에서는 유선형으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적용하는 디자인의 일 예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 결합부(20)는 상기 캡(10)의 공간부(13) 내에 구성되어 스프링(S)의 가장자리 측면을 지지하여 스프링(S)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스프링(S)은 바(bar) 형태로 형성되는 2개의 스프링(S)이 한 조로 구성되는 스프링(S)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스프링(S)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20)가 캡(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 결합부(20)는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해 스프링(S)의 가장자리 부분의 지지 및 스프링(S)의 삽입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을 구성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지지바(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결합부 지지바(22)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캡(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 결합부 상단바(2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 상단바(23)로 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캡(10)의 측면에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측면 결합부 하단바(24)가 구성된다.
또한,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은 상술한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와 측면 결합부 하단바(24)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은 스프링(S)의 두께(t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프링(S) 고유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홈 결합부(30)는 스프링(S)에 형성되어 있는 홈(h)에 결합하여 와이퍼(1)의 작동시 본 고안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측면 결합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에서 캡(10)의 제2 면(1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탄성바(31)와 상기 탄성바(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프링(S)의 홈(h)에 탈, 부착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쐐기 형상의 걸림턱(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 결합부(30)의 탄성바(31)는 스프링(S)의 결합시 걸림턱(32)이 스프링(S)에 형성된 홈(h)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 걸림턱(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S)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결합부(20)의 연장길이(d1)보다 탄성바(31)의 연장 길이(d2)가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면 결합부(20)를 구성하고 있는 측면 결합부 상단바(23) 및 측면 결합부 하단바(24)의 연장 길이(d1)의 약 1.1 ∼ 2배 정도의 길이로 탄성바(31)의 연장길이(d2)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홈 결합부(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2)은 탄성바(3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에는 스프링(S)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경사면(32a)을 형성하고, 캡(10)의 제2 면과 마주보는 면은 수직면(32b)을 형성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단부 결합부(40)는 상기 캡(10)의 제2 면(12)에서 스프링(S)이 삽입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부 결합부 상단바(42)와 상기 단부 결합부 상단바(42)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단부 결합부 상단바(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결합부 하단바(43)와 상기 단부 결합부 상단바(42) 및 단부 결합부 하단바(43) 사이의 중앙에 형성되는 단부 결합부 중간바(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구성에 의해 형성되어 스프링(S)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2개소의 단부 결합홈(4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부 결합부(40)의 단부 결합홈(41)의 높이는 스프링(S)의 두께(t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단부 결합부 중간바(44)는 2개소로 이루어진 스프링(S)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크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50)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50)은 통상의 와이퍼(1)에 설치하여 스프링(S)의 뒤틀림 방지 및 스프링(S) 및 스프링(S)과 결합하는 블레이드(B) 등의 안정적인 결합을 통해 와이퍼(1)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술한 와이퍼(1)는 차량 유리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와이퍼(1)에 형성된 스프링(S)의 뒤틀림 방지 및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S)과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은 캡(10) 내부에 스프링(S)의 가장자리 측면을 고정하면서 스프링(S) 결합시 스프링(S)을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 결합부(20)와 스프링(S)에 형성되어 있는 홈(h)에 결합하기 위한 홈 결합부(30) 및 스프링(S)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단부 결합부(40)를 통해 스프링(S)과의 결합력 향상에 따른 와이퍼(1)에서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스프링(S)의 뒤틀림 방지를 수행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퍼(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먼저, 측면 결합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S) 측면을 지지하면서 스프링(S)의 삽입시 스프링(S)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와 측면 결합부 하단바(24)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에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도 이미 공지된 구성이기에 그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측면 결합부(20)는 스프링(S)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d1)가 짧게 형성되어 와이퍼(1)의 작동시 스프링(S)이 탄성력에 의해 휘어졌을 때에도 안정적으로 스프링(S)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 파손율을 줄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통상의 와이퍼(1)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차량 유리와 맞닿아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스프링(S)이 필수로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스프링(S)은 최초 형성시 일정 곡률을 형성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에, 스프링(S) 끝단에 형성되는 엔드캡을 통해 스프링(S)을 결합 및 지지하기 위해 구속할 경우 구속되는 범위(스프링과의 접촉면)가 넓게 되면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S)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와이퍼(1)의 양 끝단이 차량 유리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와이퍼(1) 양 단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물질 제거 능력이 저하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측면 결합부(20)의 연장길이(d1)를 짧게 형성하여 스프링(S) 가장자리와의 접촉면을 줄여 줌으로써 스프링(S) 고유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프링(S)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와이퍼(1) 양 단에서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물질 제거 능력을 향사시킴은 물론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작용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홈 결합부(30)가 스프링(S)에 형성되어 있는 홈(h)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과 스프링(S)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홈 결합부(30)를 구성하고 있는 탄성바(31)의 연장길이(d2)를 측면 결합부(20)의 연장길이(d1) 대비 1.2 ∼ 2배 가량 더 길게 형성하여 스프링(S)과 걸림턱(32)의 결합과정에서 걸림턱(32)의 탄성 범위가 넓게 형성하도록 작용하여 스프링(S)의 원활한 결합과 동시에 걸림턱(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홈 결합부(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2)은 스프링(S)이 삽입하는 방향으로는 경사면(32a)을 형성해 스프링(S)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작용하는 한편, 캡(10)의 제2 면(12)과 마주하는 면은 수직면(32b)을 형성하여 스프링(S) 과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와이퍼(1)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일정각도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은 스프링(S)에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B)는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차량 유리에 맞닿으면서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 유리에 밀착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퍼(1)의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 및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퍼(1) 양 단에 형성되어 있는 엔드캡은 각각 바깥쪽 방향(스프링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면서 엔드캡이 와이퍼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 스프링(S)의 홈(h)에 결합하는 홈 결합부(30)의 걸림턱(32) 중 캡(10)의 제2 면(12)과 마주보는 면을 수직면(32b)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원심력 및 스프링(S)에서 발생하는 힘의 작용시 걸림턱(32)이 스프링(S)의 홈(h)에서 걸림턱(32)이 이탈하는 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수직면(32b)에 의해 스프링(S)에 형성된 홈(h)과의 결합력을 유지하여 엔드캡(50)의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캡(10)의 제2 면(12)에 단부 결합홈(41)을 포함하는 단부 결합부(40)를 형성하여 스프링(S)의 단부를 클램핑, 더욱 구체적으로는, 2개소가 한조로 이루어진 분리되어 있는 스프링(S) 중 내측 방향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스프링(S)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단부 결합부(40)에 형성된 단부 결합홈(41)의 크기를 스프링(S)이 완전히 고정되도록 스프링(S)의 두께(t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뒤틀림 방지와 더불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S)의 바깥쪽 측면과 내측의 단부 및 스프링(S)에 형성된 홈(h)에 결합하되, 스프링(S)의 뒤틀림 방지 및 스프링(S)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20), 홈 결합부(30), 단부 결합부(40)를 통해 와이퍼(1)의 작동시 이물질 제거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안정적인 결합을 통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임을 명시한다.
S : 스프링 t1 : 스프링 두께
10 : 캡
12 : 제2 면 13 : 공간부
20 : 측면 결합부
21 : 측면 결합부 결합홈 22 : 측면 결합부 지지바
23 : 측면 결합부 상단바 24 : 측면 결합부 하단바
d1 : 측면 결합부 연장 길이
30 : 홈 결합부
31 : 탄성바 32 : 걸림턱 32a : 경사면 32b : 수직면
d2: 탄성바의 연장길이
40 : 단부 결합부
41 : 단부 결합홈 42 : 단부 결합부 상단바 43 : 단부 결합부 하단바
44 : 단부 결합부 중간바
50 :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Claims (5)

  1. 스프링(S)이 삽입하는 방향 및 하측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S)이 삽입하는 방향과 마주하는 제2 면(12) 및 상측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캡(10);
    상기 캡(10)의 공간부(13)에 형성되며, 스프링(S)의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스프링(S)의 측면과 결합하여 스프링(S)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을 포함하고 있는 측면 결합부(20);
    상기 측면 결합부(20)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바(31)와 상기 탄성바(31) 끝단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2)으로 이루어진 홈 결합부(30);
    상기 캡(10)의 제2 면(12)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S)의 단부가 결합하는 단부 결합홈(41)을 포함하는 단부 결합부(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20)는 캡(10)의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지지바(22)와, 상기 측면 결합부 지지바(22)에서 캡(1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와, 상기 측면 결합부 상단바(23)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측면 결합부 하단바(24)와, 상기 측면 결합부 상단바(23) 및 측면 결합부 하단바(24)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결합홈(2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20)는 스프링(S)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길이(d1)보다 홈 결합부(30)에 형성된 탄성바(31)의 연장 길이(d2)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결합부(30)에 형성된 걸림턱(32)은 탄성바(31)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경사면(32a)을 형성하고, 상기 캡(10)의 제2 면(12)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수직면(32b)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결합부(40)는 단부 결합부 상단바(42)와 단부 결합부 하단바(43)의 중간에 단부 결합부 중간바(44)가 형성되어 스프링(S)의 내측 단부를 클램핑할 수 있는 단부 결합홈(41)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 결합홈(41)은 스프링(S)의 두께(t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KR2020140000312U 2014-01-14 2014-01-14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KR200475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12U KR200475851Y1 (ko) 2014-01-14 2014-01-14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12U KR200475851Y1 (ko) 2014-01-14 2014-01-14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51Y1 true KR200475851Y1 (ko) 2015-01-12

Family

ID=5258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12U KR200475851Y1 (ko) 2014-01-14 2014-01-14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705B1 (ko) 2017-11-27 2019-04-17 한국와이퍼(주)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KR102042416B1 (ko) * 2018-06-29 2019-11-11 주식회사 킴블레이드 와이퍼 블레이드 러버 교체 설치용 엔드클립
CN110691720A (zh) * 2017-04-28 2020-01-14 法雷奥系统公司 用于刮水器刮片的端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3695A1 (en) * 2005-01-25 2006-07-2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EP2106979A1 (en) * 2008-04-04 2009-10-0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KR20110031788A (ko) * 2009-09-21 2011-03-29 (주)유엔아이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20050810A (ko) * 2010-11-11 2012-05-21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가이드 클립 및 요크 일체형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3695A1 (en) * 2005-01-25 2006-07-2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EP2106979A1 (en) * 2008-04-04 2009-10-0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KR20110031788A (ko) * 2009-09-21 2011-03-29 (주)유엔아이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20050810A (ko) * 2010-11-11 2012-05-21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가이드 클립 및 요크 일체형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1720A (zh) * 2017-04-28 2020-01-14 法雷奥系统公司 用于刮水器刮片的端件
CN110691720B (zh) * 2017-04-28 2023-04-04 法雷奥系统公司 用于刮水器刮片的端件
KR101969705B1 (ko) 2017-11-27 2019-04-17 한국와이퍼(주)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KR102042416B1 (ko) * 2018-06-29 2019-11-11 주식회사 킴블레이드 와이퍼 블레이드 러버 교체 설치용 엔드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27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4975748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とのロック装置
US7370385B2 (en) Flexible wiper with rubber cover
KR101166494B1 (ko)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7832046B2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US20140196241A1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US8857009B2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end cap
US2015021772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40283325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50258965A1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KR200475851Y1 (ko)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WO2013089312A1 (en)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EP2578458B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windshield wiper connection assembly
KR101147826B1 (ko) 와이퍼 암 체결용 커넥터 장치
KR101148999B1 (ko) 차량용 플랫 와이퍼
US11208077B2 (en) One-touch slide assembly type wiper blade
US9738260B2 (en) Wiper blade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KR100609052B1 (ko) 와이퍼 조립체
JP458675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9387827B2 (en) Wiper blade device
FI125477B (fi) Kiinnike ja menetelmä kiinnikkeen kiinnittämiseksi lasitusosaan
US10414380B2 (en) Windshield wiper blade
KR100998108B1 (ko) 자동차 와이퍼의 엔드캡장치
US20180272994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