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05B1 -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 Google Patents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05B1
KR101969705B1 KR1020170159148A KR20170159148A KR101969705B1 KR 101969705 B1 KR101969705 B1 KR 101969705B1 KR 1020170159148 A KR1020170159148 A KR 1020170159148A KR 20170159148 A KR20170159148 A KR 20170159148A KR 101969705 B1 KR101969705 B1 KR 10196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nd stopper
wiper
blade rubber
y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섭
Original Assignee
한국와이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와이퍼(주) filed Critical 한국와이퍼(주)
Priority to KR102017015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91Mounting of end caps with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유리면에 안착되는 답면부와, 상기 답면부 전면(前面)에 상기 답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단부(下端部)에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엔드스토퍼와, 상기 헤드와 상기 엔드스토퍼 양단부(兩端部)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두 리세스(recess)와, 상기 헤드 양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두 리세스 후방 측에 배치되는 두 가이드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러버; 상기 블레이드러버의 두 리세스에 은닉되게 삽입되는 두 레일스프링; 상기 블레이드러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2n(단, n은 1이상의 정수임)개의 세컨더리요크;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를 상호 연결하는 n개의 프리머리요크; 및 상기 각 프리머리요크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와이퍼암에 장착되는 와이퍼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는 이들의 상하 단부(端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러버의 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두 인서트와, 상기 두 인서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두 레일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두 스커트와, 상기 두 스커트 전단(前端)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헤드 전면(前面)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탑 및 바텀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가이드 하부 측에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에서 바텀슬라이더의 두 인서트가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산형(山形)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러버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에서 바텀슬라이더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엔드스토퍼 전면(前面)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드를 더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엔드스토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WIPER TO PREVENT DEFORMATION OF END STOPPER}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퍼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스프링 단부(端部)를 감싸는 엔드스토퍼가 외력에 의해 변형 시 한 쌍의 레일스프링 단부 사이 틈새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용 와이퍼에서 레일스프링 단부(端部)를 지지하게 되는 엔드 스토퍼 또는 엔드 캡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66494호 (2012.07.1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스프링과 고정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고정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부캡을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켜 와이퍼 작동 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스프링 사이의 간격 및 수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와이퍼 스트립을 통한 이물질 제거 시 떨림 현상 및 와이퍼 스트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캡의 상부 결합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해 스포일러의 유, 무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엔드캡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5851호 (2014.12.3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스프링의 가장자리 측면을 클램핑하는 측면 결합부와 스프링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는 홈 결합부와 스프링 단부를 클램핑하는 단부 결합부를 통해 스프링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66494호 (2012.07.11.등록)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5851호 (2014.12.31.등록)
본 발명은 차량의 유리면을 닦기 위한 와이퍼에서 와이퍼암과 리테이너의 힌지 결합 부위를 기준으로 와이퍼의 폴딩 동작이 가능한데, 이때 세차 등을 실시하거나 또는 폭설을 대비하기 위해, 또는 와이퍼 교체 등을 위해 차량의 유리면으로부터 와이퍼를 이격시켜 세운 후 원위치 시킬 때에 엔드스토퍼가 차량 유리면과 충돌하게 되면서 변형이 발생하여 엔드스토퍼가 감싸고 있는 한 쌍의 레일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은 물론, 엔드스토퍼가 한 쌍의 레일스프링 사이 틈새로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기존 와이퍼의 구조를 개선시켜 엔드스토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는,
차량의 유리면에 안착되는 답면부와, 상기 답면부 전면(前面)에 상기 답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단부(下端部)에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엔드스토퍼와, 상기 헤드와 상기 엔드스토퍼 양단부(兩端部)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두 리세스(recess)와, 상기 헤드 양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두 리세스 후방 측에 배치되는 두 가이드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러버;
상기 블레이드러버의 두 리세스에 은닉되게 삽입되는 두 레일스프링;
상기 블레이드러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2n(단, n은 1이상의 정수임)개의 세컨더리요크;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를 상호 연결하는 n개의 프리머리요크; 및
상기 각 프리머리요크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와이퍼암에 장착되는 와이퍼로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는 이들의 상하 단부(端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러버의 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두 인서트와, 상기 두 인서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두 레일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두 스커트와, 상기 두 스커트 전단(前端)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헤드 전면(前面)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탑 및 바텀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가이드 하부 측에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에서 바텀슬라이더의 두 인서트가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산형(山形)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러버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에서 바텀슬라이더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엔드스토퍼 전면(前面)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드를 더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엔드스토퍼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두 레일스프링 단부가 외부로 비(非)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는,
한 쌍의 레일스프링 단부를 감싸 지지하는 엔드스토퍼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난 와이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제1 구현예의 요부 확대 분해, 결합 및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제2 구현예의 요부 확대 분해, 결합 및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1의 “A”에 대한 변형예의 요부 확대 측면 구성도,
도 5는 도 1의 “A”에 대한 다른 변형예의 요부 확대 측면 구성도,
도 6은 도 1의 “A”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의 일부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블레이드러버(10)의 답면부(11)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헤드(12)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세컨더리요크(30)의 탑슬라이더(30A)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바텀슬라이더(30B)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통상의 와이퍼 작동 구조는 와이퍼가 차량의 와이퍼암에 장착되고, 이 와이퍼암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케 가능케 리테이너가 결합되며, 이 리테이너는 암헤드에 의해 차량의 와이퍼구동수단과 상호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는,
크게 블레이드러버(10), 레일스프링(20), 세컨더리요크(30), 프리머리요크(40), 와이퍼로드(5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블레이드러버(10)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와이퍼암 작동 시 차량의 유리면을 닦게 되는 것으로,
차량의 유리면에 안착되는 답면부(11),
상기 답면부(11) 전면(前面)에 상기 답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
상기 헤드(12)의 하단부(下端部)에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엔드스토퍼(13),
상기 헤드(12)와 상기 엔드스토퍼(13) 양단부(兩端部)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두 리세스(recess)(14), 그리고
상기 헤드(12) 양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두 리세스(14) 후방 측에 배치되는 두 가이드(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답면부(11)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첨단(尖端) 형상을 가지면서 중단(中端)에 좌우로 연장되는 날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러버(10)는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세컨더리요크(30)와 프리머리요크(40)에 의해 차량의 유리면 곡면에 맞게 휘어짐으로써, 상기 답면부(11)가 차량의 유리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두 가이드(15) 하부 측에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두 인서트(31)가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산형(山形) 걸림부(15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러버(10)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드(16)를 더 포함한다.
결국 차량 유리면과의 충돌에 따른 외력에 의해 상기 엔드스토퍼(13)가 변형되려고 할 때에 상기 가드(16)가 상기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또 기존 보다 가드(16)의 상하 높이만큼의 두께를 더 확보하고 있어 쉽게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레일스프링(20) 사이 틈새로 상기 엔드스토퍼(13)가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두 레일스프링(20) 단부가 외부로 비(非)노출된다.
이때 도 3의 [다]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와 서로 상응한 전후 높이(H)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도 3의 [다]에서와 같이, 판형 구조이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요철(凹凸)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요철형 구조의 경우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단면이 반원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러버(10)는 상기 가드(16)의 상단(上端)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감싸는 커버(17)를 더 포함한다.
결국 상기 커버(17) 내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 일부 또는 전부(全部)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드(16)와 함께 상기 엔드스토퍼(13)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도 6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 영역 중, 후술할 두 레일스프링(20) 사이 영역과 마주하게 되는 전면(前面)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구조이거나,
도 6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 영역에 돌출되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X’자 형상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결국 상기 가드(16)는 상기 엔드스토퍼(13)의 전면(前面)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엔드스토퍼(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레일스프링(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두 리세스(14)에 은닉되게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러버(1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판형의 금속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결국 상기 한 쌍의 레일스프링(20) 단부(端部)는 상기 엔드스토퍼(13)에 의해 양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감싸여지는 형태로 상기 두 리세스(14)에 은닉 삽입된다.
세컨더리요크(secondary yoke)(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러버(10)가 차량 유리면의 곡면에 맞게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단부(端部)에 구비되는 탑 및 바텀 슬라이더(30A, 30B)
를 포함하는 대략 활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컨더리요크(30)는 상기 블레이드러버(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2n(단, n은 1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 전반에 걸쳐 상기 n이 2인 것으로 도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슬라이더(30A, 30B)는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두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두 인서트(31)와,
상기 두 인서트(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두 레일스프링(20)을 지지하게 되는 두 스커트(32)와,
상기 두 스커트(32) 전단(前端)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헤드(12) 전면(前面)에 안착되는 플레이트(33)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탑 및 바텀 슬라이더(30A, 30B)는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두 가이드(15) 상부 측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두 인서트(31)가 상기 걸림부(151)를 타고 넘어가 걸리면서 고정된다.
프리머리요크(primary yoke)(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30)를 상호 연결하도록 대략 활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n개가 구비된다.
결국 상기 세컨더리요크(30)가 4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3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2개의 프리머리요크(40)가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리머리요크(40) 양단부는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30)의 중단에 리벳팅(riveting) 결합됨으로써, 상기 세컨더리요크(30)의 회동 동작이 가능하다.
와이퍼로드(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프리머리요크(40)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와이퍼암에 장착되는 대략 활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로드(50) 양단부는 인접한 상기 두 프리머리요크(40)의 중단에 리벳팅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리머리요크(40)의 회동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블레이드러버
11 : 답면부
12 : 헤드
13 : 엔드스토퍼
14 : 리세스
15 : 가이드
151 : 걸림부
16 : 가드
17 : 커버
20 : 레일스프링
30 : 세컨더리요크
30A, 30B : 탑 및 바텀 슬라이더
31 : 인서트
32 : 스커트
33 : 플레이트
40 : 프리머리요크
50 : 와이퍼로드
H : 높이

Claims (5)

  1. 차량의 유리면에 안착되는 답면부(11)와, 상기 답면부(11) 전면(前面)에 상기 답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와, 상기 헤드(12)의 하단부(下端部)에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엔드스토퍼(13)와, 상기 헤드(12)와 상기 엔드스토퍼(13) 양단부(兩端部)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두 리세스(recess)(14)와, 상기 헤드(12) 양단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두 리세스(14) 후방 측에 배치되는 두 가이드(15)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러버(10);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두 리세스(14)에 은닉되게 삽입되는 두 레일스프링(20);
    상기 블레이드러버(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2n(단, n은 1이상의 정수임)개의 세컨더리요크(30);
    인접한 두 세컨더리요크(30)를 상호 연결하는 n개의 프리머리요크(40); 및
    상기 각 프리머리요크(40)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와이퍼암에 장착되는 와이퍼로드(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는 이들의 상하 단부(端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두 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두 인서트(31)와, 상기 두 인서트(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두 레일스프링(20)을 지지하게 되는 두 스커트(32)와, 상기 두 스커트(32) 전단(前端)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헤드(12) 전면(前面)에 안착되는 플레이트(33)로 이루어진 탑 및 바텀 슬라이더(30A, 3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가이드(15) 하부 측에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두 인서트(31)가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되는 산형(山形) 걸림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러버(10)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드(16)를 더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엔드스토퍼(13)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두 레일스프링(20) 단부가 외부로 비(非)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와 서로 상응한 전후 높이(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판형 또는 요철(凹凸)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러버(10)의 가드(16)는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 영역 중, 상기 두 레일스프링(20) 사이 영역과 마주하게 되는 전면(前面)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엔드스토퍼(13) 전면(前面) 영역에 돌출되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X’자 형상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러버(10)는 상기 가드(16)의 상단(上端)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세컨더리요크(30) 중 최하측에 위치한 세컨더리요크(30)에서 바텀슬라이더(30B)의 플레이트(33)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감싸는 커버(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KR1020170159148A 2017-11-27 2017-11-27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KR10196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48A KR101969705B1 (ko) 2017-11-27 2017-11-27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48A KR101969705B1 (ko) 2017-11-27 2017-11-27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705B1 true KR101969705B1 (ko) 2019-04-17

Family

ID=6628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48A KR101969705B1 (ko) 2017-11-27 2017-11-27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94B1 (ko) 2012-04-06 2012-07-20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WO2012159802A1 (de) * 2011-05-24 2012-11-2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CN102849031A (zh) * 2011-06-28 2013-01-0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装置
CN103370236A (zh) * 2011-02-22 2013-10-23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和端罩
KR200475851Y1 (ko) 2014-01-14 2015-01-12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0236A (zh) * 2011-02-22 2013-10-23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和端罩
WO2012159802A1 (de) * 2011-05-24 2012-11-2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CN102849031A (zh) * 2011-06-28 2013-01-0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装置
KR101166494B1 (ko) 2012-04-06 2012-07-20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KR200475851Y1 (ko) 2014-01-14 2015-01-12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5241B2 (en) Windshield wiper blade
US11858475B2 (en) Windshield wiper blade
US9266504B2 (en) Wiper blade and end cap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533897B2 (en) Wiper blade
JP4784437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20080256800A1 (en) Razor cartridge assembly with movable face
US1032890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3568904A (zh) 交通工具用座椅装置
US10926741B2 (en) Wiper bracket and wiper
CN106114642A (zh) 用于支承车辆的外部装饰部件的支承结构
KR101969705B1 (ko) 엔드스토퍼 변형 방지형 와이퍼
KR200467775Y1 (ko)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JP2018002042A (ja) 車体構造
WO2014002863A1 (ja) ワイパブレード
US20190329734A1 (en) Wiper system
JP4830806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318352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JP2016222033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KR10173652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6397340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KR10076744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용 커버
KR101318353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JP2017196933A (ja) ルーフ装置
JP5049622B2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