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352B1 -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352B1
KR101318352B1 KR1020110095350A KR20110095350A KR101318352B1 KR 101318352 B1 KR101318352 B1 KR 101318352B1 KR 1020110095350 A KR1020110095350 A KR 1020110095350A KR 20110095350 A KR20110095350 A KR 20110095350A KR 101318352 B1 KR101318352 B1 KR 10131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member
leaf spring
spoiler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646A (ko
Inventor
이춘배
앨버트리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9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352B1/ko
Priority to PCT/KR2012/007615 priority patent/WO2013042996A2/ko
Publication of KR2013003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각각의 내측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WINDSHIELD WIPER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를 닦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에서 외부의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차실내로 외부의 바람, 비, 눈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윈드쉴드가 구비된다.
상기 윈드쉴드는 차실의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차실의 좌우측에 배치된 도어에 구비된다. 통상, 차실의 전방에 구비된 윈드쉴드에는 비, 눈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닦기 위한 와이퍼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이러한 와이퍼 어셈블리는 와이퍼 암에 의해 차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윈드쉴드를 따라 왕복한다.
종래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금속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그들 사이에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또는 스퀴지; squeegee)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판 스프링들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는, 판 스프링들 간의 간격이 좁아야 할 것이나, 이 경우 판 스프링과의 마찰 작용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쉽게 마모되었다. 특히, 통상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합성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판 스프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종래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쉴드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포일러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통상 이러한 스포일러는 차량 주행중 작용하는 편압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탈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스포일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한 쌍의 판 스프링 간의 미세한 탄성력 차이를 보상하여 균일한 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와이퍼 블레이드 끝단의 전환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브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각각의 내측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스포일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윈드쉴드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한 쌍의 판 스프링 간의 미세한 탄성력 차이를 보상하여 균일한 탄력을 제공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쉴드의 미세 요철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항시 상기 윈드쉴드와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는 판 스프링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저면도(c),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저면도(c),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는, 서로 이격되어 대체로 평행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과, 한 쌍의 판 스프링(10)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판 스프링(10) 각각의 내측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20)와, 한 쌍의 판 스프링(10) 사이에서 지지부재(20)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과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22)를 포함한다. 체결부(22)에는 판 스프링(10)의 내측변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의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삽입홈(25)은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2)는 판 스프링(10)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면부(22a)와, 판 스프링(10)의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면부(22b)와, 상면부(22a) 및 하면부(22b)을 연결하는 측면부(22c)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상단부가 지지부재(20)의 내측에 삽입되고, 윈드쉴드와 밀착되는 하단부는 지지부재(20)로부터 돌출된다.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지지부재(20)의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부(32)와, 상기 윈드쉴드에 밀착되는 블레이드부(34)와, 베이스부(32)와 블레이드부(34)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윈드쉴드의 굴곡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연질 프라스틱, 천연/합성 고무 등의 변형 가능한(flexible)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부(32)는 한 쌍의 체결부(22) 사이에 걸림됨으로써 지지부재(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부재(20)의 내측에는 베이스부(32)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작동 시, 블레이드부(34)가 윈드쉴드의 굴곡이나, 표면의 요철상태에 따라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윈드쉴드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된다.
블레이드부(34)의 양측으로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지지홈(33)이 형성되고, 지지홈(33)에 체결부(22)가 삽입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이탈되지 않고 한 쌍의 체결부(22) 사이에서 지지된다.
한편,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체결부(22)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24)의 하측으로 베이스부(32)가 수용되고, 베이스부(32)와 대향하는 곡면부(24)의 내측면은 그 단면이 아치(arch)형의 제 1 곡면(24a)을 이루며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과 와이퍼 블레이드(30)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퍼 블레이드(30)가 판 스프링(10)과 직접 접촉되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퍼 블레이드(3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0)는 와이퍼 블레이드(30)보다 경질의 플라스틱, 천연/합성 고무 등의 변형 가능한(flexible)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윈드쉴드의 표면을 따라 선회할 시 상기 윈드쉴드와 접촉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0)의 끝단은 마찰력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구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끝단의 전환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지지부재(20)는 판 스프링(10)과 와이퍼 블레이드(30)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30)의 동작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30)의 내측변을 공고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치우침 또는 전환동작에 의해 한 쌍의 체결부(22)간의 간격이 변할 시 곡면부(24)의 곡률이 변하게 되고, 이때 곡면부(24)가 변형됨에 따라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0)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과 체결되는 스포일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포일러(4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과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를 포함한다. 각각의 판 스프링 체결부(42)에는 판 스프링(10)의 외측변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삽입홈(45)은 판 스프링 체결부(22)의 전체 길이 이상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포일러(40)는 차량 주행 중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는 변형부(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 스프링 체결부(42)는 변형부(44)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44)는 차량 주행중 풍압이 작용하는 제 1 풍압 작용면(44a)과, 제 2 풍압 작용면(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압 작용면(44a)과 제 2 풍압 작용면(44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배를 이룬다.
차량 주행 중 바람이 변형부(44)를 타고 넘을 시, 제 1 풍압 작용면(44a)과 제 2 풍압 작용면(44b)에 작용하는 풍압의 차이에 의해 변형부(44)가 변형되고,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윈드쉴드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30)가 들뜨지 않고 윈드쉴드와 밀착될 수 있다.
판 스프링(10)은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윈드쉴드를 가로질러 움직일시 곡률이 변화함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판 스프링(10)에 의한 탄성작용은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윈드쉴드의 표면과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포일러(40)는 판 스프링(10)이 원활하게 끼워지고, 판 스프링(10)의 곡률 변화에 따라 함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 고무와 같은 변형 가능한(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0)와 대향하는 스포일러(40)의 내측면은, 그 단면이 아치(arch)형의 제 2 곡면(44c)을 이룰 수 있다. 제 2 곡면(44c)은 변형부(44)의 하단이 상측으로 만곡되어 스포일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곡면(44c)은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시, 제 2 곡면(44c)의 양단도 함께 벌어지면서 제 2 곡면(44c)의 곡률이 변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복원력은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 사이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한 쌍의 판 스프링(10)은 항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될 수 있고, 지지부재(20)가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풍압 작용면(44a)과 제 2 풍압 작용면(44b)은 만입된 형태의 곡면을 형성하여 풍압이 작용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 사이가 벌어지려고 할 시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제 1 풍압 작용면(44a)과 제 2 풍압 작용면(44b)에 의해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된다. 특히, 전술한 제 2 곡면(44c)의 변형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을 함께 고려할시, 스포일러(4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42)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브랫킷(50)은 한 쌍의 판 스프링(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브래킷(50)에는 와이퍼 암(미도시)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움직임을 따라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가 윈드쉴드를 가로지르면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100)는 브래킷(50)이 판 스프링(10)의 중앙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브래킷(5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한 쌍의 스포일러(40)가 구비되었다. 한 쌍의 스포일러(40)가 판 스프링(10)의 양단에 끼워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만, 반드시 스포일러(40)가 한 쌍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스포일러의 중앙부에 브랫킷(50)이 안착되는 형태도 무방하다.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래킷(50)의 하단 양측에는 판 스프링(10)을 고정시키는 고정 탭(54)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판 스프링(10)에는 고정 탭(54)이 삽입되는 고정 슬롯(14)이 형성된다. 고정 탭(54)은 판 스프링(10)의 외측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끝단이 고정 슬롯(14)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탭(54)은 브래킷(5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각 판 스프링(10)에는 한 쌍의 고정 슬롯(14)이 형성되었다.
또한, 브래킷(50)의 하단 양측에는 한 쌍의 고정 탭(54) 사이에 압력분산 탭(56)이 각각 형성되고, 각 판 스프링(10)에는 압력분산 탭(56)이 수용되는 위치설정 홀(16)이 형성된다. 압력분산 탭(56)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판 스프링(10)이 곡률이 변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윈드쉴드에 항시 밀착될 수 있다.
스포일러 홀더(60)는 스포일러(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포일러 홀더(60)의 양측에는 각각 스포일러(40)와 체결되는 스포일러 고정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포일러 고정부(62) 사이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 안착 탭(64)이 형성된다.
한 쌍의 브래킷 안착 탭(64) 사이에 브래킷(50)이 안착되면, 한 쌍의 브래킷 안착 탭(64)은 각각 브래킷(50)의 양 측벽(58) 사이에 배치된다. 브래킷(50)에 형성된 압력분산 탭(56)들 및 고정 탭(54)들이 스포일러 홀더(6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한 쌍의 판 스프링(10)에 형성된 각각의 위치설정 홀(16)들 및 고정 슬롯(14)들에 삽입될 수 있다.
스포일러 홀더(60)의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휘어진 덮개(65)가 형성된다. 덮개(65)는 한 쌍의 판 스프링(10)의 중앙부를 감쌈과 동시에, 각각의 스포일러(40)와, 브래킷(50)에 형성된 압력분산 탭(56)들을 감싼다.
이와 같이, 스포일러 홀더(60)는 스포일러 고정부(62) 및 덮개(65)를 통해, 스포일러(40)가 배치되지 않은 한 쌍의 판 스프링(10)의 중앙부를 가려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한 쌍의 판 스프링(1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스포일러(40)에 삽입된 단부캡(90)은 판 스프링(1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판 스프링(10)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캡(90)과 결합되기 위한 단부캡 고정 슬롯(18)이 형성되고, 단부캡(90)에는 단부캡 고정 슬롯(18)에 삽입되는 멈춤쇠(detent;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10)은 전체적으로 휘어져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곡률이 변화함에 따라 판 스프링(10)의 양단을 잇는 직선 거리인 현의 길이가 달라진다. 따라서, 판 스프링(10)이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판 스프링(10)의 양단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위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부캡 고정 슬롯(18)은 상기 멈춤쇠가 삽입된 상태에서 판 스프링(10)의 단부가 변위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부캡(90)이 판 스프링(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판 스프링(10)의 양단이 변위될 수 있는 한, 판 스프링(10)에는 슬롯 대신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멈춤쇠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거리 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홈은 판 스프링(10)의 외측변으로부터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부캡(90)은 스포일러(40)에 비해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부캡(90)과 스포일러(40)를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스포일러(40) 내에 단부캡(90)을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와는 다르게 몰딩(molding)에 의해 단부캡(90)과 스포일러(4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몰딩방식은 이종재질간에도 가능한 바, 스포일러(40)가 변형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부캡(90)은 스포일러(4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스포일러(40)와 단부캡(90)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부캡(90)에는 판 스프링(10)의 단부가 유동되는 관통 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10)의 곡률 변화 시, 판 스프링(10)의 단부가 관통 홀(95)을 통해 유동되기 때문에, 판 스프링(10)이 비틀리거나 영구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200)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72)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 풍압 작용면(74a)과 제 2 풍압 작용면(74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74c)는 제 1 풍압 작용면(74a)의 배면부와 제 2 풍압 작용면(74b)의 배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도 6에는 직선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74c)는 단면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굴곡된 형태도 가능하다.
연결부(74c)에 의해 제 1 풍압 작용면(74a)과 제 2 풍압 작용면(74b)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변형부(74)가 변형되더라도 과도하게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풍압에 의해 변형부(74)의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판 스프링(10)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한 쌍의 판 스프링 체결부(72)가 항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포일러(70)의 내부에는, 연결부(74c)를 사이에 두고 하측에는 지지부재(20)와 와이퍼 블레이드(30)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73)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스포일러(7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관통홀(77)이 형성된다. 스포일러(70)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풍압 작용시 스포일러(70)가 용이하게 변형되어서 와이퍼 블레이드(30)를 윈드쉴드에 쉽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예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300)는 지지부재(320)와 스포일러(80)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인 바,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300)에서 스포일러(80)는 지지부재(3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320)에는 양쪽으로 한 쌍의 결합돌기(27)가 형성될 수 있고, 스포일러(80)에는 결합돌기(27)가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홈(84c)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7)는 곡면부(24)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홈(84c)은 스포일러(80)의 내측, 특히 스포일러(80)의 변형부(84)를 구성하는 제 1 풍압 작용면(84a) 및 제 2 풍압 작용면(84b)의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7)는 그 단면이 1점 이상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고, 결합홈(84c)의 단면은 결합돌기(27)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결합돌기(27)가 결합홈(84c)을 따라 길이방향으로는 삽입 또는 탈거는 가능하나,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구속된다. 이러한 구조는, 스포일러(8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스포일러(80)와 지지부재(320) 간의 조립 및 분해는 가능하나, 일단 스포일러(8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풍압 등의 외력에 의해 지지부재(320)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중 마주치는 바람에 의한 작용으로 스포일러(8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은 지지부재(320)를 통해 판 스프링(10) 및 와이퍼 블레이드(30) 측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이는, 스포일러(80)가 각각의 판 스프링(10)의 외측변에 고정되는 구조에서 편압에 의해 스포일러(80)가 변형될 시, 양쪽 판 스프링(10)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 판 스프링(10)의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양 쪽 판 스프링(10)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결합돌기(27)가 스포일러(80)에 형성되고, 결합홈(84c)이 지지부재(3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 경우, 결합돌기(27)가 스포일러(80)의 내측, 특히, 제 1 풍압 작용면(84a)과 제 2 풍압 작용면(84b)의 배면에 형성되고, 결합홈(84c)이 지지부재(320)의 곡면부(2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4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게 스포일러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판 스프링(10)이 브래킷(50)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판 스프링(10) 사이에서 지지부재(20)가 지지되고, 지지부재(2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0)가 한 쌍의 판 스프링(10) 사이에서 지지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20)의 곡면부(24)가 외부로 노출되기는 하나, 곡면부(24)의 곡면형상에 의해 바람의 저항에 의한 영향은 상당 수준 상쇄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각각의 내측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스포일러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스포일러 중 어느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각각의 판 스프링의 내측변과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고, 그 단면이 아치형을 이루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곡면부의 외측 및 스포일러의 내측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곡면부의 외측 및 스포일러의 내측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은 1점 이상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결합홈의 단면은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을 따라 길이방향으로는 삽입 또는 탈거는 가능하나,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구속되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곡면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
    윈드쉴드와 밀착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삽입홈은 각각,
    상기 판 스프링의 하면과 접하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상면과 접하는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각 삽입홈의 상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8.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각각의 내측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각각의 판 스프링의 내측변과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고, 그 단면이 아치형을 이루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체결부 각각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판 스프링의 하면과 접하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상면과 접하는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각각의 삽입홈의 상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20110095350A 2011-09-21 2011-09-21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131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50A KR101318352B1 (ko) 2011-09-21 2011-09-21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PCT/KR2012/007615 WO2013042996A2 (ko) 2011-09-21 2012-09-21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50A KR101318352B1 (ko) 2011-09-21 2011-09-21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46A KR20130031646A (ko) 2013-03-29
KR101318352B1 true KR101318352B1 (ko) 2013-10-15

Family

ID=4791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350A KR101318352B1 (ko) 2011-09-21 2011-09-21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8352B1 (ko)
WO (1) WO20130429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44B1 (ko) * 2013-11-19 2015-04-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EP4212398B1 (en) * 2022-01-14 2024-04-24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Wiper assembl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5116A1 (en) 2002-09-11 2004-03-11 Tibor Siklosi Windshield wiper having a single-rail spline
KR100536012B1 (ko) 2005-02-16 2005-12-1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창유리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29161B1 (ko) * 2005-06-20 2006-09-27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16075B1 (ko) 2010-06-04 2011-02-17 김시용 러버 교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922A (en) * 1997-09-10 2000-12-26 Cooper Automotive Products, Inc. Wiper blade with wedge shaped neck
JP2000085542A (ja) * 1998-09-08 2000-03-28 Maruenu Kk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960651B1 (ko) * 2009-02-12 2010-06-07 (주) 에이피아이코리아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7698775B2 (en) * 2007-10-26 2010-04-20 Alberee Products, Inc.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body made of spring ste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5116A1 (en) 2002-09-11 2004-03-11 Tibor Siklosi Windshield wiper having a single-rail spline
KR100536012B1 (ko) 2005-02-16 2005-12-1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창유리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29161B1 (ko) * 2005-06-20 2006-09-27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16075B1 (ko) 2010-06-04 2011-02-17 김시용 러버 교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2996A2 (ko) 2013-03-28
WO2013042996A3 (ko) 2013-07-04
KR20130031646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3665B2 (en) Wiper blade
KR100690233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RU2469887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ее рычагом
JP6066969B2 (ja)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その結合方法
US8935825B2 (en) Wiper blade assembly
RU2268176C1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в сборе для автомобиля
US20130305475A1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US9714006B2 (en) Wiper blade
US9032585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body made of spring steel
US7698775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body made of spring steel
US7845044B2 (en) Vehicular wiper frame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20140000058A1 (en) Wiper blade
KR101318352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20160082929A1 (en) Wiper blade
KR101387134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JP6227819B1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20130305479A1 (en) Wiper blade
US10259428B2 (en) Wiper blade
KR101318353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KR101387135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9707932B2 (en) Wiper blade
KR101287466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JP5569404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