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283B1 -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283B1
KR101212283B1 KR1020120119299A KR20120119299A KR101212283B1 KR 101212283 B1 KR101212283 B1 KR 101212283B1 KR 1020120119299 A KR1020120119299 A KR 1020120119299A KR 20120119299 A KR20120119299 A KR 20120119299A KR 101212283 B1 KR101212283 B1 KR 10121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end cap
stopper
wiper
wiper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위영
윤성준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83B1/ko
Priority to US14/027,933 priority patent/US9266505B2/en
Priority to CN201310495349.2A priority patent/CN103770751A/zh
Priority to DE102013221440.5A priority patent/DE102013221440A1/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 와이퍼 립; 상기 와이퍼 립의 상단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고속 주행시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유리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에 조립되어 상기 와이퍼 립을 상기 유리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캡 고정공; 상기 엔드 캡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 고정공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엔드 캡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퍼 립에 형성된 결합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립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A flat blade type wiper apparatus enhancing end cap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빗물을 제거하여 그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의 편의 장치인 동시에 적극적인 안전장치(active safety device)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며 고무 탄성을 가지는 와이퍼 스트립과, 그 스트립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와이퍼 암에 그 와이퍼 스트립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로서 리테이너와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스트립과 리테이너 사이에 자동차의 유리의 곡률의 차이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과 자동차의 유리와의 접촉 오차를 수용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는 토너먼트(tournament)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토너먼트 구조는 와이퍼 스트립과 리테이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최근에 도로 여건이 고속주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자동차의 고성능화가 진행되면서,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즉, 160km 이상의 고속 주행 중에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양력이 작용하여 자동차의 유리와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와이핑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테이너 구조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차량의 고속 주행시 와이퍼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와이퍼가 소위 "플랫 블레이드"라 불리는 와이퍼 장치이다.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립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vertebra)가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그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장치의 일 예가 공개특허 제2011-700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장치는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에 와이퍼 립과 지지 부재(vertebra)가 결합된다. 그리고 와이퍼 립이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지지 부재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이탈하지 못하도록 양 단부에 엔드 캡이라 불리는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엔드 캡은 플랫 타입 와이퍼 장치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엔드 캡은 와이퍼 립을 직접적으로 클립핑(clipping)하는 구조이거나 와이퍼 립을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형태가 아니어서 와이퍼 립을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나 와이핑시 와이퍼 립이 길이 방향으로 슬립이 일어나서 닦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퍼 립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지지 부재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엔드 캡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시 와이퍼 립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와이퍼 립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 와이퍼 립;
상기 와이퍼 립의 상단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고속 주행시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유리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에 조립되어 상기 와이퍼 립을 상기 유리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캡 고정공;
상기 엔드 캡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 고정공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엔드 캡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퍼 립에 형성된 결합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립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스토퍼는 톱니 형태로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토퍼는 톱니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퍼 립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와이퍼 립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은 상기 제2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은 상기 와이퍼 립의 분리 또는 조립시 상기 엔드 캡을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작업용 커버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용 커버는 상기 엔드 캡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상기 제1스토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 쪽으로 상기 제1스토퍼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보조 스토퍼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는, 엔드 캡이 지지 부재와 와이퍼 립을 동시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와이퍼 립의 슬립이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2개의 엔드 캡 중 어느 하나는 지지 부재에만 고정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와이퍼 립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엔드 캡에 작업용 커버가 구비된 경우에는 엔드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퍼 립의 교체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캡이 적용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 부위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의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B"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에 설치된 작업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위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위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 캡이 적용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 부위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의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B" 부위에 배치된 엔드 캡에 설치된 작업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위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위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10, 이하 "와이퍼 장치"라 함)는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상기 와이퍼 장치(10)는 와이퍼 립(20)과,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와, 지지 부재(40)와, 엔드 캡(50, 51)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립(20)은 차량의 유리 표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부재이다. 상기 와이퍼 립(20)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립(20)은 상기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는 상기 와이퍼 립(20)을 지지 및 수용하는 부재이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는 종래의 토너먼트형 와이퍼 장치의 요크 부재와 레버 부재 및 스포일러가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는 상기 와이퍼 립(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부재이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의 상단부에는 스포일러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와이퍼 립(2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40)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상기 와이퍼 립(20)이 상기 유리 표면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 부재(40)의 중앙부에 배치된 커넥터 장치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 조립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납작한 판상의 부재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탄소강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탄성 계수가 커서 탄성 복원력이 양호한 성질이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와이퍼 립(20)을 상기 유리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캡 고정공(42)을 구비한다. 상기 캡 고정공(42)은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일단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캡 고정공(42)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양단부에 각각 1개씩 마련된다. 상기 캡 고정공(42)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 고정공(42)은 예컨대, 정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엔드 캡(50)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엔드 캡(50)은 상기 와이퍼 립(20)이 상기 지지 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엔드 캡(50)의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엔드 캡(50)은 제1스토퍼(52)과 제2스토퍼(55)와 보조 스토퍼(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토퍼(52)는 상기 엔드 캡(50)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52)는 상기 캡 고정공(42)에 결합되는 돌기이다. 상기 제1스토퍼(52)는 상기 지지 부재(40)와 상기 엔드 캡(50)을 상호 고정하여 상기 엔드 캡(50)이 상기 지지 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스토퍼(52)는 톱니 형태로 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스토퍼(52)의 단면 구조는 상기 지지 부재(40)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지지 부재(40)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52)는 상기 엔드 캡(50)이 상기 지지 부재(40)의 단부 쪽으로 멀어지는 것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상대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40)의 중앙부 쪽으로 접근하는 것은 약하게 규제한다. 상기 제1스토퍼(52)의 인근에는 보조 스토퍼(53)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 스토퍼(53)는 상기 제1스토퍼(52)가 파손되거나 상기 캡 고정공(42)에서 상기 제1스토퍼(52)가 이탈된 경우에 2차적으로 상기 엔드 캡(50)이 상기 지지 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스토퍼(53)의 단면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52)와 같이 톱니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제2스토퍼(55)는 상기 제1스토퍼(52)가 상기 캡 고정공(4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40)의 상면에 접촉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스토퍼(53)는 상기 제1스토퍼(5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스토퍼(53)의 단면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52)의 단면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보조 스토퍼(53)는 상기 지지 부재(40)의 길이 방향 상 상기 제1스토퍼(52)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40)의 중앙부 쪽으로 상기 제1스토퍼 인근에 배치된다.
상기 제2스토퍼(55)는 상기 엔드 캡(5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립(20)을 향해 돌출된 돌기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제2스토퍼(55)는 상기 와이퍼 립(20)에 형성된 와이퍼 립(22)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립(20)의 슬립을 방지한다. 상기 제2스토퍼(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립(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엔드 캡(50)의 내측벽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55)는 톱니 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스토퍼(55)의 단면 구조는 상기 와이퍼 립(20)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와이퍼 립(20)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스토퍼(55)의 단면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52)의 단면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엔드 캡(50, 51)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55)를 구비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51)은 작업용 커버(60)를 구비한다. 상기 엔드 작업용 커버(60)는 상기 와이퍼 립(20)의 분리 또는 조립시 상기 엔드 캡(51)을 상기 지지 부재(4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작업용 커버(60)는 상기 엔드 캡(51)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결합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용 커버(60)가 상기 엔드 캡(51)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측단부에 제2스토퍼(55)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와이퍼 립(20)의 교체시에 더욱 도움이 된다. 즉, 상기 와이퍼 립(20)을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측단부 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와이퍼 립(20)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와이퍼 장치(10)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와이퍼 장치(10)의 조립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와이퍼 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는 순서는 절대적으로 다음과 같이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다음 절차를 따른다.
먼저,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 상기 지지 부재(40)를 결합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 형성된 구멍 또는 홈부에 상기 지지 부재(40)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립(20)을 상기 스포일러 일체헝 레버(30)에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립(20)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에서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 쪽으로 밀어 넣어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엔드 캡(50)을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에 결합한다. 상기 엔드 캡(50)을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쪽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엔드 캡(50)에 마련된 제1스토퍼(52)는 상기 지지 부재(40)에 마련된 상기 캡 고정공(42)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55)는 상기 와이퍼 립(20)에 마련된 와이퍼 립(22)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 캡(51)의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에 결합한다.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에 결합되는 엔드 캡(5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55)가 구비되지 않고 제1스토퍼(52)와 보조 스토퍼(53)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에 결합되는 엔드 캡(51)은 상기 와이퍼 립(20)을 직접적으로 구속하지는 않는다. 상기 엔드 캡(51)의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지지 부재(40)의 중앙부에 커넥터 장치(70)를 결합한다. 그리고 그 커넥터 장치(70)를 매개로 와이퍼 암(미도시)에 상기 와이퍼 장치(10)를 조립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퍼 장치(1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엔드 캡(50)에 마련된 제1스토퍼(52)와 제2스토퍼(55)는 상기 지지 부재(40)와 상기 와이퍼 립(20)을 각각 고정함으로써 상기 엔드 캡(50, 5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40)와 상기 와이퍼 립(20)을 직접적으로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와이퍼 립(20)이 상기 지지 부재(40)에 대해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조립된 와이퍼 장치(10)에서 와이퍼 립(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에 설치되어 오랜 기간 상기 와이퍼 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 립(20)이 마모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와이퍼 립(2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와이퍼 장치(10)에 조립된 와이퍼 립(20)을 분리하여야 한다. 상기 와이퍼 립(20)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엔드 캡(51)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커버(60)를 스윙하여 위로 들어올린다. 상기 작업용 커버(60)가 열린 상태는 도 8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립(20)을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와이퍼 립(20)은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 쪽에 결합된 엔드 캡(50)의 제2스토퍼(5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스토퍼(55) 고정력을 극복할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상기 와이퍼 립(20)이 상기 제2스토퍼(55)를 넘어서도록 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와이퍼 립(20)을 잡아당겨서 와이퍼 립(20)을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새로운 와이퍼 립을 상기 작업용 커버(60)의 열린 공간을 통해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 결합한다. 새로운 와이퍼 립(20)이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30)에 결합된 후,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단부 쪽에서 상기 제2스토퍼(55)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40)의 타단부 쪽에 결합된 엔드 캡의 작업용 커버(60)를 스윙하여 폐쇄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와이퍼 장치(10)의 와이퍼 립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엔드 캡의 구조가 개선되어 와이퍼 립과 지지 부재를 동시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립이 지지 부재에 대해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와이퍼 장치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상기 엔드 캡의 조립으로 인해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퍼 립을 동시에 고정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해진다. 한편, 와이퍼 립의 마모나 손상시 그 와이퍼 립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엔드 캡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와이퍼 립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용 커버가 구비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작업용 커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엔드 캡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한 상태에서 와이퍼 립을 교체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20 : 와이퍼 립
22 : 결합 홈부 30 :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 40 : 지지 부재 42 : 캡 고정공
50, 51 : 엔드 캡 52 : 제1스토퍼
53 : 보조 스토퍼 55 : 제2스토퍼
60 : 작업용 커버 70 : 커넥터 장치

Claims (7)

  1.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 와이퍼 립;
    상기 와이퍼 립의 상단부를 수용하며 차량의 고속 주행시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유리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
    상기 스포일러 일체형 레버에 조립되어 상기 와이퍼 립을 상기 유리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퍼 립이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캡 고정공;
    상기 엔드 캡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 고정공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엔드 캡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퍼 립에 형성된 결합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립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톱니 형태로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톱니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퍼 립의 길이 방향 상 단부 쪽의 경사가 상기 와이퍼 립의 중앙부 쪽의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은 상기 제2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 캡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 또는 조립시 상기 엔드 캡을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작업용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커버는 상기 엔드 캡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상 상기 제1스토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 쪽으로 상기 제1스토퍼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보조 스토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KR1020120119299A 2012-10-25 2012-10-25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KR10121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99A KR101212283B1 (ko) 2012-10-25 2012-10-25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US14/027,933 US9266505B2 (en) 2012-10-25 2013-09-16 Flat-blade type wiper apparatus having improved end cap structure
CN201310495349.2A CN103770751A (zh) 2012-10-25 2013-10-21 具有改进的端盖结构的平叶片型雨刮装置
DE102013221440.5A DE102013221440A1 (de) 2012-10-25 2013-10-22 Scheibenwischer vom Typ eines Flachwischerblatts mit verbesserterEndkappen-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99A KR101212283B1 (ko) 2012-10-25 2012-10-25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283B1 true KR101212283B1 (ko) 2012-12-13

Family

ID=4790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99A KR101212283B1 (ko) 2012-10-25 2012-10-25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66505B2 (ko)
KR (1) KR101212283B1 (ko)
CN (1) CN103770751A (ko)
DE (1) DE1020132214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910A1 (en) * 2013-12-03 2015-06-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retaining wiping element of wiper assembly
CN104925027A (zh) * 2014-03-21 2015-09-23 Dyauto株式会社 具有改良可装配性的车辆雨刮器刮水片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1748B1 (fr) * 2016-05-31 2018-06-15 Valeo Systemes D'essuyage Embout d'extremite d'un balai d'essuyage et ensemble d'essuyage correspondant
JP6620070B2 (ja) * 2016-06-23 2019-12-11 株式会社松本製作所 ワイパブレード
JP6968958B2 (ja) * 2016-11-21 2021-11-24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CN214492819U (zh) * 2020-12-30 2021-10-26 丹阳镇威汽配有限公司 雨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908A (ja) 2004-11-09 2007-12-06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JP2009280201A (ja)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ワイパブレード
KR101166494B1 (ko) 2012-04-06 2012-07-20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3125B1 (fr) 1999-05-06 2001-08-17 D E F I S Suspension pour un sommier du type multi-elements
DE19951363A1 (de) 1999-10-26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EP1514752B1 (en) 2003-09-11 2007-06-20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arm
US8959703B2 (en) * 2004-06-18 2015-02-24 Mitsuba Corporation Wiper blade
DE202004012109U1 (de) 2004-08-03 2004-09-30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Scheibenwischerblatt mit Endkappe
EP1683695B1 (en) 2005-01-25 2008-02-2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602005009653D1 (de) * 2005-03-02 2008-10-23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06059077A1 (de) 2006-12-14 2008-06-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8010564B4 (de) 2007-11-30 2020-08-27 Federal-Mogul S.A. Wischerblatt für ein Fahrzeug
US7540061B1 (en) * 2008-02-20 2009-06-02 Shih-Hsien Huang Array combinational type of windshield wiper
ES2365882T3 (es) * 2008-03-20 2011-10-11 Federal-Mogul S.A.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DE102008001152B4 (de) 2008-04-14 2018-02-1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EP2159115B1 (en) 2008-08-26 2013-02-20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08049273A1 (de) 2008-09-26 2010-04-01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sowie Wischblatt/Wischarmverbindung
KR100988456B1 (ko) 2008-11-26 2010-10-20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20110031788A (ko) 2009-09-21 2011-03-29 (주)유엔아이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DE202011003000U1 (de) 2011-02-22 2011-04-2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nd Endkappe
BR112013026239A2 (pt) 2011-04-13 2019-09-24 Federal-Mogul S.A. dispositivo limpador de para-brisas
KR101839325B1 (ko) 2011-04-21 2018-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908A (ja) 2004-11-09 2007-12-06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JP2009280201A (ja)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ワイパブレード
KR101166494B1 (ko) 2012-04-06 2012-07-20 유병갑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910A1 (en) * 2013-12-03 2015-06-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retaining wiping element of wiper assembly
US9744945B2 (en) 2013-12-03 2017-08-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End cap for retaining wiping element of wiper assembly
CN104925027A (zh) * 2014-03-21 2015-09-23 Dyauto株式会社 具有改良可装配性的车辆雨刮器刮水片设备
CN104925027B (zh) * 2014-03-21 2017-07-28 Dy Auto株式会社 具有改良可装配性的车辆雨刮器刮水片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1440A1 (de) 2014-04-30
CN103770751A (zh) 2014-05-07
US9266505B2 (en) 2016-02-23
US20140115810A1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83B1 (ko)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EP2468588B1 (en) Wiper blade assembly structure
JP5638148B2 (ja) 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結合するための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装置の結合装置および方法
US20120180244A1 (e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US20110047742A1 (en) Automobile wiper-blade
KR100868798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20110040262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33643B1 (ko) 러버 교체가 가능한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 클립
US20110047740A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105339B1 (ko)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KR10099912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738260B2 (en) Wiper blade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KR100840000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1729145B1 (ko) 압력 분산형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20461B1 (ko)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용 커넥터 장치
KR20080094204A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888013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JP3124859U (ja) ワイパー
KR100680817B1 (ko) 와이퍼 연결장치
KR20100012340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38760B1 (ko)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KR100893194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US8910341B2 (en) Wiper device having improved vibration prevention of wiper strip
KR100932744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200417311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암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