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177B1 - 차량용 리어 와이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177B1
KR100681177B1 KR1020050119573A KR20050119573A KR100681177B1 KR 100681177 B1 KR100681177 B1 KR 100681177B1 KR 1020050119573 A KR1020050119573 A KR 1020050119573A KR 20050119573 A KR20050119573 A KR 20050119573A KR 100681177 B1 KR100681177 B1 KR 10068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arm
coupling
groov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와이퍼 모터에 결합되는 제 1 와이퍼 암과, 양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와이퍼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와이퍼 암의 타단 및 상기 제 2 와이퍼 암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 또는 장착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된 제 2 와이퍼 암이 제 1 와이퍼 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제공한다.
리어 와이퍼, 와이퍼 암, 와이퍼 블레이드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와이퍼{Rear wiper for vehicle}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 중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c는 도 1a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 중 와이퍼 암의 중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리어 와이퍼 110 : 제 1 와이퍼 암
112 : 관통공 114 : 결합홈
116 : 가이드 돌기 118 : 고정홀
120 : 제 2 와이퍼 암 122 : 결합구
124 : 장착홈 126 : 가이드 홈
128 : 고정 돌기 130 : 와이퍼 블레이드
132 : 장착구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차량용 리어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는 차량의 앞 창유리에 묻은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가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뒤 창유리, 측 창유리, 사이드 미러 및 전조등에도 와이퍼가 장착된다.
첨부한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 중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 중 와이퍼 암의 중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는, 와이퍼 모터(10)와, 상기 와이퍼 모터(1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와이퍼 암(20)과, 상기 와이퍼 암(20)에 장착되어 차량의 뒤 창유리(40)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 암(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모터(10)에 결합되는 제 1 와이퍼 암(22)과, 일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22)에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장착되는 제 2 와이퍼 암(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와이퍼 암(22)과 제 2 와이퍼 암(24)은 핀(26)에 의해 회동 가능하 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가 뒤 창유리(40)에 밀착되도록 그 사이에는 스프링(28)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2 와이퍼 암(24)의 타단은 후술할 와이퍼 블레이드(30)의 결합구(38)가 장착 가능하도록 고리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중단부에는 소정의 삽입구(32)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구(32)에는 일단에 걸림돌기(42)가 형성된 클립(40)이 힌지축(3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삽입구(32)의 타단에는 상기 클립(40)의 걸림돌기(42)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구(32)의 타단 내부에는 고리형상으로 만곡진 상기 제 2 와이퍼 암(22)의 타단이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구(3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는 상기 와이퍼 암, 즉 제 2 와이퍼 암(24)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 장착 시, 고리형상으로 만곡진 제 2 와이퍼 암(24)의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30)의 결합구(38)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와이퍼 블레이드(30)의 클립(40)이 회동하여 확실히 체결하는 구조를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리어 와이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와이퍼 암(24)의 타단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의 결합구(38)를 삽입시키고, 클립(40)을 회동시켜 결합시키는 바, 그 장착과정이 복잡하고 탈거 또한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자동 세차 시 차량용 리어 와이퍼에 세차장비의 헝겊 브러시가 끼여 와이퍼 암(20)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30)가 파손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세차 전에는 와이퍼 블레이드(30)를 탈거하는데, 자동 세차 시마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과정으로 와이퍼 블레이드(30)를 탈거해야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된 제 2 와이퍼 암이 제 1 와이퍼 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는, 일단이 와이퍼 모터에 결합되는 제 1 와이퍼 암과, 양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와이퍼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와이퍼 암의 타단 및 상기 제 2 와이퍼 암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 또는 장착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 (100)는, 일단이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결합되는 제 1 와이퍼 암(110)과, 양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 및 와이퍼 블레이드(130)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와이퍼 암(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은 일단이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와이퍼 모터 구동 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의 일단에는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이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은 그 종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14)은 그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지되, 서로 대향하는 방향,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4)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상기 결합홈(114)의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홀(118)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홀(118)은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와이퍼(1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은 일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에 결합되어 와이퍼 모터 구동 시 제 1 와이퍼 암(110)과 함께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상 기 제 2 와이퍼 암(120)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의 결합홈(114)에 결합되는 결합구(122)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30)가 장착되는 장착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22)는 상기 결합홈(114)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제 2 와이퍼 암(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6)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26)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22)의 외측 선단, 즉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의 일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26a)과, 상기 제 1 가이드 홈(126a)의 내측 선단에서 결합구(122)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126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26)은 상기 가이드 돌기(116)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122)의 내측 외주면 중 상기 고정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홀(118)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12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128)는 가압 시 상기 결합구(122)의 중심방향으로 함몰 가능하게 형성되어지되,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바, 가압하던 외력이 사라지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128)의 정확한 형성위치는 상기 결합구(122)가 상기 결합홈(114)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118)과 대응되는 위치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116)가 결합구(1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126b)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3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구(132)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의 장착홈(124)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그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30)의 장착구(1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는 기 출원된 다른 종류의 와이퍼에도 적용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 와이퍼 암(110)과 제 2 와이퍼 암(1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은 와이퍼 모터 구동 시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의 타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114)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의 결합구(122)가 상기 결합홈(114)에 삽입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과 제 2 와이퍼 암(120)의 결합 초기 상태, 즉 상기 결합홈(114)에 상기 결합구(122)의 일부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6)는 상기 가이드 홈(126) 중 제 1 가이드 홈(126a)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을 제 1 와이퍼 암(110) 측으로 더욱 삽입시키면, 상기 가이드 돌기(116)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126a)의 내측 끝까지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122)는 상기 결합홈(114)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 후,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을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 돌기(116)는 상기 제 2 가이드 홈(126b)의 단부까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128)는 상기 고정홀(118)에 삽입되는 바,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와이퍼 암(110)으로부터 상기 제 2 와이퍼 암(120)을 분리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와이퍼의 구성 및 장착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차량용 리어 와이퍼는 상기 제 1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된 제 2 와이퍼 암에 각각 결합홈과 결합구가 형성되고, 그 탈착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바, 그 탈착이 용이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와이퍼 암과 제 2 와이퍼 암에 고정홀과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그 탈착은 용이하되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차량용 리어 와이퍼에 있어서,
    일단이 와이퍼 모터에 결합되는 제 1 와이퍼 암과;
    양단이 상기 제 1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와이퍼 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와이퍼 암의 타단 및 상기 제 2 와이퍼 암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 또는 결합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 2 와이퍼 암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는 결합구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또는 장착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와이퍼.
KR1020050119573A 2005-12-08 2005-12-08 차량용 리어 와이퍼 KR10068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573A KR100681177B1 (ko) 2005-12-08 2005-12-08 차량용 리어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573A KR100681177B1 (ko) 2005-12-08 2005-12-08 차량용 리어 와이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177B1 true KR100681177B1 (ko) 2007-02-09

Family

ID=3810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573A KR100681177B1 (ko) 2005-12-08 2005-12-08 차량용 리어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81A (ko) 2018-07-31 202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가 가변되는 차량의 리어 와이퍼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81A (ko) 2018-07-31 202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가 가변되는 차량의 리어 와이퍼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582B1 (ko) 와이퍼 장치
KR100985317B1 (ko) 와이퍼암과 와이퍼블레이드 연결용 연결 장치
KR100586056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JP5525049B2 (ja) 自動車ワイパー用マルチアダプター
JP4972162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JP2017515737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JP4038798B2 (ja) 車両用ワイパ
KR1011665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1245363B1 (ko) 오조립 방지 구조가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KR100681177B1 (ko) 차량용 리어 와이퍼
US10953854B2 (en)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KR200442554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KR20043787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JPH0121451Y2 (ko)
KR100692068B1 (ko) 리어 와이퍼 암의 암 헤드 캡 이탈 방지구조
KR100715304B1 (ko) 와이퍼 연결장치
KR100680803B1 (ko) 와이퍼 암 연결장치
KR100769710B1 (ko) 와이퍼 커넥터
KR101189710B1 (ko) 차량용 와이퍼의 커넥터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0586054B1 (ko)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0384528B1 (ko)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
KR200374367Y1 (ko) 자동차 램프용 전구 고정 장치
KR100680800B1 (ko) 와이퍼 암 연결장치
JP4018072B2 (ja) ワイパ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