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177B1 -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177B1
KR100799177B1 KR1020067002221A KR20067002221A KR100799177B1 KR 100799177 B1 KR100799177 B1 KR 100799177B1 KR 1020067002221 A KR1020067002221 A KR 1020067002221A KR 20067002221 A KR20067002221 A KR 20067002221A KR 100799177 B1 KR100799177 B1 KR 10079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ody
rai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driv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532A (ko
Inventor
산드라 케테르
미카엘 비케르트
마르틴 보덴스타이너
헨닝 기벨
Original Assignee
조. 빈클호퍼 & 쉐네 지엠비에치 & 컴퍼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 빈클호퍼 & 쉐네 지엠비에치 & 컴퍼니. 케이지 filed Critical 조. 빈클호퍼 & 쉐네 지엠비에치 & 컴퍼니.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06007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2Chain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구동수단에 사용되는 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바디(carrier body)와 유동 구동수단에 눌려질 수 있는 가이드 트랙으로 구성된 내연기관의 타이밍 체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레일은 가이드 트랙과 독립된 설치채널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는 적어도 제1 그리고 적어도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데, 캐리어 바디의 사이드 파트는 영구히 서로 결합되어 설치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 구동수단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와 같은 레일로 구성되는 타이밍 구동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 구동수단은 가이드 트랙과 접촉하고 있고 내연기관과 상호작용하면서 동작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설치채널을 통과하여 뻗어나간다.
레일, 캐리어 바디, 가이드 트랙, 설치채널

Description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TENSION OR GUIDE RAIL WITH AN INSTALLATION CHANNEL,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TIMING DRIVE}
본 발명은 유동 구동수단(flexible driving means)에 사용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레일은 캐리어 바디(carrier body)와 유동 구동수단을 누를 수 있는 가이드 트랙(guide track)으로 구성되며, 특히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의 타이밍 체인(timing chain)에 사용된다.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이하 "레일"로 약칭함)은 내연기관, 특히 타이밍 구동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레일의 강도 뿐만아니라 타이밍 구동의 유동 구동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미끄러짐 특성과 가이드 특성이 상당히 요구된다. 그러므로, 격자구조(lattice structure)가 주로 사용된다. 격자구조에서는 격자구조의 받침대(strut)에 의해 레일의 강도가 개선된다. 이러한 형태의 캐리어 바디는 주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die-cast)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레일에서 레일의 가이드 섹션은 요구특성에 따라서 캐리어 바디에 사용되는 것과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다. 유동 구동수단과 접촉하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는 상기와 같은 가이드 섹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드웨이 라이너(slideway liner)가 캐리어 바디(carrier body)에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된다.
자동차 산업 분야의 현저한 경쟁 상황으로 인하여 강력한 기술 혁신이 요구된다. 이러한 강력한 기술 혁신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내연기관 분야도 혁신적 개발이 요구되며 더욱 짧은 개발 사이클이 요구되고 있다. 오늘날 보조부품과 상호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양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내연기관은 더욱 복잡해졌다. 이로 인해 현저히 많아지는 기능요소들과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엔진의 디자인이 더욱 복잡하게 되고 이러한 부품들은 더욱 작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레일은 많이 있으나, 디자인을 개선하고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기울여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레일은 대량생산되는 제품이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통상적으로 대량생산이 이루어진다는 점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디자인을 더욱 단순하고 경제적인 컨셉으로 하면서, 엔진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래서 조립 비용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인용된 형태의 인장기능 및/또는 가이드 기능을 갖춘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은 내연기관에서 사용되기 위한 높은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엔진 설치공간이 줄어든 오늘날의 엔진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복잡성에도 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트랙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설치채널로 구성된 인장기능 및/또는 가이드 기능을 갖춘 레일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독일특허 37 06 136 C1에서 체인을 모든 방향에서 둘러싸는 채널을 포함하는 레일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캐리어(carrier)는 두 개의 결합된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에서 채널은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체인을 둘러싸고 체인 벽을 형성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독일특허 100 14 325 A1에 나타난 레일은 구동수단과 가이드 트랙 사이를 매끄럽게 하여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베이스 바디(base body)에 설치되어 있는 윤활유 공급 채널을 이용하여 레일의 가이드 트랙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실시예에서는 유동 구동수단의 본래의 목적인 가이드 기능과/또는 인장기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설치채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일의 기능이나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엔진 구성요소들을 배열하고 가이드하거나 조절하기 위하여 내연기관 내에 추가적인 설치공간이 제공된다. 여기서 엔진 구성요소는 레일의 주요목적과 무관하다. 설치채널은 케이블 장치(cable harness) 또는 센서(sensor)나 액츄에이터(actuator)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 유체 파이프나 유연하거나 유연하지 않은 동작 수단과 같은 공급라인을 구현하는 것 또는 다른 움직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구현하는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설치채널은 주로 기능 엔진 구성요소를 레일과 독립적으로 장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설치채널은 레일 내부에서 레일을 이용하여 유동 구동수단을 가이드하는 외에 추가적인 엔진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엔진 구성요소들은 레일과 기능면에서 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트랙이나 유동 구동수단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유용한 변형예에서 캐리어 바디는 적어도 제1 사이드 파트와 적어도 제2 사이드 파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이드 파트는 서로 영구히 결합되어 있고 결합되어 설치채널을 구성한다. 이러한 레일의 실시예는 사출성형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슬라이드 없는 단순한 주형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의도하지 않게 사이드 파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의 결합에 의한 결합면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트랙에 수직하게 그리고 유동 구동수단의 운행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캐리어 바디를 형성하는 사이드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기술을 사용하여 섬유강화 플라스틱, 통상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등 다른 재료나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용접, 특히 초음파 용접 또는 래칭(latching) 구성요소를 이용한 크리핑(clipping)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언더컷이 없는(undercut-free) 결합면이 필요하고 상기 래칭 구성요소는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에 추가되거나 통합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래서 설치채널도 캐리어 바디를 따라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설치채널이 외주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에워싸인 형태로 밀봉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채널이 에워싸인 밀봉형태는, 설치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 구성요소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특히 원형의 단면형태와 관련하여 설치채널을 견고하게 하고 그래서 레일의 강도를 좋게 한다. 견고한 디자인에서 설치채널의 폭은 캐리어 바디 폭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레일을 쉽게 제작하기 위해, 설치채널의 벽면은 캐리어 바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설치채널 내부 벽면의 추가적인 클래딩(cladding)이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치채널이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채널의 이러한 디자인은 엔진 구성요소가 방해받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개방부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트랙에서 멀리 떨어지게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는 레일의 반대편 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채널은 캐리어 바디의 길이 방향, 즉 본질적으로 구동수단이 운행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설치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바디에 있는 격자 받침대 영역에 놓일 수 있다. 설치채널의 길이는 레일 길이의 50%,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설치채널은 캐리어 바디의 곡선형태 위에 놓여지고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트랙에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변형예에 의하면 돌출된 연결부(connection piece)로 구성된 제1 개방부와/또는 제2 개방부, 또는 연결부 수용공간이 제공된다. 이러한 버전의 설치채널에 의하면 이 설치채널에 배치된 선행하거나 뒤따르는 엔진 구성요소의 설치 및 가이드 유닛 연결이 가능해 진다.
설치채널 위의 끝부분 개방부 쪽 표면에 배열하는 것과는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끝부분이 바깥쪽을 가리키며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의 측면 표면에 위치할 수 있고 연결부(connection-piece)를 설치,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설치채널의 끝부분은 양측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일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웨이 라이너(slideway liner)를 포함하는 레일이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캐리어 바디에 결합되고 가이드 트랙을 형성한다.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캐리어 바디 및 캐리어 바디의 재료와 무관하게 가이드 트랙의 가이드 특성 및 미끄러짐 특성을 좋게 한다.
슬라이드웨이 라이너가 캐리어 바디에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위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위의 슬라이드웨이 라이너의 사출성형은 통상적으로 투 컴퍼넌트(two-component) 성형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질적으로 가이드 트랙에 수직하는 결합면을 가지는 캐리어 바디의 사이드 파트에 있어, 하나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위에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를 연장선상에서 사출성형하는 것은, 만일 슬라이드웨이 라이너가 가이드 트랙의 전체를 따라 사출성형되도록 하려면 적어도 두 개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위에 캐리어 바디의 균일하지 않은 분포가 요구된다.
캐리어 바디와 슬라이드웨이 라이너 사이의 단순한 결합은 슬라이드웨이 라이너가 캐리어 바디에 포지티브 락킹(positive locking) 방법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따로 떨어진 슬라이드웨이 라이너가 추후에 캐리어 바디에 결합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방법은 조립되고 테스트를 마친 캐리어 바디를 나중에 설치하는 것과 별도로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를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동 구동수단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레일로 구성되는 타이밍 구동을 구비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유동 구동수단은 가이드 트랙과 접촉, 밀착하고 있고 내연기관과 상호작용하면서 동작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적어도 그 일부분이 설치채널을 통과하여 뻗어나간다. 특히 많은 보조 장치와 좁은 설치공간을 가진 복잡한 엔진 컨셉에서 이러한 내연기관은 디자인을 단순화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내연기관과 상호작용하면서 동작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의 가능성은 많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 구동수단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가이드 트랙과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유동 구동수단에 사용되는 레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연기관의 타이밍 체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제1 그리고 적어도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가 제조되고, 캐리어 바디의 사이드 파트는 서로 결합되어 가이드 트랙의 동작과 독립된 설치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레일을 단순하게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러한 디자인에 의하면 특히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한정된 설치공간과 관련하여 상호작용하는 독립적인 엔진 구성요소들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레일의 측면 조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의 결합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의 외부 측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레일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조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가이드 트랙(3)과 설치채널(4)을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2)로 구성된다. 캐리어 바디(2)에는 가이드 트랙(3) 및 하위 섹션(lower section)(6)과 함께 상위 섹션(upper section)(5)이 있다. 이들은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측면의 받침대(7)에 의해 결합된다. 상위 섹션(5), 하위 섹션(6) 및 측면의 받침대(7)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서 개방된 부분(open section)은 분할 벽(partition wall)(8)에 의해 막히게 된다. 베어링 홀(bearig hole)(9)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일(1)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다. 설치채널(4)은 상위 섹션(5)과 하위 섹션(6)을 연결하는 캐리어 바디(2)의 제1 측면 섹션(first face-side section)(11)에 있는 제1 개방부(first opening)(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캐리어 바디(2)의 반대편 끝부분에서 상위 섹션(5)과 하위 섹션(6)을 연결 하는 제2 측면 섹션(second face-side section)(13)에 있는 제2 개방부(second opening)(12)까지 뻗어나간다. 제1 측면 섹션(11)과 제2 측면 섹션(13)은 상위 섹션(5)에 명백하게 더 짧은 하위 섹션(6)을 결합시키기 위해 캐리어 바디(2)의 가이드 트랙(3)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결합되어 있다. 설치채널(4)은 주로 캐리어 바디(2)의 격자 구조를 통과하여 뻗어나간다. 여기서 설치채널(4)의 벽면은 몇몇 경우에 분할 벽(8)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캐리어 바디(2)의 상위 섹션(5)에 있는 가이드 트랙(3)에는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가이드(14)가 있다. 이 가이드(14)는 가이드 트랙(3)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고 캐리어 바디(2)와 함께 형성되고 유동 구동수단의 사이드 가이드(side guide)를 형성한다.
도 2는 결합 면(16) 측에서 본 제1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는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면(16)에서 설치채널(4)은 반원 형태의 오목한 모양으로 베어링 홀(9) 아래에 설치된다. 설치채널(4)은 길이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제1 개방부(10)와 제2 개방부(12)의 사이에 있으며 설치채널(4)의 내부 벽면(17)을 형성한다. 제1 캐리어 바디의 사이드 파트(15)의 상위 섹션에서 사이드 가이드(14)와 가이드 트랙(3)의 일부분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1)의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8)를 도시한다.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는 외부측면은 도 2에 도시된 제1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에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일(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1)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 바디(2)와 가이드 트랙(3)의 형태와 관련하여, 이러한 레일(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이것이 캐리어 바디(2)와 가이드 트랙(3)에 대한 상기 설명을 참조하고, 이하에서 앞서 설명한 디자인과의 차이점만 설명되는 이유이다. 이러한 레일(1)의 설치채널(4)은 제1 측면 섹션(11)에 있는 가이드 트랙(3)에 바로 인접한 제1 개방부(10)로부터 캐리어 바디(2)를 통하여 제2 베어링 홀(9) 근처에 있는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의 외부 측면(19)에서 돌출된 연결부(20)까지 뻗어나간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1)의 캐리어 바디(2)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리어 바디(2)의 상위 섹션(5)은 본 실시예에서 휘어져 있는 평평한 가이드 트랙(3)을 형성한다. 여기서, 캐리어 바디(2)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작업 프로세스,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싱글 파트로 제조되고, 여기서 설치채널(4)은 사출성형방법의 프로세스 동안 각각의 사출성형 툴에 도입된 슬라이드에 의해 직접 형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1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와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8)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제2 작업단계에서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15와 18의 결합면(16)을 단순히 접착시키는 것 이외에 용접, 특히 초음파 용접과 예를 들어 래칭 구성요소와 같은 포지티브 락킹(positive locking) 구성요소를 사용한 결합이 가능하다.
가이드 트랙(3)의 미끄러짐 특성과 가이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캐리어 바디(2)에는 슬라이드웨이 라이너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완성된 캐리어 바디(2)에 추후에 결합되는 것과 별도로, 투 컴퍼넌트 사출 기술(two-componenet injec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15와 18을 결합하기 전에) 상기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 18)에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2)가 두 부분으로 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결합된 자국과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 바디(2)의 상위 섹션(5) 영역에 있는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 15와 18은, 예를 들어 가이드 트랙(3)이 하나의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 18)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같이, 다르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은 내연기관등에 적용되므로써 자동차산업등에서 엔진의 디자인을 더욱 단순하고 경제적인 컨셉으로 하면서, 엔진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비용도 줄일 수 있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9)

  1. 유동 구동수단 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캐리어 바디(2)와 가이드 트랙(3)을 구비하고, 특히 내연기관의 타이밍 체인으로 사용되는 유동 구동수단을 위한 레일(1)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가이드 트랙(3)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설치채널(4)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설치채널(4)은 외주 표면이 밀봉형성되어 있고, 또한 설치채널(4)의 벽(17)은 캐리어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2)는 제1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 및 제2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8)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 사이드 파트(15, 18)는 서로 결합되어 설치채널(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채널(4)은 제1 개방부(10)와 제2 개방부(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10)와 제2 개방부(12)는 상기 레일(1)의 각각 반대편의 측 면 끝부분(11, 1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10)와 제2 개방부(12)는 돌출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돌출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캐리어 바디(2)에 결합되고 가이드 트랙(3)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웨이 라이너는 캐리어 바디(2)에 포지티브 락킹(positive locking)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1).
  9. 유동 구동수단과 청구항 1에 의한 레일(1)로 구성되고 타이밍 구동수단을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유동 구동수단은 가이드 트랙(3)과 밀착되고, 내연기관과 상호 동작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적어도 일부분이 설치채널(4)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KR1020067002221A 2004-02-04 2005-01-21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KR100799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01679U DE202004001679U1 (de) 2004-02-04 2004-02-04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Installationskanal
DE202004001679.6 200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32A KR20060070532A (ko) 2006-06-23
KR100799177B1 true KR100799177B1 (ko) 2008-01-29

Family

ID=3467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221A KR100799177B1 (ko) 2004-02-04 2005-01-21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13837A1 (ko)
EP (1) EP1561968B1 (ko)
JP (1) JP4464962B2 (ko)
KR (1) KR100799177B1 (ko)
CN (1) CN100476247C (ko)
DE (2) DE202004001679U1 (ko)
WO (1) WO2005075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9615A1 (de) * 2007-04-02 2008-10-09 Schaeffler Kg Führungs- oder spannschiene in einem zugmitteltrieb
CN101614143B (zh) * 2009-07-29 2012-02-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正时链轮罩盖
DE102011081225A1 (de) 2011-08-19 2013-02-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ührungs- oder Spannschiene mit wechselseitig offenem Kanal sowie Zugmitteltrieb
DE102011081226A1 (de) * 2011-08-19 2013-02-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ührungs- oder Spannschiene für Zugmitteltriebe und Zugmitteltrieb
DE102011081224A1 (de) 2011-08-19 2013-02-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einem Tragkörper, der einen Kanal mit einem Schlauch aufweist und Zugmitteltrieb
DE102011055204A1 (de) * 2011-11-10 2013-05-16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Spritzgegossenes Taschenkettenrad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JP5853808B2 (ja) * 2012-03-26 2016-02-09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タイミングチェーンガイド装置
DE102013201334A1 (de) * 2013-01-29 2014-07-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schiene mit einem Tragkörper aus einer AlSi-Legierung
JP5848277B2 (ja) * 2013-03-12 2016-0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DE102013004456B3 (de) * 2013-03-14 2014-09-18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schiene mit federndem Aufdrückbereich
JP6108607B2 (ja) * 2013-04-19 2017-04-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DE102014014720A1 (de) * 2014-10-02 2016-04-07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Durchbruch
CN107407379B (zh) 2014-10-02 2019-07-16 伊威斯发动机系统有限责任两合公司 带有多个滑动元件的链传动机构
DE102015008877A1 (de) 2015-07-08 2016-08-0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Modulare Gleit- oder Spannschiene
DE102014014719A1 (de) * 2014-10-02 2016-04-07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einem durchgehenden zurückgezogenen Gleitbelagkörper
CN105715302A (zh) * 2016-03-11 2016-06-29 廖仁耀 一种螺旋体产生流体动力方法及装置
DE102017119821A1 (de) 2017-08-29 2019-02-28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 oder Führungsschiene mit Kanal
JP7260749B2 (ja) * 2019-02-12 2023-04-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1199C1 (de) 1997-05-21 1998-11-19 Daimler Benz Ag Spannschiene
JPH1130129A (ja) * 1997-07-07 1999-02-02 Suzuki Motor Corp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カムチェーンガイド
US5868638A (en) 1995-11-10 1999-02-09 Tsubakimoto Chain Co. Hydraulically damped tensioner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chai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6136C1 (de) 1987-02-26 1988-09-15 Porsc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spanners
DE3708136C1 (de) 1987-03-13 1988-03-03 Heraeus Sepatech Zentrifuge
DE10014325B4 (de) 2000-03-23 2005-02-24 Joh. Winklhofer & Söhne GmbH und Co KG Spann- bzw. Führungsschiene für Endlostreibelemente
JP3516940B2 (ja) * 2001-10-23 2004-04-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プラスチック製可動ガイド
US6913552B2 (en) * 2002-01-23 2005-07-05 Cloyes Gear And Products, Inc. Snap-fit chain guide with saw-tooth fixing fe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638A (en) 1995-11-10 1999-02-09 Tsubakimoto Chain Co. Hydraulically damped tensioner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chain
DE19721199C1 (de) 1997-05-21 1998-11-19 Daimler Benz Ag Spannschiene
JPH1130129A (ja) * 1997-07-07 1999-02-02 Suzuki Motor Corp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カムチェーン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04001679U1 (de) 2005-06-16
EP1561968B1 (de) 2007-11-14
DE502004005488D1 (de) 2007-12-27
JP4464962B2 (ja) 2010-05-19
JP2006527824A (ja) 2006-12-07
WO2005075854A1 (de) 2005-08-18
EP1561968A1 (de) 2005-08-10
US20080113837A1 (en) 2008-05-15
CN100476247C (zh) 2009-04-08
KR20060070532A (ko) 2006-06-23
CN1820154A (zh)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177B1 (ko)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EP1267097B1 (en) Sandwich-molded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JP3845501B2 (ja)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テンショナアーム
US6722660B2 (en) Molded gasket
US2014025648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ensioning or guide rail with a vibration absorber
US9677647B2 (en) Tensioning or guide rail having a continuous recessed sliding body
US7360519B2 (en) Engine intake manifold assembly
EP1471285A1 (en) Two-shot unified chain tensioner arm or guide
KR19990071745A (ko) 보조부를 갖춘 전동 체인의 체인 링크
JPH09324839A (ja) チェーン駆動装置用テンション又はガイドレール
CN104736892A (zh) 具有被挤出的滑动衬片体的张紧或者导向轨
US7252609B2 (en) Lever for transmission device
US8870130B2 (en) Device for guiding lines, hoses, or the like
KR20080027854A (ko) 전동 장치용 가이드
EP1306580B1 (en) Plastic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FR2736123A1 (fr) Rail de guidage, notamment rail tendeur pour l'entrainement par arbre a cames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716767A1 (fr) Boîtier recevant au moins une plaque de circuit imprimé.
US20230059305A1 (en) Sliding guide shoe for an elev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liding guide shoe
KR101999649B1 (ko) 유로 개폐 탄성체가 설치된 엔드 씰을 갖는 리니어 가이드
US7473197B2 (en) Tensioning rail applied by injection molding
JP2003247615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アームおよびチェーンガイド、これらの成形法ならびに成形金型
JPH09504639A (ja) 密閉ケーシングを有する例えばリレー等の電気機械式構成要素
US8814259B2 (en) Frame for open roof construction
JP4267247B2 (ja) 高負荷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高負荷伝動ベルト
JP4688304B2 (ja) チエンガイ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