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00B1 -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00B1
KR100796900B1 KR1020060034783A KR20060034783A KR100796900B1 KR 100796900 B1 KR100796900 B1 KR 100796900B1 KR 1020060034783 A KR1020060034783 A KR 1020060034783A KR 20060034783 A KR20060034783 A KR 20060034783A KR 100796900 B1 KR100796900 B1 KR 10079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andle
switch
decorative member
main body
fitt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846A (ko
Inventor
다카시 가와모토
데츠야스 가와모토
마나부 야노
츠요시 곤도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Abstract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한다. 스위치 핸들(2)은 스위치 핸들 본체(3)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본체(3)는 바닥부(30)의 양쪽 끝사이에 양쪽 끝 부분이 중간 부분보다 깊은 끼워맞춤 오목부(35)를 형성하고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측면(35a)에 복수의 용착부(350)를 마련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는 라인 본체(40)와 라인 본체(40)의 양쪽 끝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41, 4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핸들(2)을 조립하기 위해서, 우선,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각 돌출부(41) 내면을 스위치 핸들 본체(3)의 끼워맞춤 오목부(35)의 단차면에 접촉시키고,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용착면(400)을 스위치 핸들 본체(3)의 복수의 용착부(350)와 면접촉시킨다. 이후,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라인 본체(40)를 초음파 용착기의 혼으로 상방으로부터 눌러 초음파 용착을 실행하고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끼워맞춤 오목부(35)에 용착 고정한다.

Description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SWITCH HANDLE AND SWITCH INCORPORATING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 2의 스위치 핸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 3의 스위치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로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끼우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로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끼운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위치 핸들 3 : 스위치 핸들 본체
30 : 바닥부 35 : 끼워맞춤 오목부
35a : 측면 350 : 용착부
4 :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 40 : 라인 본체
400 : 용착면 41 : 돌출부
본 발명은, 예컨대,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 핸들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에 이용되는 것으로,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스위치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되고 누름 조작에 따라 스위치 본체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스위치 핸들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 상태를 통지하기 위하여 또는 디자인성의 개선을 위하여, 스위치 핸들 본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부착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 - 21018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위치 핸들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오목부의 길이 방향으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위치 결정에 시간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실제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미리 결정된 위치 로부터 어긋나지 않게 부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스위치 본체에 부착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본체를 구동하는 스위치 핸들에 있어서, 양쪽 끝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와, 양쪽 끝 부분의 깊이가 중간 부분의 깊이보다 깊어지도록 상기 양쪽 끝 부분의 저면과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의 사이에 단차를 가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상기 양쪽 끝 부분의 저면과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을 연결하는 단차면을 상기 한 쌍의 돌출부 각각에 대향하는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부착하는 스위치 핸들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돌출부를 스위치 핸들 본체의 끼워맞춤 오목부의 단차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저면 및 상기 단차면과 직교하는 측면에서 돌출하는 용착부를 복 수개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용착부와 면접촉하여 용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면접촉으로 용착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저면 및 상기 단차면과 직교하는 측면에 끼워맞춤 구멍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연결되는 끼워맞춤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끼워맞춤부를 스위치 핸들 본체의 끼워맞춤 구멍에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의 양쪽 끝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용의 스위치 핸들을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라도 복수개용의 스위치 핸들과 1개용의 스위치 핸들의 사이에서 디자인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을 유색으로 하고 나머지를 대략 투명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명감을 강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스위치 핸들을 부착하고 상기 스위치 핸들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스위치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돌출부를 스위치 핸들 본체의 끼워맞춤 오목부의 단차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스위치 핸들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스위치 핸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의 사시도이다.
우선, 실시의 형태 1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와 스위치 핸들(2)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1)는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것으로 장치 몸체와(10), 제 1 단자 블럭(11), 제 2 단자 블럭(12), 한 쌍의 개폐체(13, 13), 반전 핸들(14), 한 쌍의 코일 스프링(15, 15), 점등 표시부(16) 및 프리즘(17)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몸체(10)는 예컨대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보디(10a)와 커버(10b)로 구성되어 있다. 보디(10a)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조립 돌기(100, 100)를 한 쌍의 측면 각각에 돌출 설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한편, 커버(10b)에는 조립 구멍(101a)이 마련된 조립각(101, 101, 101)을 한 쌍의 측면 각각에서 아래쪽으로 복수개 늘어뜨려 마련하고 있다. 상기 커버(10b)는 각 조립각(101)의 조립 구멍(101a)을 조립 돌기(100)에 거는 것에 의해 보디(10a)와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제 1 단자 블럭(11)은 띠 형상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서로가 대칭 관계가 되는 한 쌍의 제 1 단자판(110, 110)과, 탄성을 가지는 도전 재료의 띠의 양쪽 단부를 구부려 형성되는 한 쌍의 자물쇠 용수철(111, 111)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해제 단추(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블럭(11)은 하부가 해제 구멍(도시하지 않음) 근처에 위치하도록 보디(10a)의 단자 블록 수납부(102)의 대략 중앙에 해제 단추(112)를 이동이 자유롭도록 수납하여, 해제 단추(112)에 의해 2개로 구분된 각 단자 블록 수납부(102a, 102b)에 각각 제 1 단자판(110) 및 자물쇠 용수철(111)을 수납함으로써 보디(10a)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보디(10a) 내부에 수납된 제 1 단자 블럭(11)에서 자물쇠 용수철(111)의 잠금편(111a) 및 접촉편(111b)과 제 1 단자판(110)의 접속편(110a)의 사이에, 보디(10a)의 바닥부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면, 잠금편(111a)의 선단이 전선의 심선(芯線)에 파고들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잠금편(111a) 및 접촉편(111b)에 의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편(110a)에 압접됨으로써 전선의 심선과 제 1 단자판(110)이 도통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해제 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선 단에서 해제 단추(112)를 누름 조작하면, 해제 단추(112)가 이동하여 양쪽 측면에 돌출 설치한 가압편(112a)에 의해 자물쇠 용수철(111)의 잠금편(111a)을 압접 해제 방향으로 구부리고, 잠금편(111a)의 선단을 전선의 심선으로부터 떼어놓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판(110)과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단자 블럭(12)은 띠 형상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서로 형상이 다른 2개의 제 2 단자판(120, 121)과, 탄성을 가지는 도전 재료의 띠 양쪽 단부를 굽어 형성되는 한 쌍의 자물쇠 용수철(122, 122)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해제 단추(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단자 블럭(12)은 하부가 해제 구멍(도시하지 않음)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디(10a)의 단자 블록 수납부(103)의 대략 중앙에 해제 단추(123)를 이동이 자유롭도록 수납하고, 해제 단추(123)에 의해 2개로 구분된 각 단자 블록 수납부(103a, 103b)에 각각 제 2 단자판(120, 121)과 자물쇠 용수철(122)을 수납함으로써 보디(10a)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하여 보디(10a) 내부에 수납된 제 2 단자 블럭(12)에서 제 1 단자 블럭(11)과 동일하게 전선 삽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삽입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심선이 자물쇠 용수철(122)의 잠금편(122a) 및 접촉편(122b)과 제 2 단자판(120, 121)의 접속편(120a, 121a)의 사이에 압접되고 협지되어, 해제 단추(123)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제 2 단자판(120, 121)과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각 개폐체(13)는 양표면(도 1의 X축 방향의 양면)에 가동 접점(130)이 고착되어, 표면의 가동 접점(130)이 제 2 단자판(120)의 고정 접점(124a)과 제 2 단자 판(121)의 고정 접점(124c)에 대향하고, 또한 이면의 가동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제 2 단자판(121)의 고정 접점(124b)과 제 2 단자판(120)의 고정 접점(124d)에 대향하도록 보디(10a)의 중앙 수납부(104)(또는 105)에 수납된다.
반전 핸들(14)은 합성 수지에 의해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버(10b)의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테두리부(106)내에 수납된다. 상기 반전 핸들(14)은 상부가 대략 삼각 형상의 회동축(140)을 양측면(도 1의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에 돌출 설치하여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15)의 상부를 각각 삽입 고정하는 한 쌍의 통 형상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안쪽 저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설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각 코일 스프링(15)은 반전 핸들(14)의 회동에 따라 개폐체(13)에 반전 회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하부가 개폐체(13) 상부와 끼워 맞춰져 개폐체(13)와 반전 핸들(14)의 사이에 개재된다.
점등 표시부(16)는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H 형태로 형성된 회로 기판(160)상에 위치 표시등(161) 및 저항(162)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등 표시부(16)는 회로 기판(160)의 폭이 좁은 부분을 반전 핸들(14)내의 통 형상 돌기(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압입함으로써 반전 핸들(14)내에 설치된다. 이 때, 위치 표시등(161) 및 저항(162)의 단자(161a, 162a)를 2개의 코일 스프링(15, 15)에 각별로 접촉 스위치 소자를 온 상태로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단자 블록(11, 12)을 거쳐서 부하에 전류가 공급되어 있을 때에 위치 표시등(161)이 소등하고, 제 1 또는 제 2 단자 블록(11, 12)을 거쳐서 부하에 전류가 공급되어 있 지 않을 때에 위치 표시등(161)이 점등한다.
프리즘(17)은 위치 표시등(161)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면(170)으로부터 입사되고, 입사된 빛은 내부에서 굴절시켜 출사면(171)으로부터 스위치 핸들(2)을 향하여 출사된다.
한편, 스위치 핸들(2)은 스위치 본체(1)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스위치 본체(1)를 구동하는 1개용의 핸들이며, 스위치 핸들 본체(3)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본체(3)는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바닥부(30)와 바닥부(30)의 주위에서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측부(31, 32, 33, 3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3)는 바닥부(30)의 길이 방향(도 3의 Z축 방향)의 양쪽 끝 사이에 끼워맞춤 오목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끝 부분(35e)의 깊이가 중간 부분(35f)의 깊이보다 깊어지도록 양쪽 끝 부분(35e)의 저면(35d)과 중간 부분(35f)의 저면(35b)의 사이에 단차를 가지고 있다.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35)는, 양쪽 끝 부분(35e)의 저면(35d)과 중간 부분(35f)의 저면(35b)을 잇는 단차면(35c)과, 저면(35b) 및 단차면(35c)과 직교하고, 끼워맞춤 오목부(35)의 길이 방향(도 3의 Z축 방향)에 따른 측면(3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35)는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저면(35b) 중앙 부근에 관통 구멍(36)을 가지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36)은 프리즘(17)(도 1참조)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 핸들 본체(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중간 부분(35f)에서 측면(35a)으로부터 돌출하는 용착부(350)를 복수개 마련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늘고 긴 라인 본체(40)와 라인 본체(40)의 길이 방향(도 1의 Z축 방향)의 양쪽 끝으로부터 동일 방향(도 1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 쌍의 돌출부(41, 4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라인 본체(40)는 스위치 핸들 본체(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 끝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치수임과 동시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용착부(350, 350)와 면접촉하여 용착 고정하는 한 쌍의 용착면(400, 400)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라인 본체(4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중간 부분(35f)의 저면(35b)(도 3참조)과 대향하는 내면(401) 중, 관통 구멍(36)(도 3참조)과 대향하는 내면(401a)을 제외하는 내면(401b)을 유색(예컨대, 금속색)으로 하고 내면(401b) 이외의 잔부를 대략 투명으로 하고 있다. 상기 내면(401b)을 금속색으로 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은 등의 금속 시트의 붙임이나 도포 등의 방법이 있다. 상기 한 바와 같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는, 금속색에 의한 빛을 내면서도 동시에 투명감을 낼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상면(402)을 금속색으로 한 경우, 단지 금속색에 의한 빛만 나와 투명감을 낼 수 없게 된다. 또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내 면(401b)을 금속색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도에 따라 다른 색을 적용해도 좋다.
한 쌍의 돌출부(41, 4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대향하는 내면(410, 410)간의 거리는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중간 부분(35f)에서의 길이 방향(도 3의 Z축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는 한 쌍의 돌출부(41, 41)의 각각 대향하는 내면(410, 410)을 단차면(35c, 35c)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오목부(35)에 끼워져 부착된다. 또한, 각 돌출부(41)는 라인 본체(40)의 내면(401b)과 동일하게, 내면(410)을 금속색으로 하고 내면(410)이외의 잔부를 대략 투명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1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스위치 핸들 본체(3)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돌출부(41) 내면(410)을 스위치 핸들 본체(3)의 끼워맞춤 오목부(35) 단차면(35c)에 접촉시키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용착면(400, 400)을 스위치 핸들 본체(3)의 복수의 용착부(350, 350)와 면접촉시킨다. 계속해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라인 본체(40)를 초음파 용착기의 혼(horn)(도시하지 않음)으로 상방으로부터 누른다. 마지막에, 초음파 용착기에 의해 초음파 용착을 실행하여,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끼워맞춤 오목부(35)에 용착 고정한다.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는 스위치 핸들 본체(3)에 용착된 상태에 있어서, 라인 본체(40)의 상면(402)과, 길이 방향의 양쪽 끝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스 위치 핸들 본체(3)에 조립된 후에는 용착부(350, 350)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려운 구조가 되기 때문에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의 형태1의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2)을 2개의 조작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조작하면, 스위치 핸들(2)이 부착되어 있는 반전 핸들(14)을 회동시켜 개폐체(13)를 반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핸들(2)의 조작 위치에 따라 개폐체(13)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판(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판(120, 121) 사이에서 스위칭을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핸들(2)의 요동 상태 또는 관통 구멍(36)(도 3참조)으로부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투과하는 위치 표시등(161)으로부터의 빛의 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 온/오프 상태를 외관상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스위치 핸들 본체(3)에 부착할 때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돌출부(41) 내면(410)을 스위치 핸들 본체(3)의 끼워맞춤 오목부(35)의 단차면(35c)에 접촉시킴으로써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면접촉으로 용착할 수 있기 때문에, 흔들림 등이 발생하는 일 없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를 스위치 핸들 본체(3)에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내면(401b)을 금속색으로 하기 때문에, 상면(402)을 금속색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빛을 내면서도 동시에 투명감을 강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의 금형을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금속색으로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2의 스위치 핸들 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2의 스위치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스위치 본체(1)(도 1참조)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위치 핸들(2a)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2a)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본체(3a)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본체(3a)는 끼워맞춤 오목부(35)의 측면(35a, 35a)에 단면 삼각형 형상의 용착부(350a, 350a)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한편,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의 라인 본체(40a)는 길이 방향에 따른 양쪽 끝의 일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착면(400a, 400a)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 핸들(2a)은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2)(도 1참조)과 동일하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를 스위치 핸들 본체(3a)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의 돌출부 내면을 스위치 핸들 본체(3a)의 끼워맞춤 오목부(35)의 단차면에 접촉시키고,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의 용착면(400a, 400a)을 스위치 핸들 본체(3a)의 복수의 용착부(350a, 350a)와 면접촉시킨다. 계속해서,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의 라인 본체(40a)를 초음파 용착기의 혼(도시하지 않음)으로 상방으로부터 누른다. 마지막에, 초음파 용착기에 의해 초음파 용착을 실행하고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a)를 끼워맞춤 오목부(35)에 용착 고정한다.
이상,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3의 스위치 핸들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 3의 스위치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스위치 본체(1)(도 1참조)를 3개 구비함과 동시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스위치 핸들(2b, 2b, 2b)을 구비하고 주위를 커버(5)로 덮어져 있다.
각 스위치 핸들(2b)은 3개용의 스위치 핸들이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b)의 길이 방향(도 6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2)의 치수에 대하여 대략 3분의 1로 되어있다. 또한, 각 스위치 핸들(2b)은 그 이외의 점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2)과 동일하다.
이상,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핸들(2b)을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b)의 길이 방향으로 3개 구비하는 경우라도 각각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b, 4b, 4b)가 연속하고 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에, 3개용의 스위치 핸들(2b)과 1개용의 스위치 핸들(2)(도 1참조)의 사이에서 디자인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끼우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끼운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스위치 본체(1)(도 1참조)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위치 핸들(2c)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2c)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본체(3c)와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핸들 본체(3c)는 복수의 끼워맞춤 구멍(351)을 측면(35a)에 마련하고 있다. 한편,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의 라인 본체(40c)는 길이 방향(도 7의 Z축 방향)에 따른 양측면에 복수의 끼워맞춤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 핸들(2c)은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스위치 핸들(2)(도 1참조)과 동일하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4의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를 스위치 핸들 본체(3c)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 및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의 돌출부(41) 내면(410)을 스위치 핸들 본체(3c)의 끼워맞춤 오목부(35)의 단차면(35c)에 접촉시킨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의 복수의 끼워맞춤부(400', 400')를 스위치 핸들 본체(3c)의 복수의 끼워맞춤 구멍(351, 351)에 각각 끼움으로써,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를 스위치 핸들 본체(3c)에 고정한다.
이상,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의 복수의 끼워맞춤부(400', 400')를 스위치 핸들 본체(3c)의 복수의 끼워맞춤 구멍(351, 351)에 각각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4c)를 스위치 핸들 본체(3c)에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스위치 핸들 본체에 부착할 때에 위치 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스위치 본체에 부착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본체를 구동하는 스위치 핸들에 있어서,
    양쪽 끝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와,
    양쪽 끝 부분의 깊이가 중간 부분의 깊이보다 깊어지도록 상기 양쪽 끝 부분의 저면과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의 사이에 단차를 가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상기 양쪽 끝 부분의 저면과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을 연결하는 단차면을 상기 단차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를 부착하는 스위치 핸들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 및 상기 단차면과 직교하는 측면에서 돌출하는 용착부를 복수개 마련하고,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용착부와 면접촉하여 용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핸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저면 및 상기 단차면과 직교하는 측면에 끼워맞춤 구멍이 복수개 마련하고,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연결되는 끼워맞춤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핸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는 상기 스위치 핸들 본체의 양쪽 끝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핸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핸들 장식 부재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중간 부분의 저면과 대향하는 면을 유색으로 하고 나머지를 투명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핸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위치 핸들과,
    상기 스위치 핸들을 부착하고 상기 스위치 핸들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전기적인 접속의 개폐를 전환하는 스위치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60034783A 2005-04-18 2006-04-18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KR100796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0199A JP4281703B2 (ja) 2005-04-18 2005-04-18 ハンドル及びこれを含むスイッチ
JPJP-P-2005-00120199 2005-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846A KR20060109846A (ko) 2006-10-23
KR100796900B1 true KR100796900B1 (ko) 2008-01-22

Family

ID=3719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783A KR100796900B1 (ko) 2005-04-18 2006-04-18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81703B2 (ko)
KR (1) KR100796900B1 (ko)
CN (1) CN1855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3399B (zh) * 2014-04-29 2017-02-01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开关结构
JP6471987B2 (ja) * 2016-09-14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
JP6854302B2 (ja) * 2018-01-10 2021-04-07 ディーフォン エレク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efond Electech Co., Ltd 電気的デバイスの可変速コントローラと共に使用する電気的スイッチモジュ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965B1 (ko) * 1990-05-02 1993-11-18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핸들 작동 스위치
JPH1069837A (ja) 1997-04-15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0164074A (ja) 1998-11-25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743B2 (ja) * 2003-03-26 2009-02-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
CN2653663Y (zh) * 2003-09-03 2004-11-03 蔡锦绸 开关切片面板的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965B1 (ko) * 1990-05-02 1993-11-18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핸들 작동 스위치
JPH1069837A (ja) 1997-04-15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0164074A (ja) 1998-11-25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1703B2 (ja) 2009-06-17
CN1855329B (zh) 2010-06-16
CN1855329A (zh) 2006-11-01
JP2006302583A (ja) 2006-11-02
KR20060109846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900B1 (ko) 스위치 핸들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JPH033940Y2 (ko)
US4388503A (en) Multiple position pushbutton switch
JP4208171B2 (ja) スイッチ
JP5194733B2 (ja) 車両用スイッチ
US20090178904A1 (en) Switch having a complementary diode unit
KR101125078B1 (ko) 스위치
JP4303413B2 (ja) 端子装置
JP4085681B2 (ja) 配線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19980018451A (ko) 스위치를 갖는 시프트 노브의 구조
KR100322774B1 (ko) 스위치
JP3826705B2 (ja) スイッチ
JP4185942B2 (ja) スイッチ装置
JPH04349318A (ja) 超小形スライド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3500657B2 (ja) スイッチ用電流トランス
JP4026315B2 (ja) 端子装置
JP3617496B2 (ja) スライド式電子部品
JPS634515A (ja) 表示ランプ付スイツチ
JP3674497B2 (ja) 端子装置
JP412254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210166A (ja) スイッチ
JPH0749710Y2 (ja) 電磁接触器
JP2004013302A (ja) 車両用レバー装置
JP2003007170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ほたるスイッチ
JPS5887715A (ja) 押鉛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