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82B1 -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82B1
KR100795282B1 KR1020010056407A KR20010056407A KR100795282B1 KR 100795282 B1 KR100795282 B1 KR 100795282B1 KR 1020010056407 A KR1020010056407 A KR 1020010056407A KR 20010056407 A KR20010056407 A KR 20010056407A KR 100795282 B1 KR100795282 B1 KR 100795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ound
signal
digital audio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343A (ko
Inventor
우스이준이찌
이따바시데쯔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좌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L(Z)와 우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R(Z)를 다음의 수식
YL(Z)·GLL(Z) + YR(Z)·GLR(Z) = XL(Z)·FLL(Z) + XR(Z)·FLR(Z)
YR(Z)·GLL(Z) + YL(Z)·GLR(Z) = XR(Z)·FLL(Z) + XL(Z)·FLR(Z)
으로 표현된 출력을 위해, 각각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로 변환하기 위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 FLL(Z) 내지 GLR(Z)는 소정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임 -와; 반사 사운드 신호를 각각 신호 YL(Z) 및 YR(Z)에 가산하기 위한 깊이 보정 회로(53)와; 보정 회로(53)의 출력 신호를 D/A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기 회로(6)와;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내의 차분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레벨 제어 회로(522)를 포함하여, D/A 변환기 회로(6)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각각 좌채널 스피커와 우채널 스피커에 공급한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헤드 관련 전달 함수, 사운드 깊이, 주파수 특성, 사운드 집중

Description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AUTOMOTIV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을 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을 주는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을 주는 특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을 주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을 주는 특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12a 및 도 12b는 차실 내의 사운드 필드(sound field in a compartment)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
52 :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
53 : 깊이 보정 회로
522 : 레벨 제어 회로
523A, 523B : 필터 회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재생 장치가 음악 등을 재생할 때, 이상적인 재생 사운드 이미지의 높이는 청취자의 눈 높이(eye level)라고 한다. 따라서,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청취자의 눈 높이에 장착된다.
그러나,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를 가지고는 청취자(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 즉 점유자)의 눈 높이에 스피커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는 흔히 차량 앞문의 하위 위치(①) 또는 뒷문의 하위 위치(②)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재생 사운드가 하위 위치의 방향에서 들려 사운드 이미지가 청취자의 눈 높이보다 아래의 위치에 집중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주파를 재생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스피커를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자의 전면의 위치(③)에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주파의 재생 사운드와 저주파의 재생 사운드가 상이한 위치에서 출력되게 하여 별도의 재생 사운드인 것 같은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사운드는 그 주파수가 증가될 때 더 많이 흡수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스피커가 탑승객 차실(passenger compartment)의 하위 위치에 장착될 때, 고주파 사운드는 차실의 좌석과 인테리어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은 오디오 재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재생 사운드와 청취자가 실제로 듣게 되는 사운드가 상이하게 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전술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차실에서의 전달 함수를 실제적으로 결정하고 이 전달 함수에 따라 재생 사운드를 보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고성능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좀 더 고가이므로 소비자 오디오 재생 장치에 사용하기에는 여의치 않다.
또한, 재생 사운드가 전달 함수에 따라 보정될 때, 일반적으로 고주파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운드 볼륨 레벨이 증가될 때, 고주파 사운드가 과도하게 두드러지게 된다.
더욱이, 탑승객 차실은 음향 공간으로서 볼 때 보다 작은 공간이고, 그에 따라 재생 사운드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재생 사운드는 실제적으로는 청취자에게 폭(breath)과 깊이(depth)가 부족한 것으로 들린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L(Z)와 우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R(Z)를 다음의 수식
YL(Z)·GLL(Z) + YR(Z)·GLR(Z) = XL(Z)·FLL(Z) + XR(Z)·FLR(Z)
YR(Z)·GLL(Z) + YL(Z)·GLR(Z) = XR(Z)·FLL(Z) + XL(Z)·FLR(Z)
으로 표현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 각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 FLL(Z)는 탑승객 차실 내의 청취자의 전면에 위치된 제1 좌채널 스피커와 제1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청취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a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이고,
FLR(Z)는 제1 좌채널 스피커와 제1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청취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고,
GLL(Z)는 청취자의 하위 전면에 위치된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제2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청취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고,
GLR(Z)는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제2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청취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임 -와;
각각 출력 신호 YL(Z)와 YR(Z)를 지연시킴으로써 반사 사운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반사 사운드 신호 발생 회로와;
반사 사운드 신호를 각각 출력 신호 YL(Z)와 YR(Z)에 가산하기 위한 가산 회로의 쌍과;
가산 회로쌍의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D/A 변환기 회로를 포함하며,
여기서,
Hp(Z) = (FLL(Z) + FLR(Z))/(GLL(Z) + GLR(Z))
Hm(Z) = (FLL(Z) - FLR(Z))/(GLL(Z) - GLR(Z)) 일 때,
상기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는,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L(Z)와 XR(Z)를 각각 가산 및 감산하기 위한 제1 가산 회로 및 제1 감산 회로와;
각각 제1 가산 회로 및 제1 감산 회로의 출력 신호가 제공되고 Hp(Z)와 Hm(Z)의 전달 특성을 갖는 제1 디지털 필터 및 제2 디지털 필터와;
제1 디지털 필터 및 제2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각각 가산 및 감산하여 출력 신호 YL(Z)와 YR(Z)를 발생하기 위한 제2 가산 회로 및 제2 감산 회로와;
제1 감산 회로와 제2 가산 회로 및 제2 감산 회로간의 신호 라인에서 제2 디지털 필터와 직렬 접속된 레벨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제어 회로는 제2 가산 회로와 제2 감산 회로에 제공되는 차분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며,
D/A 변환기 회로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각각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제2 우채널 스피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가상 스피커가 청취자의 전면에 배치되고, 가상 스피커가 사운드 필드(sound field)와 사운드 이미지를 재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소스로서 예를 들어 CD 또는 MD 플레이어(1)를 갖는다. 플레이어(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 회로(3)에 제공되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선택기 회로(4)에 제공된다.
또한,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예컨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소스로서 FM 튜너(2)를 가진다. 튜너(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 회로(3)에 제공되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선택기 회로(4)에 제공된다.
선택기 회로(4)는 선택기 회로에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보정 회로(5)에 제공한다. 상세히 후술되는 디지털 보정 회로(5)는 예를 들어 DSP에 의해 형성되며, 다음과 같은 보정을 행한다:
· 스피커에 의해 재생된 사운드 이미지를 이상적인 위치에 위치시키고,
· 재생된 사운드에 폭과 깊이를 제공하고,
· 주파수 특성 등을 보정.
보정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D/A 변화기 회로(6)에 제공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이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감쇄기 회로(7)와 출력 증폭기(8)를 통해 좌채널 스피커(9L) 및 우채널 스피커(9R)에 제공된다.
이 경우, 스피커(9L, 9R)는 예를 들어 도 12a내의 위치 (①)에 배치된다(혹은 위치 (①)에 배치될 것이다). 특히, 스피커(9L, 9R)가 앞좌석의 청취자용일 때에는 각각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앞문의 하위 위치에 배치된다.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또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11)를 갖는다. 제어키(제어 스위치)(12)가 작동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는 키 작동에 응답하여 플레이어(1), 튜너(2), 선택기 회로(4) 또는 감쇄기 회로(7)를 제어하여 소스, 사운드 볼륨 등을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스피커(9L, 9R)는 CD, MD, 방송 등의 재생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스피커(9L, 9R)가 도 12a에서의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도, 재생 사운드에 의해 형성된 사운드 이미지는 디지털 보정 회로(5)의 보정 처리의 결과로 예를 들어 청취자의 눈 높이에 위치된다. 또한, 좁은 탑승객 차실에서의 경우, 재생 사운드는 더 큰 폭과 깊이의 감각(sense)을 제공한다. 더욱이, 탑승객 차실에 특정된 효과를 위해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다.
[디지털 보정 회로(5)]
디지털 보정 회로(5)는 전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보정을 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보정 회로(5)는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 및 깊이 보정 회로(53)에 의해 등가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는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설치로 인한 주파수 특성에서의 변화와 탑승객 차실에 특정된 주파수 특성에서의 불규칙성을 보정함으로써 실제로 스피커(9L, 9R)에 공급될 오디오 신호에 적합한 주파수 특성을 제공한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하고, 또한 사운드 폭을 보정한다. 깊이 보정 회로(53)는 반사된 사운드 신호에 의해 사운드 깊이를 보정한다.
이하에서는 보정 회로(51∼53)의 각각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정 회로는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 깊이 보정 회로(53) 및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의 순으로 설명될 것이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사운드 이미지가 청취자의 눈 높이에 위치되도록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보정한다. 이 보정은 스피커에서 청취자의 고막까지의 범위내의 음향 특성, 즉 헤드 관련 전달 함수(HRTF)를 고려한 전달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일반적으로, 헤드 관련 전달 함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a) 스피커와 사람의 머리 모양의 더미 헤드(dummy head)를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 관계로 배치한다.
(b) 퓨리에 변환 후에 주파수 축에 대해 평탄화되는 임펄스 신호를 테스트 신호로서 스피커에 입력한다. 부수적으로 설명하면, 테스트 신호는 타임 스트레치 펄스 신호(time stretched pulse signal)와 같은 임펄스 함수의 특성을 갖는 신호일 것이다.
(c) 더미 헤드의 인조 귀에서 임펄스 응답을 측정한다. 이 임펄스 응답은 항목 (a)의 위치 관계에서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다.
그러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가 헤드 관련 전달 함수를 사용할 때,
(A)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 모양의 더미 헤드 DM이 표준 차량 또는 통상적인 차량의 앞좌석에 배치되고,
(B) 스피커가 예를 들어 위치 (①)과 같은 실제 스피커 위치에 배치되고, 이 경우에서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가 결정되며,
(C) 이상적인 사운드 필드가 실현되는 위치, 예를 들어 계기판 상의 위치 (③)에 스피커가 배치되고, 이 경우에서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가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항목 (B)와 (C)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에 기초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보정한다. 이러한 데이터 보정의 결과로, 앞좌석 도어의 위치 (①)에 장착된 스피커(9L, 9R)에 의해 형성된 사운드 이미지가 전술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위치 (③)에 위치된 스피커에 의해 형성된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에 있는 것이 되도록 보정된다.
먼저, 항목 (A) 내지 (C)에 따라 결정 및 분석된 헤드 관련 전달 함수 HRTF는 도 5a 및 도 5b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된다.
FLL(Z) : 위치 (③)에서의 좌채널 스피커에서 좌측 귀까지의 HRTF
FLR(Z) : 위치 (③)에서의 좌채널 스피커에서 우측 귀까지의 HRTF
FRL(Z) : 위치 (③)에서의 우채널 스피커에서 좌측 귀까지의 HRTF
FRR(Z) : 위치 (③)에서의 우채널 스피커에서 우측 귀까지의 HRTF
GLL(Z) : 위치 (①)에서의 좌채널 스피커에서 좌측 귀까지의 HRTF
GLR(Z) : 위치 (①)에서의 좌채널 스피커에서 우측 귀까지의 HRTF
GRL(Z) : 위치 (①)에서의 우채널 스피커에서 좌측 귀까지의 HRTF
GRR(Z) : 위치 (①)에서의 우채널 스피커에서 우측 귀까지의 HRTF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 (③)은 이상적인 사운드 필드 또는 사운드 이미지를 실현하는 스피커의 위치이고, 위치 (①)은 실제 장착된 스피커(9L, 9R)의 위치이다. 각각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는 복소수로 표현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기호를 다음으로 정의한다:
XL(Z) : 좌채널 입력 오디오 신호(보정 전의 오디오 신호)
XR(Z) : 우채널 입력 오디오 신호(보정 전의 오디오 신호)
YL(Z) : 좌채널 출력 오디오 신호(보정 후의 오디오 신호)
YR(Z) : 우채널 출력 오디오 신호(보정 후의 오디오 신호)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헤드 관련 전달 함수가 "대칭"인 것으로 가정하여, 즉 다음의 수학식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구성된다.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1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2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3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4
그러므로, 헤드 관련 전달 함수가 결정될 때 더미 헤드 DM을 차실 내의 앞좌석의 중앙 또는 차실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좌석간의 보정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각의 좌석에 대해 유사한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위치 (③)에서의 스피커로부터 사운드를 듣는 감각을 제공하도록 보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수학식 5와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5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6
이 경우, Hp(Z) 및 Hm(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7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8
그러므로, YL(Z) 및 YR(Z)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1023458243-pat00009
Figure 112001023458243-pat00010
스테레오 음악 신호의 차분 성분이 폭과 스테레오의 감각에 대해 커다란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학식 9와 수학식 10의 두번째 항이 스테레오 신호의 차분 성분이다. 그러므로, 두번째 항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공간적인 폭의 감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학식 9와 수학식 10의 두번째 항에 폭의 감각을 제어하기 위한 파 라미터로써 작용하는 계수 k를 승산할 때, 수학식 9와 수학식 10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1023458243-pat00011
Figure 112001023458243-pat00012
수학식 11과 수학식 12내의 계수 k가 증가될 때, 두번째 항의 차분 성분이 강조되고, 그에 따라 재생 사운드 필드에서의 폭의 감각이 증가된다.
수학식 11과 수학식 12에 따르면,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수학식 7과 수학식 8에 의해 표현된 특성을 갖는 필터, 레벨 제어 회로, 가산 회로 및 감산 회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차후에 설명될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입력 신호 XL(Z) 및 XR(Z)가 되고,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출력 신호는 신호 YL(Z) 및 YR(Z)가 된다.
입력 신호 XL(Z) 및 XR(Z)는 가산 회로(521A) 및 감산 회로(521B)에 공급되어 합산 신호 (XL(Z))+XR(Z)) 및 차분 신호 (XL(Z)-XR(Z))를 형성한다. 합산 신호는 필터 회로(523A)에 공급되고, 차분 신호는 레벨 제어 회로(522)에 공급한다. 레벨 제어 회로(522)는 수학식 11과 수학식 12에서의 계수 k에 대응할 만큼의 방식 으로 차분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고, 그 후 그 결과를 필터 회로(523B)에 공급한다.
이 경우, 필터 회로(523A, 523B)는 예를 들어 70 오더(order)의 FIR 타입이며, 수학식 7과 수학식 8에 의해 표현된 전달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나서, 필터 회로(523A, 523B)의 출력 신호는 특정된 비율로 가산 회로(524A) 및 감산 회로(524B)에 공급되어 출력 신호 YL(Z) 및 YR(Z)를 형성한다. 출력 신호 YL(Z) 및 YR(Z)는 깊이 보정 회로(53)를 통해 D/A 변환기 회로(6)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스피커(9L, 9R)가 앞좌석 도어 위치 (①)에 장착될 때에도, 스피커(9L, 9R)가 이상적인 위치 (③)에 배치될 때와 동일한 사운드 이미지가 재생될 수 있다.
(a) 폭의 감각 제어
전술된 바와 같이 음악 신호의 좌채널과 우채널 차분 성분이 재생 사운드의 폭과 스테레오의 감각에 대해 커다란 효과를 갖기 때문에, 도 2의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계수 k에 대응할 만큼의 방식으로 차분 성분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레벨 제어 회로(522)를 갖는다. 따라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재생 사운드의 공간적인 폭의 감각을 제어 및 강조할 수 있다.
그러나, 폭의 감각이 차분 성분의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조될 때, 일반적으로 사운드 볼륨 레벨이 증가된 것처럼 들린다. 따라서, 도 2의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레벨 제어 회로(522)가 차분 성분의 레벨을 제어할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감쇄기 회로(7)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보정하여 재생 사운드의 볼륨을 보정한다.
그러므로, 도 1의 재생 장치는 사운드 이미지가 눈 높이에 있도록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사운드 폭을 제공하거나 심지어 사운드 폭의 감각을 강조할 수도 있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간략화]
도 6은 임펄스 응답의 측정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은 차량의 앞좌석의 좌측 도어 위치 (①)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앞좌석의 중앙에 배치된 더미 헤드 DM의 좌측 귀로의 임펄스 응답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측정 결과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임펄스 응답은 커다란 피크와 급강하부(dip)를 갖는다. 피크와 급강하부가 그대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에 가해질 때, 필터 회로(523A, 523B)의 오더가 증가되고, 그에 따라 큰 규모의 처리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필터 회로(523A, 523B)를 간략화함으로써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를 간략화하는 방법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a) 주파수 축상의 평균화
예를 들어 도 6에서의 측정 결과의 주파수 축상의 진폭을 평균화함으로써, 가파른 피크와 급강하부가 평탄화되고, 전체적으로 임펄스 응답의 추세(tendency)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의 측정 결과의 진폭이 평균화되어 도 7에서의 곡선 A와 B의 특성이 얻어지고, 이 곡선 A와 B의 특성에 따라 필터 회로(523A, 523B)가 구성된다.
(b) 데이터의 평탄화(flattening of data)
도 8 및 도 9는 각각 또다른 예의 임펄스 응답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차량 앞좌석의 좌측 도어 위치 (①)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좌측 앞좌석에 배치된 더미 헤드 DM의 좌측 귀로의 임펄스 응답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차량 앞좌석의 좌측 도어 위치 (①)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우측 앞좌석에 배치된 더미 헤드 DM의 좌측 귀로의 임펄스 응답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임펄스 음답의 측정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진폭 특성은 1㎑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탑승객 차실 내의 측정 위치에 따라 크게 차이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차실의 밀폐 공간과 차실 내에서의 공명(잔향(standing wave)) 효과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저음역에서 성분을 보정하는 것은 청취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음역 성분을 보정하기 위해, 필터의 오더가 충분히 증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1㎑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도 7에서 직선 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1㎑ 미만에서의 응답 진폭은 그 평균 레벨로 평탄화된다. 그리고 나서, 필터 회로(523A, 523B)는 직선 C와 곡선 B의 특성에 따라 구성된다.
(c) 위상 최소화
필터의 오더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위상 최소화로 지칭되는 방법이 있다.
수학식 7과 수학식 8이 계산될 때, 분자와 분모의 계산치의 각각에 대해 위상 최소화가 수행되고, 그리고 나서 나눗셈이 수행된다. 이에 의해 필터 회로(523A, 523B)의 오더가 감소된다.
또한, 분자와 분모를 가지고 수학식 7과 수학식 8을 나눗셈한 결과치에 대해 위상 최소화가 수행될 때, 필터 회로(523A, 523B)의 오더가 더 많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에 따르면, 사운드 이미지의 보정의 결과는 분자와 분모의 계산치의 각각에 대해 위상 최소화가 수행되고나서 나눗셈이 수행될 때가 분자와 분모를 가지고 나눗셈한 결과치에 대해 위상 최소화가 수행될 때보다 더 우수하다.
상기한 항목 (a) 내지 (c)는 필터 회로(523A, 523B)의 오더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깊이 보정 회로(53)]
일반적으로, 방 또는 홀의 벽, 천정 등에서 반사되는 사운드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재생 사운드에 깊이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깊이 보정 회로(53)는 재생 사운드의 신호를 직접 사운드의 신호(오리지널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재생 사운드에 깊이를 부가한다. 깊이 보정 회로(53)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출력 신호(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YL(Z) 및 YR(Z)는 직접 사운드에 대응하고, 신호 YL(Z) 및 YR(Z)는 가산 회로(531L, 531R)를 통해 D/A 변환기 회로(6)에 공급한다. 신호 YL(Z) 및 YR(Z)는 또한 특정된 반사 사운드의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추후 설명될 처리 회로(532L, 532R) 내지 처리 회로(537L, 537R)에도 공급된다. 반사 사운드의 신호는 가산 회 로(531L, 531R)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가산 회로(531L, 531R)는 반사 사운드의 신호를 직접 사운드의 신호에 가산하고, 그 결과의 출력 신호를 D/A 변환기 회로(6)에 공급한다. 가산 회로(531L, 531R)는 이에 의해 반사 사운드를 직접 사운드에 가산한다. 따라서, 더 큰 깊이를 갖는 재생 사운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a) 음성의 불투명한 사운드 이미지(blurred sound image of vocal)
전술된 바와 같이, 반사 사운드를 직접 사운드에 부가함으로써, 재생 사운드에 깊이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반사 사운드로서 단지 지연된 사운드를 직접 사운드에 부가하는 것은 깊이의 감각에 관한 효과가 적게 나타나며, 뮤직 음성의 불투명한 사운드 이미지의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도 3의 보정 회로(53)는 반사 사운드의 신호를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출력 신호 YL(Z) 및 YR(Z)는 대역 감쇄 필터(532L, 532R)에 공급한다. 필터(532L, 532R)는 음악 신호내의 음성 성분을 제한하고, 이에 의해 반사 사운드의 신호가 직접 사운드의 신호에 부가될 때 음성의 사운드 이미지가 불투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필터(532L, 532R)는 예를 들어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괄호내의 값이 최적값임)을 갖는다.
센터 주파수 : 500㎐ 내지 3㎑(800㎐)
센터 주파수에서의 감쇄의 양 : 6dB 내지 30dB(19dB)
센터 주파수에서의 Q : 1.0 내지 3.0(2.0)
(b) 반사 사운드 신호의 레벨 보상
필터(532L, 532R)는 신호에 의해 소유된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필터(532L, 532R)의 출력 신호는 가산 회로(533L, 533R)에 공급되며, 또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의 감산 회로(521B)로부터 출력된 차분 신호 (XL(Z)-XR(Z))도 가산 회로(533L, 533R)에 공급한다. 그 후, 가산 회로(533L, 533R)로부터 감쇄 보상된 신호가 추출된다.
첨언하면, 이 경우, 감산 회로(521B)에서 가산 회로(533L, 533R)로 공급되는 차분 신호는 예를 들어 필터(532L, 532R)에서 가산 회로(533L, 533R)로 공급되는 것보다 6dB 더 낮은 레벨에 있다.
(c) 저음의 둔탁함(muddiness of bass sound)
저주파 성분이 반사 사운드에 포함될 때, 저주파 사운드는 둔탁하게 되어 청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산 회로(533L, 533R)의 출력 신호는 고역 통과 필터(534L, 534R)에 공급되어 청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저주파 성분이 제거된다. 필터(534L, 534R)는 예를 들어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을 갖는다.
컷오프 주파수 : 50㎐ 내지 400㎐(200㎐)
센터 주파수에서의 Q : 0.7071(0.7071)
(d) 깊이의 향상
실험에 따르면, 반사 사운드의 음질을 변화시키고 반사 사운드로서 상이한 위치에 집중된 사운드를 부가하는 것은 깊이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필터(534L, 534R)의 출력 신호는 반사 사운드의 음질이 변화되도록 고증폭 필터(high boost filter)(535L, 535R)에 공급한다. 필터(535L, 535R)는 예를 들어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
턴오버 주파수 : 800㎐ 내지 2㎑
고주파수에서의 증폭의 양 : 3dB 내지 8dB
(e) 고주파수 보정
필터(535L, 535R)는 필요 이상으로 고주파수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필터(535L, 535R)의 출력 신호는 고주파수가 억제되도록 저역 통과 필터(536L, 536R)에 공급한다. 필터(536L, 536R)는 예를 들어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컷오프 주파수 : 1㎑ 내지 10㎑(3㎑)
센터 주파수에서의 Q : 0.7071(0.7071)
(f) 반사 사운드의 시뮬레이션
깊이 보정 회로(53)의 최종단인 반사 사운드의 신호는 필터(536L, 536R)의 출력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536L, 536R)의 출력 신호는 반사 사운드 신호 발생 회로(537L, 537R)에 공급한다. 도 3의 경우에서, 각각의 반사 사운드 신호 발생 회로는 3개의 탭을 갖는 지연 회로(5371), 지연 회로(5371)의 탭 출력이 각각 공급되는 계수 회로(5372∼5374) 및 계수 회로의 출력 신호를 함께 가산하는 가산 회로(5375)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1 샘플링 주기 τ가 τ=1/44.1㎑ 로 제안될 때, 발생 회로(537L)는 예를 들어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지연 회로(5371)의 제1 탭의 지연 시간 : 840τ(552τ)
지연 회로(5371)의 제2 탭의 지연 시간 : 2800τ(1840τ)
지연 회로(5371)의 제3 탭의 지연 시간 : 3500τ(2300τ)
계수 회로(5372)의 계수(이득) : -18dB
계수 회로(5373)의 계수(이득) : -14dB
계수 회로(5374)의 계수(이득) : -14dB
발생 회로(537R)는 예를 들어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지연 회로(5371)의 제1 탭의 지연 시간 : 770τ(506τ)
지연 회로(5371)의 제2 탭의 지연 시간 : 2800τ(1840τ)
지연 회로(5371)의 제3 탭의 지연 시간 : 3360τ(2208τ)
계수 회로(5372)의 계수(이득) : -18dB
계수 회로(5373)의 계수(이득) : -14dB
계수 회로(5374)의 계수(이득) : -14dB
그러므로, 가산 회로(5375, 5375)는 각각 적합하게 보정된 주파수 특성을 갖는 반사 사운드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가산 회로(5373, 5375)로부터 출력된 반사 사운드의 신호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가산 회로(531L, 531R)에 공급되어 직접 사운드의 신호 YL(Z) 및 YR(Z)에 가산된다.
첨언하면, 이 경우, 가산 회로(531L, 531R)에 공급된 반사 사운드의 신호는 예를 들어 직접 사운드의 신호 YL(Z) 및 YR(Z)의 레벨보다 6dB 더 낮다. 또한, 이 경우, 반사 사운드 신호의 레벨과 지연 회로(5371, 5371)의 지연 시간이 가변적으로 될 때, 사운드 깊이가 변화될 수 있다.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는 하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주파수 특성 보정을 행하여 더욱 적합한 사운드 이미지 또는 재생 사운드 필드를 실현한다.
(a) 저주파 성분의 보정
전술된 바와 같은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에 대한 보정은 고주파 레벨에서의 증가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 4의 보정 회로(51)에서의 선택기(4)의 출력 신호는 저주파를 증폭시키기 위해 대역 증폭 필터(511L, 511R)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출력 사운드의 주파수 균형이 보정된다.
필터(511L, 511R)는 예를 들어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센터 주파수 : 20㎐ 내지 120㎐(62㎐)
센터 주파수에서의 증폭의 양 : 2dB 내지 18dB(6.0dB)
센터 주파수에서의 Q : 1.0 내지 3.0(1.2)
(b) 차실 내의 공명(잔향) 효과의 감소
탑승객 차실의 내부는 복잡한 형태의 밀폐 공간이다. 밀폐 공간은 스피커로 부터 출력된 사운드와의 공명의 결과로 잔향이 형성되는 "차실 내 공명 현상"을 야기한다.
연구에 따르면, 차실 내 공명 현상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800㎐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이것은 "머플 사운드(muffled sound)"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100㎐ 내지 800㎐의 주파수 대역내의 사운드의 출력 레벨이 낮아질 때, 음악 신호의 감지 음질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않고서 머플 사운드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내의 필터(511L, 511R)의 출력 신호는 차실 내의 공명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역 감쇄 필터(512L, 512R)에 공급한다.
필터(512L, 512R)는 2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센터 주파수 : 150㎐ 내지 600㎐(300㎐)
센터 주파수에서의 감쇄의 양 : 3dB 내지 6dB(3dB)
센터 주파수에서의 Q : 2.0 내지 4.0(3.0)
(c) 사운드 볼륨 조정과 연동된 효과 조정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에 대한 이전의 보정은 일반적으로 고주파 레벨에서의 증가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사운드 볼륨이 증가될 때, 고주파 사운드가 과도하게 두드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512L, 512R)의 출력 신호는 가변 고주파 감쇄 필터(쉘빙 필터(shelving filter))(513L, 513R)에 공급한다. 필터(513L, 513R)에는 마이크로컴 퓨터(11)로부터의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도 공급된다.
필터(513L, 513R)는 예를 들어 오더 1의 IR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턴오버 주파수 : 1㎑ 내지 3㎑(2.5㎑)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 : 0dB 내지 12dB
키(12)의 사운드 볼륨 조정 키가 작동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는 감쇄기 회로(7)에서의 감쇄의 양을 제어하여 재생 사운드의 볼륨을 조정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사운드 볼륨이 커질수록 필터(513L, 513R)내의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을 더 크게 하도록 필터(513L, 513R)내의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을 동시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높은 볼륨 레벨에서 고주파 사운드가 억제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볼륨 레벨에서의 적합한 재생을 수행하고 재생의 효과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 고주파 스피커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일부 유형의 차량은 도 12a내의 위치 (③) 주위에 배치된 고주파 스피커를 갖는다. 사운드 이미지 위치에 대한 전술한 보정이 이루어질 때, 사운드 이미지는 위치 (③)에 있는 것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주파 스피커의 제공은 별도의 사운드 이미지의 결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고주파 스피커가 위치 (③) 주위에 배치될 때, 위치 (①)에만 스피커가 배치될 때보다 더 많은 고주파 사운드가 청취자에게 도달하여 고주파 사운드 가 강조된다.
이에 따라, 필터(513L, 513R)의 출력 신호는 고주파 사운드를 감쇄하기 위해 고주파 감쇄 필터(쉘빙 필터(shelving filter; 514L, 514R))에 공급한다. 필터(514L, 514R)의 출력 신호는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51)의 출력 신호로서 공급된다.
그러므로, 필터(514L, 514R)는 예를 들어 1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괄호안의 값이 최적값임).
턴오버 주파수 : 3㎑ 내지 8㎑(1㎑)
고주파수에서의 감쇄의 양 : 0dB 내지 12dB, 사용자에 의해 가변됨
첨언하면, 고주파 스피커가 배치되지 않을 때(위치 (③)의 주위에), 필터(514L, 514R)내의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은 0dB로 설정될 것이다.
[개요]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실제 스피커가 장착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된 가상 스피커를 가지며, 이에 의해 가상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를 듣는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실 내에 이상적인 사운드 필드 및 사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더 낮은 위치에서의 사운드 이미지의 집중화를 방지하고 이상적인 눈 높이에 사운드 이미지를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주파를 재생하기 위해 소형 스피커가 상위 위치에 배치될 때 야기되는 문제점, 즉 별도의 사운드 이미지를 듣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 단일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사운드를 듣는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운드 필드의 공간적인 폭은 차분 성분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볼륨 레벨에 따라 최적의 보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재생 사운드에 반사 사운드를 포함시키기 위해 깊이 보정 회로(53)가 제공된다. 따라서, 더 큰 깊이를 갖는 재생 사운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52)는 간략화될 수 있으며, 제한된 처리 용량을 갖는 DSP 로도 기대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달 함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도 임의의 형태를 갖는 차량의 유형에 대해 최적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전달 함수를 평균화함으로써 복수 유형의 차량에 대한 효과적인 보정 필터 회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정 필터 회로는 어떠한 유형의 차량에 대해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의 개괄 설명]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재생을 위해서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가 청취자에 대해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스피커에 의해 재생된 사운드 이미지가 청취자의 앞에 집중되어야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도 12a를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의 스피커는 앞좌석을 위해서는 앞문의 하위 위치 (①)에 배치되고, 뒷좌석을 위해서는 뒷문의 하위 위치 (②)에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뒤쪽 트레이(rear tray)의 위치 (④)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앞쪽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앞쪽 우측 좌석내의 점유자에게 도달하고나서 다른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지연 후에 점유자에게 도달한다. 따라서, 점유자는 서로 위상이 다른 재생 사운드를 듣게 되어 정밀한 사운드 집중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일부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점유자의 착석 위치(좌석 위치)에 따라 최적으로 재생된 사운드 필드를 실현하는 "좌석 위치 기능"으로 지칭된 기능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이 좌석 위치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처리 수단(1∼9R)은 디지털 보정 회로(5)의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장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뒷좌석을 위한 좌채널과 우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보정 회로(5)로부터 추출되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지연 시간 및 주파수 특성은 좌석 위치 기능에 따라 보정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D/A 변환기 회로(6B)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감쇄기 회로(7B)와 출력 증폭기(8B)를 통해 좌채널 스피커(9LB)와 우채널 스피커(9RB)에 공급한다. 이 경우, 스피커(9LB, 9RB)는 예를 들어 도 12a의 위치 (②) 또는 도 12b의 위치 (④)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스피커(9L, 9R, 9LB, 9RB)에 의해 재생된 사운드에 의해 형성된 사운드 이미지는 예를 들어 청취자의 눈 높이에 위치되고, 재생 사운드는 더 큰 폭 과 깊이의 감각을 제공한다. 이 경우, 이들 효과는 청취자의 착석 위치에 상관없이 얻어질 수 있다.
[디지털 보정 회로(5) - 두번째]
디지털 보정 회로(5)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좌석 위치 기능을 실현한다. 특히, 깊이 보정 회로(53)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지연 회로(54L, 54R)를 통해 D/A 변환기 회로(6)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저주파 성분은 사운드 이미지의 집중화에 많은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저주파 사운드의 감지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터(511L, 511R)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가변 고주파 감쇄 필터(쉘빙 필터)(515LB, 515RB)에 공급되어 고주파 사운드가 감쇄된다.
이 경우, "좌석 위치"가 앞좌석에서의 일부 위치, 즉 앞좌석들, 우측 앞좌석 또는 좌측 앞좌석이 되도록 설정될 때, 필터(515LB, 515RB)는 뒤쪽 스피커(9LB, 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하고, 이에 의해 사운드 이미지가 뒷방향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필터(515LB, 515RB)는 예를 들어 1 오더의 IIR 타입이며,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
턴오버 주파수 : 3㎑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 : 마이크로컴퓨터(11)에 의해 제어됨
필터(515LB, 515RB)의 출력 신호는 지연 회로(54LB, 54RB)를 통해 D/A 변환 기 회로(6B)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지연 회로(54L, 54R, 54LB, 54RB)는 점유자의 착석 위치에 따라 스피커(9L, 9R, 9LB, 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연 회로(54LB, 54RB)는 스피커(9L, 9R)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뒤쪽 스피커(9LB, 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보다 10 내지 20㎳ 일찍 앞좌석의 점유자에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연 회로(54L∼54RB)의 지연 시간은 마이크로컴퓨터(11)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점유자의 착석 위치를 입력하기 위해 제어 키(12)의 소정 키가 작동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는 이 작동에 응답하여 필터(515LB, 515RB)내의 고주파에서의 감쇄의 양과 지연 회로(54L∼54RB)의 지연 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지연 회로(54L∼54RB)는 스피커(9L∼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점유자에 도달될 때에는 서로 동상이 되도록 한다. 그 결과, 사운드 이미지를 정밀하게 집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터(515L, 515B)가 뒤쪽 스피커(9LB, 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의 고주파 성분을 감쇄하기 때문에, 앞좌석의 점유자에 의해 감지된 사운드 이미지의 위치는 뒤쪽 방향으로 들어오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사운드 이미지의 정밀한 집중화에 기여한다.
또한, 인간의 청감은 선행 효과(precedence effect; Hass 효과), 즉 강조되는 것보다 약 10㎳ 내지 20㎳ 일찍 도착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지연 회로(54LB, 54RB)가 전면 스피커(9L, 9R)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를 뒤쪽 스피커(9LB, 9RB)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보다 10㎳ 내지 20㎳ 정도 선행하도록 하므로, 전면 스피커(9L, 9R)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강조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사운드 볼륨을 감소시키지 않고 앞쪽에 사운드 이미지를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사운드 이미지의 집중화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 저주파 성분이 스피커(9LB, 9RB)로부터 출력되므로, 전체적인 음압(sound pressure) 레벨이 낮아지지 않거나 또는 저주파 사운드의 두께(thickness)가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의 뒤쪽 스피커가 일반적으로 앞쪽 스피커보다 직경이 더 크므로, 저주파 출력용의 스피커(9LB, 9RB) 성능의 전체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선행 효과 때문에, 앞쪽 스피커(9L, 9R)로부터 출력된 재생 사운드가 강조된 것으로 감지되며, 따라서 DSP 등의 성능이 전면 스피커(9L, 9B)에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의 신호 라인에만 설정될 그래픽 이퀄라이저 처리와 같은 신호 처리를 허용할 때에도, 그 처리의 효과는 전체 차실에서 발생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점유자의 착석 위치는 제어 키(12)를 통해 입력된다. 그러나, 점유자의 착석 위치는 차실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 또는 좌석에 설치된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어 그 검출 출력에 따라 착석 위치에 대응하는 성질을 갖도록 마이크로컴퓨터(11)에 의해 필터(515LB, 515RB) 및 지연 회로(54L∼54RB)가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어의 목록]
A/D : 아날로그 대 디지털
CD : 컴팩트 디스크
D/A : 디지털 대 아날로그
DSP :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FIR : 유한 임펄스 응답
FM : 주파수 변조
HRTF : 헤드 관련 전달 함수
IIR : 무한 임펄스 응답
MD : 미니 디스크
Q : 음질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의 장착 위치가 제한되는 경우에도 사운드 이미지가 이상적인 눈 높이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더 큰 폭과 깊이의 감각을 제공할 수 있고 청취자의 선호에 따라 폭과 깊이의 감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 필터 회로가 간략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한된 처리 능력을 갖는 DSP로도 기대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전달 함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서만으로도 임의의 형태를 갖는 차량의 유형에 대해 최적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전달 함수를 평균화함으로써 복수 유형의 차량을 위한 효과적인 보정 필터 회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정 필터 회로는 어떠한 유형의 차량에 대해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좌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L(Z)와 우채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R(Z)를 다음의 수식:
    YL(Z)·GLL(Z) + YR(Z)·GLR(Z) = XL(Z)·FLL(Z) + XR(Z)·FLR(Z)
    YR(Z)·GLL(Z) + YL(Z)·GLR(Z) = XR(Z)·FLL(Z) + XL(Z)·FLR(Z)
    으로 표현된 좌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우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 각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 상기 FLL(Z)는 탑승객 차실 내의 청취자의 전면에 위치된 제1 좌채널 스피커와 제1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상기 청취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고,
    상기 FLR(Z)는 상기 제1 좌채널 스피커와 상기 제1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상기 청취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고,
    상기 GLL(Z)는 상기 청취자의 하위 전면에 위치된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제2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상기 청취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이고,
    상기 GLR(Z)는 상기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상기 제2 우채널 스피커에서 각각 상기 청취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까지의 헤드 관련 전달 함수임 -;
    상기 좌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상기 우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를 각각 지연시킴으로써 반사 사운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반사 사운드 신호 발생 회로;
    상기 반사 사운드 신호를 각각 상기 좌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상기 우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에 가산하기 위한 한 쌍의 가산 회로; 및
    상기 한 쌍의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D/A 변환기 회로
    를 포함하고,
    Hp(Z) = (FLL(Z) + FLR(Z))/(GLL(Z) + GLR(Z))
    Hm(Z) = (FLL(Z) - FLR(Z))/(GLL(Z) - GLR(Z)) 일 때,
    상기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는,
    상기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XL(Z)와 XR(Z)를 각각 가산 및 감산하기 위한 제1 가산 회로 및 제1 감산 회로;
    상기 제1 가산 회로 및 상기 제1 감산 회로의 출력 신호가 각각 제공되고, 상기 Hp(Z)와 상기 Hm(Z)의 전달 특성을 갖는 제1 디지털 필터 및 제2 디지털 필터;
    상기 제1 디지털 필터 및 상기 제2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각각 가산 및 감산하여 상기 좌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와 상기 우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가산 회로 및 제2 감산 회로; 및
    상기 제1 감산 회로와 상기 제2 가산 회로 및 상기 제2 감산 회로간의 신호 라인에서 상기 제2 디지털 필터와 직렬 접속된 레벨 제어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가산 회로와 상기 제2 감산 회로에 제공되는 차분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D/A 변환기 회로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각각 상기 제2 좌채널 스피커와 상기 제2 우채널 스피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산 회로에 공급된 상기 반사 사운드 신호의 지연 시간 또는 레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사운드 신호가 되는 상기 좌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L(Z) 및 우채널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 YR(Z)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의 앞쪽의 단에 주파수 특성 보정 회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사운드 이미지 위치 보정 회로, 상기 반사 사운드 신호 발생 회로, 및 상기 한 쌍의 가산 회로는 DSP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KR1020010056407A 2000-09-14 2001-09-13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KR100795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9559 2000-09-14
JP2000279559A JP4264686B2 (ja) 2000-09-14 2000-09-14 車載用音響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343A KR20020021343A (ko) 2002-03-20
KR100795282B1 true KR100795282B1 (ko) 2008-01-15

Family

ID=1876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407A KR100795282B1 (ko) 2000-09-14 2001-09-13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1843B2 (ko)
JP (1) JP4264686B2 (ko)
KR (1) KR100795282B1 (ko)
CN (1) CN1250045C (ko)
DE (1) DE10144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825B2 (en) * 1994-05-09 2012-05-29 Breed David S Sound management techniques for vehicles
US7447321B2 (en) 2001-05-07 2008-11-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for configuration of audio signals in a vehicle
US7451006B2 (en) 2001-05-07 2008-11-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using distortion limiting techniques
US6804565B2 (en) 2001-05-07 2004-10-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ata-driven software architecture for digital sound processing and equalization
WO2002098171A1 (en) * 2001-05-28 2002-12-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mounted stereophonic sound field reproducer/silencer
WO2003093775A2 (en) 2002-05-03 2003-11-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detection and localization system
JP4185770B2 (ja) * 2002-12-26 2008-11-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響装置および音響特性の変更方法および音響補正用プログラム
FR2865096B1 (fr) * 2004-01-13 2007-12-28 Cabasse Systeme acoustique pour vehicul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100969110B1 (ko) 2004-12-06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5.1 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 방법
CN101175343B (zh) * 2004-12-24 2010-04-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声像定位装置
JP2006203850A (ja) * 2004-12-24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像定位装置
CN1943273B (zh) * 2005-01-24 2012-09-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声像定位控制装置
JP4714508B2 (ja) * 2005-06-06 2011-06-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室内における音声再生制御装置
EP1901583B1 (en) * 2005-06-30 2011-07-27 Panasonic Corporation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apparatus
JP4602204B2 (ja) 2005-08-31 2010-12-22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4637725B2 (ja) 2005-11-1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839924B2 (ja) * 2006-03-29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車内空間の音場最適化補正方法及び車内空間の音場最適化補正システム
JP4916754B2 (ja) * 2006-04-04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残響付加装置及び残響付加プログラム
JP4713398B2 (ja) * 2006-05-15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その音像移動方法
JP4975376B2 (ja) * 2006-05-31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再生システム
JP4835298B2 (ja) 2006-07-21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94386B2 (ja) 2006-07-21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CN101137250B (zh) * 2007-10-08 2012-08-29 广东好帮手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音响自适应音场调节方法及装置
TW200930594A (en) * 2008-01-14 2009-07-16 Sunplus Technology Co Ltd Automotive virtual surround audio system
JP4780119B2 (ja) * 2008-02-15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頭部伝達関数測定方法、頭部伝達関数畳み込み方法および頭部伝達関数畳み込み装置
JP2009206691A (ja) 2008-02-27 2009-09-10 Sony Corp 頭部伝達関数畳み込み方法および頭部伝達関数畳み込み装置
DE102008013979B4 (de) 2008-03-12 2013-11-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Fahrzeug mit einem Audio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diosystems in einem Fahrzeug
JP5092974B2 (ja) * 2008-07-30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伝達特性推定装置、雑音抑圧装置、伝達特性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40581B2 (ja) * 2009-06-23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5672741B2 (ja) * 2010-03-31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33248B2 (ja) 2010-05-20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2012004668A (ja) 2010-06-14 2012-01-05 Sony Corp 頭部伝達関数生成装置、頭部伝達関数生成方法及び音声信号処理装置
JP5776223B2 (ja) * 2011-03-02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音像制御装置および音像制御方法
PL2737722T3 (pl) * 2011-07-28 2016-09-30 Pojazd z głośnikami ścian bocznych
JP5966897B2 (ja) * 2012-12-06 2016-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運転サポート装置
JP6216553B2 (ja) * 2013-06-27 2017-10-1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伝搬遅延補正装置及び伝搬遅延補正方法
DE102013223013A1 (de) * 2013-11-12 2015-05-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Optimierung von Filterkoeffizienten eines zur Filterung eines digitalen Audiosignals geeigneten FIR-Filters
CN105227740A (zh) * 2014-06-23 2016-01-06 张军 一种实现移动终端三维声场听觉效果的方法
JP6343771B2 (ja) * 2014-08-07 2018-06-20 日本放送協会 頭部伝達関数のモデリング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8509033A (ja) * 2015-01-20 2018-03-29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自動車内での三次元サウンド再生のためのラウドスピーカ配置
US9786262B2 (en) 2015-06-24 2017-10-10 Edward Villaume Programmable noise reducing, deadening, and cance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375207B1 (en) * 2015-12-07 2021-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771182B (zh) 2017-05-03 2021-11-05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用于音频渲染的音频处理器、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
CN109104686B (zh) * 2017-09-30 2019-12-20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音响立体声扩展方法
US10575116B2 (en) * 2018-06-20 2020-02-25 Lg Display Co., Ltd. Spectral defect compensation for crosstalk processing of spatial audio signals
JP6984559B2 (ja) * 2018-08-02 2021-1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集音拡声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744216B (zh) * 2023-08-16 2023-11-03 苏州灵境影音技术有限公司 基于双耳效应的汽车空间虚拟环绕声音频系统及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600A (ja) * 1992-04-14 199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音場補正装置
JP2000201400A (ja) * 1998-10-30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像定位装置及び音像定位方法
JP2000228799A (ja) * 1999-02-05 2000-08-15 Open Heart:Kk ステレオ再生用の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音をスピーカ外に音像定位させる方法
JP2000236598A (ja) * 1999-02-12 2000-08-2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音像位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9275B (de) * 1982-04-20 1985-12-10 Neutrik Ag Stereophone wiedergabeanlage in fahrgastraeumen von kraftfahrzeugen
JPS60107998A (ja) * 1983-11-16 1985-06-1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音響装置
JPS61210800A (ja) * 1985-03-14 1986-09-18 Nissan Motor Co Ltd 音響再生装置
JPH0236698A (ja) * 1988-07-26 1990-02-06 Mazda Motor Corp 車両用オーディオ装置
JP2708105B2 (ja) * 1989-04-26 1998-02-04 富士通テン 株式会社 車載用音響再生装置
DE69028394T2 (de) * 1989-12-29 1997-01-16 Fujitsu Ten Ltd Tonwiedergabevorrichtung
DE4136022C2 (de) * 1990-11-01 2001-04-19 Fujitsu Ten Ltd Vorrichtung zum Aufweiten und Symmetrisieren von Klangfeldern
EP0873667B1 (en) * 1996-01-26 2007-04-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system
US6307941B1 (en) * 1997-07-15 2001-10-23 Desper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ation of virtual sound
JP3513850B2 (ja) * 1997-11-18 2004-03-3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像定位処理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600A (ja) * 1992-04-14 199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音場補正装置
JP2000201400A (ja) * 1998-10-30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像定位装置及び音像定位方法
JP2000228799A (ja) * 1999-02-05 2000-08-15 Open Heart:Kk ステレオ再生用の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音をスピーカ外に音像定位させる方法
JP2000236598A (ja) * 1999-02-12 2000-08-2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音像位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44623A1 (de) 2002-07-18
CN1343591A (zh) 2002-04-10
CN1250045C (zh) 2006-04-05
US6501843B2 (en) 2002-12-31
US20020034308A1 (en) 2002-03-21
JP4264686B2 (ja) 2009-05-20
KR20020021343A (ko) 2002-03-20
JP2002095096A (ja)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82B1 (ko) 자동차용 오디오 재생 장치
KR100718478B1 (ko) 차량탑재 음향 재생 장치
US6901148B2 (en) Automatic sound field correcting device
US8031880B2 (en) Vehicle audio system surround modes
US9930468B2 (en) Audio system phase equalization
CN101052242B (zh) 均衡音响系统的方法
US5129004A (en) Automotive multi-speaker audio system with different timing reproduction of audio sound
US20050213786A1 (en) Acoustic system for vehicle and corresponding device
EP1056310B1 (en) Automotive audio system
US20110058684A1 (en) Audio reproduction device
CN109076302B (zh) 信号处理装置
US20110268298A1 (en) Sound field correcting device
US20020031231A1 (en) Acoustic apparatus
JPH01248800A (ja) 車両搭載型音響再生装置
JPH0847078A (ja) 車室内周波数特性自動補正方法
JPH01223895A (ja) 音響再生装置
JPH0759200A (ja) 音響再生装置
JPH04158700A (ja) 車載用音響装置
US20040136551A1 (en) Audio apparatus
JP2528993B2 (ja) 周波数特性制御装置
KR200248983Y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JPH03254163A (ja) 車両用音響装置
JP2007184758A (ja) 音響再生装置
JPS58205400A (ja) 音場拡大効果装置
JP2003054326A (ja) 車両用ステレオ音響再生のためのスピーカー配置と信号処理機及びこれら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