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920B1 - 절첩식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절첩식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920B1
KR100792920B1 KR1020067012572A KR20067012572A KR100792920B1 KR 100792920 B1 KR100792920 B1 KR 100792920B1 KR 1020067012572 A KR1020067012572 A KR 1020067012572A KR 20067012572 A KR20067012572 A KR 20067012572A KR 100792920 B1 KR100792920 B1 KR 10079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ide housing
housing
folding port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777A (ko
Inventor
가쯔또시 이시꾸라
와호 오오
마사오 미야자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절첩식 휴대 단말(1)은 표시부(11)를 구비한 하우징(10)과, 조작부(21)를 구비한 하우징(20)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기구는 하우징(20)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하우징(10)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을 하우징(10)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한 제1 힌지부(12)와, 하우징(10)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하우징(20)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시켜 하우징(20)의 대략 상단부에 배치한 제2 힌지부(24)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부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13a)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해 표시부(11)와 조작부(21)가 대향하지 않도록 절첩 가능하게 하고, 절첩 시에 사용자는 조작부(21)를 조작하거나, 표시부(11)를 볼 수 있다.
절첩식 휴대 단말, 하우징, 힌지 기구, 표시부, 조작부, 회전축

Description

절첩식 휴대 단말 {FOLD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 단말,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스타일을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절첩식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구조의 절첩식 휴대 단말이 보급되어 있다. 통상의 절첩식 휴대 단말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내측에 가려지도록 닫혀 있고, 통화나 전자 메일 등을 이용할 때에 열어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닫혔을 때에 표시부가 가려지므로, 다수의 절첩식 휴대 단말은 닫힌 상태에서도 착신 정보나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브 표시부를 장비하고 있다. 또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 텔레비전 전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된 사진이나 동화상 촬영용 메인 카메라와는 별도로, 하우징의 내측에 서브 카메라를 장비한 것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메인 표시부를 외측으로 하여 닫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한 절첩식 휴대 단말 등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 표시부를 설치한 절첩식 휴대 단말은 서브 표시부를 부가함으로써 단말 사이즈의 소형화가 방해되고 또한 비용적으로도 고가의 것이 된다. 또한, 이 절첩식 휴대 단말에 의해 텔레비전 전화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우 징 외측에 구비된 촬영용 메인 카메라와는 별도로 하우징 내측에 서브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말 사이즈의 소형화가 방해되고 또한 비용적으로도 고가의 것이 된다. 또한, 메인 카메라 하나로 구성하는 경우라도 하우징의 외측 혹은 내측을 향하도록 메인 카메라에 회전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마찬가지로 비용적으로는 높아진다. 또한, 휴대 단말을 텔레비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표시 화면을 가로로 할 필요가 있어, 통상의 절첩식 휴대 단말에서는, 텔레비전을 보는 스타일로서는 부자연스럽다.
또한, 서브 표시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메인 표시부를 외측으로 하여 닫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도 조작부는 내측으로 절첩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조작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에서 통화할 수 없고, 통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절첩식 휴대 단말을 열거나, 또는 닫힌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한 통화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생긴다.
여기서, 하기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는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에 대해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을 360도 여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표시부 및 조작부 모두 외측으로 하여 닫히도록 한 절첩식 휴대 단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32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884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 단말은 조작부측 하우징과, 표시부측 하우징을 서로 360도 여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한 것으로, 표시부와 조작부 모두 외측으로 하여 닫을 수 있는 한편, 조작부를 내측으로, 표시부를 외측으로 하여 닫을 수는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부를 외측으로 하여 닫고 휴대할 때에 외측의 조작부를 잘못하여 조작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과,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 절첩 시에 조작부를 조작하거나, 표시부를 볼 수 있는 절첩 구조를 갖고, 상기 절첩 구조에 의해 전화, 전자 메일, 텔레비전 전화,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다양한 기능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기술 수단은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과,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을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한 제1 힌지부와,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의 대략 상단부에 배치한 제2 힌지부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부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가 대향하지 않도록 절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2 기술 수단은 제1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기 조작부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외측을 향해 절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3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를 설치한 면에 촬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4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를 설치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촬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5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에 대해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을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촬상 수단을 상단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6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에 대해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을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촬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7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휴대 단말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 또는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과,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 절첩 시에 조작부를 조작하거나, 표시부를 볼 수 있는 절첩 구조를 갖고, 상기 절첩 구조에 의해 전화, 전자 메일, 텔레비전 전화,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다양한 기능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의 개관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에 설치된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을 연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의 개관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의 개관도이다.
도8은 절첩식 휴대 단말의 사용 스타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절첩식 휴대 단말
10 : 표시부측 하우징
11 : 표시부
12 : 제1 힌지부
12a, 12b : 제1 힌지 부재
13a, 13b : 연결 수단
20 : 조작부측 하우징
21 : 조작부
22, 25, 26 : 카메라
23 : 조작 버튼
24 : 제2 힌지부
24a, 24b : 제2 힌지 부재
30 : 대
40a, 40b : 케이블
41 : 제1 회전축
42 : 제2 회전축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의 개관도로, 도면 중 부호 1은 절첩식 휴대 단말이고, 절첩식 휴대 단말(1)은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10)과,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20)을 갖는다. 표시부측 하우징(10)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등의 표시부(11)를 갖는 하우징이 다. 조작부측 하우징(20)은 절첩식 휴대 단말(1)의 다양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를 갖는 하우징이다. 표시부측 하우징(10)의 대략 중앙부에는 조작부측 하우징(20)에 대해 표시부측 하우징(10)을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12)가 설치되고, 조작부측 하우징(20)의 대략 상단부에는 제1 힌지부(12)와 평행한 제2 힌지부(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힌지부(12)와 제2 힌지부(24)의 양단부는 연결 수단(13a, 13b)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사진 촬영, 동화상 촬영, 텔레비전 전화 등에 사용하는 카메라(22)가 조작부측 하우징(20)측에 설치되어 있고, 셔터 버튼 등 카메라 조작이나 그 밖의 조작에 사용하기 위한 조작 버튼(23)이 조작부측 하우징(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버튼(23)은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만 설치한 상태를 대표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 형태로서, 표시부측 하우징(10)의 대략 하단부에 조작부측 하우징(20)에 대해 표시부측 하우징(10)을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12)를 설치하고, 조작부측 하우징(20)의 대략 중앙부에 제1 힌지부(12)와 평행한 제2 힌지부(24)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힌지부(12)와 제2 힌지부(24)의 양단부가 연결 수단(13a, 13b)으로 연결된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1)에 설치된 제1 힌지부(12) 및 제2 힌지부(2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의 (a)는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힌지부(12) 및 제2 힌지부(24)를 도시하는 단면 도이고, 도2의 (b)는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힌지부(12) 및 제2 힌지부(24)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의 (a) 및 도2의 (b)에 있어서, 표시부측 하우징(10)과 조작부측 하우징(20)의 전기 접속은 케이블(40a), 케이블(40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10)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 힌지부(12)는,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1 힌지 부재(12a, 12b) 및 제1 회전축(4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2a) 및 제1 회전축(41)의 단면은 도넛형으로 되어 있고, 그 도넛의 구멍에 케이블(40a)이 통과된다. 마찬가지로, 제1 힌지 부재(12b) 및 제1 회전축(41)의 단면은 도넛형으로 되어 있고, 그 도넛의 구멍에 케이블(40b)이 통과된다. 이로 인해, 회전할 때에는 제1 힌지 부재(12a, 12b) 및 제1 회전축(41)만 회전하고, 케이블(40a 및 40b)은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2)는 180도 정도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12a, 12b) 주변의 케이블(40a 및 40b)은 180도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느슨함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20)의 대략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 힌지부(24)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2 힌지 부재(24a, 24b) 및 제2 회전축(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힌지부(24)의 구조는 상술한 제1 힌지부(12)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힌지부(24)는 360도 정 도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힌지 부재(24a, 24b) 주변의 케이블(40a 및 40b)은 360도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힌지 부재(12a, 12b)보다도 여분의 느슨함을 더 갖게 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측 하우징(10)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 제1 힌지부(12), 조작부측 하우징(20)의 대략 상단부에 배치된 제2 힌지부(24)는 각각 어느 정도 힌지의 회전에 저항을 가함으로써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임의의 회전 각도로 유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프리 스톱(frees top) 구조를 갖고 있다. 단, 자주 사용되는 형상, 스타일에 따른 회전 각도로 유지되도록 회전 각도마다 스토퍼 부재를 설치하여, 그 형상, 스타일로 회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도3의 (a) 내지 도3의 (c)는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연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예를 들어, 전화, 전자 메일, 웹사이트의 열람 등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는,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10) 및 조작부측 하우징(20)을 서로 연 스타일로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단말(1)은 조작부측 하우징(20)측에 카메라(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촬영이나, 손에 들고 텔레비전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3의 (a)에 도시하는 스타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22)를 표시부측 하우징(10)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힌지부(12)가 도3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3의 (c)에 나 타내는 상태까지 180도 정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표시부(11)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기 이외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반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표시부(11)의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부(11)를 반전시켰을 때에 자동적으로 표시부(11)의 영상도 상하 반전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 단말(1)에 회전 각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회전 각도 센서에 의해 제1 힌지부(12)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여 표시부(11)의 영상의 상하 반전을 행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24)는 360도 정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표시부(11) 및 조작부(21)를 내측으로 하여 닫은 상태로부터 360도 연 상태, 즉 표시부(11) 및 조작부(21)를 외측으로 하여 닫은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기 이외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이 360도 더 열린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의 도4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의 (a) 또는 도3의 (c)에 나타내는 상태로 촬영을 행하는 경우, 촬영 시에 사용하는 셔터 버튼 등의 카메라 조작은 조작 버튼(23) 혹은 조작부(21)를 사용한다.
도4의 (a) 내지 도4의 (c)는 도1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을 닫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통상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 조작부(21), 카메라(22)를 내측으로 하여 닫으면 된다. 이와 같이 닫음으로써 사용자가 절첩식 휴대 단말(1)을 휴대할 때 등에 표시부(11)나 카메라(22)를 손상시킬 우려는 없고, 또한 잘못하여 조작부(21)를 누르는 일도 없다.
또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열지 않고 착신 정보나 시간 정보 등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반전시켜 닫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절첩식 휴대 단말이 구비하고 있었던 서브 액정 화면의 대체가 된다. 통상, 표시부(11)의 화면 사이즈는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서브 액정 화면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1)의 표시 영역의 일부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하면 소비 전력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절첩식 휴대 단말(1)에 텔레비전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 텔레비전을 보기 위한 스타일로서는,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반전시켜 닫고, 표시부(11)를 가로로 한 스타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닫은 상태, 즉 콤팩트한 스타일로 텔레비전을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채널 절환 등의 조작은 조작 버튼(23)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 조작부(21) [및 카메라(22)]의 양쪽을 외측으로 하여 닫는다. 환언하면, 도4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표시부(11)를 360도 연 스타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메라(22)로부터 들어온 영상을 그대로 표시부(11)에 비출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셔터 버튼 등의 카메라 조작은 조작 버튼(23)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외측으로 나와 있는 조작부(21)를 카메라 조작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4의 (b)에 도시하는 스타일로 텔레비전을 보는 것도 가능하고, 이 스타일에서는 조작부(21)가 외측으로 나와 있으므로, 이 조작부(21)를 텔레비전 조작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잘못하여 조작부(21)의 조작 버튼을 누를 우려가 있으므로, 텔레비전만을 보는 경우에는 도4의 (b) 혹은 도4의 (c)에 도시하는 스타일을 상황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4의 (b)에 도시하는 스타일로 닫아 두면 조작부(21)가 항상 외측으로 나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착신, 통화 등 일부러 절첩식 휴대 단말(1)을 열 필요가 없고, 닫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타일로 대 위에 두고, 텔레비전을 보거나, 탁상 시계 등으로 이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의 개관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단말(1)의 구조와 다른 점은 카메라(25)가 조작부측 하우징(20)의 조작부(21)와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고, 그 밖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단말(1)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6의 (a) 내지 도6의 (c)는 도5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을 닫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개관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단말(1)과는 카메라(25)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카메라의 사용 시에 사용 형태가 달라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외측으로 하고, 조작부(21)를 내측으로 하여 닫는다. 이에 의해, 카메라(25)로부터 들어온 영상을 그대로 표시부(11)에 비출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 사용 가능해진다. 셔터 버튼 등의 카메라 조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23)을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할 필요가 없는 조작부(21)를 내측으로 하여 숨김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조작면에서의 혼동을 부여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촬영이나, 손에 들고 텔레비전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열린 상태로부터 조작부측 하우징(20)에 대해 표시부측 하우징(10)을 180도 정도의 회전 각도로 열고, 표시부(11)를 조작부(21)와 반대측으로 반전시킨 스타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메라(25)를 자기 자신을 향하세 하면서 그 영상을 동시에 표시부(11)에서 확인할 수 있고, 텔레비전 전화 등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1)의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전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표시부(11)의 영상도 상하 반전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카메라(25)를 사용하는 것 이외의 사용 스타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의 개관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단말(1)과의 차이는 조작부측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제2 힌지부(24)가 구비하는 제2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카메라(26)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카메라(26)는 회전축을 중심으 로 180도 정도 회전 가능하다. 그 밖에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절첩식 휴대 단말(1)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26)는 표시부측 하우징(10)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카메라(26)는 회전 가능하므로, 조작부측 하우징(20)의 조작부(21)측을 향하게 하거나, 조작부(21)와 반대측을 향하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카메라(26)를 조작부(21)측을 향하게 했을 때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절첩식 휴대 단말(1)과 동일한 스타일이고, 조작부(21)의 반대측을 향하게 했을 때에는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절첩식 휴대 단말(1)과 동일한 스타일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26)의 회전 각도를 다양한 위치에서 유지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8의 (a) 및 도8의 (b)는 절첩식 휴대 단말(1)의 사용 스타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단말(1)을 휴대하지 않고 대(30) 상에 두고 텔레비전 전화 등을 할 때의 스타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절첩식 휴대 단말(1)을 대(30) 상에 두고 텔레비전 전화를 할 때에는 카메라(26)를 설치한 조작부측 하우징(20)을 대(30) 상에 적재하고, 텔레비전 전화의 사용자는 표시부(11)와 마주 향하고, 카메라(26)를 적당하게 회전시켜 사용자의 방향을 향한다. 이때,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1)가 조작부(21)에 대해 반전된 상태에서 임의의 회전 각도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절첩식 휴대 단말(1)과 마찬가지로 표시부(11)의 영상을 상하 반전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21)측의 면을 위로 하여 대(30) 에 둘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텔레비전 전화 중에 절첩식 휴대 단말(1)을 대(30)에 둔 상태에서 다양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기능을 부가한 절첩식 휴대 단말(1)은 소형의 적치 텔레비전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절첩식 휴대 단말(1)을 탁상 시계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8의 (b)는 절첩식 휴대 단말(1)의 조작부(21)를 내측으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스타일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21)를 내측으로 하여 접어 넣은 스타일을 도시하고 있지만, 조작부(21)를 외측으로 하여 접어 넣은 스타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단말(1)의 사용 방법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식 휴대 단말에 있어서, 표시부를 외측으로 내고 닫는 것이 가능하므로, 서브 표시부나 서브 카메라 등이 불필요해져 종래의 단말에 비해 단말 사이즈의 소형화나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절첩식 휴대 단말의 조작부를 외측으로 내고 닫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신, 통화 등 닫은 상태에서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부를 외측으로 내고 닫음으로써 사용자가 잘못하여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작부만을 내측으로 하여(표시부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하여) 닫을 수도 있다.
또한, 절첩식 휴대 단말이 적치 텔레비전이나 탁상 시계 등이 되거나, 또는 회전 카메라를 장비하면 대 상에 둔 상태에서 텔레비전 전화 등이 가능해진다. 절 첩식 휴대 단말의 조작부측 하우징을 대 상에 두었을 때, 조작부를 조작 가능하도록 위로 하여 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절첩식 휴대 단말을 대에 둔 상태에서 착신, 통화 등의 각종 조작이나, 채널 절환 조작 등을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부측 하우징과,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부측 하우징이 힌지 기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식 휴대 단말이며,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을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한 제1 힌지부와,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에 대해 절첩하는 방향 혹은 여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의 상단부에 배치한 제2 힌지부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부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가 대향하지 않도록 절첩 가능하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외측을 향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를 설치한 면에 촬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휴대 단말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상기 조작부측 하우징 또는 상기 표시부측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
KR1020067012572A 2003-11-26 2004-10-21 절첩식 휴대 단말 KR100792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5112 2003-11-26
JPJP-P-2003-00395112 2003-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77A KR20060095777A (ko) 2006-09-01
KR100792920B1 true KR100792920B1 (ko) 2008-01-08

Family

ID=3463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72A KR100792920B1 (ko) 2003-11-26 2004-10-21 절첩식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42285B2 (ko)
EP (1) EP1699208B1 (ko)
JP (1) JP4162683B2 (ko)
KR (1) KR100792920B1 (ko)
CN (1) CN1906917A (ko)
DE (1) DE602004027946D1 (ko)
WO (1) WO20050532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742B2 (en) 2016-01-04 2019-02-19 Jin Cheol Shi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KR20190020000A (ko) 2019-02-19 2019-02-27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20200011099A (ko) 2018-07-24 2020-02-03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769A (ja) * 2004-12-01 2006-06-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WO2008058556A1 (en) * 2006-11-14 2008-05-22 Nokia Corporation A portab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8005518B1 (en) *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JP5099753B2 (ja) * 2007-05-28 2012-12-19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9081704A (ja) * 2007-09-26 2009-04-16 Nec Corp 携帯端末
CN101726984B (zh) * 2008-10-10 2012-02-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摄影装置
US9052874B2 (en) 2008-11-14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Handheld device with a user interface
US8483784B2 (en) 2009-12-18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US8843183B2 (en) 2010-01-15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body members
WO2011092776A1 (ja) * 2010-01-28 2011-08-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
US8290549B2 (en) 2010-06-16 2012-10-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US20130329394A1 (en) * 2011-02-07 2013-12-1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730599B2 (ja) * 2011-02-07 2015-06-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5730598B2 (ja) * 2011-02-07 2015-06-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68618A (ja) 2011-02-10 2012-09-06 Kyocera Corp 電子機器
KR101213692B1 (ko) * 2011-03-28 2012-12-18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13021378A (ja) * 2011-06-17 2013-01-31 Sony Corp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入力信号受信装置、操作入力装置、及び入力システム
EP2557761B1 (en) * 2011-08-10 2014-07-23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US8769772B2 (en) 2011-08-10 2014-07-08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JP5214812B1 (ja) * 2012-01-10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2213235A (ja) * 2012-07-27 2012-11-01 Fujitsu Ltd 携帯機器
JP6253287B2 (ja) * 2013-07-18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9444980B2 (en) 2013-07-01 2016-09-1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CN104375559B (zh) * 2013-08-12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2014082789A (ja) * 2014-01-28 2014-05-08 Fujitsu Ltd 携帯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068A (ja) * 1992-12-17 1994-07-08 Toshiba Corp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30021564A (ko) * 2001-09-06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212A (ja) * 1990-03-28 1991-12-09 Canon Inc 携帯用電子機器
US5268817A (en) * 1990-04-27 1993-12-07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with keyboard and having display with coordinate input tablet rotatably mounted to face either toward or away from keyboard when closed over keyboard
US6392877B1 (en) * 2000-06-05 2002-05-21 Richard J. Iredale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JP4520009B2 (ja) * 2000-10-02 2010-08-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2002171324A (ja) 2000-12-01 2002-06-14 Tookado:Kk 折畳式携帯電話機
JP2002198849A (ja)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折りたたみ式無線通信端末
JP2002218034A (ja) 2001-01-16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端末装置
JP3392831B2 (ja) 2001-04-03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2002344591A (ja) * 2001-05-15 2002-11-29 Kyocera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JP3483144B2 (ja)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4034568B2 (ja) * 2002-01-18 2008-01-16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機器
JP2003249986A (ja) 2002-02-22 2003-09-05 Canon Inc 撮像および通信装置
JP2003283617A (ja) * 2002-03-20 2003-10-03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3324512A (ja) * 2002-05-08 2003-11-14 Tsutomu Wada 携帯電話機
JP2006157769A (ja) * 2004-12-01 2006-06-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068A (ja) * 1992-12-17 1994-07-08 Toshiba Corp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30021564A (ko) * 2001-09-06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742B2 (en) 2016-01-04 2019-02-19 Jin Cheol Shi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KR20200011099A (ko) 2018-07-24 2020-02-03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20190020000A (ko) 2019-02-19 2019-02-27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9208A4 (en) 2008-02-13
CN1906917A (zh) 2007-01-31
US7742285B2 (en) 2010-06-22
DE602004027946D1 (de) 2010-08-12
JPWO2005053288A1 (ja) 2007-06-21
EP1699208A1 (en) 2006-09-06
JP4162683B2 (ja) 2008-10-08
EP1699208B1 (en) 2010-06-30
US20090005130A1 (en) 2009-01-01
WO2005053288A1 (ja) 2005-06-09
KR20060095777A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920B1 (ko) 절첩식 휴대 단말
JP3882687B2 (ja) 携帯型通信装置
US811579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4061473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261544B2 (ja)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JP3906655B2 (ja) 携帯電話機
JP2007081804A (ja) 可動ヒンジを有する携帯端末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3811401B2 (ja) 携帯端末
EP1489835B1 (en) Foldable portable instrument with camera
JP3874750B2 (ja) スライド機能を有する折畳み型携帯端末
JP200412029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
JP411240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308017A (ja) 携帯機器及び2軸ヒンジ部品
KR100455767B1 (ko) 멀티 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2006007428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
WO2006045987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4125192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40084151A (ko)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단말기
KR100575750B1 (ko) 보조 멀티기능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92001B1 (ko) 회전식 보조액정표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2005217470A (ja) 折畳式電子機器
JP200825240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376790Y1 (ko) 상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