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644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644B1
KR100792644B1 KR1020060034605A KR20060034605A KR100792644B1 KR 100792644 B1 KR100792644 B1 KR 100792644B1 KR 1020060034605 A KR1020060034605 A KR 1020060034605A KR 20060034605 A KR20060034605 A KR 20060034605A KR 100792644 B1 KR100792644 B1 KR 10079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developer
forming apparatus
form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865A (ko
Inventor
나오마사 오키무라
다케시 오코시
유키노리 세자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개구부(21e)를 구비한 화상 형성 유닛(20)과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구(37a)를 구비한 현상제 탱크(34)를 갖는다. 개구부(21e)가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 설치되고, 공급구(37a)는 현상제 탱크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 설치되며,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서 현상제 탱크(34)의 길이 방향 일단이 화상 형성 유닛(20)과 대략 직교하도록 화상 형성 유닛(20)과 현상제 탱크(34)가 배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20)은 클리닝 장치(32)를 갖고, 현상제 탱크(34)는 클리닝된 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구(38a)와, 회수된 현상제가 축적되는 현상제 축적실(38)을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 화상 형성 유닛, 현상제 탱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서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이 취출(取出)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이 취출되는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제 공급 유닛의 요부(要部)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연결 해제 수 단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연결 해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이 취출되는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 앞면 커버(front cover) 15 : 개폐 도어(door)
16 : 화상 형성부 20Y, 20M, 20C, 20B : 화상 형성 유닛
21 : 화상 형성 유닛 하우징(housing) 21e : 개구부
24Y, 24M, 24C, 24B : 감광체 28Y, 28M, 28C, 28B : 현상 장치
32 : 클리닝 장치 34Y, 34M, 34C, 34B : 현상제 탱크
35 : 현상제 탱크 하우징 35a : 돌출부
60 : 광기입 장치 70 : 전사 장치
80 : 시트 공급 반송계 100 : 연결 해제 기구
124 : 개폐 커버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를 들어 현상제 수용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제 공급부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유닛을 갖고,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과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이 배치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3-29556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현상제 수용부는 화상 형성 유닛에 길이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현상제 수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현상제 공급부를 배치하고, 현상제 공급부로부터 현상제 수용부로의 현상제 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공급 유닛을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에서의 외측에 배치해야만 하여,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공급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를 구비한 현상제 공급 유닛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一端) 부근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직교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내측에 현상제 공급 유닛을 배치하여도, 현상제 공급부를 현상제 수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수평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가 종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담지체와, 이 화상 담지체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고, 상기 화상 담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과 상기 잠상 형성 장치가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설치된 방향과 수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을 각각 독립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수직 방향이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을 각각 독립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에 연결부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피(被)연결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피연결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 또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 중 적어도 한쪽의 착탈에 사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와, 상기 개폐 커버가 열리는 것과 연동(連動)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개폐 커버를 여는 것과 연동하여,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제 공급 유닛의 연결이 해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은, 화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장치와, 이 현상제 제거 장치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부를 갖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상기 현상제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부와, 이 현상제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축적되는 현상제 축적부를 갖는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유닛을 교환함으로써, 현상제의 보충과 현상제의 회수 양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배출부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회수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내측에 현상제 공급 유닛을 배치하여도, 현상제 배출부를 현상제 회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화상 형성부(16)와, 시트 공급 반송계(80)와, 전원 유닛(96)과, 컨트롤러(9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상부에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도 1 및 3에서의 우측면 측에 개구부(12a)가, 도 1 및 3에서의 좌측면 측에 개구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2a)는 후술하는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 또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 중 적어도 한쪽의 착탈에 사용되는 개구부로서 사용되고, 이 개구부(12a)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된다. 이 개구부(12a)에는 개방 커버로서 사용되는 앞면 커버(14)가 부착되어 있어, 앞면 커버(14)가 닫히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a)가 폐쇄되고, 앞면 커버(14)가 열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a)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개구부(12b)는 후술하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개구부이며, 이 개구부(12b)에 개폐 도어(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15)가 열려 개구부(12b)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의 착탈이 실행된다.
화상 형성부(16)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것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 현상 장치(28Y, 28M, 28C, 28B)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과, 현상 장치(28Y, 28M, 28C, 28B)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현상제 공급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와,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이 각각 갖는 화상 담지체로서 사용되는 감광체(24Y, 24M, 24C, 24B)에 광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로서 사용되는 광기입 장치(60)와, 감광체(24Y, 24M, 24C, 24B)에 각각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피전사체로서 사용되는 시트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 (70)와, 전사 장치(70)에 의해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시트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64)를 갖는다.
화상 형성 유닛(20Y)은 황색 현상제 화상의 형성용이고, 화상 형성 유닛(20M)은 자홍색 현상제 화상의 형성용이고, 화상 형성 유닛(20C)은 청록색 현상제 화상의 형성용이며, 화상 형성 유닛(20B)은 흑색 현상제 화상의 형성용이다. 각 화상 형성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서 후술하는 반송 벨트(72)를 따라 아래로부터 차례로 화상 형성 유닛(20Y), 화상 형성 유닛(20M), 화상 형성 유닛(20C), 화상 형성 유닛(20B)의 순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은 사용하는 현상제의 색은 다르지만, 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 화상 형성 유닛(20)으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유닛(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 하우징(21)을 갖고, 이 화상 형성 유닛 하우징(21)의 내부가 클리닝실(21a)과, 현상실(21b)과, 현상제 공급실(21c)로 나뉘어져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광기입 장치(60)로부터 출사된 노광광(露光光)이 통과하는 노광광 통로(2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실(21a) 및 현상제 공급실(21c)과 화상 형성 유닛 하우징(21)의 외측을 연통(連通)시키는 개구부(21e)가 설치되며, 이 개구부(21e)가 공급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로서,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부로서, 또한 후술하는 현상제 탱크(34)와의 연결을 위한 피연결부로서 사용되고,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유닛(20)은 화상 담지체로서 사용되는 드럼(drum) 형상의 감광 체(24)와, 이 감광체(24)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帶電) 롤을 구비한 대전 장치(26)와, 감광체(24)에 기입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28)와, 감광체(24)를 제전(除電)하는 제전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소거 램프(erase lamp)(30)와, 후술하는 전사 장치(70)에 의한 현상제 화상의 전사가 이루어진 후에 감광체(24)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장치로서 사용되는 클리닝 장치(32)를 갖고 있어, 광기입 장치(60)에 의해 감광체(24)에 기입된 잠상을 현상하고, 감광체(24)의 표면에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한 착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앞면 커버(14)를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되는 개구부(12a)를 통하여 실행된다.
현상제 탱크(34Y)에는 현상 장치(28Y)에 공급되는 황색 현상제가, 현상제 탱크(34M)에는 현상 장치(28M)에 공급되는 자홍색 현상제가, 현상제 탱크(34C)에는 현상 장치(28C)에 공급되는 청록색 현상제가, 현상제 탱크(34B)에는 흑색 현상 장치(28B)에 공급되는 흑색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는 수용되는 현상제의 색은 다르지만, 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 현상제 탱크(34)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탱크(3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탱크 하우징(35)을 갖고, 이 현상제 탱크 하우징(35)의 내부가 현상제 공급실(37)과, 회수된 현상제가 축적되는 현상제 축적부로서 사용되는 현상제 축적실(38)로 나뉘어져 있는 동시에, 현상제 탱크 하우징(35)의 도 5에서의 우측 부분이 돌출되어 돌출부(35a)가 형성되 고, 이 돌출부(35a)가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2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로서 사용된다. 즉, 이 돌출부(35a)를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20)에 설치된 개구부(21e)에 삽입함으로써, 현상제 탱크(34)와 화상 형성 유닛(20)이 연결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돌출부(35)는 현상제 탱크(34)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실(37)에는,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20)의 현상제 공급실(21c)과 현상제 공급실(37)을 연통시킨 상태로 하여 현상제 공급부로서 사용되는 공급구(37a)가 현상제 탱크(34)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실(37)에는, 공급용 현상제를 반송하는 공급용 현상제 반송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공급용 오거(auger)(3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용 오거(39)가 현상제를 반송하고, 이 현상제를 공급구(37a)를 통하여 현상제 공급실(21c)에 공급한다. 현상제 축적실(38)에는,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20)의 클리닝실(21a)과 현상제 축적실(38)을 연통시킨 상태로 하여 현상제 회수부로서 사용되는 회수구(38a)가 현상제 탱크(34)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축적실(38)에는, 회수된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수용 오거(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클리닝 장치(32)에 의해 감광체(24)로부터 제거된 현상제가 회수구(38a)를 통하여 현상제 축적실(38)에 회수되고, 이 회수된 현상제가 회수용 오거(40)에 의해 도 5에서의 좌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현상제 탱크(34)와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과 현상제 탱크(34)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현상제 탱크(34)는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一端部)(20a)와 타단부(他端部)(20b)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의 전체가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에 위치하도록 현상제 탱크(34)가 배치되지만, 현상제 탱크(34)의 일부분이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에 위치하도록 현상제 탱크(34)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현상제 탱크(34)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가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탱크(34)는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20a) 또는 일단부(20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20a) 이외의 부분에 통합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이 스페이스에 다른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를 화상 형성 유닛(20)의 일단부(20a)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후술하는 광기입 장치(60)를 배치했지만, 이 스페이스에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현상제 탱크(34)는 길이 방향이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탱크(3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화상 형성 유닛(20)과 수평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현상제 탱크(34B)와 화상 형성 유닛(20B)을 수평 방향에서 겹치지 않게 하고, 중력 방향에서 현상제 탱크(34B)를 화상 형성 유닛(20B)보다도 상방(上方)에 설치한 경우 등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중력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탱크(3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착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 도어(15)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구부(12b)를 통하여 실행된다. 여기서,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과 도 6에 화살표 A로 나타낸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이 현상제 탱크(34)를 기준으로 하여 본 화상 형성 유닛(20)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현상제 탱크(34)를 화상 형성 유닛(20)과는 독립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즉, 현상제 탱크(3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화상 형성 유닛(20)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없어, 화상 형성 유닛(20)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한 상태에서 현상제 탱크(34)의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로 도시된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살표 B로 도시된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유닛(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현상제 탱크(34)와 화상 형성 유닛(20)을 각각 독립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채의 상태일지라도, 화상 형성 유닛(20)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고,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상태일지라도, 현상제 탱크(3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다.
광기입 장치(60)는 레이저 노광 장치로 이루어지며, 감광체(24Y)에 황색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감광체(24M)에 자홍색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감광체(24C)에 청록색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감광체(24B)에 흑색 화상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각 감광체(24)에 정전 잠상을 기입한다. 이 광기입 장치(6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채꼴로 확산되면서 감광체(24)에 도달한다. 따라서, 감광체(24)의 길이 방향에서의 광기입 장치(60)의 길이는 감광체(24)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감광체(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술한 현상제 탱크(34)와 광기입 장치(60)가 나란히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감광체(24)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와 상기 방향에서의 광기입 장치(60)의 길이 차에 의해 생기는 스페이스에 현상제 탱크(34)가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사 장치(70)는 상술한 앞면 커버(14)와 일체를 이루는 전사 장치 프레임(71)을 갖고, 이 전사 장치 프레임(71)에 2개의 지지 롤(76a, 76b)과, 반송 벨트(72)와, 이 반송 벨트(72)에 시트를 흡착시키는 흡착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흡착 롤 (74)과, 반송 벨트(72)에 의해 반송 중인 시트에 각 감광체(24Y, 24M, 24C, 24B)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각각 전사하는 전사 롤(78Y, 78M, 78C, 78B)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전사 장치(70)는 상술한 앞면 커버(14)의 개폐와 함께 이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개구부(12a)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한다.
2개의 지지 롤(76a, 76b) 중 지지 롤(76a)은 구동원인 모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어, 스스로 회전하여 반송 벨트(7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롤으로서 사용되고, 지지 롤(76b)은 반송 벨트(7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종동(從動) 롤으로서 사용된다.
반송 벨트(72)는 후술하는 레지스트 롤(86)로부터 공급되는 시트를 정착 장치(64)까지 반송하는 벨트이며, 종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흡착 롤(74)은 반송 벨트(72)를 통하여 지지 롤(76b)에 압접(壓接)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반송 벨트(72)에 정전적(靜電的)으로 시트를 흡착시킨다.
전사 롤(78Y, 78M, 78C, 78B)에는 각각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있어, 감광체(24Y, 24M, 24C, 24B)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반송 벨트(72)에 의해 반송 중인 시트에 차례로 전사하고, 시트에 황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4색 현상제 화상이 겹쳐진 컬러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정착 장치(64)는 가열 롤(64b)과 가압 롤(64a)으로 이루어지며, 가열 롤(64a)과 가압 롤(64b)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를 가열하고 가압함으로써, 시트에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시트 공급 반송계(80)는 시트 공급 카세트(82)와, 주로 한쪽 면에만 화상 형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시트가 반송되는 반송로인 주(主)반송로(88)와, 오로지 양면 화상 형성 시에 시트가 반송되는 반송로인 반전 반송로(90)를 갖는다.
시트 공급 카세트(8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보통지, OHP 시트 등의 피전사체로서 사용되는 시트가 수용된다. 이 시트 공급 카세트(82)의 근방에는 시트 공급 카세트(82)로부터 시트를 픽업하는 픽업(pick-up) 롤(84)과, 픽업 롤(84)에 의해 픽업된 시트를 주반송로(88)를 따라 반송시키는 반송 롤(85)과, 반송 롤(85)과 협동하여 시트를 처리하는 리타드 롤(retard roll)(8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주반송로(88)는 시트 공급 카세트(82)로부터 공급된 시트가 상술한 화상 형성부(16)를 거쳐 배출부(13)까지 반송되는 반송로이며, 이 주반송로(88)를 따라 시트 반송 방향 상류로부터 차례로 반송 롤(85)과 리타드 롤(87), 레지스트 롤(86), 반송 벨트(72), 정착 장치(64), 및 배출 롤(89)이 배치된다.
반전 반송로(90)는 화상 형성부(16)에서 앞쪽 면에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시트가 반전되면서 다시 화상 형성부(16)로 반송되는 반송로이며, 상술한 앞면 커버(14)에 설치되어 있다. 앞쪽 면에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시트는 배출 롤(89)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전 반송로(90)로 유도되고, 또한 반전 반송로(90)를 따라 배치된 반전용 반송 롤(92)에 의해 반송되며, 레지스트 롤(86)을 거쳐 다시 화상 형성부(16)로 반송된다. 이 반전 반송로(90)에 의해 반전이 이루어진 시트의 뒤쪽 면에 화상 형성부(16)에 의해 화상 형성이 이루어져, 시트 양면에 화상 형성 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동작이 개시되면, 각 감광체(24)의 표면이 각 대전 장치(2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들 감광체(24)에 광기입 장치(60)로부터 출사된 광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광기입 장치(60)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24) 표면의 잠상이 현상 장치(28)에 의해 현상되어 현상제 화상으로 된다.
한편, 시트 공급 장치의 시트 공급 카세트(82)에 수용된 시트가 픽업 롤(84)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86)을 향하여 반송되고, 레지스트 롤(86)에서 일시 정지되며, 타이밍을 취하여 반송 벨트(72)로 유도된다. 그리고, 이 시트에 각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각 전사 롤(78Y, 78M, 78C, 78B)에 의해 전사되어, 시트에 황색 현상제 화상, 자홍색 현상제 화상, 청록색 현상제 화상, 흑색 현상제 화상이 중첩된 현상제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제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정착 장치(64)로 보내져, 정착 장치(64)에 의해 현상제 화상의 정착이 실행된 후, 배출 롤(89)에 의해 배출부(13)로 배출된다.
이상의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될 때,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유닛(20)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20)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시키기 위해서는, 앞면 커버(14)를 열어 개구부(12a)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 이 개구부(12a)를 통하여 실행된다. 또한, 현상제 탱크(34)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기 위해서는, 개폐 도어(15)를 열어 개구부(12b)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 이 개구부(12b)를 통하여 실행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서는 각 현상제 탱크(34)가 개별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장치(12)에 대하여 착탈된 것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4개의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가 통합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비하지 않은, 현상제 탱크(34)와 화상 형성 유닛(20)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연결 해제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비하지 않은 개구부(12c)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개구부(12c)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124)를 갖고 있다.
연결 해제 기구(100)는, 개폐 커버로서 사용되는 앞면 커버(14)가 열리는 것과 연동하여, 현상제 탱크(34)와 화상 형성 유닛(20)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구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 커버(14)에 장착되어 앞면 커버(14)가 열림으로써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사용되는 앞면 커버 풀리(pulley)(102)와, 앞면 커버 풀리(102)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제 1 종동 풀리(104)와, 앞면 커버 풀리(102)의 회전을 제 1 종동 풀리(104)에 전달하는 제 1 구동 전달 벨트(106)와, 제 1 종동 풀리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제 2 종동 풀리(108)와, 제 1 종동 풀리의 회전을 제 2 종동 풀리(108)에 전달하는 제 2 구동 전달 벨트(110)와, 제 1 종동 풀리(104)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아 개구부(12a)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 으로 이동하는 제 1 이동판(112)과, 제 2 종동 풀리(108)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제 1 이동판(112)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하는 제 2 이동판(114)과, 제 1 이동판(112)과 제 2 이동판(114)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이동판(112) 및 제 2 이동판(114)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하우징(116)을 갖는다.
제 1 종동 풀리(104)와 제 2 종동 풀리(10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내벽부(1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종동 풀리(104)와 제 2 종동 풀리(108)의 외주면에는 각각 기어(104a, 108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이동판(112)은 제 1 내벽부(11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측 면에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이 기어가 제 1 종동 풀리의 기어(104a)와 맞물리고, 제 1 종동 풀리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1 이동판(112)에는 이동 하우징(116)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노치(notch)(112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이동판(114)은 제 1 내벽부(11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측 면에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이 기어가 제 2 종동 풀리(108)의 기어(l08a)와 맞물리고, 제 2 종동 풀리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아 제 1 이동판(112)과 동일한 거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이동판(114)에는 이동 하우징(116)을 결합 지지하기 위해 노치(1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하우징(116)은 도 7에서의 우측면 측의 측벽부에 제 1 돌출부(116a)와 제 2 돌출부(116b)를 갖고, 도 7에서의 좌측 벽면 측에 제 3 돌출부(도시 생략)와 제 4 돌출부(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동 하우징(116)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되면, 제 1 돌출부(116a)가 노치(112a)에, 제 2 돌출부(116b)가 노치(114a)에, 제 3 돌출부와 제 4 돌출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일부를 이루는 제 2 내벽부(120)에 설치된 가이드 홈(120a)에 결합된다. 이 이동 하우징(116)에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가 삽입되고, 각 현상제 탱크에 설치된 결합용 돌출부가 이동 하우징(116)의 내벽부에 설치된 피(被)결합용 노치에 결합되어, 각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의 이동 하우징(116)에 대한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탱크 하우징(35B)에는 결합용 돌기(35a)가 설치되어 있어, 이 결합용 돌기(35a)가 이동 하우징(116)의 내벽부에 설치된 노치(116c)에 결합되어, 현상제 탱크 하우징(35B)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또한, 이동 하우징(116)의 상면에는 손잡이(grip)(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설치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도 7과 도 11에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탱크(3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중력 방향 상방으로 인출되고, 이 방향이 현상제 탱크(34)를 기준으로 하여 본 화상 형성 유닛(20)의 방향과 수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7과 도 11에 화살표 C로 나타낸 현상제 탱크(34)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은, 도 1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화상 형성 유닛(2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에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폐 커버(124)를 열어 개구부(12c)를 개방된 상태로 하고, 이어서 앞면 커버(14)를 열어 개구부(12a)를 개방된 상태로 한다. 앞면 커버(14)가 개방되면, 이것과 연동하여 연결 해제 기구(100)가 작동하여, 각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의 각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과의 연결이 각각 해제된다.
즉, 앞면 커버(14)가 열리면, 이것과 연동하여 앞면 커버 풀리(102)가 회전하고, 이 회전이 제 1 구동 전달 벨트(106), 제 1 종동 풀리(104), 제 1 이동판(112), 이동 하우징(116)으로 차례로, 또한 제 1 구동 전달 벨트(106), 제 1 종동 풀리(104), 제 2 구동 전달 벨트(110), 제 2 종동 풀리(108), 제 2 이동판(114), 이동 하우징(16)으로 차례로 전달되어, 이동 하우징(116)이 도 10에서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 하우징(116)이 이동함으로써, 이 이동 하우징(116)에 장착된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가 이동 하우징(116)과 함께 이동하고, 각 현상제 탱크 하우징(35)의 돌출부(35a)가 각 화상 형성 유닛 하우징(21)의 개구부(21c)로부터 빼내져(도 5 참조), 각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의 각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과의 연결이 각각 해제된다. 그 후, 손잡이(122)를 사용하여 이동 하우징(116)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상방으로 인출하고, 이동 하우징(116)으로부터 각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를 취출한다.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탱크(34Y, 34M, 34C, 34B)를 이동 하우징(116)에 장착하고, 이 이동 하우징(116)을 개구부(12c)를 통하여 상방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하며, 다시 이동 하우징(116)을 도 10에서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면, 각 현상제 탱크 하우징(35)의 돌출부(35a)와 각 화상 형성 유닛(20)의 개구부(21e)가 연결된 상태로 되어, 각 현상제 탱크(3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다.
화상 형성 유닛(20Y, 20M, 20C, 20B)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면 커버(14)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되는 개구부(12a)를 통하여 착탈된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연결 해제 기구(100)는 각 화상 형성 유닛(20)이 착탈되는 개구부(12a)를 개폐하는 앞면 커버(14)와 연동하여 화상 형성 유닛(20)과 현상제 탱크(34)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지만, 연결 해제 기구(100)는 화상 형성 유닛(20) 또는 현상제 탱크(34) 중 적어도 한쪽의 착탈에 사용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의 개폐와 연동하는 것이면 되고, 연결 해제 기구(100)를, 현상제 탱크(34)의 착탈에 사용되는 개구부(12c)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124)가 열리는 것과 연동하여, 화상 형성 유닛(20)과 현상제 탱크(34)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공급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一端) 부근에 설치되고, 또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 부근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직교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수평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擔持體)와, 이 화상 담지체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고,
    상기 화상 담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과 상기 잠상 형성 장치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설치된 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에 연결부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피(被)연결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피연결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 또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 중 적어도 한쪽의 착탈에 사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와,
    상기 개폐 커버가 열리는 것과 연동(連動)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은, 화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장치와, 이 현상제 제거 장치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부를 갖고,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상기 현상제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부와, 이 현상제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현상제가 축적되는 현상제 축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부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현상제 회수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0034605A 2005-09-22 2006-04-17 화상 형성 장치 KR100792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4964 2005-09-22
JP2005274964A JP2007086392A (ja) 2005-09-22 2005-09-2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65A KR20070033865A (ko) 2007-03-27
KR100792644B1 true KR100792644B1 (ko) 2008-01-09

Family

ID=3788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605A KR100792644B1 (ko) 2005-09-22 2006-04-1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7869B2 (ko)
JP (1) JP2007086392A (ko)
KR (1) KR100792644B1 (ko)
CN (1) CN1936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675B2 (ja) * 2005-09-22 2012-05-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2556B2 (ja) * 2007-06-18 2013-02-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7298B2 (ja) * 2007-07-27 2013-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36920A (ja) * 2007-07-31 2009-02-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101041084B1 (ko) * 2009-09-01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JP5767999B2 (ja) * 2011-04-14 2015-08-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78707B2 (ja) * 2012-03-28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53791B2 (ja) * 2019-05-07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843A (ja) * 1995-09-01 1997-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95562A (ja) * 2002-04-01 2003-10-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7625A (en) * 1987-08-28 1990-06-26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copier
JP2895335B2 (ja) * 1993-01-26 1999-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99506B2 (ja) * 2000-05-22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529710B2 (ja) * 2000-08-29 2004-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3572482B2 (ja) * 2000-11-09 2004-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62390B1 (ko) *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US6556801B1 (en) * 2001-10-16 2003-04-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unit capable of easily and securely dispersing to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99704B2 (en) * 2002-10-31 2006-02-14 Kyocera Mita Corporation Developing apparatu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64840A (ja) * 2003-02-10 2004-09-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395008B2 (en) 2003-02-24 2008-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hotoreceptor cartridge
JP3948420B2 (ja) * 2003-03-07 2007-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47128B1 (ko) *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TE452353T1 (de) * 2003-07-09 2010-01-15 Brother Ind Ltd Kassette für bildaufzeichnungsvorrichtung
JP2005208598A (ja) * 2003-12-22 2005-08-0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843A (ja) * 1995-09-01 1997-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95562A (ja) * 2002-04-01 2003-10-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86392A (ja) 2007-04-05
CN1936722B (zh) 2010-05-12
KR20070033865A (ko) 2007-03-27
US7697869B2 (en) 2010-04-13
US20070065182A1 (en) 2007-03-22
CN1936722A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64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645313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aterial carrier unit or an intermediate transfer body unit
EP22645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gent cartridge
JP4586851B2 (ja) 画像形成装置
EP1722279A1 (en) Process cartridge with attachable toner cartridge exerting a pressure to urge the developing roller towards the image carrier
KR10079882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7320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8641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0945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
US20180113416A1 (en) Developer container holder,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26211B2 (ja) 画像形成装置
US82957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forming part and a detachable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JP2009204950A (ja) 画像形成装置
JP5044422B2 (ja) 画像形成装置
JP4905771B2 (ja) 画像形成装置、サブユニット、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粉体搬送装置
JP41309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15406A (ja) 画像形成装置
JP52989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26253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バー部材
JP5891994B2 (ja) 画像形成装置
JP5531722B2 (ja) 画像形成装置
JP4711225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取り出し方法
JP20130540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52414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5747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