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882B1 - 유기기(遊技機) - Google Patents

유기기(遊技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882B1
KR100787882B1 KR1020010066211A KR20010066211A KR100787882B1 KR 100787882 B1 KR100787882 B1 KR 100787882B1 KR 1020010066211 A KR1020010066211 A KR 1020010066211A KR 20010066211 A KR20010066211 A KR 20010066211A KR 100787882 B1 KR100787882 B1 KR 10078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organic
hinge
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341A (ko
Inventor
호타니마코토
오시미와타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ublication of KR2002007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0Construction set or k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유기기의 레일상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간편한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하여, 유기기의 정상적인 처리동작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빠찡꼬 유기기(10)의 발사 레일(30), 내측 레일(49), 외측 레일(51)로부터 안쪽 틀용 힌지(170) 내지 기구판용 힌지(190, 195)까지의 경로에는 각각 접속부재(HB), 접속부재(UB), 접속부재(S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재(HB, UB, SB)는,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경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형상이 부여된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된다. 유기구(B)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사 레일(30), 내측 레일(49) 및 외측 레일(51)에 발생한 정전기는 상기 접속부재(HB, UB, S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나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확실하게 인도되어, 빠찡꼬 유기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유기기(遊技機){A gam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예인 빠찡꼬 유기기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빠찡꼬 유기기의 앞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빠찡꼬 유기기의 뒷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금속판, 케이스 레일,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 및 구슬통 베이스가 기구판에 부착되는 모습과 기구판용 힌지(hinge)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유리틀의 뒷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포위(包圍) 플레이트의 절곡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유리틀 내지 상부 접시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빠찡꼬 유기기의 앞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발사 레일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외측 레일에 장착된 판금(板金)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안쪽 틀용 힌지 및 유리틀용 힌지의 구조를 기구판용 힌지의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유리틀을 닫았을 때 유리틀 뒷면의 절곡부나 연결부재가 안쪽 틀의 오목부 안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키 유닛 주변의 모습을 도 11의 12-12선을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13-13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판금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14-14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판금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 전후에 빠찡꼬 유기기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빠찡꼬 유기기 12 : 바깥틀
15 :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 16 : 안내 유닛
17 : 카드 유닛 전원 코드 20 : 안쪽 틀
22 : 유리틀 23 : 표시 램프
24 : 상부 접시 25 : 하부 접시
26 : 발사조작 유닛 26a : 발사 핸들
29 : 키 유닛 30 : 발사 레일
31 : 발사기구 유닛 40 : 유기반
41 : 특별무늬 표시장치 42 : 보통무늬 표시장치
43 : 보통입상구 44 : 시동입상구
45 : 보통무늬 표시장치 작동 게이트 46 : 대입상구
54 : 표시 램프 56 : 액정표시기
57 : 램프제어기판 58 : 음성제어기판
59 : 램프·음성기판용 플레이트 60 : 커버
70 : 기구판 72 : 구슬 탱크
73 : 탱크 레일 74 : 케이스 레일
75 :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 75c : 상품구슬 배출구
75d : 대여구슬 배출구 76a, 76b : 보호 커버
77 : 구슬통 베이스 78 : 구슬통 커버
80 : 전원·외부단자 유닛 80b : 유기기 전원 코드
80c : 유기반용 외부단자판 80d : 틀용 외부단자판
81 : 전원 유닛 81a : 전원기판
82 : 발사제어 유닛 82a : 발사제어기판
83 : 전원·발사제어기판용 플레이트 84 : 주 제어 유닛
84a : 주 기판 85 : 주 기판용 플레이트
86 : 배출제어 유닛 86a : 배출제어기판
87 : 배출제어기판용 플레이트 90 : 금속판
99 ; 박판(薄板) 110, 115 : 판금(板金)
131 : 파울 구슬 안내 유닛 132 : 대좌(臺座)
133 : 구슬 스토퍼 134 : 연락부재
140 : 프레임 141, 142 : 핀(pin)축
143, 147 : 슬라이드판 144 : 로크(lock)기구
150, 151 : 평(平) 플레이트 151i : 행거(hanger)부
153 : 포위(包圍) 플레이트 154 : 연결부재
155, 156 : 걸림편 170, 175 : 안쪽 틀용 힌지
170, 190, 195 : 힌지 171, 176 : 축 형성부재
173, 178, 188 : 축받이 플레이트 180, 185 : 유리틀용 힌지
190, 195 : 기구판용 힌지 191, 196 : 돌출편
B : 유기구(遊技球) HB, UB, SB : 접속부재
GS : 안내면 IS : 장착면
본 발명은 유기기(遊技機)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사된 유기구(遊技球)를 소정의 레일에 의해 유기영역으로 유도하여 소정의 유기를 실행하는 유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기의 유기반(遊技盤)상에는, 타격된 유기구(이하, 타구(打球)라고 한다)를 유기영역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발사 레일이나 외측 레일, 내측 레일 등의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일상에는 타구와 레일과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정전기를 방치해두면, 정전기의 전하가 유기 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구에 작용하여 유기기의 오작동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 외측 레일과 내측 레일에 대전(帶電)한 정전기를 금속제의 유리틀, 그 유리틀과 접속된 리드(lead)선을 통해 어스(earth)(접지) 처리부로 인도하여, 레일상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공고 특개평5-22825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법에서는, 레일상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유기기의 내외에서 유리틀과 어스 처리부를 접속하는 배선의 결선(結線)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유기기의 조립 등의 제조상 극히 번잡했다.
또한, 상기 수법에서는, 유기기의 조립이나 운반, 점검 등을 행할 때 실수로 배선이 빠져버린 경우에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없어, 정전기를 제거하는 신뢰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유리틀이나 어스 처리부에 도선(導線)을 붙여 연결한 경우에는, 유기기의 운반시에 진동 등에 의해 붙인 부분이 느슨해지거나, 유기기의 점검 등을 행할 때 부주의에 의해 도선이 걸려 끊어져 유리틀과 어스 처리부와의 접속이 단절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배선을 행하지 않고 레일상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수법에 대해 종래에는 아무런 제안도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레일상의 정전기를 간편한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하고, 유기기의 정상적인 처리동작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하의 구성을 취했다.
본 발명의 유기기는, 발사된 유기구를 소정의 레일에 의해 유기영역으로 유도하여 소정의 유기를 실행하는 유기기로서, 도전재(導電材)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기기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hinge)와, 상기 레일과 상기 힌지를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그 접속부재가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힌지까지의 경로형상을 그대로 형성하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기에 의하면, 유기구를 유기영역으로 유도하는 레일과 힌지를, 그 레일로부터 힌지까지의 경로형상을 그대로 형성하는 도전성 접속부재로 접속하기 때문에, 레일로부터 힌지까지의 경로형상이 유기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레일과 힌지와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레일에 대전한 정전기를 확실하게 힌지로 인도하여 유기기의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유기의 실행시에 폐쇄되는 개폐 가능한 문과, 그 문이 폐쇄되었을 때 레일과 힌지를 접속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접속구조를 구비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렇게 하면, 문의 폐쇄상태에서 힌지와 레일은 접속부재를 통해 도통(導通)된다. 따라서, 유기 실행중에 레일상에서의 유기구의 유동(流動)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문의 폐쇄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로서, 문을 연 상태에서 레일과 도통되는 제1 접속부재와, 문의 폐쇄에 따라 제1 접속부재에 맞닿는 맞닿음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그 맞닿음 접속부재와 제1 접속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다른 쪽의 부재에 대한 탄성력을 가지고, 문의 폐쇄에 따라 상기 맞닿음 접속부재가 제1 접속부재에 맞닿을 때, 상 기 맞닿음 접속부재와 제1 접속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다른 쪽의 부재에 대한 상기 한쪽의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문을 폐쇄할 때 적당한 저항감이 부여되어, 문의 급(急)폐쇄를 억제할 수 있다.
유기의 실행시에 폐쇄되는 개폐 가능한 문을, 그 문을 닫았을 때 유기영역을 볼 수 있게 하는 개구부를 갖는 앞면 문으로 하고, 상기 접속부재로서, 앞면 문을 연 상태에서 레일과 도통되는 제1 접속부재와, 앞면 문의 뒷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설치된 판체(板體)와, 그 판체와 힌지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접속구조를, 앞면 문이 폐쇄되었을 때 판체가 적어도 제1 접속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레일과 힌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앞면 문을 닫음으로써, 레일에 대전한 정전기는 제1 접속부재를 통해 판체로 유도되고, 소정의 면적으로 설치된 판체 내에서 분산된다. 따라서, 레일상의 정전기를 레일 밖으로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폐쇄 접속구조를, 앞면 문이 폐쇄되었을 때 판체가 제1 접속부재뿐만 아니라 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레일에 접촉하는 대상이 제1 접속부재와 판체가 되어, 레일과 도전성 부재와의 접촉영역이 보다 넓어진다. 따라서, 레일상의 정전기를 레일 밖으로 제거하는 효율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면 문이 폐쇄되었을 때 판체가 레일의 단부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면, 그 단부 등의 뾰족한 부분에 대전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레일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판체를 개구부의 바깥둘레 영역에 비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레일로부터 판체로 인도된 정전기가 판체 내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것회피할 수 있어, 판체내의 정전기를 제2 접속부재와 힌지를 통해 유기기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판체를 비연속적으로 설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개구부의 바깥둘레 영역에 설치되는 판체에, 끝면끼리가 비접촉으로 되는 부분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개구부의 바깥둘레 영역에, 일부가 잘라내어진 한장의 판체를 설치하거나, 다수 장의 판체를 하나의 판체와 다른 판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둔 채 연이어 설치하는 것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소정의 레일로서 다수의 레일부재를 가지고, 그 다수의 레일부재들중 적어도 2개의 레일부재를 그 레일부재들 사이에서의 도통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레일부재들 사이에서의 전위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하나의 레일상에서의 국소적인 고전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한층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을 본 발명의 실시예인 빠찡꼬 유기기(10)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서는,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으로 향해 왼쪽 측면을, 바깥틀(12)을 투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면을 「표면」이라고 하고, 빠찡꼬 유기기(10)의 뒷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의 면을 「뒷면」이라고 한다. 도 1에서는, 그 도면을 보아서 오른쪽 면이 빠찡꼬 유기기(10)의 표면이 되고, 왼쪽 면이 빠찡꼬 유기기(10)의 뒷면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찡꼬 유기기(10)는 목제의 바깥틀(12)에 금속제의 안쪽 틀용 힌지(hinge)(170, 17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지(樹脂)제의 안쪽 틀(20)을 구비한다. 이 안쪽 틀(20)의 틀 안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유기영역이 형성된 유기반(遊技盤)(40)이 끼워져 있다. 이 유기반(40)의 뒷면에는, 상품구슬 배출기구 등 각종 기구가 장착되는 기구판(70)이 겹쳐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판(70)은 안쪽 틀(20)의 정면으로 향해 왼쪽(도 1에서는 바로 앞쪽)의 바깥쪽 측면에 금속제의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통해 개폐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쪽 틀(20)의 정면으로 향해 왼쪽(도 1에서는 바로 앞쪽)의 안쪽 측면에는, 수지제의 유리틀(22)이 금속제의 유리틀용 힌지(180, 18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유리틀(22)은 유기구(遊技球)(B)가 유기영역에서 흘러내리는 도중에 기계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유기의 실행시에 폐쇄된다.
또한, 안쪽 틀(20) 표면 아래쪽의 상부 접시(24)로 덮여지는 영역에는 발사 핸들(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조작에 의해 발사된 유기구(B)를 외측 레일(51)로 안내하는 금속제의 발사 레일(3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유기반(40)의 표면에는, 발사 레일(30)로부터의 유기구(B)를 유기영역으로 유도하는 금속제의 외측 레일(51) 및 내측 레일(49)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사 레일(30)로부터 안쪽 틀용 힌지(170) 내지 기구판용 힌지(190, 195)까지의 경로에 접속부재(HB)를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레일(49)로부터 안쪽 틀용 힌지(170) 내지 기구판용 힌지(190, 195)까지의 경로에 접속부재(UB)를, 그리고 외측 레일(51)로부터 안쪽 틀용 힌지(170) 내지 기구판용 힌지(190, 195)까지의 경로에 접속부재(SB)를 각각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접속부재(HB, UB, SB)로서,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경로의 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별도의 부재(예를 들어, 도선(導線)과 같이, 접촉이나 진동 등의 외부로부터의 경미한 작용에 의해 외형 형상이 간단히 변화하는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경로의 형상을 그대로 형성하는 금속제의 부재만을 사용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도전성 접속부재」는 본 실시예에서의 접속부재(HB, UB, SB)에 상당한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접속부재(HB, UB, SB)를 빠찡꼬 유기기(10)의 각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유기구(B)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사 레일(30), 내측 레일(49) 및 외측 레일(51)에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접속부재(HB, UB, S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나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확실하게 인도하여, 각 힌지(170, 190, 195)로부터 빠찡꼬 유기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과 뒷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찡꼬 유기기(10)는 목제의 바깥틀(12)과 이 바깥틀(12)의 바깥쪽 측면에 세트되는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15) 을 구비한다.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15)은 대여구슬 수의 정보가 기록된 프리페이드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소정 수의 유기구(B)를 상부 접시(24)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AC 100볼트의 카드 유닛 전원 코드(17)(도 3 참조)와, 도수(度數) 표시부(16a), 대출 버튼(16b), 대출 버튼 램프 및 반환 버튼(16c)을 갖는 안내 유닛(16)을 구비한다. 이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15)에 의해 구슬대여가 행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빠찡꼬 유기기(10)는 바깥틀(12)에 금속제의 안쪽 틀용 힌지(170, 17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쪽 틀(20)을 구비한다. 이 안쪽 틀(20)에 장착되는 각 부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안쪽 틀(20)의 틀 안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미리 그림이 그려진 시트가 부착된 유기반(40)이 끼워넣어져 있고, 이 유기반(40)은 비투명의 수지(樹脂)를 사용하여 형성된 유리틀(22)로 덮여 있다.
유리틀(22)은, 안쪽 틀(20)의 한쪽(도 2에서 보아서 왼쪽)의 안쪽 면에 장착된 금속제의 유리틀용 힌지(180, 185)를 통해 안쪽 틀(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리틀(22)은 이 유리틀(22)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개구부(22a)와, 이 개구부(22a) 주위의 틀부분(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22a)는 유리가 장착되어 유리면으로 되어 있고, 이 유리면 주변의 틀부분(22b)에는, 유기상황에 따라 점멸 내지 점등하는 표시 램프(23)가 장착되어 있다. 유리틀(22)을 닫은 상태에서, 유기반(40)의 유기영역은 상기 유리틀(22)의 유리면으로 덮인다. 이에 의해,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으로부터 유리 너머로 유기영역을 볼 수 있다.
또한, 유리틀(22)보다도 아래쪽의 영역에는, 대여구슬이나 상품구슬로서의 유기구(B)를 저장하는 상부 접시(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접시(24)는 안쪽 틀(20)의 한쪽(도 2에서 보아서 왼쪽)의 안쪽 면에 금속제의 상부 접시용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리틀용 힌지(180, 185) 및 상부 접시용 힌지와는 반대쪽(도 2에서 보아서 오른쪽)의 안쪽 틀(20)의 끝부분에는, 유리틀(22) 및 상부 접시(24)의 개폐 상태를 바꾸는 금속제의 키(key) 유닛(29)이 장착되어 있다. 이 키 유닛(29) 부근의 유리틀(22)에 설치된 열쇠구멍 장식구(27)에는, 키 유닛(29)을 동작시키는 자물쇠(28)가 장착되어 있다. 이 키 유닛(29)의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설명한다.
상부 접시(24)보다도 아래쪽의 안쪽 틀(20) 표면에는, 상부 접시(24)의 용량을 넘어 배출된 유기구(B)를 저장하는 하부 접시(25)와, 발사 핸들(26a)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부 접시(24)로부터 공급된 유기구(B)를 유기영역으로 향해 발사하는 발사조작 유닛(26) 등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부 접시(24)를 열었을 때 노출되는 안쪽 틀(20) 표면에는, 발사 핸들(26a)의 회전조작에 의해 발사된 유기구(B)를 외측 레일(51)로 안내하는 금속제의 발사 레일(30)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안쪽 틀(20)의 뒷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접시(24) 및 발사조작 유닛(26)의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사 모터나 타구 막대 등으로 이루어진 발사기구 유닛(31)이 부착된다. 또, 안쪽 틀(20)의 한쪽(도 3에서 보아서 오른쪽)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기구판(70)을 받치기 위한 금속제의 받침부재(3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받침부재(33)의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설명한 다. 또한, 안쪽 틀(20) 뒷면에서 개구부의 좌우에는, 이 개구부에 끼워넣어진 유기반(40)을 안쪽 틀(20)의 뒷면쪽에서 지지하는 지지편(32a, 3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의 지지편(32a, 32b)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후에 유기반(40)을 끌어냄으로써 유기반(40)을 안쪽 틀(20)의 뒷면쪽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다음에, 유기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반(40)의 표면에는, 발사조작 유닛(26)에 의해 발사된 유기구(B)를 유기영역까지 유도하는 금속제의 외측 레일(51) 및 내측 레일(49)과, 탄성력을 갖는 얇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유기영역으로 나온 유기구(B)가 내측 레일(49) 쪽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파울 구슬 멈춤구(50)와, 반환 고무(52)와, 유기영역에서 타구가 흘러내리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다수의 장애 못과, 유기영역에서 타구가 흘러내리는 속도나 방향을 변화시키는 풍차(47) 및 램프 풍차(48)와, 유기영역에서 흘러내리는 유기구가 진입할 수 있는 수 개의 보통입상구(43) 및 1개의 시동(始動)입상구(44)와, 유기구(B)가 보통무늬 표시장치 작동 게이트(45)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 동작하는 보통무늬 표시장치(42)와, 유기구(B)가 시동입상구(44)에 진입하는 것에 따라 무늬변동을 개시하는 특별무늬 표시장치(41)와, 이 특별무늬 표시장치(41)에 의해 특정 무늬가 표시되었을 때 열리는 대입상구(46)와, 각 입상구(43, 44, 46)에의 입상상황에 따라 각종 형태로 점등 내지 점멸하는 표시 램프(54) 등의 각종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또, 유기반(40)의 중앙 하부에는, 유기영역에서 입상하지 않은 유기구(B)가 들어가는 구멍인 아웃구(out口)(5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부 분에 의해, 유리틀(22)의 유리 너머의 유기반(40) 상에 유기영역이 형성된다.
한편, 유기반(40)의 뒷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별무늬 표시장치(41)로서 기능하는 액정표시기(56)와, 표시 램프(23, 54)의 표시형태를 제어하는 램프제어기판(57)와,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의 내용을 특별무늬 표시장치(41)의 동작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음성제어기판(58)이 전기 배선과 함께 부착되어 있다. 또한, 램프제어기판(57) 및 음성제어기판(58)은 금속제의 램프·음성기판용 플레이트(59)를 통해 유기반(40)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기(56). 램프제어기판(57) 및 음성제어기판(58)은 수지(樹脂)제의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있다.
다음에, 수지제의 기구판(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70)은 측면의 두 곳에 설치된 금속제의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통해, 안쪽 틀(20)에 유기반(40)을 끼워잡은 채로 개폐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기구판용 힌지(190, 195)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기구판(70)의 대략 중앙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7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70)을 닫은 상태에서, 유기반(40) 뒷면의 액정표시기(56), 램프제어기판(57) 및 음성제어기판(58)은 상기 개구부(70a) 안에 넣어져 있다.
기구판(70) 뒷면에는, 유기장의 구슬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유기구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슬 탱크(72)와, 이 구슬 탱크(72)로부터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까지를 연이어 통하는 탱크 레일(73) 및 케이스 레일(74)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부에 부착된 구슬 탱크(72)의 하부에는 2개의 볼록부(72a, 7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72a, 72b)는 탱크 레일(73)의 상단과 접촉하고 있다. 또, 탱크 레일(73)의 말단은 케이스 레일(74)의 앞쪽 끝과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케이스 레일(74)의 말단에는, 보호 커버(76a, 76b)가 붙은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및 구슬통 커버(78)가 붙은 구슬통 베이스(77)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케이스 레일(74),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및 구슬통 베이스(7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70)의 뒷면에 부착된 직사각형의 금속판(90)상에 이 금속판(90)과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 레일(74)의 앞쪽 끝과 접하는 탱크 레일(73)의 말단도, 금속판(90)상에 이 금속판(90)과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금속판(90), 케이스 레일(74),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및 구슬통 베이스(77)가 기구판(70)에 설치되는 양태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기구판(70)에서의 케이스 레일(74) 윗쪽 영역에는 전원·외부단자 유닛(8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전원·외부단자 유닛(80)은 유기장의 섬(島)으로부터 AC 24볼트의 전원을 빠찡꼬 유기기(10)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유기기 전원 코드(80b)와, 조작에 의해 공급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전원 스위치(80a)와, 빠찡꼬 유기기(10)에 발생한 특정 무늬의 표시에 의한 대당첨 횟수 등을 외부로 출력하는 유기반용 외부단자판(80c)과, 구슬대여나 구슬단절, 상품구슬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틀용 외부단자판(80d)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기 전원 코드(80b)로부터 도입 된 AC 24볼트의 전원은 전기 배선을 통해 전원 유닛(81)(후술함)으로 보내진다.
개구부(70a)의 하방에는, 전원기판(81a)을 갖는 전원 유닛(81)과 발사제어기판(82a)을 갖는 발사제어 유닛(82)이 금속제의 전원·발사제어기판용 플레이트(83)를 통해 기구판(70) 뒷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구판(70)의 뒷면에는, 전원 유닛(81) 및 발사제어 유닛(82)의 윗면의 일부를 덮도록 금속제의 주 기판용 플레이트(85)가 부착되어 있고, 이 주 기판용 플레이트(85)상에 주 기판(84a)을 갖는 주 제어 유닛(8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구판(70)의 뒷면에는, 구슬통 커버(78)의 윗면 및 전원 유닛(81)의 윗면의 일부를 덮도록 금속제의 배출제어기판용 플레이트(87)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배출제어기판용 플레이트(87)상에 배출제어기판(86a)을 갖는 배출제어 유닛(86)이 부착되어 있다.
외부단자 유닛(80)과 전기 배선을 통해 접속된 전원 유닛(81)은 유기기 전원 코드(80b)로부터 보내져온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직류전원을 급전선(給電線)을 통해 액정표시기(56), 램프제어기판(57), 음성제어기판(58), 발사제어 유닛(82), 주 제어 유닛(84) 및 배출제어 유닛(86) 등의 각 제어부품에 공급한다. 발사제어 유닛(82)은 발사제어기구 유닛(31)의 발사동작을 제어하고, 주 제어 유닛(84)은 특별무늬 표시장치(41)나 보통무늬 표시장치(42)에서의 무늬표시동작 등의 유기에 수반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배출제어 유닛(86)은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에 의한 배출동작을 제어한다.
도 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70)의 표면에는, 유기구(B)를 유도하는 각종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로서 배출 되는 유기구(B)를 상부 접시(24)로 인도하는 통로인 안내로(70b)이다. 또, 상부 접시(24)의 용량을 넘어 배출된 유기구(B)를 하부 접시(25)로 인도하는 통로인 분기로(70c)와, 아웃구(out口)(53)에 진입한 유기구(B)를 아웃 구슬로서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통로인 아웃 구슬 배출통로(70d)도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90), 케이스 레일(74),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및 구슬통 베이스(77)가 기구판(70)에 부착되는 모습과 기구판용 힌지(190, 195)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용 힌지(190)는 안쪽 틀(20) 측면에 장착되는 받침부재(33) 윗부분에 형성된 축 구멍(33t1)을 가진 축받이부(33a)와, 이 축 구멍(33t1)에 삽입되는 축(191a)을 가진 돌출편(191)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구판용 힌지(195)는 받침부재(33) 아래부분에 형성된 축 구멍(33t2)을 가진 축받이부(33b)와, 이 축 구멍(33t2)에 삽입되는 축(196a)을 가진 돌출편(1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받이부(33a)와 축받이부(33b)는 금속제의 받침부재(33)의 일부를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 축(191a)과 축(196a)은 각각 금속제의 돌출편(191) 및 돌출편(19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191a)과 축(196a)을 각각 축받이부(33a)의 축 구멍(33t1)과 축받이부(33b)의 축 구멍(33t2)에 삽입함으로써, 기구판(70)이 안쪽 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구판(70)은 축 구멍(33t1) 및 축 구멍(33t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구판(70)이 안쪽 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받침부재(33)는 축 구멍(33t1, 33t2)에서 돌출편(191, 196)의 축(191a, 196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판(70)에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로서 배출된 유기구(B)를 상부 접시(24)나 하부 접시(25)로 인도하는 안내로(70b)가 기구판(70)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로(70b)보다도 약간 윗쪽(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금속판(90)이 부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90)의 측단부에는 절곡부(90a)와 절곡부(9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부(90a)와 절곡부(90b)는 각각 돌출편(191) 및 돌출편(196)과 함께 기구판(70) 측면에 나사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금속판(90)은 절곡부(90a, 90b)를 통해 금속제의 돌출편(191) 및 돌출편(196)과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금속판(90)과 돌출편(191) 및 돌출편(196)을 미리 일체적으로 형성해 두어도 지장이 없다.
금속판(90) 상의 아래쪽 위치(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구슬통 베이스(77)가 이 구슬통 베이스(77)의 장착면(77g)과 금속판(90) 윗면이 겹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구슬통 베이스(77) 안에는, 상품구슬 내지 대여구슬로서 배출된 유기구(B)의 통로(7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77a)의 중앙에는 금속제의 벨(77c)이 장착되어 있다.
벨(77c)은 장착면(77g)을 관통하여 세워설치된 금속제의 지지축(79)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슬통 베이스(77)를 금속판(90) 상에 부착했을 때, 장착면(77g) 및 지지축(79)은 금속판(90)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벨(77c)에 대전한 정전기는 금속판(90)의 절곡부(90a, 90b)를 통해 기구판용 힌지(190, 195)(돌출편(191, 196) 및 받침부재(33))로 인도되고,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부터 빠찡꼬 유기기(10)의 외부로 제거된다.
또한, 구슬통 베이스(77)가 부착되었을 때 안내로(70b) 및 분기로(70c)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통로(77a) 안의 유기구(B)를 상부 접시(24)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 출구(77b)와, 통로(77a) 안의 유기구(B)를 하부 접시(25)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2 출구(77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출구(77b)와 제2 출구(77f)와의 사이에는 칸막이판(77e)이 세워져 설치된다. 이 칸막이판(77e)의 윗쪽에는 가이드판(77d)이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77d)은 제2 출구(77f)를 덮는 범위에 설치된다.
구슬통 베이스(77)의 통로(77a)의 윗쪽(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에는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이 장착된다.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의 장착위치보다도 아래쪽(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의 구슬통 베이스(77)는 구슬통 커버(78)에 의해 덮여 있다. 구슬통 커버(78)의 꼭대기면의 한군데에는, 유저(有底) 구멍(바닥이 있는 구멍)(78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유저 구멍(78a)의 구멍 속에는 주 기판용 플레이트(85) 및 배출제어기판용 플레이트(87) 부착용 너트가 끼워져 있다.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은 그의 내부에 모터(75a, 75b)를 동력원으로 하여 개폐하는 2개의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스토퍼가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케이스 레일(74)로부터의 유기구(B)의 흘러내림이 저지된다. 또한,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의 꼭대기면에는, 모터(75a, 75b)를 각각 덮도록 2개의 보호 커버(76a, 76b)가 장착된다.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의 저부(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쪽의)에는 각 스토퍼의 위치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상품구슬 배출구(75c)와 대여구슬 배출구(75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내의 상품구슬 배출구(75c)와 대여구슬 배출구(75d) 부근에는, 상품구슬 배출구(75c)와 대여구슬 배출구(75d)로부터 배출된 상품구슬, 대여구슬로서의 유기구(B)의 수를 검지하는 상품구슬/대여구슬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매립되어 있다.
도 4에서, 케이스 레일(74)은 상하로 2분할된 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어져 있다. 금속판(90)의 윗쪽 위치에 부착되는 케이스 레일(74) 내에는, 탱크 레일(73)로부터 흘러나온 유기구(B)가 진입하는 진입구(74a)와, 이 진입구(74a)로부터 진입한 유기구(B)를 상품구슬용 통로(74c)와 대여구슬용 통로(74d)로 분기(分岐)하는 분기벽(74b)과, 분기된 유기구(B)의 출구인 상품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e)와 대여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이하와 같이 유기내용이 실행된다.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15)에 프리페이드 카드가 삽입된 후에 안내 유닛(16)의 대출 버튼(16b)이 눌러지면, 대여구슬 수의 정보를 검지한 배출제어 유닛(86)이 대여구슬 배출구(75d) 쪽의 스토퍼의 개방을 지시한다. 이 결과, 케이스 레일(74)의 대여구슬용 통로(74d)에 쌓여 있던 유기구(B)는 대여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f)로부터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안의 대여구슬 배출구(75d)를 통해 구슬통 베이스(77)의 통로(77a)로 진입한다. 이 통로(77a)로 진입한 유기구(B)는 벨(77c)에 충돌하여 벨(77c)을 울리면서 제1 출구(77b)로 향해 흘러내려가고, 이 제1 출구(77b)로부터 안내로(70b)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대여구슬로서의 소정 수의 유기구(B)가 안내로(70b)를 통해 빠찡꼬 유기기(10) 앞면쪽의 상부 접시(24)로 배출된다.
이후, 도 2에 나타내는 발사 핸들(26a)의 회전조작이 행해지면, 발사조작 유닛(26)은 발사기구 유닛(31)의 발사 모터나 타구 막대 등을 구동하여, 상부 접시(24)로 배출된 유기구(B)를 유기영역으로 향해 발사한다. 발사된 유기구(B)는 발사 레일(30)상을 통과한 후, 외측 레일(51)과 내측 레일(49)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외측 레일(51)이나 내측 레일(49)에 접촉하면서 상승한다. 이후, 유기구(B)는 그 유기구(B)에 부여된 힘에 의해 내측 레일(49)의 한쪽 끝에 장착된 파울 구슬 멈춤구(50)를 밀어 연다. 이에 의해, 유기구(B)가 유기영역으로 인도된다.
유기영역으로 인도된 유기구(B)는 외측 레일(51)이나 장애 못에 충돌하면서 유기반(40) 위에서 흘러내리고, 아웃구(53), 보통입상구(43), 대입상구(46)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다. 아웃구(53)에 진입한 유기구(B)는 아웃 구슬 배출통로(70d)를 통해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유기 중에 보통입상구(43)나 대입상구(46)에 유기구(B)가 진입한 경우에는, 이 유기구(B)의 진입을 검지한 배출제어 유닛(86)이 상품구슬 배출구(75c) 쪽의 스토퍼의 개방을 지시한다. 이 결과, 케이스 레일(74)의 상품구슬용 통로(74c)에 쌓여 있던 유기구(B)는 상품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e)로부터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내의 상품구슬 배출구(75c)를 통해 구슬통 베이스(77)의 통로(77a)로 진입한다. 이 통로(77a)로 진입한 유기구(B)는 벨(77c)에 충돌하여 벨(77c)을 울린 후, 가이드판(77d)으로 안내되어 제1 출구(77b)로 향해 흘러내리고, 제1 출구(77b)로부터 안내로(70b)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품구슬로서의 소정 수의 유기구(B)가 안내로(70b)를 통해 빠찡꼬 유기기(10) 앞면쪽의 상부 접시(24)로 배출된다.
상부 접시(24)의 용량을 넘는 유기구(B)가 배출되면, 유기구(B)는 안내로(70b)로부터 상부 접시(24)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안내로(70b) 및 제1 출구(77b)가 유기구(B)로 막혀, 구슬통 베이스(77) 내의 제1 출구(77b) 부근의 하부에 유기구(B)가 체류해간다. 유기구(B)가 칸막이판(77e)을 넘는 높이까지 체류하면, 유기구(B)는 칸막이판(77e)을 넘어 제2 출구(77f)로 향해 흘러내리고, 제2 출구(77f)로부터 분기로(70c)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상품구슬로서의 유기구(B)가 분기로(70c)를 통해 빠찡꼬 유기기(10) 앞면쪽의 하부 접시(25)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에 따라, 케이스 레일(74), 탱크 레일(73) 및 구슬 탱크(72)에 쌓여 있던 유기구(B)는 차례로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으로 향하도록 이동한다.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에 의해, 구슬 탱크(72)에의 저장수가 일정한 수 이하로 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 검출결과를 받은 틀용 외부단자판(80d)으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유기장의 구슬 공급장치로부터 구슬 탱크(72)로 유기구(B)가 보급된다.
또한, 배출된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수는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 내에 설치된 상품구슬/대여구슬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지된다. 이 상품구슬/대여구슬 센서는 소정 수의 배출을 검지했을 때 검지결과를 배출제어 유닛(86)으로 송출하고, 그 검지결과를 받은 배출제어 유닛(86)은 상품구슬 배출구(75c)쪽 내지 대여구슬 배출구(75d)쪽의 스토퍼의 폐쇄를 지시한다. 스토퍼의 폐쇄에 의해, 상품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e) 내지 대여구슬용 유기구 통과구(74f)로부터의 유기구(B)의 흘러내림이 정지된다. 이 결과, 구슬 탱크(72), 탱크 레일(73) 및 케이스 레일(74) 안은 입상 내지 구슬대여 발생 전과 마찬가지로 유기구(B)가 저장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유리틀(22)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틀(22) 뒷면의 틀부분(22b)에는, 평(平)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 및 포위(包圍) 플레이트(153)와 같은 얇은 금속제의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포위 플레이트(153)는 개구부(22a)의 오른쪽으로부터 아래쪽 및 왼쪽에 걸친 범위에 장착된 대략 コ자형의 플레이트이다. 포위 플레이트(153)는 개구부(22a)를 둘러싸는 범위에, 포위 플레이트(153)를 구부려 플레이트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 형성한 절곡부(153a, 153b, 153c)를 구비한다. 이들중 절곡부(153a)의 윗쪽(도 5에서 윗쪽)의 단부와 절곡부(153c)의 윗쪽(도 5에서 윗쪽)의 단부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연결부재(154)가 걸쳐놓아져 있다. 이 연결부재(154)를 걸쳐놓음으로써, 절곡부(153a, 153b, 153c)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절곡부(153a, 153b, 153c)의 단면 형상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A), 도 6(B), 도 6(C)는 포위 플레이트(153)를 각각 도 5의 6A-6A선, 6B-6B선, 6C-6C선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 153c)에는, 연결부재(154)가 끼워지는 끼움홈(153sa, 153sc)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 153b, 153c)에는, 유리가 끼워지는 끼움홈(153ga, 153gb, 153g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부중 절곡부(153b)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홈(153gb)이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안쪽 틀(20)에 장착된 유기반(40)의 표면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153b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3bt)는, 외측 레일(51)에 대향하는 안쪽 틀(20)의 범위를 제외하고, 절곡부(153b)의 거의 전체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레일(51)에 대향하는 범위의 절곡부(153b)는, 끼움홈(153gb)이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절결부(153bm)로 되어 있다(나중에 설명하는 도 9를 참조).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홈(153gc)과는 반대쪽의 절곡부(153c)에는, 금속제의 걸림편(155)이 절곡부(153c)로부터 수평방향(유리틀(2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153c)에는, 걸림편(155)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 걸림편(155)과 동일한 형상의 걸림편(156)이 장착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들 걸림편(155, 156)은, 후술하는 키 유닛(29)의 상하 두군데에 설치된 걸림부(143c, 143p)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도 5로 돌아가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 플레이트(150) 와 평 플레이트(151)는 개구부(22a) 바깥쪽의 윗쪽(도 5에서 윗쪽) 영역에, 포위 플레이트(153)를 위로부터 덮는 양태로 장착되어 있다. 평 플레이트(150)와 포위 플레이트(153)가 서로 겹치는 범위에는 2개의 나사가 관통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평 플레이트(150) 및 포위 플레이트(153)가 유리틀(22) 뒷면의 틀부분(22b)에 고정된다. 평 플레이트(151)도, 평 플레이트(150)와 마찬가지로, 나사에 의해 관통 고정된다. 따라서, 평 플레이트(150)는 항상 포위 플레이트(153)에 맞닿게 되고, 이에 의해, 평 플레이트(150)와 포위 플레이트(153)와의 사이에서의 도통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평 플레이트(151)도, 항상 포위 플레이트(153)에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해, 평 플레이트(151)와 포위 플레이트(153)와의 사이에서의 도통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는 소정의 간격(d1)을 두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틀부분(22b)에 장착되어 있다. 즉, 개구부(22a) 외측의 주변영역에 설치된 평 플레이트(150, 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라고 하는 금속제의 플레이트들은,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의 사이를 벌려 장착함으로써 비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의 장착에 의해, 유리틀(22)의 뒷면에 약 800평방㎝의 면적을 갖는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이 확보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판체」는, 본 실시예에서는,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플레이트에 상당 한다. 물론, 「판체」를 상기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 이외의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틀(22) 외측 방향의 평 플레이트(151)의 측단부(도 5에서 보아서 오른쪽의 끝부분)에는, 유리틀용 힌지(180)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울(roll)부(151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로울부(151g)의 대략 수직 하방의 포위 플레이트(153) 상에는, 유리틀용 힌지(185)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축받이 플레이트(188)가 포위 플레이트(153) 윗면에 접촉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축받이 플레이트(188)는 3개의 나사에 의해 유리틀(22) 뒷면에 부착된다. 유리틀용 힌지(180)와 유리틀용 힌지(18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유리틀(22) 내지 상부 접시(24)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을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는, 프리페이드 카드 유닛(15)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7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설명에서는, 적당히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과 도 2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틀(22)로 덮여진 안쪽 틀(20)의 영역(이하, 유리틀 피복영역이라고 함) 내지 상부 접시(24)로 덮여진 안쪽 틀(20)의 영역(이하, 상부 접시 피복영역이라고 함)에는, 상술한 키 유닛(2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접시 피복영역에는, 파울 구슬을 하부 접시(25)로 안내하는 수지제의 파울 구슬 안내 유닛(131)과, 이 파울 구슬 안내 유닛(131) 상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대좌(臺座)(132)와, 이 대좌(132) 상에 장착되는 발사 레일(30) 과, 상기 대좌(132)와 키 유닛(29)을 접속하는 금속제의 연락부재(134)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발사 레일(30)의 약간 윗쪽의 유리틀 피복영역에는, 내측 레일(49)에 외접(外接)된 금속제의 판금(板金)(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과 도 2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로 향해 왼쪽 방향에 위치하는 외측 레일(51) 근방의 유리틀 피복영역에는, 외측 레일(51)에 외접된 금속제의 판금(115)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찡꼬 유기기(10)로부터 유리틀(22) 내지 상부 접시(24)를 떼어내면, 유리틀(22) 내지 상부 접시(24)가 부착되어 있던 곳에, 안쪽 틀용 힌지(170, 175)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도 7에 나타내는 축 형성부재(171, 176), 축(171a, 176a), 축받이 플레이트(173, 178))나, 유리틀용 힌지(180, 185)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도 7에 나타내는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 축(186), 대좌(187))가 남는다.
도 7에서의 발사 레일(30) 및 내측 레일(49) 주변의 모습을 도 8에 나타내었다. 우선, 발사 레일(30) 주변의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구슬 안내 유닛(131) 상의 대좌(132)는 나사를 사용하여 안쪽 틀(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대좌(132) 위에 발사 레일(30) 및 구슬 스토퍼(133)가 장착되어 있다. 구슬 스토퍼(133)는 발사 레일(30) 상의 유기구(B)가 발사 레일(30)의 경사를 따라 안쪽 틀(20)의 저부 개구(20y)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壁體)이다. 이 구슬 스토퍼(133)와 발사 레일(30)의 앞끝과의 사이에 발사기구 유닛(31)의 타구 막대(31a)가 배치된다.
또한, 파울 구슬 안내 유닛(131) 및 대좌(132) 위에는, 연락부재(134)가 나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부재(134)는 대좌(132) 상에 겹치는 겹침부(134a)와, 이 겹침부(134a)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부(134b)와, 이 연장부(134b)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겹침부(134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끼움부(134c)를 구비한다. 연장부(134b)는 안쪽 틀(20)에 형성된 안내면(GS)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끼움부(134c)는 안쪽 틀(20)에 형성된 키 유닛(29)의 장착면(IS)과 키 유닛(29)의 프레임(140) 사이에 끼워져, 장착면(IS)과 프레임(140)과의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유닛(29)은 유리틀 피복영역의 종방향(도 8에 나타내는 z축 방향)의 범위로 연장하여 설치된 프레임(140)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140)은 대략 コ자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안쪽 틀(20)의 안내면(GS)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빠찡꼬 유기기(10)의 상방 위치의 안쪽 틀(20) 및 프레임(1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프레임(140)의 외측 측면(141a)에는, 윗쪽의 유리틀 피복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 슬라이드판(143)이, 그리고 아래쪽의 상부 접시 피복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 슬라이드판(14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43)은 유리틀(22)의 개폐 상태의 변환에 사용되고, 슬라이드판(147)은 상부 접시(24)의 개폐 상태의 변환에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판(14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판(143)의 중앙 부근에는, 핀(pin)축(141, 142)의 축부분이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는 짧은 변 길이를 갖는 긴 구멍(143a, 143m)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축(141, 142)은 상기 긴 구멍(143a, 143m)을 관통한 상태로 프레임(140)의 외측 측면(141a)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판(143)은 핀축(141, 142)의 머리부와 외측 측면(141a)과의 사이에, 긴 구멍(143a, 143m)의 긴 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된다.
슬라이드판(143)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로크(lock) 기구(144)가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판(143)에 장착된 스프링이 하방으로 인장된 상태로 로크 기구(144)에 걸려 있고, 이 걸림에 의해 슬라이드판(143)은 맨아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이하, 로크 기구(144)의 잠금개방 상태라고 한다. 잠금개방 상태에서 로크 기구(144)의 앞끝부(144a)가 눌러지면, 로크 기구(144)에 의한 스프링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이 슬라이드판(143)에 작용하고, 슬라이드판(143)은 핀축(141, 142)이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긴 구멍(143a, 143m)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로크 기구(144)는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한 프레임(140), 핀축(141, 142), 슬라이드판(143) 및 로크 기구(144)는 모두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143)의 각 긴 구멍(143a, 143m)보다도 약간 윗쪽의 일부는 잘라내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잘라내어진 부분을, 이하, 절결부(143b, 143n)라고 하고, 일부 잘라내어져 남겨진 부분을, 이하, 걸림부(143c, 143p)라고 한다. 슬라이드판(143)의 걸림부(143c, 143p)는 절결부(143b, 143n)보다도 로크 기구(144)의 앞끝부(144a)가 위치하는 앞쪽(도 8에서는 x방향쪽)에 위치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절결부(143b)와 절결부(143n) 사이의 프레임(140), 슬라이드판(143) 및 로크 기구(14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유리틀(22) 뒷쪽의 걸림편(155, 156)이 절결부(143b, 143n)로 진입한 상태에서 로크 기구(144)의 앞끝부(144a)가 눌러지면, 걸림부(143c, 143p)가 윗쪽으로 이동하여 로크 기구(144)가 잠금 상태로 되어, 유리틀(22)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로크 기구(144)의 잠금 상태는 열쇠구멍 장식구(27)에 설치된 자물쇠(28)의 해정(解錠) 조작에 따라 해제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144)가 잠금개방 상태로 되어, 유리틀(22)을 유리틀용 힌지(180, 185)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리틀(22)를 연 후, 상부 접시(24) 뒷면과 안쪽 틀(20) 표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슬라이드판(147)의 일부를 눌러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접시(24)와 키 유닛(29)과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접시(24)는 상부 접시용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부 접시(24)를 열 수 있게 된다.
이상, 발사 레일(30) 주변의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빠찡꼬 유기기(10)로부터 유리틀(22)을 떼어낸 상태에서, 발사 레일(30)은 대좌(132)와 연락부재(134)를 통해 키 유닛(29)에 도통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제1 접속부재」는, 발사 레일(30)에 관해서는 본 실시예의 키 유닛(29)에 상당한다. 물론, 이 「제1 접속부재」를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내측 레일(49) 주변의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내측 레일(49)의 외측 근방에서의 안쪽 틀(20)은 대개 내측 레일(49)의 폭만큼 유기반(40)의 표면보다도 융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융기된 형상의 부분을, 이하, 융기부(20r)라고 한다. 이 융기부(20r)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대략 V자형의 판금(110)이 장착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기부(20r)는 앞면(20ra), 유기반(40)과 대향하는 뒷면(도시하지 않음), 상측면(20rc) 및 하측면(20rd)이라고 하는 4개의 외면을 구비한다. 판금(110)은 하측면(20rd)으로부터 융기부(20r) 뒷면과 유기반(40)의 표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측면(20rc)과 내측 레일(49)과의 사이의 공간영역에 이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측면(20rc)과 내측 레일(49)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금(110)은 그 판금(110)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내측 레일(49)의 외측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판금(110)은 융기부(20r)의 하측면(20rd)에 나사(111)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금(110)의 한쪽 단부에는 그 단부를 구부린 형상으로 함으로써 절곡부(110f)가 형성되어 있다. 판금(110)은 절곡부(110f)가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쪽(도 8에서는 x방향쪽)으로 향하도록 고정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제1 접속부재」는, 내측 레일(49)에 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판금(110)에 상당한다. 물론, 이 「제1 접속부재」를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 레일(51)에 장착된 판금(115) 주변의 모습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유리틀(22)을 연 상태에서의 빠찡꼬 유기기(10)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리틀 피복영역보다도 하부의 구조를, 유리틀용 힌지(185)와 상부 접시용 힌지를 제외하고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틀(20) 표면의 가장 바깥둘레에는, 앞쪽(도 9에서의 x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테(20d, 20e, 20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테중 테(20d)는 빠찡꼬 유기기(10)의 정면으로 향해 왼쪽(도 9에서의 -y방향쪽)의 바깥둘레에 위치하고, 테(20e)는 빠찡꼬 유기기(10)의 정면으로 향해 윗쪽(도 9에서의 z방향쪽)의 바깥둘레에 위치한다. 빠찡꼬 유기기(10)의 정면으로 향해 오른쪽(도 9에서의 y방향쪽)의 바깥둘레에 위치하는 테(20f)에 대해서는, 도 9에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유리틀(22)을 닫으면, 유리틀(22)은 테(20d, 20e, 20f)의 안쪽에 넣어진다. 이때, 테(20d, 20e, 20f)의 안쪽에 형성된 안쪽 틀(20)의 평면(20h)의 일부는 유리틀(22) 뒷면의 평 플레이트(151)나 포위 플레이트(153)에 덮여진다.
평면(20h)보다도 안쪽의 안쪽 틀(20)의 중앙영역에는, 평면(20h)으로부터 유기반(40) 표면까지의 깊이로 움푹 패인 형상의 오목부(20i)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0i) 안의 유기반(40) 표면에 외측 레일(51) 및 내측 레일(49)이 장착된다. 내측 레일(49)의 앞끝에는, 전술한 금속제의 파울 구슬 멈춤구(5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구슬 멈춤구(50)가 외측 레일(51)에 약간 접촉하는 상태로, 파울 구슬 멈춤구(50)를 내측 레일(49)에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발사된 유기구(B)에 의해 밀려 열려진 파울 구슬 멈춤구(50)는 유기구(B)의 통과후에 그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시 외측 레일(51)에 약하게 접촉한다. 이에 의해, 외측 레일(51)과 내측 레일(49)은 유기구(B)의 통과시를 제외하고는 파울 구슬 멈춤구(50)를 통해 도통된다. 따라서, 외측 레일(51)과 내측 레일(49)과의 사이에서의 전위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외측 레일(51)상이나 내측 레일(49)상에서의 국소적인 고전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20i)를 형성하는 측면들중, 빠찡꼬 유기기(10)의 정면으로 향해 왼쪽의 측면을 측면(20j)으로 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측면(20j)과 외측 레일(51)과의 사이의 공간영역에 판금(115)이 설치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판금(115)을 외측 레일(51)을 투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금(115)의 2개의 단부중, 유기반(40)의 표면쪽(도 9에서 나타내는 -x방향쪽)에 위치하는 한쪽 단부에는, 그 단부를 구부려 절곡부(115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유리틀(22)의 뒷면방향쪽(도 9에서 나타내는 x방향쪽)에 위치하는 다른 단부에는, 그 단부를 구부려 절곡부(115f)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20j)과 외측 레일(51)과의 사이의 공간영역에 판금(115)이 설치된 상태에서, 판금(110)의 절곡부(115e)는 이 절곡부(115e)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외측 레일(51)의 외측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판금(115)은 절곡부(115f)가 빠찡꼬 유기기(10)의 앞면쪽(도 9에서는 x방향쪽)을 향하도록 측면(20j)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제1 접속부재」는, 외측 레일(51)에 관해서는 본 실시예의 판금(115)에 상당한다. 물론, 이 「제1 접속부재」를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안쪽 틀용 힌지(170, 175) 및 유리틀용 힌지(180, 185)의 구조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안쪽 틀용 힌지(170) 및 유리틀용 힌지(180, 185)의 구조를 기구판용 힌지(190, 195)의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서는, 안쪽 틀용 힌지(170, 175)가 부착되는 안쪽 틀(20) 및 바깥틀(12)과, 유리틀용 힌지(180, 185)가 부착되는 유리틀(22) 및 안쪽 틀(20)과, 기구판용 힌지(190, 195)가 부착되는 기구판(70) 및 안쪽 틀(20)에서, 이들의 외형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안쪽 틀용 힌지(170, 17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틀용 힌지(170)는, 안쪽 틀(20)의 윗쪽(도 10에 나타내는 z방향쪽)의 측면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축 형성부재(171)와, 바깥틀(12)의 윗쪽(도 10에 나타내는 z방향쪽)의 측면 내지 왼쪽(도 10에 나타내는 -y방향쪽)의 측면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축받이 플레이트(173)로 구성되어 있다. 축 형성부재(171)는 그의 윗부분에, 안쪽 틀(20)의 윗쪽의 측면에 얹어지는 얹어놓음부(171e)와, 이 얹어놓음부(171e)와 연속하여 안쪽 틀(20)의 앞쪽(도 10에 나타내는 x방향쪽)에 안쪽 틀(20)의 두께를 넘는 길이로 연장한 제1 연장부(171f)를 구비한다. 이 제1 연장부(171f)의 앞끝에는,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장한 축(171a)이 장착되어 있다.
축 형성부재(171)의 하부에는, 안쪽 틀(20)의 두께를 넘는 길이로 연장한 제2 연장부(17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연장부(171g)는, 안쪽 틀(20)에의 축 형성부재(171)의 부착시에 안쪽 틀(20)의 안팎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0c)에 삽입된 다. 축 형성부재(171)가 안쪽 틀(20)에 부착되면, 제2 연장부(171g)의 끝의 돌출부(171b)는 안쪽 틀(20)의 평면(20h)보다도 앞쪽(도 10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도 9 참조). 이 돌출부(171b)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슬라이드 축(181)의 축부분(181b)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축 구멍(171t)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받이 플레이트(173)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틀(20) 방향(도 10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연장한 연장부(17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부(173a)에는, 축(171a)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축 구멍(173t)이 뚫려 있다.
안쪽 틀용 힌지(175)도, 안쪽 틀용 힌지(170)와 마찬가지로, 축(176a)이 붙은 금속제의 축 형성부재(176)와, 축(176a)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축 구멍(178t)이 뚫린 금속제의 축받이 플레이트(178)로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축 형성부재(176) 및 축받이 플레이트(178)는 안쪽 틀(20)의 아래쪽(도 7에 나타내는 아래방향쪽)의 측면과 바깥틀(12)과의 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축 형성부재(171, 176)의 축(171a, 176a)을 축받이 플레이트(173, 178)의 축 구멍(173t, 178t)에 삽입함으로써, 안쪽 틀(20)이 바깥틀(1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안쪽 틀용 힌지(170)의 경우에는, 도 10에 검은 색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받이 플레이트(173)의 연장부(173a)를 축 형성부재(171)의 뒷쪽(도 10에 나타내는 -x방향쪽)에 형성된 절결부(171c)로 통과시킨 후, 연장부(173a) 앞끝의 축 구멍(173t)에 축(171a)을 삽입한다.
다음에, 유리틀용 힌지(180, 18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 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틀용 힌지(180)는, 앞에서 설명한 안쪽 틀(20)에 부착되는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에 형성된 축 구멍(171t)과, 유리틀(22)의 뒷면에 장착된 평 플레이트(151)의 로울부(151g)와, 이 로울부(151g) 내에 삽입되어 로울부(151g) 외측에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게 걸려 있는 슬라이드 축(1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울부(151g)는 평 플레이트(151)의 단부를 둥그렇게 감아서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구멍(151h)은 이 로울부(151g) 안의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이 축 삽입구멍(151h)에는, 슬라이드 축(181)의 축부분(181b)이 아래로부터 위로 삽입된다. 또, 로울부(151h)의 외측에는, 스프링의 한쪽 끝이 걸리는 행거(hanger)부(151i)가 용착(溶着)되어 있다. 이 행거부(151i)에 걸린 스프링의 다른쪽 끝은 슬라이드 축(181)의 손잡이부(181a)에 감겨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축(181)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도 10에 나타내는 화살표 K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결과, 축 삽입구멍(151h)에 삽입된 축부분(181b)은 축 삽입구멍(151h)을 관통하여 로울부(151g)의 윗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유리틀용 힌지(185)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틀(20)의 하방(도 10에서는 -z방향)의 평면(20h)에 3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축(186)이 붙은 대좌(187)와, 전술한 포위 플레이트(153)와 겹친 상태로 유리틀(22)의 뒷면에 부착되는 축받이 플레이트(188)로 구성되어 있다. 축(186)은 대좌(187)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그의 끝에서 안쪽 틀(20)에 고정되어 있 다(도 7 참조). 대좌(187)보다도 윗쪽에 위치하는 이 축(186)의 부분이 유리틀용 힌지(185)로서 기능하고, 대좌(187)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부 접시용 힌지로서 기능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틀용 힌지(185)를 구성하는 대좌(187)에는, 금속제의 박판(薄板)(99)의 한쪽 끝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박판(99)의 다른쪽 끝은 안쪽 틀(20)의 안팎을 관통하는 슬릿(20k)(도 10 참조)에 안쪽 틀(20)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안쪽 틀(20) 뒷쪽 측면의 받침부재(3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축받이 플레이트(188)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울부(151g)의 대략 수직 하방의 위치에, 틀부분(22b)의 외측에서 플레이트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부려진 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절곡부(188a)를 구비한다. 이 절곡부(188a)에는, 축(186)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축 구멍(188t)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 플레이트(188)의 축 구멍(188t)을 대좌(187)상의 축(186)에 삽입한 후에, 슬라이드 축(181)의 축부분(181b)을 돌출부(171b)의 축 구멍(171t)에 삽입함으로써, 유리틀(22)이 안쪽 틀(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부분(181b)을 축 구멍(171t)에 삽입할 때에는, 우선, 손잡이부(181a)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화살표 L방향으로 눌러내려서, 축부분(181b)이 로울부(151g)의 윗쪽으로 너무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이어서, 축부분(181b)을 축 구멍(171t)의 위치에 맞춘 후, 손잡이부(181a)로부터 손을 뗀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축(181)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도 10에 나타내는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여, 축부분(181b)이 축 구멍(171t)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유리틀(22)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로 안쪽 틀(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리틀(22)이 안쪽 틀(20)에 설치되면, 평 플레이트(151)의 로울부(151g)는 슬라이드 축(181)의 축부분(181b)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슬라이드 축(181)의 축부분(181b)은 축 구멍(171t)에서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 안쪽 틀(20)이 바깥틀(12)에 설치되면, 축 형성부재(171)는 축받이 플레이트(173)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즉, 안쪽 틀(20)이 바깥틀(12)에, 유리틀(22)이 안쪽 틀(20)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유리틀(22) 뒷면의 평 플레이트(151)는 유리틀용 힌지(180)(로울부(151g), 슬라이드 축(181), 축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축 형성부재(171) 및 축받이 플레이트(173))에 도통되어 있다.
한편, 유리틀(22)이 안쪽 틀(20)에 설치되면, 포위 플레이트(153)에 겹쳐진 축받이 플레이트(188)는 축 구멍(188t)에서 축(186)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 축(186)이 장착된 대좌(187)는 박판(99)을 통해 받침부재(33)에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 도 4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구판(70)이 안쪽 틀(20)에 설치되면, 받침부재(33)는 축 구멍(33t1, 33t2)에서 돌출편(191, 196)의 축(191a, 196a)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즉, 유리틀(22)과 기구판(70)이 각각 안쪽 틀(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리틀(22) 뒷면의 포위 플레이트(153)는 유리틀용 힌지(185)(축받이 플레 이트(188), 축(186) 및 대좌(187)) 및 박판(99)을 통해 기구판용 힌지(190, 195)(받침부재(33) 및 돌출편(191, 196))에 도통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제2 접속부재」는, 본 실시예에서는 평 플레이트(151)와 안쪽 틀용 힌지(170)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0)」, 포위 플레이트(153)와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5) 및 박판(99)」에 상당한다. 물론, 이 「제2 접속부재」를 다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빠찡꼬 유기기(10)에서, 유리틀용 힌지(180, 185)를 통해 안쪽 틀(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유리틀(22)을 닫으면, 유리틀(22) 뒷면의 절곡부(153a, 153b, 153c)나 연결부재(154)는 안쪽 틀(20)의 오목부(20i) 내로 진입하여, 도 1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에 있게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153c)의 걸림편(155) 내지 걸림편(156)은 영역 P 내지 영역 Q에서 키 유닛(29)에 맞닿는다. 또, 절곡부(153b)의 돌출부(153bt)(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영역 R에서 판금(110)에 맞닿고, 절곡부(153a)는 영역 S에서 판금(115)에 맞닿는다. 영역 P 내지 영역 Q에서의 절곡부(153c)와 키 유닛(29)과의 맞닿는 상태를 도 12에, 그리고 영역 R에서 절곡부(153b)와 판금(110)과의 맞닿는 상태를 도 13에, 영역 S에서 절곡부(153a)와 판금(115)와의 맞닿는 상태를 도 14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하, 각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영역 P 내지 영역 Q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키 유닛(29) 주변의 모습을 도 11의 12-12선을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서는, 키 유닛(29)이 장착되는 안쪽 틀(20)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유리틀(22)에 대해서는, 걸림편(155, 156)을 절단면으로 하여 빗금 해칭(hatching)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걸림편(155, 156) 이외의 부분을 가상(假想)형상으로 하여 2점쇄선 내지 점선을 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A)는 유리틀(22)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키 유닛(29)은 로크 기구(144)가 잠금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8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발사 레일(30)은 대좌(132) 및 연락부재(134)를 통해 키 유닛(29)에 도통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유리틀(22)을 닫아가면, 우선,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155, 156)이 걸림부(143c, 143p)의 윗쪽을 통과하여 슬라이드판(143)의 절결부(143b, 143n) 안으로 진입한다.
이후,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틀(22) 뒷면의 포위 플레이트(153)가 로크 기구(144)의 앞끝부(144a)에 접촉하고, 더욱 유리틀(22)를 닫아가면, 로크 기구(144)의 앞끝부(144a)가 포위 플레이트(153)에 의해 눌러진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144)가 잠금 상태로 되고, 키 유닛(29) 및 유리틀(22)은 도 12(C)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즉, 걸림편(155, 156)이 절결부(143b, 143n) 안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앞끝부(144a)가 눌러지면, 슬라이드판(143)이 긴 구멍(143a, 143m)을 따라 윗쪽으로 이동하고, 이 결과, 슬라이드판(143)은 걸림편(155, 156)의 하단부에 맞닿는다.
로크 기구(144)가 잠금 상태로 된 후에 유리틀(22)로부터 손을 떼면, 유리틀(22)은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지만, 이 되돌아려 할 때, 유리틀(22)의 걸림편(155, 156)은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143)의 걸림부(143c, 143p)에 맞닿아, 걸림부(143c, 143p)가 걸림편(155, 156)의 되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유리틀(22)로부터 손을 뗀 후에는,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43c, 143p)와 걸림편(155, 156)이 접촉한 상태가 되어, 유리틀(22)이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유리틀(22)의 폐쇄상태에서는, 키 유닛(29)의 걸림부(143c, 143p)와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c)에 장착된 걸림편(155, 156)이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발사 레일(30)은 대좌(132), 연락부재(134), 키 유닛(29)의 걸림부(143c, 143p),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c)를 통해, 포위 플레이트(153) 및 평 플레이트(150, 151)를 겹쳐 이루어지는 유리틀(22) 뒷면의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에 도통되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중 평 플레이트(151)는 유리틀용 힌지(180)(로울부(151g), 슬라이드 축(181),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축 형성부재(171) 및 축받이 플레이트(173))에 도통되어 있고, 포위 플레이트(153)는 유리틀용 힌지(185)(축받이 플레이트(188), 축(186), 대좌(187)) 및 박판(99)을 통해 기구판용 힌지(190, 195)(받침부재(33) 및 돌출편(191, 196))에 도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발사 레일(30)과 안쪽 틀용 힌지(170)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대좌(132), 연락부재(134), 키 유닛(29), 걸림편(155, 156), 포위 플 레이트(153), 평 플레이트(151), 유리틀용 힌지(180)), 및 발사 레일(30)과 기구판용 힌지(190, 195)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대좌(132), 연락부재(134), 키 유닛(29), 걸림편(155, 156), 포위 플레이트(153), 유리틀용 힌지(185), 박판(99), 받침부재(33))가 도 1에서의 접속부재(HB)에 상당한다. 발사 레일(30)상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이 접속부재(HB)를 차례로 통과하여 안쪽 틀용 힌지(170)나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인도되고, 각 힌지(170, 190, 195)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영역 R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11의 13-13선을 따라 절단한 때의 판금(110)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은 유리틀(22)이 열려 있는 상태를 이미지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유리틀(22)을 닫으면, 유리틀(22)의 틀부분(22b)은 안쪽 틀(20)의 테(20d, 20e, 29f)의 안쪽을 통해 평면(20h)으로 점차 근접해가서, 유리틀(22) 뒷면의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 153b, 153c) 및 연결부재(154)가 안쪽 틀(20)의 오목부(20i)로 진입한다.
오목부(20i)에의 이 절곡부(153b)의 진입시, 절곡부(153b) 앞끝의 돌출부(153bt)는 안쪽 틀(20)의 융기부(20r)에 내측 레일(49)과의 접촉을 확보하면서 장착된 판금(110)의 절곡부(110f)에 맞닿고, 더욱 유리틀(22)을 닫음으로써, 돌출부(153bt)는 절곡부(110f)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절곡부(110f)를 누른다. 포위 플레이트(153)(돌출부(153bt))에 대한 이러한 판금(110)(절곡부(110f))의 탄성력에 의해, 유리틀(22)을 폐쇄할 때 적절한 저항감이 부여되어, 유리틀(22)의 급폐쇄를 억제할 수 있다.
로크 기구(144)가 잠그어져 유리틀(22)이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53bt) 방향으로의 절곡부(110f)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53bt)와 절곡부(110f)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유리틀(22)의 폐쇄상태에서는 내측 레일(49)에 외접된 판금(110)의 절곡부(110f)와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b)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내측 레일(49)은 판금(110),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b)를 통해, 포위 플레이트(153) 및 평 플레이트(150, 151)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유리틀(22) 뒷면의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에 도통되게 된다.
또, 도 9 및 도 1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중 평 플레이트(151)는 유리틀용 힌지(180)(로울부(151g), 슬라이드 축(181),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축 형성부재(171) 및 축받이 플레이트(173))에 도통되어 있고, 포위 플레이트(153)는 유리틀용 힌지(185)(축받이 플레이트(188), 축(186), 대좌(187)) 및 박판(99)을 통해 기구판용 힌지(190, 195)(받침부재(33) 및 돌출편(191, 196))에 도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측 레일(49)과 안쪽 틀용 힌지(170)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판금(110), 포위 플레이트(153), 평 플레이트(151), 유리틀용 힌지(180)), 및 내측 레일(49)과 기구판용 힌지(190, 195)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판금(110), 포위 플레이트(153), 유리틀용 힌지(185), 박판(99), 받 침부재(33))가 도 1에서의 접속부재(UB)에 상당한다. 내측 레일(49)상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이 접속부재(UB)를 차례로 통과하여 안쪽 틀용 힌지(170)나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인도되고, 각 힌지(170, 190, 195)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영역 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1의 14-14선을 따라 절단한 때의 판금(115) 주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 14에서는, 유리틀(22)에 대해, 유리틀(22) 뒷면의 포위 플레이트(153)를 절단면으로서 빗금 해칭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포위 플레이트(153) 이외의 부분을 가상(假想)형상으로 하여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A)는 돌출부(171b)에서 안쪽 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리틀(22)이 열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유리틀(22)을 닫으면, 유리틀(22)은 안쪽 틀(20)의 평면(20h)에 점차 근접해가서, 유리틀(22) 뒷면의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가 안쪽 틀(20)의 오목부(20i)로 진입한다.
오목부(20i)에의 이 절곡부(153a)의 진입시, 절곡부(153a)의 앞끝부는 외측 레일(51)과의 접촉을 절곡부(115e)에서 확보하면서 안쪽 틀(20)의 측면(20j)에 장착된 판금(115)의 절곡부(115f)에 맞닿는다. 더욱 유리틀(22)를 닫음으로써, 절곡부(153a)의 앞끝부는 절곡부(115f)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절곡부(115f)를 누른다. 포위 플레이트(153)(절곡부(153a)의 앞끝부)에 대한 이러한 판금(115)(절곡부(115f))의 탄성력에 의해, 유리틀(22)을 폐쇄할 때 적절한 저항감이 부여되어, 유리틀(22)의 급폐쇄를 억제할 수 있다.
로크 기구(144)가 잠그어져 유리틀(22)이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153a) 방향으로의 절곡부(115f)의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153a)의 앞끝부와 절곡부(115f)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유리틀(22)의 폐쇄상태에서는, 외측 레일(51)에 외접된 판금(115)의 절곡부(115f)와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가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외측 레일(51)은 판금(115), 포위 플레이트(153)의 절곡부(153a)를 통해, 포위 플레이트(153) 및 평 플레이트(150, 151)를 서로 겹쳐서 이루어지는 유리틀(22) 뒷면의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에 도통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중 평 플레이트(151)는 유리틀용 힌지(180)(로울부(151g), 슬라이드 축(181), 축 형성부재(171)의 돌출부(171b))를 통해 안쪽 틀용 힌지(170)(축 형성부재(171) 및 축받이 플레이트(173))에 도통되어 있고, 포위 플레이트(153)는 유리틀용 힌지(185)(축받이 플레이트(188), 축(186), 대좌(187)) 및 박판(99)을 통해 기구판용 힌지(190, 195)(받침부재(33) 및 돌출편(191, 196))에 도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측 레일(51)과 안쪽 틀용 힌지(170)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판금(115), 포위 플레이트(153), 평 플레이트(151), 유리틀용 힌지(180)), 및 외측 레일(51)과 기구판용 힌지(190, 195)와의 사이의 도통경로를 구성하는 부재(판금(115), 포위 플레이트(153), 유리틀용 힌지(185), 박판(99), 받침부재(33))가 도 1에서의 접속부재(SB)에 상당한다. 외측 레일(51)상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이 접속부재(SB)를 차례로 통과하여 안쪽 틀용 힌지(170)나 기구판용 힌지(190, 195)로 인도되고, 각 힌지(170, 190, 195)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각 힌지(170, 190, 195)로 인도된 정전기를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수법으로서는, 유기장의 섬에 설치된 어스(접지)선을 각 힌지(170, 190, 195)에 접속하는 수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발사 레일(30), 내측 레일(49), 외측 레일(51)을 접속부재(HB), 접속부재(UB), 접속부재(SB)를 통해 각 힌지(170, 190, 195)에 접속함으로써, 빠찡꼬 유기기(10) 안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신속하게 기계 밖으로 제거된다. 이 결과, 빠찡고 유기기(10) 안에 대전(帶電)하는 정전기는 종래보다도 크게 저감된다. 또한, 상기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상기한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와의 접속부재(HB), 접속부재(UB), 접속부재(SB)를 통한 도통에 추가하여, 구슬 탱크(72), 탱크 레일(73), 케이스 레일(74)과 상품구슬/대여구슬 배출 유닛(75)을 표면저항치가 다른 수지제의 도전재(導電材)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슬 탱크(72) 등에 대전한 정전기를 금속판(90)을 통해 기계 밖으로 제거하는 구성이나, 각종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전원·발사제어기판용 플레이트(83), 주 기판용 플레이트(85), 배출제어기판용 플레이트(87) 및 램프·음성기판용 플레이트(59)라고 하는 각 플레이트를 상호 연락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와 같은 빠찡꼬 유기기(10)에서 유기중의 정전기에 의한 노이즈(noise)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도 15(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15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 전후에 빠찡꼬 유기기에 발생하는 전 위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전원 라인에서의 전위차의 변화를 데이터로서 채취한 것이며, 세로축은 전위차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또, 도 15(A)는 종래의 빠찡꼬 유기기의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도 15(B)는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의 경우의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이 행해지기 전에는, 전원 라인에서의 전위차는 5볼트 전후로 안정되어 있다.
도 15(A)와 도 15(B)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빠찡꼬 유기기에서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이 행해질 때 최대 11볼트, 최소 -2볼트의 전위차가 발생하고, 전압이 변화하는 폭(W2)은 13볼트가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이 행해질 때 최대 6볼트, 최소 4볼트의 전위차가 발생하고, 전압이 변화하는 폭(W1)은 2볼트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시에 전원 라인의 전압이 변화하는 폭은 ±1 볼트 정도에 그치고, 종래의 빠찡꼬 유기기의 1/6 정도로까지 저감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의 빠찡고 유기기(10)에서는,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상품구슬이나 대여구슬의 배출 등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에 의한 노이즈가 전원 라인에 부여되기 어려워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유기구(B)를 유기영역으로 유도하는 발사 레일(30), 내측 레일(49), 외측 레일(51)과 안쪽 틀용 힌지(170),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금속제의 접속부재(HB, UB, SB)로 접속한다. 이 접속부재(HB, UB, SB)는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경로형상을 그대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경로형상이 빠찡꼬 유기기(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와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각 레일(30, 49, 51)에 대전한 정전기를 확실하게 각 힌지(170, 190, 195)로 인도하여 빠찡꼬 유기기(10)의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각 접속부재(HB, UB, SB)를 유기기(10)를 구성하는 면(이하, 구성면이라고 함)에 설치하고, 각 접속부재(HB, UB, SB)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빠찡꼬 유기기(10)의 운반이나 설치, 점검 등을 할 때, 진동이나 접촉 등에 의해 접속부재(HB, UB, SB)가 뜻하지 않게 움직여서,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와의 접속상태가 끊어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접속부재(HB, UB, SB)를 다수의 금속제 부품에 의해 구성하고, 이들 다수의 금속제 부품을 연이어 접속함으로써, 빠찡꼬 유기기(10) 앞면의 각 레일(30, 49, 51)을 빠찡꼬 유기기(10) 뒷면의 각 힌지(170, 190, 195)에 접속한다. 따라서, 접속부재를 복잡한 형상으로 하는 일 없이,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를 접속할 수 있다. 또, 빠찡꼬 유기기(10)에는, 그의 기본적인 기능을 다하기 위해 금속제의 구성부품(예를 들어, 유리틀(22)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유닛(29)이나 기구판(70)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부재(33) 등)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 의하면, 이러한 금속제의 구성부품을 접속부재(HB, UB, SB)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유리틀(22)의 폐쇄라고 하는, 유기의 실행 전에 통상 행해지는 동작에 의해,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가 접속부재(HB, UB, SB)를 통해 도통된다. 따라서, 유기의 실행중에 각 레일(30, 49, 51)상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는 각 접속부재(HB, UB, SB)로서 이하의 부품을 구비한다.
(1) 접속부재(HB)
① 유리틀(22)을 연 상태에서 발사 레일(30)과 도통되는 키 유닛(29),
② 유리틀(22)의 뒷면에 약 800평방㎝의 면적으로 설치된 평 플레이트(150, 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
③ 평 플레이트(151)와 안쪽 틀용 힌지(170)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0), 포위 플레이트(153)와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5) 및 박판(99).
(2) 접속부재(UB)
① 유리틀(22)을 연 상태에서 내측 레일(49)과 도통되는 판금(110),
② 유리틀(22)의 뒷면에 약 800평방㎝의 면적으로 설치된 평 플레이트(150, 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
③ 평 플레이트(151)와 안쪽 틀용 힌지(170)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0), 포위 플레이트(153)와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5) 및 박판(99).
(3) 접속부재(SB)
① 유리틀(22)을 연 상태에서 외측 레일(51)과 도통되는 판금(115),
② 유리틀(22)의 뒷면에 약 800평방㎝의 면적으로 설치된 평 플레이트(150, 151) 및 포위 플레이트(153),
③ 평 플레이트(151)와 안쪽 틀용 힌지(170)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0), 포위 플레이트(153)와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접속하는 유리틀용 힌지(185) 및 박판(99).
이상의 접속부재(HB, UB, SB)를 갖는 빠찡꼬 유기기(10)는, 유리틀(22)이 폐쇄되었을 때, ① 키 유닛(29), 판금(110), 판금(115)이 ② 유리틀(22) 뒷면의 평 플레이트(150, 151), 포위 플레이트(153)에 맞닿음으로써, 각 레일(30, 49, 51)과 각 힌지(170, 190, 195)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유리틀(22)을 닫음으로써, 각 레일(30, 49, 51)에 대전한 정전기는 ① 키 유닛(29), 판금(110), 판금(115)을 통해 넓은 면적의 플레이트 영역으로 신속하게 인도되고, 그 플레이트 영역내에서 분산된다. 따라서, 각 레일(30, 49, 51)상의 정전기를 각 레일(30, 49, 51) 밖으로 효율 좋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영역으로부터 각 힌지(170, 190, 195)까지의 접속경로는, 각 접속부재(HB, UB, SB) 사이에서 공통의 부품(유리틀용 힌지(180), 유리틀용 힌지(185) 및 박판(99))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전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장착이 필요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평 플레이트(150)와 평 플레이트(151)를 서로 사이가 떨어지게 한 상태로 유리틀(22) 뒷면에 설치함으로써, 유리틀(22) 뒷면의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을 비연속적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각 레일(30, 49, 51)로부터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으로 인도된 정전기가 플레이트 영역내에서 루프를 만드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되어, 플레이트 영역내의 정전기를 ③ 유리틀용 힌지(180)로부터 안쪽 틀용 힌지(170)를 통해, 또는 유리틀용 힌지(185), 박판(99)으로부터 기구판용 힌지(190, 195)를 통해 빠찡꼬 유기기(10)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리틀(22)이 폐쇄되었을 때, ② 유리틀(22) 뒷면의 평 플레이트(150, 151), 포위 플레이트(153)가 ① 키 유닛(29), 판금(110), 판금(115)에 맞닿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유리틀(22)이 폐쇄되었을 때에, 각 플레이트(150, 151, 153)가 ① 키 유닛(29), 판금(110), 판금(115)뿐만 아니라 각 레일(30, 49, 51)의 단부에 맞닿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각 레일(30, 49, 51)과 금속부품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레일상의 정전기를 레일 밖으로 제거하는 효율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특히, 각 레일(30, 49, 51)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대전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므로, 각 플레이트(150, 151, 153)에 접촉시킴으로써 각 레일(30, 49, 51)상에 서의 국소적인 고전압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 플레이트(150, 151)와 포위 플레이트(153)라는 3개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유리틀(22) 뒷면에 금속제의 플레이트 영역을 형성했으나, 유리틀(22) 뒷면의 플레이트의 수는 2 이하나 4 이상이어도 지장이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속부재(HB, UB, SB)를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했으나, 접속부재(HB, UB, SB)를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속부재(HB, UB, SB)를 금속제의 부재로 하였으나, 이 접속부재(HB, UB, SB)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금속 이외의 도전재로 형성해도 지장이 없다. 예를 들어, 접속부재(HB, UB, SB)의 형성재료로서 탄소나 도전성 수지 등을 사용하면,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빠찡꼬 유기기(10)는 구슬대여 등에 의해 상부 접시(24)에 유기구(B)를 보충하거나, 상부 접시(24) 내지 하부 접시(25)로 배출된 유기구(B)를 기계 밖으로 빼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기계내에 유기용 구슬이 봉입되고, 이 구슬을 유통시켜 유기를 행하는 다른 유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빠찡꼬 유기기(10)에서는, 유기구(B)가 보통입상구(43) 등의 입상구에 진입하는 것에 따라 소정 수의 유기구(B)를 상품구슬로서 배출하지만, 이와 같은 상품구슬 대신에, 소정 수의 메탈이나 경품 등을 배출하는 다른 유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기로서, 어레인지 볼(arrange ball), 빠찡꼬 완구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기에 의하면, 유기구를 유기영역으로 유도하는 레일과 힌지를, 레일로부터 힌지까지의 경로형상을 그대로 형성하는 도전성 접속부재로 접속하기 때문에, 레일로부터 힌지까지의 경로형상이 유기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레일과 힌지와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레일에 대전한 정전기를 확실하게 힌지로 인도하여 유기기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7)

  1. 발사된 유기구를 소정의 레일에 의해 유기영역으로 유도하여 소정의 유기를 실행하는 유기기로서,
    도전재(導電材)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기기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hinge)와, 상기 레일과 상기 힌지를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힌지까지의 경로 형상을 그대로 형성하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가, 상기 유기의 실행시에 폐쇄되는 개폐 가능한 문과, 그 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레일과 상기 힌지를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접속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가, 상기 접속부재로서, 상기 문을 연 상태에서 상기 레일과 도통(導通)되는 제1 접속부재와, 상기 문의 폐쇄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부재에 맞닿는 맞닿음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 접속부재와 상기 제1 접속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다른쪽의 부재에 대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상기 문의 폐쇄에 따라 상기 맞닿음 접속부재가 상기 제1 접속부재에 맞닿았 을 때 상기 맞닿음 접속부재와 제1 접속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그 문을 닫았을 때 상기 유기영역을 볼 수 있게 하는 개구부를 갖는 앞면 문이고,
    상기 유기기가, 상기 접속부재로서, 상기 앞면 문을 연 상태에서 상기 레일과 도통되는 제1 접속부재와, 상기 앞면 문의 뒷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설치된 판체(板體)와, 그 판체와 상기 힌지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접속구조는, 상기 앞면 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판체가 적어도 상기 제1 접속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레일과 상기 힌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접속구조를, 상기 앞면 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판체가 상기 제1 접속부재와 상기 레일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를 상기 개구부의 바깥둘레 영역에 비연속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가, 상기 소정의 레일로서 다수의 레일부재를 구비하고, 그 레일부재들중 적어도 2개의 레일부재를, 그 레일부재들 사이에서 도통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
KR1020010066211A 2001-04-04 2001-10-26 유기기(遊技機) KR100787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5834 2001-04-04
JP2001105834A JP4956864B2 (ja) 2001-04-04 2001-04-04 遊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41A KR20020079341A (ko) 2002-10-19
KR100787882B1 true KR100787882B1 (ko) 2007-12-27

Family

ID=1895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211A KR100787882B1 (ko) 2001-04-04 2001-10-26 유기기(遊技機)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56864B2 (ko)
KR (1) KR100787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106B2 (ja) * 2003-02-12 2010-07-14 サミー株式会社 遊技盤の開閉着脱機構
JP4644778B2 (ja) * 2005-12-02 2011-03-02 タイヨーエレック株式会社 遊技機及び侵入防止手段
JP2007202890A (ja) * 2006-02-03 2007-08-16 Toyomaru Industry Co Ltd 遊技機
JP5221924B2 (ja) * 2007-10-12 2013-06-26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JP4947325B2 (ja) * 2010-09-14 2012-06-06 タイヨーエレック株式会社 遊技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10A (ja) * 1993-07-14 1995-01-27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JPH0999160A (ja) * 1995-10-09 1997-04-15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JP2000176127A (ja) * 1998-12-17 2000-06-27 Daiichi Shokai Co Ltd アースのための導電部材を備えた遊技機
KR100291271B1 (ko) * 1993-12-17 2001-11-22 가나자와 요쿠 유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779B2 (ja) * 1995-04-24 2004-09-29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JP2000197752A (ja) * 1998-12-31 2000-07-18 Takao:Kk 弾球遊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10A (ja) * 1993-07-14 1995-01-27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KR100291271B1 (ko) * 1993-12-17 2001-11-22 가나자와 요쿠 유기장치
JPH0999160A (ja) * 1995-10-09 1997-04-15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JP2000176127A (ja) * 1998-12-17 2000-06-27 Daiichi Shokai Co Ltd アースのための導電部材を備えた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41A (ko) 2002-10-19
JP4956864B2 (ja) 2012-06-20
JP2002301214A (ja)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882B1 (ko) 유기기(遊技機)
JP4218607B2 (ja) 遊技機
JPH0852264A (ja) 弾球遊技機
JP4259415B2 (ja) 遊技機
JP5145543B2 (ja) 遊技台
JP4797250B2 (ja) 遊技機
JP3849413B2 (ja) 遊技機
JP5786984B2 (ja) 遊技機
JP5573920B2 (ja) 遊技機
JP4173129B2 (ja) パチンコ機の変動入賞装置
JP3344697B2 (ja) パチンコ機
JP4299499B2 (ja) 遊技機
JP5125295B2 (ja) 遊技機
JP2011139956A (ja) 遊技機
JP2004275340A (ja) 遊技機
JP5472426B2 (ja) 遊技機
JP3849621B2 (ja) 遊技機
JP3849620B2 (ja) 遊技機
JP4590816B2 (ja) 遊技機
JP2963417B2 (ja) パチンコ機
JP5083550B2 (ja) 遊技機
JP4788779B2 (ja) 遊技機
JP3849622B2 (ja) 遊技機
JP5761396B2 (ja) 遊技機
JP5395421B2 (ja) 遊技機の不正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