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31B1 -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 Google Patents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31B1
KR100785631B1 KR1020050116301A KR20050116301A KR100785631B1 KR 100785631 B1 KR100785631 B1 KR 100785631B1 KR 1020050116301 A KR1020050116301 A KR 1020050116301A KR 20050116301 A KR20050116301 A KR 20050116301A KR 100785631 B1 KR100785631 B1 KR 10078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nozzle
receiving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822A (ko
Inventor
키즈쿠 후지타
요시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05C5/021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by relative movement of article and outl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과제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로서 직선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발광부와 투광용 광학계를 수용하고, 또한 투광창이 개설된 투광측 블록과,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 소자를 수용하고, 또한 수광창이 개설된 수광측 블록과,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가지며, 또한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 사이에서, 계측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의 거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빈 곳이 마련되어 있고, 이 빈 곳 내에, 디스펜서의 직선형상 노즐을 상하로 관통시켜서 배치함에 의해, 노즐을 분사 예정 위치에 둔 채로, 노즐 선단과 거의 그 바로 아래의 계측 대상물의 표면의 갭을 계측 가능하게 하였다.
변위 센서, 헤드, 광학식

Description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SENSOR HEAD OF OPTICAL DISPLACEMENT SENSOR}
도 1은 본 발명 센서 헤드의 좌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센서 헤드의 우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센서 헤드의 아래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센서 헤드의 외관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 센서 헤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센서 헤드의 광학 부품 배치와 광로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센서 헤드를 디스펜서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작업의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디스펜서와 센서 헤드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헤드 2 : 투광측 블록
3 : 수광측 블록 4 : 투광측 커버
4a : 면 5 : 수광측 커버
5a : 면 6 : 지지 플레이트
7 : 전기 코드 8 : 플러그
9 : 투광창 10 : 수광창
11 : 노치 12 : 부착구멍
13 : 부착구멍 14 : 부착구멍
15 : 부착구멍 17 : 빈 곳
18 : 발광 소자 기판 19 : 투광 렌즈
20 : 렌즈 홀더 21 : 수광 렌즈
22 : 렌즈 홀더 23 : 반사경
24 : 수광 소자 조립체 25 : 디스펜서의 헤드
26 : 디스펜서의 노즐 27 : 유리판
L1 : 투광 광축 L2 : 수광 광축
a : 스테이지 b : 유리판
c : 접착제 d : 노즐의 상대 이동 방향
e : 디스펜서의 헤드 f : 디스펜서의 노즐
h : 노즐의 승강 방향 j : 센서 헤드
G : 갭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FPD(Flat Panel Display) 생산 라인에 있어서의 디스펜서 노즐을 사용한 접착제 도포 작업 등에 알맞은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FPD(Flat Panel Display) 생산 라인에서의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작업에서는, 미크론 오더의 갭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작업의 설명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a는 유리판을 반송하는 스테이지, b는 유리판, c는 접착제, d는 디스펜서의 상대적 이동 방향, e는 디스펜서의 헤드, f는 디스펜서의 노즐, h는 디스펜서의 승강 이동 방향, G는 디스펜서 노즐의 선단과 유리판 사이의 갭이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리판(b)은 스테이지(a)에 의해 반송되어 디스펜서의 노즐(f)의 아래를 도면중 우로부터 좌로 통과한다. 이로써, 노즐(f)은 유리판(b)에 대해 d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노즐(f)의 선단에서 접착제(c)를 사출함에 의해, 유리판(b)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유리판(b)상에 도포되는 접착제(c)의 두께는, 노즐(f)의 선단과 유리판(b) 표면의 갭의 크기에 의존한다. 접착 대상이 되는 유리판(b)의 반송중에, 디스펜서 노즐(f)의 선단과 도포 대상이 되는 유리판(b) 표면의 갭(G)의 크기가 변동하면, 도포되는 접착제(c)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어, 제품의 수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FPD 생산 라인에서의 디스펜서 노즐 선단과 도포 대상 유리판의 갭 관리를 위해서는, 종래부터 광학식의 변위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즉, 광학식 변위 센서로 측정되는 갭의 값이 항상 규정치로 되도록, 디스펜서 노즐(f)의 선단 높이는 소정의 승강 구동 기구를 통하여 서보 제어된다.
광학식의 변위 센서로서는, 센서 헤드와 신호 처리 유닛(통칭, 앰프 부)을 분리시킨 앰프 분리형의 변위 센서가 채용된다. 앰프 분리형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로서는, 확산반사 대응형의 것과 정반사 대응형의 것이 알려져 있지만, 유리 등의 경면 물체에 대해서는 정반사 대응형의 센서 헤드가 채용된다.
정반사 대응형 센서 헤드의 기본 구조는, 광원이 되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계측 대상물에 대해 경사시킨 투광 광축에 따라 조사하는 투광용 광학계와, 계측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투광 광축의 경사 방위와 반대측의 방위로 대칭적으로 경사시킨 수광 광축에 따라 받아들이는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용 광학계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소정 형상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디스펜서와 센서 헤드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b는 유리판, e는 디스펜서의 헤드, f는 디스펜서의 노즐, j는 센서 헤드, L1은 투광 광축, L2는 수광 광축이다.
디스펜서의 노즐(f)과 센서 헤드(j)와의 배치예로서는, 도 9의 (a1), (b1)에 도시된 제 1 종래예와, 도 9의 (a2), (b2)에 도시된 제 2 종래예가 존재한다. 제 1 종래예에서는, 노즐(f) 그 자체는 직선형상의 것이 그대로 사용되고, 센서 헤드(j)의 측정점(L1, L2)은 노즐(f)의 측방에 이것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2 종래예에 서는, 노즐(f)은 크랭크형상으로 굴곡되고, 센서 헤드(j)의 측정점(L1, L2)은 노즐(f)의 선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 01/73375 A1팜플렛
그러나, 상술한 제 1 종래예에서는, 노즐(f)의 선단과 센서 헤드(j)의 측정점이 너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유리판(b)이 휘거나 굽이치거나 하고 있으면, 센서 헤드(j)로 측정되는 갭의 값과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의 값(실제의 갭의 값)이 상위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제 2 종래예에서는, 노즐(f)의 선단과 센서 헤드(j)의 측정점이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b)이 휘거나 굽이치거나 하였다고 하여도, 센서 헤드(j)로 측정되는 갭의 값과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의 값(실제의 갭의 값)은 그다지 상위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즐(f)을 크랭크형상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가공이 수고가 드는 것에 더하여, 노즐(f)이 굴곡되면 그 내부를 흐르는 접착제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고, 사출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예를 들면,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로서 직선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명세서의 이하의 기재를 참조함에 의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는, 광원이 되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계측 대상물에 대해 경사시킨 투광 광축에 따라 조사하는 투광용 광학계와, 계측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투광 광축의 경사 방위와 반대측의 방위로 대칭적으로 경사시킨 수광 광축에 따라 받아들이는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용 광학계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소정 형상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소정 형상의 케이스는, 발광부와 투광용 광학계를 수용하며, 또한 투광창이 개설(開設)된 투광측 블록과,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 소자를 수용하며, 또한 수광창이 개설된 수광측 블록과,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고 있고,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 사이에서, 계측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의 거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빈 곳이 마련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이 빈 곳 내에, 디스펜서의 직선형상 노즐을 상하로 관통시켜서 배치함에 의해, 노즐 선단과 거의 그 바로 아래의 계측 대상물의 표면의 갭을 계측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센서 헤드에 의한 측정점은, 디스펜서 노즐 선단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로서 직선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투광측 블록은,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계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투광측 기판과, 이 투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투광창이 개설된 투광측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수광용 블록은,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수광측 기판과, 이 수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수광창이 개설된 수광측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투광측 기판과 결합 부재와 수광측 기판은 1장의 평판형상 지지 플레이트에 겸용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계를 구성하는 부품 및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은, 모두 1장의 평판형상 지지 플레이트에 실장되게 되기 때문에, 광학계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양호한 것으로 됨과 함께, 구조도 간단하고 또한 견고한 것으로 된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빈 곳과 인접하는 위치에, 피측정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을 면하는 창으로서 기능하는 노치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치부가 피측정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을 면하는 창으로서 기능하게 되기 때문에, 노즐의 선단과 측정점과의 관계를 시인(視認)하거나, 조명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에는 디스펜서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取付具)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로써, 센서 헤드를 디스펜서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투광창의 개설면(開設面)과 수광창의 개설면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즐과 유리판과의 거리가 근접한 경우에도, 갭의 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센서 헤드의 좌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가 도 1에, 마찬가지로 우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가 도 2에, 마찬가지로 아래로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가 도 3에, 마찬가지로 외관 투영도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센서 헤드는, 광원이 되는 발광부(상세한 것은 후술)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계측 대상물에 대해 경사시킨 투광 광축에 따라 조사하는 투광용 광학계(상세한 것은 후술)와, 계측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투광 광축의 경사 방위와 반대측의 방위로 대칭적으로 경사시킨 수광 광축에 따라 받아들이는 수광용 광학계(상세한 것은 후술)와, 수광용 광학계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수광 소자(상세한 것은 후술)를 소정 형상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케이스는 이 예에서는, 투광측 블록(2)과, 수광측 블록(3)과, 투광측 블록(2)과 수광측 블록(3)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상세한 것은 후술)를 갖는다. 투광측 블록(2)과 수광측 블 록(3) 사이에서, 계측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의 거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빈 곳(17)이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빈 곳(17) 내에, 디스펜서의 직선형상 노즐(26)을 상하로 관통시켜서 배치함에 의해(상세한 것은 도 7 참조), 노즐(26)을 분사 예정 위치에 둔 채로, 노즐 선단과 거의 그 아래의 계측 대상물의 표면의 갭을 계측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광측 블록(2)은,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계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투광측 기판(상세한 것은 후술)과, 이 투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투광창(9)이 개설된 투광측 커버(4)로 이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수광용 블록(3)은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수광측 기판(상세한 것은 후술)과, 이 수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수광창(10)이 개설된 수광측 커버(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투광측 기판과 결합 부재와 수광측 기판은 1장의 평판형상 지지 플레이트에 겸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계를 구성하는 부품 및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은, 모두 1장의 평판형상 지지 플레이트(6)에 실장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광학계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양호한 것으로 됨과 함께, 구조도 간단하고 또한 견고한 것으로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6)는 투광측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영역(도면중 우측 영역)과 수광측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영역(도면중 좌측 영역)을 갖는다. 투광측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에는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 계를 구성하는 부품(발광 소자 기판(18), 투광 렌즈(19), 렌즈 홀더(20) 등)이 실장되고, 투광용 커버(4)가 그 위에 씌워진다. 수광측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에는,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수광 렌즈(21), 반사경(23), 수광 소자 조립체(24) 등)이 실장되고, 그 위에 수광용 커버(5)가 씌워진다.
지지 플레이트(6)상에서, 투광 기판 영역과 수광 기판 영역의 경계에는 노치(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1)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측정점(광 조사점)을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측정점을 카메라 등으로 감시할 때에 조명광을 측정점에 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 7은 전기 코드, 8은 플러그, 12 내지 15는 부착구멍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의 직선형상 노즐(26)을 상하로 관통시켜서 빈 곳(17) 내에 배치함에 의해, 노즐(26)을 분사 예정 위치에 둔 채로, 노즐 선단과 거의 그 바로 아래의 계측 대상물(유리판(27))의 표면의 갭을 계측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 헤드에 의한 측정점은, 디스펜서 노즐(26)의 선단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26)로서 직선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27)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이 예에서는, 투광창 형성면(4a)과 수광창 형성면(5a)이 대칭적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26)과 유리판(27)이 근접한 경우에도, 교차각이 넓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 갭(G)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발광 소자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광 소자로서는 1차원 또는 2차원 CMOS 이미지 센서, 1차원 또는 2차원 CCD, PS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광의 단면(斷面) 형상은 점상(点狀)이라도 선상(線狀)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헤드(1)는, 그 성질상 정확하게 노즐(26)의 바로 아래의 위치를 측정점으로 할 수도 있지만, 실제의 접착제 도포 작업에서는, 노즐(26)의 바로 아래보다 약간 측방으로 어긋난 위치를 측정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면, 사출된 접착제에 의한 갭의 오측정(誤測定)을 회피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헤드에 의한 측정점은, 디스펜서 노즐 선단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로서 직선 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헤드에 의한 측정점은, 디스펜서 노즐 선단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디스펜서를 사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에 적용한 경우, 디스펜서 노즐로서 직선형상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노즐 선단과 유리판의 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Claims (5)

  1. 광원이 되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계측 대상물에 대해 경사시킨 투광 광축에 따라 조사하는 투광용 광학계와, 계측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투광 광축의 경사 방위와 반대측의 방위로 대칭적으로 경사시킨 수광 광축에 따라 받아들이는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용 광학계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발광부와 투광용 광학계를 수용하며, 또한 투광창이 개설된 투광측 블록과,
    수광용 광학계와 수광 소자를 수용하며, 또한 수광창이 개설된 수광측 블록과,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가지며,
    또한, 투광측 블록과 수광측 블록 사이에서, 계측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의 거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빈 곳이 마련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이 빈 곳 내에, 디스펜서의 직선형상 노즐을 상하로 관통시켜서 배치함에 의해, 노즐 선단과 거의 그 바로 아래의 계측 대상물의 표면의 갭을 계측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광측 블록은, 발광부나 투광용 광학계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투광측 기판과, 이 투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투광창이 개설된 투광측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광용 블록은, 수광용 광학계나 수광 소자를 구성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수광측 기판과, 이 수광측 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포위하며, 또한 수광창이 개설된 수광측 커버로 이루어지고,
    또한, 투광측 기판과 결합 부재와 수광측 기판은 1장의 평판형상 지지 플레이트에 겸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빈 곳과 인접하는 위치에, 피측정 대상물상의 광 조사점을 면하는 창으로서 기능하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반대측의 영역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에는, 디스펜서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5. 제 1항에 있어서,
    투광창의 개설면과 수광창의 개설면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KR1020050116301A 2004-12-14 2005-12-01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KR100785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1836A JP4725710B2 (ja) 2004-12-14 2004-12-14 光学式変位センサのセンサヘッド
JPJP-P-2004-00361836 2004-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822A KR20060067822A (ko) 2006-06-20
KR100785631B1 true KR100785631B1 (ko) 2007-12-12

Family

ID=3667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301A KR100785631B1 (ko) 2004-12-14 2005-12-01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25710B2 (ko)
KR (1) KR100785631B1 (ko)
TW (1) TWI2803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74B1 (ko) * 2008-01-22 2009-05-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시린지 장착이 가능한 변위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JP5558091B2 (ja) * 2009-12-18 2014-07-2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式変位センサのセンサヘッド及びそのセンサヘッドを備える光学式変位センサ
JP6381909B2 (ja) * 2013-12-27 2018-08-2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変位センサ
JP6787294B2 (ja) * 2017-10-31 2020-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ロボ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193A (ko) * 2004-05-12 2005-11-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3512A (ja) * 1990-04-12 1991-12-25 Omron Corp 光センサ
JPH11276962A (ja) * 1998-03-27 1999-10-12 Toshiba Corp ぺースト塗布装置
JP3940499B2 (ja) * 1998-06-01 2007-07-04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レール変位量測定装置
JP3624887B2 (ja) * 2000-03-31 2005-03-02 オムロン株式会社 変位センサ
JP3587303B2 (ja) * 2001-06-26 2004-11-10 オムロン株式会社 光学式変位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193A (ko) * 2004-05-12 2005-11-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70724A (ja) 2006-06-29
JP4725710B2 (ja) 2011-07-13
TW200632279A (en) 2006-09-16
KR20060067822A (ko) 2006-06-20
TWI280350B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944B2 (en) Fiber optic bi-directional coupling lens
US7420157B2 (en) Optical encoder having wiring substrate light source, and/or photodetector covered by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083401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1067560B (zh) 位置测量装置
KR100785631B1 (ko) 광학식 변위 센서의 센서 헤드
US9322760B2 (en) Contact angle measuring instrument
KR19990081927A (ko) 캐리어상에 콤포넌트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과 배치기및, 이러한방법과 배치기에 사용되는 보정 캐리어 검출 장치
JP4028814B2 (ja) マッピング装置
US77956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an illumination source and detector into the same IC package that allows angular illumination with a common planar leadframe
CN110018127B (zh) 分光反射测定器
CN220039391U (zh) 组装平行度检测装置及其系统
US5570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he position of lasing gaps for precise alignment and placement of optoelectric components
TWI536061B (zh) 光纖連接器
JP5126544B2 (ja) 光学式変位センサのセンサヘッド
CN210638697U (zh) 一种基于3d同轴视觉传感器的定位测量装置
CN1242245C (zh) 用于光学编码器的发射光源装置
CN108254734A (zh) 激光测距装置
US68575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vectorial distance between the capillary and the image recognition system of a wire bonder
JP2011044125A (ja) 光学装置
US20210055340A1 (en) Probe card
JP6032949B2 (ja) 画像読取装置
US8482012B2 (en) Chip module package structure
KR100326170B1 (ko) 광소자의 광도파로열 피치를 측정하는 장치
US20160006505A1 (en) Multifunctional micro sensor system
US9816842B2 (en) Optoelectronic position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code carrier, a radiation source, and a detection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