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012B1 - 전파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파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012B1
KR100781012B1 KR20057022281A KR20057022281A KR100781012B1 KR 100781012 B1 KR100781012 B1 KR 100781012B1 KR 20057022281 A KR20057022281 A KR 20057022281A KR 20057022281 A KR20057022281 A KR 20057022281A KR 100781012 B1 KR100781012 B1 KR 10078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display
intensity
radio wave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2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519A (ko
Inventor
츠루미 이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2개가 다른 전파를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그 수신 전파 강도의 표시에 관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전파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각 전파 처리부(1, 2)는 전파를 수신하고, 각종의 정보 예를 들면 영상 정보(영상 신호, 영상 데이터), 음성 정보(음성 신호, 음성 데이터), 그 이외의 정보(위치 정보 등)를 출력한다. 전환부(4)는 제1, 제2 전파 처리부(1, 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3)로부터의 전환 지령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전환하여 표시부(6)나 스피커(7)에 공급한다. 제어부(3)는 각 튜너(11, 21)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전압값을 취득하고, 어느 튜너의 수신 전파를 처리하고 있는지와는 관계없이, 양 튜너에 있어서 수신 전파의 강도를 동시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근거하여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전파 수신 장치{RADIO WAVE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수신 전파의 강도(수신 레벨, 안테나 레벨 등이라 함)를 액정 표시부 등에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최근에 있어서 수신 처리 회로의 소형화나 고성능화에 의하여, 2개의 다른 종류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기기에 있어서도 수신 전파의 강도를 액정 표시부 등에 표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평 11-15076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기는 2개의 다른 전파 중에서 예를 들면 음성 출력 등에 이용하고 있는 처리 대상 수신 전파(예를 들면, 제1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수신 전파)의 강도를 액정 표시부 등에 표시하는 것이고, 다른 수신 전파(제2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수신 전파)의 강도를 알기 위해서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어서 편리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개의 다른 전파를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그 수신 전파 강도의 표시에 관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전파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파 수신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며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 및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양 수신 전파의 강도의 표시를 사용자 조작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수신 장치는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고,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2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 및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양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2개의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이면,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는 양쪽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동시에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파 수신 장치는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며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2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 및 1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모드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모드와 양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이면,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인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알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양쪽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동시에 알 수 있다.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그림(繪) 문자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는 서로 색이 다르도록 해도 된다. 또,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는 서로 형상이 다르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파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파 수신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동일 도면 (a)(b)(c)는 각 안테나 레벨 표시 모드에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제어부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형태의 전파 수신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1에서는 제1의 안테나(1A) 및 제2의 안테나(2A)를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2개의 전파에 대하여 공용되는 1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의 전파 처리부(1)는 제1의 튜너(11)와 제1의 신호 처리부(12)로 이루어진다. 또, 제2의 전파 처리부(2)는 제2의 튜너(21)와 제2의 신호 처리부(22)로 이루어진다. 각 전파 처리부(1, 2)는 전파를 수신하고, 각종의 정보 예를 들면 영상 정보( 영상 신호, 영상 데이터), 음성 정보(음성 신호, 음성 데이터), 그 이외의 정보(위치 정보 등)를 출력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파로서는 휴대 전화용 전파, PHS용 전파, 트랜시버용 전파,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전파,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전파, 아날로그 TV 방송 전파, 디지털 TV 방송(CS, BS, 지상 디지털 방송) 전파,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용 전파, 무선 LAN용 전파 등을 상정하고 있다.
전환부(4)는 제1, 제2 전파 처리부(1, 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3)로부터의 전환 지령에 따라서 상기 출력 신호를 전환하여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6)나 스피커(7)에 공급한다. 이하, 제1의 전파 처리부(1)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처리 대상으로 하는 동작 상태를 제1의 동작 모드로 하고, 제2의 전파 처리부(2)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처리 대상으로 하는 동작 상태를 제2의 동작 모드로 한다.
조작부(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키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동작 모드 전환」키 및 「안테나 표시 모드 전환」키를 설치하고 있다. 동작 모드 전환이란 전술한 제1의 동작 모드와 제2의 동작 모드와의 전환이며, 해당 키의 조작을 제어부(3)가 검출하여 모드 전환 처리(전환부(4)의 제어 등)를 실행한다. 안테나 표시 모드 전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3)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체 제어를 행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전파의 강도를 가시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3)는 각 튜너(11, 21)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전압값을 취득하고, 예를 들면 제1의 문턱값과 제2의 문턱값과 제3의 문턱값과의 비교 처리를 행한다. 상기 전압값이 제1의 문턱값보다 크면 「강」으로 판정하고, 제2의 문턱값보다 크고 제1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중」으로 판정하고, 제3의 문턱값보다 크고 제2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약」으로 판정하고, 제3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권외(圈外)」로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는 소정 간격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제어부(3)는 상기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세그먼트 온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부(6)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는 안테나를 나타내는 역삼각형 세그먼트와 높이가 다른 3개의 봉 형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는 「강」의 판정시에 3개의 봉 형상의 세그먼트를 온 시키는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주고, 동시에 「중」일 때에는 2개, 「약」일 때에는 1개로 하는 세그먼트 온 신호를 준다.
도 3에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있어서 각 표시 모드에서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다. 동일한 도면 (a)에 나타내는 제1의 표시 모드는 제1의 표시 위치에 사용 튜너(제1의 동작 모드이면 제1의 튜너(11), 제2의 동작 모드이면 제2의 튜너(21))의 수신 전파 강도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동일한 도면 (b)에 나타내는 제2의 표시 모드는 제1의 표시 위치에 미사용 튜너(제1의 동작 모드이면 제2의 튜너(21), 제2의 동작 모드이면 제1의 튜너(11))의 수신 전파 강도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동일한 도면 (c)에 나타내는 제3의 표시 모드는 제1의 표시 위치에 사용 튜너의 수신 전파 강도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2의 표시 위치에 미사용 튜너의 수신 전파 강도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3)는 「안테나 표시 모드 전환」키의 조작을 검출하고, 표시 모드를 순차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의 표시 위치에 있고 역삼각형상의 세그먼트의 색 변화(액정 온/오프)에 의해, 제1의 표시 모드와 제2의 표시 모드의 구별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각 형상의 세그먼트를 설치하여 이것을 온/오프함으로써, 형상 변화에 의한 표시 모드의 구별화를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튜너(11, 21)에 있어서 수신 전파 강도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도 4 내지 도 8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는 전원이 온일 때,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의 클리어, 제1, 제2 전파 처리부(1, 2)나 표시부(6)의 초기화하는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 그리고, 각 튜너(11, 21)에 전파 수신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2), 또한 각 신호 처리부(12, 22)에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 이러한 처리에 의해,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디지털 변조된 신호에 대해서는 다시 복호 처리 등) 등이 실행되며 해당 전파로 전송되는 내용이 취출되고, 영상 표시나 음성 출력이 행해지게 된다.
제어부(3)는 동작 모드를 제1의 동작 모드로 하고(단계 S4), 안테나 표시 모드를 제1의 안테나 표시 모드로 한다(단계 S5). 그리고, 제어부(3)는 전환부(4)에 전환 지령을 주고, 동작 모드에 대응한 신호 출력 상태를 형성한다(단계 S6). 또한, 제1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1의 수신 처리부(1)의 출력이 전환부(4)에 있어서 선택되고, 제2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2의 수신 처리부(2)의 출력이 전환부(4)에 있어서 선택되게 된다. 또, 제어부(3)는 안테나 표시 모드에 따라서 제1 또는 제2, 또 는 양쪽 튜너에 있어서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 이 판정 결과에 근거한 세그먼트 온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출력한다(단계 S7).
또, 제어부(3)는 키 입력부(5)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고(단계 S8),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S9에서 아니오), 미리 설정된 수신 전파 강도(안테나 레벨)의 판정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0), 경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7로 돌아와서 다시 안테나 레벨을 표시한다. 안테나 레벨 판정 시간 간격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때에는 단계 S8로 돌아와서 새로운 키 입력의 유무를 감시한다.
한편, 키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단계 S9에서 예), 입력된 키의 종별 판정을 행한다(단계 S12). 입력된 키가 안테나 표시 모드 전환 키였을 때에는 안테나 표시 모드에 있어서 상태값에 1을 가산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3). 이 가산 결과에 근거하여 안테나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단계 S7로 돌아온다. 또한, 가산에 의한 상태값은 O, 1, 2의 범위로 되고, 가산값이 3 이상이 될 때 상태값은 0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태값 0은 제1의 안테나 표시 모드이고, 상태값 1은 제2의 안테나 표시 모드이고, 상태값 2는 제3의 안테나 표시 모드이다. 단계 S12에 있어서, 입력된 키가 동작 모드 전환키였을 때에는 현재의 동작 모드가 제1의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 제1의 동작 모드일 때는 동작 모드를 제2의 동작 모드로 하고(단계 S17), 제2의 동작 모드일 때는 동작 모드를 제1의 동작 모드로 하고(단계 S18) 단계 S6으로 돌아온다. 또, 단계 S12에서 입력된 키가 안테나 표시 모드 전환키 및 동작 모드 전환키 중 어떤 것도 아니었을 때에는 입력된 키에 따른 처리 를 행하고(단계 S19), 단계 S8로 돌아온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단계 S7에 있어서 안테나 레벨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부(3)는 안테나 표시 모드가 제1의 표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1), 안테나 표시 모드가 제1의 안테나 표시 모드일 때에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단계 S22). 제1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1의 튜너(11)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S23), 제2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2의 튜너(21)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24). 그리고, 제어부(3)는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의 제1의 표시 위치에 있어서 안테나 형상의 아이콘(세그먼트)을 제1의 색(도 3(a) 참조)으로 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근거한 세그먼트 온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준다(단계 S25).
한편, 단계로 S21에 있어서, 안테나 표시 모드는 제1의 안테나 표시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에는 안테나 표시 모드가 제2의 안테나 표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6), 제2의 안테나 표시 모드일 때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단계 S27). 제1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2의 튜너(21)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S28), 제2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1의 튜너(11)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29). 그리고, 제어부(3)는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의 제1의 표시 위치에 있어서 안테나 형상의 아이콘을 제2의 색(도 3(b) 참조)으로 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근거한 세그먼트 온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준다(단계 S30).
또, 단계 S26에 있어서, 안테나 표시 모드는 제2의 안테나 표시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에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단계 S31). 제1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1의 튜너(11)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S32), 제2의 동작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2의 튜너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33). 그리고, 제어부(3)는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의 제1의 표시 위치에 있어서 안테나 형상의 아이콘을 제1의 색(도 3(c) 참조)으로 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근거한 세그먼트 온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준다(단계 S34). 또한, 제어부(3)는 동작 모드에 근거하여(단계 S35), 제1의 동작 모드일 때는 제2의 튜너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S36), 제2의 동작 모드일 때는 제1의 튜너의 수신 전파 강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37). 그리고, 제어부(3)는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의 제2의 표시 위치에 있어서 안테나 형상의 아이콘을 제2의 색(도 3(c) 참조)으로 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근거한 세그먼트 온 신호를 수신 전파 강도 표시부(6a)에 준다(단계 S3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알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양쪽의 수신 전파에 대한 수신 강도를 동시에 알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다른 전파를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그 수신 전파 강도의 표시에 관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며,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한 수신 전파의 강도 표시를 지시하는 표시 지시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 및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양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 지시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2.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며,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2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2개분의 표시 영역이 미리 확보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 및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양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2개의 상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3. 제1의 전파 수신부 및 제2의 전파 수신부를 구비하며, 2개의 다른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 전파 수신부로부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2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 및 1개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상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한 수신 전파의 강도 표시를 지시하는 표시 지시 수단과,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1의 표시 모드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모드와, 양 수신 전파의 강도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 모드를 사용자에 의한 상기 표시 지시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그림(繪) 문자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는 서로 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처리 대상으로 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와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전파 수신부의 수신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는 서로 형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수신 장치.
KR20057022281A 2003-05-27 2004-05-19 전파 수신 장치 KR10078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8842A JP4090388B2 (ja) 2003-05-27 2003-05-27 電波受信装置
JPJP-P-2003-00148842 200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19A KR20060017519A (ko) 2006-02-23
KR100781012B1 true KR100781012B1 (ko) 2007-11-29

Family

ID=3348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22281A KR100781012B1 (ko) 2003-05-27 2004-05-19 전파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853275B2 (ko)
JP (1) JP4090388B2 (ko)
KR (1) KR100781012B1 (ko)
CN (2) CN102438070B (ko)
WO (1) WO2004107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2881D0 (en) * 2004-06-09 2004-07-14 Pioneer Digital Design Ct Ltd Automatic tuning system for a mobile DVB-T receiver
JP4368767B2 (ja) * 2004-09-08 2009-11-1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異常動作検出装置および異常動作検出方法
JP3970877B2 (ja) * 2004-12-02 2007-09-0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追跡装置および追跡方法
JP3998019B2 (ja) * 2005-01-26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装置、及び、その装置の子機
JP2007129629A (ja) * 2005-11-07 2007-05-24 Fuji Heavy Ind Ltd 電波受信装置
KR100744318B1 (ko)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구간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213353B2 (ja) * 2007-05-17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9288297B2 (en) * 2007-10-31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signal strength
JP2010021685A (ja) * 2008-07-09 2010-01-28 Panasonic Corp 無線通信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電界強度表示方法
JP5620068B2 (ja) * 2009-04-17 2014-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受信障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38772B2 (en) 2009-09-11 201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method
GB201012094D0 (en) 2010-07-19 2010-09-01 2K Polymer Systems Ltd Multi-component dispenser
JP5664276B2 (ja) * 2011-01-25 2015-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波状態表示システム、ユーザ端末、ルーター、電波状態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09224B2 (en) * 2011-05-06 2014-12-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necting device via multiple carriers
PL212927B1 (pl) 2011-07-20 2012-12-31 Telekomunikacja Polska Spolka Akcyjna Uklad ciaglego monitorowania energii promieniowania elektromagnetycznego emitowanej przez telefon komórkowy z automatycznym powiadamianiem o zaistnieniu zagrozenia dla zdrowia jego uzytkownika
EP2979190A1 (en) 2013-07-30 2016-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overing stranded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761A (ja) * 1999-03-29 2000-10-06 Sharp Corp 通信装置の表示方法、及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1177870A (ja) * 1999-12-17 2001-06-29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527A (en) * 1991-07-01 1994-10-11 Sony Corporation Radio receiver with display memory and keys for displaying selecting, and storing station frequencies
US5325403A (en) * 1992-12-09 1994-06-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channel diversity reception of a radio signal
US6999438B2 (en) * 1996-01-18 2006-02-1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025190B2 (ja) * 1996-03-06 2000-03-27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電界強度を測定収集する方法
JP3019010B2 (ja) * 1996-11-13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像装置
US5913177A (en) 1997-03-31 1999-06-15 Radio Frequency Systems, Inc. Traffic distribution analysis in a land mobile radio system
JPH11136769A (ja) * 1997-10-29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
JPH11150765A (ja) 1997-11-18 1999-06-02 Citizen Watch Co Ltd 受信機能付電子機器
JP3669413B2 (ja) 1999-05-17 2005-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用アダプタを備えた移動端末と回線品質変化対応方法
JP2001127850A (ja) 1999-10-27 2001-05-11 Sanyo Electric Co Ltd 電話機
JP2002057651A (ja) * 2000-08-11 2002-02-22 Advantest Corp 多重信号の物理量表示装置、方法、記録媒体
EP1391065A4 (en) * 2001-05-02 2009-11-18 Strix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THE ROUTE QUALITY BETWEEN ADJUSTABLE WIRELESS BASE STATIONS
JP4742472B2 (ja) 2001-09-07 2011-08-10 フリュー株式会社 携帯端末のキャラクタ表示装置
US7483984B1 (en) * 2001-12-19 2009-01-27 Boingo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s by a mobile device
KR20040062829A (ko) * 2003-01-0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이동통신단말의 수신 감도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761A (ja) * 1999-03-29 2000-10-06 Sharp Corp 通信装置の表示方法、及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1177870A (ja) * 1999-12-17 2001-06-29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787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7787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4642B2 (en) 2015-04-21
WO2004107607A1 (ja) 2004-12-09
US20150271314A1 (en) 2015-09-24
JP4090388B2 (ja) 2008-05-28
US20070015546A1 (en) 2007-01-18
JP2004356703A (ja) 2004-12-16
US9479629B2 (en) 2016-10-25
CN102438070A (zh) 2012-05-02
US7853275B2 (en) 2010-12-14
US20110045779A1 (en) 2011-02-24
US20160261355A1 (en) 2016-09-08
US20130023224A1 (en) 2013-01-24
KR20060017519A (ko) 2006-02-23
US9819776B2 (en) 2017-11-14
US8290444B2 (en) 2012-10-16
CN1795626A (zh) 2006-06-28
CN1795626B (zh) 2011-12-28
CN102438070B (zh)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776B2 (en) Radio wave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wo different radio wave intensities
US9137354B2 (en)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4503400B2 (ja) 携帯端末装置
US82753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adio channel
JPH10341176A (ja) チャネル選択方法
JPH07284030A (ja) 移動体用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158049B1 (ko) 이동 단말기의 채널 정보 제공 방법 및 채널 정보 편집 방법
JP2006014061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9990012146A (ko) 휴대 단말기에서 세계 시간 표시 방법
JP389326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184614A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479620B2 (ja) デジタル受信装置
JP2006014062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9990041087A (ko)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에 의한 듀얼모드 제어방법
KR19990052289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19990052314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00247447B1 (ko) 케이블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9990066515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채널 안내 화면 제어 방법
JP2011101119A (ja) 放送受信装置、切替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9990052319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정보 갱신 방법
JP2005318143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KR19990052318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화면 표시 방법
JPH0746499A (ja) 携帯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5207463A (ja) Catvホームターミナル
JPH04130887A (ja) 文字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