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307B1 -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307B1
KR100780307B1 KR1020060100751A KR20060100751A KR100780307B1 KR 100780307 B1 KR100780307 B1 KR 100780307B1 KR 1020060100751 A KR1020060100751 A KR 1020060100751A KR 20060100751 A KR20060100751 A KR 20060100751A KR 100780307 B1 KR100780307 B1 KR 10078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
chip
region
function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764A (ko
Inventor
쇼지 사쿠마
요시유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23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with means to optimize electrical conductor current carrying capacity, e.g. particular conductor aspect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기능 매크로 칩의 칩 사이즈 축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11)의 매크로 영역(12)을 인접시켜 배치하고, 기능 매크로 칩(11)의 PAD 영역(13)을 복수의 매크로 영역(12) 주위에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FOR CHIP-ON-CHIP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기능 매크로 칩의 배치예를 도시한 배치도.
도 2는 매크로 영역과 PAD 영역의 접속을 도시한 배선 배치도.
도 3은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기능 매크로 칩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기능 매크로 칩을 도시한 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능 매크로 칩
12 : 매크로 영역
13 : PAD 영역
14 : 입출력 신호 배선(신호 배선)
15a∼15d : 입출력 신호 배선(출력 신호선)
본 발명은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에 탑재되는 기능 매크로 칩에 관한 것이다.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는 제1 칩의 표면에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제2 칩)이 접합되어 패키징된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에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기능 칩의 소형화가 필요로 되고 있다.
도 3은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제1 칩(2) 및 기능 매크로 칩(2)의 표면에는 범프가 형성되고, 그 범프를 통해 제1 칩(1) 상에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2)이 접합된다. 그리고, 제1 칩(1) 주위에 형성되는 패드가 본딩 와이어(3)를 통해 외부 핀에 접속되어 패키징된다.
도 4는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기능 매크로 칩(2)의 개요를 나타낸다. 기능 매크로 칩(2)은 매크로 영역(4)과, 그 주위에 형성되는 PAD 영역(5)을 구비하고 있다. PAD 영역(5)은 웨이퍼 시험 시에 사용하는 시험 패드나 I/O 셀 등이 형성되며, 웨이퍼 시험 후에는 필요 없게 된다.
도 5는 웨이퍼 상에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2)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각 매크로 영역(4) 주위에는 PAD 영역(5)이 형성되고, 인접한 매크로 영역(4) 사이의 PAD 영역(5)은 그 양측의 매크로 영역(4)에서 공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웨이퍼 상에서의 PAD 영역(5)의 점유 면적을 축소시켜 1장의 웨이퍼로부터의 기능 매크로 칩(2)의 채취 갯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웨이퍼 시험 후에는 동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한 스크라이브 라인(6)에 의해 각 기능 매크로 칩(2)이 분리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제1 칩 상에 제2 칩을 접합한 후에, 제1 칩 상의 범프에 테스트 프로브를 압착시켜 제2 칩의 동작을 확인 가능하게 한 반도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4037호 공보
도 5에 도시된 기능 매크로 칩(2)에서는, 웨이퍼 상에서 인접한 매크로 영역(4)의 PAD 영역(5)을 공용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인접한 매크로 영역(4) 사이에 PAD 영역(5)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능 매크로 칩 1개 당의 점유 면적이 증대되어 1장의 웨이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칩 수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없어, 기능 매크로 칩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웨이퍼 시험을 행할 때에, 각 기능 매크로 칩마다 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험 비용도 상승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반도체 장치에서는, 제2 칩에 시험 패드를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제1 칩 및 제2 칩의 동작 시험을 각각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험 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기능 매크로 칩의 칩 사이즈 축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의 매크로 영역을 인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기능 매크로 칩의 PAD 영역을 상기 복수의 매크로 영역 주위에 배치한 반도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웨이퍼 상에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의 매크로 영역을 인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각 기능 매크로 칩에서 공용하는 PAD 영역을 상기 복수의 매크로 영역 주위에 배치하며, 상기 기능 매크로 칩의 동작 시험 후에, 상기 각 매크로 영역을 분리하여 PAD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능 매크로 칩(11)은 매크로 영역(12)만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다수의 매크로 영역(12) 주위에 PAD 영역(13)이 형성되어 있다. PAD 영역(13)은 웨이퍼 시험 시에 사용하는 시험 패드나 I/O 셀 등이 형성되며, 웨이퍼 시험 후에는 필요 없게 된다.
각 매크로 영역(12)은 각각 배선에 의해 PAD 영역(13)과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매크로 영역(12)과 PAD 영역(13)을 접속하는 배선의 일례를 나타낸다. PAD 영역(13)과 매크로 영역(12) 사이 및 각 매크로 영역(12) 사이에는 다수의 신호 배선(입출력 신호 배선)(14)이 배치되고, PAD 영역(13)과 각 매크로 영역(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매크로 영역(12)과 PAD 영역(13)은 각각 출력 신호선(입출력 신호 배선)(15a∼15d)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각 신호 배선(14) 및 출력 신호선(15a∼15d)은 PAD 영역(13) 내에서 각각 시험 패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신호 배선(14) 및 출력 신호선(15a∼15d)은 다층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웨이퍼 상에 형성된 기능 매크로 칩(11)은 PAD 영역(13)의 시험 패드에 테스트 프로브를 압착시켜 웨이퍼 시험이 행해진다. 즉, 시험 장치로부터 테스트 프로브를 통해 PAD 영역(5)에 시험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시험 신호는 PAD 영역(13) 내의 I/O 셀, 신호 배선(14)을 통해 각 매크로 영역(12)에 입력된다.
그리고, 각 매크로 영역(12)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가 출력 신호선(15a∼15d), PAD 영역(13) 내의 I/O 셀, 시험 패드 및 테스트 프로브를 통해 시험 장치에 입력되고, 각 매크로 영역(12)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동작 시험 후에는 각 매크로 영역(12) 사이 및 매크로 영역(12)과 PAD 영역(13) 사이의 스크라이브 라인(16)을 따라 절단하여 각 기능 매크로 칩(11)을 분리한다. 그리고, 각 기능 매크로 칩(11)을 제1 칩 상에 접합하여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능 매크로 칩(11)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기능 매트로 칩(11)은 매크로 영역(12)만을 인접시켜 다수 배치하고, 다수의 매크로 영역(12) 주위에 PAD 영역(13)을 형성하며, 웨이퍼 시험 후에 각 매크로 영역(12) 주위의 스크라이브 라인(16)을 따라 절단하였다. 따라서, 절단 후의 기능 매크로 칩(11)은 PAD 영역(13)을 포함하지 않고, 매크로 영역(12)만이 되기 때문에, 점유 면적을 축소시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각 기능 매크로 칩(11)은 각 매크로 영역(12) 주위에 PAD 영역(13)을 배치하지 않고, 다수의 PAD 영역(13) 주위에 각 매크로 영역(12)에서 공용하는 PAD 영역(13)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각 기능 매크로 칩(11)의 점유 면적을 축소시켜 1장의 웨이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칩 수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각 기능 매크로 칩(11)은 공통의 신호 배선(14)을 통해 PAD 영역(13)에 접속하였기 때문에, 웨이퍼 시험시에는 PAD 영역(13)의 시험 패드에 테스트 프로브를 대어 각 기능 매크로 칩(11)의 동작 시험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각 기능 매크로 칩(11)은 매크로 영역(12)만으로서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칩으로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하여도 좋다.
·매크로 영역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출력 신호선과 시험 패드 사이에 변환 회로를 개재시키고, 시험 패드에 접속되는 출력 신호선을 순차 전환하도록 하여 시험 패드 수를 삭감하도록 하여도 좋다.
·PAD 영역(13)에는 시험 패드를 형성하고, I/O 셀은 각 매크로 영역(12)에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기능 매크로 칩의 칩 사이즈 축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11)의 각 매크로 영역(12)을 인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기능 매크로 칩의 PAD 영역(13)을 상기 복수의 매크로 영역 주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AD 영역을 상기 복수의 매크로 영역에서 공용하는 입출력 신호 배선(14, 15a, 15b, 15c, 15d)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크로 영역과 PAD 영역을 신호 배선(14) 및 출력 신호선(15a, 15b, 15c, 15d)에 의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매크로 영역을 분리하여 형성한 기능 매크로 칩을 제1 칩(1)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100).
  5. 웨이퍼(W) 상에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의 매크로 영역을 인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각 기능 매크로 칩에서 공용하는 PAD 영역을 상기 복수의 매크로 영역 주위에 배치하며, 상기 기능 매크로 칩의 동작 시험 후에, 상기 각 매크로 영역을 분리하 여 PAD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복수의 기능 매크로 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100751A 2006-03-27 2006-10-17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80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5702 2006-03-27
JP2006085702A JP2007266078A (ja) 2006-03-27 2006-03-27 半導体装置、チップ・オン・チップ構造の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64A KR20070096764A (ko) 2007-10-02
KR100780307B1 true KR100780307B1 (ko) 2007-11-29

Family

ID=3853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51A KR100780307B1 (ko) 2006-03-27 2006-10-17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4429B2 (ko)
JP (1) JP2007266078A (ko)
KR (1) KR100780307B1 (ko)
CN (1) CN1005390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56882C1 (ru) * 2017-07-11 2018-06-0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ЭИ" (ФГБОУ ВО "НИУ "МЭИ")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агрегат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CN112147487A (zh) * 2020-09-25 2020-12-29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用于晶圆芯片并行测试的模拟量测试焊盘排布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164A (ja) 1997-02-13 1998-08-25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WO2000044046A1 (fr) * 1999-01-19 2000-07-27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integre et son procede de conception
JP2001250886A (ja) 2000-03-08 2001-09-14 Toppan Printing Co Ltd 配線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897A (en) * 1978-12-28 1981-07-14 Fujitsu Limited Large scal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88304B2 (ja) * 1987-08-19 1996-01-2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設計方法
JP2720629B2 (ja) * 1991-04-26 1998-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集積回路のレイアウトシステム
DE4427309C2 (de) * 1994-08-02 1999-12-02 Ibm Herstellung eines Trägerelementmoduls zum Einbau in Chipkarten oder andere Datenträgerkarten
JPH0877035A (ja) * 1994-09-06 1996-03-22 Toshiba Corp 中央処理装置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5837557A (en) * 1997-03-14 1998-11-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fabrication method of forming a master layer to combine individually printed blocks of a circuit pattern
JPH11195766A (ja) * 1997-10-31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11233636A (ja) * 1998-02-13 1999-08-27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レイアウト設計方法
JPH11330176A (ja) * 1998-05-19 1999-11-30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255896B2 (ja) * 1999-09-20 2002-02-12 ローム株式会社 チップ・オン・チップ構造の半導体装置
JP4170600B2 (ja) * 2001-03-29 2008-10-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設計方法
JP4217388B2 (ja) * 2001-06-26 2009-01-2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モジュール
JP3847147B2 (ja) * 2001-11-22 2006-11-15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スレショールド電圧mis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回路設計方法
JP2007059449A (ja) * 2005-08-22 2007-03-0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164A (ja) 1997-02-13 1998-08-25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WO2000044046A1 (fr) * 1999-01-19 2000-07-27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integre et son procede de conception
JP2001250886A (ja) 2000-03-08 2001-09-14 Toppan Printing Co Ltd 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66078A (ja) 2007-10-11
US20070222045A1 (en) 2007-09-27
US7714429B2 (en) 2010-05-11
KR20070096764A (ko) 2007-10-02
CN101071795A (zh) 2007-11-14
CN100539097C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530B1 (ko) 테스트 소자 그룹이 구비된 반도체 소자
JP4938983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4761880B2 (ja) 半導体装置
US8115321B2 (en) Separate probe and bond regions of an integrated circuit
JP2002313864A (ja) 半導体装置
KR100962678B1 (ko) 듀얼 미러 칩을 포함하는 웨이퍼 및 상기 칩을 포함하는 멀티칩 패키지
JP4601910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780307B1 (ko) 반도체 장치, 칩·온·칩 구조의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US2004024565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30756B1 (ko) 개선된 패드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2003004773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device for same
US676249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device
JP200506435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16122A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0541798B1 (ko) 반도체 장치의 테그 패턴 형성방법
US20090033346A1 (en) Group probing over active area pads arrangement
US20100013109A1 (en) Fine pitch bond pad structure
JP2001135795A (ja) 半導体装置
JP4221019B2 (ja) 半導体装置
JP2010212593A (ja) マルチチップ半導体集積回路
JP2007180112A (ja) 電子デバイス
JP2010062308A (ja) 半導体ウエハ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5077339A (ja) 複合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テスト方法
CN115831779A (zh) 晶圆键合方法及晶圆键合结构
JP4105180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