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24B1 -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24B1
KR100770524B1 KR1020050098644A KR20050098644A KR100770524B1 KR 100770524 B1 KR100770524 B1 KR 100770524B1 KR 1020050098644 A KR1020050098644 A KR 1020050098644A KR 20050098644 A KR20050098644 A KR 20050098644A KR 100770524 B1 KR100770524 B1 KR 10077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distance calc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114A (ko
Inventor
시즈까 이시무라
아끼라 이께따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7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212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88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8886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82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8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for distance determination by phase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5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mprising means to detect or avoid relay att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1Signal comprising different frequencies, e.g. frequency hop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는,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였다.
송신부, 검출부, 위상차, 산출부, 통신 장치, 거리 산출용 신호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COMMUNICATION DEVICE AND DISTANCE CALCUL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5는 거리 산출용 신호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7은 거리 산출용 신호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의한 휴대기(2)의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모니터(92)의 표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중계기 A, B를 통한 차량 탑재기(101)와 휴대기(102)의 통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탑재기
2 : 휴대기
3, 11 : CPU
4 : 카운터
5 : 타이머
6, 13 : Flash 메모리
7 : 송신부
8 : 수신부
9, 19 : 송신 안테나
10, 18 : 수신 안테나
12 : 입력부
14 : DET
15 : 변조기
16, 17 : RF
20, 21, 22 : 인버터
23 : 플래그
24 : 복조부
25 : 변조부
26 : OSC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0-198420호 공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10월 1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특원2004-304756, 특원2004-304757, 특원2004-304768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의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 거리 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탑재한 자동차에서의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가 있다.
이하,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탑재한 자동차에서의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의 통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탑재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측 도어에 설치되고, 휴대기는 당해 자동차 소유자(이하, 휴대자라고 함)가 소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자는 자동차의 엔진을 정지하고 도어를 열어 차밖으로 나간 것으로 한다.
차량 탑재기는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의 통신 가능 범위(에리어) 내에 휴대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신호(이하, 신호 A라고 함)를 송신한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 A를 수신하고, 당해 신호 A에 따른 신호 B를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는 휴대기로부터의 신호 B를 수신하면, 통신 가능 범위 내에 휴대기가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 A의 송신은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만약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벗어난 경우,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 A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기는 휴대기로부터의 신호 A에 따른 신호 B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차량 탑재기는, 예를 들어 휴대기로부터의 신호 B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게 되면, 자동차 내부에 별도 설치된 제어부에 당해 자동차의 도어를 로크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로크시킨다. 따라서, 휴대자가 자동차로부터 멀어져 휴대기가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되면, 자동차의 도어는 로크되게 된다.
다음으로, 일단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벗어난 휴대자가 다시 통신 가능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경우,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 A를 수신한다. 그리 고, 휴대기는 신호 B를 송신하게 된다. 차량 탑재기는 휴대기로부터의 신호 B를 수신하면, 휴대기가 당해 자동차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휴대기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판독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 정보를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는 휴대기로부터의 휴대기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당해 자동차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는 휴대기가 당해 자동차에 대응하는 것인 것으로 판별하면, 상술한 제어부에 당해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이와 같이,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탑재된 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키(열쇠)를 열쇠 구멍에 삽입하지 않고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가 통신을 행함으로써, 당해 자동차의 도어를 로크 또는 언로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탑재된 자동차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의 통신에서, 소위 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진 경우, 당해 자동차가 절도당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릴레이 어택이란,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본래대로라면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가 통신할 수 없게 되는 상태임에도, 중계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로 되게 하여 당해 자동차를 훔치는 절도 수법을 말한다.
이하, 도 12를 이용하여 릴레이 어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중계기 A, B를 통한 차량 탑재기(101)와 휴대기(102)의 통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 탑재기(101)는, 예를 들면 운전석측 도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신호 A를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101)는 파선 C로 나타낸 통신 범위 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휴대기(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01)로부터의 신호 A를 수신하면, 당해 신호 A에 따른 신호 B를 송신한다. 또한, 휴대기(102)는 파선 D로 나타낸 통신 범위 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01)에는 휴대기(102)로부터의 신호 A에 따른 신호 B가 송신되지 않게 되어, 제어부(도시 생략)는 차량 탑재기(101)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를 로크한다.
이 때, 자동차를 절도하려는 중계자 X, Y가 있다고 가정한다. 중계자 X는 중계기 A를 소지하고 차량 탑재기(101)를 통신 범위 C 내에 넣는다. 또한, 중계자 Y는 중계기 B를 소지하고 휴대자의 곁으로 가서 중계기 B를 휴대기(102)의 통신 범위 D 내에 넣는다. 중계자 X가 소지한 중계기 A는 차량 탑재기(101)의 통신 범위 C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신호 A를 수신하고, 중계기 A는 신호 A를 검파하여 증폭하고 나서 송신한다. 중계기 A는 신호 A를 증폭시킴으로써, 차량 탑재기(101)의 통신 범위 C보다 넓은 범위에서 신호 A를 송신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계기 A에서 증폭된 신호 A를 중계자 Y가 소지한 중계기 B가 수신하면, 중계기 B는 당해 증폭된 신호 A를 검파하여, 예를 들면 중계기 A가 증폭하기 전의 레벨의 신호 A로 감쇠하여 송신한다. 이 때, 중계기 B는 휴대기(102)의 통신 범위 D 내에 들어가 있기 때 문에, 중계기 B에서 감쇠된 신호 A를 휴대기(102)가 수신한다. 휴대기(102)는 차량 탑재기(101)로부터의 신호 A가 송신되어 온 것으로 간주하고, 당해 신호 A에 따른 신호 B를 송신한다. 신호 B를 중계기 B가 수신하면, 중계기 B는 신호 B를 검파하고 증폭하고 나서 송신한다. 중계기 B는 신호 B를 증폭시킴으로써, 휴대기(102)의 통신 범위 D보다 넓은 범위에서 신호 B를 송신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계기 B에서 증폭된 신호 B를 중계기 A가 수신하면, 중계기 A는 당해 증폭된 신호 B를 검파하고, 예를 들면 중계기 B가 증폭하기 전의 레벨의 신호 B로 감쇠하여 송신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 A는 차량 탑재기(101)의 통신 범위 C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중계기 A에서 감쇠된 신호 B를 차량 탑재기(101)가 수신한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기(101)는 신호 A에 따른 신호 B를 수신함으로써, 휴대기(102)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101)는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시키기 위한 상술한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언로크된 자동차에 예를 들면 중계자 X가 올라타 당해 자동차가 도난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계기 A, B가 개재하는 차량 탑재기(101)와 휴대기(102)의 통신에서는, 차량 탑재기(101)가 중계기 A, B를 통해 신호 B를 수신함으로써, 휴대기(102)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기(101)는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어를 언로크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와의 사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의 사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 제2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 사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 및 제2 통신 장치 간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거리 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통신 장치는,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였다.
또한, 통신 장치는,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고, 회신되어 온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의 회신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상대 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는 회신부를 구비하였다.
또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 제2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는 회신부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 및 본 명세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 및 그 이점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하의 설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참조하기 바란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하게 된다.
<<제1 실시예>>
===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 ===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장치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산출 시스템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를 키 조작하지 않고 로크 또는 언로크시킬 수 있는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거리 산출 시스템은 차량 탑재기(1)(제1 통신 장치, 통신 장치, 상대측 통신 장치)와 휴대기(2)(제2 통신 장치, 통신 장치, 상대측 통신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 탑재기(1)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측 도어의 차 밖의 도어 손잡이에 설치되고, 휴대기(2)는 예를 들면 당해 자동차의 키(열쇠)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신호의 통신에서, 저주파수(예를 들면 125㎑)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신호의 통신에서, 고주파수(예를 들면 312㎒)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는 저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느리게 된다. 반대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서는 고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빠르게 된다. 통신 속도가 느린 저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과 당해 신호가 휴대기(2)를 통해 회신되어 오는 시간과의 신호의 위상차(시간차이어도 됨)를 의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의 경우, 통신 속도가 빠른 고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그 사이에서의 위상차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 시에 발생하는 위상차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된다. 즉,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의 의도적으로 발생시킨 위상차만을 가지고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의도적인 저주파수를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 이용하고, 또한 고주파수를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는, ASK 변조(진폭 편이 변조 : Amplitude Shift Keying)가 이루어진 신호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7)(송신부, 변조부)와,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부(24)의 회로 구성이 용이하고, 어느 정도 혼신되어도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 송신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서는, FSK 변조(주파수 편이 변조 : Frequency Shift Keying)가 이루어진 신호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FSK 변조가 이루어진 신호는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정보를 손실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의 경우, 상술한 저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함에 따라, 전자파의 강도가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하는 자계 성분을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통상 통신 거리는 약 1m로 된다. 한편,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의 경우, 상술한 고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함에 따 라, 통상 통신 거리는 5∼20m로 된다. 이하,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의 통신 가능 범위를 에리어라고 한다.
차량 탑재기(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검출부, 산출부, 판별부, 생성부), 카운터(4), 타이머(5), Flash 메모리(6)(기억부), 송신부(7), 수신부(8)(복조부), 송신 안테나(9), 수신 안테나(10), OSC(26)(발진 회로 : Oscillator)를 갖고 있다.
송신부(7)는 CPU(3)로부터의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송신 안테나(9)는 송신부(7)에서 ASK 변조된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안테나(10)는 휴대기(2)로부터의 FSK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8)는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한 휴대기(2)로부터의 FSK 변조된 신호를 복조한다.
CPU(3)는 차량 탑재기(1)를 통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Flash 메모리(6)에는 CPU(3)가 후술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Flash 메모리(6)에는 CPU(3)가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때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데이터와 대조를 행하기 위한 코드 신호, 개인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Flash 메모리(6)에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CPU(3)에 의해 상술한 개인 데이터와 대조되도록 휴대기(2)의 Flash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된 개인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화 해독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 다. Flash 메모리(6)는 데이터를 전기 소거함으로써 데이터를 반복하여 기입 판독할 수 있는 불휘발성 기억 소자로 구성된다.
타이머(5)는 CPU(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시간을 계시한다.
OSC(26)는 소정 주파수의 클럭(CLK0)을 CPU(3)에 송신한다.
카운터(4)는, CPU(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CPU(3)로부터 송신부(7)에 송신되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신호(이하, 거리 산출용 신호라고 함)의 입상(rising edge)에서부터, OSC(26)로부터의 클럭의 예를 들면 입상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터(4)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의 입상까지, OSC(26)로부터의 클럭의 입상을 카운트한다. 또한, 카운터(4)의 카운트값은 CPU(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리세트된다.
CPU(3)는 상술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함과 함께 카운터(4)를 리세트하고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CPU(3)는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하면, 카운터(4)의 카운트값을 판독한다. CPU(3)는 당해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즉,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한 시간부터, 휴대기(2)를 통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온 시간까지의 양 신호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카운트값이 얻어져, CPU(3)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SC(26)로부터의 클럭의 주파수가 15.75㎑인 경우, 휴대기(2)를 통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왔을 때의 카운터(4)의 카운트값이 250으로 되었을 때, 이 때의 위상차는 약 15.87(msec)로 된다. 그리고, 위상차가 약 15.87(msec)일 때의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는 약 1m로 되는 것이, 예를 들면 실험으로 구해진 것으로 한다. 이 실험으로 구해진 카운트값에 대응한 거리 데이터는, 예를 들면 Flash 메모리(6)에 테이블 데이터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CPU(3)는 당해 산출된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예를 들면, 1m)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CPU(3)는 당해 산출된 거리가 상술한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하면, 휴대기(2)의 인버터(21)를 부동작 상태로 하기 위한 신호(이하, 식별 신호라고 함)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또한, CPU(3)는 Flash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 신호에 따른 코드 신호를 휴대기(2)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신호(이하, 코드 판독 신호라고 함)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CPU(3)에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송신된다. CPU(3)는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소정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술한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신호(이하,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라고 함)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CPU(3)에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가 송신된다. CPU(3)는 Flash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 해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당해 암호화 개인 데이터의 해독을 행한다. CPU(3)는 해독한 개인 데이터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개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자동차의 어느 도어(예를 들면 자동차의 모든 도어 및 운전석측의 도어 중 하나)를 언로크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하, 입력 확인 신호라고 함)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CPU(3)에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 로부터의 입력 확인 신호에 따른 입력 신호가 송신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자동차 내에 별도 설치한 제어부(도시 생략)에 송신한다. 또한, CPU(3)는 휴대기(2)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신호(이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라고 함)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이 때, CPU(3)는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한다. CPU(3)는 당해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라고 함)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도 4·t1)에 휴대기(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CPU(3)는 당해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휴대기(2)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자동차의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상술한 제어부에 송신한다. 또한, CPU(3)의 이들 기능은 상술한 Flash 메모리(6)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해독 결과에 기초하여 CPU(3)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CPU(3)는 Flash 메모리(6)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카운터(도시 생략), Flash 메모리(6)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해독하는 프로그램 로직 어레이(도시 생략), 논리 연산을 행하는 연산 논리 유닛(도시 생략), 연산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도시 생략) 등을 갖는다.
휴대기(2)는 CPU(11), 입력부(12), Flash 메모리(13), 복조부(24), 변조부(25), 수신 안테나(18), 송신 안테나(19), 인버터(20, 21, 22), 플래그(23), 타이머(27)를 갖고 있다.
수신 안테나(18)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ASK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부(24)는, 예를 들면 RF(16)(Radio Frequency), DET(14)(Detector)로 구성되어 있다. 복조부(24)는 수신 안테나(18)로부터의 ASK 변조된 신호를 복조한다.
변조부(25)는, 예를 들면 RF(17), 변조기(15)로 구성되어 있다.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또한, 변조부(25)는 CPU(11)의 지시에 의해 인버터(21)가 동작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복조부(24)로부터의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송신 안테나(19)는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신호를 송신한다.
CPU(11)는 휴대기(2)를 통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Flash 메모리(13)에는 CPU(11)가 후술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Flash 메모리(13)에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코드 판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에 송신하기 위한 코드 신호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Flash 메모리(13)에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에 송신하기 위한 암호화 개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Flash 메모리(13)는 데이터를 전기 소거함으로써 데이터를 반복하여 기입 판독할 수 있는 불휘발성 기억 소자로 구성된다.
타이머(27)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계시한다.
입력부(12)에는, 예를 들면 휴대기(2)의 소지자(이하, 휴대자라고 함)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기초한 지시 신호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휴대자가 운전석측의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석측의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휴대자가 행하고, 당해 지시 입력에 기초한 지시 신호가 입력부(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부(12)는 당해 운전석측의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당해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플래그(23)에 예를 들면 한 쪽 논리값 "1"을 기억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휴대자가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휴대자가 행하고, 당해 지시 입력에 기초한 지시 신호가 입력부(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부(12)는 당해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플래그(23)에 예를 들면 다른 쪽 논리값 "0"을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키(열쇠)에 절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휴대자가 운전석측의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해 절환 스위치를 한 쪽으로 절환하고,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해 절환 스위치를 다른 쪽으로 절환한다. 그리고, 입력부(12)에는 당해 절환 스위치를 한 쪽으로 절환함에 따라 운전석측의 도어만을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부(12)는 플래그(23)에 "1"을 기억시키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또한, 입력부(12)에는 당해 절환 스위치를 다른 쪽으로 절환함에 따라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부(12)는 플래그(23)에 "0"을 기억시키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송신되어, 변조부(25)에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송신한다. 이 때, CPU(11)는 타이머(27)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한다. CPU(1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도 4·t2)에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다시 차량 탑재기(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CPU(11)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아무런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고, 그대로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19)로부터 송신시킬 수 있게 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식별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식별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 인버터(21)를 부동작 상태로 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코드 판독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코드 판독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 Flash 메모리(13)로부터 코드 신호를 판독하여 변조부(25)에 송신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 Flash 메모리(13)로부터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판독하여 변조부(25)에 송신한다. CPU(11)에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입력 확인 신호가 송신된다. CPU(11)는, 당해 입력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이 때의 플래그(23)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0"의 정보를 입력 신호로서 변조부(25)에 송신한다. 또한, CPU(11)의 이들 기능은, 상술한 Flash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해독 결과에 기초하여, CPU(1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CPU(11)는 Flash 메모리(13)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카운터(도시 생략), Flash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해독하는 프로그램 로직 어레이(도시 생략), 논리 연산을 행하는 연산 논리 유닛(도시 생략), 연산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 는 레지스터(도시 생략) 등을 갖는다.
=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5는 거리 산출용 신호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는 하이 레벨일 때 좌측란에 기재되어 있는 신호가 송신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 송신되는 신호는 송신부(7)에서 ASK 변조된 신호이고,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 송신되는 신호는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신호이다. 또한, 도 4에서의 좌측란·차량 탑재기(1) 거리 산출용 신호의 1발의 하이 레벨은, 편의상 도 5에서의 좌측란·거리 산출용 신호(송신)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또한, 도 4에서는 모두 동일한 사각형파(예를 들면, 휴대기(2) 코드 신호)로 되어 있지만, 편의상 동일한 사각형파로 나타낸 것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기(2) 코드 신호를 하이 레벨인 기간에 따른 코드 정보를 가진 코드 신호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자가 자동차의 엔진을 스톱하고 휴대기(2)를 갖고 자동차를 나와 도어를 닫은 장면에서부터 설명한다. 또한, 휴대기(2)의 인버터(21)는 부동작 상태인 것으로 한다.
자동차 내에 별도 설치된 제어부(도시 생략)는 자동차의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CPU(3)에 송신한다. 그리고, CPU(3)는 당해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부(7)에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한다(S101). 이 때, CPU(3)는 타이머(5)를 리세트한다. 리세트된 타이머(5)는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미리 정해진 시간(t1) 내에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2). 송신부(7)는 당해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로부터의 A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
A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복조한다. 그리고,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201·"예"),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변조부(25)에 송신한다(S202). 이 때, CPU(11)는 타이머(27)를 리세트한다. 리세트된 타이머(27)는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미리 정해진 시간(t2) 내에 다시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201).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4· 휴대기(2)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
F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차량 탑재기(1)의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하면, 수신부(8)는 FSK 변조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복조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102·"예"),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다시 송신부(7)에 송신한다(S101).
이와 같이,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휴대기(2)가 수신 가능한 통신 가능 범위에 휴대자가 있으면,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를 차량 탑재기(1)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도 4· 에리어 내). 이에 따라, 차량 탑재기(1)는 휴대자가 근방(즉,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휴대자가 상술한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도 4·에리어 밖)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휴대기(2)가 수신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차량 탑재기(1)에 송신되지 않게 된다. CPU(3)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여도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S102·"아니오"),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상술한 제어부에 송신한다(S103. 도 4·도어 폐). 또한, 이 경우, CPU(3)는 복수회(예를 들면 2회)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부(7)에 송신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도 4 참조 ). 그리고, 당해 복수회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 중 어느 송신에 대해서도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CPU(3)가 판별한 경우,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면, 보다 확실하게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없다는 것을 CPU(3)가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자가 일단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나갔지만 바로 통신 가능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경우에,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도어가 언로크되기까지의 당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지연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CPU(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여도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S102·"아니오"), 거리 산출용 신호(도 5·거리 산출용 신호(송신))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S104). 이 때, CPU(3)는 카운터(4)를 리세트하고, 카운터(4)에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의 입상에서부터 카운트를 개시하게 한다. 또한, CPU(3)는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CPU(3)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t3) 내에 휴대기(2)로부터 회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5). 송신부(7)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도 5·ASK). 그리고, 송신부(7)에서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거리 산출용 신호). 이 때, CPU(3)는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상술한 미리 정해진 시간(t3) 내에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 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다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하고, 카운터(5)를 리세트하고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이 거리 산출용 신호는 도 5에 도시하는 파형(거리 산출용 신호(송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큐리티를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면 CPU(3)로부터 송신할 때마다 신호의 내용을 바꾸어도 되고(즉, 거리 산출용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이 변함), 일정 시간마다 신호의 내용을 바꾸어도 된다.
이와 같이, 휴대자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수신 가능한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로크되게 된다.
CPU(11)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미리 정해진 기간(t2) 내에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한다(S203. 도 4·인버터(21)).
다음으로,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경우(도 4·우측 에리어 내)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한다.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한다. 이 때,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는, 인버터(21)가 동작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변조부(25)로 송신된다(S205). 변조부(25)는 복조부(24)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도 5·FSK).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4·휴대기(2) 거리 산출용 신호).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차량 탑재기(1)의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하면, 수신부(8)는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한다(도 5·거리 산출용 신호(수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105·"예"), 카운터(4)의 카운트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당해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106).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는, 저주파수인 125㎑의 반송파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서는, 고주파인 312㎒의 반송파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서의 위상차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 시에 발생하는 위상차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된다. 이에 따라, CPU(3)로부터 송신부(7)에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는, 125㎑의 저주파수를 이용함에 따라, 의도적인 위상차 T1(도 5)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CPU(3)가 판독한 당해 카운트값은 당해 위상차 T1을 나타내고 있게 된다. 그리고, CPU(3)는 Flash 메모리(6)에 테이블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당해 카운트값에 대응하는 거리를 판독한다. 따라서, CPU(3)는 당해 위상차 T1을 나타내는 당해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CPU(3)는 휴대기(2)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면 1m) 미만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8).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터(4)의 카운트값에 의해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CPU(3)는 CPU(3)로부터 송신부(7)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였을 때 타이머(5)를 계시시키고,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타이머(5)가 계시한 시간을 판독한다. 그리고, 타이머(5)가 계시한 당해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CPU(3)에 의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의 판별은 1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회(도 4에서는 3회)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의 판별을 행하고, 모든 판별에서 당해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다음 처리로 CPU(3)가 진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CPU(3)는 산출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하면(S108·"예"), 송신부(7)에 식별 신호를 송신한다(S109). 송신부(7)는 당해 식별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로부터의 ASK 변조된 식별 신호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식별 신호).
ASK 변조된 식별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 (24)는 ASK 변조된 식별 신호를 복조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식별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206·"예"), 인버터(21)를 부동작 상태로 한다(S207. 도 4·인버터(21)).
다음으로, 차량 탑재기(1)의 CPU(3)는 송신부(7)에 코드 판독 신호를 송신한다(S110). 그리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1). 송신부(7)는 당해 코드 판독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로부터의 ASK 변조된 코드 판독 신호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코드 판독 신호).
ASK 변조된 코드 판독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코드 판독 신호를 복조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코드 판독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208·"예"), Flash 메모리(13)로부터 코드 신호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11)는 변조부(25)에 당해 코드 신호를 송신한다(S209).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코드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코드 신호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4·휴대기(2) 코드 신호).
FSK 변조된 코드 신호를 차량 탑재기(1)의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하면, 수신부(8)는 FSK 변조된 코드 신호를 복조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111·"예"),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와 대조하기 위하여 Flash 메모리(6)로부터 코드 신호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3)는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소정의 관계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2). 그리고, CPU(3)는 휴대기(2)로부터의 코드 신호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코드 신호가 소정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면(S112·"예"),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S113). 그리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4). 송신부(7)는 당해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로부터의 A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
A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를 복조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 판독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210·"예"), Flash 메모리(13)로부터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11)는 변조부(25)에 당해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송신한다(S211).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4·휴대기(2) 암호화 개인 데이터).
F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차량 탑재기(1)의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하면, 수신부(8)는 FSK 변조된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복조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 (S114·"예"), Flash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 해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당해 암호화 개인 데이터의 해독을 행한다(S115). 그리고, CPU(3)는 휴대기(2)로부터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의 해독을 마치면(이하, 해독 후의 암호화 개인 데이터를 해독 후 개인 데이터라고 함), Flash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 데이터를 판독한다. CPU(3)는 해독 후 개인 데이터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개인 데이터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6). 그리고, CPU(3)는 해독 후 개인 데이터와 Flash 메모리(6)로부터의 개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하면(S116·"예"), 입력 확인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S117). 그리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8). 송신부(7)는 당해 입력 확인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로부터의 ASK 변조된 입력 확인 신호는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4·차량 탑재기(1) 입력 확인 신호).
ASK 변조된 입력 확인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입력 확인 신호를 복조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입력 확인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212·"예"), 플래그(2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 이 때의 플래그(2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자가 운전석측의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자가 절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한 쪽으로 절환함에 따라 지시 신호가 입력부(12)에 입력되고, 입력부(12)가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플래그(23)에 기억한 정보 "1"이다. 혹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자가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고자 하는 경우, 휴 대자가 절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다른 쪽으로 절환함에 따라 지시 신호가 입력부(12)에 입력되고, 입력부(12)가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플래그(23)에 기억한 정보 "0"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래그(23)에 예를 들어 "1"이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하 설명한다. CPU(11)는 플래그(23)에 기억되어 있는 "1"에 따른 입력 신호를 변조부(25)에 송신한다(S213).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입력 신호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4·휴대기(2) 입력 신호).
FSK 변조된 입력 신호를 차량 탑재기(1)의 수신 안테나(10)가 수신하면, 수신부(8)는 FSK 변조된 입력 신호를 복조한다.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118·"예"), 당해 입력 신호가 "1"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9). 그리고, CPU(3)는 당해 입력 신호가 "1"에 따른 입력 신호인 것으로 판별하면(S119·"예"), 자동차의 운전석측 도어만을 언로크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어부(도시 생략)에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S120). 또한, CPU(3)는 입력 신호가 "1"에 따른 입력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별하면(S119·"아니오"),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어부에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S121).
이와 같이, 통신 가능 범위 내에 휴대기(2)가 있으면서, CPU(3)가 송신부(7)에 송신하는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부(8)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당해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차의 모든 도어 또는 운전석측 도어가 언로크되게 된다.
=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지는 경우) =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진 경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7은 거리 산출용 신호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상술한 도 4와 마찬가지로, 편의상 하이 레벨일 때 좌측란에 기재되어 있는 신호가 송신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 송신되는 신호는 송신부(7)에서 ASK 변조된 신호이고,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 송신되는 신호는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신호이다. 또한, 도 6에서의 좌측란·차량 탑재기(1) 거리 산출용 신호의 1발의 하이 레벨은, 편의상 도 7에서의 좌측란·거리 산출용 신호(송신)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자가 자동차의 엔진을 스톱하고 휴대기(2)를 가지고 자동차를 나와 도어를 닫은 장면에서부터 설명한다. 또한, 휴대기(2)의 인버터(21)는 부동작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차량 탑재기(1)의 통신권 내에 있는 중계기 A(도시 생략)의 소지자(이하, 중계자 X라고 함)와, 휴대기(2)의 통신권 내에 상술한 중계기 A와 통신 가능한 중계기 B(도시 생략)의 소지자(이하, 중계자 Y라고 함)에 의해 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상술한 릴레이 어택이 없는 경우 와 마찬가지이다.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휴대기(2)가 수신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차량 탑재기(1)에 송신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CPU(3)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여도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S102·"아니오"). 그리고, CPU(3)는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자동차 내에 별도 설치된 제어부(도시 생략)에 송신한다(S103. 도 6·도어 폐). 또한, 상술한 릴레이 어택이 없는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3)는 복수회(예를 들면 2회)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부(7)에 송신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도 6 참조). CPU(3)는 상술한 지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함과 함께, 거리 산출용 신호(도 7·거리 산출용 신호(송신))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 이 때, CPU(3)는 카운터(4)를 리세트하고, 카운터(4)에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의 입상에서부터 카운트를 개시하게 한다. 또한, CPU(3)는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CPU(3)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t3) 내에 휴대기(2)로부터 회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5). 송신부(7)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도 7·ASK(1)). 그리고, 송신부(7)에서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 ASK(1)은 송신 안테나(9)를 통해 송신된다(도 6·차량 탑재기(1) 거리 산출용 신호). 이 때, CPU(3)는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상술한 미리 정해진 시간(t3) 내에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 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다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5)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하고, 카운터(5)를 리세트하고 카운트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휴대자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수신 가능한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로크되게 된다.
CPU(11)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가 미리 정해진 기간(t2)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한다(S203. 도 6·인버터(21)).
예를 들면, 휴대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자동차를 시인할 수 없는 거리까지 떨어졌을 때, 중계자 X가 자동차의 근처로 가서 중계기 A를 차량 탑재기(1)의 통신권 내에 들어가게 한다. 또한, 중계자 Y가 휴대자의 근처로 가서 중계기 B를 휴대기(2)의 통신권 내에 들어가게 하여, 당해 자동차의 도난을 도모한다고 가정한다(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짐).
차량 탑재기(1)의 통신권 내에 있는 중계기 A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를 검파하여 증폭한다(도 7·ASK(2)). 그리고, 중계기 A는 거리 산출용 신호 ASK(2)를 송신한다. 이 때, 중계기 A로부터 송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 ASK(2)의 통신 거리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 ASK(1)의 통상 통신 거리에 비해 중계기 A에서 증폭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원거리까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의 거리 산출용 신호 ASK(2)의 통신 거리는 중계기 B가 수신 가능한 거리인 것으로 하고 이하 설명한다.
중계기 B는 중계기 A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 ASK(2)를 수신하면,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 ASK(2)를 검파하여, 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1)가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의 레벨까지 감쇠한다. 그리고, 중계기 B는 감쇠한 거리 산출용 신호 ASK(3)를 송신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자 Y가 휴대자 근처에 있기 때문에, 휴대기(2)의 통신권 내에 중계기 B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 안테나(18)가 거리 산출용 신호 ASK(3)를 수신한다. 복조부(24)는 거리 산출용 신호 ASK(3)를 복조한다. 이 때,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중계기 B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는 인버터(21)가 동작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변조부(25)에 송신된다(S205). 변조부(25)는 복조부(24)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도 5·FSK(1)).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 FSK(1)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도 6· 휴대기(2) 거리 산출용 신호).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기(2)의 통신권 내에 중계기 B가 있기 때문에, FSK 변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 FSK(1)를 중계기 B가 수신한다. 중계기 B는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 FSK(1)를 검파하여 증폭한다(도 7·FSK(2)). 그리고, 중계기 B는 거리 산출용 신호 FSK(2)를 송신한다. 이 때, 중계기 B로부터 송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 FSK(2)의 통신 거리는,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 FSK(1)의 통상 통신 거리에 비해 중계기 B에서 증폭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원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의 거리 산출용 신 호 FSK(2)의 통신 거리는 중계기 A가 수신 가능한 거리인 것으로 하고 이하 설명한다.
중계기 A는 중계기 B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 FSK(2)를 수신하면,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 FSK(2)를 검파하고, 예를 들면 휴대기(2)가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의 레벨까지 감쇠한다. 그리고, 중계기 A는 감쇠한 거리 산출용 신호 FSK(3)를 송신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자 X가 자동차 근처에 있기 때문에, 차량 탑재기(1)의 통신권 내에 중계기 A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 안테나(10)가 거리 산출용 신호 FSK(3)를 수신한다. 수신부(8)는 거리 산출용 신호 FSK(3)를 복조한다(도 7·거리 산출용 신호(수신)). CPU(3)는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105·"예"), 카운터(4)의 카운트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당해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106).
이 때의 CPU(3)에 의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릴레이 어택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 A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송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 ASK(1)를 증폭하고 거리 산출용 신호 ASK(2)를 송신하고 있다. 이 때, 중계기 A는 거리 산출용 신호 ASK(1)를 증폭하기 위하여 거리 산출용 신호 ASK(1)를 일단 검파하고 나서 증폭을 행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는 125㎑의 저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거리 산출용 신호 ASK(1)의 1 주기는 휴대기(2)로부터 송신되는 거리 산출용 신호 FSK(1)에 비해 길게 되어 있다. 즉, 중계기 A는 1 주기가 긴 거리 산출용 신호 ASK(1)를 일단 검파하고 나서 증폭하기 때문에, 거리 산출용 신호 ASK(1)와 거리 산출용 신호 ASK(2)에는 위상차 T2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중계기 B에서의 거리 산출용 신호 ASK(2)의 거리 산출용 신호 ASK(3)로의 감쇠에서도, 상술한 이유에 따른 위상차 T3가 발생하게 된다. 즉, CPU(3)가 송신부(7)에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송신)와, 수신부(8)에서 복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수신)와의 위상차는 T4(T2+T3)로 된다. 그리고, CPU(3)가 판독한 카운터(4)의 카운트값은 당해 위상차 T4를 나타내고 있게 된다. 당해 위상차 T4를 나타내는 당해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CPU(3)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 때의 CPU(3)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위상차 T4를 나타내는 카운트값은, 중계기 A, B가 개재하지 않은 릴레이 어택이 없는 경우의 위상차 T1(도 5)을 나타내는 카운트값에 비해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즉, CPU(3)가 위상차 T4를 나타내는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는, 위상차 T1을 나타내는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거리에 비해 긴 거리로 된다.
그리고, CPU(3)는 산출한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기(2)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8). 그러나, CPU(3)가 산출한 거리는 상술한 릴레이 어택이 없는 경우에 산출한 거리보다 긴 거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CPU(3)는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에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S108·"아 니오"). 이 때, CPU(3)는 타이머(5)의 계시가 소정 시간(t4)에 달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22).
CPU(3)는 소정 시간(t4)에 달하여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S122·"아니오"), 재차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한다(도 7·거리 산출용 신호(송신) 우측). 이 때, CPU(3)는 카운터(4)를 리세트하고, 카운터(4)에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의 입상에서부터 카운트를 개시하게 한다. 또한, CPU(3)가 다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부(7)에 송신하고 있는 것은, CPU(3)에 의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의 산출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CPU(3)는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하는 일없이(S108·"아니오") 소정 시간(t4)에 달한 것으로 판별하면(S122·"예"),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한다(S123).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PU(3)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별한 경우,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기(2)에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부(도시 생략)를 설치한다. 그리고, CPU(3)는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별한 경우, 송신부(7)에 당해 경보부가 경보를 발하게 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중계기 A, B를 통해 휴대기(2)에 송신된 당해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부가 경보를 발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면, 휴대자는 중계자 X, Y가 개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시큐리티면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진 경우,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 A, 중계기 B가 개재함에 따라, 거리 산 출용 신호의 위상차가 크게 된다. 이에 따라, CPU(3)는 휴대기(2)가 차량 탑재기(1)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에는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또한 소정 시간(t4)에 달하면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자 X, Y의 릴레이 어택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가 언로크되는 일이 없어, 자동차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자가 다시 통신 가능 범위로 되돌아와도,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는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는 언로크되지 않는다. 이 경우, 휴대자는 키를 열쇠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도어를 언로크한다. 이 때, 제어부(도시 생략)는 키가 열쇠 구멍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가 언로크된 것에 기초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가 휴대기(2)와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통신 개시 신호를 CPU(3)에 송신한다. CPU(3)는 통신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S124·"예"), 다시 휴대기(2)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제2 실시예>>
===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 ===
도 8,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의 차량 탑재기(1)를 자동차 내에 4개 설치하고(차량 탑재기(1A, 1B, 1C, 1D)), 자동차 내의 어딘가에 있는 휴대기(2)의 검출에 거리 산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라, 거리 산출 시스템은 차량 탑재기(1A, 1B, 1C, 1D)와 휴대기(2)를 갖는다. 또 한, 도 8에서, 상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인 것은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8에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는 도 1에서의 차량 탑재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것으로, 편의상 동일한 번호로 기호를 부가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의한 휴대기(2)의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에서의 +X방향을 자동차의 전방 방향으로 하면,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1A)는 전방 좌측에 설치되고, 차량 탑재기(1B)는 전방 우측에 설치되고, 차량 탑재기(1C)는 후방 좌측에 설치되고, 차량 탑재기(1D)는 후방 우측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가 설치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휴대기(2)는 자동차의 키(열쇠)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를 통괄 제어한다.
차량 탑재기(1A)는 CPU(3A), 카운터(4A), 타이머(5A), Flash 메모리(6A), 송신부(7A), 수신부(8A), 송신 안테나(9A), 수신 안테나(10A), OSC(26A)를 갖고 있다.
CPU(3A)는 CPU(90)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2)가 자동차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하, 차 내 확인 신호 A라고 함)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 CPU(3A)는 수신부(8A)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된다. CPU(3A)는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된 것에 기초한 신호(이하, 확인 신호라고 함)를 CPU(90)에 송신한다. CPU(3A)는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에 기초한 신호(이하, 미확인 신호라고 함)를 CPU(90)에 송 신한다. 또한, CPU(3A)는 CPU(90)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하기 위한 신호(이하,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 CPU(3A)는 인버터(21)를 부동작 상태로 하기 위한 신호(이하,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라고 함)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 또한, CPU(3A)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카운터(4A)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CPU(3A)는 산출한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를 CPU(9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1B, 1C, 1D)의 구성은 상술한 차량 탑재기(1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는, 동시에 CPU(9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술한 처리를 행하여도 되고, 순차적으로 상술한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CPU(90)는 자동차 내에 설치된 제어부(도시 생략)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CPU(3A, 3B, 3C, 3D)가 상술한 차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송신한다.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상술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엔진 시동을 허가하는 신호(이하, 엔진 시동 허가 신호라고 함)를 제어부에 송신한다. 또한,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상술한 미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엔진 시동을 허가하지 않기 위한 신호(이하, 엔진 시동 불허가 신호라고 함)를 제어부에 송신한다. CPU(90)에는 제어부로부터의 휴대기(2)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이하, 검출 신호라고 함)가 송신된다. CPU(90)는 당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CPU(3A, 3B, 3C, 3D)가 상술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기 (1A, 1B, 1C, 1D)에 송신한다. 그리고, CPU(90)는 CPU(3A, 3B, 3C, 3D)가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도록 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송신한다. CPU(90)에는 CPU(3A, 3B, 3C, 3D)가 산출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가 송신된다. CPU(90)는 CPU(3A, 3B, 3C, 3D)가 산출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2)가 자동차 내의 어디에 있는지를 산출한다. 이 휴대기(2)가 있는 장소의 산출 시에, CPU(90)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된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90)에 의한 당해 프로그램의 연산 처리에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거리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각 거리의 일치점을 이용함으로써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1A)가 산출한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120㎝, 차량 탑재기(1B)가 산출한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212㎝, 차량 탑재기(1C)가 산출한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20㎝, 차량 탑재기(1D)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117㎝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CPU(90)는, 차량 탑재기(1A)로부터의 거리가 120㎝로 되는 점과, 차량 탑재기(1B)로부터의 거리가 212㎝로 되는 점과, 차량 탑재기(1C)로부터의 거리가 20㎝로 되는 점과, 차량 탑재기(1D)로부터의 거리가 117㎝로 되는 점이 일치하는 점을 산출하여 당해 일치점 상에 휴대기(2)가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휴대기(2)는 CPU(11), Flash 메모리(13), 복조부(24), 변조부(25), 수신 안테나(18), 송신 안테나(19), 인버터(20, 21, 22)를 갖고 있다.
CPU(11)에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A가 송신된다. CPU(11)는 당해 차 내 확인 신호 A에 기초하여 변조부(25)에 차 내 확인 신호 B를 송신한다. CPU(11)에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가 송신된다. CPU(11)는 당해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아무런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고, 그대로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19)로부터 송신할 수 있게 된다.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21)를 부동작 상태로 한다.
===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 ===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모니터(92)의 표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자가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하고 자동차에 올라타 휴대자가 휴대기(2)를 자동차 내의 어딘가에 놓고, 휴대자가 휴대기(2)를 둔 장소를 잊어버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인버터(21)는 부동작 상태인 것으로 한다.
자동차 내에 별도 설치된 제어부(도시 생략)는 자동차의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한 신호를 수신한다(S301). 제어부는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 시동을 개시 할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CPU(90)에 송신한다.
그리고, CPU(90)는 제어부로부터의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CPU(3A, 3B, 3C, 3D)가 차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송신한다.
이하, 차량 탑재기(1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차량 탑재기(1B, 1C, 1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인 것으로 한다.
CPU(3A)는 CPU(90)로부터의 상술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차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S302). 이 때, CPU(3A)는 타이머(5A)를 리세트한다. 리세트된 타이머(5A)는 계시를 개시한다. 그리고, CPU(3A)는 수신부(8A)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B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3). 송신부(7A)는 당해 차 내 확인 신호 A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A)로부터의 A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A는 송신 안테나(9A)를 통해 송신된다.
A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A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A를 복조한다. 그리고,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 내 확인 신호 A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401·"예"), 차 내 확인 신호 B를 변조부(25)에 송신한다(S402). 변조부(25)는 CPU(11)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B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B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
F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B를 차량 탑재기(1A)의 수신 안테나(10A)가 수 신하면, 수신부(8A)는 FSK 변조된 차 내 확인 신호 B를 복조한다. CPU(3A)는 수신부(8A)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303·"예"), CPU(90)에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S320).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기(1B, 1C, 1D)의 CPU(3B, 3C, 3D)는 휴대기(2)로부터의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 확인 신호를 CPU(90)에 송신한다. 또한, CPU(3A)는 차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부(8A)에서 복조된 차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S303·"아니오"), 미확인 신호를 CPU(90)에 송신한다(S321).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엔진 시동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S304). CPU(90)로부터의 당해 엔진 시동 허가 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제어부는 자동차의 엔진 구동을 개시시킨다. 또한,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미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엔진 시동 불허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한다(S318). 그리고, 제어부는 키가 열쇠 구멍에 삽입될 때까지 자동차의 엔진 구동을 개시시키지 않게 된다(S319).
예를 들면, 휴대자가 휴대기(2)를 자동차 내의 어딘가에 두고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잊어버린 경우, 휴대자는 자동차 내에 설치된 입력부(도시 생략)에 휴대기(2)를 검출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한다. 제어부는 입력부에 지시 입력된 것에 기초한 지시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CPU(90)에 송신한다. CPU(90)는 제어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S305·"예"), CPU(3A, 3B, 3C, 3D)가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 송신한다.
CPU(3A)는 CPU(90)로부터의 상술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S306). 송신부(7A)는 당해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A)로부터의 ASK 변조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는 송신 안테나(9A)를 통해 송신된다.
ASK 변조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CPU(11)는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403·"예"), 인버터(21)를 동작 상태로 한다(S404).
또한, CPU(3A)는 상술한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하면,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S307). 이 때, CPU(3A)는 카운터(4A)를 리세트하고, 카운터(4A)에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의 입상에서부터 카운트를 개시시킨다. 또한, CPU(3A)는 타이머(5A)를 리세트하고 계시를 개시시킨다. 그리고, CPU(3A)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휴대기(2)로부터 회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8). 송신부(7A)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A)로부터의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는 송신 안테나(9A)를 통해 송신된다.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휴대기(2)의 수신 안테나(18)가 수신하면, 복조부(24)는 A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한다. 이 때, 복조부(24)에서 복조된 차량 탑재기(1A)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는, 인버터(21)가 동작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변조부(25)에 송신된다(S406). 변조부(25)는 복조부(24)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312㎒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한다. 변조부(25)에서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는 송신 안테나(19)를 통해 송신된다.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차량 탑재기(1A)의 수신 안테나(10A)가 수신하면, 수신부(8A)는 FSK 변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한다. CPU(3A)는 수신부(8A)에서 복조된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송신된 것으로 판별하면(S308·"예"), 카운터(4A)의 카운트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CPU(3A)는 당해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이 때의 CPU(3A)에 의한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의 산출 방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CPU(3A)는 산출한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를 CPU(90)에 송신한다(S310).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기(1B)의 CPU(3B)는 차량 탑재기(1B)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를 CPU(90)에 송신한다(S311). 또한, 차량 탑재기(1C)의 CPU(3C)는 차량 탑재기(1C)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를 CPU(90)에 송신한다(S312). 또한, 차량 탑재기(1D)의 CPU(3D)는 차량 탑재기(1D)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 정보를 CPU(90)에 송신한다(S313). 또한, CPU(3A)는 차량 탑재기(1A)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함과 함께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를 송신부(7A)에 송신한다(S309). 송신부(7A)는 당해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를 125㎑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한다. 그리고, 송신부(7A)로부터의 ASK 변조된 인버터 부동작 지시 신호는 송신 안테나(9A) 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CPU(3A)는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부(8A)에서 복조된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S308·"아니오"),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정보를, 예를 들면 Flash 메모리(6A)의 어드레스 1으로부터 순서대로 기억시킨다. 이 때, CPU(3A)는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당해 정보가 어드레스 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16). 그리고, CPU(3A)는 어드레스 2에 당해 정보가 기억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S316·"아니오"), 인버터 동작 지시 신호를 다시 송신부(7A)에 송신한다(S306). 또한, CPU(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5A)를 리세트시켜 계시를 개시시키고, 카운터(4A)를 리세트시켜 카운트를 개시시킨다. 그리고, CPU(3A)는 다시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면(S308·"아니오"),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정보를, 예를 들면 Flash 메모리(6A)의 어드레스 2에 기억시킨다(S316). 그리고, CPU(3A)는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정보가 어드레스 2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면(S316·"예"), 당해 판별에 기초한 신호를 CPU(90)에 송신한다. CPU(90)는 차량 탑재기(1A)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기(1B, 1C, 1D)로부터의 당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2)가 자동차 내에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S317). 그리고, CPU(90)는 모니터(92)에 휴대기(2)가 자동차 내에 없다고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제어부(도시 생략)에 송신한다. 제어부는 CPU(90)로부터의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92)에 휴대기(2)가 자동차 내에 없다는 것을 표시시킨다(S315).
상술한 바와 같이, CPU(90)는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의 상술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2)가 자동차 내의 어디에 있는지를 산출한다(S314). 또한, 이 때의 CPU(90)에 의한 휴대기(2)가 있는 장소의 산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A)를 시점으로 하고 당해 시점으로부터 CPU(3A)가 산출한 거리의 점(도 10·일점 쇄선 A)과, 차량 탑재기(1B)를 시점으로 하고 당해 시점으로부터 CPU(3B)가 산출한 거리의 점(도 10·이점 쇄선 B)과, 차량 탑재기(1C)를 시점으로 하고 당해 시점으로부터 CPU(3C)가 산출한 거리의 점(도 10·파선 C)과, 차량 탑재기(1D)를 시점으로 하고 당해 시점으로부터 CPU(3D)가 산출한 거리의 점(도 10·실선 D)이 일치하는 점으로부터 구해진다. 그리고, CPU(90)는 산출한 휴대기(2)가 있는 장소가 모니터(92)에 표시되도록 지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한다. 제어부는 CPU(90)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92)에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표시시킨다(S315, 도 11).
이와 같이, 휴대자가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잊은 경우, 거리 산출용 신호에 의해 각 차량 탑재기(1A, 1B, 1C, 1D)로부터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각 CPU(3A, 3B, 3C, 3D)가 산출함으로써, 휴대기(2)가 있는 장소를 CPU(90)가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기(1)로부터 송신하였을 때의 거리 산출용 신호와, 송신기(2)로부터 회신되었을 때의 거리 판별과의 위상차로부터, CPU(3)는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PU(3)로부터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와, 휴대기(2)로부터 회신된 CPU(3)로부터 송신한 거리 산출용 신호와 동일한 거리 산출용 신호로부터,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 시에, 저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을 행함으로써 위상차를 의도적으로 발생시켜진다. 또한,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 시에는, 고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 의해 발생한 위상차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위상차로 할 수 있다. 즉,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 시에 의도적으로 발생시킨 위상차에 의해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PU(3)가 위상차로부터 산출한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휴대기(2)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중계기가 휴대기(2)와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통신이 행하여졌다고 하여도, 휴대기(2)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CPU(3)는 소정 수마다 생성되는 거리 산출용 신호의 패턴을 바꾸기 때문에, 예를 들면 판독기 등에 의해 거리 산출용 신호를 판독하는 사람에 대한 시큐리티면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CPU(3)는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회신될 때까지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을 행하는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기(2)로의 통신에서는, 저주파수의 반송파에 의한 변조에 적합한 ASK 변조를 이용함으로써, 회로 구성이 용이하게 되고, 어느 정도 혼신되어도 차량 탑재기(1)로부터 휴대 기(2)로의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주파수의 반송파로 통신을 행하는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통신에서는, 고주파수의 반송파에 의한 변조에 적합한 FSK 변조를 휴대기(2)가 이용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휴대기(2)로부터 차량 탑재기(1)로의 정보를 손실하지 않고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위상차를 검출하기 위한 타이머(5)와, 소정 주파수의 클럭에서 카운트하는 카운터(4)와,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CPU(3)가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기초로 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Flash 메모리(6)를 이용하여, CPU(3)가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머(5) 및 카운터(4)가, CPU(3)가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리세트됨으로써, CPU(3)가 잘못하여 동일 패턴인 2개의 거리 산출용 신호로부터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CPU(3)는 보다 확실하게 휴대기(2)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PU(3)는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당해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자동차의 도어를 언로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당해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자동차의 도어를 로크할 수 있다. 즉, 키(자동차 열쇠)를 열쇠 구멍에 삽입하지 않고 자동차 도어의 언로크 또는 로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PU(3)가 차량 탑재기(1)와 휴대기(2)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별하였을 때, 경보부(도시 생략)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중계기가 개재함에 따라 판별부가 상술한 판별을 행하였을 때, 중계기를 통하여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게 된다.
=== 기타 실시예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산출 시스템에서, 차량 탑재기로부터 휴대기까지의 거리 산출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다.
<<자동차 도어의 언로크>>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자가 절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절환함으로써, 휴대자가 선택한 운전석측 도어의 언로크 또는 모든 도어의 언로크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차량 탑재기(1A, 1B, 1C, 1D)에서, 휴대자가 에리어 내로 들어온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1A)와 휴대기(2)와의 거리를 CPU(3A)가 산출하고, 차량 탑재기(1B)와 휴대기(2)와의 거리를 CPU(3B)가 산출하고, 차량 탑재기(1C)와 휴대기(2)와의 거리를 CPU(3C)가 산출하고, 차량 탑재기(1D)와 휴대기(2)와의 거리를 CPU(3D)가 산출한다. 그리고, CPU(90)는 CPU(3A, 3B, 3C, 3D)로부터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2), 즉 휴대자가 운전석측으로부터 차량에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차량 탑재기(32)의 CPU(3B)가 산출한 거리 정보가 차량 탑재기(31)의 CPU(3A)가 산출한 거리 정보보다 긴 거리인 경우, 휴대자는 조수석측으로부터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CPU(90)가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휴대자 가 절환 스위치로 운전석측 도어의 언로크를 선택해 있을 때, CPU(90)는 조수석측의 도어를 언로크시키도록 제어부(도시 생략)에 지시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거리 산출 시스템의 적용>>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산출 시스템을 자동차의 도어를 키 조작하지 않고 로크 또는 언로크하는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탑재기에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있는 곳을 특정할 필요가 있는 사람(예를 들면 원아 또는 노인. 이하, 피감시자라고 함)에게 휴대기(2)를 지니게 하고, 차량 탑재기(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감시 장치를 피감시자를 감시하는 사람(이하, 감시자라고 함)이 관리한다. 그리고, 감시자는, 감시 장치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에 기초하여 휴대기(2)로부터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감시 장치가 판별함으로써,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피감시자가 소지한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휴대기(2)로부터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감시 장치가 판별하였을 때, 예를 들면 감시 장치는 경보(알람)를 울려 감시자에게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을 알린다. 따라서, 감시자에 의한 피감시자의 신속한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피감시자가 가진 휴대기(2)의 Flash 메모리(13)에 식별 코드를 기억시키고,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와 함께 당해 식별 코드를 휴대기(2)로부터 송신시키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시자는 피감시자 중 누가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와 같이 감시 장치를 복 수 설치시킨다. 그리고, 당해 복수의 감시 장치로부터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시킨다. 만약,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된 경우, 당해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복수의 감시 장치가 수신한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에 기초하여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방향을 감시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감시 장치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A를 송신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 내에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에 따라, 피감시자의 가장 근방에 있는 감시 장치에는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가장 빠르게 송신되어 오게 된다. 따라서,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방향을 당해 피감시자의 가장 근방에 있는 감시 장치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자에 의한 피감시자의 탐색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된 것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된 경우, 감시 장치는 휴대기(2)로부터의 에리어 내 확인 신호 B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만약 휴대기(2)와 감시 장치 사이에 중계기가 있는 경우, 중계기를 통해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가 감시 장치에 회신된다. 감시 장치는 송신하였을 때의 거리 산출용 신호와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로부터 휴대기(2)와 감시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 때, 감시 장치에서 산출한 휴대기(2)와 감시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 아닌 것으로 감시 장치는 판별한다. 따라서, 감시자는 피감시자가 통신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된 채로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중계기를 소지한 사람에 의한 피감시자의 예를 들면 유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휴대기(2)를 자택의 키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차량 탑재기(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관리 장치를 자택의 도어에 설치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이 자택의 도어를 키 조작하지 않고 로크 또는 언로크하도록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휴대기(2)와 관리 장치 사이에 중계기가 있는 경우, 관리 장치에서 산출한 휴대기(2)와 관리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 아닌 것으로 관리 장치는 판별한다. 이에 따라, 관리 장치는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시킨다. 따라서, 시큐리티면이 향상되어, 중계기를 통해 자택으로의 침입을 도모하는 절도자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택 이외의 건물 등에 들어갈 때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휴대기(2)를 귀중품에 설치하여도 된다. 휴대기(2)가 설치된 귀중품을 잃어버린 경우, 차량 탑재기(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탐색기로부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시킨다. 그리고, 귀중품에 설치한 휴대기(2)에 탐색기가 근접함에 따라, 탐색기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를 휴대기(2)가 회신한다.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탐색기에 송신되어 옴으로써, 탐색기가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기가 산출한 휴대기(2)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로 되었을 때, 예를 들면 경보(알람)를 울림으로써, 탐색기를 소지한 사람이 귀중품이 근방에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력 미터 등에 차량 탑재기(1)와 동일한 기능을 설치하여 도 된다. 이 경우, 전력 미터 등의 계측자에게 휴대기(2)를 소지시킨다. 그리고, 전력 미터 등은 휴대기(2)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기(2)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에 있는 것으로 전력 미터 등이 판별한 경우, 전력 미터 등이 계측하는 데이터값을 계측자가 소지한 계측기에 송신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력 미터 등이 계측한 데이터값의 수집 시에, 전력 미터 등에 비접촉으로 당해 데이터값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전력 미터 등이 계측하는 데이터값의 수집은 인터넷 등에 의해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제3자에 의해 당해 데이터값이 읽혀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 미터, 휴대기(2)를 이용하여 전력 미터 등이 계측한 데이터값의 수집을 행하면, 제3자에 의해 당해 데이터값이 읽혀질 우려가 적어져 시큐리티면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휴대기(2)와 전력 미터 등과의 사이에 중계기가 있는 경우, 전력 미터 등에서 산출한 휴대기(2)와 전력 미터 등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 아닌 것으로 전력 미터 등은 판별한다. 이에 따라, 전력 미터 등은 휴대기(2)와의 통신을 스톱시킨다. 따라서, 중계기를 통해 전력 미터가 계측한 데이터값이 판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자에 의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 예를 들면 아이에게 휴대기(2)를 소지시키고, 전신주에 차량 탑재기(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수색기를 설치한다. 그리고, 당해 휴대기(2)를 소지한 아이가, 예를 들면 유괴 등을 당한 경우, 아이를 추적하기 위한 정보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신주에 설치된 수색기는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기(2)를 소지한 아이가 당해 수색기가 설치된 전신주 근방을 통과하면, 휴대기(2)로부터의 거리 산출용 신호가 수색기에 송신된다. 이 때, 수색기는 휴대기(2)까지의 거리를 산출함과 함께, 휴대기(2)로부터 거리 산출용 신호가 송신되어 온 시각 정보를, 예를 들면 Flash 메모리(6)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면 경찰 등이 수색기의 Flash 메모리(6)에 기억된 당해 시각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아이가 언제, 수색기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장소를 통과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색기에 의한 상술한 시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당해 아이의 보호자 등에게 배신함으로써, 아이가 있는 장소를 파악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만약 휴대기(2)와 수색기 사이에 중계기가 있는 경우, 휴대기(2)의 예를 들면 경보부(도시 생략)에 경보를 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 등이 중계기를 가진 누군가에 의해 아이가, 예를 들어 유괴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신속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 등이 아이의 유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와의 사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대측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의 사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차량 탑재기)와 제2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기) 사 이에서의 당사자 이외에 의한 부정 통신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 및 제2 통신 장치 간의 거리를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는 거리 산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22)

  1. 삭제
  2.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에 의해 회신되는 거리 산출용 신호는, 상기 변조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가 복조한 후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가 다시 변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를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정지하는 통신 장치.
  4.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에 의해 회신되는 거리 산출용 신호는, 상기 변조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가 복조한 후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가 다시 변조한 신호이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반복하여 송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소정 수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의 패턴을 바꾸는 통신 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리세트되고,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리세트될 때마다 리세트되고,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를 소정 주파수의 클럭으로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부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기초로 되는 정보가 기억된 기억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타이머가 계시하는 상기 시간을, 송신하였을 때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상기 위상차로서 검출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운터가 상기 위상차를 상기 소정 주파수의 클럭으로 카운트하였을 때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거리 정보로부터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통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 도어의 언로크 또는 로크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를, 상기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신호로서 공급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를, 상기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신호로서 공급하는 통신 장치.
  8. 삭제
  9.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고, 회신되어 온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의 회신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상대측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는 회신부와,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변조부
    를 구비한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기 위하여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는 절환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기 위한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변조부는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하는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상대측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경보부가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하는 통신 장치.
  13. 삭제
  14.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는 회신부와,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변조부에서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부와,
    상기 제2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
    를 구비한 거리 산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를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정지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기 위하여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는 절환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기 위한 절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신부를 동작 상태로 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17.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송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부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회신하는 회신부와,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변조부에서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부와,
    상기 제2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수신할 때까지, 상기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반복하여 송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소정 수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당해 거리 산출용 신호의 패턴을 바꾸는 거리 산출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부는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의 반송파로 ASK 변조하고,
    상기 제2 복조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변조부에서 ASK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제2 변조부는 상기 제2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의 반송파로 FSK 변조하고,
    상기 제1 복조부는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 변조부에서 FSK 변조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복조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리세트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회신된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리세트될 때마다 리세트되고,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상차를 소정 주파수의 클럭으로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부가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기초로 되는 정보가 기억된 기억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타이머가 계시한 상기 시간을, 송신하였을 때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와 수신하였을 때의 상기 거리 산출용 신호의 상기 위상차로서 검출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운터가 상기 위상차를 상기 소정 주파수의 클럭으로 카운트하였을 때의 카운트값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 도어의 언로크 또는 로크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를, 상기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신호로서 공급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를, 상기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신호로서 공급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것으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하였을 때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부가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하는 거리 산출 시스템.
KR1020050098644A 2004-10-19 2005-10-19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KR100770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4758 2004-10-19
JPJP-P-2004-00304757 2004-10-19
JP2004304758A JP2006121226A (ja) 2004-10-19 2004-10-19 通信装置、通信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JP-P-2004-00304756 2004-10-19
JP2004304757A JP2006118887A (ja) 2004-10-19 2004-10-19 距離算出通信装置、距離算出通信装置に用いる距離算出プログラム
JP2004304756A JP2006118886A (ja) 2004-10-19 2004-10-19 距離算出システム、距離算出システムの距離算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114A KR20060054114A (ko) 2006-05-22
KR100770524B1 true KR100770524B1 (ko) 2007-10-25

Family

ID=3618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644A KR100770524B1 (ko) 2004-10-19 2005-10-19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66219B2 (ko)
KR (1) KR100770524B1 (ko)
TW (1) TWI2676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5219D0 (en) * 2004-07-07 2004-08-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ime-of-flight ranging systems
GB0500460D0 (en) * 2005-01-11 2005-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ime of flight
DE102006001719A1 (de) * 2006-01-13 2007-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Fahrzeugtürverriegelung
ATE409623T1 (de) * 2006-07-11 2008-10-15 Delphi Tech Inc Ortungssystem
US7778360B2 (en) * 2007-01-09 2010-08-17 Fujitsu Limited Demodulating a signal encoded according to ASK modulation and PSK modulation
JP4394132B2 (ja) * 2007-03-19 2010-01-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0893139B1 (ko) * 2007-07-30 2009-04-16 국방과학연구소 위상변위기를 적용한 코드상관방식의 거리측정기
US20090273438A1 (en) * 2008-05-01 2009-11-05 Delphi Technologies, Inc. Remote monitoring, interroga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stationary and mobile systems
DE102009060591A1 (de) * 2008-12-30 2010-07-08 Atmel Automotive Gmbh Sender-Empfänger-Schaltung und Verfahren zur Entfernungsmessung zwischen einem ersten Knoten und einem zweiten Knoten eines Funknetzes
US8587403B2 (en) * 2009-06-18 2013-11-19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and preventing relay attack for passive entry system
US20110156885A1 (en) * 2009-12-29 2011-06-30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interface device
JP5694753B2 (ja) * 2010-12-16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68242A1 (en) * 2011-04-21 2012-10-25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a nomadic device location
CN102932894A (zh) * 2011-08-09 2013-02-13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射频输出功率的通信系统及方法
WO2013050409A1 (en) 2011-10-07 2013-04-11 Assa Abloy Czech & Slovakia S.R.O. Solutions for relay attacks on passive keyless entry and go
US9554286B2 (en) * 2011-12-02 2017-01-24 Lea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wireless device
US10194017B2 (en) * 2011-12-12 2019-01-29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US9283931B2 (en) * 2011-12-12 2016-03-15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US8930045B2 (en) * 2013-05-01 2015-01-06 Delphi Technologies, Inc. Relay attack prevention for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vehicle security systems
US9536365B2 (en) 2013-05-29 2017-01-03 Lightwav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ing vehicle with an OEM remote embedded in vehicle
US9114720B2 (en) 2013-07-11 2015-08-25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positioning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stations
US9237411B2 (en) * 2013-07-25 2016-01-12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ne or more functionalities to a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
US9167407B2 (en) * 2013-07-25 2015-10-20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beyond communication range of a wearable computing device
JP6405639B2 (ja) * 2014-02-06 2018-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WO2016013678A1 (ja) * 2014-07-25 2016-01-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機
US9712496B2 (en) 2015-04-28 2017-07-18 Nxp B.V. Signal modulation for secure communication
US9613475B2 (en) * 2015-05-27 2017-04-04 Nxp B.V. Communications with interaction detection
US10444850B2 (en) 2015-09-28 2019-10-15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sture indicative data via a head wearable computing device
FR3044100B1 (fr) * 2015-10-19 2018-01-05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Procede d'estimation d'une distance et unite electronique pour vehicule
CN105869423B (zh) * 2015-11-12 2018-08-07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卫星定位的预警方法及系统、服务器
FR3054510B1 (fr) * 2016-07-29 2019-04-1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fense contre une action de relais attaque sur une activation a distance d'une fonction present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P3306576B1 (fr) * 2016-10-05 2023-03-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et système d'accès securisé à un espace déterminé au moyen d'un objet portable
US10712435B2 (en) 2017-03-17 2020-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distance measuring method
EP3419241B1 (en) * 2017-06-21 2019-12-25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 physical layer relay attack
EP3425420B1 (en) * 2017-07-03 2021-11-17 Nxp B.V. Ranging apparatus and method
EP3594911B1 (en) * 2018-07-11 2023-04-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preventing security breaches of a passiv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US11377071B2 (en) 2018-09-18 2022-07-05 Gogoro Inc. Methods for locking and/or unlocking electric vehicle and associated apparatus
US10796548B2 (en) * 2018-12-28 2020-10-06 Intel Corporation Management of guardianship of an entity including via elastic boundaries
US11486993B2 (en) 2019-01-31 2022-11-01 Honda Motor Co., Ltd. Resonance based distance estimation and identification
US10814832B2 (en) * 2019-02-08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w power security challenge
US11483320B2 (en) * 2019-03-22 2022-10-25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tive relay station attacks between two multimedia communication platforms
JP7441116B2 (ja) * 2020-05-26 2024-02-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447A (ja) * 1999-12-24 2001-07-06 Clarion Co Ltd 測距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315A (en) * 1986-02-20 1988-07-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US5293160A (en) * 1989-11-02 1994-03-08 Nissan Motor Company, Ltd. Keyless vehicle lock system with distance measuring
US5309144A (en) * 1990-04-19 1994-05-03 Lacombe David K Proximity sensing security system
DE59906447D1 (de) * 1998-09-01 2003-09-04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schlüssellosen zugangsberechtigungskontrolle sowie schlüssellose zugangsberechtigungskontrolleinrichtung
EP1013517A3 (de) 1998-12-21 2003-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Datenübertragung bei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9909140A1 (de) 1999-03-03 2000-09-21 Daimler Chrysler Ag Elektronische Entfernungsbestimmungsvorrichtung und damit ausgerüstete elektronische Sicherungsanlage
EP1295148A2 (de) * 2000-06-27 2003-03-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Zugangskontrolle und fahrberechtigung mit abstandsmess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447A (ja) * 1999-12-24 2001-07-06 Clarion Co Ltd 測距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6219B2 (en) 2008-12-16
US20060083406A1 (en) 2006-04-20
TWI267626B (en) 2006-12-01
KR20060054114A (ko) 2006-05-22
TW200615510A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24B1 (ko)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KR100697147B1 (ko) 위치 검출 시스템, 위치 검출 시스템의 위치 검출 방법, 위치 검출 통신 장치
JP2006118886A (ja) 距離算出システム、距離算出システムの距離算出方法
KR100929134B1 (ko) 전자 키 시스템 및 방법
JP4035719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JP5082729B2 (ja) 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2483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vehicle
CN111201165A (zh) 利用移动设备防御中继站攻击的车辆的智能控制方法及装置
EP2601082A1 (en) Vehicle security device
JP2010133099A (ja) 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4780B1 (ja) 無線遠隔操作装置
JP3721145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6118887A (ja) 距離算出通信装置、距離算出通信装置に用いる距離算出プログラム
JP6163927B2 (ja) 紛失防止装置
JP2006121226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435751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6118148A (ja)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システムの通信管理方法、通信管理装置、通信装置
JP4720143B2 (ja) カードレスetc車載器および車載システム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JP2001010448A (ja) 車両用盗難防止無線方法及び装置
JP202217863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JP2000145224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207746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212513A (ja) 携帯機登録システム
JP2022178636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