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137B1 -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137B1
KR100770137B1 KR1020010058650A KR20010058650A KR100770137B1 KR 100770137 B1 KR100770137 B1 KR 100770137B1 KR 1020010058650 A KR1020010058650 A KR 1020010058650A KR 20010058650 A KR20010058650 A KR 20010058650A KR 100770137 B1 KR100770137 B1 KR 10077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eating
rail
wheel bear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556A (ko
Inventor
이상권
임상태
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1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에 투입하기 위해 조립된 롤을 레일에 안착함에 있어서 상기 롤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박스인 롤초크의 외부적인 충격 요소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중, 대형 롤을 레일에 안착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롤초크의 하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 투입용 롤을 레일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롤초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롤초크의 휠 베어링이 레일 스토퍼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보드사이로 운반되어 하강하는 상기 롤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이드보드부; 상기 레일과 상기 가이드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휠 베어링의 롤러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휠베어링검사부;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보드부의 정위치 감지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롤초크를 레일상에 안착시키는 롤안착부; 및 상기 가이드보드부, 휠베어링검사부, 롤안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롤, 롤초크, 휠 베어링, 레일, 구동롤러, 회전롤러

Description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Apparatus for safe arrival of skin pass mill roll chock}
도 1a는 종래 압연 롤을 레일상에 안착하는 작업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b는 도 1a의 A방향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있어서의 가이드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있어서의 휠베어링검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휠베어링검사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있어서의 롤안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를 이용한 압연 롤 안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를 이용한 휠 베어링 검사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롤초크 2-1~2-4 : 롤초크
4 : 휠 베어링 7 : 레일
8-1 : 보드 8-2,9-12 : 실린더
8-7 : 스크레이퍼 9-8 : 구동롤러
9-10 : 회전롤러 10-4 : 다단 실린더
10-6 : 복동 실린더 10-7 : 사이드 스토퍼
본 발명은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연기에 투입하기 위해 조립된 롤을 레일에 안착함에 있어서 상기 롤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박스인 롤초크의 외부적인 충격 요소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중, 대형 롤을 레일에 안착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롤초크의 하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에 사용되는 롤(1-1,1-2)은 크레인 운전자와 현장 작업자간에 수신호를 통하여 적정한 위치에서 정밀한 조작에 의해 레일(7) 위에 안착하여야 하는데 이때 롤초크(2-1~2-4)의 휠 베어링(4)이 레일 스토퍼(4-5)에 정밀하게 셋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크레인 운전자는 롤(1-1,1-2)을 매달고 있는 와이어 로프에 의해 항상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렵고, 현장 작업자는 안착작업이 진행되 는 동안 계속 허리를 숙여서 레일(7)에 휠 베어링(4)이 안착되는 상태를 감시하면서 작업해야 하므로 피로도가 심하게 된다. 또한, 안착작업시 정확히 안착될 때까지 롤(1-1,1-2)의 권상,권하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하므로 레일(7)과의 충돌로 인해 상기 휠 베어링(4)의 롤러가 파손될 위험도 높다.
상기 롤러중의 어느 하나라도 파손되면 그 곳으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연쇄적으로 롤러가 파손되어 결국은 휠 베어링(4)이 회전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롤(1-1,1-2)의 운반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이 롤(1-1,1-2)을 밀 스탠드(mill stand)(미도시)로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면 롤(1-1,1-2)이 밀 스탠드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아 장시간 밀 스탠드의 가동을 중지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롤(1-1,1-2) 안착 작업시의 휠 베어링(4)의 점검작업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는 작업자가 손으로 휠 베어링(4)을 돌려가면서 청력과 손의 감각으로 점검을 수행하므로 점검작업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롤 (1-1,1-2)의 안착작업 과정 중에 발생한 휠 베어링(4)의 파손은 전혀 점검이 불가능하여 롤(1-1,1-2)을 밀 스탠드로 운반하는 도중에 상기 롤이 정지하여 밀 스탠드의 가동을 중지해야 하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롤초크(2-1~2-4)의 라이너(3)는 롤(1-1,1-2)이 밀 스탠드에 인입시와 압연 작업시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하며 통상 0.1mm이내의 극히 미세한 오차로 관리하는데 최초 조립후에 밀 스탠드의 고열이나 충격, 고압수, 분진 등의 악조건으로 인하여 마모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나 이를 점검하자면 대형의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3인 1조 또는 2인 1조로 하여 점검해야 하므로 매우 힘들고 정밀한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여 대부분의 작업자가 점검을 기피하므로 정밀한 제어가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롤(1-1,1-2)이 인입되기 직전 라이너의 간격과 이상 유무를 정밀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관리방안이지만 상,하 롤(1-1,1-2)이 셋팅된 상태에서는 롤(1-1,1-2)과 관련 부품들로 인해 측정장치를 이용한 간격 측정이 전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연롤의 레일에 대한 정밀한 안착작업을 통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라이너와 휠 베어링의 점검 작업을 통해 상기 휠 베어링의 롤러 파손 방지와 함께 롤초크의 레일과의 접촉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는 압연기 투입용 롤을 레일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롤초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롤초크의 휠 베어링이 레일 스토퍼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보드사이로 운반되어 하강하는 상기 롤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이드보드부; 상기 레일과 상기 가이드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휠 베어링의 롤러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휠베어링검사부;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보드부의 정위치 감 지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롤초크를 레일상에 안착시키는 롤안착부; 및 상기 가이드보드부, 휠베어링검사부, 롤안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보드부는 상면에 다수의 램프 및 사이렌이 설치되고 저면에 실린더가 설치된 보드와, 상기 보드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정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 하부에 설치된 하한 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양 센서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와, 선단부에 레이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설치된 측정블록과, 상기 측정블록의 하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된 급지블록과, 상기 급지블록에 연결된 그리스 라인과, 이송블록을 통해 상기 스크레이퍼, 측정블록 및 급지블록의 후단부에 취부되는 스크류와,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된 베벨기어 박스와, 상기 베벨기어 박스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휠베어링검사부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회전아암과, 상면 일측에는 사각 형상의 적재함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부에 조립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아암의 상면 중앙부에 조립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재함 내부 일측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적재함의 내부 타측에서 상기 구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상기 양 롤러 사이에 설치된 진동센서와, 상기 회전바의 저면 일측에 조립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롤안착부는 베이스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베이스에 소정 깊이로서 내장된 다단실린더와, 상기 다단실린더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복동실린더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된 사이드 스토퍼와, 상기 사이드 스토퍼의 상단 좌, 우 양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롤초크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착장치는 크게 하강하는 롤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이드보드부; 휠 베어링의 롤러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휠베어링검사부; 롤초크를 레일상에 안착시키는 롤안착부; 및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보드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7)을 사이에 두고 좌,우 1쌍씩 설치되어지되, 육면체 형상을 갖는 보드(8-1)의 상면에 3개의 램프(L1,L2,L3)와 1개의 사이렌(8-13)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드(8-1)의 일측면 상단에 상기 램프(L1,L2,L3) 및 사이렌(8-13)과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는 정위치 감지센서(S1a,S1b;S1c,S1d)가 설치되며,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 하부에 하한 위치 감지센서(S2a,S2b;S2c,S2d)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센서(S1a~S2d)의 하부에는 사각 형상의 관통부가 등간격을 갖고 3부위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서 스크레이퍼(8-7), 측정블록(8-8), 급지블록(8-10)이 각각 취부되어지되, 상기 스크레이퍼(8-7)는 측면에서 보아 'ㄴ'자 형상을 갖고, 상기 측정블록(8-8)의 선단부에 레이저센서(8-9)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급지블록(8-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그 선단부에 전자변(8-11)이 설치된 그리스 라인(grease line)(8-12)이 상기 일측 노즐구멍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타측에서 3개의 스크류(8-6)가 이송블록(8-5)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레이퍼(8-7), 측정블록(8-8), 급지블록(8-10)의 후단부에 취부되고, 상기 이송블록(8-5)은 베벨기어 박스(8-4)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벨기어 박스(8-4)의 타단부에는 구동모터(8-3)가 연결되고, 상기 보드(8-1)의 저면에 실린더(8-2)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휠베어링검사부는 도 2 및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7)과 상기 가이드보드부 사이에서 1쌍 설치되어지며, 고정아암(9-1)의 돌출부에 회전아암(9-2)을 삽입하되,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부에는 회전바(9-3)가 고정조립되고, 회전아암(9-2)의 상면 중앙부에는 두개의 기어(9-4,9-5)가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상기 기어(9-4,9-5)의 상부에서 구동모터(9-6)가 조립되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바(9-3)의 상면 일측에는 사각 형상의 적재함(9-7)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9-7) 내부 일측에 구동롤러(9-8)가 모터(9-9)가 조립된 상태로서 내장되며, 적재함(9-7)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구동롤러(9-8)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롤러(9-10)가 내장되어진다.
또한, 상기 양 롤러(9-8,9-10)의 사이에 진동센서(9-11)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바(9-3)의 저면 일측에는 고정블록(9-13)이 연결된 실린더(9-12)가 조립되어진다.
상기 롤안착부는 도 2,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7) 사이에서 전,후 1쌍 설치되어지되, 육면체 형상을 갖는 베이스(10-1)가 라인의 내면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내장되고, 선단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0-2)가 상기 베이스(10-1)의 하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10-2)의 타단부에는 구동모터(10-3)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의 상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1쌍의 다단실린더(10-4)가 소정 깊이로 내장되고, 상기 다단실린더(10-4)의 상단에 사각 형상의 고정블록(10-5)이 연결되며, 복동실린더(10-6)가 상기 고정블록(10-5)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동실린더(10-6)의 좌,우 양단부에는 측면에서 보아 'ㄴ'자 형상의 단면으로서 전술한 라이너(3)의 하단부를 받치는 1쌍의 사이드 스토퍼(10-7)가 고정부착되고, 상기 사이드 스토퍼(10-7)의 상단 좌, 우 양측에는 롤초크 위치감지 센서(S3;S3a,S3b,S3c,S3d)가 고정설치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7)의 안착홈(7-1) 중앙부에 작업완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가 설치되고, 전술한 각종 센서류와 모터 및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12)과 그리스 및 유압 공급장치(13)가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에 사용되는 롤을 적정한 위치에서 레일 위에 안착시키고자 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천정 기중기 및 크레인을 통해 상기 보드(8-1)사이로 롤(1)을 운반하고 상기 조작 판넬(12)을 통해 실린더(8-2)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4개의 보드(8-1)가 동시에 상승하며, 롤(1)을 보드(8-1) 사이로 하강시켜 정위치 감지센서(S1) 까지 도달하면 상기 램프 L1이 점등된다.
이때, 상기 롤(1)이 도 1a에 도시된 롤 버기(roll buggy)(5)쪽으로 치우치면 정위치 감지센서는 S1a,S1c만 검출되고, 롤(1)이 밀 스탠드 측으로 치우치면 정위치 감지센서는 S1b,S1d만 검출되며, 휠베어링(4)이 레일(7)의 안착홈(7-1)과 일직선상이 되면 정위치 감지센서는 S1a~S1d가 동시에 검출된다.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롤안착부는 자동으로 전진이나 후진을 결정하며, 상기 조작판넬(12)을 통해 구동모터(10-3)를 작동시키면 상기 스크류(10-2)가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가 진행하면서 전체 정위치 감지센서(S1a~S1d)의 검출을 기다리다가 검출이 완료되면 즉시 진행을 멈추고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크레인 운전자가 실수로 롤(1)을 많이 하강하면 상기 하한위치 감지센서(S2a~S2d)가 검출되고, 사이렌(8-13)이 울리면서 상기 램프(L2)가 점등되는 데, 이때 롤(1)은 상승되어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S1a~S1d)의 재검출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다단 실린더(10-4)를 동작시키면 롤안착부가 상승하고, 상기 사 이드 스토퍼(10-7)가 롤초크(2)의 하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감지 센서(S3a~S3d)에 롤초크(2)가 검출되면 상승을 멈추고 모든 위치감지 센서가 동시에 검출되도록 롤안착부를 세밀하게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위치감지 센서(S3a~S3d)가 모두 검출되면 롤안착부를 상승한 후, 상기 복동 실린더(10-6)를 전진시키면, 양측의 사이드 스토퍼(10-7)가 동시에 펼쳐지면서 롤초크(2)를 롤안착부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롤(1)의 중심이 레일(7)의 중심과 어긋나 있어도 상기 사이드 스토퍼(10-7)의 진행에 따라 와이어 로프에 매달려 있던 롤(1)은 사이드 스토퍼(10-7)의 진행력에 의해 롤안착부의 중심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롤(1)의 안치가 완료되면, 롤안착부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S1a~S1d)가 동시에 검출되도록 하면 롤(1)은 안착지점의 상부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며, 이후 와이어 로프를 분리하고 롤안착부(1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하강 작업도중 상기 이송블록(8-5)에 연결된 스크류(8-6)를 전진시켜서 스크레이퍼(8-7)로 상기 라이너(3) 양측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측정블록(8-8)의 레이저 센서(8-9)가 상기 휠 베어링(4)과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그리스 라인(8-12)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그리스를 급지블록(8-10)의 노즐구멍을 통해 라이너(3)에 깨끗한 그리스를 급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일 라이너(3)의 간격이 규정치에서 벗어나면 다시 롤안착부를 상승하여 롤(1)을 들어내서 라이너(3)의 정비작업을 수행하고, 이상이 없다면 계속 하 강하여 휠베어링검사부 상부까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휠베어링검사부의 상부로 롤(1)이 위치하면, 상기 구동모터(9-6)를 작동시켜서 기어(9-4,9-5)에 의해 회전아암(9-2)이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9-12)를 전진시키면 고정블록(9-13)이 지면을 밀어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 7a, 도 7b와 같이 롤안착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휠베어링검사부의 구동롤러(9-8)와 회전롤러(9-10)사이에 휠 베어링(4)이 안착되면 상기 진동센서(9-11)가 휠 베어링(4)에 접촉하고, 상기 모터(9-9)를 구동시키면 구동롤러(9-8)가 회전하면서 회전롤러(9-10)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휠 베어링(4)도 회전하면서, 상기 휠 베어링의 롤러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으며, 이상이 없으면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휠 베어링(4)에 이상이 있으면 상기 롤(1)을 들어내서 휠 베어링의 정비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휠 베어링의 검사작업이 완료되면, 롤안착부를 레일(7)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S1a~S1d)에 의해 위치를 맞춘 휠 베어링(4)이 레일(7)의 안착홈(7-1)에 정확히 안착되며, 상기 작업완료 감지센서(11)에 의해 휠 베어링(4)이 검출되면서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는 압연에 사용되는 롤을 레일 위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롤초크의 휠 베어링이 상기 레일의 레일 스토퍼에 기계적으로 정밀하게 셋팅된 상태로서 안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휠 베어링의 롤러 파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의 안착 작업중 롤초크의 라이너와 휠 베어링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부하를 줄이고, 특히 중,대형롤을 레일에 안착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롤초크의 레일과의 접촉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압연기 투입용 롤을 레일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의 회전을 지지하는 휠 베어링을 내장한 롤초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롤초크의 휠 베어링이 레일 스토퍼에 안착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보드사이로 운반되어 하강하는 상기 롤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이드보드부; 상기 레일과 상기 가이드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휠 베어링의 롤러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휠베어링검사부;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보드부의 정위치 감지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롤초크를 레일상에 안착시키는 롤안착부; 및 상기 가이드보드부, 휠베어링검사부, 롤안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드부는 상면에 다수의 램프 및 사이렌이 설치되고 저면에 실린더가 설치된 보드와, 상기 보드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정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정위치 감지센서 하부에 설치된 하한 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양 센서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와, 선단부에 레이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설치된 측정블록과, 상기 측정블록의 하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된 급지블록과, 상기 급지블록에 연결된 그리스 라인과, 이송블록을 통해 상기 스크레이퍼, 측정블록 및 급지블록의 후단부에 취부되는 스크류와,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된 베벨기어 박스와, 상기 베벨기어 박스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베어링검사부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회전아암과, 상면 일측에는 사각 형상의 적재함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부에 조립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아암의 상면 중앙부에 조립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재함 내부 일측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적재함의 내부 타측에서 상기 구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상기 양 롤러 사이에 설치된 진동센서와, 상기 회전바의 저면 일측에 조립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안착부는 베이스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베이스에 소정 깊이로서 내장된 다단실린더와, 상기 다단실린더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복동실린더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된 사이드 스토퍼와, 상기 사이드 스토퍼의 상단 좌, 우 양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롤초크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KR1020010058650A 2001-09-21 2001-09-21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KR10077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650A KR100770137B1 (ko) 2001-09-21 2001-09-21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650A KR100770137B1 (ko) 2001-09-21 2001-09-21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556A KR20030025556A (ko) 2003-03-29
KR100770137B1 true KR100770137B1 (ko) 2007-10-24

Family

ID=2772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650A KR100770137B1 (ko) 2001-09-21 2001-09-21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73B1 (ko) 2020-09-07 2021-10-13 (주)승진기계 압연 장치 롤용 초크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8516B (zh) * 2018-07-11 2022-10-21 上海宝钢工业技术服务有限公司 轧辊辊架的精准定位结构
CN109341611A (zh) * 2018-10-26 2019-02-15 江苏世冠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内圈自动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818A (en) * 1981-03-24 1982-09-28 Kohan Kogyo Kk Roll supporting block with contactless switch
JPH1015605A (ja) * 1996-07-03 1998-01-20 Nippon Steel Corp 圧延機ロールチョックのロール軸受給脂装置
KR20000001492U (ko) * 1998-06-26 2000-01-25 이구택 롤 스토퍼 변형방지 장치가 구비된 쵸크 탈착용 롤 안착장치
KR20010000883U (ko) * 1999-06-21 2001-01-15 이구택 압연대기롤의 검사 및 준비장치
KR20020012788A (ko) * 2000-08-08 2002-02-20 이구택 압연롤 쵸크의 휠베어링 점검 및 정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818A (en) * 1981-03-24 1982-09-28 Kohan Kogyo Kk Roll supporting block with contactless switch
JPH1015605A (ja) * 1996-07-03 1998-01-20 Nippon Steel Corp 圧延機ロールチョックのロール軸受給脂装置
KR20000001492U (ko) * 1998-06-26 2000-01-25 이구택 롤 스토퍼 변형방지 장치가 구비된 쵸크 탈착용 롤 안착장치
KR20010000883U (ko) * 1999-06-21 2001-01-15 이구택 압연대기롤의 검사 및 준비장치
KR20020012788A (ko) * 2000-08-08 2002-02-20 이구택 압연롤 쵸크의 휠베어링 점검 및 정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73B1 (ko) 2020-09-07 2021-10-13 (주)승진기계 압연 장치 롤용 초크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556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KR100770137B1 (ko) 압연 롤초크 점검형 안착장치
CN211191412U (zh) 一种带钢离线检查站
CN112975232A (zh) 焊接工作站
JP2009102116A (ja) マスト式クレーン
KR200181442Y1 (ko) 슬리브의 세척 및 공급장치
JPH021565B2 (ko)
KR100506409B1 (ko) 코일카의 소단중 미압연코일 인출장치
JP3118091B2 (ja) 位置決め装置
KR20040015514A (ko) 강판의 중앙 정렬 장치
KR200254188Y1 (ko) 자동마킹장치의 슬라브 감지장치
KR100805548B1 (ko) 롤의 표면 이물질제거 및 정렬장치
CN220761546U (zh) 一种翻身机
CN111874769A (zh) 一种便于维护的电梯底坑水位检测装置
KR102030159B1 (ko) 압연 코일 검사 장치
KR20030050486A (ko) 강판의 표면형상 및 결함 검출장치
KR20040107235A (ko) 소재간 마찰흠을 방지하는 소재 단면 정렬장치
KR20010065436A (ko) 웰딩바 인출 및 표면 연삭 장치
KR100798070B1 (ko) 냉연강판의 스크랩볼 권취장치
KR20040054971A (ko)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KR200186050Y1 (ko) 대형 쵸크 및 베어링 정비를 위한 회전 및 전도장치
KR20020029964A (ko) 백업롤 쵸크의 하우징 면판 교체장치
KR100775754B1 (ko) 슬래브 전면 모따기 장치
KR101786373B1 (ko) 아이들 롤러의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CN117283224A (zh) 一种翻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