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93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93B1
KR100768393B1 KR1020060099098A KR20060099098A KR100768393B1 KR 100768393 B1 KR100768393 B1 KR 100768393B1 KR 1020060099098 A KR1020060099098 A KR 1020060099098A KR 20060099098 A KR20060099098 A KR 20060099098A KR 100768393 B1 KR100768393 B1 KR 10076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plate
polymeriza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013A (ko
Inventor
쯔또무 다나까
마사후미 사까구찌
도모히로 오오꾸보
야스히꼬 하야시
마사히꼬 나가따께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47B57/42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introduced by a vertical 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선반을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는 동시에, 진열 성능의 향상 및 외관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 장치(7)를 구비한 쇼케이스(1)에 있어서, 진열실(6) 내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이 서로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각 선반판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를 구비하고, 제2 선반 지지구(20)의 하부로부터 제1 선반 지지구(30)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와, 제1 선반 지지구(30)의 하부로부터 제2 선반 지지구(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구측 중합부(29) 상에 중합하는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와, 바닥변이 지지구측 중합부(47) 상에 중합하는 선반측 중합부(24)와, 인접하는 제2 선반판(14)의 하방에 형성되어 바닥변이 선반측 중합부(24) 상에 중합하는 선반측 중합부(34)와, 모든 중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48)를 구비하였다.
쇼케이스, 진열실, 선반 장치, 선반 지지구, 중합부, 결합구

Description

쇼케이스 {SHOWCASE}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쇼케이스의 전체 사시도.
도2는 선반 장치의 가설 상태를 설명하는 선반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3은 선반 장치의 코너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4는 제1 선반측판의 사시도.
도5는 제2 선반측판의 사시도.
도6은 제1 선반 지지구의 사시도.
도7은 제2 선반 지지구의 사시도.
도8은 제1 선반 지지구와 제2 선반 지지구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상태에 제1 선반판을 구성하는 선반측판의 제1 선반측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도9의 상태에 제2 선반판을 구성하는 선반측판의 제2 선반측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도3의 선반 장치의 종단면도.
도12는 각 중합부의 중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
도13은 선반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14는 제2 선반판의 사시도.
도15는 선반 장치의 코너부의 부분 투시 확대 평면도.
도16은 제2 선반판과 코너 장식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17은 선반 장치의 코너부의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3 : 수직 설치부
6 : 진열실
7 : 선반 장치
7A : 코너부
10 : 배면판
13 : 선반판(제1)
13A, 14A : 맞댐 단부면
13B : 선단부
14 : 선반판(제2)
15 : 적재면
16 : 전방벽
16A : 걸림 구멍
17 : 연장 돌출부
17A : 선단부면
18 : 선반 장식
20 : 선반 지지구(제2)
20A, 30A : 결합 갈고리
21 : 선반측판(제1)
23, 33 : 측면
24 : 선반측 중합부(제1)
25, 35, 44, 48 : 결합구 삽입 구멍
28, 46 : 선반 지지구 전방부
29 : 지지구측 중합부(제1)
30 : 선반 지지구(제1)
31 : 선반측판(제2)
34 : 선반측 중합부(제2)
37 :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
37A : 연장 돌출부 후방면
37B : 연장 돌출부 측면
40 : 코너 장식
41 : 보조 결합 부재
42 : 결합부
47 : 지지구측 중합부(제2)
49 : 결합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8799호 공보
본 발명은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를 구비한 쇼케이스, 특히 상기 냉장고 내에 가설되는 선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면, 2면 내지 4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을 구비한 쇼케이스는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 있어서, 냉장 식품이나 생선 식품 등을 진열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통상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에 덕트를 구비하는 수직 설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설치부의 4면에는 배면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수직 설치부의 4면에는 진열 선반이 설치된다. 이 진열 선반은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 지지구에 의해 배면판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된다.
코너부에 설치되는 진열 선반은 코너부측의 단부변이 평면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한쪽 진열 선반의 경사진 측의 측면 플랜지와, 다른 쪽 진열 선반의 경사진 측의 측면 플랜지가 맞대진 형태로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진열 선반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선반 지지구에 의해 진열 선반을 구성하는 각 측면 플랜지를 끼움 지지하고, 중앙 부분으로부터 선단부측의 1군데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양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하여 나사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반의 구성에서는 선반의 하면측에 있어서 선반의 측면 플랜지의 양측 방향으로부터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 작업을 행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성의 문제로부터 볼트와 너트에 의한 고정은 선반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행해진다. 그로 인해, 상기 고정 부분을 축으로 하여 선반판의 후단부나 선반 지지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고, 배면판에 형성되는 걸림 구멍으로부터 선반 지지구가 탈락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반 상의 상품이 선반판의 전방측에 집중적으로 적재됨으로써, 선반판 선단부측으로의 하중이 집중하고, 이에 의해서도 선반판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선반 지지구가 배면판의 걸림 구멍으로부터 이탈하고, 선반마다 낙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선반판이 맞대어지는 측면 플랜지에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중합부를 형성하고, 이들 측면 플랜지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선반 지지구의 선단부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중합부를 형성하고, 이들 중합부를 중합한 상태에서 나사로 함께 체결을 행하는 고정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879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선반의 고정 방법에서는, 각 선반판의 측면 플랜지의 중합부와 선반 지지구의 중합부를 중합하는 것만으로는, 각 선반판은 안정적으로 선반 지지구에 보유 지지되지 않고, 나사로 함께 체결이 행해지기까지는, 선반판은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고정이 행해지는 선반판은 반대측에 위 치하는 측면 플랜지에 있어서도 다른 선반판의 측면 플랜지와 고정을 행할 필요가 있고, 한쪽을 독립하여 행한 경우에는 다른 쪽 고정을 행할 때에 각 중합부를 중합할 수 없어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로 인해, 모든 코너부를 구성하는 선반의 맞댐 부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고정 작업을 행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코너 부분의 선반의 형상에서는 각 선반판의 측면 플랜지를 맞대어 선반의 코너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었으므로 치수 오차가 생기기 쉽고, 설치 시에 있어서, 어긋남이 생기지 않고 적절하게 코너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각 선반판에 형성되는 전방면 플랜지에는 선반판의 장식 기능을 갖는 동시에, 진열 상품의 가격이나 품명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카드가 설치되는 선반 장식이 설치된다. 그리고, 코너부를 구성하는 선반의 맞댐 부분의 선단부에는 상기 선반 장식 사이에 위치하여 코너 장식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코너 장식은 인접하는 선반 장식의 서로 맞대어지는 단부를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너 장식의 설치는 선반 장식의 단부에 삽입함으로써 행해지고 있었다. 그로 인해, 선반 상의 상품의 출입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의 소매 등이 코너 장식에 걸려 용이하게 탈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반 장식에 가해진 충격 등에 의해서도 코너 장식이 선반 장식으로부터 탈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선반을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는 동시에, 진열 성능의 향상 및 외관의 향상을 실 현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는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판을 구비한 것이며, 냉장고 내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선반판이 서로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각 선반판을 각각 지지하는 인접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를 구비하고, 제2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제1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구측 중합부와, 제1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제2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지지구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제1 선반판의 모서리부로부터 계단형으로 단락 형성되고, 바닥변이 제2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1 선반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제2 선반판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되접혀 형성되고, 바닥변이 제1 선반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선반측 중합부와, 각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에서 모든 중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2 선반 지지구에 제2 선반판이 지지되고, 제1 선반 지지구에 제1 선반판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각 중합부는 각 선반판 및 각 선반 지지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을 구비한 쇼케이스에 있어서, 선반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선반 장식과, 인접하는 선반이 서로 맞대어지는 코너부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선반 장식 사이에 배치되는 코너 장식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선반 중 어느 한쪽 선반의 맞댐측 선단부에서 다른 쪽 선반측으로 연장되어 코너부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 돌출부에 코너 장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쇼케이스(1)의 전체 사시도, 도2는 선반 장치(7)의 가설 상태를 설명하는 선반 장치(7)의 확대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쇼케이스(1)는 슈퍼마켓 등의 점포 내에 있어서 냉동 식품이나 생선 식품을 진열 판매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인접하는 2면 내지 4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쇼케이스(1)는 내부에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베이스(2)와, 이 베이스(2)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덕트를 구비하는 수직 설치부(3)와, 이 수직 설치부(3)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기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차양형의 천장판(4)으로 본체(5)가 구성되고, 이들 베이스(2)와, 수직 설치부(3)와, 천장판(4)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실(6)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5)를 구성하는 수직 설치부(3)의 외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주(8, 9)가 상하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쇼케이스(1)는 평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 설치부(3)의 코너부에 지주(8)가 각각 수직 설치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설치부(3)의 외면에는 지주(9)가 더 수직 설치된다. 이 지주(9)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에 걸쳐서 복수의 결합 구멍(9A)이 소정 간격을 두고 뚫려 있다. 결합 구멍(9A)은 상하로 길 게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이 되고, 후술하는 선반 장치(7)를 구성하는 선반 지지구(11)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12)를 결합 분리 가능하고, 걸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코너부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8)에는 수직 설치부(3)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배면판(10)이 설치된다. 이 배면판(10)은 수직 설치부(3)의 코너부, 즉 지주(8)의 외면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배면판(10)에 가설되는 선반 장치(7)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코너부(7A)에 면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 설치면(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너 설치면(10A)에는 복수의 결합 구멍(10B)이 상하 방향에 걸쳐서 적어도 2열, 소정 간격을 두고 뚫린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설치부(3)의 일 면은 적어도 2매의 배면판(10)으로 둘러싸여 있고, 코너 설치면(10A)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에 걸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 구멍(10C)이 뚫린다. 각 결합 구멍(10B, 10C)은 상기 결합 구멍(9A)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긴 구멍 형상이 되고, 후술하는 선반 장치를 구성하는 선반 지지구(11, 20, 30)의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12, 20A, 30A)를 결합 분리 가능하고 걸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지주(8), 지주(9)로 지지되는 배면판(10)에는 복수의 선반 장치(7)가 걸림으로써 진열실(6) 내에는 복수단의 선반 장치(7)가 가설된다.
이하, 선반 장치(7)의 구성, 특히 상기 선반 장치(7)의 코너부의 구조에 대해 도3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선반 장치(7)의 코너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4는 제1 선반측판(21)의 사시도, 도5는 제2 선반측판(31)의 사시도, 도6은 제2 선반 지지구(20)의 사시도, 도7은 제1 선반 지지구(30)의 사시도, 도8은 제2 선반 지지구(20)와 제1 선반 지지구(30)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상태에 제1 선반판(13)을 구성하는 제1 선반측판(21)의 제1 선반측 중합부(24)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도9의 상태에 제2 선반판(14)을 구성하는 제2 선반측판(31)의 제2 선반측 중합부(34)가 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도3의 선반 장치(7)의 종단면도, 도12는 각 중합부의 중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 도13은 선반 장치(7)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14는 제2 선반판(14)의 사시도, 도15는 선반 장치(7)의 코너부의 부분 투시 확대 평면도, 도16은 제2 선반판(14)과 코너 장식(40)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17은 선반 장치(7)의 코너부(7A)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진열실(6)에 가설되는 선반 장치(7)는 수직 설치부(3)에 대해 개방되는 2면 또는 4면에 설치되므로, 각각의 면에 대해 설치되는 선반판과, 이들 선반판을 가설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구(11, 20, 30)로 구성된다. 또한, 인접하여 설치되는 선반판의 한쪽을 선반판(13)(제1 선반판)으로 하고, 다른 쪽을 선반판(14)(제2 선반판)으로 한다.
선반판(13, 14)은 2면 또는 4면에 걸쳐서 설치되므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선반판(13, 14)의 맞댐 단부면(13A, 14A)은 수직 설치부(3) 또는 선반판(13)의 수직 설치부(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 단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대어지는 양쪽 선반판(13, 14)의 경사 각도를 동일하게 하므로 수직 설치부(3)의 외면과 약 135°, 선반판(13, 14)의 수직 설치부(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 단부와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선반판(13, 14)은 강판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품을 적재하는 적재면(15)과, 상기 적재면의 수직 설치부(3)측 및 고객측의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도시하지 않은 후방벽 및 전방벽(16)(상기 단부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선반판(14)과의 맞댐 단부면(13A)측의 선반판(13)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부에는 선반측판(제1 선반측판)(21)이 설치된다. 제1 선반판(13)과의 맞댐 단부면(14A)측의 선반판(14)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부에는 선반측판(제2 선반측판)(31)이 설치된다. 또한, 이들 선반판(14)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측단부에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선반측판이 설치된다.
제1 선반측판(2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강판제 부재이고, 제1 선반판(13)의 측단부에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22)과, 상기 고정면(22)의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하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면(23)으로 구성된다. 이 측면(23)의 전방부에는 하단부가, 고정면(22)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 즉 상기 제1 선반측판(21)이 선반판(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과 맞대어지는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선반측 중합부(24)(제1 선반측 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선반측판(21)이 제1 선반판(13)에 설치됨으로써 제1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단락 형성되고, 상기 계단형의 바닥변을 구성하는 변이 선반측 중합부(24)가 된다. 그리고, 이 선반측 중합부(24)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면(22)에 형성되는 2군데의 절결부(22A, 22A)는 상기 제1 선반측판(21)이 고정되는 제1 선반판(13)의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6, 26)를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이다.
제2 선반측판(3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강판제 부재이고, 제2 선반판(14)의 측단부에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32)과, 상기 고정면(32)의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하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면(33)으로 구성된다. 이 측면(33)의 전방부에는 하단부가 고정면(32)이 형성되는 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선반측 중합부(34)(제2 선반측 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선반측판(31)이 제2 선반판(14)에 설치됨으로써,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으로부터 하방으로 되접혀 형성되고, 상기 되접혀 형성된 바닥변을 구성하는 변이 선반측 중합부(34)가 된다. 그리고, 이 선반측 중합부(34)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면(32)에 형성되는 2군데의 절결부(32A, 32A)는 상기 제2 선반측판(31)이 고정되는 제2 선반판(14)의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36, 36)를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이다.
또한, 이 제2 선반측판(31)의 측면(33)의 전단부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2 선반판(14)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와 함께 코너부(7A)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37)는 연장 돌출부(17)의 단부면을 따라서 절곡 형성되는 것이고,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 후방면(37A)과, 상기 연장 돌출부 후방면(37A)의 전단부가 상기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의 단부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장 돌출부 측면(37B)이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선반측판(31)이 제 선반판(14)에 설치됨으로써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37)는 제2 선반판(14)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장 돌출부(17)의 제1 선반판(13)측에 면하는 후방면 및 제1 선반판(13)의 전방벽(16)과 대략 동일면이 되는 연장 돌출부(17)의 측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연장 돌출부 후방면(37A) 및 연장 돌출부 측면(37B)이 맞대어지는 코너부에는 절결부(37C, 37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37C)는 후술하는 코너 장식(40)에 형성되는 보조 결합 부재(41)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린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선반측판(21)이 설치된 제1 선반판(13)은 선반 지지구(30)(제1 선반 지지구)에 지지되어 배면판(10)에 걸리는 동시에, 제2 선반측판(31)이 설치된 제2 선반판(14)은 선반 지지구(20)(제2 선반 지지구)에 지지되어 배면판(10)에 걸린다.
여기서, 제2 선반판(14)을 가설 지지하는 제2 선반 지지구(2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선반판(14)의 측단부[맞댐 단부면(14A)]를 따라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강판제 부재이고, 후단부에 상기 배면판(10)의 코너 설치면(10A)에 형성된 결합 구멍(10B)과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복수의 결합 갈고리(20A)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제2 선반 지지구(20)의 상단부에는 제2 선반판(14)측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 선반판(14) 및 상기 제2 선반판(14)을 구성하는 제2 선반측판(31)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면(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선반 지지구(20)에는 전단부가 소정 각도로 제2 선반판(14)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제2 선반측판(31)과 대략 평행하게 절곡된 선반 지지구 전방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반 지지구 전방부(28)의 하단부에는 제1 선반판(13)의 제1 선반측판(21)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지지구측 중합부(29)(제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구측 중합부(29)는 제1 선반판(13)의 제1 선반측판(21) 및 상기 제1 선반판(13)을 지지하는 제1 선반 지지구(30)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구측 중합부(29)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구 전방부(28)의 상단부도 상단부가 제2 선반판(14)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 선반판(14) 및 상기 제2 선반판(14)을 구성하는 제2 선반측판(31)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면(2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선반판(13)을 가설 지지하는 제1 선반 지지구(30)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반판(13)의 측단부[맞댐 단부면(13A)]를 따라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강판제 부재이고, 후단부에 상기 배면판(10)의 코너 설치면(10A)에 형성된 결합 구멍(10B)과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복수의 결합 갈고리(30A)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제1 선반 지지구(30)의 상단부에는 제1 선반판(13)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1 선반판(13) 및 상기 제1 선반판(13)을 구성하는 제1 선반측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면(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선반 지지구(30)에는 전단부가 소정 각도로 제2 선반판(14)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제1 선반측판(21)과 대략 평행하게 절곡된 선반 지지구 전방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반 지지구 전방부(46)의 하단부에는 제2 선반판(14)의 제2 선반측판(31)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지지구측 중합부(47)(제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구측 중합부(47)는 제2 선반판(14)의 제2 선반측판(31) 및 상기 선반판(14)을 지지하는 제2 선반 지지구(20)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구측 중합부(47)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지지구 전방부(46)의 상단부도 상단부가 선반판(13)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선반판(13) 및 상기 선반판(13)을 구성하는 제1 선반측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면(4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선반판(13)을 구성하는 제1 선반측판(21)의 제1 선반측 중합부(24)와, 제2 선반판(14)을 구성하는 제2 선반측판(31)의 제2 선반측 중합부(34)와, 제1 선반판(13)을 가설 지지하는 제1 선반 지지구(30)의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와, 제2 선반판(14)을 가설 지지하는 제2 선반 지지구(20)의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는 1군데,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 장치(7)의 코너부(7A) 하방에 집약되어 결합되게 되지만, 이들 각 중합부는 하부로부터 차례로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 제1 선반측 중합부(24), 제2 선반측 중합부(34)가 중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4개의 중합부 중,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가 가장 낮고, 또한 폭 치수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다음에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가 낮게 형성되고, 또한 폭 치수가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 다음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선반측 중합부(24)는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에 상부로부터 중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구측 중합부(47)가 형성되는 제1 선반 지지구(30)의 선반 지지구 전방부(46)와, 제1 선반측 중합부(24)가 형성되는 제1 선반측판(21)의 측면(23)의 전방부가 전후에 걸쳐서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선반측 중합부(34)는 제1 선반측 중합부(24)에 상부로부터 중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선반측 중합부(34)가 형성되는 제2 선반측판(31)의 측면(33)과, 제1 선반측 중합부(24)가 형성되는 제1 선반측판(21)의 측면(23)이 접촉, 혹은 근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중합부에 형성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25, 35, 48, 44)은 모두 중합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선반 장치(7)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을 가설할 때에는, 우선 배면판(10)의 코너 설치면(10A)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0B)에 각각의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의 결합 갈고리(20A, 30A)를 결합시킨다. 이때, 코너 설치면(10A)에는 적어도 2열로 상하 방향에 걸쳐서 결합 구멍(10B)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 열에 제1 선반판(13)을 가설 지지하는 제1 선반 지지구(30)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 쪽 열에 제2 선반판(14)을 가설 지지하는 제2 선반 지지구(20)를 결합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을 향해 좌측에 제1 선반판(13)을 가설하고, 맞은편 우측에 제2 선반판(14)을 가설하기 때문에, 코너 설치면(10A)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0B)의 맞은편 좌측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0C)의 열에 제1 선반 지지구(30)를 가설하고, 맞은편 우측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0C)의 열에 제2 선반 지지구(20)를 가설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의 전방부에는 지지구측 중합부(29, 4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선반 지지구(20)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측 중합부(29)의 상면에 제1 선반 지지구(30)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측 중합부(47)를 중합한다(도8).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선반 지지구(30)와 제2 선반 지지구(20) 사이에는 중합되는 각 중합부(29, 4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깊이 방향에는 소정 간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 제1 선반 지지구(30)의 상방으로부터 제1 선반판(13)을 적재한다. 또한, 제1 선반 지지구(30)로 지지되지 않은 측의 제1 선반판(13)의 단부는 선반 지지구(11)에 의해 가설 지지된다. 이때, 제1 선반판(13)의 제2 선반판(14)과의 맞댐 단부면(13A)에는 제1 선반측판(2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선반측판(21)의 제1 선반측 중합부(24)가 제1 선반 지지구(30)의 지지구측 중합부(47)의 상면에 중합된다(도9). 또한, 이때, 지지구측 중합부(47)가 형성되는 제1 선반 지지구(30)의 선반 지지구 전방부(46)와, 제1 선반측 중합부(24)가 형성되는 제1 선반측판(21)의 측면(23)의 전방부가 전후에 걸쳐서 밀착되므로, 상기 제1 선반 지지구(30)로의 제1 선반측판(21)의 가설 지지가 안정된다. 또한, 제1 선반측판(21)의 측면(23)은 각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 사이에 형성된 깊이 방향의 간극 내에 수용되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 선반판(13)은 제1 선반 지지구(30) 및 제1 선반 지지구(11)에 의해 적재하는 것만으로 안정적으로 가설 지지된다.
다음에, 제2 선반 지지구(20)의 상방으로부터 제2 선반판(14)을 적재한다. 또한, 제2 선반 지지구(20)로 지지되지 않은 측의 제2 선반판(14)의 단부는 선반 지지구(11)에 의해 가설 지지된다. 이때, 제2 선반판(14)의 제1 선반판(13)과의 맞댐 단부면(14A)에는 제2 선반측판(3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선반측판(31)의 제2 선반측 중합부(34)가 제1 선반측 중합부(47)의 상면에 중합된다(도10).
여기서, 선반측 중합부(34)는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으로부터 하방으로 되접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중합부(29, 47, 24, 34)가 중합되는 중합면은 상기 제2 선반측판(31)이 설치되는 제2 선반판(14)의 적재면(15)에 의해 은폐된다. 또한, 제1 선반측판(21)의 측면(23)과, 제2 선반측판(31)의 측면(33)이 접촉, 혹은 근접하고 있으므로, 제1 선반판(13)의 적재면(15)과 제2 선반판(14)의 적재면(15)은 대략 단차없이 대략 같은 높이가 된다. 이에 의해, 제1 선반판(13) 및 제2 선반판(14)에 의해 형성되는 선반 장치(7)의 코너부(7A)를 평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진열 성능의 향상 및 외관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선반측판(31)의 측면(33)은 각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 사이에 형성된 깊이 방향의 간극 내에 수용되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선반판(14)은 제2 선반 지지구(20) 및 제1 선반 지지구(11)에 의해 적재하는 것만으로 안정적으로 가설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지지구측 중합부(29)와 제2 지지구측 중합부(47)를 적재하고, 또한 지지구측 중합부(47)가 형성되는 제1 선반 지지구(30)에 제1 선반판(13)의 선반측 중합부(24)를 적재하고, 상기 선반측 중합부(24)에 지지구측 중합부(29)가 형성되는 제2 선반 지지구(20)에 가설 지지되는 제2 선반판(14)의 선반측 중합부(34)를 적재함으로써 각 제1 및 제2 선반판(13, 14) 및 제1 및 제2 지지구(30, 20)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위치 맞춤 및 착탈이 용이해진다.
특히, 각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에 형성된 각 중합부(29, 47)를 적재함으로써 확실하게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각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각 중합부(24, 34)를 상기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에 형성되는 중합부(29, 47)에 적재하는 것만으로 상기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전단부 부분을 확실하게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러한 중합부(29, 47, 24, 34)는 1군데에 집약되어 중합되므로, 배면판(10)의 코너 설치면(10A)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0B)과의 결합에 대해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 및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설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선반 상의 상품이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전방측에 집중적으로 적재됨으로써, 제1 및 제2 선반판(13, 14) 선단부측으로의 하중이 집중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가 배면판(10)의 걸림 구멍(10B)으로부터 이탈하고,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째 낙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선반의 신뢰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중합부(29, 47, 24, 34)에 형성되는 결합구 삽입 구멍(25, 35, 48, 44)은 모두 중합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중합부의 하방으로부터 각 결합구 삽입 구멍(25, 35, 48, 44)에 걸쳐서 결합구(49)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모든 중합부(29, 47, 24, 34)를 하나의 결합구(49)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한층 안정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을 가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중합부(29, 47, 24, 34)는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30, 20) 및 제1 및 제2 선반측판(21, 31)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48)에 의한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14,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과 서로 맞대어지는 제2 선반판(14)의 맞댐측의 선단부에는 제1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의 선단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17)가 형성된다. 이 연장 돌출부(17)는 상기 제2 선반측판(31)의 측면(33)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37)와 함께 선반 장치(7)의 코너부(7A)를 구성하는 것이고,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의 선단부 부분에 있어서, 상기 맞댐 단부면(14A)과 둔각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 돌출부(17)의 선단부면(17A)은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대략 직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장 돌출부(17)의 선단부면은 제1 선반판(13)의 전방벽(16)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연속해서 구성되는 연장 돌출부(17)의 전방벽 단부에는 후술하는 코너 장식(40)의 결합부(42)를 결합 분리 가능하고,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결합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과 서로 맞대어지는 제1 선반판(13)의 맞댐 단부면(13A)의 선단부(13B)는 상기 제2 선반판(14)의 맞댐 단부면(14A)과 연속해서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와 접촉하도록, 연장 돌출부(17)와 마찬가지로 제2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선반판(13)과 제2 선반판(14)이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 단부면(13A, 14A)은 제2 선반판(14)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와, 제1 선반판(13)에 형성되는 선단부(13B)에 의해 용이하게 맞댐 단부면(13A, 14A)의 맞댐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맞댐 단부면(13A, 14A)을 맞댐으로써 형성되는 코너부(7A)는 제2 선반판(14)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의 일 부재에 의해 구성되므로, 2매의 선반판을 맞댐으로써 선단부 부분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치수 오차가 생기기 어려워져 선반판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선반판(14)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판(14)에 설치되는 제2 선반측판(31)의 연장 돌출부 구성 부재(37)에 의해 상기 연장 돌출부(17)의 선반판(13)측에 면하는 후방면[연장 돌출부 후방면(37A)] 및 선반판(13) 전방벽(16)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연장 돌출부(17)의 측면[연장 돌출부 측면(37B)]이 형성된다.
한편, 각 선반판(13, 14)의 수직 설치부(3)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형성되는 전방벽(16)에는 선반 장치(7)에 진열되는 진열 상품의 가격이나 품명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직선형의 선반 장식(18)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 선반 장식(18)의 내측에는 전방벽(16)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진열 상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가드(19)가 삽입되어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선반 장식(18)은 경질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등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하부의 설치부(18A)와, 전방 상부의 압박부(18B) 및 그 하방의 보유 지지부(18C)로 이루어지고, 설치부(18A)를 선반판(13 또는 14)의 전방벽(1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6A)에 결합하고 선반 장식(18)은 선반판(13 또는 14)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압박부(18B)는 선반판 전방벽(16)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이 간격 내에 상부로부터 가드(19)가 삽입되어 수직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18C)는 선반판(13 또는 14)측에 오목한 단면 원호형을 이루고 있고, 이 전방면 상하 단부에 형성한 홈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표시 카드가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이들 선반 장식(18)의 서로 맞대어지는 코너부(7A)에는 코너 장식(40)이 설치된다. 이 코너 장식(40)은 선반 장식(18)의 단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선반 장식(18)과 마찬가지로 경질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등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이 코너 장식(40)은 직교하는 양 선반 장식(18, 18)의 각각의 단부면에 면하는 단부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코너 장식(40)이 설치되는 선반판(14)의 전방벽(16)을 향해 돌출되어 결합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너 장식(40)의 한쪽 단부면,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판(13)의 전방벽(16)에 설치되는 선반 장식(18)에 면하는 단부면에 선반판(14) 전방벽(16) 방향과 대략 동일 방향, 실제로는 상기 선반판(14)의 전방벽(16)과 대략 같은 높이에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 측면(37B)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 결합 부재(4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선반판(13 및 14)의 전방벽(16)에 선반 장식(18, 18)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판(14)의 코너부(7A)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17)에 상기 코너 장식(40)을 설치한다. 이때, 코너 장식(40)의 결합부(42)를 연장 돌출부(17)의 전방벽 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16A)에 삽입함으로써 결합시키고, 연장 돌출부(17)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 후방면(37A) 및 연장 돌출부 측면(37B)이 맞대어지는 코너부에 형성된 절결부(37C)에 코너 장식(40)의 보조 결합 부재(41)를 보조적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코너 장식(40)의 양단부면은 각 선반판(13, 14)의 전방벽(16)에 설치된 선반 장식(18, 18)의 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에서 선반 장치(7)의 코너부(7A)에 설치된다.
이때, 코너 장식(40)이 설치되는 연장 돌출부(17)는 제2 선반판(14)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너 장식(40)의 설치 시에 있어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선반 구성에서는, 코너부는 제1 및 제2 선반판(13, 14) 선단부 부분을 맞댐으로써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선반의 가설 시에 있어서의 선단부 부분의 맞댐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곤란하고, 코너 장식의 설치 작업이 번잡하고 또한, 떨어지기 쉬운 것이었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코너 장식(40)은 제2 선반판(14)에 설치함으로써 행해지므로, 제1 및 제2 선반판(13, 14)의 위치 맞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너 장식(40)의 설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선반 장치(7) 부근을 이동하는 사람 등이 접촉함으로써 코너 장식(40)이 탈락하기 어려워져, 상기 코너 장식(40)을 분실하는 문제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 장식(40)의 양단부면은 각 선반판(13, 14)의 전방벽(16)에 설치된 선반 장식(18, 18)의 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면이 선반 장식(18)과 선반판 전단부(16) 사이에 삽입되어 중합되 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제1 및 제2 선반판을 구비한 쇼케이스에 있어서, 냉장고 내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선반판이 서로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각 선반판을 각각 지지하는 인접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를 구비하고, 제2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제1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구측 중합부와, 제1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제2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지지구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제1 선반판의 모서리부로부터 계단형으로 단락 형성되고, 바닥변이 상기 제2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1 선반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다른 쪽 선반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되접혀 형성되고, 바닥변이 제1 선반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선반측 중합부와, 각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에서 모든 중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를 구비하였으므로, 각 선반판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구에 형성되는 지지구측 중합부에 각 선반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선반측 중합부를 적재하는 것만으로 각 선반판은 안정적으로 각 선반 지지구에 지지되게 된다. 그로 인해, 각 선반판을 안정적으로 가설하는 것이 가능해져 용이하게 선반판이 탈락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지지구측 중합부를 적재하고, 또한 상기 지지구측 중합부에 각 선반측 중합부를 적재함으로써 각 선반 및 지지구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위치 맞춤 및 착탈이 용이해진다. 특히, 각 중합부가 중합된 중합부는 다른 쪽 선반의 제2 선반측 중합부에 의해 은폐되므로, 제1 및 제2 선반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를 평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열 성능의 향상 및 외관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지지구측 중합부 및 각 선반측 중합부는 각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에서 모든 중합부를 결합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한층 안정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선반을 가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2 선반 지지구에 제2 선반판이 지지되고, 제1 선반 지지구에 제1 선반판이 지지되므로, 제1 선반 지지구의 제2 지지구측 중합부에 제1 선반판의 제1 선반측 중합부를 중합함으로써, 제1 선반 지지구와 제1 선반판을 중합부까지 걸쳐서 밀착시킬 수 있어, 한층 안정적으로 선반을 가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각 중합부는 각 선반판 및 각 선반 지지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합구에 의한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을 구비한 쇼케이스에 있어서, 선반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선반 장식과, 인접하는 선반이 서로 맞대어지는 코너부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선반 장식 사이에 배치되는 코너 장식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선반 중 어느 한쪽 선반의 맞댐측 선단부에 다른 쪽 선반측으로 연장되어 코너부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를 형성하였으므로, 2매의 선반을 접합함으로써 선단부 부분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한쪽 선반에 형성된 연장 돌출부에 의해 코너부를 구성함으로써 치수 오차를 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안정된 선반의 가설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너 장식은 한쪽 선반에 형성된 연장 돌출부에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2매의 선반을 맞댐으로써 선단부 부분의 코너부가 구성되고, 상기 코너부에 코너 장식이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안정적으로 코너 장식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선반 부근을 이동하는 사람 등이 접촉함으로써 코너 장식이 탈락하기 어려워져, 상기 코너 장식을 분실하는 문제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제1 및 제2 선반판을 구비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내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상기 선반판이 서로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각 선반판을 각각 지지하는 인접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선반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구측 중합부와,
    상기 제1 선반 지지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선반 지지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지지구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1 선반판의 모서리부로부터 계단형으로 단락 형성되고, 바닥변이 상기 제2 지지구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1 선반측 중합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선반판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되접혀 형성되고, 바닥변이 상기 제1 선반측 중합부 상에 중합하는 제2 선반측 중합부와,
    상기 각 중합부가 중합된 상태에서 모든 중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 지지구에 상기 제2 선반판이 지지되고, 상기 제1 선반 지지구에 상기 제1 선반판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합부는 상기 각 선반판 및 각 선반 지지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4. 복수면이 개방되는 냉장고 내에 선반을 구비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선반 장식과,
    인접하는 상기 선반이 서로 맞대어지는 코너부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상기 선반 장식 사이에 배치되는 코너 장식을 구비하고,
    상기 인접하는 선반 중 어느 한쪽 선반의 맞댐측 선단부에서 다른 쪽 선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너부를 구성하는 연장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 돌출부에 상기 코너 장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20060099098A 2006-02-22 2006-10-12 쇼케이스 KR100768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5342 2006-02-22
JP2006045342A JP4961147B2 (ja) 2006-02-22 2006-02-22 ショー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13A KR20070085013A (ko) 2007-08-27
KR100768393B1 true KR100768393B1 (ko) 2007-10-18

Family

ID=3811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098A KR100768393B1 (ko) 2006-02-22 2006-10-12 쇼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19069B2 (ko)
EP (2) EP2572608B1 (ko)
JP (1) JP4961147B2 (ko)
KR (1) KR100768393B1 (ko)
CN (1) CN1005152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3908A1 (en) * 2008-03-07 2009-09-10 Wal-Mart Stores, Inc. Device Display Unit
US20090223907A1 (en) * 2008-03-07 2009-09-10 Wal-Mart Stores, Inc. Merchandise Display Unit
US9480334B2 (en) 2014-04-29 2016-11-01 Target Brands, Inc. Modular end display
US9084496B1 (en) * 2014-05-09 2015-07-21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Refrigerated display case
US10098460B1 (en) * 2017-08-23 2018-10-16 Clairson, Inc. Shelf brackets, hang rod brackets, and storage systems including the same
CN109138266A (zh) * 2018-10-16 2019-01-04 广东匠邦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墙体层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074Y1 (ko) 1997-05-02 1999-06-15 최진호 오픈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KR200165624Y1 (ko) 1999-08-12 2000-02-15 우상용 상품진열대용 사각지주 고정연결장치
JP2001008799A (ja) 1999-06-30 2001-01-16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KR20030063203A (ko) * 2002-01-21 2003-07-28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쇼케이스의 선반 장치
KR100627523B1 (ko) 2001-05-17 2006-09-21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89A (en) * 1891-04-14 Shelving
US1872053A (en) * 1930-03-26 1932-08-16 Frank M Zimmerman Shelf and label holder
US2072700A (en) * 1935-03-18 1937-03-02 Lyon Metal Products Inc Display stand
US2191701A (en) * 1938-05-10 1940-02-27 Montgomery Ward & Co Inc Display apparatus
US2653783A (en) * 1949-05-25 1953-09-29 Murlin Mfg Co Display device
US2822672A (en) * 1956-03-12 1958-02-11 Hussmann Refrigerator Co Display case with adjustable refrigerated shelves
US2936904A (en) * 1958-05-02 1960-05-17 Streater Ind Inc Tag holding shelf assembly
US3219401A (en) * 1963-03-04 1965-11-23 M & D Store Fixtures Inc Store counter
US3876263A (en) * 1973-10-09 1975-04-08 Cooper Slide Sales Inc Slide assembly for extension table
GB2190280B (en) * 1986-05-13 1990-02-28 Cbm Display Group Ltd Shelving component
US4812075A (en) * 1986-12-04 1989-03-14 Lavin Sr Gerald P Inside corner bracket
US4777806A (en) * 1987-08-05 1988-10-18 Stanely Knight Corporation Refrigerated display island
USD367777S (en) * 1993-10-27 1996-03-12 Arnone Louis F Storage and display cart
US5405114A (en) * 1994-01-25 1995-04-11 California Prison Industry Authority Modular component attaching system
US5531159A (en) * 1994-08-19 1996-07-02 Universal Display & Fixtures Company Pull-out drop down shelf structure
US5645257A (en) * 1995-03-31 1997-07-08 Metro Industries, Inc.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US6019331A (en) * 1996-06-07 2000-02-01 Herman Miller, Inc. Cantilever bracket assembly
SE9700151L (sv) * 1997-01-20 1998-02-23 Hl Display Ab Anordning för montering av lister på hyllframkanter
JPH1189686A (ja) * 1997-09-25 1999-04-06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の棚装置
US6189707B1 (en) * 1997-10-16 2001-02-20 Stein Industries, Inc. Universal shelf bracket for refrigerated cases
JP3525324B2 (ja) * 1997-11-17 2004-05-1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棚板のコーナー部の化粧構造
US6622410B2 (en) * 1998-02-20 2003-09-23 Illinois Tool Works Inc. Attachment bracket for a shelf-edge display system
US6202966B1 (en) * 1998-04-15 2001-03-20 Steelcase Development Inc. Universal cantilever support bracket
US6626407B1 (en) * 2000-06-19 2003-09-30 Steelcase Development Inc. Mounting system
US7240803B2 (en) * 2002-12-18 2007-07-10 Rubbermaid, Inc. Shelf mounting bracket for adjustable organizer system
US7150364B2 (en) * 2002-12-30 2006-12-19 Tube Technology, Llc Shelving
US7430833B2 (en) * 2003-03-28 2008-10-07 Pn Ii, Inc. Universal rake-ridge cap
US6971201B2 (en) * 2003-06-10 2005-12-06 Southern Imperial, Inc. Curved back label holder for a shelf
WO2005033428A2 (en) * 2003-09-30 2005-04-14 Young Kevin C Trim piece
US7311958B2 (en) * 2004-08-26 2007-12-25 Morris Aubrey J Padded corner covers
US7140500B2 (en) * 2004-10-28 2006-11-28 Underground Devices, Inc. Cable rack for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US20060243636A1 (en) * 2005-04-22 2006-11-02 Caoutchouc Et Plastiques Falpaco Inc. Corner prot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074Y1 (ko) 1997-05-02 1999-06-15 최진호 오픈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JP2001008799A (ja) 1999-06-30 2001-01-16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KR200165624Y1 (ko) 1999-08-12 2000-02-15 우상용 상품진열대용 사각지주 고정연결장치
KR100627523B1 (ko) 2001-05-17 2006-09-21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30063203A (ko) * 2002-01-21 2003-07-28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쇼케이스의 선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5789B1 (en) 2013-09-04
EP2572608A1 (en) 2013-03-27
JP2007222297A (ja) 2007-09-06
EP2572608B1 (en) 2014-05-21
US20070193480A1 (en) 2007-08-23
US7819069B2 (en) 2010-10-26
EP1825789A3 (en) 2012-06-20
KR20070085013A (ko) 2007-08-27
CN100515282C (zh) 2009-07-22
CN101023838A (zh) 2007-08-29
EP1825789A2 (en) 2007-08-29
JP4961147B2 (ja)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93B1 (ko) 쇼케이스
EP2217114B1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US7798338B2 (en) Wall mounted merchandising system
US7712616B2 (en) Double sided peg hook strips
US6206212B1 (en) Display unit
US5427255A (en) Display system
CA2819991C (en) Multi-configurable end display
US4135837A (en) Shelving assembly
KR20130058833A (ko) 신속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철재 상품진열대
JP5378739B2 (ja) 物品収納庫の組立構造
JP2000217675A (ja) 陳列棚用商品仕切板
JP7162554B2 (ja) 木製陳列棚及びその組立方法、木製陳列棚のパーツセット
JPH07298963A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陳列棚
GB2205378A (en) Clip for shelving system
CA2120429C (en) Display fixture system
KR20120003515U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 브라켓
JPH0937899A (ja) ショーケースの陳列棚固定装置
KR200187769Y1 (ko)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JP2000210152A (ja) 什器その他の高姿勢機器転倒防止装置
JP3076302U (ja) 陳列用ケース
JP2023103753A (ja) 支柱とビームの連結構造
JPH08140794A (ja) 組立式店舗用陳列棚
JP2009153704A (ja) 商品陳列装置
JP2019205626A (ja) ショーケースのスライド棚
JP2002360393A (ja) 棚板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