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769Y1 -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 Google Patents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769Y1
KR200187769Y1 KR2020000004572U KR20000004572U KR200187769Y1 KR 200187769 Y1 KR200187769 Y1 KR 200187769Y1 KR 2020000004572 U KR2020000004572 U KR 2020000004572U KR 20000004572 U KR20000004572 U KR 20000004572U KR 200187769 Y1 KR200187769 Y1 KR 200187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support member
shelf structure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준식
Original Assignee
서문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준식 filed Critical 서문준식
Priority to KR2020000004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7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ho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추어 양측에 입설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10); 상기 두 지지부재(1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위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횡간(30);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이의 지지부재(10)와 동일한 형태의 별도의 지지부재를 결합가능하도록 이 지지부재(10)의 상,하면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요철형태로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간(3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판부재(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지지부재와 횡간이 간편한 착탈식 조립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체를 상부나 측방으로 더 연결 및 분리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진열공간 또는 진열구도에 알맞은 구조체로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을 올려놓는 수단이 횡간이나 받침판부재 등으로 구비됨으로써, 물품의 종류에 적합한 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활용범위가 넓다.

Description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Shelf construction for display some goods such as shoes, handbags, accessories, etc,.}
본 고안은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진열공간이나 진열구도에 적합하게 크기를 조절,변경할 수 있도록 된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제화점이나 악세서리점 혹은 편의점 등 물품을 판매하는 상점에서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물품을 적절히 선보여 구매욕을 불러일으키면서 선택의 폭을 넓혀 주게 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보다 다양한 물품을 보다 보기 좋게 진열하여야 한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진열용 선반들은 통상 철재 프레임 형식으로 된 것이나 혹은 목재로 제작된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것들은 전문가가 아니면 제작이 거의 불가능하고 조립 및 분리도 사실상 매우 어려우며, 한번 형태가 짜여지면 그 크기를 변경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진열용 선반의 구조변경 뿐만 아니라 진열 배치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시에는, 이들을 신규 제작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드는 등의 폐단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매우 간편하고 크기의 변경이 자유로운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열용 선반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열용 선반 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열용 선반 구조체에서 각 지지부재간의 결합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구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선반 구조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열용 선반 구조체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열용 선반 구조체의 받침부재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받침판부재와 횡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5에서 받침팜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나나태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 : 선반 구조체 10 : 지지부재
12 : 결합돌기 14 : 결합홈
14a : 결합편 16 : 삽입홈
18 : 테두리부 20 : 보강부
30 : 횡간 40 : 받침판부재
42 : 장홈 44 : 협지편
46 : 날개부 48 : 걸홈
50 : 걸턱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추어 양측에 입설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 상기 두 지지부재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위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횡간;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의 지지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별도의 지지부재를 결합가능하도록 이 지지부재의 상,하면에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요철형태를 취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부재와 횡간을 결합시키는 방식의 조립식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횡간위에 물품을 올려 진열하거나 혹은 걸어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지지부재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적층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각 횡간의 단부가 삽입 및 분리가능한 삽입홈들이 형성되되, 이의 삽입홈들은 이미 구축된 선반 구조체의 측방에 또 다른 동일한 형태의 횡간과 지지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지지부재의 좌,우 양면에 동일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횡간의 분리,결합이 용이하며, 이미 구축된 구조체의 측방에 다시 횡간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측방향으로의 확장및 축소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횡간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횡간에 진열하기 곤란한 물품도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2)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추어 양측에 입설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10)와, 이 지지부재(10)들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두 개의 지지부재(10)를 횡으로 연결하는 두 개의 횡간(30)으로 구성되어, 상기 횡간(30)에 물품을 올려놓거나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제조 및 취급의 편리를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간(30)은 2개를 설치하고 있는데, 적어도 2개 이상이면 그 수량에는 한정이 없고, 진열할 물품에 알맞게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단면 형상도 원형 또는 각형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는 도 3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하면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요철형태로 서로 대응하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을 택일적으로 갖추어서, 이의 지지부재(1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별도의 지지부재(10a)를 상기 지지부재(10)위에 연속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선반 구조체를 다층식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12)는 지지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14)은 결합돌기(12)의 양측면을 따라 다수의 결합편(14a)이 교호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에 상기 결합편(14a)의 확장 및 수축이 보다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다음, 상기 횡간(30)과 지지부재(10)의 분리가능한 결합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0)에 상기 각 횡간(30)의 단부가 삽입 및 분리가능한 삽입홈(16)들을 형성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삽입홈(16)들은 상기 지지부재(10)의 좌,우 양면에 동일하게 구비되는데, 이로써 두 개의 지지부재(10)와 다수의 횡간(30)으로써 이미 구축되어 있는 선반 구조체를 측방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이미 구축되어 있는 선반 구조체의 지지부재(10) 외측으로 드러난 삽입홈(16)에 또 다른 동일한 형태의 횡간을 추가적으로 결합시킴과 아울러, 추가로 결합된 횡간의 단부에 또 다른 지지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을 이루는 테두리부(18)와, 이의 테두리부(18)의 전,후방을 횡단연결하는 보강부(20)를 갖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6)들은 상기 보강부(20)에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10)의 구조에 대하여는 특별한 한정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테두리부(18)와 보강부(20)를 갖추지 않는, 그래서 상기와 같이 테두리부(18)와 보강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단일체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횡간(30)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16)은 그의 좌,우 양면에 동일한 형태로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6)들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때, 선반 구조체의 전방측이 낮고 후방측이 높은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사지도록 위치설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할 경우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보강부(20)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홈(16)들이 이를따라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체(2)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홈(16)들에 모두 횡간(30)을 끼워 결합시킨 다음, 이 횡간(30)의 반대측에 또 하나의 지지부재(10)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두 개의 지지부재(10)가 상기 횡간(30)을 매개로 구속되어 안정을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횡간(30)들 위에 소정의 물품을 올려놓아 진열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진열하고자 하는 물품이 고리가 달려 있는 작은 물품인 경우에는 그 고리를 상기 횡간에 걸어 진열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선반 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A) 등의 제화를 올려놓기에 매우 적합한 구조로서 구두(A)의 뒷굽을 뒷쪽의 횡간(30)에 걸치고 앞부분을 전방측의 횡간(30)에 올려 놓을 수 있음으로써 다수의 다양한 구두를 미끄러짐 없이 가지런히 잘 정돈된 상태로 진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의 결합홈(16)을 후측으로 갈수록 높게 위치되도록 한 경우에는, 그 결합홈(16)에 결합된 횡간(30)도 후측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2와 같이 진열된 구두(A)의 뒷부분이 올라가게 되어 선반 구조체의 전방에서 바라 보는 구매자가 진열된 각 구두(A)들의 특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된다. 물론, 물품을 올려놓지 않고 걸어놓은 경우에도 전방측의 횡간(30)에 걸려있는 물품과 후방측의 횡간(30)에 걸려있는 물품이 서로 겹쳐져 보이지 않으므로 진열된 물품들의 특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체로 완성된 선반 구조체에서, 지지부재(10)의 상,하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분리,결합 가능한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이 갖추어져 있는 바, 상기 지지부재(10)와 동일한 형태의 다른 지지부재(10a)를 더 마련하여, 이의 지지부재(10a)에 별도로 더 마련된 횡간(30a)을 연결하여 또 하나의 선반 구조체를 만든 후, 그 지지부재(10a)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4b)을 먼저 만들어진 선반 구조체의 지지부재(10)의 결합돌기(12)에 결합시키고, 다시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다층식 선반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횡간(30)의 분리가능한 결합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0)에는 상기 각 횡간(30)의 단부가 삽입 및 분리가능한 삽입홈(16)들이 좌,우 양면에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는 바, 완성된 하나의 선반 구조체에서 그 지지부재(10)의 외측방에 또 다시 횡간(30b)의 일단을 결합하고, 이의 횡간(30b)의 타단부에 또 하나의 지지부재를 가져다가 그 삽입홈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선반 구조체를 측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확장된 구조체 중 일부를 해체함으로써 구조체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이 위쪽 및 측방으로의 확장,축소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진열공간이나 진열구도에 따라서 선반 구조체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선반 구조체(2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반 구조체(2)에 받침판부재(40)를 더 갖춘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받침판부재(40)는 제1 실시예에서 횡간(30)에 걸어 놓거나 혹은 올려놓기 곤란한 물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횡간(30)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판부재(40)는 그의 하면에 상기 횡간(30)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하여 횡간(30)의 상측이 수용되는 장홈(42)이 갖추어지고, 이 장홈(42)의 양측에서 상기 횡간(30)의 외주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협지편(44)이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부재(40)의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받침판부재(40)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측으로 엇갈린 위치에서 연장되는 날개부(46)가 갖추어지고(특히, 도 6 참조), 이의 날개부(46) 하면과 상기 두 지지부재(10)의 보강부(20) 상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분리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걸홈(48) 및 걸턱(50)이 택일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46)가 엇갈려 위치하고 있는 이유는, 축조된 하나의 선반 구조체의 측방에 또 하나의 선반 구조체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경우, 이 또 하나의 선반 구조체에 갖추어진 받침판부재의 날개부가 먼저 축조된 선반 구조체의 받침판부재의 날개부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홈(48) 및 걸턱(50)은 상기한 장홈(42)과 협지편(44)에 의한 받침판부재(40)의 안착을 보조하여 받침판부재(4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를 통하여 구축된 선반 구조체에 받침판부재(40)를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횡간(30)에 직접 진열하기 곤란한 물품을 진열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부재(4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받침판부재(40)의 하면에는 장홈(42)이 갖추어져 있고, 이의 장홈(42) 양측에는 탄력을 갖는 협지편(4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장홈(42)부분을 횡간(30)에 일치시킨 후 누르게 되면, 받침판부재(40)의 협지편(44)이 다소 억지적.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횡간(30)이 삽입되고, 삽입된 횡간(30)은 받침판부재(40)의 장홈(42)에 수용되며, 동시에, 수용된 횡간(30)의 외주를 상기 협지편(44)이 탄력적으로 파지하게 되므로 받침판부재(4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받침판부재(40)의 양측에 날개부(46) 및 걸홈(48)이 갖추어지고, 지지부재(10)에 보강부(20) 및 걸턱(50)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날개부(46)의 걸홈(48)을 지지부재(10)의 걸턱(50)에 맞춰 끼움으로써, 받침판부재(40)가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반 구조체를 측방으로 확장하고자 하나의 완성된 기존 구조체 측방에 또 다시 신규의 구조체를 연결할 경우에도, 상기 받침판부재(40)의 양측 날개부(46)는 받침판부재(4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첨부도면 도 5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신규의 구조체(2b)에 갖추어진 받침판부재(40a)의 날개부(46a)는 기존 구조체(2a)에 갖추어진 받침판부재(40)의 날개부(46) 반대측에 위치하여 기존 구조체(2a)에 형성된 보강부(20)의 걸턱(50)에 결합되게 된다. 이에따라 기존 구조체(2a)와 신규 구조체(2b)에 갖추어진 각 받침판부재(40,40a)의 날개부(46,46a)가 서로 간섭됨이 없이 장착되게 된다. 이로써 받침판부재(4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윗방향 및 측방향으로 구조체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는 지지부재와 횡간이 적절한 착탈식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고정 또는 체결수단 등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더욱이 구조체를 상부나 측방으로 지지부재와 횡간을 더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구조체를 자유롭게 확장하거나 또는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진열공간이나 진열구도에 알맞게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구조체를 변경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물품을 올려놓는 수단이 횡간이나 받침판부재 등으로 구비됨으로써, 물품의 종류에 적합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등 활용범위가 넓다.

Claims (8)

  1. 물품을 올려놓고 진열하기 위한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에 있어서,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추어 양측에 입설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10);
    상기 두 지지부재(1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위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횡간(30);
    상기 지지부재(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의 지지부재(10)와 동일한 형태의 별도의 지지부재를 결합가능하도록 이 지지부재(10)의 상,하면에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한 요철형태를 취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은 지지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4)은 결합돌기(12)의 양측면을 따라 다수의 결합편(14a)이 교호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간(30)의 분리가능한 결합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0)에는 상기 각 횡간(30)의 단부가 삽입 및 분리가능한 삽입홈(16)들이 형성되되, 이의 삽입홈(16)들은 이미 구축된 선반 구조체의 측방에 또 다른 동일한 형태의 횡간과 지지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지지부재(10)의 좌,우 양면에 동일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윤곽을 이루는 테두리부(18)와, 이의 테두리부(18)의 전,후방을 횡단하는 식으로 형성되어 그에 상기 삽입홈(16)들이 형성되게 되는 보강부(20)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횡간(3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6)들은 전방측이 낮고 후방측이 높은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사져서 위치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간(3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판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재(40)의 하면에는 상기 횡간(30)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하여 횡간(30)의 상측이 수용되는 장홈(42)이 갖추어지고, 이 장홈(42)의 양측에서 상기 횡간(30)의 외주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협지편(44)이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재(40)의 양측에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측으로 엇갈리게 연장형성되는 날개부(46)가 갖추어지고, 이의 날개부(46)의 하면과 상기 두 지지부재(10)의 보강부(20) 상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분리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걸홈(48) 및 걸턱(50)이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KR2020000004572U 2000-02-19 2000-02-19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KR200187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72U KR200187769Y1 (ko) 2000-02-19 2000-02-19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72U KR200187769Y1 (ko) 2000-02-19 2000-02-19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769Y1 true KR200187769Y1 (ko) 2000-07-15

Family

ID=1964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72U KR200187769Y1 (ko) 2000-02-19 2000-02-19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7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433A (en) Merchandising display system
US6105794A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that slides and adjusts within a channel
CN101069054B (zh) 适于支撑至少一个附件的特别用于致冷装置的搁板以及相应附件
CN101983024B (zh) 存储和整理系统
US6189847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wide range of article supporting fixtures to a variety of support surfaces
US20070251426A1 (en) Article Support Rack
EP0412992A1 (en) DISPLAY PANEL ASSEMBLY.
US20070220787A1 (en) Frameless Display Fixture
US20080238277A1 (en) Steel cabinet and locker
US3492772A (en) Structural assembly
KR200473409Y1 (ko) 조립식 진열대
US20070084889A1 (en) Information display cap for a hanger
KR100768393B1 (ko) 쇼케이스
ITMI930124A1 (it) Mobile a struttura modulare,in particolare per l'arredamento di spazi espositivi
KR200470013Y1 (ko) 조립식 책장
KR200187769Y1 (ko) 물품 진열용 선반 구조체
KR101797641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200447120Y1 (ko) 책장의 연결구조
JPH0448800Y2 (ko)
KR200218963Y1 (ko) 조립식 진열대의 선반 고정장치
CN2624713Y (zh) 置物架
KR0134588Y1 (ko) 의류용 걸이의 선반 착탈 구조
KR0139068Y1 (ko) 안경 진열용 진열선반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CN213640349U (zh) 一种陈列挂架及其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