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209B1 -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209B1
KR100766209B1 KR1020060048664A KR20060048664A KR100766209B1 KR 100766209 B1 KR100766209 B1 KR 100766209B1 KR 1020060048664 A KR1020060048664 A KR 1020060048664A KR 20060048664 A KR20060048664 A KR 20060048664A KR 100766209 B1 KR100766209 B1 KR 10076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ing composition
fatty acid
hair
group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749A (ko
Inventor
도시키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디셔닝 조성물과 모발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지방산 및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유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조성물이며, 또한 3가 이상의 다가 알콜 및 친수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양호하면서 빌드업 등에 의한 뻣뻣함이 없고,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모발용에 적합한 컨디셔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CONDITIONING COMPOSITION AND HAIR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헤어다이나 퍼머넌트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널리 보급되어 산성 염모료나 산화 염모료 등의 염모료, 퍼머넌트 웨이브제 등의 사용이 퍼석함이나 뻣뻣함 등의 모발의 윤기를 잃게 하고, 또한 모발이 갈라지거나 모발이 끊어지는 등 모발에 해를 끼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염모료, 퍼머넌트 웨이브제 등의 제제 중에 컨디셔닝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폴리할로게노디메틸디아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고급 알콜, 계면 활성제, 환원제나 산화제를 함유하고, 파마 모발을 끈적임없이 매끄럽게 하고 웨이브 효과, 모발 처리 효과를 부여하는 모발 처리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60323호).
또한, 샴프, 린스, 트리트먼트 등의 세정용 화장료, 정발제 등에 있어서는 손상된 모발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한 컨디셔닝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디셔닝 성분으로서 카티온화 셀룰로스를 중심으로 한 양이온성 고분자나 양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FRAGRANCE JOURNAL, Vol.31, No.10, P14 내지 P20(2003)]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컨디셔닝 조성물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경우, 모발에 부착된 폴리머가 서서히 모발에 축적되는, 이른바 빌드업에 의한 뻣뻣함을 느끼게 하는 등의 결점이 있고, 또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 생분해성이 낮으므로 환경으로의 부하가 크고, 다량으로 배합하면 안정성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폴리할로게노디메틸디아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나 카티온화 셀룰로스 등의 고분자를 이용하는 경우, 유화물의 유화력이 비교적 작으므로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고 컨디셔닝 조성물이 경시 변화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양호하면서 빌드업 등에 의한 뻣뻣함이 없고, 종래와 같이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지 않아도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모발용에 적합한 컨디셔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지방산 및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유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에서는 또한 3가 이상의 다가 알콜 및 친수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상기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화장료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지방산 및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유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함유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고, 지방산이나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유분에 용해되는 PVP가 유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를 우수하게 한다.
지방산 및 고급 알콜로서는 탄소수 6 개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상온에서 고형 또는 액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온에서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중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지방산이나 고급 알콜의 탄소수가 6 개 미만에서는 친유성이 불충분하다. 유상을 형성하는 지방산의 친유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산으로서는 카프론산, 카프릴산 등의 직쇄형 지방산, 이소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분지쇄형 지방산, 올레인산, 미리스트레인산, 팔미트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 액상인 고급 알콜로서는 옥탄올, 데칸올 등의 직쇄형 고급 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지쇄형 고급 알콜, 올레일알콜 등의 불포화 고급 알콜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및 고급 알콜의 배합량은 그 합계량에서 컨디셔닝 조성물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다. 그 배합량이 0.1 중량% 미만에서는 양호한 컨디셔닝 효과를 수득할 수 없다. 이 지방산 및 고급 알콜의 배합량에는 특별히 상한은 없고, 컨디셔닝 조성물의 사용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VP는 상기 지방산 및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유분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유분의 모발로의 부착성이 개선되어, 양호한 컨디셔닝 조성물의 컨디셔닝성이 수득된다.
이와 같은 PVP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0의 것이 이용된다. 분자량이 너무 낮은 것은 수용성이 높으므로 컨디셔닝 효과가 수득되기 어렵고, 분자량이 너무 높은 것은 미끈미끈함이나 끈적임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사용성이 저하된다. 상기 PVP는 K값이 약 15 내지 100의 것이 시판되어 있고, 이들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PVP는 1 종류로 이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K값의 PVP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 PVP의 배합량은 컨디셔닝 조성물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가 불충분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계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사용성이 악화되고, 또한 고분자화에 의한 미끈미끈함 등도 느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에서는 상기 유분과 PVP 뿐만 아니라 3가 이상의 다가 알콜이나 친수성의 계면 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상기 3가 이상의 다가 알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양호한 컨디셔닝 효과를 수득할 수 있지만, 상기 다가 알콜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유분과 PVP 및 다가 알콜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겔이 형성된 후에 상기 겔이 수상에 분산되는 것으로 더 양호한 분산 안정성과 컨디셔닝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유분을 유화 분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3가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컨디셔닝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경시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3가 이상의 다가 알콜로서는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가 미만의 다가 알콜에서는 유분과 함께 겔을 형성할 수 없지만, 가수(價數)의 상한에 대해서는 상기 폴리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3가 이상의 다가 알콜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겔을 형성할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있는 사용감이 된다. 이 다가 알콜의 배합시에는 그대로 컨디셔닝 조성물의 구성 성분 중에 첨가해도 좋고, 또한 수용액으로서 첨가해도 좋다. 수용액인 경우의 다가 알콜의 농도는 다가 알콜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한 고농도인 것이 겔화를 용이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에 친수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으로 유분의 분산, 특히 고형의 지방산이나 고형의 고급 알콜을 겔 상태로 배합할 수 있어 보다 매끄러운 감촉이 수득되게 된다.
친수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안전성면에서 비온성이 바람직하고 시장 요구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HLB가 8 이상이므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별히 종류는 상관없고,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스테롤·수소 첨가 스테롤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알콜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족 알콜 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라놀린알콜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류 등을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친수성 계면 활성제는 화장료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더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목적으로 상기 지방산, 고급 알콜 이외의 다른 유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유분으로서는 상온에서 고형, 페이스상, 액상 중 어느 성상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탄화수소계의 극성유, 비극성유, 실리콘계 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유동 파라핀, 디메틸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발의 광택성의 부 여 등의 효과가 수득되는 점에서 디메틸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이 유분의 배합량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고, 상기 지방산 및 고급 알콜과의 합계량에서 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수용성 고분자의 첨가에 의해 외부 물의 상의 점도가 증가하여 경시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사용감을 조정할 수도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산나트륨, 크산탄검, 아르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컨디셔닝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 배합된다. 10 중량%를 초과하면 미끈미끈함 및 끈적임 등이 발생하므로 사용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각종 용도의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지만, 샴프, 린스, 염모료, 퍼머넌트 웨이브제, 정발제, 트리트먼트 등 모발용 화장료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보습제, 살균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자외선 흡수제, 킬레이트제, 염료, 환원제, 피막 형성제 등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배합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린스 처방에 대한 실시예이다. 또한, 하기 표 1 내지 표 3에서 PVP는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의 크리자스 K-30(K값=30), 친수성 계면 활성제로서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의 코스메라이크S-160을 사용했다.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비교예 1, 2를 표에 기재된 배합 조성(중량%)에 따라 80 ℃에서 유분을 나타내는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PVP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물을 균일화한 후, 교반하면서 글리세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정제수로 전체량을 조정하여 컨디셔닝 조성물을 조제했다. 수득된 각 컨디셔닝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및 컨디셔닝 효과를 하기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1. 경시 안정성
[평가 방법]
조제한 각 컨디셔닝 조성물을 유리제 샘플병에 충전하고, 50 ℃에서 1 개월간 방치한 후, 눈으로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했다.
[평가 기준]
○: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약간의 물 분리가 인식된다.
×: 명확히 분리가 인식된다.
2. 컨디셔닝 효과
[평가 방법]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하지 않은 미처리 머리카락을 기준(0점)으로 하고, 각 컨디셔닝 조성물에 의한 처리 후, 물세척, 건조시킨 모발의 매끄러움, 촉촉함, 웨이브 효과를 패널 10 명에 의해 0 점 내지 4 점의 5 단계로 관능 평가하고, 이 평균점으로 하기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기준]
◎: 평균 3 점 이상에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다.
○: 평균 2 점 이상 3 점 미만에서 컨디셔닝 효과는 대략 양호하다.
△: 평균 1 점 이상 2 점 미만에서 컨디셔닝 효과는 약간 불만이다.
×: 평균 1 점 미만에서 컨디셔닝 효과가 나빠 불만이다.
Figure 112006038371800-pat00001
계속해서, 하기 표 2에 기재된 산화 염모제 제 1 제(실시예 6, 비교예 3)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퍼머넌트 웨이브제 제 1 제(실시예 7, 비교예 4)를 상기 린스 처방과 동일하게 조제하고, 상기 평가 방법과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또한, 여기서는 컨디셔닝 효과의 평가는 PVP를 함유하지 않은 계에 의한 비교예 3, 4를 기준(0 점)으로 평가했다.
Figure 112006038371800-pat00002
Figure 112006038371800-pat00003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디셔닝 조성물은 처리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 촉촉함, 웨이브 효과가 양호하고, 그 중에서도 표 1의 린스 처방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다가 알콜)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친수성 계면 활성제)를 병용한 실시예 4, 실시예 5는 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에도 경시 안정성이 양호하므로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이 우수한 성능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각종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지만, 즉 샴프, 린스, 산화 염모료, 산성 염모료, 퍼머넌트 웨이브제, 정발제, 트리트먼트 등 모발용 화장료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아 시장에서 바람직하고, 빌드업 등에 의한 뻣뻣함이 없고,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감량 또는 배합하지 않아도 컨디셔닝 효과를 갖고, 또한 경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i) 내지 (ii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조성물:
    (i) 카프론산, 카프릴산, 이소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미리스트레인산 및 팔미트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및 옥탄올, 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알콜 및 세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급 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유분;
    (ii)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iii)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 이상의 다가 알콜의 1 종류 이상 및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알콜 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족 알콜 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류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화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KR1020060048664A 2005-06-06 2006-05-30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KR100766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5276 2005-06-06
JP2005165276A JP2006335740A (ja) 2005-06-06 2005-06-06 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及び毛髪用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749A KR20060127749A (ko) 2006-12-13
KR100766209B1 true KR100766209B1 (ko) 2007-10-10

Family

ID=3755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664A KR100766209B1 (ko) 2005-06-06 2006-05-30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35740A (ko)
KR (1) KR100766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38B1 (ko) * 2014-03-26 2020-09-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도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N106659670A (zh) * 2014-11-27 2017-05-10 株式会社漫丹 液状皮肤外用剂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제4911919호
미국특허공보 제557599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5740A (ja) 2006-12-14
KR20060127749A (ko)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376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224740B2 (ja) ヘアワックス
JP5460942B2 (ja) 毛髪化粧料
KR100766209B1 (ko) 컨디셔닝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JP4728449B2 (ja) 整髪用化粧料
JPH11269026A (ja) 低粘着性ロ―ション、ジェルおよびクリ―ム
JP3220324B2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01002521A (ja) 転相感の優れた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13047196A1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剤
CN109310617B (zh) 止汗或除臭化妆品
JP2000178141A (ja) 毛髪化粧料
JP2003012476A (ja) 半固形状毛髪化粧料
JP2001089316A (ja) 化粧品原料
JP2009191017A (ja)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0159642A (ja) 毛髪用洗浄剤組成物
WO2013065486A1 (ja) 化粧料用組成物
JP2003055183A (ja) 化粧料
JPH11193214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7084461A (ja) 化粧料組成物
JPH07196453A (ja) 乳濁ゲル状エナメルリムーバー
JP2013095713A (ja) 化粧料用組成物
JP2023089889A (ja) 皮膚用乳化組成物
CN116801859A (zh) 防晒化妆品
KR101249687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JPH04282303A (ja) 半透明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