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795B1 - 지침식 계기 - Google Patents

지침식 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795B1
KR100760795B1 KR1020027002299A KR20027002299A KR100760795B1 KR 100760795 B1 KR100760795 B1 KR 100760795B1 KR 1020027002299 A KR1020027002299 A KR 1020027002299A KR 20027002299 A KR20027002299 A KR 20027002299A KR 100760795 B1 KR100760795 B1 KR 10076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otation center
illumination light
center reg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107A (ko
Inventor
후지타아츠시
사카이츠요시
니시무라기요시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22Pointers, e.g. settable pointer
    • G01D13/26Pointers, e.g. settable pointer adapted to perform a further operation, e.g. making electrical contact
    • G01D13/265Pointers which conduc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8Pointers of combined instruments
    • B60K2360/6992Light conducting po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침식 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판측으로의 광 누설을 저감할 수 있는 지침식 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에서 도입되는 조명광으로 광휘하는 투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시부재(61)와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을 제외하고 그 외부둘레를 덮는 차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62)를 갖고 구동장치(2)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6)과, 이 지침(6)의 배후에 커버부재(62)와는 소정의 간극부(S)를 두고 배치되어 회전 중심 영역(R)에 대응하는 투광부(33)를 갖는 표시판(3)과, 이 표시판(3)의 배후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5)을 구비하며, 조명광의 도입부(수광부(611), 반사부(612))를 제외한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받침부(632)의 배면측)에 간극부(S)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63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침식 계기{POINTER INSTRUMEN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 계기에 채용되는 지침식 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의 점등에 의해 지침이 광휘(光輝)하는 타입의 지침식 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스태핑모터식 또는 가동 자석식 전동기로 이루어진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축과 연동하여 표시판상을 회전하는 지침을 회전중심 영역의 배면측에 광도입부를 갖는 투광성 지시부재로 구성하고, 표시판의 배후에 배치된 광원의 조명광을 표시판의 투광부를 통해 지시부재의 광도입부에 입광시킴으로써 지시부재(지침)가 밝게 발광하는 지침식 계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지침식 계기에 있어서는 지시부재의 회동 중심영역은 그 전방 및 그 주위가 캡형상인 차광성 커버부재로 덮여지므로 이 부분으로부터의 광 누설은 억제되지만,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은 조명광을 도입하도록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재와 표시판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되는 간극부(間隙部)에서 조명광이 주위로 새고, 이 누설 광이 표시판에 반사하는 것으로 헐레이션(halation)이 발생하여 상품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6-20097호 공보에 개시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의 광도입 경로가 되는 표시판(A)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투광부(B)의 주위에 원고리형상의 차광링(C)을 설치하고, 이 차광링(C)을 커버부재(D)와 랩시킴으로써 간극부(E)에서 외부로 새는 조명광을 억제하는 지침식 계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F)는 지시부재, 부호(G)는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지시부재(지침)(F)를 고정하기 위한 받침부재(피복부재), 부호(H)는 지시부재(F)에 조명광을 인도하는 도광체, 부호(F1)는 지시부재(F)의 광도입부, 부호(G1)는 광도입부(F1)를 노출하여 조명광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노출부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구조는 차광링(C)과 커버부재(D)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랩시켜 광 누설을 억제하는 구조이지만, 지시부재(F)측을 향하는 조명광 중, 받침부재(G)의 내면에서 반사된 조명광이 차광링(C)과 커버부재(D)의 사이를 통해 간극부(E)에서 외측으로 새어 나가기 쉬운 약점이 있고, 이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요 목적은 표시판측으로의 광 누설을 저감하여 조명 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지침식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침식 계기는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에서 도입되는 조명광으로 광휘하는 투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시부재와 회전 중심영역의 배면측을 제외하고 그 외부둘레를 덮는 차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갖고, 예를 들면 스태핑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과, 이 지침의 배후 에 커버부재와는 간극부를 두고 배치되어 회전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투광부를 갖는 표시판과, 이 표시판의 배후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조명광의 도입부를 제외한 회전 중심영역의 배면측에 간극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간극부에 이르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측(표시판측)으로의 광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조명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누광 방지부는 지시부재의 회전 중심 영역 배면에 직접 형성해도 좋고, 지침에 회전 중심영역의 배면측을 덮어 조명광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피복부재를 장착하는 경우는 조명광의 도입측이 되는 상기 피복부재의 배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누광 방지부로서는 예를 들면 간극부측으로 향하는 조명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돌출부나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 외에, 조명광을 확산하는 표면을 설치해도 좋고, 간극부를 향하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으면 임의의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침식 계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지침식 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받침부재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되는 받침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및
도 11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에서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침식 계기는 회전축(1)을 갖는, 예를 들면 스태핑모터식 전동기로 이루어진 구동장치(2)와, 이 구동장치(2)와는 소정 간격을 두고 그 전방측에 배치되는 표시판(3)과, 이 표시판(3)의 배후에 배치되는 도광체(4)와, 이 도광체(4)와 함께 표시판(3)의 배후에 배치되어 도광체(4)를 통해 후술하는 지침을 조명하는 광원(5)과, 구동장치(2)의 회전축(1)에 연동하여 표시판(3)상을 회전하는 지침(6)과, 이 지침(6)과 표시판(3) 사이에 배치되는 칼라부재(7)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판(3)은 투광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박판형상의 기재에 배경이 되는 바탕색부(31)와 지침(6)의 지시 대상이 되는 지표부(32)가 인쇄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바탕색부(31)에는 차광성 착색 잉크가 사용되고, 지표부(32)에는 투광성 착색 잉크가 사용되고 있다.
또, 지침(6)의 후술하는 회전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판(3) 위치에는 지침(6)과 회전축(1)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또 광원(5)으로부터의 조명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투광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투광부(33)는 조명광을 통과시킬 수 있으면 관통구멍이 아니라 투명부 또는 반투명부라도 좋다.
도광체(4)는 표시판(3)의 배면을 따라서 설치된 투광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표시판(3)의 투광부(3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투광부(33)를 넘어 지침(6)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L자형상의 굴곡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41)의 선단부는 광원(5)으로부터 도광(導光)한 조명광을 지침(6)에 조사하는 출광단부(42)로서 형성되고, 이 출광단부(42)에 대응하는 각부에는 출광 단부(42)측에 조명광을 반사하는 도광체 반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지침(6)은 투광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시부재(61)와 이 지시부재(61)의 소정 영역을 덮는 차광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부재(62)와, 지시부재(61)를 회전축(1)에 연결하는 차광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받침부재(피복부재)(63)로 구성된다. 또 받침부재(63)는 그 전체 또는 일부를 광투과성 또는 반광투과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시부재(61)는 그 회전 중심영역(R)에 도광체(4)의 출광 단부(42)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을 수광하는 수광부(611)와, 이 수광부(611)로부터 도입된 조명광을 지시부재(61)의 길이방향으로 반사하여 선형상으로 광휘시키는 반사부(612)로 이루 어진 광도입부를 갖고 있다.
커버부재(62)는 조명광의 도입측이 되는 배면측(구동장치측)이 개구되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시부재(61)를 끼우고 빼는 슬릿(621)과, 표시판(3)의 판면에 대해 간극부(S)를 두고 대향하는 개구 단부(622)를 갖고, 지시부재(61)의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을 제외한 그 전방 및 주위를 덮고 있다. 또 커버부재(62)의 원심방향 외부직경은 표시판(3)의 투광부(33)의 내부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63)는 회전축(1)에 고착되는 보스부(631)와, 원반형상의 받침부(632)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을 통해 지시부재(61) 및 커버부재(62)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받침부(632)는 지시부재(61)의 수광부(6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도광체(4)의 출광 단부(42)에서 방사되는 조명광을 수광부(611)측으로 통과시키는 투과부(633)가 형성되고, 이 투과부(633)을 제외한 받침부(632)의 배면측(조명광의 도입측)에는 커버부재(62)의 개구 단부(622)와 표시판(3)의 클리어런스(간극부(S))로 향하는 조명광을 저감하여 간극부(S)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634)가 형성되어 있다.
누광 방지부(634)는 소정 간격을 두고 투광부(33)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 돌출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회전축(1)의 축심)을 둘러싸고, 또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부둘레를 향해 점점 대직경이 되는 복수의 둘레벽으로서 형성되고, 이들 둘레벽에 의해 간극부(S)측을 향하는 조명광 을 차단하여 간극부(S)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에서 도입되는 조명광으로 광휘하는 투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시부재(61)와 회전 중심 영역(R)의 배면측을 제외하고 그 외부둘레를 덮는 차광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62)를 갖고 구동장치(2)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6)과, 이 지침(6)의 배후에 커버부재(62)와는 간극부(S)를 두고 배치되어 회전 중심 영역(R)에 대응하는 투광부(33)를 갖는 표시판(3)과, 이 표시판(3)의 배후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5)을 구비하며, 조명광의 도입부(수광부(611), 반사부(612))를 제외한 회전 중심영역(R)의 배면측(받침부(632)의 배면측)에 간극부(S)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634)를 설치한 것에 의해 간극부(S)에 이르는 조명광을 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측(표시판(3)측)으로의 광 누설을 억제하여 조명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누광 방지부(634)가 간극부(S)측으로 향하는 조명광을 차단하는 단면형상 볼록형의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돌출부를 회전 중심을 둘러싸고, 또 외부둘레를 향해 점점 대직경이 되는 둘레벽부로서 형성한 것에 의해 지침(6)의 회전범위 전 영역에 걸쳐 확실히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돌출부의 크기나 형성 피치, 형성 갯수는 요구되는 광 누설 억제 효과나 사양,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돌출부는 작고, 형성 피치도 세밀한 돌출부를 다수 형성하는 쪽이 광 누설 억제효과를 높이면서 받침부(632)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어 지침식 계기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 는 지침(6)과 표시판(3) 사이에 칼라 부재(7)를 배치하고 있지만, 누광 방지부(634)에서 충분한 광 누설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칼라부재(7)를 폐지함으로써 지침(6)과 표시판(3)의 거리를 작게 하여 박형화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받침부재(피복부재)의 단면도이며, 누광 방지부(634)의 구조 이외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63)의 받침부(632)의 배면에 복수 형성되는 각 돌출부(누광 방지부(634))의 단면 형상을 꼭대기부(T)와 이 꼭대기부(T)에 연속되는 장변(L1) 및 단변(L2)을 갖고, 선단을 향해 점점 가늘어지는 대략 톱니바퀴 형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와 같이 대략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회전 중심을 둘러싸고, 또 외부둘레를 향해 점점 대직경이 되는 둘레벽부를 이루는 점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꼭대기부(T)에서 교차하는 장변(L1)과 단변(L2)은 장변(L1)이 회전 중심측(내측), 단변(L2)이 외측에 위치해 있고, 장변(L1)은 이 부분에 닿은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내측)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측(회전축(1)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변(L2)은 회전축(1)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의 단면 형상을 대략 톱니바퀴 형상으로 설치한 것에 의해 표시판(3)의 판면과 평행으로 조명광을 간극부(S)를 향해 반사하기 쉬운 평면부를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간극부(S)측으로의 조명광의 반사를 더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의 단면 형상을 꼭대기부(T)와 이 꼭대기부(T)에 연속되는 장변(L1) 및 단변(L2)을 갖는 대략 톱니바퀴 형상으로 하고, 이 때 장변(L1)을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으로서 구성한 것에 의해 간극부(S)측에 이르는 반사광을 확실히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 3∼제 5 실시예로서 톱니바퀴형상 돌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누광 방지부(634))를 구성하는 장변(L1) 및 단변(L2)을 곡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 도 6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구성하는 각 변(L3, L4)을 서로 길이가 같은 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 도 7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구성하는 각 변(L3, L4)을 서로 길이가 같은 곡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제 7의 실시예로서 누광 방지부(634)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8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서는 누광 방지부(634)를 받침부(632)의 배면 외부둘레 부분에 위치하고, 이 부분에 도달한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으로 반사하도록 회전 중심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한 것으로, 도 9에 도시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받침부(632)의 배면의 대략 전체를 회전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누광방지부(634)를 설치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로서 누광 방지부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632)의 배면에 예를 들면 미세 요철 가공(주름가공)(crimp working)을 실시함으로써 이 부분에 이르는 조명광을 확산 반사하여 간극부(S)로부터의 광 누설을 저감하는 표면으로 이루어진 누광 방지부(634)를 설치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이 조명광을 확산 반사하는 누광 방지부(634)는 투과부(633)를 제외한 받침부(632) 배면 전역에 형성해도 좋고 부분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이와 같은 표면을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경사면 또는 도 2에 도시한 돌출부의 돌출면과 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차량용 지침식 계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박이나 항공기 등 이른바 이동체에 탑재되는 지침식 계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으로부터 도입되는 조명광으로 광휘하는 투광성 지시부재와 상기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을 제외하고 그 외부둘레를 덮는 차광성 커버부재를 갖고 소정의 구동장치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
    상기 지침의 배후에 상기 커버부재와는 간극부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회전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투광부가 형성되는 표시판;
    상기 표시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광의 도입부를 제외한 상기 회전 중심영역의 배면에 상기 간극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누광 방지부가 상기 간극부측으로 향하는 조명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2.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으로부터 도입되는 조명광으로 광휘하는 투광성 지시부재와 상기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을 제외하고 그 외부둘레를 덮는 차광성 커버부재를 갖고 소정의 구동장치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
    상기 지침의 배후에 상기 커버부재와는 간극부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회전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투광부가 형성되는 표시판;
    상기 표시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회전 중심 영역의 배면측을 덮는 피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광의 도입측이 되는 상기 피복부재의 배면에 상기 간극부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누광 방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누광 방지부가 상기 간극부측으로 향하는 조명광을 차단하는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부가 상기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회전 중심을 감는 둘레벽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가 회전 중심에서 외부둘레를 향해 점점 대직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 형상이 톱니바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 형상이 꼭대기부와 이 꼭대기부에 연결되는 장변 및 단변을 갖고, 상기 장변이 상기 조명광을 회전 중심측으로 반사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침식 계기.
KR1020027002299A 2000-06-30 2001-06-20 지침식 계기 KR10076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3038 2000-06-30
JP2000203038A JP3305297B2 (ja) 2000-06-30 2000-06-30 指針式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07A KR20020029107A (ko) 2002-04-17
KR100760795B1 true KR100760795B1 (ko) 2007-09-20

Family

ID=1870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99A KR100760795B1 (ko) 2000-06-30 2001-06-20 지침식 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6549B2 (ko)
JP (1) JP3305297B2 (ko)
KR (1) KR100760795B1 (ko)
CN (1) CN100392358C (ko)
WO (1) WO2002003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7812B1 (en) * 2003-07-17 2012-11-28 Nippon Seiki Co., Ltd. Needle-pointer type meter
US6983717B1 (en) * 2005-01-05 2006-01-10 Yazaki North America, Inc. Indicator assembly with halo-free pointer
AU2006253018A1 (en) * 2005-03-14 2006-12-07 Auto Meter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of modular vehicle gauge system and illumination
US7575331B2 (en) 2005-12-15 2009-08-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ompensation free illumination of instrument cluster display
JP4796843B2 (ja) * 2005-12-28 2011-10-19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
US7624699B2 (en) * 2007-01-17 2009-12-01 Yazaki Corporation Pointer illuminator
JP5034713B2 (ja) * 2007-06-28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9198349A (ja) * 2008-02-22 2009-09-03 Nippon Seiki Co Ltd 計器照明装置
EP2288878A1 (en) 2008-05-16 2011-03-0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ointer illumination
JP5288119B2 (ja) * 2009-01-19 2013-09-11 日本精機株式会社 指示計器
JP4826928B2 (ja) * 2009-08-03 2011-11-30 Smc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BR112013026431B1 (pt) * 2011-04-18 2020-04-07 Juken Swiss Tech Ag motor para um ponteiro rotativo e iluminável e conjunto
JP5657501B2 (ja) * 2011-10-18 2015-01-21 ジェコ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6116204B2 (ja) * 2012-11-26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構造
JP5851471B2 (ja) 2013-10-15 2016-02-03 日本精機株式会社 指針式計器
JP6018147B2 (ja) * 2014-09-24 2016-11-02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US10317259B2 (en) * 2014-09-30 2019-06-1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Gauge utilizing light leakage to illuminate the scale of a dial and instrument panel with the gauge
JP6363456B2 (ja) * 2014-09-30 2018-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
US9804005B2 (en) * 2015-02-25 2017-10-3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Indicating device and pointer for the same
US9933287B2 (en) * 2016-02-24 2018-04-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Indicating device with light-pickup configuration
DE102017205342B4 (de) 2016-03-30 2020-07-02 Yazaki Corporation Skalenscheibe und Kraftfahrzeug-Messinstrument
JP6556176B2 (ja) * 2016-03-30 2019-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文字板および自動車用メータ
WO2019188580A1 (ja) * 2018-03-26 2019-10-03 日本精機株式会社 指針式計器装置
US10859414B2 (en) * 2018-04-18 2020-12-08 N.S. International, Ltd. Miniaturized illuminated pointer for instrument clus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85A (ko) * 1996-12-23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계기판 누광 방지장치
JP2000162000A (ja) * 1998-11-30 2000-06-16 Nippon Seiki Co Ltd 指針式計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7595U (ko) * 1978-12-26 1980-07-07
JPS5597595A (en) 1979-01-17 1980-07-24 Tokyo Shibaura Electric Co Method of preventing piping of thermal power plant machinery from rusting
JPH01148817A (ja) 1987-12-03 1989-06-12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H01148817U (ko) * 1988-04-01 1989-10-16
JPH06102850B2 (ja) 1988-11-11 1994-12-14 帝人株式会社 耐汚染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原着系糸
JPH076484Y2 (ja) * 1989-04-12 1995-02-15 株式会社カンセイ 計器指針の照明装置
US5121441A (en) 1990-09-21 1992-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bust prototype establishment in a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JPH0620097A (ja) 1992-06-30 1994-01-28 Sharp Corp 文字認識装置
JP3109715B2 (ja) * 1995-04-14 2000-11-20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指針
JP3156836B2 (ja) * 1995-12-07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式表示装置
TW331593B (en) * 1996-05-13 1998-05-11 Konika Co Ltd Planer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JPH1151714A (ja) * 1997-08-07 1999-02-26 Yazaki Corp 計器盤指針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9039162A1 (fr) * 1998-01-29 1999-08-05 Nippon Seiki Co., Ltd. Indicateur electroluminescent
US6302055B1 (en) * 1999-09-28 2001-10-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alo reducing instrument pointer illumin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85A (ko) * 1996-12-23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계기판 누광 방지장치
JP2000162000A (ja) * 1998-11-30 2000-06-16 Nippon Seiki Co Ltd 指針式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3483A (zh) 2002-12-04
JP2002013956A (ja) 2002-01-18
WO2002003036A1 (fr) 2002-01-10
CN100392358C (zh) 2008-06-04
JP3305297B2 (ja) 2002-07-22
US6626549B2 (en) 2003-09-30
US20020135995A1 (en) 2002-09-26
KR20020029107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795B1 (ko) 지침식 계기
KR100533769B1 (ko) 발광지침
JP2007121177A (ja) 指示計器
JP3016390B1 (ja) 指針式計器
JPH05248896A (ja) 指示計器
JP3624876B2 (ja) 照明装置
JP2907261B2 (ja) 指示計器
JP2010169546A (ja) 表示装置
JP2009145276A (ja) 発光指針
JP5280278B2 (ja) 導光体及び車両用表示装置
JP3633917B2 (ja) 計器装置
JP2005156454A (ja) 指針照明装置
JP5228254B2 (ja) 計器装置
JP2004144583A (ja) 発光指針計器
JP3364883B2 (ja) 自発光指針
JP2004325434A (ja) 車両用指示計器
JPH03259714A (ja) 計器の指針照明装置
JP2579872Y2 (ja) 車両用計器の指針
JPH0728059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6030071A (ja) 車両用指針計器
JP3644559B2 (ja) 計器用指針
JP2959386B2 (ja) 計器照明装置
JP2004233241A (ja) 計器用の照明装置
JP6844162B2 (ja) 表示装置
JP2009229372A (ja) メ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