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358B1 -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358B1
KR100760358B1 KR1020050128945A KR20050128945A KR100760358B1 KR 100760358 B1 KR100760358 B1 KR 100760358B1 KR 1020050128945 A KR1020050128945 A KR 1020050128945A KR 20050128945 A KR20050128945 A KR 20050128945A KR 100760358 B1 KR100760358 B1 KR 10076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olenoid
reverse
backwar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758A (ko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3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60W10/107Infinite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중립위치, 전진위치, 후진위치로 각각 시프트되는 전후진레버와, 전후진레버의 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전진 솔레노이드와, 전후진레버의 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후진 솔레노이드와,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의 여자 및 소자에 따라 계합되거나 해방되면서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변속시키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엔진식 지게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운전자 이탈감지수단과; 운전자 이탈감지수단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를 소자시켜 변속기를 중립상태로 제어하는 상기 변속제어유닛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닛은,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하나가 여자되어 차량이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이탈감지수단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 모두 다 소자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진레버를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고, 정지된 차량을 다시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전후진레버를 중립상태로 이동시켜야만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없이 차량이 무단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DRIVING CONTROL SYSTEM OF ENGINE TYPE FORKLIFT TRUCK}
도 1은 종래의 엔진식 지게차의 변속기 및 전후진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변속기 12: 출력축
14: 전진 클러치 16: 후진 클러치
20: 엔진 30: 전후진레버
32: 레버위치센서 40: 변속제어유닛
50: 전진 솔레노이드 52: 후진 솔레노이드
60: 운전자 이탈감지수단
본 발명은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진레버를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고, 정지된 차량을 다시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전후진레버를 중립상태로 이동시켜야만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식 지게차(이하, "지게차"로 약칭함)는, 엔진으로 유압펌프를 구동하고,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로써 차량을 주행시키며, 작업기를 구동시킨다.
한편, 이러한 엔진식 지게차는 주행방향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바꾸기 위한 변속기와, 변속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후진레버를 구비한다.
변속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0)과 연결되며, 유성기어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유성기어장치와 연결되는 출력축(12)과, 유성기어장치를 계합시키거나 해제하여 출력축(12)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전진 클러치(14)와 후진 클러치(16)를 구비한다.
전후진레버(30)는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립위치에서 전진위치로, 또는 중립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시프트된다. 이때, 전진위치에서는 변속기(10)의 전진 클러치(14)를 작동시켜 출력축(12)을 정회전시킨다. 따라서 차량을 전진주행시킨다. 그리고 후진위치에서는 변속기(10)의 후진 클러치(16)를 작동시켜 출력축(12)을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차량을 후진주행시킨다.
한편, 지게차는 전후진레버(30)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버위치감지센서(32)를 구비하며, 레버위치감지센서(32)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진제어신호 또는 후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속제어유닛(4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속제어유닛(40)의 전진제어신호에 따라 변속기(10)의 전진 클러치(14)를 작동시키는 전진 솔레노이드(50)와, 변속제어유닛(40)의 후진제어신호에 따라 변속기(10)의 후진 클러치(16)를 작동시키는 후진 솔레노이드(5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전후진레버(30)를 중립위치에서 전진위치로, 또는 중립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시프트 한다. 그러면, 전후진레버(30)의 위치는 레버위치감지센서(32)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곧바로 변속제어유닛(40)으로 입력된다.
이때, 입력된 신호가 전진위치신호이면, 변속제어유닛(40)은 전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전진제어신호는 전진 솔레노이드(50)를 여자(勵磁)시키며, 여자된 전진 솔레노이드(50)는 전진 클러치(14)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변속기(10)의 출력축(12)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을 전진주행시킨다.
반대로, 입력된 신호가 후진위치신호이면, 변속제어유닛(40)은 후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후진제어신호는 후진 솔레노이드(52)를 여자시키며, 여자된 전진 솔레노이드(50)는 후진 클러치(16)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변속기(10)의 출력축(12)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을 후진주행시킨다.
한편, 전후진레버(30)가 중립위치로 시프트 되면, 레버위치감지센서(32)는 중립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중립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변속제어유닛(40)은 중립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를 모두 소자(消磁)시킨다. 따라서 변속기(10)도 중립상태로 되면서 출력축(12)은 회전되지 않으며, 그 결과, 차량은 정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게차는, 운전자가 전후진레버(30)를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에 시프트한 상태에서 운전석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차량이 운전자의 관리없이 전진 및 후진 주행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은 운전자의 제어없이 차량이 주행하므로, 차칫 주변의 기물이 파손 및 손상되거나, 또는 인명이 다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후진레버를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키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지된 차량을 다시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전후진레버를 중립상태로 이동시켜야만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중립위치, 전진위치, 후진위치로 각각 시프트되는 전후진레버와, 상기 전후진레버의 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전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전후진레버의 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후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의 여자 및 소자에 따라 계합되거나 해방되면서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변속시키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엔진식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운전자 이탈감지수단과;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를 소자시켜 상기 변속기를 중립상태로 제어하는 상기 변속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변속제어유닛은, 상기 운전자의 이탈에 의해 상기 변속기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를 소자시키되, 상기 전후진레버가 중립위치로 시프트되어야만 상기 전후진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가 여자 및 소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속제어유닛은,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하나가 여자되어 차량이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 모두 다 소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변속제어유닛은,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하여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으로부터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를 소자시키되, 상기 전후진레버가 중립위치로 시프트되어야만 상기 전후진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와 후진 솔레노이드가 여자 및 소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주행 제어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변속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변속장치는 변속기(10)를 구비한다. 변속기(10)는 엔진(20)과 연결되며, 유성기어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유성기어장치와 연결되는 출력축(12)과, 유성기어장치를 계합시키거나 해제하여 출력축(12)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전진 클러치(14)와 후진 클러치(16)를 구비한다.
그리고 변속장치는 전후진레버(30)를 구비한다. 전후진레버(30)는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립위치에서 전진위치로, 또는 중립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시프트된다. 이때, 전진위치에서는 변속기(10)의 전진 클러치(14)를 작동시켜 출력축(12)을 정회전시킨다. 따라서 차량을 전진주행시킨다. 그리고 후진위치에서는 변속기(10)의 후진 클러치(16)를 작동시켜 출력축(12)을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차량을 후진주행시킨다.
한편, 전후진레버(30)의 위치는 레버위치감지센서(32)에 의해 감지된다. 레버위치감지센서(32)는 전후진레버(30)의 위치에 따라 "중립위치신호"와, "전진위치신호"와, "후진위치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변속장치는, 레버위치감지센서(32)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중립제어신호" 또는 "전진제어신호" 또는 "후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속제어유닛(4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속장치는, 변속제어유닛(40)의 "전진제어신호"에 따라 변속기(10)의 전진 클러치(14)를 작동시키는 전진 솔레노이드(50)와, 변속제어유닛(40)의 "후진제어신호"에 따라 변속기(10)의 후진 클러치(16)를 작동시키는 후진 솔레노이드 (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변속제어유닛(40)으로부터 "중립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 모두가 소자된다. 따라서 변속기(10)는 중립상태로 제어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행 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행 제어장치는,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이탈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을 구비한다.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은, 운전석(도시하지 않음)의 시트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온/오프스위치는 운전석의 시트로부터 운전자가 이탈할 경우, 온(On)되면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이탈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행 제어장치는,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중립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변속제어유닛(40)을 구비한다.
변속제어유닛(40)은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중립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 모두 다 소자시킨다. 따라서 변속기(10)를 중립상태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차량을 정지시킨다.
특히, 전후진레버(30)가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에 시프트된 상태에서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 중 어느 하나가 여자되어 차량이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하고 있는 상태라도,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 모두 다 소자시키므로, 주행중인 차량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한 상태에서 차량이 무단으로 주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 다.
한편, 본 발명의 변속제어유닛(40)은,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으로부터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중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 이탈후, 다시 운전석에 착석하더라도 전후진레버(3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후, 차량이 급출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속제어유닛(40)은,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으로부터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위치감지센서(32)로부터 "중립위치신호"가 입력되어야만 고정상태에서 해제되며, 따라서 후속적으로 입력되는 레버위치감지센서(32)의 "전진위치신호" 또는 "후진위치신호"에 따라 "전진제어신호" 또는 "후진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한 상태에서, 반드시 전후진레버(30)를 중립위치로 시프트해야만 전후진레버(30)의 조작이 운전자의 소망대로 제어되며, 따라서 전후진레버(30)의 위치에 따라 변속제어유닛(40)이 제어되면서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를 제어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지게차가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을 하고 있는 동안(S1), 변속제어유닛(40)은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의 신호에 따라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이탈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
판단 결과,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였으면, 변속제어유닛(40)은 "중립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를 소자시킨다(S5). 따라서 변속기(10)를 중립상태로 만들어주면서 주행중인 차량을 정지시킨다(S7).
한편,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하면, 변속제어유닛(40)은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함과 아울러 전후진레버(30)를 중립위치로 시프트하였는가를 판단한다(S9).
판단 결과,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함과 아울러 전후진레버(30)를 중립위치로 시프트하였으면, 전후진레버(30)의 위치에 따라 차량을 다시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시킨다(S1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에 의하면, 전후진레버를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고, 정지된 차량을 다시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전후진레버를 중립상태로 이동시켜야만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없이 차량이 무단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무단주행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감소시켜준다.

Claims (4)

  1.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중립위치, 전진위치, 후진위치로 각각 시프트되는 전후진레버(30)와, 상기 전후진레버(30)의 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전진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전후진레버(30)의 후진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후진 솔레노이드(52)와,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의 여자 및 소자에 따라 계합되거나 해방되면서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변속시키는 변속기(10)를 구비하는 엔진식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과;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를 소자시켜 상기 변속기(10)를 중립상태로 제어하는 상기 변속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변속제어유닛(40)은, 상기 운전자의 이탈에 의해 상기 변속기(10)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다시 착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를 소자시키되, 상기 전후진레버(30)가 중립위치로 시프트되어야만 상기 전후진레버(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가 여자 및 소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유닛(40)은,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52) 중 어느 하나가 여자되어 차량이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에서 운전자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50)와 후진 솔레노이드 (52) 모두 다 소자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이탈감지수단(60)은,
    상기 운전석에서 상기 운전자가 이탈할 경우, 온(on)되도록 상기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KR1020050128945A 2005-12-23 2005-12-23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KR10076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945A KR100760358B1 (ko) 2005-12-23 2005-12-23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945A KR100760358B1 (ko) 2005-12-23 2005-12-23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758A KR20070067758A (ko) 2007-06-29
KR100760358B1 true KR100760358B1 (ko) 2007-09-20

Family

ID=3836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945A KR100760358B1 (ko) 2005-12-23 2005-12-23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399A (zh) * 2013-08-02 2013-12-1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动机自动熄火方法和系统
KR101448505B1 (ko) * 2012-12-18 2014-10-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423A (ja) * 1992-10-23 1994-05-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用トルクコンバータの切換レバー中立位置復帰装置
KR19990009936U (ko) * 1997-08-26 1999-03-15 추호석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423A (ja) * 1992-10-23 1994-05-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用トルクコンバータの切換レバー中立位置復帰装置
KR19990009936U (ko) * 1997-08-26 1999-03-15 추호석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05B1 (ko) * 2012-12-18 2014-10-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434399A (zh) * 2013-08-02 2013-12-1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动机自动熄火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758A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8742B1 (en) Vehicle with vehicle control unit
EP2208630B1 (en) Pedal lock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EP2112407B1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same
KR101007484B1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KR101970855B1 (ko)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KR102221165B1 (ko) 건설기계의 안전 장치 및 제어 방법
US89241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KR100760358B1 (ko)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JP2007071135A (ja)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CN103492213B (zh) 用于控制包括电机的机动车的运行的操作装置和机动车
JP2010163946A (ja)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KR101182474B1 (ko) 휠타입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JP5087359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KR20090068919A (ko) 지게차의 전복방지장치
WO2016181712A1 (ja) 作業機械の前後進誤作動報知装置
KR200181589Y1 (ko) 굴삭기의 주행 경보시스템
KR100588950B1 (ko)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 안전장치
JP2007071328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H05149428A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2017110691A (ja) 変速制御装置
KR100260403B1 (ko) 자동차의수동변속기
KR101417046B1 (ko) 지게차의 모노페달 시스템
KR101982889B1 (ko) 기계식 엑셀 페달을 사용하는 지게차의 작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193681B1 (ko) 휠 굴삭기의 엔진제어 장치
KR19980048660A (ko) 시동정지시 변속기 조작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