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855B1 -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855B1
KR101970855B1 KR1020147021961A KR20147021961A KR101970855B1 KR 101970855 B1 KR101970855 B1 KR 101970855B1 KR 1020147021961 A KR1020147021961 A KR 1020147021961A KR 20147021961 A KR20147021961 A KR 20147021961A KR 101970855 B1 KR101970855 B1 KR 10197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ydraulic
lock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010A (ko
Inventor
유타 나카무라
가츠아키 고다카
마사히로 가야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8Arrangements for pressure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6Hydraulic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3Controlling the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e.g. adjusting travelling speed according to implement loads, control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는, 주행 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는, 및 유압 로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로크 장치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와,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수동의 조작 레버에 설치된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와,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고,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미리 설정된 설정 답입 조작이 검출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로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WORK-VEHIC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휠 셔블 등에 설치되는 유압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셔블 등의 작업 차량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를 구동해서 브레이크력을 부여하는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이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는, 작업 시에 작업 브레이크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즉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한다. 이러한 종류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선행 기술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84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브레이크를 유압 로크하는 경우,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떼서 브레이크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크게 답입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굴삭 등의 작업과 주행을 빈번히 반복할 필요가 있는 작업에서는,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로크의 조작이 번잡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브레이크를 유압 로크시키지 않고 굴삭 등의 작업과 주행을 빈번히 반복하는 경우에는, 굴삭 등의 작업 중,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해서 밟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번거롭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는, 주행 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는, 및 유압 로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로크 장치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와,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수동의 조작 레버에 설치된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와,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고,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미리 설정된 설정 답입 조작이 검출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로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한 후에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어도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로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조작되고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작업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한 주행 속도가 저하될 수록 유압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제동력이 커지도록 브레이크 로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 등의 작업과 주행을 빈번히 반복하는 경우의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의 (a)는 로크 해제 판정 회로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의 (b)는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에 있어서의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유압 브레이크 장치는, 예를 들어 휠 셔블 등, 타이어를 장비해서 일반 도로를 주행하는 작업 차량에 설치되고, 주행 시에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량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이다. 도 1에 있어서, 브레이크 밸브(2)는 기어 펌프(3)로부터 전륜, 후륜의 브레이크 디스크(71, 72)를 구동하는 브레이크 실린더(4, 5)에 공급되는 압유를 제어한다. 브레이크 밸브(2)는, 전환 위치 A와 전환 위치 B를 갖고, 브레이크 페달(1)의 답입 조작에 따라 전환 위치가 전환 위치 A로부터 B로 변화된다. 전환 위치 A는, 기어 펌프(3)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차지 밸브(61)를 개재해서 브레이크 실린더(4, 5)에 공급해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조작 위치이며, 전환 위치 B는, 브레이크 실린더(4, 5)를 탱크에 연통해서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조작 위치이다. 브레이크 페달(1)의 답입량에 따라 브레이크 밸브(2)의 전환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실린더(4, 5)가 스트로크해서 브레이크 디스크(71, 72)가 구동되고, 차량을 정지 혹은 감속시키는 브레이크력이 부여된다. 또한, 브레이크 실린더(4, 5)는 각각 전륜용 및 후륜용의 브레이크 실린더이다.
또한, 브레이크 밸브(2)는, 브레이크 페달(1)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작됨과 함께, 파일럿 포트를 갖고, 이 파일럿 포트에 압유가 공급되고 전환 위치 B로부터 전환 위치 A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일럿 포트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를 개재해서 파일럿 유압원[기어 펌프(7)] 또는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는, 브레이크 밸브(2)의 파일럿 포트와 기어 펌프(7)를 접속하는 전환 위치 A와, 파일럿 포트와 탱크를 접속하는 전환 위치 B를 갖는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어 장치(컨트롤러)(10)로부터의 신호, 즉 후술하는 브레이크 제동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에 의해 전환 위치 A, 전환 위치 B로 전환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전환 위치 B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브레이크 밸브(2)의 파일럿 포트는 탱크압으로 되고 브레이크 밸브(2)는 전환 위치 B가 되고, 브레이크 로크가 해제된 상태로 되고,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전환 위치 A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기어 펌프(7)의 압유가 브레이크 밸브(2)의 파일럿 포트에 공급되고 브레이크 밸브(2)는 전환 위치 A로 전환되고,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 또는 브레이크 로크 상태라고 칭한다.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가 유압 로크되어 계속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가,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상태이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의 전환 위치 B로부터 전환 위치 A까지의 전환량이 제어됨으로써, 브레이크 밸브(2)의 파일럿 포트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이 제어되어 브레이크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컨트롤러(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에는 회전수 센서(21)와, 압력 센서(22)와, 근접 스위치(23)와, 전환 스위치(24)와, 브레이크 스위치(25)와, 작업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핸드 스위치)(26)와, 압력 센서(27)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회전수 센서(21)는, 차속과 상관 관계를 갖는 트랜스미션(62)의 회전수 N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압력 센서(22)는, 브레이크 실린더(4, 5)에 작용하는 압력, 즉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압 PB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다. 근접 스위치(23)는, 브레이크 페달(1)의 하방에 설치되고, 브레이크 페달(1)의 소정량 이상의 답입 조작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이다. 전환 스위치(24)는, 브레이크 로크를 자동으로 행할지 수동으로 행할지를 선택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 스위치이다.
브레이크 스위치(25)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및 해제와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및 해제를 선택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주차 브레이크 장치란, 차량의 주차시에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이며, 트랜스미션의 저속 기어와 고속 기어의 양쪽을 맞물린 상태로 하는 것 또는 별도 설치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작업 브레이크 장치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는 브레이크 장치이다. 핸드 스위치(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이다. 핸드 스위치(26)는, 예를 들어 휠 셔블의 경우에는 아암이나 버킷 등의 작업 장치(작업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63)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63)로 부터 손을 떼지 않고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드 스위치(26)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63)를 파지한 상태 그대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 혹은,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63)를 파지하는 손을 조작 레버(63)로부터 다소 비켜 놓으면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면, 조작 레버(63)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압력 센서(27)는, 작업 차량의 주행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답입 조작에 따라 주행 파일럿 밸브(65)로 제어되는 파일럿압 PA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다. 또한, 주행 파일럿 밸브(65)로 제어되는 파일럿압 PA는, 컨트롤 밸브(66)의 파일럿 포트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은, 도시하지 않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컨트롤 밸브(66)에 의해 그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고,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 밸런스 밸브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주행용 유압 모터에 공급해서 차륜을 구동한다.
근접 스위치(23)는,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면 온하고, 최대 답입 조작을 중지하면 오프한다. 전환 스위치(24)는 자동 위치로 전환되면 온하고, 수동 위치로 전환되면 오프한다. 브레이크 스위치(25)는 오프 위치, 주차 위치 및 작업 위치로 전환 가능하고, 오프 위치로 전환되면 작업 브레이크 장치(도 1)와 주차 브레이크 장치(도시 생략)를 해제하고, 주차 위치로 전환되면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고, 작업 위치로 전환되면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한다. 핸드 스위치(26)는, 조작되면 온하고, 조작되지 않게 되면 오프한다.
각 센서(21, 22, 27) 및 각 스위치(23 내지 26)로부터의 신호는 컨트롤러(10)에 입력된다. 컨트롤러(10)의 브레이크 스위치 전환 위치 판정 회로(11)는, 브레이크 스위치(25)의 전환 위치를 판정한다. 브레이크 스위치(25)가 오프 위치로 전환되면, 핸드 스위치(26)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에서, 후술하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브레이크 스위치(25)가 오프 위치로 전환되면, 전회 브레이크 출력 판정 회로(12)에서 전회의 브레이크 출력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 및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전회의 브레이크 출력이 오프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서 후술하는 브레이크 로크 판정 처리를 행하고, 온으로 판정되면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에서 후술하는 로크 해제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전회 브레이크 출력 판정 회로(12)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후술하는 온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회의 브레이크 출력이 온인지 오프인지의 판정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회로(15)를 개재해서 출력 회로(16)로부터의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전환 회로(15)에서는, 브레이크 스위치(25) 및 판정 회로(13, 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위치 a 또는 위치 b로 전환한다. 즉 브레이크 스위치(25)가 오프 위치에서 판정 회로(13, 14)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를 위치 a로 전환하고, 판정 회로(13, 14)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위치 b로 전환한다. 브레이크 스위치(25)가 주차 위치로 전환되면 판정 회로(13, 14)로부터의 신호에 무관하게 전환 회로(15)의 스위치를 위치 b로 전환하고, 작업 위치로 전환되면 판정 회로(13, 14)로부터의 신호에 무관하게 위치 a로 전환한다.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위치 a로 전환되면 출력 회로(16)로부터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출력되고, 위치 b로 전환되면 출력 회로(17)로부터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출력된다.
전환 회로(46)에서는, 전환 회로(15)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 또는 브레이크 해제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브레이크 작동 위치 또는 브레이크 해제 위치로 전환한다. 즉 출력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전환 회로(46)는 스위치를 브레이크 작동 위치로 전환한다. 출력 회로(17)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전환 회로(46)는 스위치를 브레이크 해제 위치로 전환한다.
전환 회로(46)의 스위치가 브레이크 작동 위치로 전환되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를 전환 위치 A로 전환하기 위한 설정 파일럿압을 생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4)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 회로(44)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의 설정 파일럿압은, 유압 로크에 필요해지는, 예를 들어 3Mpa이다.
전환 회로(46)의 스위치가 브레이크 해제 위치로 전환되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를 전환 위치 B로 전환하기 위한 설정 파일럿압을 생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의 설정 파일럿압은, 0Mpa이다. 전환 회로(46)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는, 후술하는 Max 판정 회로(48)에 입력된다.
전환 회로(47)에서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온 위치 또는 오프 위치로 전환한다. 즉 브레이크 스위치(25)가 오프 위치에서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면 전환 회로(47)의 스위치를 온 위치로 전환하고,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오프 위치로 전환한다.
전환 회로(47)의 스위치가 온 위치로 전환되면,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을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설정 파일럿압으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2)로부터 출력된다. 출력 회로(42)는, 회전수 센서(21)에 의해 검출된 트랜스미션(62)의 회전수 N에 기초하여, 회전수 N이 낮아질수록(즉 차속이 낮아질수록) 설정 파일럿압이 높아지도록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출력한다. 즉, 출력 회로(42)에는, 차속이 낮아질수록 브레이크압이 높아지도록 적절하게 설정된 회전수 N과 설정 파일럿압의 관계가 기억되어 있다. 전환 회로(47)의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전환되면,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을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설정 파일럿압으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의 설정 파일럿압은, 0Mpa이다. 즉,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를 전환 위치 B로 전환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전환 회로(47)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는, Max 판정 회로(48)에 입력된다.
Max 판정 회로(48)에서는, 전환 회로(46)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 및 전환 회로(47)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 중, 설정 파일럿압이 높은 쪽의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입력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의 설정 파일럿압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즉,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에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비례 밸브)(6)에 있어서의 압력과 출력의 관계가 기억되어 있고,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의 전류값 Ia가 설정 파일럿압에 따른 전류 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은,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소정의 설정 파일럿압으로 제어된다.
도 3의 (a)는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의 (b)는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는 브레이크 플래그 A의 온/오프, 전환 스위치(24)의 온/오프, 트랜스미션의 회전수 N,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압 PB 및 타이머의 계시 시간에 따라 브레이크 온 신호 또는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즉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이고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미만일 때,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온한다(14a). 소정 값 PB1은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되었을 때의 조작 압력에 상당한다.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이고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이상일 때,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4b). 이 브레이크 플래그 A는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가 유압 로크 상태 또는 해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브레이크 페달(1)의 계속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가 부주의하게 다시 해제 상태 또는 로크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오프(수동)일 때 및 전환 스위치(24)가 온(자동)이어도 회전수 N이 소정 값 N2보다 클 때는,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머를 리셋한다(14c, 14d).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온일 때, 회전수 N이 소정 값 N1보다 크고, 또한 소정 값 N2 이하일 때는,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14e). 또한, 소정 값 N1은 저속 주행 시의 차속(예를 들어 5km/h 정도)에 상당하고, 소정 값 N2는 저속 주행보다 빠른 차속(예를 들어 10km/h 정도)에 상당한다.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온, 또한, 회전수 N이 소정 값 N1 이하이고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미만일 때,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머를 리셋한다(14f).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온, 또한 회전수 N이 소정 값 N1 이하이고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이상일 때,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타이머를 기동한다(14g). 그리고, 이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면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4h).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는 브레이크 플래그 A의 온/오프, 전환 스위치(24)의 온/오프, 근접 스위치(23)의 온/오프 및 타이머의 계시 시간에 따라 브레이크 온 신호 또는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즉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이고 근접 스위치(24)가 오프일 때,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온한다(13a).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이고 근접 스위치(24)가 온일 때,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3b).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오프일 때,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3c).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온, 또한 근접 스위치(23)가 오프일 때,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머를 리셋한다(13d).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이고 전환 스위치(24)가 온, 또한 근접 스위치(23)가 온일 때,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타이머를 기동한다(13e). 그리고, 이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면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3f).
도 4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에 있어서의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는, 브레이크 플래그 B의 온/오프, 근접 스위치(23)의 온/오프,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조작/비조작 및 핸드 스위치(26)의 온/오프에 따라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즉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이고,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비조작이고, 핸드 스위치(26)가 오프일 때,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B를 오프한다(41a).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조작/비조작은,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답입 조작에 따라 주행 파일럿 밸브(65)로 제어되는 파일럿압 PA를 압력 센서(27)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판단된다.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이고,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비조작이고, 핸드 스위치(26)가 온일 때,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B를 온한다(4lb). 이 브레이크 플래그 B는,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가 유압 로크 상태가 되었을 때에 유압 로크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판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이고,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었을 때,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B를 오프한다(41c).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온이고, 근접 스위치(23)가 오프일 때,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B를 온한다(41d).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온이고, 근접 스위치(23)가 온일 때,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B를 오프한다(41e).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가 주요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로서 브레이크가 유압 로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해제)[예를 들어, 키 스위치 온이고 엔진이 구동하기 전의 상태(비구동 상태), 브레이크 플래그 A도 오프]이며,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상술한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고,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인 상태로부터 설명한다. 이 상태로부터 브레이크를 유압 로크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의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플래그 A는 오프이며, 브레이크 페달(1)이 비조작이면 브레이크 조작압 PB는 소정 값 PB1 미만이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는 온이 된다(14a). 또한, 이 초기 상태에서 가령 브레이크 페달(1)을 조작한 상태이어도, 엔진 구동 전의 상태이며,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도면 참조 번호 (14a)의 상태가 선택된다. 또한, (14b)의 상태는, 엔진의 구동 시에 후술하는 브레이크의 유압 로크가 해제되었을 때(13f)에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이 계속된 경우에, 그 조작의 계속에 의해 다시 유압 로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초기 상태로부터 엔진이 구동되고, 이 상태에서 통상 주행을 하는 경우, 전환 스위치(24)를 수동 위치로 전환하고,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오프 위치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로부터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출력되고, 타이머는 리셋된다(14c). 그리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7)로부터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0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전환 위치 B로 전환된다. 이것 때문에 브레이크 밸브(2)에는 파일럿압이 작용하지 않아, 브레이크 로크(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가 해제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밸브(2)는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량에 따라 전환 위치 A측으로 전환되어, 서비스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다. 이 통상 주행시 등,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는,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는 도면 참조 번호 (14c)의 상태에 있다.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주차 위치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강제적으로 위치 b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7)로부터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출력된다. 그 결과,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수동으로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작업 위치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강제적으로 위치 a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6)로부터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3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3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3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에는 3Mpa의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한편,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자동 제어하는 경우에는, 전환 스위치(24)를 자동 위치로 전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 참조 번호 (14a)에 의해, 브레이크 플래그 A는 온이 된다. 이 상태에서, 전환 스위치(24)가 온이 되면, 회전수 N 및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 상태(PB)에 따라 도면 참조 번호 (14h) 내지 (14d)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선택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회전수 N에 따라 도면 참조 번호 (14f) 내지 (14d)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선택되고, 어느 경우도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위치 B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7)로부터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0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전환 위치 B로 전환된다. 이것 때문에 브레이크 밸브(2)가 전환 위치 B로 전환되고,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그리고, 회전수 N이 N1 이하의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을 최대로 답입 조작하면 타이머가 기동하고(14g), 소정 시간 그 답입 상태가 계속되면 브레이크 온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된다(14h). 이에 의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위치 a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6)로부터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3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3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3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에는 3Mpa의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것 때문에 주행을 종료하고 작업을 개시할 때에,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오퍼레이터가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타이머의 계시 중에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을 중지하면 타이머가 리셋되고(14f), 그 후,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면 타이머가 기동한다. 또한, 회전수 N이 소정 값 N1을 초과하면 타이머의 카운트가 정지하고(14e), 소정 값 N2 이상이 되면 타이머가 리셋된다(14d). 전환 스위치(24)를 오프했을 때도 타이머가 리셋된다(14c).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오프 위치 이외로 조작하고, 다시 오프 위치로 조작했을 때는, 브레이크 로크의 제어 자체가 리셋된다.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의 처리에 의해 브레이크가 로크하면(14h), 그 로크 상태에 있는 브레이크의 해제를 판정하는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로부터 브레이크의 로크 상태 유지(브레이크 온 신호) 및 로크 상태 해제(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13a) 내지(13f)].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 의한 브레이크 로크의 상태(14h)에서는, 브레이크 플래그 A는 오프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의 상태에서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로 들어간다. 그리고 브레이크의 로크 해제 동작, 즉 브레이크 페달(1)의 최대 답입 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을 때는, 근접 스위치(23)는 오프하고, 브레이크 온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의 로크 상태는 유지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온한다(13a). 그리고 브레이크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1)을 최대로 답입 조작하면 근접 스위치(23)가 온하므로, 전환 스위치(24)가 온이면 타이머가 기동하고(13e), 소정 시간이 계시되면 브레이크 오프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A가 오프된다(13f).
이에 의해 전환 회로(15)의 스위치가 위치 b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0)의 출력 회로(17)로부터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0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위치 B로 전환되고, 브레이크 로크가 해제된다. 이것 때문에 작업을 종료하고 주행을 개시할 때에,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전환 스위치(24)가 오프되어도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한다(13c).
또한, 타이머의 계시 중에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을 중지하면 근접 스위치(23)가 오프해서 타이머가 리셋된다(13d). 그 후,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면 근접 스위치(23)가 온해서 타이머가 기동한다.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오프 위치 이외로 조작하고, 다시 오프 위치로 조작했을 때는 브레이크 로크의 제어 자체가 리셋된다.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 의하고,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로크 상태가 되었을 때[(14h),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1)의 답입 조작이 계속된 경우는,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에서,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근접 스위치(23)가 온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는, 브레이크 로크 상태가 계속되도록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13b)하여, 브레이크 로크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을 중지하면,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에서 다시,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근접 스위치(23)가 오프해서 브레이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온(13a)해서 브레이크 로크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 판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로크 해제 판정 회로(1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의해 로크 해제 상태가 되었을 때[(13f),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그대로 브레이크 페달(1)의 답입 조작이 계속된 경우는,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서,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는, 브레이크 로크 해제 상태가 계속되도록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를 오프(14b)해서 브레이크가 로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을 중지하면, 브레이크 로크 판정 회로(14)에서 다시, 브레이크 플래그 A 오프, 브레이크 조작압 PB가 소정 값 PB1 미만으로 해서 브레이크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크 플래그 A 온(14a)으로 해서 로크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판정이 행하여진다.
상술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지 않을 때에, 핸드 스위치(26)가 조작되면, 초기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이므로,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고 있지 않으면(4lb),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온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설정 파일럿압으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설정 파일럿압에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설정 파일럿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에는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파일럿압이 작용하므로, 작업 차량이 차속에 따른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또한, 적어도 작업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브레이크가 유압 로크된다.
또한, 상술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지 않을 때에, 핸드 스위치(26)가 조작되어도,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고 있으면(41c),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된 상태로 된다. 즉,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고 있으면, 핸드 스위치(26)의 조작 입력이 무효가 된다. 이에 의해,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전환 회로(46)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5)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Max 판정 회로(48)는,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제어 신호 출력 회로(49)는, 설정 파일럿압을 0Mpa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 출력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가 위치 B로 전환된 상태가 된다. 이것 때문에 브레이크 밸브(2)가 위치 B로 전환된 상태가 되어,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온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해제 판정 시, 핸드 스위치(26)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지 않는다. 즉,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는, 핸드 스위치(26)의 조작 입력이 무효가 된다. 그리고, 근접 스위치(23)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해제 판정을 행한다.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지 않으면(41d),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온으로 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제어 전자기 밸브(6)에 의해 브레이크 밸브(2)에는 작업 차량의 차속에 따른 파일럿압이 작용하므로, 작업 차량이 차속에 따른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 되면(41e),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플래그 B가 오프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회로(47)를 개재하여, 설정 파일럿압이 0Mpa인 브레이크 제어 파일럿압 신호가 출력 회로(43)로부터 출력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1) 조작 레버(63)에 설치된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함과 함께,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면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해제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굴삭 등의 작업과 주행을 빈번히 반복할 경우에,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 브레이크 스위치(25)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브레이크 페달(1)을 크게 답입할 필요도 없다. 또한, 굴삭 등의 작업 중, 작업 차량이 이동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페달(1)을 계속해서 밟을 필요도 없다. 따라서,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용이하게 작동 및 해제할 수 있으므로, 굴삭 등의 작업과 주행을 빈번히 반복하는 경우의 작업 차량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핸드 스위치(26)의 조작 입력이 무효가 되고,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서는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중에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고 핸드 스위치(26)를 조작해도,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어긋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는 작업 차량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3)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1)이 최대로 답입 조작되지 않으면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에는, 오퍼레이터가 의식적으로 브레이크 페달(1)을 크게 답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어긋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는 작업 차량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켰을 경우의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 조작을, 브레이크 페달(1)의 답입 조작에 의한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의 경우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작업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 조작이 일치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4)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고 있을 때에는,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작업 차량의 주행 중에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고 핸드 스위치(26)를 조작해도,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어긋나 작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주행 중의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는 감속을 방지할 수 있다.
(5)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이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해 차속에 따른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작업 차량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작업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핸드 스위치(26)의 조작]을 해도, 작업 차량이 급정차하는 일이 없어, 작업 차량의 급정지에 의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 변형 예---
(1) 상술한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컨트롤러(10)에 파일럿 램프을 접속하고, 전환 회로(15)를 개재해서 출력되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 또는 작업 브레이크 작동 판정 회로(41)로부터 출력되는 온 신호에 따라 파일럿 램프를 점등/소등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유압 로크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2) 상술한 설명에서는, 컨트롤러(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자 전환 밸브(6)의 스풀 위치를 이동시켜 브레이크 밸브(2)에 파일럿압을 공급하고, 브레이크 실린더(4, 5)에 기어 펌프(3)로부터의 압유를 작용시키도록 했지만,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고, 브레이크 페달(1)의 미리 설정된 답입 조작(예를 들어 최대 답입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는 것이면, 제어부[컨트롤러(10)], 유압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로크부의 구성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답입 조작은, 최대 답입 조작 이외도 좋다.
(3) 핸드 스위치(26)의 조작에 의한 유압 로크의 해제 조건에 관하여, 근접 스위치(23)의 온/오프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최대 답입 조작을 검출하도록 했으나,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의 구성은 이것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22)로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압 PB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페달(1)의 최대 답입 조작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 PA를 검출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64)의 조작을 검출하도록 했으나,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부의 구성은 이것에 제한하지 않는다. 트랜스미션의 회전수 N을 검출해서 차속을 검출하도록 했으나, 속도 검출부의 구성은 이것에 제한하지 않는다. 전환 스위치(24)의 전환에 의해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자동 로크하는 자동 로크 모드와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로크를 중지하는 수동 로크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했지만, 전환 스위치 이외의 모드 전환부를 사용해도 좋다.
(4) 상술한 설명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휠 셔블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작업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각각 조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주행 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는, 및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로크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와,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수동의 조작 레버에 설치된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와,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고,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미리 설정된 답입 조작(이하, 설정 답입 조작)이 검출되면,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로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각종 구조의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9248호(2012년 1월 19일 출원)를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4)

  1. 주행 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는, 및 유압 로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로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와,
    작업 차량의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수동의 조작 레버에 설치된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와,
    상기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미리 설정된 설정 답입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로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유압 로크한 후에 상기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어도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로크를 해제하지 않도록 상기 브레이크 로크 장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조작되고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 로크 지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주행 속도가 저하될수록 상기 유압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제동력이 커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로크 장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4. 삭제
KR1020147021961A 2012-01-19 2013-01-18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970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9248A JP5882066B2 (ja) 2012-01-19 2012-01-19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JP-P-2012-009248 2012-01-19
PCT/JP2013/050974 WO2013108888A1 (ja) 2012-01-19 2013-01-18 作業車両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010A KR20140114010A (ko) 2014-09-25
KR101970855B1 true KR101970855B1 (ko) 2019-04-19

Family

ID=4879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961A KR101970855B1 (ko) 2012-01-19 2013-01-18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9553B2 (ko)
EP (1) EP2805857B1 (ko)
JP (1) JP5882066B2 (ko)
KR (1) KR101970855B1 (ko)
CN (1) CN104080667B (ko)
WO (1) WO2013108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7162B (zh) * 2016-10-21 2018-10-1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US11649608B2 (en) * 2017-04-11 2023-05-16 Dana Italia S.R.L. Hydraulic circuit for an adaptive park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7117152B (zh) * 2017-05-12 2023-04-21 吉林东光奥威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线控制动系统用电动泵
CN113226012B (zh) 2018-09-27 2023-03-17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割草机
CN110945998A (zh) 2018-09-27 2020-04-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割草机
USD995569S1 (en) 2019-04-18 2023-08-1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Mower blade assembly
CN115478579A (zh) * 2022-10-26 2022-12-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控制方法、装置、ecu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050A (en) * 1977-05-13 1980-09-02 Towmotor Corporation Control system actuating assembly
DE2739994C2 (de) * 1977-09-06 1979-05-10 Losenhausen Maschinenbau Ag, 4000 Duesseldorf Bremssystem für Baumaschinen mit hydraulischem Fahrantrieb
JPS57197334A (en) * 1981-05-26 1982-12-03 Komatsu Ltd Electric oil pressure controller for construction vehicle
US4969527A (en) * 1989-11-13 1990-11-13 Deere & Company Hitch control system
EP0765970B1 (en) * 1991-01-28 2001-04-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JPH0924807A (ja) * 1995-07-13 1997-01-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輌の制動機構
JPH11348744A (ja) * 1998-06-10 1999-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制動装置
US6135230A (en) * 1998-10-09 2000-10-24 Caterpillar S.A.R.L. Interlock control system for a work machine
SE9904751L (sv) * 1999-12-23 2001-01-08 Scania Cv Ab Manöverdon i ett fordon
JP2003341505A (ja) * 2002-05-27 2003-12-03 Komatsu Ltd 車両の緊急ブレーキ装置
US6938509B2 (en) * 2003-06-23 2005-09-06 Cnh America Llc Transmission shift control for selecting forward, reverse, neutral and park,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KR101068920B1 (ko) * 2004-06-10 2011-09-29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JP4758075B2 (ja) * 2004-06-23 2011-08-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US7458439B2 (en) * 2004-08-31 2008-12-02 Caterpillar Inc. Machine control pedestal
EP1801396B1 (en) * 2004-09-27 2013-12-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7233853B2 (en) * 2004-10-29 2007-06-19 Deere & Company Multiple mode operational system for work vehicle braking
JP2007001327A (ja) * 2005-06-21 2007-01-11 Nissan Motor Co Ltd 先行車追従走行制御装置
JP4473200B2 (ja) * 2005-09-08 2010-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JP4956171B2 (ja) 2006-12-15 2012-06-2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DE102007005253A1 (de) * 2007-02-02 2008-08-07 Deere & Company, Moline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5087358B2 (ja) * 2007-10-01 2012-12-0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JP5401682B2 (ja) * 2008-04-18 2014-01-29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電動対地作業車両
US8214113B2 (en) * 2008-06-30 2012-07-03 Caterpillar Inc. Retarding system that retards motion of power source
EP2334525B1 (en) * 2008-09-08 2020-05-2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of a work machine and brake system for a work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0667A (zh) 2014-10-01
WO2013108888A1 (ja) 2013-07-25
JP2013147148A (ja) 2013-08-01
EP2805857B1 (en) 2017-07-26
CN104080667B (zh) 2017-02-22
US20150032337A1 (en) 2015-01-29
EP2805857A1 (en) 2014-11-26
JP5882066B2 (ja) 2016-03-09
KR20140114010A (ko) 2014-09-25
EP2805857A4 (en) 2016-01-27
US9409553B2 (en)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855B1 (ko)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JP5087358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EP2138742B1 (en) Vehicle with vehicle control unit
JP5705755B2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US901722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of a work machine and brake system for a work machine
WO2005120916A1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2009220774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2007071135A (ja)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JP4758075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2007051652A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H023505A (ja) 作業車両のラムロック制御装置
WO2022176991A1 (ja)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の制御方法、および作業機械
JP5087359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EP1550774A2 (en) Ram cylinder control system for wheel type excavator
JP5973326B2 (ja) 作業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5156811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KR101417046B1 (ko) 지게차의 모노페달 시스템
JP2010064694A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