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936U -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936U
KR19990009936U KR2019970023192U KR19970023192U KR19990009936U KR 19990009936 U KR19990009936 U KR 19990009936U KR 2019970023192 U KR2019970023192 U KR 2019970023192U KR 19970023192 U KR19970023192 U KR 19970023192U KR 19990009936 U KR19990009936 U KR 199900099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afety switch
engine forklift
power suppl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3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936U/ko
Publication of KR19990009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36U/ko

Links

Abstract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는 차량상태가 아이들 상태에서 방향조작레버의 위치(전/후진)에 관계없이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에 항상 중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전원공급부와, 솔레노이드 회로를 구비한 엔진지게차에 있어서, 안전스위치를 운전석내부에 장착하고, 안전스위치의 일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에, 다른 일단자는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접속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 또는 이탈시 안전스위치가 온/오프 스위칭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전원공급부로 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안전스위치의 일측단자에는 엔진지게차의 요철 운행시 상기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을 장착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본 고안은 산업용차량중 엔진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지게차의 아이들(Idle)시에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전/후진움직임을 운전자의 시트착/탈석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시트탈석시 방향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에 있다하더라도 항상 중립이 되도록 한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구역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그 동력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나누어진다. 엔진지게차는 주로 아웃도어 영역에서 사용되고 전동지게차는 매연이나 소음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인도어 영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지게차는 마스트조립체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표준형 지게차와, 마스트조립체가 리치레그를 따라 차체에 대하여 전후로 움직이도록 즉, 리치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리치타입 지게차로 분류된다.
표준형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리치타입 지게차는 전기모터와 이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탑재한 이른바 전동 리치타입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지게차중 엔진지게차가 방향 조작레베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엔진지게차의 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엔진지게차의 전진 또는 후진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 조작레버(15)와, 방향조작레버(5)중 전진(Forward)방향 레버선택시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전자적으로 스위칭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전자밸브(11)와, 제 1 전자밸브(11)의 스위칭에 따라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진방향으로 엔진지게차가 동작되도록 유압을 발생하는 제 1 유압밸브(12)와, 방향조작레버(5)중 후진(Reverse)방향 레버선택시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전자적으로 스위칭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전자밸브(13)와, 제 2 전자밸브(13)의 스위칭에 따라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진방향으로 엔진지게차가 동작되도록 유압을 발생하는 제 2 유압밸브(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전자밸브(11, 13)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엔진지게차의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방향 조작레버(15)가 전진방향(F)에 위치하였을 경우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제 1 전자밸브(11)로 인가되어 제 1 전자밸브(11)가 구동된다. 제 1 전자밸브(11)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전진방향 유압밸브(12)로 전달되어 엔진지게차가 전진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한 유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풋 브레이크(Foot Brake)(미도시)를 밟지않은 상태에서 액셀레이터(미도시)를 밟게되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엔진지게차는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방향 조작레버(15)를 후진방향(R)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제 2 전자밸브(13)로 인가되어 제 2 전자밸브(13)가 구동된다. 제 2 전자밸브(13)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후진방향 유압밸브(14)로 전달되어 엔진지게차가 후진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한 유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풋 브레이크를 밟지않은 상태에서 액셀레이터를 밟게되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엔진지게차는 후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보통 엔진지게차의 정차시 또는 브레이크를 밟게 되는 상태에서는 방향조작레버(15)를 중립(N)으로 위치시키는게 보통이다. 이와같이 방향조작레버(15)를 중립으로 위치하게 되면 전원공급부(10)에서 제 1 , 2 전자밸브(11, 13)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엔진지게차의 전진 또는 후진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도 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동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만이 동작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지게차는 아이들상태에서 운전자의 이탈이나, 작업보수시 또는 평탄한 도로에서 운전자가 사이드브레이크를 잡지 않고 방향조작레버를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엔진지게차의 좌석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엔진지게차에 약간의 충격을 가하게 되면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으로 밀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이탈시 방향조작레버를 반드시 중립으로 위치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운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향조작레버를 중립으로 위치시켜 놓고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 운전자의 부주의로 이탈시 방향조작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으로 전환되게 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밀림으로 차량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상태가 아이들 상태에서 방향조작레버의 위치(전/후진)에 관계없이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에 항상 중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시트 21 : 전원공급부
22, 24 : 제 1, 2 전자밸브 23, 25 : 제 1, 2 유압밸브
26 : 방향조작레버 27 : 안전스위치
27a : 탄성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의 특징은 방향조작레버와, 전원공급부와, 솔레노이드 회로를 구비한 엔진지게차에 있어서, 안전스위치를 운전석내부에 장착하고, 안전스위치의 일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에, 다른 일단자는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접속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 안전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엔진지게차가 중립을 유지하게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안전스위치의 일측단자에는 엔진지게차의 요철운행시 온/오프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을 장착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써,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시트(20)에 착석하거나 이탈할 경우 온/오프 스위칭되도록 안전스위치(27)를 시트(20)내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안전스위치(27)의 일측단자는 전원공급부(21)와 연결하고, 다른 일측단자는 제 1, 2 전자밸브(22, 24)의 일단자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2 전자밸브(22, 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한편, 안전스위치(27)의 양단자중 전원공급부(21)측의 일단자에는 운전자가 시트(20)에서 이탈할 경우 탄성에 의해 안전스위치가 오프될 수 있도록 하고, 엔진지게차가 요철통과시 안전스위치(27)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스프링(27a)를 장착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추가로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 시트(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방향조작레버(26)를 전진방향(R)으로 선택하게 되면 안전스위치(27)는 운전자의 착석하는 힘에 의해 온된다. 안전스위치(27)가 온되면 전원공급부(2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안전스위치(27)를 통해 제 1 전자밸브(22)로 인가되어 제 1 전자밸브(22)가 구동된다.
제 1 전자밸브(22)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공급부(2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제 1 유압밸브(23)로 전달되어 엔진지게차가 전진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한 유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풋 브레이크를 밟지않은 상태에서 액셀레이터를 밟게되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엔진지게차는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시트(20)에 착석한 상태에서 후진방향(R)으로 방향조작레버(26)를 선택하게 되면, 안전스위치(27)는 운전자의 착석하는 힘에 의해 온된다. 그리고, 안전스위치(27)가 온되면 전원공급부(2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안전스위치(27)를 통해 제 2 전자밸브(24)로 인가되어 제 2 전자밸브(24)가 구동된다.
제 2 전자밸브(24)가 구동됨에 따라 전원공급부(2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제 2 유압밸브(25)로 전달되어 엔진지게차가 후진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한 유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풋 브레이크를 밟지않은 상태에서 액셀레이터를 밟게되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엔진지게차가 후진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만약, 운전자가 방향조작레버(26)를 중립(N)에 위치시키지 않고, R 또는 F위치에 위치시킨 후, 시트(20)에서 탈석하게 되면 안전스위치(27)는 일접점단자에 부착된 탄성스프링(27a)의 탄성력에 의해 오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방향조작레버(26)를 R 또는 F로 위치시켜놓고 운전석을 이탈하여도 제 1, 2 전자밸브(22, 24)에는 안전스위치(27)의 오프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2 유압밸브(23, 25)가 오픈된다. 이때 제 1, 2 유압밸브(23, 25)가 오픈됨에 따라 어떠한 방향의 유압도 발생되지 않게 되어 즉, 유량이 바이패스(Bypass)되어 엔진지게차는 중립상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모든 동작은 시동스위치(미도시)가 온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는 방향조작레버(26)와 연결된 솔레노이드회로(22, 24)에 안전스위치(27)를 연결하고, 이 안전스위치(27)는 시트내부에 장착하여 운전자가 시트(20)에 앉게 되면, 안전스위치(27)가 클로우즈(Close)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회로(22, 24)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방향조작레버(26) 조작에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시트(20)에서 이탈하게 되면 안전스위치(27)는 탄성스프링(27a)의 탄성력에 의해 오픈(Open)되어 솔레노이드회로(22, 24)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방향조작레버(26)가 어떠한 위치에 선택되어 있더라도 유량이 바이패스되어 중립의 상태 즉, 엔진지게차의 움직임이 없게 된다.
또한, 안전스위치(27)에 부착된 탄성스프링(27a)는 엔진지게차의 요철통과시 스위칭이 오픈상태로 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된 것이다. 즉, 엔진지게차의 요철운행시 운전자가 시트(20)에서 요철에 의해 어느정도 들리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들림현상에 의해 안전스위치(27)가 접점으로부터 오픈되어도 탄성스프링(27a)의 탄성에 의해 안전스위치(27)는 시트에서 운전자가 이탈되지 않는 이상 항상 클로우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는 방향조작레버와 연결된 솔레노이드회로에 안전스위치를 연결하고, 이 안전스위치는 시트내부에 장착하여 운전자의 시트 착석 및 이탈 여부에 따라 안전스위치를 오픈 또는 클로우즈하여 상기 솔레노이이드회로를 온/오프 구동한다. 이때, 운전자가 시트에서 이탈할 경우에는 안전스위치를 오픈시켜 솔레노이드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방향조작레버가 전/후진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항상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방향조작레버와, 전원공급부와, 솔레노이드 회로를 구비한 엔진지게차에 있어서,
    안전스위치를 운전석내부에 장착하고, 안전스위치의 일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에, 다른 일단자는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접속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 안전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위치에 관게없이 엔진지게차를 중립상태로 유지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의 일측단자에는 엔진지게차의 요철 운행시 상기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을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KR2019970023192U 1997-08-26 1997-08-26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KR199900099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92U KR19990009936U (ko) 1997-08-26 1997-08-26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92U KR19990009936U (ko) 1997-08-26 1997-08-26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36U true KR19990009936U (ko) 1999-03-15

Family

ID=6968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192U KR19990009936U (ko) 1997-08-26 1997-08-26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9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58B1 (ko) * 2005-12-23 2007-09-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KR101007484B1 (ko) * 2005-12-27 2011-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58B1 (ko) * 2005-12-23 2007-09-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 제어장치
KR101007484B1 (ko) * 2005-12-27 2011-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599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US20030019702A1 (en) Device for activating a parking brake
KR100655329B1 (ko)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속도 제한장치
KR970040698A (ko) 휠타입 굴삭기의 작업브레이크장치
US20110197699A1 (en) Steering system for forklift
EP1893519B1 (en) Hydraulic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machine
KR19990009936U (ko) 엔진지게차의 안전구동 제어장치
KR20110072420A (ko)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US8355846B2 (en) Pedal lock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KR200303885Y1 (ko) 지게차의 인칭 제어장치
KR100481447B1 (ko) 전동지게차의 유압모터 회전속도 조절장치
KR200155594Y1 (ko) 건설 중장비용 붐의 2단계 위치 제어장치
KR101417046B1 (ko) 지게차의 모노페달 시스템
KR100655332B1 (ko) 지게차의 마스트 작동높이 및 차량 주행속도 제한장치
GB2281884A (en) Self-propelled lift truck with engine speed control
KR0130038Y1 (ko) 지게차의 주행차단용 안전장치
JPH0527297Y2 (ko)
KR0157371B1 (ko) 중장비용 주차브레이크 보호장치
JPH08165097A (ja) 産業車両のコントロールレバーのロック構造
JPH06144210A (ja) 作業車両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616834B2 (ja) 荷役車両
KR890001009Y1 (ko) 건설 중장비의 주행방향 제어장치
KR960004177A (ko) 유압식 쓰레기 운반차의 제어장치
KR19980054689A (ko) 굴삭기의 주행구동장치
KR19990006565U (ko) 지게차의 엔진 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