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019B1 -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019B1
KR100757019B1 KR1020047005382A KR20047005382A KR100757019B1 KR 100757019 B1 KR100757019 B1 KR 100757019B1 KR 1020047005382 A KR1020047005382 A KR 1020047005382A KR 20047005382 A KR20047005382 A KR 20047005382A KR 100757019 B1 KR100757019 B1 KR 10075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drive shaft
slider
moto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619A (ko
Inventor
노므랑즈에르베
Original Assignee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8682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570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4007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0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0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 E05F11/505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3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motors and brakes; of motors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63)를 갖는 전기모터, 윈도우 슬라이더(2), 상기 구동 샤프트(63)에 의하여 구동되는 입력(62)과 상기 슬라이더(2)를 구동시키는 출력(5)을 갖는 전동장치(5,61,62,73), 및 분할 베어링(69)에 의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소자(68)를 구비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상기 기어모터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의 부정한 개방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윈도우와 윈도우 프레임 사이에 있는 물체가 받는 압력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기어모터, 압전소자

Description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 방법{Gear Motor, Power-Window Regul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ndow Regulator}
본 발명은 차량에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s)용 기어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제동 및 역행방지장치를 갖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들은 윈도우를 아래 위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일부 사람들은 차량의 객실에 불법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닫혀있거나 부분적으로 열려진 윈도우에 하방 압력을 가함으로써 차량 윈도우를 열려는 시도를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참조번호 제101087호로 판매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감속기어를 갖는 전기모터를 구비한다. 모터의 구동 샤프트에는 일단에 웜(worm)을 형성하는 이(teeth)가 있다. 이 웜은 휠(wheel)과 맞물려 휠 웜 감속기어(wheel and worm reduction gear)를 형성한다. 휠은 운동을 케이블 구동 드럼(cable driving drum)에 전송한다. 케이블은 윈도우에 부착된 슬라이더(slider)를 아래 위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는, 40% 정도의 전동효율(transmission efficiency)을 갖는 휠 웜 감속기어가 사용된다. 압력이 윈도우에 가해지면, 모터와 낮은 전동효율로 인해 휠의 회전이 고정된다. 따라서 드럼에 의한 윈도우의 아래 위로의 역행방지 구동이 보장된다.
이 장치는 불편하다. 낮은 전동효율로 인해, 실질적으로 드럼에 가해지는 구동력에 비하여 드럼을 구동시키는데 너무 큰 모터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모터는 부피가 크고 값비싸다.
독일특허출원 제DE-A-3110368호에는 드럼에 결합된 구동 부품을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있다. 드럼은 윈도우 슬라이더에 부착된 케이블에 의하여 윈도우를 아래 위로 구동시킨다. 드럼에는 기계적 고정장치가 갖추어져 있다. 구동 샤프트의 축상에 배치된 기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러그들(lugs)이 갖추어져 있다. 이들 러그들은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체에 배열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구동 샤프트가 드럼을 구동시킬 때 해제되고 드럼이 구동 샤프트를 구동시킬 때 고정된다.
이 장치는 복잡하고 값비싸다. 더욱이, 드럼은 부피가 크다. 이 장치는 또한 장애가 감지될 때 윈도우가 올라오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제동 시스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번호 제101087호로 판매된 장치는 또한 안전 시스템(anti-pinch system)을 구비한다. 시스템은 모터의 소비전류와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시스템은 이들 파라미터들의 변화로부터 윈도우 상단과 윈도우 프레임 사이에 물체의 끼임을 감지한다. 그런 후 모터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고 따라서 윈도우의 구동이 멈춰진다.
이러한 안전장치(anti-pinch device)는 불편하다. 물체가 끼이는 때와 윈도우의 운동이 실제로 멈추는 때 사이의 반응시간이 중요하다. 윈도우가 이 반응시간동안에도 여전히 구동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차량에 대하여 승인을 얻는 것도 더욱 어렵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불편함 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기어모터에 대한 필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샤프트를 갖는 전기모터, 윈도우 슬라이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입력(input)과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출력(output)을 갖는 전동장치,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가 구동 샤프트상에 작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찰면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면은 상기 샤프트상에 0.15이상의 마찰계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장치는 기어모터의 출력 속도보다 기어 모터의 입력 속도가 더 높은 감속기어를 갖는다.
상기 감속기어는 웜 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웜이 상기 구동 샤프트상에 제공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구동 샤프트의 저널(journal)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분할 베어링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를 고정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는 저널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압전소자는 상기 저널에 영구히 수용되는 외부면과 베어링상에 작용하는 내부면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피에조수축성(piezostrictive)이다.
압전소자가 슬라이더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고 기어모터의 출력 속도보다 더 높은 기어모터의 입력 속도를 가지는 감속기어 및 상기 구동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기어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샤프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찰면을 가지고, 이 면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샤프트와의 마찰계수가 0.15 이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속기어는 웜 휠 시스템을 가지고, 상기 웜이 상기 구동 샤프트상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구동 샤프트의 저널을 형성하고, 분할 베어링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를 고정시킨다.
기어모터는 저널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압전소자는 상기 저널에 영구히 수용되는 외부면과 베어링에 작용하는 내부면을 갖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피에조수축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선택적으로 구동 샤프트를 제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가 꺼져있을 때 압전소자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때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한 고정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는 2개의 단자를 가지고, 피에조수축성이며, 슬라이더 고정단계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은 모터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단계, 장애를 감지하는 단계, 및 압전소자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은 장애를 감지한 후에,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예로써 및 첨부도면을 참조로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 주어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모터를 구비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모터의 종방향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의 세부항목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윈도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기어모터를 제안한다.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는 모터가 꺼졌을 때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윈도우에 힘을 가함으로써 윈도우를 열게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 윈도우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머무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 레귤레이터(1)는 윈도우에 부착된 슬라이더(2)(미도시)를 구비한다. 슬라이더(2)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guide rail)(3)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케이블(4)은 슬라이더(2)를 구동시킨다. 이 케이블(4) 자체는 드럼(5)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드럼(5)은, 예를 들어 댐퍼(damper)에 의하여, 기어 모터의 휠에 결합된다. 기어 모터는, 예를 들어,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구조체 일부(7)에 고정된다.
도 2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모터(6)는 하우징(67)에 수용된다. 모터(64)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는 로터(65), 전원장치 및 제어장치(66)를 갖는다. 휠(61)은 휠 웜 감속기어의 출력 요소(output element)이다. 휠(61)은 모터(64)의 구동 샤프트(63)상에 제조된 웜기어쌍(worm gear pair)(62)에 의하여 구동된다. 감속기어는 구동 샤프트(63)와 드럼(5) 사이의 기계적 동력의 전달을 보장한다. 감속기어는 또한 기어모터의 출력 속도보다 더 높은 기어모터의 입력 속도를 가진다. 휠 웜 감속기어가 예에서 사용되었지만, 임의 형태의 적절한 감속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댐퍼(damper)(73)는 드럼(5)과 휠(61)을 연결시킨다. 댐퍼는 특히 모터의 과도 구동단계동안 충격을 흡수한다. 드럼(5)은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케이블(4)용의 감기 부품(winding component)으로서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어모터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고정용 압전소자의 사용으로 간단한 형태를 갖는 작은 크기의 고정부(locking part)를 사용하게 한다. 적절한 압전소자는 생산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것은 또한 압전소자를 갖는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압전소자는 제동에 의하여 슬라이더 위치를 고정시킬수 있다. 윈도우에 가해진 500N의 힘으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동을 고정으로 간주한다. 슬라이더 위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역행방지를 보장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에 의한 슬라이더의 구동은 허용되는 반면에, 윈도우에 의한 슬라이더의 구동은 방지된다. 슬라이더의 선택적인 고정을 허용하는 수단이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위치는 모터가 꺼져있을 때 고정되고 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때 그 고정이 해제된다. 역행방지는 선택적이므로, 높은 전동효율을 갖는 감속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력이 약한 모터, 예를 들어 20Watt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더 위치는 도 2의 예에서 압전소자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는 모터의 저널(journal)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모터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드럼의 부피도 증가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압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압전소자는 하우징(67)의 후미부에 위치되거나 하우징(67)의 홀(hole)에 꽉 끼워지게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전소자의 외부면은 하우징의 홀에 영구히 수용될 수 있다. 기어모터(6)의 하우징(67)에 압전소자를 배열하는 것이 이점적이다. 이렇게 하면 압전소자의 전기연결은 모터 전원공급장치 전기연결과 동일한 곳 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1)의 전기 배선이 간단해질 수 있다.
압전소자(68)는 샤프트 회전 가이드 부품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6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분할 베어링(split bearing)(69)이 이러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분할 베어링(69)은 압전소자(68)의 내부면에 수용된다. 분할 베어링은 실질적으로 종축방향의 틈(70)을 갖는다. 따라서 분할 베어링(69)의 직경이 변할 수 있다. 분할 베어링(69)상에 방사상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틈(70)의 폭과 분할 베어링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63)상의 분할 베어링(69)에 의하여 가해진 제동력이 증가된다. 압전소자(68)가 팽창된 위치에 있을 때, 즉, 내부직경이 최대 크기가 될 때, 압전소자(68)의 내부면이 분할 베어링(69)상에 작용하고 틈(70)의 폭을 감소시킨다. 그런 후 구동 샤프트(63)의 회전이 분할 베어링(69)에 의하여 고정된다.
석영(quartz) 또는 바륨 티타네이트(barium titanate)로 제조된 압전소자(68)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에조수축성 재료(piezostrictive material)가 압전소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는 유휴시에팽창된 위치에 있거나 고정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다 된 배터리로 인해, 압전소자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압전소자(68)는 여전히 슬라이더 위치를 계속 고정시킨다. 10㎜×8㎜×5㎜ 압전소자가 슬라이더상에 500N의 고정력을 보장하도록 감속비가 73인 감속기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전극들 사이에 12 내지 60V의 해제전압을 가하면 구동 샤프트가 해제된다.
한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압전소자의 외주에 배치되고 또 다른 전극은 압전소자의 내주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전소자의 내부 직경의 더 큰 변화가 보장된다.
소결되고 연마된 청동으로 제조된 분할 베어링(69)이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직경 8㎜, 최소 두께 5㎜ 및 최소 외부 직경 10㎜의 치수를 갖는 베어링이 구동 샤프트(63)의 고정을 보장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압전소자(68)가 구동 샤프트(63)상에 직접 작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와의 마찰계수가 큰 마찰면을 갖는 압전소자(68)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동 샤프트와의 마찰계수가 큰 코팅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코팅은 예를 들어 구동 샤프트와 접촉하게 되는 압전소자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0.15 이상의 마찰계수를 갖는 마찰면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감속기어의 상류에, 그리고 특히 구동 샤프트 상에, 압전소자(68)를 배열하는 것이 이점적이다. 감속기어가 슬라이더상의 압전소자에 의하여 가해진 제동 토크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감소된 제동력을 갖는 압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압전소자(68)는 또한 슬라이더(2)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상에 압전소자를 배열하는 것이 이러한 제동을 실행하는데 또한 유리하다. 윈도우의 장애가 감지되면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동할 수 있다. 압전소자를 사용한 제동으로 모터의 관성이 더 신속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와 윈도우의 장애식별과 정지 사이의 반응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더의 운동이 역행이 방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압전소자가 이 용도로 사용된다.
모터 전원공급의 제어를 겸비한 압전소자 제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는 실행되는 동작에 따라 압전소자의 단자에 여러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감지된 외부 조건들, 예를 들어, 온도, 모터의 전원공급 상태 또는 물체의 끼임에 따라 서로 다른 제동전압 또는 해제전압(unlocking voltages)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술된 기어 모터와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동작 방법에 따르면, 슬라이더 위치는 모터가 꺼져있을 때 압전소자에 의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어, 압전소자는, 예컨대 피에조수축성 압전소자가 사용될 때, 이 단계동안 유휴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위치는, 모터에 동력이 공급될 때, 예를 들어, 압축성 압전소자가 여기됨으로써 그 고정이 해제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제 2 동작 방법에 따르면, 모터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단계들이 실행된다. 윈도우의 장애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다. 그런 후, 예를 들어 장애가 감지될 때, 제동명령이 압전소자에 전해진다. 그리고 나서 슬라이더의 운동이 압전소자에 의하여 제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의 감지후에 모터로의 전원공급이 단락(short- circuit)된다. 따라서 모터 제동에 의하여 추가적인 제동이 제공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되고 도시된 예들 및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나, 당업자에게는 사용하기 쉬운 많은 실시예들이 공개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상에 슬라이더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주로 설명되어 있으나, 물론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이와 같은 고정을 실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상에 위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작용하는 압전고정소자를 설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어 모터의 하우징에 작용하는 감속기어 휠에 압전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0)

  1. 구동 샤프트(63)를 갖는 전기모터;
    윈도우 슬라이더(2);
    상기 구동 샤프트(63)에 의하여 구동되는 입력(input)(62)과 상기 슬라이더(2)를 구동시키는 출력(output)(5)을 갖는 전동장치(5,61,62,73); 및
    분할 베어링(69)에 의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소자(68)를 구비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68)가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찰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이 상기 샤프트상에 0.15이상의 마찰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기어모터의 출력 속도보다 더 높은 기어모터의 입력 속도를 가지는 감속기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웜 휠 시스템(62,61)을 구비하고, 상기 웜(62)이 상기 구동 샤프트(63)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구동 샤프트의 저널(journa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저널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저널에 영구히 수용되는 외부면과 상기 베어링상에 작용하는 내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piezoelement)는 피에조수축성(piezostrict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슬라이더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10. 구동 샤프트(63);
    상기 구동 샤프트(63)에 연결되고 기어모터의 출력 속도보다 더 높은 기어 모터의 입력 속도를 가지는 감속기어; 및
    분할 베어링(69)에 의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63)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압전소자(68)를 구비하는 기어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샤프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찰면을 가지며, 이 면은 상기 샤프트와의 마찰계수가 0.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웜 휠 시스템(62,61)을 가지고, 상기 웜(62)이 상기 구동 샤프트(63)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저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모터는 저널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저널에 영구히 수용되는 외부면과 상기 베어링에 작용하는 내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피에조수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구동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터.
  17. 모터가 꺼져있을 때 압전소자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때 슬라이더의 위치 고정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2개의 단자를 가지고, 피에조수축성이며, 슬라이더 고정단계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
  19. 모터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단계;
    장애를 감지하는 단계; 및
    압전소자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장애를 감지한 후에, 상기 모터로의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동작방법.
KR1020047005382A 2001-10-12 2002-10-11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동작 방법 KR100757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3198A FR2830895B1 (fr) 2001-10-12 2001-10-12 Motoreducteur, leve-vitre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e leve-vitre
FR01/13198 2001-10-12
PCT/FR2002/003483 WO2003032471A1 (fr) 2001-10-12 2002-10-11 Motoreducteur, leve-vitre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e leve-vit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19A KR20040072619A (ko) 2004-08-18
KR100757019B1 true KR100757019B1 (ko) 2007-09-07

Family

ID=886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382A KR100757019B1 (ko) 2001-10-12 2002-10-11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동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22006B2 (ko)
EP (1) EP1436880B1 (ko)
KR (1) KR100757019B1 (ko)
CN (1) CN1568567A (ko)
AT (1) ATE308152T1 (ko)
DE (1) DE60206951T2 (ko)
FR (1) FR2830895B1 (ko)
WO (1) WO20030324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39B1 (ko) 2009-01-08 2010-12-2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40031865A (ko) * 2011-03-10 2014-03-13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능동적으로 지지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3768A1 (de) * 2003-06-18 2004-12-29 Robert Bosch Gmbh Getriebe-antriebseinheit
DE10345867A1 (de) * 2003-10-01 2005-04-2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klemmen zweier drehbar gegeneinander gelagerten Teile
US20070095595A1 (en) * 2005-11-02 2007-05-0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Anti-squeeze method utilizing airbag information
US20070199246A1 (en) * 2006-02-28 2007-08-30 Renke David T Window regulator cable drum
EP2027642A1 (en) * 2006-06-13 2009-02-25 Linak A/S Actuator
US8493081B2 (en) 2009-12-08 2013-07-23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and sensor hook-on attachment principle
US9234979B2 (en) 2009-12-08 2016-01-12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DE102010013597B3 (de) * 2010-03-31 2011-06-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ystems eines Stellelementes eines Kraftfahrzeugs sowie entsprechendes Antriebssystem
JP5392579B2 (ja) * 2011-02-02 2014-01-22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及び回転装置
DE202012011018U1 (de) * 2012-04-21 2012-12-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antrieb
JP2015163012A (ja) * 2014-02-28 2015-09-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
DE102014008092B4 (de) * 2014-06-02 2020-07-16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ischer Stellantrieb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16479A1 (de) 2016-09-01 2018-03-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torhohlwelle mit Doppelwandung
CN111934488B (zh) * 2020-08-07 2021-02-09 江苏川钿明椿电气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减速电机铝线马达
CN112165205B (zh) * 2020-09-25 2022-04-22 宁波精成电机有限公司 一种马达消除异音结构及汽车摇窗驱动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2748A (en) 1977-06-18 1981-07-08 Daimler Benz Ag Motor vehicle with a servo-actuated clo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0368C2 (de) 1981-03-17 1986-09-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Antriebs- und Brem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o.dgl.
JPS60204272A (ja) * 1984-03-28 1985-10-15 Hitachi Metals Ltd 圧電制動機構
DE9012416U1 (ko) * 1990-08-30 1990-10-31 Kuester & Co Gmbh, 6332 Ehringshausen, De
WO1999054988A1 (en) * 1998-04-23 1999-10-28 Omnific International, Ltd. Specialized actuators driven by oscillatory transducers
US6308461B1 (en) * 1999-09-08 2001-10-30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path of an automotive window utilizing a piezoelectric sensor
DE29918221U1 (de) * 1999-10-15 2001-02-22 Dewert Antriebs Systemtech Linearantrieb
US6448729B1 (en) * 2000-06-21 2002-09-10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resistive force applied against an automotive power wind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2748A (en) 1977-06-18 1981-07-08 Daimler Benz Ag Motor vehicle with a servo-actuated clos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39B1 (ko) 2009-01-08 2010-12-2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40031865A (ko) * 2011-03-10 2014-03-13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능동적으로 지지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 장치
KR101649686B1 (ko) 2011-03-10 2016-08-19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능동적으로 지지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19A (ko) 2004-08-18
EP1436880A1 (fr) 2004-07-14
US20050017600A1 (en) 2005-01-27
FR2830895A1 (fr) 2003-04-18
CN1568567A (zh) 2005-01-19
WO2003032471A1 (fr) 2003-04-17
DE60206951T2 (de) 2006-07-27
EP1436880B1 (fr) 2005-10-26
FR2830895B1 (fr) 2004-02-20
US6922006B2 (en) 2005-07-26
ATE308152T1 (de) 2005-11-15
DE60206951D1 (de)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019B1 (ko) 기어 모터,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동작 방법
CN106065752B (zh) 机电式撑杆和允许及防止车辆的闭合构件的运动的方法
US6837357B2 (en) Drive unit for actuating a parking brake in a vehicle
JP3358018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JP4120074B2 (ja) 自動開閉体の挟み込み防止装置
JP4254212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制御システム
US6431330B1 (en) Brake arrangement for a land vehicle
JP3813518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US20110303032A1 (en) Gearing mechanism
US645603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roller
WO2004027290A2 (en) A linear actuator with self-locking spindle
JP2000179232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5503979A (ja) エレベータドア用の小型駆動部
JP2002201883A (ja) ブラインド装置
CN113677865A (zh) 用于闭合面板的直接驱动线缆操作的致动系统
JP3857459B2 (ja) ドア開閉装置
GB2320944A (en) Roller blind:drum brake
JP3627744B2 (ja) 開閉体の駆動装置
CN2871269Y (zh) 齿轮传动马达,窗户调节器
JP2506239B2 (ja) シャッタ、主にロ―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JP2004120850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2002264804A (ja) 車両用ドア押え装置
RU2176014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ивод
JP2004169731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6042465A (ja) ブレーキ機構付き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