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579B1 -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579B1
KR100747579B1 KR1020050035637A KR20050035637A KR100747579B1 KR 100747579 B1 KR100747579 B1 KR 100747579B1 KR 1020050035637 A KR1020050035637 A KR 1020050035637A KR 20050035637 A KR20050035637 A KR 20050035637A KR 100747579 B1 KR100747579 B1 KR 10074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unit
air conditioning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913A (ko
Inventor
염관호
이주연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79B1/ko
Priority to US11/412,138 priority patent/US20060243815A1/en
Priority to JP2006126181A priority patent/JP2006308280A/ja
Priority to CN2006100772464A priority patent/CN1854623B/zh
Priority to EP06008859A priority patent/EP1717524B1/en
Priority to DE602006002420T priority patent/DE602006002420D1/de
Publication of KR2006011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다수의 환기 장치에 대한 연동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group)으로 나누어진 다수의 공간(zone)에 대하여, 각 공간에 설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 상기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각 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와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되어 해당 공간의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 그리고, 상기 냉난방 장치 및 환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 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그룹별로 냉난방 기능과 환기 기능을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다수의 환기 장치에 대한 연동 운전을 중앙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각 구역의 냉난방 장치와 환기 장치를 연동 운전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켜 공조 시스템의 공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공조 시스템, 냉난방 장치, 환기장치, 통신 케이블, 연동 운전, 그룹 제어

Description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건물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축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냉난방 장치
110: 실내기 130: 실외기
150: 전원선 통신라인
200: 환기 시스템
210: 환기장치 230: 그룹 제어기
250: 메인 제어기 250': 개별 제어기
260: 제 1 통신라인
300: 중앙 제어장치
310: 고급 중앙제어기 330: 단순 중앙제어기
350: 적산 전력 시스템
500: 네트워크 통신라인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다수의 환기 장치를 연동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고층 건물의 증가로 인해 상기 건물 내의 공조 환경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공조 시스템의 급속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공간의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등의 냉난방 장치(10)와, 실내의 탁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는 환기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냉난방 장치(10)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컨이다.
최근에는 여러 개의 룸(room)에 각각 실내기를 설치하고, 이 실내기들과 공통으로 연결된 하나의 실외기로 구성된 멀티 에어컨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에서 실외기 및 각 실내기는 서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는 운전/정지, 잠금기능 및 냉난방 절환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각 룸마다의 개별 냉난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조 시스템을 이루는 환기 장치(20)는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룸으로 연결된 환기 덕트와, 상기 환기 덕트의 관로상에 구비된 환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환기 장치(20)를 이루는 환기팬은 조작부(40)를 통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그 동작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조 시스템의 경우, 실내의 냉/난방 기능과 실내의 환기 기능은 서로 연동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의 공조 효과를 최대화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난방 장치(10)의 조작부(30)와 환기장치(20)의 조작부(40)를 RS-232와 같은 통신 케이블(50)을 통해 연결 구성하며, 이로 인해 상호간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여 연동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동 운전이라 함은 냉난방 운전 시점을 고려한 환기장치(20)의 동작 시점 판단, 또는 환기 운전 시점을 고려한 냉난방 장치(10)의 동작 시점 판단 등과 같이 최고의 냉난방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냉난방 장치(10)와 환기장치(20) 간의 정보를 주고받아 실내환경에 맞는 환기와 적절한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난방 장치(10)와 환기 장치(20)의 연동운전은 1:1로 연결 구성된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다수의 냉난방장치 대 다수의 환기장치로 이루어진 공조 시스템일 경우 그 제어가 어려울 뿐 아니라 통신의 복잡성으로 인해 시스템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환기장치를 연동 운전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환기장치를 연동 운전시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간에 대하여, 각 공간에 설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 상기 냉난방 장치 설치된 각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환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 그리고 상기 냉난방 장치 및 환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이 그룹별로 제어되도록 하고, 각 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냉난방 기능과 환기 기능을 위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을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로 구성되고,
하나의 그룹에 대한 상기 냉난방 장치는 동일그룹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동일그룹 내 모든 실내기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실외기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그룹에 대한 상기 환기 시스템은 동일그룹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장치와 동일그룹 내 모든 환기장치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실외기와 실내기, 또는 상기 환기 시스템의 제 어수단과 환기장치는 전원선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냉난방 장치, 또는 중앙 제어장치와 환기 시스템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과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운전을 원격 제어하는 고급 중앙제어기와,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이 이더넷을 통해 상기 고급 중앙제어기와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순 중앙제어기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파악하여 각 실내기 또는 환기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적산전력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난방 장치의 실외기는 실외정보 및 자신에게 연결된 실내기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각 실내기의 운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시스템의 제어수단은 자신에게 연결된 환기장치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각 환기장치의 운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환기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된 다수의 냉난방 장치 및, 하나의 제어기에 하나 이상의 환기 장치가 연결된 다수의 환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그룹(group)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간(zone)에 대하여, 각 공간에 실내기와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실외기 및 제어기가 중앙 제어장치와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실외기 및 제어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여 그룹별 제어되도록 각 공간의 실내기 및 환기 장치에 대한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각 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실내기와 환기장치를 연동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다수의 환기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장치를 통하여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간의 연동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축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100)와 다수의 환기시스템(200)이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해 중앙 제어장치(300)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장치(300)에 의해 냉난방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간의 연동 운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11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실외기(13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냉난방 장치(100)를 복수 개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장치(21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제어수단(230, 250, 250')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환기 시스템(200)을 복수 개 구성하고, 상기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간의 연동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300)를 상기 냉난방 장치(100) 및 환기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냉난방 장치(100)는 멀티 타입과 다 압축기 타입의 경우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 구성되며, 패키지 타입(PAC; package air conditioner)과 벽장착 타입(RAC; room air conditioner)의 경우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대일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난방 장치(100)의 실내기(110)와 실외기(130)는 전원선 통신라인(150)을 통해 연결되어, 실내기(110)와 실외기(13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외기(130)는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실내기(110)의 실내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이를 중앙 제어장치(3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에서 출력된 운전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실내기(11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시스템(200)은 다수 개의 환기 장치(210)를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는 그룹 제어기(230)와, 하나 이상의 그룹 제어기(230)와의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기(250)로 구성된다.
또한, 환기 장치(210)를 일대 일로 연결 구성하여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제어기(2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210)와 그룹 제어기(230), 또는 그룹 제어기(230)와 메인 제어기(250), 또는 환기장치(210)와 개별 제어기(250')는 각각 전원선 통신라인(260)을 통해 서로 연결 구성되어 환기장치(210)와 제어수단(그룹 제어기, 메인 제어기, 개별 제어기)(230, 250, 25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그룹 제어기(230), 메인 제어기(250) 및 개별 제어기(250')는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환기장치(210)의 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이를 중앙 제어장치(3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중앙 제어장치(300)에서 출력된 운전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환기장치(21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와 냉난방 장치(100), 또는 중앙 제어장치(300)와 환기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을 통해 연결 구성된다.
다시 말해, 실내기(110)의 실내정보를 공유하는 실외기(130)와; 환기장치(210)의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수단(그룹 제어기, 메인 제어기, 개별 제어기)(230, 250, 250')은 중앙 제어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을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냉난방 장치(100)의 실외기(130)와 환기 시스템(200)의 제어수단(230, 250, 250')으로부터 실내기(110) 및 환기장치(210)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근거하여 실내기(110) 및 환기장치(210)의 연동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보통, 실내기(110)와 환기장치(210)의 경우 한 구역(Zone)에 함께 설치하게 되므로 구역별(A)(B)(C)로 해당 구역의 실내정보를 고려하여 동일구역에 설치된 실내기(110)와 환기장치(210)를 연동 운전시키는 것이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이더넷(Ethernet)(311)을 통해 냉난방 장치(100) 또는 환기 시스템(200)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100) 또는 환기 시스템(200)의 연동 운전을 원격 제어하는 고급 중앙제어기(310)와, 상기 냉난방 장치(100) 또는 환기 시스템(200)이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에 연결되어 이더넷(311)을 통해 고급 중앙제어기(310)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게이트웨이 (31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냉난방 장치(100) 및 환기 시스템(200)과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을 통해 단순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100) 또는 환기 시스템(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순 중앙제어기(33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6실의 실내기 정보를 가진 실외기의 경우 16실 제어용 단순 중앙제어기를 이용하여 16실의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든 실내기(110) 또는 환기 장치(210)의 소비 전력을 파악하여 각 실내기(110) 또는 환기 장치(210)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적산전력 시스템(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모든 실내기(110) 및 환기장치(210)의 전력에 대한 중앙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에 있어,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의 연동 운전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여름철의 경우 공조 시스템의 연동 운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중앙 제어장치(300)는 냉난방 장치(100) 및 환기 시스템(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을 통해 연결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모든 실내기(110)의 정보를 공유하는 실외기(130)로부터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별 실내기(110)에서 감지된 실내온도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된다(S10).
이때,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의 실내온도 레벨을 근거하여 구역별 실내기(110)와 환기장치(210)의 연동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에서 출력된 운전 제어신호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냉난방 장치(100)의 실외기(130)와 환기 시스템(200)의 제어수단(230, 250, 250')으로 전송되고, 상기 실외기(130)와 제어수단(230, 250, 250')은 중앙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운전 제어신호에 따라 각 구역의 실내기(110)와 환기장치(210)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외기(130)로부터 수신된 실외온도 레벨을 판단하여(S12), 현재 실외온도가 기 설정된 제 1 실외설정온도(T1) 이상으로 높을 경우 구역별 실내기(110)의 실내온도 레벨을 판단한다(S14).
현재 실외 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 이상으로 높고 특정 구역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C1) 이상으로 높을 경우 해당 구역의 실내온도를 신속하게 내리기 위해 환기장치(210)를 정지시키고 실내기(110)의 풍량(냉풍)을 '강풍'으로 설정한다(S16).
한편, 현재 실외 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 이상으로 높으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C1)보다 낮고 제 2 실내설정온도(C2)보다 높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약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중풍'으로 설정한다(S18, S20).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 이상으로 높으나 실내온도가 제 2 실내설정온도(C2)보다 낮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중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약풍'으로 설정한다(S22).
한편,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보다 낮고 제 2 실외설정온도(T2)보다 높을 경우, 특정 구역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C1)보다 낮고 제 2 실내설정온도(C2)보다 높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약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중풍'으로 설정한다(S24~S28).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보다 낮고 제 2 실외설정온도(T2)보다 높을 경우, 실내온도가 제 2 실내설정온도(C2)보다 낮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중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약풍'으로 설정한다(S30).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2 실외설정온도(T2) 이하로 낮을 경우 해당 구역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장치(210)를 '강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정지시킨다(S32).
이와 같이, 여름철 환기장치(210)와 실내기(110)의 연동운전을 제어하는데 있어, 주기적으로 실외기(130)로부터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별 실내기(110)의 실내온도를 수신하여 실외온도 및 각 구역의 실내온도에 따라 환기장치(210)와 실내기(110)의 운전 조건을 재설정한다.
도 6은 겨울철의 경우 공조 시스템의 연동 운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모든 실내기(110)의 정보를 공유하는 실외기(130)로부터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별 실내기(110)에서 감지된 실내온도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된다(S50).
이때, 상기 중앙 제어장치(300)는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의 실내온도 레벨을 근거하여 구역별 실내기(110)와 환기장치(210)의 연동 운전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외기(130)로부터 수신된 실외온도 레벨을 판단하여(S52),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 이하로 낮을 경우 구역별 실내기(110)의 실내온도 레벨을 판단한다(S54).
현재 실외 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 이하로 낮고 특정 구역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H1) 이하로 낮을 경우 해당 구역의 실내온도를 신속하게 올리기 위해 환기장치(210)를 정지시키고 실내기(110)의 풍량(온풍)을 '강풍'으로 설정한다(S56).
한편, 현재 실외 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 이하로 낮으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H1)보다 높고 제 2 실내설정온도(H2)보다 낮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약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중풍'으로 설정한다(S58, S60).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 이하로 낮으나 실내온도가 제 2 실내설정온도(H2)보다 높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중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약풍'으로 설정한다(S62).
한편,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보다 높고 제 2 실외설정온도 (T22)보다 낮을 경우, 특정 구역의 실내온도가 제 1 실내설정온도(H1)보다 높고 제 2 실내설정온도(H2)보다 낮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약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중풍'으로 설정한다(S64~S68).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1 실외설정온도(T11)보다 높고 제 2 실외설정온도(T22)보다 낮을 경우, 실내온도가 제 2 실내설정온도(H2)보다 높으면 해당 구역의 환기장치(210)를 '중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약풍'으로 설정한다(S70).
그리고, 현재 실외온도가 제 2 실외설정온도(T22) 이상으로 높을 경우 해당 구역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장치(210)를 '강풍'으로 설정하고 실내기(110)를 정지시킨다(S72).
이러한 공조 과정에서 실외기(130)로부터 현재 실외온도와 각 구역별 실내기(110)의 실내온도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외온도 및 각 구역의 실내온도에 따라 환기장치(210)와 실내기(110)의 운전 조건을 재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을 네트워크 통신라인(500)을 통해 중앙 제어장치(300)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중앙 제어장치(300)에서 다수의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에 대한 연동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실내기(110) 정보를 가진 실외기(130), 또는 다수의 환기장치(210) 정보를 가진 제어수단(230, 250, 25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냉난방 장치(100)와 환기 시스템(200)에 대한 구역별 제어 및 그룹별 제어가 가능하 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냉난방 장치와 다수의 환기 장치에 대한 연동 운전을 중앙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각 구역의 냉난방 장치와 환기 장치를 연동 운전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켜 공조 시스템의 공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간에 대하여, 각 공간에 설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
    상기 냉난방 장치 설치된 각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환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 그리고,
    상기 냉난방 장치 및 환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이 그룹별로 제어되도록 하고, 각 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냉난방 기능과 환기 기능을 위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와 환기 시스템을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장치로 구성되고,
    하나의 그룹에 대한 상기 냉난방 장치는 동일그룹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동일그룹 내 모든 실내기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실외기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그룹에 대한 상기 환기 시스템은 동일그룹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장치와 동일그룹 내 모든 환기장치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실외기와 실내기는 전원선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시스템의 제어수단과 환기장치는 전원선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와 냉난방 장치, 또는 중앙 제어장치와 환기 시스템은 네 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과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운전을 원격 제어하는 고급 중앙제어기와,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이 이더넷을 통해 상기 고급 중앙제어기와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순 중앙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 또는 환기 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파악하여 각 실내기 또는 환기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적산전력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실외기는
    실외정보 및 자신에게 연결된 실내기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각 실내기의 운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시스템의 제어수단은
    자신에게 연결된 환기장치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각 환기장치의 운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환기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0.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된 다수의 냉난방 장치 및, 하나의 제어기에 하나 이상의 환기 장치가 연결된 다수의 환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그룹(group)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간(zone)에 대하여, 각 공간에 실내기와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실외기 및 제어기가 중앙 제어장치와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실외기 및 제어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여 그룹별 제어되도록 각 공간의 실내기 및 환기 장치에 대한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각 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서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실내기와 환기장치를 연동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각 구역별 실내기 및 환기장치의 연동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외기로부터 현재 실외온도 및 각 구역별 실내기의 실내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실외온도와 각 구역의 실내온도에 따라 해당 구역의 실내기 풍량과 환기장치 풍량을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실내기 및 환기장치가 운전하는 동안 각 구역별 실내기 및 환기장치의 소비전력을 파악한 후 실내기 및 환기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35637A 2005-04-28 2005-04-28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4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37A KR100747579B1 (ko) 2005-04-28 2005-04-28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412,138 US20060243815A1 (en) 2005-04-28 2006-04-27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126181A JP2006308280A (ja) 2005-04-28 2006-04-28 空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006100772464A CN1854623B (zh) 2005-04-28 2006-04-28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EP06008859A EP1717524B1 (en) 2005-04-28 2006-04-28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602006002420T DE602006002420D1 (de) 2005-04-28 2006-04-28 Klimaanlag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37A KR100747579B1 (ko) 2005-04-28 2005-04-28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913A KR20060112913A (ko) 2006-11-02
KR100747579B1 true KR100747579B1 (ko) 2007-08-08

Family

ID=3669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637A KR100747579B1 (ko) 2005-04-28 2005-04-28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43815A1 (ko)
EP (1) EP1717524B1 (ko)
JP (1) JP2006308280A (ko)
KR (1) KR100747579B1 (ko)
CN (1) CN1854623B (ko)
DE (1) DE602006002420D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235A (ko) * 2015-03-23 2016-10-05 금호이앤지 (주) 백넷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의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
KR20160122572A (ko)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공조 제어 시스템
WO2017119783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자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58620B1 (ko) * 2017-05-08 2017-07-18 박종성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반도체 설비의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0676B2 (ja) * 2005-12-16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RU2363973C2 (ru) * 2006-12-13 2009-08-10 Николай Валентинович Татарченко Модульная инженерная система
KR100857139B1 (ko) * 2007-02-01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작성방법
KR20080085934A (ko) * 2007-02-08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업데이트 기능을 구비한 원격관리 시스템
JP5502619B2 (ja) * 2010-07-05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20085110A (ko) * 2011-01-21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와, 이의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WO2012120322A1 (en) * 2011-03-04 2012-09-13 Carrier Corporation Control of active climatic beams
CN103162373A (zh) * 2011-12-14 2013-06-19 丹佛斯(天津)有限公司 一种控制器、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6029046B2 (ja) * 2012-03-29 2016-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空調設備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017303A (zh) * 2012-12-19 2013-04-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空调控制系统
CN102997381B (zh) * 2013-01-07 2014-12-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系统
CN103423837B (zh) * 2013-07-25 2015-09-30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自由静压风管机
CN103472779B (zh) * 2013-08-30 2016-02-10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智能家居楼宇控制系统及其接入空调系统的方法
CN103900197A (zh) * 2014-03-25 2014-07-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空调
CN105783178B (zh) * 2014-12-23 2019-03-2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集中控制器的控制方法
CN104898436A (zh) * 2015-04-21 2015-09-09 仪征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多台分散布置的空调集中自动控制装置
JP6497195B2 (ja) * 2015-04-28 2019-04-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KR102488347B1 (ko) * 2018-01-10 2023-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서 에어 컨디셔너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131857B (zh) * 2018-02-09 2021-05-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系统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302742B (zh) * 2018-04-13 2020-05-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的控制器和空调器
CN108895617B (zh) * 2018-05-17 2024-01-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系统和空调器系统的通信方法
JP2021042918A (ja) 2019-09-12 2021-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35A (ja) * 2002-04-15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40090462A (ko) * 2003-04-15 2004-10-25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구죠시스템 공조 시스템
KR20050034414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706A (en) * 1875-03-09 Improvement in washing-machines
US209739A (en) * 1878-11-05 Improvement in rails
US244402A (en) * 1881-07-19 Jonas h
US4267967A (en) * 1978-08-28 1981-05-19 J.C. Penney Company Inc. Two-speed automatic control of supply fans
US4386649A (en) * 1980-07-15 1983-06-07 Nuclear Systems, Inc. Programmable thermostatic control device
US4393662A (en) * 1981-09-28 1983-07-19 Dirth George P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on 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JPS5946439A (ja) * 1982-09-08 1984-03-15 Toshiba Corp スプリツトエアコンの制御信号回路
US4659009A (en) * 1985-04-04 1987-04-21 A. T. Newell Co. Inc.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with humidity control and method
JPS6380153A (ja) * 1986-09-19 198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調制御装置
JPS6470636A (en) * 1987-09-10 1989-03-16 Toshiba Corp Air-conditioning machine
JPH03282150A (ja) * 1990-03-30 1991-12-1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式
AU649810B2 (en) * 1991-05-09 1994-06-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926282B2 (ja) * 1991-06-06 1999-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CN2230414Y (zh) * 1995-07-21 1996-07-03 王向真 空调房间自动换气控制器
JP3074595B2 (ja) * 1995-08-02 2000-08-07 株式会社山武 ホテルの空調制御システム
CN1106541C (zh) * 1995-11-17 2003-04-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US5944098A (en) * 1997-07-17 1999-08-31 Jackson; Ronald E. Zone control for HVAC system
US5963458A (en) * 1997-07-29 1999-10-0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Digital controller for a cooling and heating plant having near-optimal global set point control strategy
US6220518B1 (en) * 1999-05-13 2001-04-24 Acutherm L.P. Process and apparatus for individual adjustment of the temperature set points of a plurality of VAV devices
JP2003185222A (ja) * 2001-12-12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システム
KR100493705B1 (ko) * 2002-10-02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운전되는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
US6694759B1 (en) * 2003-01-27 2004-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ssure control of cooling fluid within a plenum using automatically adjustable vents
US20040159713A1 (en) * 2003-02-19 2004-08-19 Schmidt Thomas L. Thermostat controlled vent system
JP4044464B2 (ja) * 2003-03-17 2008-02-06 東邦瓦斯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251891B2 (ja) * 2003-03-17 2009-04-08 東邦瓦斯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KR100519306B1 (ko) * 2003-05-28 2005-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CN2630715Y (zh) * 2003-06-24 2004-08-04 黄加玉 利于节能的空调、排风扇控制装置
US7320362B2 (en) * 2004-06-28 2008-0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ynamic fluid delivery system with compensation
KR100617080B1 (ko) *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35A (ja) * 2002-04-15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40090462A (ko) * 2003-04-15 2004-10-25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구죠시스템 공조 시스템
KR20050034414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235A (ko) * 2015-03-23 2016-10-05 금호이앤지 (주) 백넷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의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
KR101712650B1 (ko) 2015-03-23 2017-03-23 금호이앤지 (주) 백넷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의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
KR20160122572A (ko)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공조 제어 시스템
WO2017119783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자동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236924B2 (en) 2016-01-06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KR101758620B1 (ko) * 2017-05-08 2017-07-18 박종성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반도체 설비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4623A (zh) 2006-11-01
DE602006002420D1 (de) 2008-10-09
US20060243815A1 (en) 2006-11-02
KR20060112913A (ko) 2006-11-02
EP1717524B1 (en) 2008-08-27
JP2006308280A (ja) 2006-11-09
EP1717524A1 (en) 2006-11-02
CN1854623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579B1 (ko)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KR100649599B1 (ko) 다중지역 통합용 에어컨 시스템
EP2363658B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20040117069A1 (en) Central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air conditio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254409A (zh) 空气调节系统及其通信方法
KR101348593B1 (ko) 공조시스템에서의 실외기와 실내기간 통신시스템
CN106594992B (zh) 一种基于传感器网络的洁净车间运行方法及系统
JP4567924B2 (ja) 制御システム
KR20050122523A (ko) 공조 시스템
JP452524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310110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529949B1 (ko)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2013966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100302B1 (ko) 멀티형 공기조화 시스템
KR102462869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팬코일 제어 시스템
JPH10311590A (ja) 換気空調装置
JP466113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気制御方法
KR20180010461A (ko) 가정용 냉난방장치 통합 관리 서버
CN218936594U (zh) 一种基于Wi-SUN无线通信网络的风机盘管设备
CN219120683U (zh) 由同一温控器控制的地暖和风盘冷却系统
CN102853500A (zh) 一种多区域恒温控制器及冷暖气通风系统
KR10203611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05249238A (ja) 無線式空調制御システム
KR100550550B1 (ko) 통합제어형 멀티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