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595B1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595B1 KR100746595B1 KR1020060065842A KR20060065842A KR100746595B1 KR 100746595 B1 KR100746595 B1 KR 100746595B1 KR 1020060065842 A KR1020060065842 A KR 1020060065842A KR 20060065842 A KR20060065842 A KR 20060065842A KR 100746595 B1 KR100746595 B1 KR 100746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vehicle
- fork
- elevating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차량의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주차설비가 개시된다. 주차설비는 2층 이상의 높이에서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및 각 주차공간에서 플랫폼 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주차용 포크부를 포함하는 주차 구조체,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이송부 및 그 위에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 각 층들 사이 및 상기 주차용 포크부와 플랫폼 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승강용 포크부를 포함하는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주차용 포크부 및 승강용 포크부는 각각 빗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교차가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포크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이동경로 및 이동시간을 단축하여 신속한 입고 및 출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주차, 포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승강 프레임 및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및 승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주차설비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주차설비에서 차량을 입고한 후 승강 포크부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주차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상 주차층에서 차량의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13의 지상 주차층에 장착된 이동 주차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차설비 110:주차 구조체
120:플랫폼 130: 주차용 포크부
140:리프트 이송부재 150:차량 승강부재
160:승강용 포크부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연속된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에 관한 것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 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목적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수적인 목적들로는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의 유지, 조작의 편의성, 차량의 신속한 입고(enter) 및 출고(exit),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종래의 주차설비는 일반적으로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 구조물 및 차량 승강기를 포함한다. 차량 승강기의 팔레트가 1층에 위치한 후 차량이 진입하여 팔레트 상에 적재될 수 있으며, 차량 승강기 상에 차량이 적재됨에 따라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시작하여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차량을 이송한다. 플랫폼 층 및 차량 승강기 간의 상호 작동에 의해서 차량의 위치를 차량 승강기에서 플랫폼 층으로 전환시킬 수가 있으며, 차량 승강기는 다시 1층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량을 입고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주차설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과정 및 출고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상당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약 1,000~2,000kg정도의 고중량이고, 고가이면서 외부 충격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이송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주차설비에서 차량 한 대를 입고 또는 출고하는 데에 십여 분에서 수십 분이 족히 걸리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수 대의 차량이 한번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경우에는 주차순서의 밀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한 없이 길어질 수가 있다.
또한, 주차설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있다면, 주차설비의 성능을 그나마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겠지만,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고 및 출고 시간이 더욱 연장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켜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주차장 구조를 이용하면서, 주차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되도록 저층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하여 승강 모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구조물 및 작동 구조물을 경량화 및 단순화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2층 이상의 주차 구조체, 상기 주차 구조체 상에서 2차원적으로 움직이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 상기 리프트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차량을 지상, 플랫폼 층 및 플랫폼 층 상부 간에 이송하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승강부재는 빗 형상의 포크들로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승강용 포크부 및 승강용 포크부를 구동하기 위한 승강 구동부를 포함한다. 승강용 포크부는 지상에서부터 차량을 들어 올린 후, 이미 플랫폼 층에 주차된 차량을 피해 목적된 주차공간 상에 차량을 위치시키고, 아래로 이동하면서 목적된 주차공간의 주차용 포크부 상에 차량을 두고, 주차용 포크부들 및 플랫폼 층 사이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종래에 2층 이상의 주차 구조를 갖는 주차설비는 차량이 통과하는 바로 옆 주차공간만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안쪽으로 주차공간을 더 확장하여 사용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주차설비는 차량을 플랫폼 층의 상부로 이송한 후 안쪽에 위치한 주차공간으로도 차량을 직접 이송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리프트 이송부재는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차량을 주차된 다른 차량의 방해 없이 차량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그 때 높이는 대략 2층 천장이나 그 이상의 높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이송부재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및 제2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며, 제1 및 2 수평 이송부를 이용하여 2차원적으로 배치된 주차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도 쉽게 접근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강용 포크부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승강 통로만 갖더라도 2차원적으로 배치된 주차공간 어디에도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수평 이송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때문에 플랫폼 층 상부에서 차량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로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리프트 이송부재 및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주차 구조체는 지상 주차층, 2층 주차층 및 2층 주차층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2층 주차층은 차량을 수직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승강 통로 및 승강 통로 이외의 영역에서 2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각 주차공간에는 차량 승강부재의 승강용 포크부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2층 주차층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주차용 포크부가 제공된다. 주차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빗 형상으로 배치되는 주차용 포크들을 포함하며, 차량 승강부재와 교차하여 차량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주차공간은 승강 통로 바로 주변 외에도 그 안쪽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4 x 3, 5 x 6, 5 x 2 및 7 x 5 등과 같이 2차원으로 배열될 수 있는 모든 배열 형태로 배치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승강 통로를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승강 통로 하나로도 충분히 차량을 입고 및 출고시킬 수가 있다.
리프트 이송부재는 지지 프레임 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1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제1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수평 구동부, 제1 수평 프레임 상에서 제1 수평 프레임과 수직 또는 교차하는 다른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2 수평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수평 프레임 상에 승강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승강용 포크부가 승강 통로를 통해 지상 주차층과 2층 주차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수평 프레임의 높이까지 올라간 후에는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바로 이동할 수가 있다.
차량 승강부재에서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빗 형상으로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며, 승강용 포크들은 주차용 포크부의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고, 주차용 포크부 및 2층 주차층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이동 주차판을 포함하는 지상 주차층, 2층 이상의 높이에서 복수개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주차 구조체, 주차 구조체 상에서 2차원 이동을 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 상기 리프트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며 승강용 포크부를 이용하여 차량을 승강시키는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지상 주차층은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를 주변으로 일면이 개방되며, 이동 주차판은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이동할 수가 있다. 이동 주차판은 차량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지상 주차층에서 좌우로 움직여서 원하는 위치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에 수직한 열을 기준으로 각 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가장 안쪽에 있는 열은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 주차판 없이 전부 빈 영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주차 구조체 및 리프트 이송부재 등은 이전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으며, 전혀 다른 주차 방식의 복층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지상 주차층에서 이동 주차판을 이용하여 1층에서의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2층 이상의 주차 층 이용을 위해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차설비(100)는 주차 구조체(110), 리프트 이송부재(140) 및 차량 승강부재(150)를 포함한다.
주차 구조체(110)는 2층의 높이를 이루는 플랫폼(120)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랫폼(120)에는 총 10개의 주차공간이 제공될 수 있지만, 바깥쪽 열 중간에서 주차공간이 될 수 있는 영역은 승강 통로(122)로 정의되며, 승강 통로(122)를 제외한 나머지 9개의 영역은 주차공간으로 정의된다. 9개의 주차공간은 5행 2열의 배열 내에 배치된다. 특히, 가장 바깥쪽에 있는 4개의 주차공간은 승강 통로(122)에 바로 인접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주차공간에는 차량이 바로 진입할 수 없다. 이는 후술할 리프트 이송부재(140) 및 차량 승강부재(150)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각 주차공간에는 주차용 포크부(130)가 설치된다. 주차용 포크부(130)는 외측을 향하는 외팔보 형상의 주차용 포크(132)를 포함하며, 주차용 포크(132)는 빗 형상(comb-shape)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4개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주차용 포크부(130)는 플랫폼(1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주차용 포크부(130) 및 플랫폼(120) 사이로 차량 승강부재(150)의 승강용 포크부(160)가 이동하기 위해서, 주차용 포크부(130)는 적어도 승강용 포크(162)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어야 한다.
리프트 이송부재(140)는 제1 수평 이송부(141) 및 제2 수평 이송부(145)를 포함한다. 제1 수평 이송부(141)는 주차 구조체(110)의 상부에서 제1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며, 대략 2층의 천장 또는 3층 바닥의 높이에서 움직인다. 또한, 제2 수평 이송부(145)는 제1 수평 이송부(141) 상에서 제2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이송부(141)는 주차 구조체(110)의 지지 프레임(11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수평 프레임(142) 및 제1 수평 프레임(142)에 장착되어 제1 수평 프레임(142)을 구동하는 제1 수평 구동부(144)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12)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이 있으며, 제1 수평 프레임(142)은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를 포함하여 지지 프레임(112)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수평 이송부(145)는 제1 수평 프레임(14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수평 프레임(146)을 포함하며, 제2 수평 프레임(146)에 장착되어 제2 수평 프레임(146)을 구동하는 제2 수평 구동부(148)를 포함한다. 제1 수평 프레임(142)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이 있으며, 역시 제2 수평 프레임(146)은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롤러를 포함하며 제1 수평 프레임(142) 상에서 원 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프레임(142)이 사각형의 평면적인 지지구조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수평 프레임(146)이 직육면체의 입체적인 지지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주차 구조체의 면적 또는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수평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 및 변형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수평 프레임을 직육면체 또는 기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적절한 입체 구조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평 프레임을 입체적인 구조로 형성할 때에는 제2 수평 프레임이 제1 수평 프레임 내부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수평 이송부(141) 및 제2 수평 이송부(145)는 각각 독립된 구동부에 의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제1 수평 이송부(141) 및 제2 수평 이송부(145)는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제2 수평 프레임(146)과 연동하는 차량 승강부재(150)는 대각선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수평 구동부는 롤러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로 연결된 체인이나 벨트, 로프 구동방식을 이용해서 수평 프레임들을 각각 이송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승강부재(150)는 제2 수평 이송부(145), 즉 제2 수평 프레임(146)에 장착된다. 차량 승강부재(150)는 제2 수평 프레임(146)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154) 및 승강 구동부(154)에 의해서 지상, 플랫폼(120) 및 제2 수평 프레임(146)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160)를 포함한다. 승강용 포크부(160)는 차량의 바퀴를 지 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162)을 가지며, 승강용 포크(162)는 주차용 포크(132)과 마주보면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용 포크(162)는 주차용 포크(132)과 교차하면서, 차량의 바퀴를 전달하여 입고시킬 수 있고, 다르게는 차량의 바퀴를 들어 올려 출고시킬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용 포크(162)는 주차용 포크부(130) 및 플랫폼(1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두께도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4는 도 1의 승강 프레임 및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용 포크부(160)는 안쪽을 향하는 승강용 포크(162)를 포함하며, 승강용 포크(162)를 지지하기 위한 외측으로 둘러싼 승강 프레임(152)을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152)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수평 프레임(146)은 승강 프레임(15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 구동부(154)는 제2 수평 프레임(146) 상부에 장착되며, 4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152)을 지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154)에 의해서 승강 프레임(15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 이송부재(140)에 의해서 승강 프레임(152)은 플랫폼(120) 상부에서 목적된 주차용 포크부(130)를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및 승강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승강부재는 포크 방식의 지지 구조 외에도 회동하는 승강용 지지대(164)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를 가질 수가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승강 프레임(152)의 하부에 승강용 지지대(164)가 제공되며, 승강용 지지대(164)는 승강 프레임(152)의 하부에서 수평하게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승강용 지지대(164)는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안쪽으로 회동하여 차량 몸체 하부 또는 차량 바퀴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동한 경우에는 승강 프레임(152)이 차량 위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주차용 포크부 상으로 입고 시킨 후에도 수평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위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신속한 입고 및 출고를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도 6 내지 도 9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며, 도 10 및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에서 차량을 입고한 후 승강 포크부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설비(100)에는 여러 대의 차량이 입고되어 있다. 차량을 플랫폼(120)의 바깥쪽 주차용 포크부(130)로 전달하기 위해서 승강용 포크부(160) 및 리프트 이송부재(140)가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제1 수평 이송부(141) 및 제2 수평 이송부(145)가 이동하여 제2 수평 프레임(146)이 중앙의 승강 통로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152)이 하강하여 승강용 포크부(160)가 지상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승강용 포크부(160)가 지상에 위치하면, 입고를 위한 차량이 진입할 수 있으며, 차량의 바퀴는 승강용 포크(162) 상에 각각 위치하여 지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 구동부(154)가 작동을 하여 승강용 포크부(160) 및 승강 프레임(152)을 상승시킨다. 승강 구동부(154)는 승강 프레임(152)이 제2 수평 프레임(146) 내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송하며, 차량은 승강용 포크부(16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20)에서는 바로 인접한 위치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용 포크부(160) 및 차량이 바로 옆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승강용 포크부(160) 및 차량이 제2 수평 프레임(146)까지 상승하여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준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프레임(152) 및 승강용 포크부(160)가 제2 수평 프레임(146)의 내부까지 진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차량의 방해를 받지 않을 정도의 높이만 유지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및 승강용 포크부(160)가 제2 수평 프레임(146)과 함께 목적된 주차공간의 상부로 이동한다. 제2 수평 프레임(146)은 제1 수평 프레임(142)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수평 프레임(146)은 제1 수평 프레임(142)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지만, 제1 수평 프레임(142)은 지지 프레임(1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제1 수평 프레임(142)는 제2 수평 프레임(146)과 동시에 움직여 차량을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제2 수평 프레임(146)이 움직이기 전 또는 후에 움직여 차량을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승강 구동부(154)가 작동하여 승강용 포크부(160)를 하강시킨다. 승강용 포크부(160)는 차량의 바퀴를 각각 지지하고 있으며, 차량은 승강용 포크부(160)와 함께 목적된 주차용 포크부(130)로 접근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용 포크부(160)와 주차용 포크부(130)의 포크들은 서로 마주보며, 상하 로 교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용 포크부(160)가 주차용 포크부(130)를 통과하면서, 차량의 위치는 주차용 포크부(130)로 전환될 수 있다.
승강용 포크부(160)는 주차용 포크부(130) 및 플랫폼(120) 사이에 위치하며, 주차용 포크부(130) 및 플랫폼(120) 사이에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승강 구동부(154)가 정지하여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수평 프레임(146)이 초기 위치를 향해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모든 주차용 포크부(130) 및 플랫폼(120)이 승강용 포크부(160)를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용 포크부(160)의 승강용 포크(162)는 주차용 포크부(130) 하부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가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152)이 차량의 외측에서 승강용 포크부(16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용 포크부(160)는 주차용 포크부(1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가 있다.
만약,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도 4 내지 도 9에 설명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진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주차설비(200)는 주차 구조체(210), 리프트 이송부재(240) 및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참고로 리프트 이송부재(240) 및 차량 승강부재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리프트 이송부재(140) 및 차량 승강부재(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리프트 이송부재(240) 및 차량 승강부재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도면의 이해를 위해 차량 승강부재를 도시화하지 않고 있다.
주차 구조체(210)는 2층의 높이를 이루는 플랫폼(220)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랫폼(220)에는 총 15개의 주차공간이 5행 3열로 제공될 수 있지만, 중앙의 영역은 승강 통로(222)로 정의되며, 승강 통로(222)를 제외한 나머지 14개의 영역은 주차공간으로 정의된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장 바깥쪽에 있는 주차공간들은 승강 통로(222)에 바로 인접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어서 차량이 바로 진입할 수 없다.
각 주차공간에는 주차용 포크부(230)가 설치되며, 주차용 포크부(230)는 외측을 향하는 외팔보 형상의 주차용 포크(232)를 포함한다. 또한, 평면도 상에서는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지만, 주차용 포크부(230)는 플랫폼(2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주차용 포크부(230) 및 플랫폼(220) 사이로 차량 승강부재의 승강용 포크부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차용 포크부(230)는 적어도 승강용 포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어 있다.
리프트 이송부재(240)는 제1 수평 이송부(241) 및 제2 수평 이송부(245)를 포함한다. 제1 수평 이송부(241)는 주차 구조체(21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며, 제2 수평 이송부(245)는 제1 수평 이송부(241)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 수평 이송부(241)는 지지 프레임(21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수평 프레임(242) 및 제1 수평 프레임(242)에 장착되어 제1 수평 프레 임(242)을 구동하는 제1 수평 구동부(244)를 포함하며, 제2 수평 이송부(245)는 제1 수평 프레임(24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수평 프레임(246) 및 제2 수평 프레임(246)에 장착되어 제2 수평 프레임(246)을 구동하는 제2 수평 구동부(248)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조체(210)의 플랫폼(220) 상에서 제1 수평 프레임(242) 및 제2 수평 프레임(246)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양 프레임이 서로 단계적으로 움직여 목적된 주차공간 상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양 프레임이 함께 움직여 목적된 주차공간 상으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상 주차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13에 도시된 지상 주차층(310)은 도 12에 도시된 주차 구조체(210)의 하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일반적인 2차 이상의 주차 구조를 갖는 주차설비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 주차층(310)은 총 15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면 상 아래에 위치한 입구로부터 차량이 진입하여 목적된 주차 영역으로 진입할 수가 있다.
다만, 입구 측에 위치한 차량 외에 안쪽에 위치한 차량은 바깥쪽에 위치한 차량으로 인해 방해를 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지상 주차층(310)에는 이동 주차판(320)을 포함하며, 이동 주차판(320)은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 로 이동하면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주차판(320)의 배열에서 각 열(row)은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을 포함한다. 다만, 가장 안쪽에 배치된 열(row)에서는 차량이 진입만 하고, 좌우로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 주차판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상 주차층(310)에서는 총 13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 이동 주차판(320)의 이동을 통해서 목적된 주차 영역 또는 이동 주차판(320)으로 차량이 진입할 수가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상 주차층에서 차량의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장 안쪽에 있는 열(I) 중 2번째에 위치한 주차 영역이 빈 영역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입구를 통해서 차량이 상기 열(I)의 빈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진입을 차단하는 이동 주차판(321, 322)이 우측으로 이동을 한다. 2개의 이동 주차판(321, 322)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빈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 형성되며, 차량은 입구로부터 진입하여 열린 빈 공간으로 입고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 주차판(320)은 하나만 이동할 수가 있다. 가운데 있는 열(II) 중 2번째 위치한 이동 주차판(321)이 빈 상태로 있다. 따라서 입구를 통해 차량이 빈 이동 주차판(321)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입구 측 이동 주차판(322)만 이동하여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차량은 입구로 진입하여 빈 이동 주차판(321)으로 입고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지상 주차층에 장착된 이동 주차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주차판(320)은 차량 지지부(330) 및 주차판 구동부(335)를 포함한다. 차량 지지부(330)는 차량을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각 차량 지지부(330)에는 주차판 구동부(335)가 장착되어 이동 주차판(32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주차판 구동부(335)는 구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차량 지지부(330)를 이송할 수가 있다. 주차판 구동부(335)에는 절곡이 가능한 전선 연결부(337)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선 연결부(337)는 주차판 구동부(335)의 작동 신호 및 전원 등을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전선 연결부(337)는 절곡이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동 주차판(320)의 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화하는 길이를 가질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용 포크부 및 승강용 포크부 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리프트 이송부재 및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주차용 포크부(430) 및 승강용 포크부(460) 이외의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그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주차 구조체(410)는 2층의 높이를 이루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랫폼에는 총 15개의 주차공간이 제공될 수 있지만, 가운데의 한 열을 제외한 나머지 12개의 영역에 주차용 포크부(430)가 설치되어 주차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운데 열의 빈 공간은 승강 통로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승강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12개의 주차공간들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2열의 주차공간들은 승강 통로에 바로 인접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다.
각 주차공간에는 주차용 포크부(430)가 설치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 주차용 포크부(430)의 주차용 포크(432)는 내측을 향한다. 주차용 포크(432)는 빗 형상(comb-shape)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4개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주차용 포크부(430)는 플랫폼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차량 승강부재의 승강용 포크부(460)는 주차용 포크부(430) 및 플랫폼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주차용 포크부(430)는 플랫폼의 바닥으로부터 적어도 승강용 포크(462)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어야 한다.
차량 승강부재는 리프트 이송부재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지상 및 플랫폼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460)를 포함한다. 승강용 포크부(460)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462)을 가지며, 승강용 포크(462)는 주차용 포크(432)과 마주보면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용 포크(462)는 주차용 포크(432)과 교차하면서, 차량의 바퀴를 전달하여 입고시킬 수 있고, 다르게는 차량의 바퀴를 들어 올려 출고시킬 수도 있 다. 승강용 포크(462)는 주차용 포크부(430) 및 플랫폼 사이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두께도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승강용 포크부(460)는 바깥쪽을 향하는 승강용 포크(462)를 포함하며, 승강용 포크(462)는 안쪽을 향하는 주차용 포크(432)와 엇갈린 상태로 교차할 수 있다.
차량 승강부재는 승강용 포크(462)를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둘러싼 승강 프레임(452)을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452)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승강 구동부는 리프트 이송부재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4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452)을 지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승강 프레임(45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 이송부재에 의해서 승강 프레임(452)은 플랫폼 상부에서 목적된 주차용 포크부(430)를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리프트 이송부재가 승강 프레임(452)을 이동시킬 때, 전후 및 좌우로 움직이며, 도 12에서와 같이,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용 포크부 및 승강용 포크부 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리프트 이송부재 및 차량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주차용 포크부(530) 및 승강용 포크부(560) 이외의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그에 관한 설명 을 참조할 수 있다.
주차 구조체(510)는 2층의 높이를 이루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랫폼에는 총 15개의 주차공간이 제공될 수 있지만, 가운데의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14개의 영역에 주차용 포크부(530)가 설치되어 주차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운데의 빈 공간은 승강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14개의 주차공간들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2열의 주차공간들은 승강 통로에 바로 인접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다.
각 주차공간에는 주차용 포크부(530)가 설치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 주차용 포크부(530)의 주차용 포크(532)는 차량의 좌우가 아닌 차량의 전후 방향에 형성되며, 각각 외측을 향한다. 주차용 포크(532)는 빗 형상(comb-shape)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4개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주차용 포크부(530)는 플랫폼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차량 승강부재의 승강용 포크부(560)는 주차용 포크부(530) 및 플랫폼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주차용 포크부(530)는 플랫폼의 바닥으로부터 적어도 승강용 포크(562)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되어야 한다.
차량 승강부재는 리프트 이송부재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지상 및 플랫폼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560)를 포함한다. 승강용 포크부(560)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562)을 가지며, 승강용 포크(562)는 주차용 포크(532)과 마주보면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용 포크(562)는 주차용 포크(532)과 교차하면서, 차량의 바퀴를 전달하여 입고시킬 수 있고, 다르게는 차량의 바퀴를 들어 올려 출고시킬 수도 있다. 승강용 포크부(560)는 차량의 전후에서 안쪽을 향하는 승강용 포크(562)를 포함하며, 승강용 포크(562)는 바깥쪽을 향하는 주차용 포크(532)와 엇갈린 상태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차설비는 별도의 설비 없이 종래의 주차장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주차판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던지 2층의 플랫폼을 사용함에 있어, 승강 통로에 대해 거의 무한한 배열의 주차공간을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플랫폼 상에서 차량을 이송할 때에서 직진 이동 및 경사 이동을 모두 가능하여 차량의 신속한 입고 및 출고가 가능하다.
또한, 2층 이상의 구조물을 포크형의 주차용 포크부와 2차원적으로 움직이는 리프트 이송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가 있어 경제적이기도 하다.
입고 시간 및 출고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저층형 주차설비에 유리하기 때문에 승강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제조단가도 매우 저렴하면서 관리하기도 매우 쉽다. 게다가, 고정 구조물 및 작동 구조물을 경량화 및 단순화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 해체, 이동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여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및 상기 각 주차공간에서 상기 플랫폼 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주차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주차용 포크들을 가지는 주차 구조체;상기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이송부 및 상기 제1 수평 이송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상기 제2 수평 이송부 상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지상, 상기 플랫폼 층 및 상기 제2 수평 이송부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며,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고,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부 및 상기 플랫폼 층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에 각각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기 주차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승 강용 포크들과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주차용 포크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수평 이송부는 상기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며,상기 제2 수평 이송부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2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차량 및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랫폼 층에선 상기 주차공간이 배제된 승강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통로는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차량 승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이송부에 의해 상기 승강 통로 상에 위치한 후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상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지상 주차층, 2층 주차층 및 상기 2층 주차층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2층 주차층은 차량을 수직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승강 통로 및 상기 승강 통로 이외의 영역에서 2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각 주차공간에는 상기 2층 주차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주차용 포크부가 제공되며, 상기 주차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빗 형상으로 배치되는 주차용 포크들을 가지는 주차 구조체;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수평 구동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다른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2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상기 제2 수평 이송부 상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지상 주차층, 상기 2층 주차층 및 상기 제2 수평 이송부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빗 형상으로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며,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고,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부 및 상기 2층 주차층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차량 및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입구를 주변으로 일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 주차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주차판의 배열은 상기 이동 주차판의 이동을 통해 차량이 상기 이동 주차판 안쪽으로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각 열에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을 확보하는 지상 주차층;상기 지상 주차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승강 통로 및 상기 승강 통로 이외의 영역에 제공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플랫폼 층 및 상기 각 주차공간에서 상기 플랫폼 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주차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주차용 포크들을 가지는 주차 구조체;상기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이송부 및 상기 제1 수평 이송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상기 제2 수평 이송부 상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지상 주차층, 상기 플랫폼 층 및 상기 제2 수평 이송부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상기 승강 통로를 통해 상기 지상 주차층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동을 하고,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며,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고,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상기 주차용 포크부 및 상기 플랫폼 층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수평 이송부는 상기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며,상기 제2 수평 이송부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제2 수평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차량 및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8항에 있어서,각각의 상기 이동 주차판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주차판은 상기 승강 통로 및 상기 주차공간에 동일하게 2차원적 배열로 제공되며, 주차가 가능한 단위공간 중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가장 안쪽에 있는 하나의 열의 모든 단위공간과 나머지 열 중 하나의 단위공간을 각각 빈 영역으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입구를 주변으로 일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 주차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주차판의 배열은 상기 이동 주차판의 이동을 통해 차량이 상기 이동 주차판 안쪽으로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각 열에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을 확보하는 지상 주차층; 및상기 지상 주차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차량이 수직하게 통과할 수 있는 승강 통로 및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을 포함하는 주차 구조체;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지상 주차층과 상기 플랫폼 층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를 포함하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 제13항에 있어서,각각의 상기 이동 주차판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주차판은 상기 승강 통로 및 상기 주차공간에 동일하게 2차원적 배열로 제공되며, 주차가 가능한 단위공간 중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가장 안쪽에 있는 하나의 열의 모든 단위공간과 나머지 열 중 하나의 단위공간을 각각 빈 영역으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및 상기 각 주차공간에서 상기 플랫폼 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주차용 포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주차용 포크들을 가지는 주차 구조체;상기 플랫폼 층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수평 이송부 및 상기 제1 수평 이송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이송부재; 및상기 제2 수평 이송부 상에 장착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서 지상, 상기 플랫폼 층 및 상기 제2 수평 이송부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지지부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하는 승강용 지지대를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6/003621 WO2007078041A1 (en) | 2005-12-30 | 2006-09-12 | Park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5452 | 2005-12-30 | ||
KR1020050135452 | 2005-12-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2335A KR20070072335A (ko) | 2007-07-04 |
KR100746595B1 true KR100746595B1 (ko) | 2007-08-09 |
Family
ID=3850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842A KR100746595B1 (ko) | 2005-12-30 | 2006-07-13 | 주차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65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705B1 (ko) | 2010-07-09 | 2014-04-02 | 닝보 방다 인텔리전트 파킹 시스템 컴퍼니, 리미티드 | 입체 주차장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65029B (zh) * | 2014-09-29 | 2017-04-26 | 尹时中 | 立体车库的停车位 |
CN106088731A (zh) * | 2016-09-08 | 2016-11-09 | 湖北华阳重工实业有限公司 | 一种梳齿式多排立体车库 |
KR102169399B1 (ko) * | 2017-12-07 | 2020-11-04 | 조민서 | 입체형 주차장의 주차시스템 |
CN108590289A (zh) * | 2018-06-14 | 2018-09-28 |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 立体车库及其车厅及立体车库的控制方法 |
CN112127676B (zh) * | 2020-10-12 | 2021-07-27 | 佛山市诺行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升降横移运行机制的自动车库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5233A (ja) * | 1994-10-06 | 1996-04-23 | Koushinshiya:Kk | 立体駐車場 |
JPH09203236A (ja) * | 1996-01-24 | 1997-08-05 | Lg Ind Syst Co Ltd | エレベータ方式の立体駐車装置 |
-
2006
- 2006-07-13 KR KR1020060065842A patent/KR1007465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5233A (ja) * | 1994-10-06 | 1996-04-23 | Koushinshiya:Kk | 立体駐車場 |
JPH09203236A (ja) * | 1996-01-24 | 1997-08-05 | Lg Ind Syst Co Ltd | エレベータ方式の立体駐車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705B1 (ko) | 2010-07-09 | 2014-04-02 | 닝보 방다 인텔리전트 파킹 시스템 컴퍼니, 리미티드 | 입체 주차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2335A (ko) | 2007-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7078041A1 (en) | Parking equipment | |
KR100746595B1 (ko) | 주차설비 | |
US7819612B2 (en) | Parking device | |
KR100702666B1 (ko) | 다층형 주차설비 | |
KR200414248Y1 (ko) | 주차설비 | |
JPH05106359A (ja) |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 |
JP5808602B2 (ja) | 機械式駐車場 | |
JP5474619B2 (ja) | バリアフリー対応多段式駐車装置 | |
JP2678546B2 (ja) | 立体駐車場における空パレット処理装置 | |
JP2945873B2 (ja) | 機械式立体駐車場 | |
JPH07252952A (ja) | 立体駐車装置 | |
JP5713831B2 (ja) | 機械式駐車場 | |
JP4329099B2 (ja) | 駐車装置 | |
JP3390630B2 (ja) | 立体駐車場 | |
JP2004156420A (ja) | 高層型立体駐車装置 | |
JP3069716B2 (ja) |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搬送用の台車 | |
JP4379850B2 (ja) | 複数の入出庫口を有する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 |
JP3889313B2 (ja) | 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 |
JP2643864B2 (ja) | 立体駐車場 | |
JPS63161266A (ja) | 自動車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の水平移送装置 | |
JP2581945Y2 (ja) |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
JPH11350771A (ja) | 立体駐車場 | |
JPS63265080A (ja) | 行列式倉庫 | |
JP3497085B2 (ja) | 立体駐車設備 | |
JP3014747U (ja) | 格納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