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339B1 -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339B1
KR100741339B1 KR1020060010302A KR20060010302A KR100741339B1 KR 100741339 B1 KR100741339 B1 KR 100741339B1 KR 1020060010302 A KR1020060010302 A KR 1020060010302A KR 20060010302 A KR20060010302 A KR 20060010302A KR 100741339 B1 KR100741339 B1 KR 10074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all
wall member
connector
partiall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854A (ko
Inventor
게이이치 나카무라
료타로 이시카와
유타카 노로
유타카 고바야시
하지메 가와세
노부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6Shoulder-strap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전방벽 부재를 분리할 때에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동(11)과 연통할 수 있는 탭 삽입 홀(5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벽 부재(51)가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면(59A)은 전방벽 부재(50)의 상단면에서 노출되고, 전방벽 부재(50)는 이 작동면(59A)을 압박함으로써,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을 따라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면(59A) 이외에 전방벽 부재(50)의 상부 단부면의 부분들은 상부벽(26)과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CONNECTOR, A CONNECTOR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
도 2는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4는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5는 전방벽 부재의 배면도.
도 6은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커넥터의 단면도.
도 7은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유지되는 암형 단자 연결구와 검출 핀이 접촉하게 될 때의 단면도.
도 8은 커넥터가 시험 장치의 홀더에 세팅될 때의 단면도.
도 9는 검출 유닛이 압박 부재를 작동면과 접촉되게 하도록 홀더에 가까워질 때의 단면도.
도 10은 검출 유닛이 전방벽 부재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압박하도록 홀더 에 더욱 가까워질 때의 단면도.
도 11은 검출 유닛이 검출 핀을 암형 단자 연결구와 접촉되게 하도록 검출 위치에 도달할 때의 단면도.
도 12는 검출 유닛을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에서 압박 부재를 대기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중간 스테이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검출 유닛이 홀더로부터 분리되기 직전에, 압박 부재가 대기 위치까지 압박되고 전방벽 부재가 다시 완전한 로킹 위치로 압박될 때의 단면도.
도 14는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
도 15는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
도 16은 전방벽 부재의 배면도.
도 17은 전체 시험 장치를 상세히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작동 레버 및 그 외의 요소들이 없는 상태에서 전체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검출 유닛의 정면도.
도 20은 홀더의 평면도.
도 21은 압박 부재가 장착되기 전에 홀더의 정면도.
도 22는 커넥터가 시험 장치의 홀더에 세팅될 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F: 커넥터 10: 암형 하우징(하우징)
11: 공동 12: 로킹부
14; 몰드 제거 홀 27: 장착 프레임(차양 또는 렛지부)
36: 안내 홀 40: 암형 단자 연결구(단자 연결구)
41: 주요부 45: 탄성 접촉편
50: 전방벽 부재 51: 탭 삽입 홀
52: 지그 삽입 홀 54: 기부(식별 구조)
59: 압박부 59A: 작동면
70: 탭 81: 홀더
82: 검출 유닛 87: 압박 부재(압박 수단)
90: 리테이너 92: 제2 캠면(압박 수단)
93: 제1 캠면(역압박 수단)
본 발명은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구의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 시험 장치 및 커넥터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하우징에는 이 커넥터 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공동 내에 암형 단자 연결구가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암형 단자 연결구는 공동 내에 적절하게 삽입되었을 때에 공동의 내벽에 형성된 로킹부에 의해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수형 단자 연결구의 탭에 접속된다. 이 타입의 커넥터는 일본 공개 특허 제H05-18271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타입의 하우징 전면에는 탭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 뿐만 아니라, 로킹부가 형성될 때 형성되는 몰드 제거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형 단자 연결구의 탭은 2개의 커넥터를 연결할 때 잘못되어 몰드 제거 홀로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탭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벽 부재를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하여, 탭 삽입 홀을 통해 탭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암형 단자 연결구로 유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방벽 부재는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장착 프레임 내에 아래로부터 끼워진다. 전방벽 부재를 탈착할 때에, 지그를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을 따라 슬라이드시키고 지그의 선단부를 전방벽 부재에 걸은 다음, 지그를 강하게 조작하게 전방벽 부재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에 따라 전방벽 부재를 탈착시키는 것은 어렵고 성가신 일이다. 따라서, 추가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관점에서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벽 부재를 탈착할 때 조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공동의 내벽에 형성되어 단자 연결구를 유지하는 로킹부와,
상기 공동 내로 정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연결구와 연결될 수 있는 탭과,
실질적으로 공동과 연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탭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는 전방벽 부재와,
상기 전방벽 부재를 분리 또는 이동시키도록 사용되며 전방벽 부재의 단부면 상에 노출되어 있는 작동면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벽 부재는 장착된 상태로부터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고/이동되거나,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완전히 탈착된다.
공동과 연통될 수 있는 탭 삽입 홀이 형성된 전방벽 부재는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고, 탭은 단자 연결구와 접속되는 장착된 상태에서 탭 삽입 홀을 통해 삽입된다. 전방벽 부재를 탈착할 때에, 전방벽 부재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작동면을 조작하거나 압박하여 전방벽 부재를 장착된 상태로부터 멀리, 바람직하게는 장착된 상태로부터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변위시키고/변위시키거나 완전히 탈착하는 것이 충분한다. 따라서, 조작성이 양호하다. 장착된 상태는 탭을 탭 삽입 홀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탭과 단자 연결구가 연결될 수 있는 상태이고, 장착되지 않은 상태는 탭이 탭 삽입 홀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더라도 탭과 단자 연결구가 연결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연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의 공동의 내벽에 형성되어 단자 연결구를 유지하는 로킹부와, 정면으로부터 공동 내로 삽입되어 공동 내에 삽입된 단자 연결구와 연결되는 탭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공동과 연통할 수 있는 탭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벽 부재가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전방벽 부재를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작동면이 전방벽 부재의 단부면 상에 노출되어 전방벽 부재가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장착된 상태로부터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벽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 도달할 때에 작동면 외에 전방벽 부재의 단부면의 하나 이상의 부분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부 또는 렛지부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다.
작동면 외에 전방벽 부재의 단부면 중 하나 이상의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모든 부분과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차양부 또는 렛지부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작동면이 노출되더라도 전방벽 부재는 장착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벽 부재는 그 외부 형태의 대칭에 의해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을 따라 전방벽 부재의 배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구조를 갖 는다.
전방벽 부재가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을 따라 전방벽 부재의 배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예컨대, 전방벽 부재가 자동 기계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 자동 기계가 전방벽 부재의 수직 방향 및 횡방향을 따른 배향을 구별할 수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벽 부재는 전기 접속 시험용 검출 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을 포함하고, 탭 삽입 홀이 실질적으로 공동과 연통하는 제2 위치와 탭 삽입 홀이 공동으로부터 변위되는 제1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탭은 전방벽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탭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접촉될 수 있고, 검출 핀은 전방벽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그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벽 부재는 전기 접속 시험용 검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홀을 포함하고, 탭 삽입 홀이 공동과 연통하는 완전한 로킹 위치와 탭 삽입 홀이 공동으로부터 변위되는 부분적인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탭은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탭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접촉될 수 있고, 검출 핀은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지그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전방벽 부재에는 탭 삽입 홀과 지그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벽 부재는 완전한 로킹 위치와 부분적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탭은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탭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접촉될 수 있고, 검출 핀은 지그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탭과 검출 핀 양자는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검출부에 정확하게 유도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단자 연결구의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 시험 장치로서,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되는 홀더와,
하나 이상의 검출 핀을 포함하고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검출 유닛으로서, 상기 홀더와 검출 유닛은 커넥터가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까워짐으로써,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홀더와 검출 유닛은 시험 후에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커넥터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 검출 유닛과,
홀더와 검출 유닛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에, 전방벽 부재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압박하도록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된 커넥터의 작동면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핀은 전방벽 부재가 압박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위치로 압박된 후에 지그 삽입 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커넥터가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된 상태에서 홀더와 검출 유닛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을 때에, 전방벽 부재는 압박 수단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압박되거나 압박될 수 있다. 그 후에, 검출 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그 삽입 홀로 진입하게 되어 홀더와 검출 유닛을 더욱 가깝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는 홀더와 검출 유닛이 가까워지는 일련의 동작 동안에,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를 향해 전방벽 부재를 압박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동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수용되는 단자 연결구의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 시험 장치로서,
커넥터가 세팅되는 홀더와,
검출 핀을 포함하고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검출 유닛으로서, 상기 홀더와 검출 유닛은 커넥터가 홀더에 세팅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까워짐으로써,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로 진입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홀더와 검출 유닛은 시험 후에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커넥터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 검출 유닛과,
홀더와 검출 유닛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에, 전방벽 부재를 제2 위치로 부터 제1 위치로 압박하도록 홀더에 세팅된 커넥터의 작동면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핀은 전방벽 부재가 압박 수단에 의해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압박된 후에 지그 삽입 홀로 진입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커넥터가 홀더에 세팅된 상태에서 홀더와 검출 유닛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에, 전방벽 부재는 압박 수단에 의해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압박된다. 그 후에, 검출 핀은 지그 삽입 홀로 진입하게 되어 홀더와 검출 유닛을 더욱 가깝게 함으로써,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는 홀더와 검출 유닛이 가까워지는 일련의 동작 동안에,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부분적인 로킹 위치를 향해 전방벽 부재를 압박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동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홀더와 검출 유닛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에, 전방벽 부재를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반대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로 압박하기 위한 역압박 수단이 더 제공된다.
홀더와 검출 유닛이 시험 후에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에, 전방벽 부재는 역압박 수단에 의해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부터 반대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를 향해 또는 실질적으로 그 제2 위치로 압박된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를 반대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를 향해 또는 실질적으로 그 제2 위치로 압박하 는 동작을 별개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압박 수단은 검출 유닛에 마련된 제1 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 부재는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부터 반대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를 향해 또는 실질적으로 그 제2 위치로 반대로 압박되도록 제1 캠면(93)을 따라 이동된다.
전방벽 부재는 제1 캠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압박될 수 있기 때문에, 역압박 수단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박 수단은 검출 유닛에 마련된 제2 캠면 및/또는 홀더에 마련된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작동면을 압박하도록 제2 캠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전방벽 부재를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압박한다.
전방벽 부재가 제2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압박 부재에 의해 압박될 수 있기 때문에, 압박 수단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위한 커넥터 시험 방법이 더 제공되는데, 단자 연결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면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단자 연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전방벽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방벽 부재에는 전기 접속 시험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검출 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벽 부재는 하우징 상에, 탭 삽 입 홀이 실질적으로 공동과 연통하고 탭이 탭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접촉될 수 있는 제2 위치와, 탭 삽입 홀이 공동으로부터 변위되어 있거나 공동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고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될 수 있는 제1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 시험 방법은,
상기 커넥터를 전방벽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시험 장치의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하는 단계와,
커넥터가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전방벽 부재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검출 핀을 지그 삽입 홀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방벽 부재가 홀더에서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되어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험 단계 전의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위한 커넥터 시험 방법이 더 제공되는데, 단자 연결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전면을 따라 부분적인 로킹 위치와 완전한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단자 연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전방벽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방벽 부재에는 전기 접속 시험을 위한 검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벽 부재는 하우징 상에, 탭 삽입 홀이 공동과 연통하고 탭이 탭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과 접촉될 수 있는 완전한 로킹 위치와, 탭 삽입 홀이 공동으로부터 변위되어 있어 있고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을 통해 단자 연결구의 검출부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커넥터 시험 방법에 있어서,
전방벽 부재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시험 장치의 홀더에 커넥터가 세팅된 후에, 전방벽 부재는 커넥터가 홀더에 유지된 상태에서 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벽 부재는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 커넥터로 전기 접속 시험을 행한 후에 검출 핀이 지그 삽입 홀을 통해 후퇴되는 동안에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부터 반대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를 향해 또는 실질적으로 그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전방벽 부재는 홀더에서 시험이 완료된 후에 다시 반대로 완전한 로킹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시험 후에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방벽 부재는 검출 핀이 커넥터 하우징에 가까워질 때에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로부터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되고, 검출 핀(60)이 후퇴될 때에 다시 반대로 실질적으로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로 이동된다.
제1 위치(부분적인 로킹 위치)와 제2 위치(완전한 로킹 위치) 사이의 전방벽 부재의 이동은 검출 핀의 전후 이동과 연동되어, 작동 효율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및 첨부 도면을 읽으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별개로 설명하였지만, 그 단일의 특징이 추가 실시예들에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1 실시예의 커넥터(F)에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도시 생략)에 연결할 수 있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하, 암형 하우징(10)]과, 이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에(또는 전면 상에) 장착되는 전방벽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형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는 측부를 전방 측부라 칭한다.
암형 하우징(10)은,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긴 단면을 갖는 블록으로 합성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암형 하우징(10)에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2개(상부 및 하부)의 스테이지 각각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공동(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은 암형 하우징(10)을 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한다.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연결구(40)는 삽입 측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공동(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공동(11)의 하나 이상의 전방 개구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형 단자 연결구의 하나 이상의 탭(70)이 각각 통과될 수 있게 한다.
각 암형 단자 연결구(40)는 주요부(41)와, 이 주요부(41)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선(W)이 접속되는 배선 접속부[바람직하게는, 배선통(42) 및/또는 절연통(43)을 구비함]의 일체형 또는 단일형 조립체이다. 주요부(41)는 전기 도전성(바람직하게는, 금속) 시트를 폭방향으로 벤딩, 폴딩 및/또는 성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박스로 형성된다. 주요부(41)의 일단부로부터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전방 및 후방) 안정판(44)이 돌출된다. 안정판(44)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각 공동(11)의 상부면의 한 모서리를 따라 각 공동에 형성된 탈출홈(도시 생략)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유지되어,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부적절하게 배향된 상태로(예컨대, 거꾸로) 삽입되는 경우에, 안정판(44)과 탈출홈의 일치하지 않는 위치 관계 때문에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부적절한 배향 상태(예컨대, 거꾸로)의 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의 외팔보 형태의) 주요부(41)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또는 전방 가장자리에 가깝게 절곡 또는 만곡된 탄성 접촉편(45)은 주요부(41)에 또는 그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탄성 접촉편(45)은 측면도에서 소정 각도를 갖고 실질적으로 상하로 또는 주요부(41) 내로 정합 탭(70)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정합 탭(70)과의 접촉점(45A)은 탄성 접촉편(45)의 팁에서 돌출되어, 접촉점(45A)과 대향하는 주요부(41F)와 협동하여 정합 탭(70)을 탄성적으로 압착하거나 사이에 끼우거나 정합 탭과 접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요부(41)의 전방 개구는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부를 향해 편향된 위치에 있는 [실질적으로 탄성 접촉편(45)의 기단부 바로 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탭 삽입 개구(41G)에 의해 형성되거나 그 탭 삽입 개구로 이루어진다. 검출판(46)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면도에서 수직 방향의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0°내지 18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실질적으로 주요부(41)의 전방 돌출부를 내측을 향해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암형 단자 연결구(4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탄성 접촉편(45)의 기단부는 검출판(46)에 거의 인접하게 배치된다.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할 때에, 검출 프로브(60)의 선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검출판(46)과 접촉하게 되거나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2)는 암형 하우징(10)의 각 공동(11)의 측면(예컨대,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또는 단일체로 형성된다. 로킹부(12)는 그 일부가 기단부로서 공동(11)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한 외팔보 형태로서, 거의 상하로 또는 공동(11) 내로 단자 연결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공동(11)을 향해 돌출하는 로킹 돌기(12A)는 로킹부(12)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로킹부(12)의 상부 또는 외측(단자 연결구 배치 공간의 거의 반대쪽)에 변형 공간(13)이 형성된다. 로킹부(12)가 형성될 때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에 남아 있는 몰드 제거 홀(14)은 변형 공간(13)을 비롯하여 로킹부(12) 전에 존재하여, 실질적으로 공동(11)과 연통한다. 로킹부(12)는 공동(11) 내로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삽입 동안에, 암형 단자 연결구(40)와 간섭함으로써, 상방 또는 측방으로 압박되어 변형 공간(13)을 향해 변형된다.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삽입되면, 로킹부(12)는 탄성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로킹 돌기(12a)를 주요부(41)의 일부와, 바람직하게는 천장판(41a)에 형성된 로킹부(47)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암형 단자 연결 구(40)를 유지한다.
록 아암(15)은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바람직하게는 거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15)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한[또는 전후 방향(FBD)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서, 그 기단부는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전방 단부 상에 지지되고, 그 자유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작동부(15A)가 마련되어 있다. 록 아암(15)의 측면(상부면)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거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록 돌기(15B)가 형성되어 있다. 록 돌기(15B)는 록 아암(15)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때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탄성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어, 연결된 2개의 하우징을 분리될 수 없게 유지한다.
록 아암(15)은 그 하부면 또는 내부면[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표면]이 거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영역에서 모따기 가공되어 있다. 경사면(15E)과 실질적으로 대향하거나 그 경사면에 대응하는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후방 영역은 전방 영역과 비교하여 하강되어 있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록 아암(15)의 후방 영역과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후방 영역 사이에 록 아암(15)을 위한 충분한 변형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전방 영역 내에는 로킹부(12)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변형 공간(13)이 형성되어 있어, 암형 하우징(1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축소된다.
록 아암(15)의 작동부(15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회전 방지벽(16) 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 상에 위치하거나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 방지벽(16)은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상부면)의 대향 단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레그부(16A)와, 레그부(16A) 사이에 놓여 있는 천장부 또는 상단부(16B)에 의해 전체적으로 브릿지 또는 게이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 방지벽(16) 내측에는 작동부(15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그러한 회전 방지벽(16)은 회전되거나 편향될 배선(W) 등의 외부 물질에 의해 록 아암(15)이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방지벽(16)의 천장부(16B)에는 노치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예컨대 작동부(15A)를 압박하는 핑거에 의해 록 아암(15)이 작동 가능하게 하는 핑거 또는 작동 홀(16E)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리테이너 장착 홀(17)이 암형 하우징(10)의 측면(바닥면)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장착 홀(17)은 측면(바닥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인접한 측면까지 연장하도록 암형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최대 3개의 표면에 형성되어, 리테이너 장착 홀(17)이 하나 이상의 측부, 바람직하게는 3개의 측부에서 개방된다. 리테이너 장착 홀(17)은 각 공동(11)과 연통하거나 교차하는 깊이를 가짐으로써, 공동(11)을 전방 및 후방 부분 내에서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2개(상부와 하부)의 스테이지로 분할한다.
리테이너(90)는, 예컨대 암형 하우징(10)과 유사한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고, 리테이너(90)가 리테이너 장착 홀(17) 내에 가볍게 끼워져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삽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와, 리테이너(90)를 (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압박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비스듬하게) 도달되고 리테이너가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바람직하게는 주요부의 후방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27)은 하나 이상의 측벽(25) 및/또는 측벽(상부벽)(26)에 의해 암형 하우징(10)의 전면 상에 또는 전면에 형성된다. 전방벽 부재(50)는, 예컨대 거의 평탄한 플레이트로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장착 방향(MD)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측방으로 또는 아래쪽으로부터[또는 0° 내지 180°의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장착 프레임(27)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을 따라 삽입되거나 배치된다. 장착 프레임(27)의 측벽(상부벽)(26)은 바람직한 차양, 렛지, 돌출부 또는 홈부에 대응하고, 바람직하게는 안내홈(36)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부분(도시 생략)으로 분할된다.
전방벽(50)에는 하나 이상의 탭 삽입 홀(51), 바람직하게는 각 공동(11) 만큼 많은 탭 삽입 홀(51)이 형성되어 있고, 탭 삽입 홀(51)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공동(11)과 연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2개(상부 및 하부)의 스테이지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전방벽 부재(50)에는 또한 로킹부(12)가 형성될 때 남겨진 몰드 제거 홀(14)과 실질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 삽입 홀(52)은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2개(상부 및 하부)의 스테이지에 배치되고, 각 탭 삽입 홀(51)과 오프셋 위치 관계를 갖는다. 상부 스테이지의 일단부(도 1의 좌측 단부)에 있는 지그 삽입 홀(52)은 직사각형 평탄 플레이트 형태로 주요부(50A)의 상단부에 개구를 만든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0) 내에 공동(11)을 분할하는 분할벽(도시 생략)과 실질적으로 결합 또는 정렬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수직 리브(53)가 전방벽(50)의 후방면[장착될 때 암형 하우징(10)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전방벽 부재(50)의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 부재(50)의 후방면의 바닥 단부로부터 기부(54)가 후방을 향해 팽출되고, 수직 리브(53)의 기단부는 상기 기부(54)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1 래칭부(55)가 바람직하게는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전방벽 부재(5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대쪽) 측부 가장자리(들)에 형성되고/형성되거나,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2 래칭부(56)가 제1 래칭부(55)의 상부 및/또는 제1 래칭부에 대해 특정한(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래칭부(55, 56)는 바람직하게는 전방벽 부재(50)의 대향하는 측방향 단부면에 마련된 수직 리브(53)와 결합되고/결합되거나, 수직 리브(53)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제1 및 제2 래칭부(55, 56)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태 및/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고, 그 상부면은 돌출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7)이며, 그 하부면은 돌출 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8)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27)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 로 반대쪽) 측벽(들)(25) 상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1 수용부(31)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형성되거나, 이 제1 수용부(31)의 상부 및/또는 이 제1 수용부로부터 특정한(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거리를 두고 (바람직하게는 거의 동일한 높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2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수용부(31, 32)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으로 측벽(25)을 관통하는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홀로서, 각 제1 및 제2 래칭부(55, 5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부(31, 32)의 전방부는 장착된 전방벽 부재(50)가 전방으로 나오지 않도록 측벽(25)의 외부면을 씨닝(thinn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분리 방지벽(33)에 의해 분할된다.
전방벽 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칭부(5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수용부(31) 내로 탄성적으로 끼움으로써 (바람직한 제1 위치로서) 부분적인 로킹 위치(1P)에 유지 또는 위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칭부(5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수용부(32) 내로 및/또는 제1 래칭부(5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수용부(31) 내로 탄성적으로 끼움으로써 (바람직한 제2 위치로서) 완전한 로킹 위치에 유지 또는 위치된다. 그 결과, 전방벽 부재(50)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상하로 또는 장착 방향(MD)을 따라[0° 내지 180°의 상이한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2개의 하우징의 결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및/또는 전후 방향(FBD)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부터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 전방벽 부재(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 래칭부(56)를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수용부(31, 32) 사이에서 분할벽(34)에 걸쳐 이동하는 한편 분할벽(34)을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박하고, 제1 래칭부(55)는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31) 아래에 배치된 단부벽(35)에 걸쳐 이동하는 한편, 단부벽(35)을 외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 경우에, 제1 및/또는 제2 래칭부(55, 56)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래칭부(55, 56)의 상부면으로서의 경사면(57)이 실질적으로 분할벽(34)과 단부벽(35)의 하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함으로써, 분할벽(34)과 단부벽(35)에 걸쳐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하는 경우에, 전방벽 부재(50)의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연속적이거나 장착 프레임(27)의 전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고/있거나, 전방벽 부재(50)의 바닥 단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연속적이거나 암형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또한,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탭 삽입 홀(51)은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동(11)과 연통하고/연통하거나,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52)이 실질적으로 몰드 제거 홀(14)과 연통된다. 따라서, 탭(70)이 이 상태에서 탭 삽입 홀(5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면, 탭(70)의 선단부는 공동(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 내로 탭 삽입 홀(5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주요부(41)에 또는 그 주요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된 탄성 접촉편(45)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그 사이에 전기 접속을 달성한다. 로킹부를 분리하기 위한 잠금 해제 지그(도시 생략)가 정면으로부터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면, 지그의 선단부는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몰드 제거 홀(14)로 진입하여 로킹부(12)의 선단부에 있는 로킹 돌기(12A)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로킹부(12)는 상방 또는 측방으로 압박되거나 잠금 해제 방향으로 변형 공간(13)을 향해 변형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도달 또는 위치하는 경우에, 탭 삽입 홀(51)은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1)으로부터 변위 또는 오프셋되므로, 탭(70)은 변위된 탭 삽입 홀(51) 내로 삽입되더라도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로 진입할 수 없다. 또한,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검출판(46)의 전방 하부는 지그 삽입 홀(52)과 실질적으로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검출핀(6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지그 삽입 홀(52) 내로 삽입되면, 그 선단부는 검출판(46)의 전방 하부와 접촉하게 되고,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공동(11) 내에 적절하게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는 바람직하게는 검출 프로브(60)와 검출판(46) 간의 전기 접속을 근거로 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 장치(80)의 구성과 시험 기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방벽 부재(50)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이동시킬 때, 전방벽 부재(50)의 압박부(59)가 압박되거나 조작된다. 이 압박부(59)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이고/이거나 그 상단부의 대향 코너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압박부(59)는 전방벽 부재(50)의 주요부(50A)의 측방향(상부) 단부면[또는 이동 또는 장착 방향(MD)에 보았 을 때 전방 또는 말단 표면]에 배치되거나 그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59)의 후방면은 바람직하게는 기부(54)의 후방면 및/또는 수직 리브(53)의 후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팽출하도록 형성된다. 압박부(59)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대쪽) 측부의 바닥면의 측방향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50B)이 마련되어, 압박부(59)보다 짧은 거리만큼 전방벽 부재(50)의 주요부(50A)의 측방향(상부)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압박부(59)의 측방향(상부) 단부면은 전방벽 부재(50)를 분리할 때에 압박면으로서 기능하고, 바람직한 작동면(59A)에 대응한다. 작동면(59A)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면이고/이거나 장착 프레임(27)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고/있거나, 전방벽 부재(50)의 주요부(50A)보다 전후 방향(FBD)을 따라 더 긴 치수를 갖는다.
한편, 안내홈(36)은 록 아암(15)의 기단부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벽(26)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 안내홈 또는 리세스(36)는 압박부(59)의 폭보다 약간만 큰 개구 폭을 갖고 있어, 압박부(59)는 장착 방향(MD)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쪽으로부터 안내홈(3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용홈(36A)은 안내홈(36)과 연통하도록 안내홈(36)의 반대 측부의 바닥 단부의 측방향 측부에 형성된다. 추가 부분(50B)은 수용홈(50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압박부(59)는 장착 방향(MD)을 따라 및/또는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동시에 안내홈(36)을 따라 안내되고, 이 점에서, 전방 벽 부재(50)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 사이에서 이동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있는 경우에, 작동면(59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36)의 입구(바닥 개구)에 또는 그 입구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하는 경우에, 압박부(5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완전히 안내홈(36) 내로 끼워지고, 작동면(59A)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36)의 말단 또는 측방향(상부) 표면에서 폭방향을 따라 상부벽(25)의 측방향(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된다.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하는 경우에, 전방벽 부재(50)의 주요부(50A)와 추가 부분(50B)은 실질적으로 상부벽(26)과 접촉하게 유지되어 전방벽 부재(50)의 임의의 추가 상방 이동[또는 장착 방향(MD)으로의 이동]을 방해한다. 작동면(59A)이 이 상태에서 하방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면,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 이동 과정에서, 제1 및/또는 제2 래칭부(55, 56)의 하부면에 있는 경사면(58)은 실질적으로 분할벽(34)과 단부벽(35)의 각 (상부) 표면들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므로, 제1 및/또는 제2 래칭부(55, 56)는 분할벽(34)과 단부벽(35)에 걸쳐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있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불충분한 삽입(삽입 깊이) 및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존재 또는 부재를 시험할 수 있다. 이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 장치(80) 에는 상기 커넥터(F)를 유지하기 위해 일측부에 배치되는 홀더(81)와, 다른 측부에 실질적으로 상기 홀더(8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 유닛(82)이 마련되어 있다.
검출 유닛(82)은 조작 레버(도시 생략)를 작동시킴으로써 홀더(81)에 대해 특정한(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스트로크 만큼 실질적으로 전후로[또는 실질적으로 결합 방향(CD)을 따라 홀더(81)로부터 원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검출 유닛(82)에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있는 전방벽 부재(50)의 지그 삽입 홀(52)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검출 핀(60)이 마련되어 있다. 각 검출 핀(60)은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대응하는 공동(1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어, 검출 유닛(82)이 홀더(81)에 근접할 때 공동(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검출판(46)과 접촉하게 된다. 각 검출 핀(60)은 이 검출 핀(60)이 암형 단자 연결구(40)와 접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접속 시험 유닛(도시 생략)과 도선(도시 생략)을 매개로 접속됨으로써,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 및/또는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 및/또는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공동(11) 내에 적절한 패턴으로 배치 또는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핀(60)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촉편(45)과 접촉하는 일 없이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검출판(46)과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탄성 접촉편(45)이 휘거나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탭(70)과의 접촉 신뢰성을 확실하게 한다.
홀더(81)는 실질적으로 수직 후방벽(8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블 록(84)을 포함한다. 이 지지 블록(84)은 커넥터(F)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커넥터 고정부(85)를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고정부(85) 전에 지지 블록(84)의 전방벽 부분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11) 내로 삽입되는 각 암형 단자 연결구(40)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지그 도입 홀(86)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 도입 홀(86)은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있을 때에, 지그 삽입 홀(52)로부터 변위되고, 또한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있을 때에, 지그 삽입 홀(52)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면(59A)을 압박할 수 있는 압박 부재(87)는 전방벽 부재(50)의 작동면(59A)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홀더(8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87)는 대기 위치(SP)와 압박 위치(PP)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또는 실질적으로 전방판(50)의 장착 방향(MD)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블록부(87A)와, 하방으로 또는 이 블록부(87A)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주 압박부(87B)와, 상기 주 압박부(87B)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프링부(87e)를 포함한다. 블록부(87A)로부터 플랜지부(87F)가 팽출하고, 후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면(87G)이 블록부(87A)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블록(84)에는 압박 부재(8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리세스(88)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81)의 수용 리세스(88)의 내벽은 대기 위치(SP)에서 플랜지부(87F)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제1 단차면(88A)과, 압박 위치(PP)에서 플랜지부(87F)의 하부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제2 단차면(88B)과, 바람직하게는 블록부(87A)의 바닥면과 협동하여 스프링부(87E)를 유지할 수 있는 제3 단차면(88E)으로 구성된다. 주 압박부(87B)가 도입될 수 있는 안내 홀(89)은 커넥터 고정부(85)와 연통하도록 제3 단차면(88E) 아래에 형성된다. 커넥터(F)가 커넥터 고정부(85) 내에 세팅되면, 전방벽 부재(50)의 작동면(59A)은 실질적으로 안내 홀(8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검출 유닛(82)은 홀더(81)가 접근할 때 지지 블록(8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는 수용부(91)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91)의 배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홀더(81)를 향해 돌출하도록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검출 핀(60)이 장착되어 있다. 검출 유닛(82)에서 수용부(91)의 측방향(바닥) 내벽의 개방측에는 상승부(92)가 돌출하고, 이 상승부(92)의 후방면[수용부(91)의 배면과 대향하는 표면]은 전방으로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형 제1 캠면(93)으로 형성된다. 이 제1 캠면(9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전방벽 부재(50)의 후방면의 바닥부와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검출 유닛(82)이 홀더(81)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실질적으로 전방벽 부재(50)의 바닥 단부와 슬라이딩 접촉하게 함으로써,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부터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를 향해 전방벽 부재(50)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캠면(93) 후방의 수용부(91) 내에 공간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전방벽 부재(50)의 탈출 공간(94)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또는 결합 방향(CD)에 대해 경사진] 경사형 제2 캠면(95)은 상승부(92)의 전방 단부 위치 전에 배치된 검출 유닛(82)에서 수용부(91)의 상부 내벽의 개방 위치에 또는 그 위치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캠면(95)은 압박 부재(87)가 대기 위치(SP)에 있는 경우에, 안내면(87G)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바람직하게는 검출 유닛(82)이 홀더(81)에 접근할 때 압박 부재(87)의 안내면(87G)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게 함으로써, 전방벽 부재(50)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캠면(95)은 바람직하게는 제1 캠면(9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안내면(87G)의 경사 각도보다 적당하다. 제2 캠면(95) 후방의 수용부(91)의 상부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제2 캠면(95)의 바닥 단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거의 수평이고[또는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의 결합 방향(CD)에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압박 부재(87)를 압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방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전방벽 부재(5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으로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암형 하우징(10)의 장착 프레임(27) 내로 느슨하게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전방벽 부재(50)를 상방으로 또는 장착 방향(MD)으로 압박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제2 래칭부(56)가 암형 하우징(10)의 단부벽(35)에 걸쳐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하고/하거나 제2 래칭부(56)를 제1 수용부(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전방벽 부재(5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도달할 수 있다. 전방벽 부재(50)는 이 전방벽 부재(50)를 상방으로 또는 장착 방향(MD)으로 압박하여 제2 래칭부(56)를 제2 수용부(3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우고/끼우거나 제1 래칭부(55)를 제1 수용부(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움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90)가 암형 하우징(10) 내에 세팅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가 유지된다.
다음에, 암형 단자 연결구(40)는 삽입 측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공동(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로킹부(12)에 의해 탄성적으로 로킹된다. 이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탭 삽입 홀(51) 둘레에서 전방벽 부재(50)의 후방면 일부는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전방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대향한다. 모든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리테이너(90)는 상방으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경사지게) 전방을 향해 압박되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암형 단자 연결구(40)를 (바람직하게는 이중으로) 로킹한다. 이 상태에서, 전방벽 부재(50)의 탭 삽입 홀(51)은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의 탭 삽입 개구(41G)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전방벽 부재(50)의 지그 삽입 홀(52)은 암형 하우징(10)의 몰드 제거 홀(14)과 연통한다.
그 후에, 정합하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이 전방으로부터 결합되면, 수형 단자 연결구의 하나 이상의 탭(7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 부재(50)의 탭 삽입 홀(51)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로 적어도 부분 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에, 2개의 하우징을 위치 결정할 때의 실수로 인해 탭이 적절한 위치에서 변위된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면, 탭(70)은 전방벽 부재(50)의 탭 삽입 홀(51)로부터 벗어남으로써 탭 삽입 홀(51)의 개방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하우징(10)에 공동(11)과 연통하는 몰드 제거 홀(14)이 형성되더라도, 탭(70)이 몰드 제거 홀로 잘못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탭(70)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경사면(51A)이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전방벽 부재(50)의 전면에 있는 탭 삽입 홀(51)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탭(70)을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주요부(41) 내로 확실하게 안내하도록 탭(70)의 위치가 정정된다.
암형 단자 연결구(40)를 분리할 때, 리테이너(90)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분리하고, 잠금 해제 지그를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이 지그는 지그 삽입 홀(52)로부터 몰드 제거 홀(1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그 선단부가 실질적으로 로킹부(12)의 선단부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로킹부(12)는 측방 또는 상방으로[실질적으로 변형 공간(13)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위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로킹부(12)로부터 분리된 후에, 암형 단자 연결구를 성공적으로 인출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접속 시험은 암형 하우징(10)의 공동(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있는 시험 장치(80)에 의해 수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형 하우징(10)을 파지하고 홀더(81)의 커넥터 고정부 (8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 다음, 홀더(81)에 위치 결정되게 하여 커넥터(F)를 세팅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 부재(50)의 작동면(59A)을 지지 블록(84)의 안내 홀(89)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압박 부재(87)를 실질적으로 검출 유닛(82)의 제2 캠면(95)과 대향하는 한편 지지 블록(84)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전체 검출 유닛(82)을 결합 방향(CD)을 따라 홀더(81)에 가까워지게 한다. 이 접근 동작에 의해, 제2 캠면(95)은 압박 부재(87)의 안내면(87G)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지지 블록(84)은 수용부(91)의 개구 내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검출 유닛(82)의 추가 이동은 안내면(87)이 제2 캠면(95)을 따라 하방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압박 부재(87)가 압박 위치(PP)를 향해 하방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의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는 한편 스프링부(87E)를 압착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부재(87)의 주 압박부(87B)의 선단부는 실질적으로 안내 홀(89)을 통해 작동면(59A)과 접촉하게 된다. 검출 유닛(82)이 추가로 이동됨에 따라, 압박 부재(87)는 추가로 하방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의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고, 이 압박력에 의해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해제되어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이동된다. 이 방식으로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하방으로[실질적으로 장착 방향(MD)의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는 전방벽 부재(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또는 암형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 공간(94)으로 탈출하는 부분을 갖는다.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도착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검출 핀(60)의 선단부는 지지 블록(84)의 지그 도입 홀(86)로의 진입을 개시한다. 검출 유닛(82)이 추가로 이동됨에 따라, 검출 핀(60)의 선단부는 전방벽 부재(50)의 지그 삽입 홀(52)로 진입하여 공동(11) 내에 배치된 암형 단자 연결구(40)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단자 연결구가 공동(11) 내에 거의 적절하게 삽입되면, 암형 단자 연결구(40)와 검출 핀(60)의 접촉에 의해 시험 회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형 단자 연결구(40)가 불충분하게 삽입되고/삽입되거나 잘못 분배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시험 위치에서, 지지 블록(84)의 전면은 수용부(91)의 배면과 접촉하게 되어, 압박 부재(87)는 스프링부(87E)의 편향력을 수용하면서 방지면(96)에 의해 대기 위치(SP)로 복귀되는 것이 방지된다.
시험 후에, 검출 유닛(82)은 결합 방향(CD)을 따라 홀더(8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검출 유닛(82)이 홀더(81)로부터 멀리 이동됨에 따라, 전방벽 부재(50)의 바닥 단부는 제1 캠면(93) 상에서 이동되어, 전방벽 부재(500는 제1 캠면(93)을 따라 상방으로 또는 장착 방향(MD)으로 이동된다. 제1 캠면(93)을 따른 전방벽 부재(50)의 이동 전에, 압박 부재(87)는 스프링부(87E)의 편향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2 캠면(95)을 따라 대기 위치(SP)를 향해 이동 또는 압박되어, 전방벽 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력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이 방식으로, 전방벽 부재(50)는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부터 해제되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를 향해 이동되고, 그 후에 검출 유닛(8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81)로부터 멀리 이동됨으로써, 커넥터(F)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유지된 전방벽 부재(50)와 함께 취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벽 부재(50)의 상단면에 노출된 작동면(59A)을 압박하기에 충분하여, 전방벽 부재(50)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전방벽 부재(50)를 분리시킬 때, 즉 전방벽 부재(50)를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시킬 때에, 전방벽 부재(50)를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부분적인 로킹 위치를 향해)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성이 보다 양호하다.
또한, 그러한 압박면(59A)이 노출되더라도,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유지되는 동시에, 장착 프레임(27)의 상부벽(26)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되는 일 없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전방벽 부재(50)는 하나 이상의 탭 삽입 홀(51) 및/또는 지그 삽입 홀(52)을 구비하여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탭(70)은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유지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탭 삽입 홀(51)을 통해 암형 단자 연결구(40)[바람직하게는 암형 단자 연결구의 접촉점(45A)]와 접촉할 수 있고/있거나, 검출 핀(60)은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유지된 상태에서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검출판(46)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탭(70)과 검출 핀(60)은 암형 단자 연결구(40)의 검출판(46)과 접촉점(45A)으로 각각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벽 부재(50)는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 (예컨대, 상부에 장착되어 캠 작용 등을 나타내는 레버의 레버 동작에 의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압박되기 때문에, 전방벽 부재(50)는 시험 장치(80)에 의한 일련의 시험 사이클 동안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작동 효율을 향상시킨다. 유사하게, 시험 후에, 전방벽 부재(50)는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에,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부터 실질적으로 다시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 압박된다. 따라서, 작동 효율이 더욱 더 양호하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커넥터를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전방벽 부재(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캠면들과 압박 부재(87)를 세팅시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시험 장치(80)의 구성을 특별히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컨대 전방벽 부재를 분리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각 공동(11)과 연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탭 삽입 홀(51)이 형성된 전방벽 부재(50)를 암형 하우징(10)의 전면에 장착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전방벽 부재(50)의 말단 또는 측방향(상부) 단부면[장착 방향(MD)에서 보았을 때 전방 단부면)에서 작동면(59A)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전방벽 부재(50)는 이 작동면(59A)을 압박 또는 조작함으로써, 암형 하우징(100의 전면을 따라 또는 그 전면 에서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면(59A) 외에 전방벽 부재(50)의 상부 단부면의 일부가 실질적으로 상부벽(26)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방벽 부재(50)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서 상방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주로 전방벽 부재(50)의 하부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전방벽 부재(50)는 그 후방면의 바닥에 마련된 기부(54)가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기부(54)의 후방면은 수직 리브(53)의 후방면보다 더 후방으로 배치된다. 암형 하우징(10)의 바닥벽의 전방 단부는 전방벽 부재(50)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한 경우에 기부(54)가 장착 방향(MD)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아래쪽으로부터 또는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 또는 노치(21)를 형성하도록 절취된다. 또한, 전방벽 부재(50)가 실질적으로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도달한 경우에, 기부(54)가 실질적으로 그 위에 배치된 주요부(41)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50)는 상방으로 또는 장착 방향(MD)으로 더 이상 추가로 압박될 수 없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벽 부재(50)의 대칭은 식별 구조로서 작용하는 기부(54)와 압박부(59)에 의해 없어진다. 따라서,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을 따라 전방벽 부재(50)의 배향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방벽 부재(50)의 배향은 전방벽 부재(50)를 조립할 때 자동 기계에 의해 유리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시험 장치의 상세한 구성>
도 17 내지 22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도시된 시험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17 내지 22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동일시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공통 부품이거나 유사한 부품은 설명하지 않는다.
검출 유닛(82)과 홀더(81)는 베이스(100) 상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실질적으로 반대쪽 긴 가장자리들에는 한쌍의 측벽(101)이 기립되어 있고, 특정한(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길이 범위에 걸쳐 각 측벽(101)의 내부면으로부터 안내 돌기(102)가 돌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유닛(82)은 그 하부에 밑판(103)을 갖고 있고, 발판(103)의 실질적으로 반대쪽 폭방향 표면은 오목하게 되어 하나 이상의 안내홈(104)을 형성한다. 양 오목홈(104)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 돌기(102)와 맞물려서, 검출 유닛(82)은 실질적으로 안내 돌기(10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검출 유닛(82)은 밑판(103)의 정상에 또는 그 위에 있는 주 본체(105)를 갖고, 이 주 본체(105)의 반대쪽 측면 중 대응하는 측면에는 각 연결 링크(106)의 일단부가 회전 또는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100)의 상부면의 후방 단부에는 지지 블록(107)이 고정되고, 지지 블록(107) 상에는 작동 레버(108)가 회전 또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 링크(106)의 타단부는 작동 레버(108)에 결합되어, 검출 유닛(82)은 작동 레버(108)가 회전 또는 피봇될 때에 실질적으로 전후로 또는 결합 방향(CD)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홀더(81)의 지지 블록(8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91)는 검출 유닛(82)의 주 본체(105)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검출 핀(60)이 수용부(91)의 후방벽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들 검출 핀(60)은 홀더(81)에 세팅된 커넥터(F)의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이동될 때에 하나 이상의 각 지그 삽입 홀(52)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된다.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와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 사이에서 전방벽 부재(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캠면(93, 95)은 모두 수용부(91)의 개방 가장자리부에 또는 그 개방 가장자리부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방벽 부재(50)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부터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캠면(93)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개방 가장자리에서 상단을 향해 변위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돌기(110)는 개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벽까지의 범위에 걸쳐 수용부(91)의 내벽면으로부터 수용부(91)의 내측을 향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제1 캠면(93)은 후방측으로부터 캠 돌기(110)의 선단부의 내부면 상의 개방 가장자리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방벽 부재(50)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면(95)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제1 캠면(93)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서 도 19의 우측 개방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절취하거나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고/형성되거나, 개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다.
상기 홀더(81)는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는 후방벽(83)과, 이 후방벽(83)의 전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 블록(84)을 포함한다. 지지 블록(84)은 오목하게 되어 커넥터(F)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고정부(85)를 형성한다. 커넥터 고정부(85)는지지 블록(84)의 측방향(상부) 표면에서 개방되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삽입 개구(86)를 형성한다. 이 커넥터 삽입 개구(86)는 전방벽(50)이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 유지된 상태에서 커넥터(F)의 외측 형태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벽 부재(50)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유지된 커넥터(F)를 삽입하려는 잘못된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전방벽 부재(50)의 일부가 커넥터 삽입 개구(86)의 개방 가장자리와 간섭한다. 따라서, 커넥터(F)가 시험하기에 적절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조작자가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커넥터(F)가 강제적인 시험 동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삽입 개구(86)를 포함하는 커넥터 고정부(85)는 홀더(81)의 후방면에서 개방됨으로써, 배선 탈출부(111)를 형성한다.
전방벽 부재(50)를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에서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 부재(87)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블록(84)의 일측면에 압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그 후방 단부가 지지 블록(8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대기 위치(SP)에 보통 유지되어 있다(도 18 참조). 압박 부재(87)는 검출 유닛(82)의 제2 캠면(95)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검출 유닛(82)이 결합 방향(CD)을 따라 홀더(81)에 가까워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을 때에 실질적으로 제2 캠면(95)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됨으로써, 압박 부재(87)는 대기 위치(SP)로부터 압박 위치(PP)로 압박된다. 실질적으로 압박 부재(87)가 장착되는 측면의 지지 블록(84)의 반대쪽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섭 회피홈(112)이 형성되어, 커넥터 고정부(85)와 연통된다. 이 간섭 회피홈(112)은 검출 유닛(82)이 홀더(81)에 가까워질 때에 제1 캠면(93)을 수용하여, 제1 캠면(93)이 전방벽 부재(50)가 압박되기 전에 통과되게 함으로써, 전진하는 검출 유닛(82)과 전방벽 부재(50)의 간섭을 회피한다. 또한, 부분적인 로킹 위치로 이동되는 전방벽 부재(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간섭 회피홈(112)의 바닥면과 천장면에 탈출홈(113)이 형성된다.
검출 유닛(82)이 홀더(81)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에, 제1 캠면(93)이 전방벽 부재를 상승시키거나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서 반대로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 및 예시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의해 이하의 실시예들이 또한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들 외에,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벽 부재는 완전한 로킹 위치(제2 위치; 2P)로부 터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압박되거나 작동면을 핑거 등에 의해 압박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접속 시험이 전방벽 부재가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유지된 상태에서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전방벽 부재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에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부로서의 검출판 외에 암형 단자 연결구의 부품을 이용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면은 압박 부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압박될 수 있어 홀더와 검출 유닛이 결합 방향(CD)을 따라 서로 가까워질 때에, 전방벽 부재를 부분적인 로킹 위치(제1 위치; 1P)로 압박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연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벽 부재를 탈착할 때 조작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커넥터(F)로서,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구(4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의 공동(11)의 내벽에 형성되어 단자 연결구(40)를 유지하는 로킹부(12)와,
    상기 공동(11) 내로 정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공동(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연결구(40)와 연결될 수 있는 탭(70)과,
    실질적으로 공동(11)과 연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탭 삽입 홀(51)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는 전방벽 부재(50)와,
    상기 전방벽 부재(50)를 분리 또는 이동시키도록 사용되며 전방벽 부재(50)의 단부면 상에 노출되어 있는 작동면(59A)
    을 포함하며,
    전방벽 부재(50)가 장착된 상태(2P)에 도달할 때에 작동면(59A) 외에 전방벽 부재(50)의 단부면의 하나 이상의 부분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차양부(27)가 하우징(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장착된 상태(2P)로부터 장착되지 않은 상태(1P)로 이동되거나, 실질적으로 하우징(10)의 전면을 따라 완전히 탈착되는 것인 커넥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그 외부 형태의 대칭에 의해 수직 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전방벽 부재(50)의 배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구조(54)를 갖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전기 접속 시험용 검출 핀(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52)을 포함하고, 탭 삽입 홀(51)이 실질적으로 공동(11)과 연통하는 제2 위치(2P)와 탭 삽입 홀(51)이 공동(11)으로부터 변위되는 제1 위치(1P)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탭(70)은 전방벽 부재(50)가 제2 위치(2P)에 위치된 상태에서 탭 삽입 홀(51)을 통해 단자 연결구(40)의 접촉점(45A)과 접촉될 수 있고, 검출 핀(60)은 전방벽 부재(50)가 제1 위치(1P)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단자 연결구(40)의 검출부(46)와 접촉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따른 커넥터(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단자 연결구(40)의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 시험 장치로서,
    커넥터(F)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되는 홀더(81)와,
    하나 이상의 검출 핀(60)을 포함하고 홀더(81)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검출 유닛(82)으로서, 상기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은 커넥터(F)가 홀더(8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까워짐으로써, 검출 핀(60)이 지그 삽입 홀(5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은 시험 후에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커넥터(F)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 검출 유닛(82)과,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에, 전방벽 부재(50)를 제2 위치(2P)로부터 제1 위치(1P)로 압박하도록 홀더(8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된 커넥터(F)의 작동면(59A)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핀(60)은 전방벽 부재(50)가 압박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위치(1P)로 압박된 후에 지그 삽입 홀(5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홀더(81)와 검출 유닛(82)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에, 전방벽 부재(50)를 제1 위치(1P)로부터 실질적으로 반대로 제2 위치(2P)로 압박하기 위한 역압박 수단(93)을 더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압박 수단(93)은 검출 유닛(82)에 마련된 제1 캠면(93)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제1 위치(1P)로부터 반대로 제2 위치(2P)를 향해 압박되도록 실질적으로 제1 캠면(93)을 따라 이동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검출 유닛(82)에 마련된 제2 캠면(92)과, 홀더(81)에 마련된 압박 부재(87)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부재(87)는 작동면(59A)을 압박하도록 제2 캠면(9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전방벽 부재(50)를 제2 위치(2P)로부터 제1 위치(1P)로 압박하는 것인 커넥터 시험 장치.
  10. 단자 연결구(40)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MD)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면을 따라 제1 위치(1P)와 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단자 연결구(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전방벽 부재(5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방벽 부재(50)에는 전기 접속 시험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검출 핀(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벽 부재는 하우징(10) 상에, 탭 삽입 홀(51)이 실질적으로 공동(11)과 연통하고 탭(70)이 탭 삽입 홀(51)을 통해 단자 연결구(40)의 접촉점(45A)과 접촉될 수 있는 제2 위치(2P)와, 탭 삽입 홀(51)이 공동(11)으로부터 변위되어 있거나 공동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고 검출 핀(60)이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단자 연결구(40)의 검출부(46)와 접촉될 수 있는 제1 위치(1P)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커넥터(F) 및
    상기 커넥터(F)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될 수 있는 홀더와, 하나 이상의 상기 지그 삽입 홀(5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 핀(60)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험 장치에 의한 커넥터 시험 방법으로서,
    상기 커넥터(F)를 전방벽 부재(50)가 제2 위치(2P)에 위치된 상태에서 시험 장치의 홀더(8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하는 단계와,
    커넥터(F)가 홀더(8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전방벽 부재(50)를 제2 위치(2P)로부터 제1 위치(1P)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검출 핀(60)을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전기 접속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홀더(8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 커넥터(F)로 전기 접속 시험을 행한 후에 검출 핀(60)이 지그 삽입 홀(52)을 통해 후퇴되는 동안에 제1 위치(1P)로부터 반대로 제2 위치(2P)로 이동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부재(50)는 검출 핀(60)이 커넥터 하우징(10)에 가까워질 때에 제2 위치(2P)로부터 제1 위치(1P)로 이동되고, 검출 핀(60)이 후퇴될 때에 반대로 제2 위치(2P)로 이동되는 것인 커넥터 시험 방법.
KR1020060010302A 2005-02-02 2006-02-02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741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6670 2005-02-02
JP2005026670 2005-02-02
JP2005030883A JP2006244709A (ja) 2005-02-02 2005-02-07 コネクタ、コネクタ検査装置およびコネクタ検査方法
JPJP-P-2005-00030883 2005-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54A KR20060088854A (ko) 2006-08-07
KR100741339B1 true KR100741339B1 (ko) 2007-07-23

Family

ID=3606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302A KR100741339B1 (ko) 2005-02-02 2006-02-02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52557B2 (ko)
EP (1) EP1689041B1 (ko)
JP (1) JP2006244709A (ko)
KR (1) KR100741339B1 (ko)
CN (1) CN1815819B (ko)
DE (1) DE6020060002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282B2 (ja) * 2006-10-26 2011-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04212B2 (ja) * 2007-10-26 2012-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28216A (ja) * 2007-11-26 2009-06-11 Yazaki Corp 導通検査治具、該導通検査治具を備えた導通検査装置、及び導通検査方法
JP5181843B2 (ja) * 2008-06-03 2013-04-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83315B2 (ja) * 2008-06-25 2013-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28648B1 (en) * 2008-11-14 2009-12-08 J. S. 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a connector assembly employing the same
JP5499848B2 (ja) 2010-04-06 2014-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68802B2 (ja) * 2012-11-14 2015-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92428B2 (ja) * 2013-03-18 2016-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786594B1 (ko) * 2016-07-22 2017-10-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CN111262077B (zh) * 2017-06-23 2022-01-1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2019040687A (ja) * 2017-08-23 2019-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KR101830415B1 (ko) * 2017-09-18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JP6881354B2 (ja) * 2018-03-07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検査ユニットおよび検査装置
CN110297110B (zh) * 2018-03-21 2022-02-15 科磊股份有限公司 探针结构、夹具、容置盒、自动化探针替换系统及方法
JP7183972B2 (ja) * 2019-06-19 2022-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可動支持構造体
CN110412318B (zh) * 2019-07-24 2024-03-19 珠海市运泰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手动插头插拔测试夹具
CN113067197A (zh) * 2020-01-02 2021-07-02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发射组件的引脚加电工装
JP7480716B2 (ja) * 2021-01-21 2024-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6899918B (zh) * 2023-07-19 2024-05-03 明光市永鸿木制品厂 一种元器连接件自检装置及自动插针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6580A1 (en) * 2000-12-28 2002-07-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tinuity test method for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528B2 (ja) 1991-12-27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604378Y2 (ja) * 1993-12-06 2000-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ホルダ付き二重係止コネクタ
JP3272850B2 (ja) * 1994-02-01 2002-04-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38113B2 (ja) * 1994-05-09 2000-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検出具
JPH08250176A (ja) * 1995-03-13 1996-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989066A (en) * 1997-12-18 1999-11-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position latch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P3672229B2 (ja) * 2000-02-23 2005-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抜け防止コネクタ
US6731118B2 (en) * 2001-06-07 2004-05-04 Sumitomo Wiring System Ltd. Connector inspection apparatus
JP3755431B2 (ja) * 2001-06-22 2006-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063115A (ja) * 2002-07-25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292803B2 (ja) * 2003-01-09 2009-07-08 住友電装株式会社 係止解除用治具
JP4543953B2 (ja) * 2005-02-17 2010-09-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6580A1 (en) * 2000-12-28 2002-07-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tinuity test method for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0429A1 (en) 2006-08-03
KR20060088854A (ko) 2006-08-07
US7253638B2 (en) 2007-08-07
CN1815819B (zh) 2010-05-26
EP1689041A1 (en) 2006-08-09
DE602006000297D1 (de) 2008-01-24
JP2006244709A (ja) 2006-09-14
US20070046293A1 (en) 2007-03-01
DE602006000297T2 (de) 2008-11-06
US7252557B2 (en) 2007-08-07
CN1815819A (zh) 2006-08-09
EP1689041B1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339B1 (ko) 커넥터, 커넥터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US9577382B2 (en) Connector
KR10100694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7294015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ssembly thereof
US8075324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etection switch which is closed or opened by operation of a locking member
US8449319B2 (en) Connector
US5859534A (en) Connector examination and correction devices and methods examining and correcting same
US20030060075A1 (en) Connector and an unlocking jig therefor
US7404730B2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 detection terminal
US20070004288A1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3555591B2 (ja) コネクタ
US6638099B2 (en) Connector
JP3903885B2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JP389404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49985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3598990B2 (ja) コネクタ
JP4631730B2 (ja) コネクタ
JP3936964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導通検査装置
JP2000137052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2001091563A (ja) コネクタの導通検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