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64B1 - 자동차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64B1
KR100737764B1 KR1020050035372A KR20050035372A KR100737764B1 KR 100737764 B1 KR100737764 B1 KR 100737764B1 KR 1020050035372 A KR1020050035372 A KR 1020050035372A KR 20050035372 A KR20050035372 A KR 20050035372A KR 100737764 B1 KR100737764 B1 KR 10073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fuel consumption
fu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776A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filed Critical 김종식
Priority to KR102005003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6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60R16/0234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related to maintenance or repair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연료사용량, 배터리 전압, 실내온도, 자동차 사용시간을 응용하여 총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 사용량 LCD 디스플레이(B1).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 사용시간 LCD 디스플레이(B2). 자동차 사용 연료사용량 기준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B3). 자동차 전압, 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B4).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기준 시간 설정 LCD 디스플레이(B5). 실내온도, 최저온도 경고 설정 값, 최고온도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B6). 소모품 교환 주기 기준 및 알림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B7)하게 함으로서 자동차 사용에 따른 연료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자동차 사용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부하 및 무부하 전압 체크로 인한 발전기 및 배터리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하게 하여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일반운전자 주행기록(C1)에서 (T1)시간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C2)에서 (T2)시간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할 수 한다.
이때 T1 = T2 로 하여 운전패턴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차이를 체감할 수 있게 하여 연료절감을 최대로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경고 값을 설정하여 운전자의 안전에 기여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절감과 자동차 소모품 관리, 자동차의 전기 관리, 자동차 실내온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

Description

자동차 관리장치{omitted}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표시도.
제3도는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주행기록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자연적 조건(도로조건, 날씨, 온도 등)
A2 : 인위적 조건(가속, 속도유지, 감속 등 운전자의 조작행위)
A3 : 전자제어장치(ECU)
A4 : 연료분사(인젝터)
A5 : 전압 검출부
A6 : 실내온도 검출부
A7 : 인젝터 구동신호 검출부
A8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
A9 :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
A10 : 제어 연산부
A11 : 내부변수 설정부
A12 : 부저, 음성 알림부
A13 : LCD 표시부
A14 : 주행거리 검출부 (차속센스,GPS)
B1 : 총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 사용량 LCD 디스플레이.
B2 :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 사용시간 LCD 디스플레이.
B3 : 자동차 사용 연료사용량 기준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
B4 : 자동차 전압, 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
B5 :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 기준 시간 설정 LCD 디스플레이
B6 : 실내온도, 최저온도 경고 설정 값, 최고온도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
B7 : 소모품 교환 주기 기준 및 알림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
C1 :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일반운전자 주행기록.
C2 :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
본 발명은 자동차산업을 생산, 정비, 사용, 관리 분야로 분류 했을 때 전자 제어장치를 적용한 자동차의 올바른 사용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0444351호 연료절감 자동차 도로주행모드 지시, 기록 및 평가 시스템에서 도로주행모드 적용에 따른 운전 패턴에 대한 연료 사용량을 수치화 시켜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하여 일반운전자가 자동차 연료절감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최상의 운전 패턴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를 올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운전자들은 자동차의 연료소모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측정 기술을 겸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 국내 및 해외에서 판매해온 연료절감 기술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어 혼돈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연료절감과 관련된 수많은 기술이 공개됨에 있어 자동차 메이커, 자동차 기술 연구소, 자동차 부품관련업체 및 자동차 정비업체 등 에서도 자동차 연료절감과 관련된 올바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료절감관련 기술을 시험하고 있으며, 시행착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실로 엄청나다고 할 것이다.
연료절감과 관련된 기술은 엔진 흡기부분의 와류장치 및 강제 와류장치, 연료라인에 자석을 부착하는 방식, 연료라인을 절단하여 부착하는 자석장치, 배터리 위에 부착하는 배터리 전압 보전 전기장치, 엔진 연료에 첨가하는 연료첨가제, 엔진 오일에 첨가하는 엔진오일첨가제, 연료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연료압력 조절장치, 다 전극 점화플러그,
스로틀 포지션센서 가변전압조정기, 합금촉매를 이용한 출력증강장치, 냉각수에 첨가하는 첨가제 등 수많은 연료절감 기술 등이 있다.
연료절감 기술을 개발함에 있어 연료절감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공인기관의 1회 시험비용이 2,000만원에 육박하고 실 도로 주행이 아닌 실험실 내에서만 시험을 할 수 있는 현실을 감안 한다면 기술 을 객관적으로 시험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 하겠다.
연료사용량 계산에 있어 전자제어장치(A3)에서 연료분사(A4)를 구동하는 구동신호 값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동안의 연료사용량을 일정시간 동안의 인젝터 구동시간의 합으로 나누면 인젝터 구동 1ms에 해당하는 연료 사용량을 구하지만
자연적조건(A1), 인위적 조건(A2), 자동차 상태에 따라 인젝터 구동 1ms당 연료 사용량 기준값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연료펌프의 압력, 관 손실 수두, 인젝터 사용 정도, 운전자의 운행패턴 등에 따라 동일한 차량이라도 그 값을 달리하게 되므로 연료분사량을 구하는 인젝터 구동신호 값을 기준으로 한 인젝터 구동시간당 연료사용량은 해당 차량이 운행하는 자연적인 조건과 인위적인 조건 및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실제 연료사용량과는 오차가 있으므로 이 오차를 운전자가 수정하여 적용하게 하는 것이다.
자동차 관련업종 및 운전자가 소모품 교환주기를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엔진 시동후 주행을 하지 않는 상태라 하면 엔진 소모품은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되며, 일반 운전자가 시내, 외곽, 고속도로 주행을 달리하고 운전 패턴을 달리 적용함에 있어서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소모품을 교환하는 것은 현실 적으로 불합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이 알고 있는 엔진오일 교환 주행거리를 5,000KM라고 했을 때 시내주행과 고속도로주행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며, 연료 사용량을 기준으로 본다면 2배 이상의 오차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한 자동차라 하여도 운전자에 따라서 엔진오일, 점화플러그, 점화케이블, 에어클리너, 타이밍 벨트, 연료필터, 산소센서, 자동변속기 오일 등 엔진 소모품의 교환주기를 달리 적용하여야 함은 당연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으로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적용하여 현실화 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무상 A/S 기간의 기준을 주행거리로 하고 있으나,
장거리 운행을 하는 자동차와 단거리 운행을 하는 자동차 간에 불합리성을 연료사용량 누적으로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A/S 기간의 기준을 정하여 합리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사용시간을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사용시간에 따라 A/S 기간을 정할 수 있도록 자동차 사용시간을 누적하여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자동차 전압을 표시함에 있어 운전자가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알지 못하고 있으나 자동차 전압을 표시하고 부하 전압(시동시 전압)과 무부하 전압(운행중 전압)의 경고 값을 설정하여 운전자가 발전기 또는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배터리 전압이 12볼트 일 때 무부하 전압이 12볼트라면 배터리에 전기가 충전되지 않는 것이므로 발전기 계통에 이상이 있음을 알 게 되어 점검을 할 수 있게 되고, 부하 전압이 9.6볼트 이하가 되면 배터리를 점검해야 하는 것을 알게 하여 점검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자동차 실내온도를 표시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실내온도가 몇도 인지만을 확인 하는 정도에서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설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쾌적한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연료사용량, 배터리 전압, 실내온도, 자동차 사용시간을 응용하여 총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 사용량 LCD 디스플레이(B1).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 사용시간 LCD 디스플레이(B2). 자동차 사용 연료사용량 기준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B3). 자동차 전압, 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B4).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기준 시간 설정 LCD 디스플레이(B5), 실내온도, 최저온도 경고 설정 값, 최고온도 경고 설정 값 LCD 디스플레이(B6). 소모품 교환 주기 기준 및 알림 값 설정 LCD 디스플레이(B7)하게 함으로서 자동차 사용에 따른 연료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자동차 사용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부하 및 무부하 전압 체크로 인한 발전기 이상유무, 배터리 이상유무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하게 하여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일반운전자 주행기록(C1)에서 (T1)시간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C2)에서 (T2)시간에 해당 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T1 = T2 로 하여 운전패턴의 변화에 따른 연료사용량 차이를 체감할 수 있게 하여 일반운전자가 연료절감을 최대로 할 수 있게 하고, 운전자가 연료사용량을 연비(1리터당 주행거리KM)를 알고자 할 경우 주행거리 검출부(차속, GPS)로부터 검출된 주행거리 정보를 제어연산부(A10)에서 1리터당 주행거리를 환산하여 LCD 표시부(A13)에 표시하고,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경고 값을 설정하여 운전자의 안전에 기여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절감의 극대화를 통한 올바른 사용과 자동차 A/S 및 소모품 관리, 자동차 전기 관리, 자동차 실내온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이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첨부된 도면 제1도는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자연적인 조건(도로조건, 날씨, 온도 등)(A1) 및 인위적인 조건(운전자의 조작행위)(A2)으로 전자제어장치(ECU)(A3)에서 연료분사(인젝터)를 하게 된다. 자연적인 조건(A1) 및 인위적인 조건(A2)에 의해 스로틀포지션센서, 캠앵글센서, 냉각수온센서, 산소센서, 공기유량센서, 산소센서 등의 각종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를 전자제어장치(A3)가 연산하여 연료분사(A4)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되는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 구동신호를 인젝터 구동신호 검출부 (A7)에서 검출하여 제어 연산부(A10)에 전달한다.
구동신호는 차량별로 상이하지만 1 / 1000 초 단위인 미리세크(ms) 단위로 구동되며 연료사용량 계산에 있어 전자제어장치(A3)에서 연료분사(A4)를 구동하는 구동신호 값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동안의 연료사용량을 일정시간 동안의 인젝터 구동시간의 합으로 나누면 인젝터 구동 1ms에 해당하는 연료 사용량을 구할 수 있다.
제어연산부(A10)은 해당 차량별로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정해진 인젝터 구동시간(ms)당 연료사용량 값을 자동차 사용시 자동차 사용 연료사용량 기준값 설정(B3)에서 기준값으로 누적되게 한다.
이때 기준값은 자연적조건(A1), 인위적 조건(A2)에 따라 인젝터 구동 1MS당 연료 사용량 기준값은 실제 연료 사용량 값과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연료펌프의 압력, 관 손실 수두, 인젝터 사용 정도, 운전자의 운행패턴 등에 따라 동일한 차량이라도 그 값을 달리하게 되므로 연료 분사량을 구하는 인젝터 구동신호 값을 기준으로 한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정해진 인젝터 구동시간당 연료사용량과 해당 차량이 운행하는 자연적인 조건과 인위적인 조건 및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서 나타나는 연료사용량과의 오차를 운전자가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하여 사용한 연료량을 계산하여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해 수정 값으로 대입하여 기준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연료사용량 산출에 있어 정확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관리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도로서 LCD 표시부에 표시되는 자동차 관리 장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B1 내지 B7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총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사용량(B1)을 LCD표시부(A13)를 통하여 표시하게 한다.
내부변수 설정부(A11)는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 설정(B7)의 좌변항과 우변항에 연료 사용량 기준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을 알리는 해당연료량(단위 리터)이 동일하게 입력되고, 우변항의 입력값이 연료를 사용하면 해당 연료사용량만큼 감해져서 0 리터에 도달하게 될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연료 사용량 기준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값의 예를 든다면
엔진 오일 교환 주기를 자동차 메이커에서 주행거리 15,000KM라고 하고, 공인연비를 15KM/L 라고 한다면 엔진 오일 교환주기 연료사용량은 15,000KM를 15KM/L로 나누어 얻어진 1,000L를 좌변 항에 입력하는 것이다. 다른 소모품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하면 된다.
제어연산부(A10)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소모품 교환 주기가 되었음을 운전자가 인식하게 되면 운전자는 내부변수 설정부(A11)을 통하여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 설정(B7)에서 해당 소모품 항의 우측에 있는 교환을 클릭하면 우변 항에 있는 값이 좌변 항에 있는 값과 일치하게 하여 소모품 교환 시기를 합리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한다.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 사용량,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 적용 기준 시간 설정(B5)항에서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 적용 기준 시간 설정 값 0,000 초를 내부변수 설정(A11)을 통하여 1초,.. 10초,.. 60초,.. 120초,.. 600초,.. 3600초 등을 설정하면 제어연산부(A10)에서는 LCD 표시부(A13)을 통하여 B5와 같이 현시점에서 과거 1초,.. 10초,.. 60초,.. 120초,.. 600초,.. 3600초 동안 사용한 연료사용량을
1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1초간 연료사용량 x 3600 으로 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고,
10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10초간 연료사용량 x 360 으로 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고,
60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60초간 연료사용량 x 60 으로 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고,
120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120초간 연료사용량 x 30 으로 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고,
600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600초간 연료사용량 x 6 으로 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고,
3600초로 설정 했을 때는 현시점 기준 과거 3600초간의 연료사용량을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내부변수 설정부(A11)을 통하여 B5의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 적용 기준시간을 설정하면 현재시점부터 과거 해당시간까지의 연료사용량을 한 시간 연료사용량으로 환산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시동후 정지상태에서 엔진에 부가 되는 부하량 변화에 따른 연료사용량의 차이를 계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운전패턴에 따른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그래프 상에서 확인하게 하여 일반운전자의 주행기록(도 3의 C1)과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도 3의 C2)에 대한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내부변수 설정부(A11)에는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및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적용 기준시간이 더 설정(B5)되는데, 현재시점부터 과거 해당시간까지의 연료사용량을 한 시간 연료사용량으로 환산하여 운전패턴 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을 표시되고, X축(시간), Y축(부하)을 기준으로 한 일반운전자의 주행기록 그래프(C1)에서 소정의 시간(T1)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 및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 그래프(C2)에서 소정의 시간(T2)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이 표시되므로 상기 소정의 시간 T1 과 T2를 동일하게 하였을 때 일반운전자가 최고운전자의 비교될 수 있다.
삭제
이때 T1 = T2 로 하여 운전패턴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차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일반운전자가 연료절감을 최대로 할 수 있게 한다.
운전자가 연료사용량을 연비(1리터당 주행거리KM)를 알고자 할 경우 주행거리 검출부(차속, GPS)로부터 검출된 주행거리를 제어연산부(A10)에서 1리터당 주행거리로 환산하여 LCD 표시부(A13)에 표시한다.
제어연산부(A10)에서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사용시간(B2)을 LCD표시부(A13)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서 자동차 A/S 보장 기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 순간 가속성능 시험시 100M를 주행할 경우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의 운행시간을 알 수 있게 되고, 총 연료 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 사용량(B1)과 비교하면 연비와 가속성능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동일한 주행코스를 2회 운전 하였을 때, 도 2의 B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 사용량은 1회 주행시의 연료사용량으로서 표시되고,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사용량은 2회 주행시의 연료 사용량으로서 표시된다.
운전자가 동일한 주행코스를 2회 운전 하였을 때, 도 2의 B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 시간은 1회 주행시의 자동차 사용시간으로서 표시되고, 상기 자동차 사용 현재사용시간은 2회 주행시의 자동차 사용시간으로서 표시된다.
전압 검출부(A5)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표시부(A13)에 표시함에 있어 도 2의 B4에 표시된 바와 같다. 운전자가 미리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하여 부하전압 경고 설정 값(배터리 전압 최저값) 및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발전기전압과 배터리 전압 사이의 값)을 설정해 두면, 자동차 전압이 볼트 단위로 표시되면서 부하 및 무부하시 설정값에 도달 하였을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B6의 파라미터들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LCD표시부에는 실내온도 검출부(A6)로부터 검출된 온도, 운전자가 미리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하여 설정해둔 최저온도 경고 설정값 및 최고 온도 경고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B6).
실내온도 검출부(A6)로부터 검출된 실내온도는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표시부(A13)에 표시함에 있어 B6와 같이 ℃를 단위로 하여 표시되고,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상기 최고온도 또는 최저온도 설정값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연산부(10)에서 제어 연산을 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되어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 표시부(A13), 부저 및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자동차의 특성상 제어연산부의 연산 값을 순간, 순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함에 있어 전기공급이 불안정 내지 차단되었을 때 제어 연산부의 값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에 저장하고 종료하며 전기공급이 안정화 되면 제어연산부(A10)에서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의 저장 값을 기초로 하여 제어 연산한 값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되어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 표시부 및 부저 및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함으로서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게 하여 총 연료 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 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사용량(B1).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 사용시간 (B2). 자동차 사용 연료 사용량 기준 값 설정 (B3). 자동차 전압, 부하전압 경고 설정값,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 (B4). 운전패턴기준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운전패턴기준 한시간당 연료사용량 적용기준시간 설정(B5). 실내온도, 최저온도 경고 설정 값, 최고온도 경고 설정 값 (B6).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설정 (B7)을 할 수 있게 하여 자동차의 올바른 사용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용, 관리시스템은 제1도 및 2도와 같이 자동차의 연료사용량, 운전패턴에 대한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시간, 자동차 전압, 실내온도 등을 활용하게 함으로서 일반운전자가 자동차 연료절감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최상의 운전 패턴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를 올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운전자들에게 자동차의 연료소모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측정 기술을 제 공함으로서 정차 및 주행 중 자연적인 조건 및 인위적인 조건하에서 변화되는 연료사용량 차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으로 제공하고 연비와 관련된 수많은 기술개발 및 검토에 있어 시행착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자동차 관련업종 및 운전자가 소모품 교환주기를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연료사용량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차의 무상 A/S 기간의 기준을 주행거리로 하고 있으나 연료사용량 누적으로 A/S 기간의 기준을 정하여 합리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사용시간을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사용시간에 따라 무상 A/S 기간을 정할 수 있도록 자동차 사용시간을 누적하여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자동차 전압을 표시하고 부하 전압과 무부하 전압의 경고 값을 설정하여 운전자가 발전기 또는 배터리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다.
자동차 실내온도를 표시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실내온도가 몇도 인지만을 확인 하는 정도에서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설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쾌적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 된 것이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자동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A5);
    자동차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A6);
    자동차 주행거리를 검출하는 주행거리 검출부(A14);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 구동신호를 검출하는 인젝터 구동신호 검출부(A7);
    상기 전압검출부, 실내온도 검출부, 주행거리 검출부 및 인젝터 구동신호 검출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여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
    상기 전압검출부, 실내온도 검출부, 주행거리 검출부 및 인젝터 구동신호 검출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영구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 설정 등의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는 내부변수 설정부(A11);
    상기 각각의 검출부에서 전송받은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제어 연산하여 현재 자동차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어 연산부(A10);
    상기 제어연산부에서 제어 연산된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LCD 표시부(A13) 및 부저 및 음성 알림부(A12)를 포함하는 자동차 사용 및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연산부(A10)는 해당 차량별로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정해진 인젝터 구동시간(MS)당 연료사용량 값을 자동차 사용시 자동차 사용 연료사용량 기준값 설정(B3)에서 기준값으로 누적되게 하고,
    해당 차량이 운행하는 자연적인 조건과 인위적인 조건 및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서 나타나는 연료사용량과의 오차를 운전자가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하여 사용한 연료량을 계산하여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해 수정 값으로 대입하여 기준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CD 표시부(A13)에는 자동차의 총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사용량,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사용량(B1)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하여 상기 LCD표시부(A13)의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 설정(B7)의 좌변항과 우변항에 연료 사용량 기준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을 알리는 해당연료량(단위 리터)이 동일하게 입력되고, 우변항의 입력값이 연료를 사용하면 해당 연료사용량만큼 감해져서 0 리터에 도달하게 될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변수 설정부(A11)을 통하여 소모품 교환주기 기준 및 알림 설정(B7)에서 해당 소모품 항의 우측에 있는 교환을 클릭하면 우변 항에 있는 값이 좌변 항에 있는 값과 일치하게 하여 소모품 교환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는 자동차 관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변수 설정부(A11)에는 운전자 패턴에 따른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 및 운전자 패턴에 따른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을 측정하는 기준시간이 추가로 더 설정(B5)되되,
    현재시점부터 과거 해당시간까지의 연료사용량이 한 시간 연료사용량으로 환산되어 운전자 패턴에 따른 한 시간당 연료사용량으로 표시되고,
    X축(시간), Y축(부하)을 기준으로 한 일반운전자의 주행기록 그래프(C1)에서 소정의 시간(T1)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 및
    X축(시간), Y축(부하)를 기준으로 한 최고운전자의 주행기록 그래프(C2)에서 소정의 시간(T2)에 해당하는 주행기록에 대한 한 시간당 연료 사용량이 상기 소정의 시간 T1 과 T2를 동일하게 하였을 때 비교될 수 있는 자동차 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연비(1리터당 주행거리KM)를 알고자 할 경우 주행거리 검출부(차속, GPS)로부터 검출된 주행거리가 상기 제어연산부(A10)에서 1리터당 주행거리로 환산되어 LCD 표시부(A13)에 표시되는 자동차 관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연산부(A10)에서 제어 연산된 자동차 사용시간 합계,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시간, 자동차 사용 현재사용시간(B2)이 상기 LCD표시부(A13)에 표시되는 자동차 관리장치.
  9. 제 3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동일한 주행코스를 2회 운전 하였을 때,
    상기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연료 사용량은 1회 주행시의 연료사용량으로서 표시되고, 상기 자동차 사용 현재 연료사용량은 2회 주행시의 연료 사용량으로서 표시되고,
    상기 자동차 사용 최종 1회 사용 시간은 1회 주행시의 자동차 사용시간으로서 표시되고, 상기 자동차 사용 현재사용시간은 2회 주행시의 자동차 사용시간으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A5)로부터 검출된 자동차 전압과,
    상기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하여 설정된 부하전압 경고 설정 값(배터리 전압 최저) 및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 값(발전기전압과 배터리 전압 사이의 값)이 상기 제어연산부(A11)에서 상기 LCD표시부(A13)에 표시되고,
    상기 자동차 전압이 상기 부하 및 무부하 전압 경고 설정값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 검출부(A6)로부터 검출된 온도와,
    상기 내부변수 설정부(A11)를 통하여 설정된 최저온도 경고 설정값 및 최고온도 경고 설정값이 상기 제어연산부(A10)에서 상기 LCD표시부(A13)에 표시되고,
    상기 온도가 최고온도 및 최저온도 경고 설정값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연산부(A11)에서 LCD표시부(A13) 및 부저,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연산부(10)에서 제어 연산을 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되어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 표시부(A13), 부저 및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어연산부의 연산 값을 순간, 순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함에 있어 전기공급이 불안정 내지 차단되었을 때 제어 연산부의 값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에 저장하고 종료하며 전기공급이 안정화 되면 제어연산부(A10)에서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의 저장 값을 기초로 하여 제어 연산한 값을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8)와 휘발성 데이터 저장부(A9)에 각각 저장되어 제어 연산부(A10)에서 LCD 표시부 및 부저 및 음성 알림부(A12)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함으로서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게 하는 자동차 관리장치.
KR1020050035372A 2005-04-28 2005-04-28 자동차 관리장치 KR10073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72A KR100737764B1 (ko) 2005-04-28 2005-04-28 자동차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72A KR100737764B1 (ko) 2005-04-28 2005-04-28 자동차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76A KR20060112776A (ko) 2006-11-02
KR100737764B1 true KR100737764B1 (ko) 2007-07-10

Family

ID=3765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372A KR100737764B1 (ko) 2005-04-28 2005-04-28 자동차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5A2 (ko) * 2008-08-25 2010-03-04 Choi In Sup 차량에 공급되는 연료압력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연료소모량을 표시하는 장치
KR100978322B1 (ko) 2009-04-20 2010-08-26 인퓨즈 주식회사 항법위성을 이용한 차량용 시계의 표시방법
KR101978324B1 (ko) * 2017-11-23 2019-05-15 (주)닥터소프트 주유정량 판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29B1 (ko) * 2007-01-24 2008-10-15 모소모토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절감을 위한 표시장치
US8165782B2 (en) 2006-09-01 2012-04-24 Mosomoto Co., Ltd. Fuel saving apparatus
KR100863328B1 (ko) * 2007-02-27 2008-10-15 모소모토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절감을 위한 무선 방식의 표시장치
KR101584405B1 (ko) 2013-10-3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응용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145A (ko) * 1995-05-31 1997-07-22 윤석원 자동차 부품과 소모품의 점검 및 교환 시기, 워밍업 완료시기, 밧데리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
KR100285500B1 (ko) 1997-04-18 2001-04-02 윤석원 자동차 관리 방법과 장치
KR20020016280A (ko) * 2000-08-25 2002-03-04 김성헌 차량의 주행 결과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8685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자동차의 정비 점검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145A (ko) * 1995-05-31 1997-07-22 윤석원 자동차 부품과 소모품의 점검 및 교환 시기, 워밍업 완료시기, 밧데리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
KR100285500B1 (ko) 1997-04-18 2001-04-02 윤석원 자동차 관리 방법과 장치
KR20020016280A (ko) * 2000-08-25 2002-03-04 김성헌 차량의 주행 결과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8685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자동차의 정비 점검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5A2 (ko) * 2008-08-25 2010-03-04 Choi In Sup 차량에 공급되는 연료압력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연료소모량을 표시하는 장치
WO2010024575A3 (ko) * 2008-08-25 2010-06-24 Choi In Sup 차량에 공급되는 연료압력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연료소모량을 표시하는 장치
KR100978322B1 (ko) 2009-04-20 2010-08-26 인퓨즈 주식회사 항법위성을 이용한 차량용 시계의 표시방법
KR101978324B1 (ko) * 2017-11-23 2019-05-15 (주)닥터소프트 주유정량 판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76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64B1 (ko) 자동차 관리장치
US6972668B2 (en) Tamper-evident use-indicating odometer and engine-timer
US8534123B2 (en) Engine air filter replacement indication system
JP3528707B2 (ja) 車両の燃費計測装置
CN102393733B (zh) 故障诊断方法、故障诊断仪及其系统、新能源汽车
US8805639B1 (en) Idle detection for improving fuel consumption efficiency in a vehicle
US20080319605A1 (en) Fue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20054086A1 (en) Carbon dioxide monitoring apparatus for vehicles, carbon dioxide management system, and carbon dioxide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KR100762096B1 (ko) 차량의 연비측정 및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2993A (ko) 차량주행 패턴 분석시스템 및 차량주행 패턴 분석방법
US20240059141A1 (en) Vehicle Fuel Level Estimation
KR101499092B1 (ko) 차량 진단장치
JP5540037B2 (ja) 車両情報収集装置及び車両情報収集方法
CN204479687U (zh) 一种智能型自动化电气测试系统
JP4045529B2 (ja) 車両の燃費計測方法
CN205785379U (zh) 汽车油耗在线检测和标定装置
CN209674405U (zh) 一种出租车计价器检定装置
US20140257685A1 (en) Vehicle diagnostic method, and external diagnostic device
KR20110121752A (ko) 차량의 주행정보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3967566B2 (ja) 積算走行距離の改竄検出方法
CN109470487A (zh) Suc性能检测系统及其方法
KR20080039352A (ko) 전자제어자동차 관리시스템
EP2314863A1 (en) A device to monitor glow plugs in a vehicle
JP5437787B2 (ja) 車両用出力装置
KR101185574B1 (ko)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는 차량상태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