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226B1 - 건반 관악기 - Google Patents

건반 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226B1
KR100734226B1 KR1020040047987A KR20040047987A KR100734226B1 KR 100734226 B1 KR100734226 B1 KR 100734226B1 KR 1020040047987 A KR1020040047987 A KR 1020040047987A KR 20040047987 A KR20040047987 A KR 20040047987A KR 100734226 B1 KR100734226 B1 KR 10073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ed
keyboard
stopper
pres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436A (ko
Inventor
야마시타시게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12Free-reed win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1/00Accordions, concertinas or the like; Keyboard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Abstract

싱글 밸브방식을 채용한 건반 관악기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실을 갖는 프레임에 건반과 밴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건반을 구성하는 복수의 건반 키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리드밸브는 비연주시에 있어서 대응하는 파이프실의 공기출입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연주시에는 개방한다. 밴드기구는 발음되고 있는 음의 피치를 일시적으로 내려서 밴드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고, 병렬상으로 형성되는 리드밸브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회동축 및 연결봉을 포함하는 회동가능한 밸브 압압체와, 이 밸브 압압체를 리드밸브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밸브 압압체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밸브 압압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반 관악기{KEYBOARD WIND INSTRU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건반 관악기의 외관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건반 관악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통상 연주시의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건반 관악기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밴드기구를 비작동상태로 한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밴드기구를 작동상태로 한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밴드기구의 주요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발음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밴드기구(bend mechanism)를 구비한 건반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건반 관악기는 기본적으로는 각 리드(reed)의 고유 주파수에 의해서 발음 피치(즉, 음정의 고저)가 결정되기 때문에 발음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고, 포르타멘토(portamento) 등의 연주효과를 얻을 수 없는 악기로 되어 있었다. 최근에는 밴드기구를 부가함으로써 발음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한 건반 관악기도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평9-16163호 공보(단락[0008] ~ [0018], 및 도 2 참조)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밴드기구를 구비한 건반 관악기에 대해서 각종 데이터 베이스 등을 검색하여도 상기 공보 이외에 본원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선행기술 문헌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 공보를 본원 발명의 종래기술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건반 관악기는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와 리드밸브(reed valve) 사이에 작은 구멍을 갖는 초크밸브(choke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밸브는 비연주상태에 있어서 리드밸브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를 폐쇄하고 있고, 건반의 키 누름조작에 따라 리드밸브가 건반 키와 일체적으로 회동하여 초크밸브에 대한 압압상태를 해제하면 초크밸브도 압축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리드밸브와 일체적으로 회동하여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를 개방한다. 초크밸브가 공기 출구부를 개방하면 그때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리드가 진동하여 소정의 피치로 발음된다. 이 발음상태에서 초크밸브를 압축 코일 스프링에 저항하여 폐쇄방향으로 회동시켜 공기 출구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류의 양을 규제하면 리드의 진폭이 변화하여 통상 연주시보다 낮은 피치로 발음된다(이것을 「밴 드효과」라 칭한다.). 즉, 건반과 일체적으로 작동하는 리드밸브와, 이 리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리드밸브와는 별개로 작동할 수 있는 초크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소위 더블 밸브방식을 실현하고, 이로써, 밴드 연주법시에 초크밸브만을 폐쇄방향으로 회동시켜 발음 피치를 일시적으로 내려서 상기 밴드효과를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반 관악기는 각 파이프실에 대해서 2개의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화되어 부품 점수가 증가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와 초크밸브의 간극 및, 리드밸브와 초크밸브의 간극을 밀봉부재에 의해 각각 밀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밀봉 개소가 많게 되고, 밀봉부재의 열화에 의해 밀봉성능이 저하하면 상기 간극으로부터의 공기 누출이 발생하여, 악기로서의 연주성능이 저하한다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초크밸브를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와 리드밸브 사이의 좁은 개소에 구비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악기제조시의 조립작업성이 낮게 된다. 또한, 초크밸브의 재조정이나 수리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건반과 리드밸브를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지 않으면 작업을 행할 수 없다라는 각종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소위 싱글 밸브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와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또한, 조립작업성의 향상, 및 재조정 및 수리 등의 작업의 용이성을 담 보하고, 양호한 밴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건반 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건반 관악기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병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파이프실과, 이들 파이프실에 각각 리드 구멍을 통해서 연통됨과 아울러 마우스피스에 연통되는 공기실과, 이들 파이프실의 리드 구멍에 각각 설치된 리드와, 복수의 건반 키로 이루어지는 건반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리드밸브와, 이들 리드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압압하는 밴드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드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 밴드기구에 의해 리드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압압하면 리드밸브가 회동하여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리드의 진동이 변화하고, 이로써, 발음 피치가 통상보다 낮게 되는 밴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밴드기구는 병렬상으로 배열된 모든 리드밸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리드밸브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압압체와, 이 밸브 압압체를 리드밸브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수단과, 밸브 압압체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과, 밸브 압압체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밴드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리드밸브를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밴드기구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압압체를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밸브로부터 이간된 초기위치에서 수용하여 거는 제 1 스토퍼부와, 밴드기구의 작동시에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밸브를 상기 공기 출구부가 폐쇄 되지 않는 각도 내에서 폐쇄방향으로 회동 복귀시켰을 때에 그 회동위치에 상기 밸브 압압체를 정지시키는 제 2 스토퍼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밴드기구를 작동시켜 밸브 압압체를 제 2 스토퍼부에 접촉시키면 더이상 리드밸브를 회동시킬 수 없으므로, 리드밸브가 공기 출구부를 완전히 폐쇄해 버리는 일이 없고, 따라서, 리드의 발음상태를 정지시키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싱글 밸브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건반 관악기의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조립작업성의 향상, 및 재조정 및 수리 등의 작업의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고, 이로써, 양호한 밴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건반 관악기의 외관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건반 관악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확대 단면도이고, 비연주시의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통상 연주시의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건반 관악기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밴드기구를 비작동상태로 한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밴드기구를 작동상태로 한 건반 관악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건반 관악기에 조립되는 밴드기구의 주요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품 등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져 있고, 부호 1은 건반 관악기 전체를 나타내고, 부호 2는 공명 상자를 형성하는 악기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악기 케이스(2)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직사각형상의 바닥이 얕은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실 형성부재(4)와 마우스피스(mousepiece) (5)를 구비한 프레임(파이프실부 형성부재)(3)이 악기 케이스(2)의 상방측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3)은 합성수지제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격벽(6)에 의해서 서로 구획된 복수의 파이프실(8)이 소정의 음높이에 각각 대응하도록 프레임(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파이프실(8)은 프레임(3)의 배면측과 하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의 개구부에 의해 악기 케이스(2) 내에 개방되는 공기 출구부(9)를 형성하고, 하면측의 개구부(10)가 리드 플레이트 (1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리드 플레이트(11)는 모든 파이프실(8)에 대해서 공통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짐과 아울러 각 파이프실(8)에 대응하여 형성된 가늘고 긴 복수개의 리드 구멍(12)을 갖고 있고, 이 리드 구멍(12)을 통해서 파이프실(8)과 (후술하는)공기실(14)을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리드 플레이트(11)의 하면측에는 복수개의 리드(13)가 리드 구멍(12)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리드(13)는 소정의 길이와 고유진동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얇은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기단부가 스폿 용접이나 못질 등에 의해 상기 리드 플레이트 (11)의 하면에 고정되고, 이로써, 캔틸레버 지지(cantilever support)되어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5)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공기실(14)로부터 리드 구멍(12)을 통해서 파이프실(8) 내에 유입되면 이 때의 공기류에 의해 리드(13)의 자유단측이 진 동한다. 이 리드(13)의 진동에 의해 리드 구멍(12)은 주기적으로 개폐되고, 이로써, 단속적인 공기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음높이의 음이 발음된다.
마우스피스(5)는 연주시에 연주자측이 되는 프레임(3)의 좌측면에 형성된 접속 구멍(15)(도 4 참조)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삽입하여 접속되어 있고, 악기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공기실 형성부재(4)는 리드 플레이트(11) 및 리드(13)를 덮도록 프레임(3)의 하면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공기실 형성부재(4)와 프레임(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공기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실(14)은 복수의 파이프실 (8)과 리드 구멍(12)을 통해서 연통됨과 아울러 마우스피스(5)와 접속 구멍(15)을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프레임(3)의 파이프실(8)보다 상방부분에는 부(副) 공기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 공기실(18)은 프레임(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격벽(19)에 의해 각각 소정의 용적을 갖도록 3개의 실(18a,18b,18c)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실 (18a,18b,18c)은 파이프실(8)의 격벽(6)에 형성한 연통 구멍(20)을 통해서 공기실 (14)에 연통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공기실(14)의 용적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 공기실(18)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실(14) 내의 공기의 고유진동수를 리드(13)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공기실(14) 내의 공기의 고유진동수를 리드(13)의 고유진동수보다 충분히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리드(13)의 진동에 의해 공진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또한, 공기실 (14) 및 부 공기실(18)의 양쪽에 있어서, 소위 송풍 중단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저음에서부터 고음에 이르기까지 넓은 음역에 걸쳐서 평균적인 음량으로 발음이 행해지고, 이로써, 안정된 연주를 행할 수 있다.
프레임(3)의 상면에는 백색 건반 키(22A) 및 흑색 건반 키(22B)로 구성되는, 예컨대, 37개의 건반 키로 이루어지는 건반(22)이 악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백색 건반 키(22A) 및 흑색 건반 키(22B)의 각각은 각 파이프실(8)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각 건반 키의 후단부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3)의 상면 후단부로 돌출된 돌기형상의 회동 지점부(2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복귀방향(도 3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 습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백색 건반 키(22A) 및 흑색 건반 키(22B)의 하면 후단부 부근에는 복수의 리드 밸브(25)가 설치되고, 각각 일체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드 밸브(25)는 압축 코일 스프링 (24)에 의해 프레임(3)의 뒷면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통상 눌려져 설치됨으로써 각 파이프실(8)의 공기 출구부(9)를 폐쇄함과 아울러 각 건반 키를 초기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프레임(3)에는 밴드기구(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밴드기구(30)는 연주시의 건반 키 조작에 의해 개방된 리드 밸브(25)를 공기 출구부(9)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폐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발음되고 있는 음의 피치를 일시적으로 내려서 밴드효과를 얻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밴드기구(30)는 프레임(3)의 뒷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든 리드 밸브(25)의 배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밸브 압압체(31)와, 이 밸브 압압체(31)를 리드 밸브(25)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수단(32)과, 밸브 압압체(31)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 (33)과, 밸브 압압체(31)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1쌍의 스토퍼(34) 등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압압체(31)는 상기 리드 밸브 (25)의 후방[즉, 리드 밸브(25)가 개방되는 측]에 위치하는 평행한 회동축(35) 및 연결봉(36)과, 이들 회동축(35) 및 연결봉(36)의 양 단부 부근을 연결하는 연결 레버(37), 2개소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 레버(38), 및 중앙부를 연결하는 연결 레버(39)로 이루어지는 3종류, 합계 5개의 연결 레버로 구성된다. 또한, 회동축(35)의 양단부가 각각 스토퍼(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그 중간부가 지지체(4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유지된다.
회동축(35) 및 연결봉(36)은 각각 금속제이고, 상기 연결 레버(37,38 및 39)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각각 관통하고, 또한, 용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회동축(35)은 연결봉(36)보다 굵어서 상방 또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 압압체(31)는 자중에 의해 도 7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의 회동 습성을 갖고, 또한, 그 좌우 양단부에 설치한 연결 레버(37)가 각각 스토퍼(34)에 의해서 초기위치에 걸려 있다.
상기 조작수단(32)은 상기 프레임(3)의 하면 후단부에 설치한 안내 블록(40) (도 3 참조)에 진퇴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부가 연결 레버(39)를 압압하는 압압부(32A)를 형성하고, 그 후단부에 설치한 파지부(32B)가 악기 케이스(2)의 뒷면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멍(43)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 레버(39)의 하면측에는 조작수단(32)의 압압부(32A)에 의해서 압압되는 삼각형의 돌기부(39A)가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33)은 상기 회동축(35)과 평행하게 설치된 좌우 일체의 토션바(torsion bar)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외단이 연결 레버(38)에 설치된 걸림부 (38A)에 걸려지고, 내단이 지지체(41)의 구멍(45)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압수단(33)은 밴드기구(30)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밸브 압압체(31)에 대해서 거의 작용하지 않지만 밴드기구(30)를 작동하여 밸브 압압체(31)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비틀려져서 밸브 압압체(31)를 초기위치에 복귀시키고자 하는 힘이 축적되게 된다. 또한, 가압수단(33)으로서는 토션바에 한정되지 않고 꼬임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체(41)는 각각 프레임(3)의 하면에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35)을 회동가능하게 유지하는 U자형상의 홈(46)을 갖고 있다.
상기 스토퍼(34)는 밸브 압압체(31)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고, 프레임(3)의 하면의 좌우 양단부에 고정 나사에 의해서 각각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각 스토퍼(34)는 상기 회동축(35)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삽입통과구멍 (48)과, 연결 레버(37)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부(50A 및 50B)를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스토퍼부(50A 및 50B)는 각각 스토퍼(34)에 있어서 연결 레버(37)와 대향하는 내면으로 돌출된 2개의 돌기부(51A 및 51B)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34)를 프레임(3)의 하면 후단부에 고정 나사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스토퍼부(50A 및 50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통상은 제 1 스토퍼부(50A)에 의해서 연결 레버(37)를 수용하여 초기위치에 정지시키고 있다(도 7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건반 키 조작에 의해 리드 밸브(25)를 최대 각도 개방하여도 상기 리드 밸브(25)는 연결봉(36)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제 2 스토퍼부(50B)는 밴드기구(30)의 작동시에 밸브 압압체(31)의 회동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 밸브(25)를 공기 출구부(9)가 완전히는 폐쇄되지 않는 범위의 각도 내에서 폐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복귀시킨다. 또한, 좌우 1쌍의 스토퍼(34)는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51A 및 51B) 사이에 연결 레버(37)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반 관악기(1)의 비연주시에 있어서 리드 밸브(25)는 인장 코일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프레임(3)의 뒷면에 압접되어 공기 출구부(9)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공기를 마우스피스(5)에 불어넣어도 공기 출구부(9)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유입되지 않고, 리드(13)도 진동하지 않는다.
한편, 마우스피스(5)로부터 공기를 불어넣고, 또한, 임의의 백색 건반 키 (22A) 및 흑색 건반 키(22B)를 건반 키 누름조작하면, 대응하는 리드 밸브(25)가 개방되고, 그 리드 밸브(25)에 대응하는 파이프실(8)의 공기 출구부(9)를 개방시킨다. 공기 출구부(9)가 개방되면 마우스피스(5)로부터 공기실(14) 내에 흡입된 공기는 건반 키 누름조작된 건반 키에 대응하는 파이프실(8) 내에 리드 구멍(12)을 통해서 유입되고, 상기 파이프실(8)의 리드(13)를 진동시키고, 그 후, 공기 출구부 (9)로부터 악기 케이스(2) 내로 배출됨으로써 통상의 피치의 음을 발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연주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조작수단(32)의 조작부 (32B)를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조작수단(32)을 악기 케이스(2) 내에 밀어넣으면 조작수단(32)의 압압부(32A)가 연결 레버(39)의 돌기부(39A)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 압압체(32A)가 도 8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연결봉(36)이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 밸브(25)를 후방으로부터 압압한다. 이 때문에 리드 밸브(25)는 폐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공기 출구부(9)를 완전 개방시의 절반 이하의 개방상태로 된다. 그 결과, 공기 출구부(9)의 개구 면적이 좁혀지게 되어, 공기 출구부(9)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리드(13)는 통상 연주시보다 낮은 피치로 발음된다. 이 피치 변화에 의한 밴드효과가 통상의 음의 강약이나 예리함, 및 부드러움 등의 표현에 추가됨으로써 건반 관악기의 연주효과를 보다 높이고, 또한, 곡상의 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수단(32)의 조작에 의해서 리드 밸브(25)의 개방도를 반복해서 변경함으로써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압압체(31)는 연결 레버(37)가 스토퍼(34)의 제 2 스토퍼부(50B)에 접촉하면 그이상의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리드 밸브(25)가 완전히 폐쇄되어 버리는 일없이 발음을 단속할 수 있다.
밴드 연주법으로부터 통상의 연주상태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조작수단(32)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된다. 조작수단(32)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토션바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33)에 의한 복귀력에 의해서 밸브 압압체(31)가 회동 복귀하여 제 1 스토퍼부(50A)에 접촉하고, 이로써, 리드 밸브(25)의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리드 밸브(25)도 완전 개방상태로 복귀하여, 리드(13)의 발음상태를 통상의 발음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프레임(3)에 부 공기실(18)을 형성한 건반 관악기에의 적용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부 공기실(18)을 구비하지 않은 건반 관악기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청구항에 규정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변경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건반 관악기는 리드 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를 좁히는 밴드기구를 설치했으므로, 발음 피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포르타멘토 등의 연주효과가 얻어지고, 건반 관악기에 있어서의 음악적 표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반 관악기는 종래의 건반 관악기에 비해서 구조가 간소하고,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건반 관악기는 조립작업성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반을 떼어내는 일없이 재조정이나 수리 등을 행할 수 있고, 각종 작업성에도 우수하다.

Claims (3)

  1. 삭제
  2.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병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파이프;
    상기 복수의 파이프실에 각각 리드 구멍을 통해서 연통됨과 아울러 마우스피스에 연통되는 공기실;
    상기 복수의 파이프실의 리드 구멍에 설치된 복수의 리드;
    복수의 건반 키로 이루어지는 건반의 각각의 건반 키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실의 공기 출구부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리드밸브; 및
    상기 복수의 리드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압압하는 밴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밴드기구는 상기 복수의 리드밸브에 대응하여 그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압압체와, 상기 밸브 압압체를 리드밸브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밸브 압압체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밸브 압압체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관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밴드기구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압압체를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밸브로부터 이간된 초기위치에서 수용하여 거는 제 1 스토퍼부와, 상기 밴드기구의 작동시에 완전 개방상태의 리드밸브를 상기 공기 출구부가 폐쇄되지 않는 각도 내에서 폐쇄방향으로 회동 복귀시켰을 때에, 그 회동위치에 상기 밸브 압압체를 정지시키는 제 2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관악기.
KR1020040047987A 2003-06-27 2004-06-25 건반 관악기 KR100734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4565A JP4193609B2 (ja) 2003-06-27 2003-06-27 鍵盤吹奏楽器
JPJP-P-2003-00184565 200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436A KR20050001436A (ko) 2005-01-06
KR100734226B1 true KR100734226B1 (ko) 2007-07-02

Family

ID=3418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987A KR100734226B1 (ko) 2003-06-27 2004-06-25 건반 관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93609B2 (ko)
KR (1) KR100734226B1 (ko)
CN (2) CN2785088Y (ko)
TW (1) TWI300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609B2 (ja) 2003-06-27 2008-12-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吹奏楽器
JP4551357B2 (ja) 2006-05-15 2010-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019975A (ja) * 2008-07-09 2010-01-28 Yamaha Corp 鍵盤楽器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20150023783A (ko) * 2012-07-19 2015-03-05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건반 하모니카 및 마우스피스 부착 호스
FR3017980B1 (fr) * 2014-02-24 2016-02-12 Gino Boccabella Instrument de musique a vent a anches libres et a touches
FR3054919B1 (fr) * 2016-08-03 2019-09-27 Philippe Tchumak Instrument de musique a vent a anches libres et a hauteur de son modulable
JP6724814B2 (ja) * 2017-02-16 2020-07-1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ハーモニカ
CN108721843B (zh) * 2018-06-06 2020-09-08 湖南湘雅博爱康复医院有限公司 一种肌体功能康复训练装置
JP1651802S (ja) * 2019-06-28 2020-02-03 鍵盤付吹奏楽器
JP1660813S (ko) * 2019-08-08 2020-06-01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8622U (ko) 1976-03-05 1977-09-08
JPS52156522U (ko) 1976-05-21 1977-11-28
JPS5597786U (ko) 1979-12-27 1980-07-07
JPS6388898U (ko) 1986-11-28 1988-06-09
JPH0916163A (ja) * 1995-06-30 1997-01-17 Yamaha Corp 鍵盤吹奏楽器
JP2005017840A (ja) 2003-06-27 2005-01-20 Yamaha Corp 鍵盤吹奏楽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5544U (zh) * 1990-11-15 1991-09-25 刘狂飙 带滑动器的口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8622U (ko) 1976-03-05 1977-09-08
JPS52156522U (ko) 1976-05-21 1977-11-28
JPS5597786U (ko) 1979-12-27 1980-07-07
JPS6388898U (ko) 1986-11-28 1988-06-09
JPH0916163A (ja) * 1995-06-30 1997-01-17 Yamaha Corp 鍵盤吹奏楽器
JP2005017840A (ja) 2003-06-27 2005-01-20 Yamaha Corp 鍵盤吹奏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8039A (en) 2005-06-01
CN1577485A (zh) 2005-02-09
TWI300919B (en) 2008-09-11
CN2785088Y (zh) 2006-05-31
KR20050001436A (ko) 2005-01-06
JP4193609B2 (ja) 2008-12-10
CN1577485B (zh) 2010-08-25
JP2005017840A (ja)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226B1 (ko) 건반 관악기
US7750221B2 (en)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and resonance tube and resonance box for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US4449439A (en) Mouthpiece for woodwind instruments
US5824927A (en) Keyed free-reed instruments scope
US7767892B2 (en)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308781A (en) Saxophone mouthpiece having boundary layer control means
JP2006119576A (ja) ハーモニカ
US20070144330A1 (en) Enhanced resonator for banjo or other musical instrument
US5182413A (en) Harmonica
US5367937A (en) Harmonica
JP3942661B2 (ja) 鍵盤吹奏楽器
KR102259623B1 (ko) 건반 하모니카
EP1380025B1 (en) Harmonica comb
US9311904B2 (en) Woodwind instrument and airflow adjuster
JPS6246228Y2 (ko)
JP3528270B2 (ja) ハーモニカ
JP2545159Y2 (ja)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US20040123721A1 (en) Manual valve cover plate for diatonic harmonica
JPH0234898A (ja) 鍵盤吹奏楽器
JPS5850369Y2 (ja) 鍵盤吹奏楽器
JPS5965891A (ja) 木管楽器の鍵機構
JP3664111B2 (ja) 鍵盤装置
JPS602620Y2 (ja) 鍵盤楽器のバルブ取り付け構造
JPS5841590Y2 (ja) 鍵盤吹奏楽器
JPH07271353A (ja) 鍵盤吹奏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