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623B1 - 건반 하모니카 - Google Patents

건반 하모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623B1
KR102259623B1 KR1020197021556A KR20197021556A KR102259623B1 KR 102259623 B1 KR102259623 B1 KR 102259623B1 KR 1020197021556 A KR1020197021556 A KR 1020197021556A KR 20197021556 A KR20197021556 A KR 20197021556A KR 102259623 B1 KR102259623 B1 KR 10225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air outlet
sound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301A (ko
Inventor
요시타카 노구치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12Free-reed win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12Free-reed wind instruments
    • G10D7/14Mouth-organs
    • G10D7/16Mouth-organs with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10Resonating bodies, e.g. tubes

Abstract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는 건반 하모니카를 제공한다. 건반 하모니카(1)의 밸브 패킹(40)의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개구율은 1보다 작다. 이 때문에,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에 대응하는 리드 챔버(10)에서는 기류가 밸브 패킹(40)에 닿아서 공기 유로(R)가 변경되기 때문에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소리의 음색은 감미롭게 조정된다. 또한,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형상을 변경하므로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반 하모니카
본 발명은 건반 하모니카에 관한 것이다.
건반 하모니카는 건반 및 음고에 대응하는 프리 리드를 구비하고, 숨을 불어넣어 압건되면, 압건된 건에 대응하는 프리 리드에 기류가 닿아서 프리 리드가 진동함으로써 소리가 나온다. 마찬가지로, 프리 리드를 구비하는 악기에는 하모니카, 아코디언 등이 있다. 아코디언의 음색을 조정하는 기술이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는 Cassotto를 구비한 아코디언이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된 Cassotto를 구비한 아코디언은 4개의 리드 세트를 구비한다. 4개의 리드 세트의 각각에는 건반 중 하나의 건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리 리드가 장착되어 있다. 4개의 리드 세트 중 2개는 표준의 아코디언과 같은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다른 2개의 리드 세트는 표준의 아코디언과는 방향이 약 90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방향이 다른 2개의 리드 세트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Cassotto라고 불리는 공간을 통과하고 나서 악기 밖으로 나온다. 방향이 다른 2개의 리드 세트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Cassotto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프리 리드에 의해 발음되는 소리는 감미로워지게 되어 있다.
"Cassotto Accordion", [online], 2016년 12월 21일 검색] 인터넷 <http://www.mick-hursey.co.uk/accordions/cassotto-accordion/> "All About the Instrument", [online], 2016년 12월 21일 검색] 인터넷 <http://www.accordions.co.uk/All%20About%20the%20Instrument.htm>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된 Cassotto를 구비한 아코디언에서는 음색을 감미롭게 조정할 수 있지만, Cassotto를 형성하기 위해서 Cassotto를 구비하지 않는 아코디언보다 구조가 복잡화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는 건반 하모니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복수의 음고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을 갖는 건반과, 복수의 건의 각각에 대응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갖는 복수의 리드 챔버와, 공기 유입구에 장착된 리드와, 복수의 건의 각각과 연동하여 공기 유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 부착되어 상기 밸브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밸브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봉하는 밸브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의 제 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건반 악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 면적이 공기 유출구의 면적보다 작은 리드 챔버에서는 기류가 밸브 패킹에 닿아서 공기 유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음색이 감미롭게 조정된다. 또한, 밸브 패킹의 개구부의 형상을 변경하므로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갖는 리드 챔버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장착된 리드와,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밸브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봉하는 밸브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기 유출구 개구 면적보다 작은 악기를 개시한다.
(발명의 효과)
본원에 의한 건반 악기에 의하면,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는 건반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건반 하모니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건반 하모니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프레임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외장 프레임 및 건반이 분리된 건반 하모니카의 도 2에 나타내는 방향 A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개구부의 개구율이 음역마다 다른 밸브 패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A#5 발음시에 있어서의 종래 제품과 실시형태 제품의 음압 레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B5 발음시에 있어서의 종래 제품과 실시형태 제품의 음압 레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반 하모니카(1)는 외장 케이스(2), 건반(3) 및 취구 접속부(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건반(3)은 F3~F6의 37의 음고에 대응하는 37개의 건(30)을 갖고 있다. 외장 케이스(2)의 좌단에는 통 형상의 취구 접속부(4)가 삽입되는 미도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2)는 폴리락트산이 첨가된 ABS 수지인 폴리락트산 ABS 수지제이다. 외장 케이스(2)는 상방이 개방된 대략 상자 형상이며, 상방에 건반(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건(30)이 늘어선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건(30)에는 백건(30a)과 흑건(30b)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백건(30a)과 흑건(30b)의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건(30)이라고 기재한다.
이어서, 건반 하모니카(1)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건반 하모니카(1)의 내부에는 리드 챔버(10), 공기실(14), 및 배기실(15)이 형성되어 있다. 건반 하모니카(1)에는 건(30)과 동 수의 리드 챔버(10)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 챔버(10)는 공기 유입구(11) 및 공기 유출구(12)를 갖는다. 공기실(14)은 건반(3)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하나의 공간이다. 공기실(14)은 취구 접속부(4)와 연통되어 있고, 리드부(6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실(15)은 리드 챔버(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장 케이스(2)에 형성된 미도시의 개구부에 의해 건반 하모니카(1)의 외부와 통하고 있다. 리드 챔버(10)의 공기 유입구(11)는 리드부(60)가 갖는 리드(63)가 장착되어 있다. 공기 유출구(12)에는 건(30)의 각각과 연동하여 공기 유출구(12)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33)가 배치되어 있다. 공기 유출구(12)에는 밸브(33)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41)(도 3)를 갖는 밸브 패킹(40)이 장착되어 있다. 밸브 패킹(40)은 공기 유출구(12)와 밸브(33) 사이에 개재되고, 밸브(33)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밸브(33)와 이간되어 개구부(41)를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태로 하여 공기 유출구(12)를 개방 상태로 한다. 또한, 밸브 패킹(40)은 밸브(33)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밸브(33)와 접촉하여 개구부(41)를 밸브(33)에 막힌 상태로 하여 공기 유출구(12)를 밀봉 상태로 한다. 연주자에 의해 취구 접속부(4)로부터 공기가 불어 넣어져 건(30)이 눌려지면 밸브(33)가 열리고, 기류에 의해 리드(63)가 진동하여 건반 하모니카(1)는 발음한다.
건반 하모니카(1)는 상기한 구성 외에, 상프레임(5), 하프레임(7), 흡음 패킹(21), 스프링(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수지제인 상프레임(5)은 베이스부(51), 제 1 돌기부(52), 및 제 2 돌기부(53)를 갖는다. 베이스부(5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베이스부(51)에는 복수의 리드 챔버(10)를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51)의 후단부에는 베이스부(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51)의 후단부에는 베이스부(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돌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프레임(5)은 인젝션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리드부(60)는 리드 플레이트(61)와, 리드 챔버(10)와 동 수의 리드(63)를 갖는다. 금속제의 리드 플레이트(61)에는 리드 챔버(10)와 동 수의 리드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의 리드(63)는 평판 형상이고, 음고에 따른 길이를 갖고 있다. 리드(63)는 리드 구멍(62)의 하방에 있어서 후방의 단부가 리드 플레이트(61)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하프레임(7)은 상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하프레임(7)과 리드부(6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공기실 (14)이다. 외장 케이스(2), 상프레임(5), 하프레임(7)에 의해 구획되는 리드 챔버(10)의 후방의 공간이 배기실(15)이다.
밸브(33)는 건(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건(3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건(30)의 후방의 하면에는 제 1 돌기(52)와 맞물리는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건(30)은 오목부(31)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다. 돌기부(32)와 제 2 돌기부(53)에 스프링(22)이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건(30)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바이어싱되고, 건(30)의 전단부는 상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고무제인 흡음 패킹(2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배기실(1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장 케이스(2)에 부착되어 있다. 밸브 패킹(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부재에 리드 챔버(10)와 동 수의 개구부(41)(도 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유출구(12)에 부착되어 있다. 밸브 패킹(40)의 재료는, 예를 들면 다공성의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등의 발포 고무, 소위 고무 스폰지이다. 밸브 패킹(40)의 두께는 대략 1㎜이다. 밸브 패킹(40)은 밸브(33)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공기 유출구(12)와 밸브(33) 사이를 밀봉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건(30)이 눌려지지 않는 비압건 상태에서는, 밸브(33)는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를 막음으로써, 공기 유출구(12)를 밀봉 상태로 한다. 여기서, 다른 건(30)의 발음을 위해서 공기실(14)에 공기가 불어 넣어진 경우에도, 밸브 패킹(40)이 공기 유출구(12)와 밸브(33) 사이를 밀봉하여 공기 유출구(12)에 대한 밸브(33)의 밀폐도(밀착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비압건 상태인 리드 챔버(10)에 있어서의 공기의 누설, 소위 기식성은 억제된다. 한편, 건(30)이 눌려진 압건 상태에서는 건(3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밸브(33)도 하방으로 회동하고, 밸브(33)가 밸브 패킹(40)으로부터 이간하여 공기 유출구(12)가 개방되고, 리드 챔버(10)에는 공기실(14)로부터 배기실(15)로 이르는 공기 유로(R)가 형성된다. 취구 접속부(4)로부터 불어 넣어진 공기는 공기 유로(R)를 흐른다. 이것에 의해, 리드(63)가 진동하여 소리가 나온다.
이어서, 도 3을 이용하여 밸브 패킹(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밸브 패킹(40)은 성형된 평판 형상의 부재가 펀칭 틀에 의해 개구부(41)가 제거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건반 하모니카(1)가 발음하는 37의 음고는 12의 음고를 포함하는 저음역(SA1), 13의 음고를 포함하는 중음역(SA2), 12의 음고를 포함하는 고음역(SA3)의 3개로 구분된다. 각 음역에서, 개구부(41)의 개구율은 서로 다르고, 저음역(SA1),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개구율은 각각 1.1, 0.4, 0.25이다. 또한, 여기서의 개구율이란 개구부(41)의 개구 면적을 공기 유출구(12)의 개구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값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개구율이 다른 개구부(41)를 구별할 때에 저음역(SA1)의 개구부(41), 중음역(SA2)의 개구부(41), 고음역(SA3)의 개구부(41)를 각각 저음 개구부(41a), 중음 개구부(41b), 고음 개구부(41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음 개구부(41c)의 개구 면적은 중음 개구부(41b)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공기 유출구(12)에 대하여 개구부(41)는 직사각형의 모서리를 둥글게 한 형상이다. 저음 개구부(41a)의 개구 면적은 공기 유출구(12)로부터 나오는 기류를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 유출구(12)의 개구 면적보다 약간 크다. 중음 개구부(41b) 및 고음 개구부(41c)는 공기 유출구(12)와 중심 위치가 같다. 또한, 중음 개구부(41b)의 개구 면적 및 중음 개구부(41b)보다 개구 면적이 작은 고음 개구부(41c)의 개구 면적은 공기 유출구(12)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리드 챔버(10)를 흐르는 기류의 공기 유로(R)는 대응하는 중음 개구부(41b) 및 고음 개구부(41c)의 각각에 의해 변경된다. 또한, 리드 챔버(10)를 흐르는 기류의 유량은 대응하는 중음 개구부(41b) 및 고음 개구부(41c)의 각각에 의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 건반 하모니카(1)로부터 발음되는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소리는 감미로운 음색이 된다. 한편, 저음 개구부(41a)는 공기 유출구(12)로부터 나오는 기류를 방해할 수 없기 때문에 리드(63)의 진동에 의한 소리가 바로 나오고, 저음역(SA1)의 소리는 박력을 해치지 않는 음색이 된다.
또한, 공기 유로(R)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형상을 작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유출구(12)의 형상을 작게 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에는 상프레임(5)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밸브 패킹(4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보다 비용이 든다. 상프레임(5)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프레임(5)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개구부(41)를 제거하기 위한 커터 틀이 필요하게 되지만, 커터 틀은 상프레임(5) 성형의 금형보다 저렴하다. 따라서, 건반 하모니카(1)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의 기본 구조는 종래의 건반 하모니카의 기본 구조와같다. 따라서, 종래의 제조 설비를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건반 하모니카(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반 하모니카의 기본 구조와 같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대형화하지 않아 중량이 매우 무거워지는 일이 없다. 연주자는 건반 하모니카(1)를 들고 다니면서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건반 하모니카(1)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것에 의한 연주자의 부하의 증대가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개구율은 3개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개구율을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서 개구율의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개구율의 값에 따라 음색은 다른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음고에 따라서 개구율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음색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펀칭 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개구부(41)의 형상을 갖는 다양한 밸브 패킹(40)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건반 하모니카(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6에 있어서, 「종래」라고 나타내어진 특성은 종래 제품인 건반 하모니카로부터 발음되는 소리의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6에 있어서, 「실시예」로 나타내어진 특성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건반 하모니카(1)로부터 발음되는 소리의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제품은 건반 하모니카(1)와 이하의 3점이 크게 다르다. 건반 하모니카(1)에 있어서의 개구부(41)의 개구율이 음역마다 다른데 반해, 종래 제품의 개구부의 개구율은 전음역에 있어서 저음 개구부(41a)와 같은 개구율이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의 외장 케이스(2)는 폴리락트산 ABS 수지제인데 반해, 종래 제품의 외장 케이스는 폴리락트산 ABS 수지보다 비중이 작은 ABS 수지제이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의 외장 케이스(2)에는 흡음 패킹(21)이 부착되어 있는데 반해, 종래 제품의 외장 케이스에는 흡음 패킹이 부착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주파수 932Hz의 고음역(SA3)에 포함되는 A#5의 소리를 발음시킨 결과이다. 여기서, 화살표(a)는 기본음인 932Hz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b)는 10배음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배음, 특히 화살표(b)로 나타내어지는 10배음의 음압 레벨은 종래 제품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쪽이 작아지고 있다. 이것은 밸브 패킹(40)에 의해 공기 유로(R)가 변경되어 유량이 작아지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기본음에 추가하여 배음이 많이 포함되는 소리는 듣는 사람에게 포근한 소리라고 느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가청역에 있어서의 높은 주파수역의 음압 레벨이 높으면 날카로운 소리와 같은 귀에 거슬리는 소리라고 느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건반 하모니카(1)에서는 높은 주파수역의 음압 레벨이 낮아짐으로써 듣는 사람에게는 소리가 감미롭게 느껴지고, 높은 주파수역의 불쾌한 소리가 잔잔해졌다고 느껴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미로운 소리란 따뜻함이 있는 소리, 부드러운 소리 등으로 표현되는 소리이다.
또한, 화살표(a)로 나타내는 기본음의 음압 레벨은 종래 제품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쪽이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종래 제품의 외장 케이스의 재료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외장 케이스(2)의 재료의 쪽이 비중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건반 하모니카(1)의 외장 케이스(2)의 강성이 높아져서, 외장 케이스(2)의 여분의 진동이 경감되어 기본음의 음압 레벨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는 리드(63)만으로도 소리가 나지만, 밸브(33)와 외장 케이스(2) 사이의 공간인 배기실(15)의 용적이 음색에 영향을 미친다. 건반 하모니카(1)의 외장 케이스(2)에는 흡음 패킹(21)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제품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배기실(15)의 용적은 작아지고 있다. 또한, 흡음 패킹(21)이 리드(63)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일부를 흡수한다. 소리의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의 분포의 차이가 듣는 사람에게는 음색의 차이로서 느껴진다. 흡음 패킹(21)의 유무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 제품과 건반 하모니카(1)의 음압 레벨의 분포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 제품과 건반 하모니카(1)에서는 음색이 다르다. 또한,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형상에 의한 효과와 함께, 건반 하모니카(1)의 소리가 감미로운 음색으로 조정된다.
도 6은 주파수 987Hz의 고음역(SA3)에 포함되는 B5의 소리를 발음시킨 결과이다. 여기서, 화살표(a)는 주파수 987Hz의 기본음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내고, 화살표(b)는 9배음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A#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특히 화살표(b)로 나타내어지는 9배음의 음압 레벨은 종래 제품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쪽이 작아지고 있다. 또한, 화살표(a)로 나타내는 기본음의 음압 레벨은 종래 제품보다 건반 하모니카(1)의 쪽이 높아지고 있다. B5의 소리에 대해서도 음색이 감미롭게 되어 기본음이 제대로 발음되고 있다.
여기서, 건반 하모니카(1)는 건반 악기 또는 악기의 일례이고, 건반(3)은 건반의 일례이고, 리드 챔버(10)는 리드 챔버의 일례이고, 공기 유입구(11)는 공기 유입구 의 일례이며, 공기 유출구(12)는 공기 유출구의 일례이다. 또한, 리드(63)는 리드의 일례이고, 밸브(33)는 밸브의 일례이며, 밸브 패킹(40)은 밸브 패킹의 일례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건반 하모니카(1)의 밸브 패킹(40)의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개구율은 1보다 작다. 즉,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개구 면적은 공기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고, 이 때문에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에 대응하는 리드 챔버(10)에서는 기류가 밸브 패킹(40)에 닿아서 공기 유로(R)가 변경되기 때문에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의 소리의 음색은 감미롭게 조정된다. 또한,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형상을 변경하므로 건반 하모니카(1)의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음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의 밸브 패킹(40)의 저음역(SA1)의 개구율은 1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 저음역(SA1)의 소리는 박력을 해치지 않는 음색이 된다. 건반 하모니카(1)는 저음역(SA1)과 중음역(SA2) 및 고음역(SA3)에서 음색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의 밸브 패킹(40)의 고음역(SA3)의 개구부(41)의 개구율은 중음역(SA2)의 개구부(41)의 개구율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귀에 거슬리게 되는 높은 주파수 성분을 기본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밸브 패킹(40)은 고무제이다. 이것에 의해, 리드(63)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일부가 흡수되고, 건반 하모니카(1)의 소리가 감미로운 음색으로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개량,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외장 케이스(2)의 재료는 폴리락트산 ABS 수지제라고 설명하고, 상프레임(5)은 수지제라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프레임(5)의 재료도,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 ABS 수지 등의 강성이 높은 수지제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외장 케이스(2)와 마찬가지로, 여분의 진동이 경감되고, 기본음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2)의 재료는 폴리락트산 ABS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지로 해도 좋고, 강성이 높은 수지제로 하면 특히 좋다.
또한, 밸브 패킹(40) 및 흡음 패킹(21)의 재료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연물 등이어도 좋다. 상기에서는, 밸브 패킹(40)의 개구율은 1보다 작기 때문에 음색이 감미롭게 조정된다고 설명했다. 이것에 추가하여, 밸브 패킹(40)이 고무 스폰지제이기 때문에 밸브 패킹(40)의 공기 유출구(12)의 개구부 내에 있는 부분이 리드(63)에 의한 소리의 일부를 밸브 패킹(40)이 흡수하여 음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밸브 패킹(40)의 재료를 흡음성이 높은 재료로 하면 좋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에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사람의 숨이 불어 넣어지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2) 내는 고습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밸브 패킹(40) 및 흡음 패킹(21)의 재료는 내습성을 갖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밸브 패킹(40)의 두께는 대략 1㎜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두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두께를 0.5㎜~2㎜ 정도로 하면 좋다. 또한, 흡음 패킹(21)의 두께는 회동하는 밸브(33)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하면 좋다.
또한, 밸브 패킹(40)의 개구부(41)의 개구율은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하여도 좋다. 또한, 건반 하모니카(1)에 부착되는 밸브 패킹(40)은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로 분할된 밸브 패킹(40)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건반 하모니카를 적용예로서 설명했지만, 건반 하모니카 이외에도, 예를 들면 아코디언과 같은 건반을 구비하는 건반 악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건반 악기 이외에도 리드 챔버, 리드, 밸브 및 밸브 패킹을 구비하는 악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건반 하모니카 3 건반
10 리드 챔버 11 공기 유입구
12 공기 유출구 33 밸브
40 밸브 패킹 41 개구부
63 리드

Claims (9)

  1. 복수의 음고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을 갖는 건반과,
    상기 복수의 건의 각각에 대응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갖는 복수의 리드 챔버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장착된 리드와,
    상기 복수의 건의 각각과 연동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 장착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밸브 패킹으로서, 상기 밸브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밸브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봉하는 밸브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의 제 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제 1 개구부와는 다른 제 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제 1 개구부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건반 악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 중 상기 제 2 개구부에 대응하는 건의 음고는 상기 복수의 건 중 상기 제 1 개구부에 대응하는 건의 음고보다 높은 건반 악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와는 다른 제 3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 큰 건반 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는 상기 제 3 개구부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보다 높은 음역에 각각 대응하고 있는 건반 악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패킹은 고무제인 건반 악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패킹은 고무제인 건반 악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패킹은 고무제인 건반 악기.
  9.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갖는 복수의 리드 챔버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장착된 리드와,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 장착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밸브 패킹으로서, 상기 밸브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밸브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봉하는 밸브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의 제 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기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리드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챔버의 상기 개구부로서, 상기 제 1 개구부와는 다른 제 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제 1 개구부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악기.
KR1020197021556A 2017-02-16 2018-01-24 건반 하모니카 KR102259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7092A JP6724814B2 (ja) 2017-02-16 2017-02-16 鍵盤ハーモニカ
JPJP-P-2017-027092 2017-02-16
PCT/JP2018/002106 WO2018150825A1 (ja) 2017-02-16 2018-01-24 鍵盤ハーモニ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301A KR20190100301A (ko) 2019-08-28
KR102259623B1 true KR102259623B1 (ko) 2021-06-02

Family

ID=631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56A KR102259623B1 (ko) 2017-02-16 2018-01-24 건반 하모니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24814B2 (ko)
KR (1) KR102259623B1 (ko)
CN (1) CN110291578B (ko)
TW (1) TWI648728B (ko)
WO (1) WO2018150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2570B (zh) * 2022-11-28 2023-09-19 江苏天鹅乐器有限公司 一种手持式口风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3357Y2 (ko) * 1979-08-28 1987-11-10
KR850003136Y1 (ko) * 1983-10-22 1985-12-24 김남수 쌀통에 내설한 통풍구
KR850003059Y1 (en) * 1984-06-04 1985-12-17 Sung Rak Musical Instr Co Ltd Melodeon
JP3528270B2 (ja) * 1994-09-30 2004-05-17 ヤマハ株式会社 ハーモニカ
JP3942661B2 (ja) * 1995-06-30 2007-07-1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吹奏楽器
CN2244238Y (zh) * 1995-07-04 1997-01-01 潘金华 嵌插式口琴
JP4193609B2 (ja) * 2003-06-27 2008-12-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吹奏楽器
CN100530346C (zh) * 2005-12-28 2009-08-19 江阴金杯安琪乐器有限公司 键钮形手风琴变换键终端限位装置
TWM395892U (en) * 2010-07-27 2011-01-01 Han-Rong Zhang Free reed instrument with independently-controllable air val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1578A (zh) 2019-09-27
JP6724814B2 (ja) 2020-07-15
TW201832220A (zh) 2018-09-01
KR20190100301A (ko) 2019-08-28
TWI648728B (zh) 2019-01-21
WO2018150825A1 (ja) 2018-08-23
JP2018132698A (ja) 2018-08-23
CN110291578B (zh)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582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uting a harmonica
JP4386287B2 (ja) 電子アコーディオン
KR102259623B1 (ko) 건반 하모니카
US5140888A (en) Electronic wind instrument having blowing feeling adder
US5824927A (en) Keyed free-reed instruments scope
JP2006119576A (ja) ハーモニカ
KR100734226B1 (ko) 건반 관악기
US2565100A (en) Harmonica
US7799980B1 (en) Ocarina
JPH0916163A (ja) 鍵盤吹奏楽器
JP2023141915A (ja) 電子鍵盤楽器
US7265286B1 (en) Harmonica
KR20220130816A (ko) 개량 하모니카
JP5074624B1 (ja) エアリードを持つ楽器の音圧調整装置
CN110189730A (zh) 一种半音阶口琴
KR101268151B1 (ko) 돌출 건반키를 구비한 악기
US20060225557A1 (en) Harmonica horn
JPS6246228Y2 (ko)
US2581553A (en) Tone improving means for accordions
CN203406042U (zh) 口风琴
JPH0719139B2 (ja) 鍵盤吹奏楽器
US2448682A (en) Sound deflector for accordions
JP3268272B2 (ja) ハーモニカ
JP2537347Y2 (ja) ハーモニカのベンディング装置
JPS5850369Y2 (ja) 鍵盤吹奏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