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280B1 - 메모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80B1
KR100732280B1 KR1020010037042A KR20010037042A KR100732280B1 KR 100732280 B1 KR100732280 B1 KR 100732280B1 KR 1020010037042 A KR1020010037042 A KR 1020010037042A KR 20010037042 A KR20010037042 A KR 20010037042A KR 100732280 B1 KR100732280 B1 KR 10073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formation
frequency
system clock
memory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883A (ko
Inventor
이일호
유성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2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3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 모듈의 각 메모리 블록의 사용하지 않는 입력 핀을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어드레스 신호에 주파수 정보를 포함시켜 메모리 블록에 인가함으로서 메모리 블록의 타이밍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블록도에서 DRAM 모듈의 상세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블록도에서 DRAM 칩의 클럭 입력부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블록도에서 메모리 모듈의 메모리 블록의 클럭 입력부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시스템 클럭 발생부 20, 200 : DRAM 제어부
30, 300 : DRAM 모듈 31-3N : DRAM 칩
41-4N : 입력 회로 50 : 주파수 디코더
301 : 주파수 모드 발생부
BUF0-BUF3, BUF10-BUF13 : 버퍼
NC : 사용하지 않는 핀(no connection pin)
본 발명은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정보가 메모리 모듈의 각 메모리 블록의 입력 패드를 통해 직접 입력되거나, 어드레스 신호에 포함되어 각 메모리 블록에 입력되기 때문에 메모리 블록의 타이밍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메모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FC<0:3>)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CLK)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1)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발생하는 DRAM 제어부(2)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RAM 모듈(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주파수 정보(FC<0:3>)는 주파수가 다른 클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제어(frequency control)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이다.
시스템 클럭 발생부(1)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 신호(CLK)는 클럭 동기 회로(DLL, PLL)에 의해 클럭 타이밍이 보정되어 DRAM 모듈(3)로 전송된다.
DRAM 제어부(2)는 시스템 클럭 신호(CLK)의 주기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이 발생하는데, 하나의 명령(COM)이 발생하고 다음 명령(COM)이 발생하기까지의 간격(interval)은 시스템 클럭 신호(CLK)의 사이클 단위로 규정(SPEC)된다.
이러한 규정(SPEC)은 DRAM 모듈(3)이 동작할 때 오동작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마진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DRAM 모듈(3)은 외부 클럭 신호에 대한 주파수 정보(FC<0:3>)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특정한 지연 시간을 규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특정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주파수를 판단한다.
그러나,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예를 들어 133MHz 또는 166MHz와 같이 주파수의 주기가 작은 차이를 갖는 지연 시간을 RC 지연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기란 매우 힘들다.
따라서, DRAM 모듈(3)은 외부 클럭 신호에 대한 주파수 정보(FC<0:3>)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DRAM 모듈(3) 내부에서 사용되는 제어 신호들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클럭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DRAM 모듈에 인가하여 DRAM 모듈의 제어신호들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클럭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DRAM 모듈에 인가하고, 주파수 정보를 디코딩하여 DRAM 모듈의 제어신호들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EMRS 동작 시에 어드레스 조합이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하여 DRAM 모듈의 제어신호들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 및 주파수 정보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으로 구성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 및 주파수 정보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으로 구성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메모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FC<0:3>)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CLK)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10)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발생하는 DRAM 제어부(20)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 및 주파수 정보(FC<0:3>)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RAM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주파수 정보(FC<0:3>)는 주파수가 다른 클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정보(FC<0>)가 66MHz를 만들도록 세팅되어 있다면, 다른 주파수 정보(FC<1:3>)는 각각 100MHz, 133MHz 및 166MHz를 만들도록 세팅될 수 있다.
시스템 클럭 발생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 신호(CLK)는 클럭 동기 회로(DLL, PLL)에 의해 클럭 타이밍이 보정되어 DRAM 모듈(30)로 전송된다.
도 3은 DRAM 모듈(30)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M 모듈(30)은, 복수개의 DRAM 칩(31-3N)이 배열되어 있고, 각 DRAM 칩(31-3N)의 사용하지 않는(no connection) 핀(NC)을 통해 입력 회로(41-4N)로 주파수 정보(FC<0:3>)가 각각 입력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DRAM 모듈(30)의 각 DRAM 칩(31-3N)에서 주파수 정보(FC<0:3>)가 입력되는 입력 회로(41)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M 칩(31-3N)의 주파수 정보 입력 회로(40)는, 주 파수 정보(FC<0:3>)를 각각 버퍼링하여 주파수 설정 정보(FQ<0:3>)를 DRAM 칩(31-3N)의 내부 회로들에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BUF0-BUR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DRAM 모듈(30)의 각 DRAM 칩(31-3N)에서 주파수 정보(FC<0:3>)가 입력되는 입력 회로(4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정보(FC<0:3>)를 각각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BUF10-BUR13)와, 버퍼들(BUF10-BUR13)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주파수 설정 정보(FQ<0:15>)를 DRAM 칩(31-3N)의 내부 회로들에 출력하는 주파수 디코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주파수 정보(FC<0:3>)는 주파수 디코더(50)에 의해 디코딩 되어 16비트의 주파수 설정 정보(FQ<0:15>)를 출력한다. 여기서, 주파수 설정 정보(FQ<0:15>)는 주파수가 다른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제어(frequency control)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정보(FC<0:3>)는 주파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가 아니며, 주파수 정보(FC<0:3>)가 디코딩된 값이 주파수 설정 정보(FQ<0:15>)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FC<0:3>)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CLK)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100)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 및 주파수 정보(FC<0:3>)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발생하는 DRAM 제어부(200)와, 시스템 클럭 신호(CLK)에 따라 어드레 스 신호(ADD) 및 명령(CO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RAM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스템 클럭 발생부(10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 신호(CLK)는 클럭 동기 회로(DLL, PLL)에 의해 클럭 타이밍이 보정되어 DRAM 모듈(300)로 전송된다.
DRAM 제어부(200)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100)의 시스템 클럭 신호(CLK)뿐만 아니라 주파수 정보(FC<0:3>)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ADD)를 생성할 때 주파수 정보(FC<0:3>)를 포함시킨다. 여기서는, 어드레스 조합 중에서 어드레스 신호(ADD<3:6>)가 주파수 정보(FC<0:3>)를 포함하도록 제어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메모리 시스템에서 DRAM 모듈(300)의 주파수 모드 발생부(301)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모드 발생부(301)는, 주파수 정보(FC<0:3>)를 포함하고 있는 어드레스 신호(ADD<3:6>)와 EMRS(extended mode register set) 신호를 조합하여 주파수 설정 정보(FQ<0:15>)를 출력한다.
따라서, 주파수 설정 정보(FQ<0:15>)는 주파수가 다른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EMRS는 DDR(double data rate)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신호로서, DLL(delay locked loop)의 세트/리세트 동작을 결정하는 규정(SPEC)이다.
따라서, EMRS 동작 시에 DRAM 제어부(200)는 어드레스 신호(ADD)의 조합(ADD<3:6>)이 주파수 정보(FC<0:3>)를 포함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주파수 정보(FC<0:3>)는 주파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가 아니며, 주파수 정보(FC<0:3>)가 어드레스 조합(ADD<3:6>)에 실려서 EMRS 신호와 조합되어 주파수 설정 정보(FQ<0:15>)가 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주파수 정보를 DRAM 모듈의 DRAM 칩에 직접 입력하거나 EMRS 동작 시에 어드레스 신호의 조합에 주파수 정보를 포함시켜 검출된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DRAM의 내부 회로에 인가함으로서 정확한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고 단순한 회로들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 및 주파수 정보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으로 구성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각 메모리 블록의 사용하지 않는 핀에 상기 주파수 정보가 각각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의 각 메모리 블록은 주파수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개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입력 수단은 주파수 정보를 각각 버퍼링하여 입력된 외부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알 수 있는 주파수 설정 정보를 상기 메모리 블록의 내부 회로들에 제공하는 복수개의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의 각 메모리 블록은 주파수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개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입력 수단은,
    주파수 정보를 각각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퍼; 및
    상기 버퍼들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입력된 외부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알 수 있는 주파수 설정 정보를 메모리 블록의 내부 회로들에 출력하는 주파수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5. 외부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인가 받아 시스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 및 주파수 정보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발생하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시스템 클럭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및 동작 명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으로 구성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 수단은 상기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의 시스템 클럭 신호뿐만 아니라 주파수 정보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를 생성할 때 주파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의 각 메모리 블록은,
    상기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어드레스 신호와 EMRS(extended mode register set)를 조합하여 주파수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주파수 모드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0010037042A 2001-06-27 2001-06-27 메모리 시스템 KR10073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42A KR100732280B1 (ko) 2001-06-27 2001-06-27 메모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42A KR100732280B1 (ko) 2001-06-27 2001-06-27 메모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883A KR20030000883A (ko) 2003-01-06
KR100732280B1 true KR100732280B1 (ko) 2007-06-25

Family

ID=2771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042A KR100732280B1 (ko) 2001-06-27 2001-06-27 메모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895B1 (ko) 2023-03-29 2023-11-13 주식회사 더블유피 지붕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클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240A (ja) * 1996-12-26 1998-07-31 Digital Electron Corp 同期式メモリ装置
JPH10208470A (ja) * 1997-01-17 1998-08-07 Ne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0170517B1 (ko) * 1995-12-22 1999-03-30 김광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11297097A (ja) * 1998-04-03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KR20020019375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고주파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어드레스 및커맨드의 동작 주파수로 사용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의클럭 신호들을 수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및 시스템 메모리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517B1 (ko) * 1995-12-22 1999-03-30 김광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10199240A (ja) * 1996-12-26 1998-07-31 Digital Electron Corp 同期式メモリ装置
JPH10208470A (ja) * 1997-01-17 1998-08-07 Ne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H11297097A (ja) * 1998-04-03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KR20020019375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고주파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어드레스 및커맨드의 동작 주파수로 사용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의클럭 신호들을 수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및 시스템 메모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883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031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어 방법,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반도체 기억 장치
US5933379A (en) Method and circu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at high frequency
KR10085745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 회로 및방법
US7518946B2 (en) Memory control device
KR10113883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638748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US76529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356489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circuits therein that preserve minimum /RAS TO /CAS Delays
US8483005B2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053686B2 (en) Data strobe circuit using clock signal
JP2005310345A (ja) Ddrsdramのデータ入力装置及び方法
KR100310715B1 (ko) 동기형반도체기억장치
KR100732280B1 (ko) 메모리 시스템
KR10074846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 및 방법
US761993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set during a test mode
KR20200037751A (ko) 커맨드 어드레스 입력 버퍼 바이어스 전류 감소
KR100924356B1 (ko) 커맨드 디코더 및 커맨드 신호 생성회로
JP2009080886A (ja) 半導体装置、メモリ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の制御方法
KR10072855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JP2012058997A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1034036B1 (ko)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보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시스템 및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방법
KR20020037525A (ko) 지연 락 루프 회로를 구비한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224623B2 (en) Memory device having off-chip driver enable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delays during read operations
US6628553B2 (en) Data output interface, in particular for semiconductor memories
KR20010065910A (ko) 모드 레지스터 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