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470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470B1
KR100731470B1 KR1020000057564A KR20000057564A KR100731470B1 KR 100731470 B1 KR100731470 B1 KR 100731470B1 KR 1020000057564 A KR1020000057564 A KR 1020000057564A KR 20000057564 A KR20000057564 A KR 20000057564A KR 100731470 B1 KR100731470 B1 KR 10073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t water
film
shrinkable polyester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779A (ko
Inventor
다보타노리미
하시모토마사토시
다카바야시세이조
나가노히로시
오쯔카아쯔히코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9Heat shrink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8Shrinkable or shrunk [e.g., due to heat, solvent, volatile agent, restraint remov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특히 국수, 푸딩, 샐러드 등의 음식을 담는 용기의 개구부용 피복재 등을 중심으로 한 포장재료로서 바람직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A)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상기 방향(A)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B)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HS(△HS=|방향(A)의 온탕수축률-방향(B)의 온탕수축률|)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성, 온탕수축률

Description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국수, 푸딩, 샐러드 등의 음식을 담는 용기의 개구부용 피복재를 중심으로 한 포장재료로서 바람직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성 필름, 특히 병의 몸통부분의 라벨용 수축필름의 분야에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으로 된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폴리염화비닐에 대해서는 폐기시에 소각할 때의 염소계 가스발생의 문제, 폴리스티렌에 대해서는 인쇄가 곤란한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PET병의 회수에 있어서는 PET 이외의 수지의 라벨을 분별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수축성 필름은 타소재로 된 필름에 비해 우수한 강도를 갖는 반면, 수축시의 수축응력이 커, 열수축에 의해 필름을 밀착시키려고 하는 모체, 예를 들면 플라스틱용기나 알루미용기 등을 변형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수축성 필름을 용기의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압출성형시의 압출방향(즉, 종방향)과 종방향의 수직방향(즉, 횡방향)간의 수 축특성의 이방성이 크면, 용기가 변형되기 쉬운 것이 문제가 되어 왔었다.
또한, 피복재로서 열수축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냉장 또는 냉동식품에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 경우 저온으로 되기 때문에,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필름표면에 결로(fogging)되어, 필름이 혼탁해져, 투명필름이더라도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겹친 상태에서 한장씩 취해, 용기에 세팅하여 뚜껑을 닫지만, 이 때, 정전기에 의해 겹친 필름이 떼어지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열수축 후에, 주름, 수축반, 변형의 발생이 지극히 적어, 수축응력에 의한 사용대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A)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상기 방향(A)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B)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HS(△HS=|방향(A)의 온탕수축률-방향(B)의 온탕수축률|)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특별 히 한정되지 않고,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산성분과,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올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탄소수 3~6의 디올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좋고, 특히 수축마무리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네오펜틸글리콜을 디올성분의 1종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전이점(Tg)을 60~75℃로 조정한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탄디올 등의 탄소수 8 이상의 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틸롤에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의 다가디올,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의 다가카르복실산은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디올 및/또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높은 열수축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산성분으로서, 아디핀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경우,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함유율은, 전 산성분 중 3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전 산성분 중 3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고속장착시에 필요한 필름의 강도가 저하된다.
더욱이, 디올성분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중합 시에 부산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많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적어도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율을 4몰%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2종 이상의 산성분 및/또는 디올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의 산성분 또는 디올성분의 함유율은, 혼합 후에 에스테르교환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폴리에스테르 전체중의 산성분, 디올성분의 함유율을 나타낸다.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에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기활제, 유기활제나, 착색제, 산화방지제, 상용제, 정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의 첨가제 등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라벨용 수축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1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A)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상기 방향(A)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B)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HS(△HS=|방향(A)의 온탕수축률-방향 (B)의 온탕수축률|)가 10% 이하일 필요가 있다. △HS가 10%를 넘으면, 열수축시에 수축이 고르지 않아,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하는 모체인 용기 등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압출성형에 의해 필름형성되는 경우, 성형시의 압출방향을 종방향으로서,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횡방향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종방향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HS(△HS=|횡방향의 온탕수축률-종방향의 온탕수축률|)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0℃ 열풍 속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A)의 최대수축응력과 상기 방향(B)의 최대수축응력의 비(방향(A)의 최대수축응력/방향(B)의 최대수축응력)가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르계 필름이 압출성형에 의해 필름성형되는 경우는, 90℃ 열풍 속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과 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의 비(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횡방향의 최대수축응력)가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수축응력의 비가 0.5 미만 또는 2.0을 넘는 경우는, 열수축시의 수축속도 및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하는 모체인 용기 등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방법이 필름의 방향에 따라(압출성형의 경우는 종방향과 횡방향) 틀려, 용기 등의 변형이 생기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름이 상기 열수축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연신처리공정에 있어서,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Tg)의 -5℃ 이상 +15℃ 미만의 온도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g의 -5℃ 미만의 온도로 연신하면, 필름이 상기 열수축성의 특성을 얻기 어려울 뿐 아니라, 얻어진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Tg의 +15℃ 이상의 온도로 연신하면, 고속장착시에 필요한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기 쉽고, 또 필름의 두께의 일정치 않음이 커진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하기 제조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호퍼 건조기(hopper dryer), 패들 건조기(paddle dryer) 등의 건조기, 또는 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200~300℃의 온도로 필름상으로 압출한다. 압출시에는 T다이법, 관상법(tubular method) 등, 통상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압출 후,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미연신 필름에 대해 연신처리, 특히 종방향, 횡방향의 2축방향모두 연신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처리에 있어서, 종방향의 연신은 공지의 방법인 롤연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배율로서는 1.5~4.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온도로서는 후술의 횡방향의 연신과 동일한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종방향의 연신은 공지의 방법인 텐터연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분포를 균일화시키기 위해, 텐터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연신할 때, 연신공정에 선행하여 행해지는 예비 가열공정에 있어서, 열전달계수를 0.0013칼로리/(㎠ ·sec ·℃) 이하의 저풍속으로, 소정의 필름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 방향의 연신배율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배 이상인 것이 좋다. 연신온도로서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저(Tg)의 -5℃ 이상 +15℃ 미만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필요에 따라, 70~100℃의 온도로 열처리를 행한다.
상기 연신처리에 있어서, 연신에 동반되는 필름의 내부증발을 억제하고, 폭방향의 필름온도반을 작게 하기 위해, 연신공정에 있어서의 열전달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0009칼로리/(㎠ ·sec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0.0017칼로리/(㎠ ·sec ·℃)의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 가열공정에 있어서 열전달계수가 0.0013칼로리/(㎠ ·sec ·℃)를 넘는 풍속으로, 연신공정에 있어서의 열전달계수가 0.0009칼로리/(㎠ ·sec ·℃) 미만인 경우, 필름의 두께분포가 균일해지기 어렵고,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 다색인쇄가공하는 경우, 다색이 겹칠 때의 무니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두께분포는,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분포가 6% 이하의 필름은,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 수축마무리성 평가시 등에 실시하는 다색인쇄가공에 있어서, 다색이 겹침이 용이해진다.
상기 연신처리와 같은 2축연신에 있어서는, 순차 2축연신법, 동시2축연신 중 어느 방법으로 행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재연신을 더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에, 방담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담제로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 방담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류, 고급지방산의 아민류, 고급지방산의 아마이드류, 고급지방산의 아민이나 아마이드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가, 방담성 및 방담층 형성시에 과잉의 방담제의 회수성이 우수하고, 더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담제층 표면의 대전방지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좋다. 또한, 방담제층에는 방담성을 저해하지 않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담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건조시에 0.001~1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51g/㎡,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1g/㎡인 것이 좋다. 건조시의 두께가 0.001g/㎡ 미만인 경우는 방담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상기와 같은 대전방지성을 부영할 수 있는 방담제이더라도, 그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한편 1g/㎡을 넘는 경우는, 방담제층 표면의 끈적거림이나 블록킹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담제층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방담제를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방담제의 도포방법으로서는, 통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라비야 코팅법(gravure coating), 리버스 키스 코팅법(reverse kiss coating), 파운테인 바 코팅법(fountain bar coating)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담제의 도포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성형시에 도포하는 인라인코팅법, 또는 성형 후에 도포하는 오프라인코팅법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방담제층의 필름으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라인코팅법이 바람직하다. 인라인코팅법에 있어서는, 압출 후의 미연신필름, 또는 종방향으로 연신 후의 1축배향필름 중 어느 것에 도포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의, 23℃, 65% RH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저항값이 1×108~1×1013Ω/□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고유저항값을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방담제층의 형성에 의해, 표면 고유저항값도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이하의 시험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온탕수축률
필름을, 성형시의 압출방향을 종방향으로 하고, 두변이 종방향에 평행하게, 다른 두변이 종방향으로 직각이 되는(즉, 횡방향(TD)에 평행하게) 10㎝×10㎝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95℃(오차범위 -0.5℃~+0.5℃)의 온수 중에 무하중상태로 10초간 침지처리하여 열수축시킨 후, 필름의 종방향 및 종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식 1을 따라 각각 온탕수축률을 구했다.
온탕수축률
=[(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단위:%)
(2) △HS
상기 시험(1)의 결과로부터, △HS(△HS=|횡방향의 온탕수축률-종방향의 온탕수축률|(%)를 구했다.
(3) 최대수축응력비
필름을, 시험(1)에 의한 온탕수축률이 큰 방향을 주된 수축방향으로서, 주 수축방향으로 길이 200㎜, 폭 20㎜의 장방향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동양정기(주)제 텐시론(가열로부착 강신도측정기)를 사용하여, 척(chuck)간 거리 100㎜로, 미리 90℃로 가열한 분위기 속에서 송풍을 멈춘 후, 상기 시험편을 척에 장착하고, 그 후 신속하게 가열로의 문을 닫아 송풍을 개시했을 때에 검출되는 수축응력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최대값으로부터, 90℃ 열풍 속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과 횡방향의 최대수축응력의 비(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횡방향의 최대수축응력)를 구했다.
(4) 수축마무리성
쿄와전기(주)제 열풍터널(K2000)을 사용하여, (주)가토키치 냉동우동에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제 용기에 우동을 넣은 상태에서, 개구부 위에 245㎜×245㎜로 재단한 필름을, 도포층 형성면이 용기수용부측이 되도록 피복재로서 놓고, 필름 위에 추(weight)를 놓은 뒤에 열풍터널을 통과시켜, 필름을 열수축시켰다. 또한, 상기 필름에는, 변형의 평가를 위해, 미리 동양잉크제조 (주)의 풀 ·금 ·백의 잉크를 사용하여 3색인쇄했다. 수축마감성의 평가는 눈으로 직접 봐서 행하고,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이 행했다.
주름 ·용기변형 ·수축부족 모두 미발생 : O
용기변형, 또는 수축부족 발생 : ×
(5) 방담성
상기 시험(4)에 있어서 필름을 열수축시킨 후, 우동을 수용한 상태 그대로 용기를 냉장고 내에서 냉각했다. 냉각 후, 피복재의 용기수용부측에 있어서의 결로에 의한 혼탁해짐 발생상태를 하기의 기준을 토대로 평가했다.
전혀 혼탁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 O
혼탁해짐 발생(표면의 1/2 이상) : ×
(6) 표면저항값
필름의 도포층형성면의 23℃, 65% RH에 있어서의 표면저항값을 JIS K6911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또한, 시험결과를 대수값을 나타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하와 같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V 0.72, 이하 폴리에스테르A로 함)
·단량체성분이 디올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70몰%, 네오펜틸글리콜 30몰%와,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으로 된 폴리에스테르
(IV 0.72, 이하 폴리에스테르B로 함)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IV 1.20, 이하 폴리에스테르C로 함)
실시예 1
상기 폴리에스테르A 10중량%, 폴리에스테르B 66중량%, 폴리에스테르C 24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280℃로 압출하고,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그 미연신필름을, 필름온도가 83℃가 될 때까지 예비가열한 후, 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98℃로 2.5배 연신했다. 이어서 그 종1축연신필름의 한쪽 면에, 횡연신 후의 건조두께가 0.02g/㎡가 되도록 리켄비타민(주)제, 포엠J0021(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을 도포하고, 횡연신의 미열존에서 건조한 후, 81℃에서 횡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88℃에서 열처리를 더 행해, 도포층(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 방담제층)을 갖는 두께 25㎛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의 시험방법(1)~(6)으로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비교예 1, 2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조건 및 도포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도포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에스테르A 35중량%, 폴리에스테르B 55중량%, 및 폴리에스테르C 10중량% 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종연신온도를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A 100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항목 종연신조건 횡연신조건 도포층 두께 (g/㎡)
연신온도 (℃) 연신배율 연신온도 (℃) 연신배율
실시예 1 98 2.5 81 4.0 0.02
실시예 2 100 2.5 80 3.5 0.02
실시예 3 100 3.0 79 3.0 0.02
실시예 4 98 2.5 81 4.0 0.06
비교예 1 98 2.0 81 5.0 0.02
비교예 2 95 4.0 79 3.0 0.02
실시예 5 98 2.5 81 4.0 -
실시예 6 100 2.5 81 4.0 0.02
비교예 3 100 2.5 81 4.0 0.02
시험 대상 시험결과
(1) (2) (3) (4) (5) (6)
온탕수축률(%) △HS(%) 최대수축 응력비 종/횡 수축 마무리성 방담성 표면저항값 [log] (Ω/□)
종방향 횡방향
실시예 1 39 41 2 1.6 9.0
실시예 2 39 39 0 1.1 9.5
실시예 3 42 39 3 0.8 9.2
실시예 4 39 41 2 1.6 9.5
비교예 1 38 50 12 2.2 × 9.0
비교예 2 49 36 13 0.4 × 9.0
실시예 5 39 41 2 1.6 × >16
실시예 6 40 41 1 1.2 9.3
비교예 3 20 30 10 2.0 × 9.2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필름은 모두 양호한 수축마무리성을 나타냈고, 방담제를 포함한 실시예 1~4, 6의 필름은 양호한 방담성 및 대전방지성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1~3의 필름은 수축특성이 불균일하여 수축마무리성이 떨어져, 실용성이 낮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소각에 의해 염소계 가스발생의 문제가 없고, 인쇄성도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면서도, 열수축 후에 주름, 수축반, 변형의 발생이 지극히 적어, 수축응력에 의한 사용대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 방담제층을 가짐으로써, 필름표면에 결로 등에 의한 혼탁해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의 진열시에도,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표면을 23℃, 65% RH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저항값이 1×108~1×1013Ω/□로 함으로써, 필름을 적층해도, 필름끼리 떼어지기 쉬워 작업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포장재, 특히 피복재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A)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상기 방향(A)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B)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하기 수학식의 △HS 값이 10% 이하이며, 적어도 한쪽 면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계 방담제 층을 갖고, 또한 적어도 한쪽 면의 23℃, 65%의 상대습도(RH)에서의 표면 고유저항값이 1×108~1×1013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HS=|방향(A)의 온탕수축률-방향(B)의 온탕수축률|
  2. 제1항에 있어서, 90℃ 열풍 속에서의, 상기 방향(A)의 최대수축응력과 상기 방향(B)의 최대수축응력의 비, 즉 방향(A)의 최대수축응력/방향(B)의 최대수축응력의 값이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서의 상기 방향(B)가 필름의 성형시의 압출방향(종방향)이고, 상기 방향(A)가 종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횡방향)이고, 95℃ ·10초의 조건하에서의, 횡방향의 온탕수축률이 30~50%이고, 종방향의 온탕수축률이 25~45%이며, 또한 하기 수학식의 △HS 값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HS=|횡방향의 온탕수축률-종방향의 온탕수축률|
  4. 제3항에 있어서, 90℃ 열풍 속에서의, 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과 횡방향의 최대수축응력의 비, 즉 종방향의 최대수축응력/횡방향의 최대수축응력의 값이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57564A 1999-10-04 2000-09-30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731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323299A JP4356153B2 (ja) 1999-10-04 1999-10-04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1999-283232 1999-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779A KR20010050779A (ko) 2001-06-25
KR100731470B1 true KR100731470B1 (ko) 2007-06-21

Family

ID=1766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564A KR100731470B1 (ko) 1999-10-04 2000-09-30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47925B1 (ko)
EP (1) EP1090739B1 (ko)
JP (1) JP4356153B2 (ko)
KR (1) KR100731470B1 (ko)
DE (1) DE600216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6153B2 (ja) * 1999-10-04 2009-11-04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304243B2 (ja) 2000-08-02 2009-07-2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785251B1 (ko) * 2001-01-25 2007-12-1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라벨
JP3767511B2 (ja) * 2001-04-26 2006-04-1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JP3692976B2 (ja) * 2001-07-11 2005-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678186B2 (ja) * 2001-08-01 2005-08-03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EP1298171B1 (en) * 2001-09-27 2019-06-05 Toyobo Co., Ltd.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US6465063B1 (en) * 2001-10-02 2002-10-1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US20050065633A1 (en) * 2003-11-14 2005-03-24 Michael Wynblatt Systems and methods for relative control of load motion actuators
KR100593971B1 (ko) * 2004-06-18 2006-06-3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충격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US7604766B2 (en) * 2004-12-02 2009-10-20 Scovil Hanna Corporation Core metal insert with stress relief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2006057179A1 (de) 2005-12-03 2007-06-21 Skumtech As Korrosionsschutz für Anker im Gebirge
AU2007214582C1 (en) * 2006-02-16 2012-11-15 Cryovac, Llc Coextruded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KR100924743B1 (ko) * 2006-12-11 2009-11-05 주식회사 코오롱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2789647B1 (en) * 2007-11-19 2018-06-13 Kolon Industries, Inc.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JP5286829B2 (ja) * 2007-12-13 2013-09-11 東洋紡株式会社 ラベル
CN101970212B (zh) * 2008-02-27 2014-05-07 东洋纺织株式会社 白色热收缩性聚酯类膜、白色热收缩性聚酯类膜的制造方法、标签及包装体
JP4524718B2 (ja) * 2008-08-08 2010-08-18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US10543656B2 (en) 2018-01-11 2020-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Tough shrinkable films
JP7279299B2 (ja) * 2018-03-22 2023-05-23 東洋紡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折り紙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294A (en) * 1973-09-13 1975-09-02 Celanese Corp Process of forming heat shrinkable polyethylene terephalate film
JPH0459333A (ja) * 1990-06-29 1992-02-26 Diafoil Co Ltd ラベル用ポリエステル系収縮フィルム
WO1995000326A1 (en) * 1993-06-24 1995-01-05 Mobil Oil Corporation Plastic films with surface anti-fog properties
KR960029074A (ko) * 1995-01-20 1996-08-17 박홍기 폴리에스테르 수축필름
KR19990068230A (ko) * 1998-01-30 1999-08-25 시바타 미노루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090739A2 (en) * 1999-10-04 2001-04-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3132A (en) * 1958-05-16 1960-02-02 Goodrich Co B F Hydraulic automatic adjusting mechanism
US4020141A (en) * 1974-06-13 1977-04-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heat-sealable, heat-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08192464A (ja) * 1995-01-19 1996-07-30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294A (en) * 1973-09-13 1975-09-02 Celanese Corp Process of forming heat shrinkable polyethylene terephalate film
JPH0459333A (ja) * 1990-06-29 1992-02-26 Diafoil Co Ltd ラベル用ポリエステル系収縮フィルム
WO1995000326A1 (en) * 1993-06-24 1995-01-05 Mobil Oil Corporation Plastic films with surface anti-fog properties
KR960029074A (ko) * 1995-01-20 1996-08-17 박홍기 폴리에스테르 수축필름
KR19990068230A (ko) * 1998-01-30 1999-08-25 시바타 미노루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090739A2 (en) * 1999-10-04 2001-04-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0739A2 (en) 2001-04-11
KR20010050779A (ko) 2001-06-25
US6447925B1 (en) 2002-09-10
EP1090739B1 (en) 2005-08-03
JP4356153B2 (ja) 2009-11-04
DE60021671T2 (de) 2006-04-20
JP2001096615A (ja) 2001-04-10
EP1090739A3 (en) 2002-04-10
DE60021671D1 (de)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470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1725576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그의 포장체, 및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EP2178701B1 (en)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KR100816768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10753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1661936B1 (en)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US10029404B2 (en) Polyester film having latent shrink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190035760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KR100780532B1 (ko) 열수축성 열가소성 수지계 필름
KR101540428B1 (ko) 무광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05012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1797342B1 (ko)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9254257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1293833A (ja) ガスバリ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47097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11094148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3049006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1402308B1 (ko) 용기 부착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4344222A (ja)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フイルム
JP2024048823A (ja) 熱収縮性フィルム、包装資材、成形品または容器
KR101612053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4058383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WO2019211117A1 (en) Polymer coating composition for metal substrate and use thereof
JP2002166472A (ja) 熱収縮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