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750B1 -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마사지기 - Google Patents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750B1
KR100724750B1 KR1020057021951A KR20057021951A KR100724750B1 KR 100724750 B1 KR100724750 B1 KR 100724750B1 KR 1020057021951 A KR1020057021951 A KR 1020057021951A KR 20057021951 A KR20057021951 A KR 20057021951A KR 100724750 B1 KR100724750 B1 KR 10072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mple
calf
air bag
ai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815A (ko
Inventor
니치무 이나다
미츠노리 타고
시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8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49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4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135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1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39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9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3984B2/ja
Application filed by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 자세에서 종아리부의 시료를 받을 수 있고, 또한 종아리부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자유도 및 정밀도가 높고, 아울러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 자유로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1)는, 피시료자의 종아리(22)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7)와, 피시료자의 종아리(22)를 압박하도록 출퇴 동작 할 수 있는 시료부(8)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4)를 구비한다. 지지부(7)는, 그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돌출 가능하며 퇴행 가능한 상승부(9)를 가지고 있고, 시료부(8)는 상승부(9)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부(9) 및 시료부(8)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승부(9)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지지부(7)와 시료부(8)에서 평탄면을 형성한다.
마사지, 다리, 시료, 의자, 받침대, 레스트, 커버, 피시료자, 종아리

Description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 마사지기{CHAIR-TYPE MASSAGE MACHINE, COVER FOR MASSAGE MACHINE, COVER FOR OTTOMAN, AND MASSAGE MACHINE}
본 발명은 피시료자의 신체를 시료(施療)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등의 신체를 마사지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또는 다리 받침대용 커버, 더 나아가서는 이러한 커버를 구비한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피시료자의 신체에, 주무름, 두드림, 지압, 롤링 등의 자극을 주는 마사지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사지기에는, 의자형, 매트리스형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의자형 마사지기는, 피시료자에 릴랙스(relax)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마사지를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설치면적이 매트리스형보다 작은 것 등의 이유로 수요가 많고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대부분은, 주로 피시료자의 등 및 어깨에 대하여 압박 자극을 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피시료자의 혈행 촉진, 피로 회복 및 릴랙스 등의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기 위하여는, 피시료자 의 팔부 및 다리부 등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도 시료를 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근래에 팔부 및 다리부 등을 시료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개발되었다.
이런 종류의 의자형 마사지기중 하나로서, 의자 본체(마사지 의자)와,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오목형 받침부가 설치된 다리 받침대(종아리 마사지기)를 가지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제3012127호 공보 참조). 이러한 의자형 마사지기는, 각 오목형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공기 주머니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공기 주머니를 팽창,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장딴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듯이 잡고 주무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012127호 공보의 의자형 마사지기에서는, 의자 본체와 다리 받침대가 분리되어 있으나, 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다리 받침대가 의자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 경우, 다리 받침대는 의자 본체에 있어서의 시트부 앞쪽에 장착되어 있고, 피시료자가 의자 본체에 걸터앉는 것에 의해 해당하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부가 다리 받침대에 얹혀지게 된다. 이러한 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에 개시된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도, 일본 특허 제3012127호 공보에 개시된 의자형 마사지기와 마찬가지로, 다리 받침대에 오목형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형 부분에 좌우 종아리가 각각 안착되는 것에 의해 마사지가 가능해진다(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 참조).
또한, 매트리스형 마사지기에도,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시료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의 것이 존재한다. 이중 하나로서,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에 대응시켜, 2장 겹침 공기 주머니를, 피시료자가 위를 보고 누웠을 때에 오른쪽 장딴지 및 왼쪽 장 딴지가 각각 위치하는 부위의 양측에 설치한 구성의 매트리스형 마사지기가 있다(일본 특개평10-57436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10-118143호 공보 참조). 이 매트리스형 마사지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서, 피시료자의 장딴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잡듯이 마사지할 수 있고, 또한 2장 겹침 공기 주머니를 동시에 팽창시킨 경우에는, 그 끼우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 제301212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에서는, 피시료자가 양쪽 종아리를 각각의 오목형 받침부에 삽입한 경우에 피시료자의 자세가 구속되고, 피시료자가 다른 자세를 취하고 싶은 경우에도, 오목형 받침부의 측벽이 방해가 되어 피시료자가 소망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특히 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는, 피시료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종아리를 오목형 받침부에 삽입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다리 받침대가 방해가 되어 피시료자가 소망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인체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 부분, 즉 종아리의 앞쪽 바깥 부분에는, 예를 들면 삼리혈(三里穴), 풍륭혈(豊隆穴)이라고 불리는 복수의 경혈이 존재하고, 이러한 부위에 자극을 주는 것에 의하여 혈행 촉진, 피로 회복 및 릴랙스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각종 내장의 기능 조정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일본 특허 제301212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0127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는, 정강이의 바깥 부분을 마사지하는 것 이 가능하지는 않다.
또한, 일본 특개평10-57436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10-1181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을, 의자형 마사지기의 다리 받침대에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공기 주머니를 수축시키고 있을 때에 다리 받침대의 전면이 거의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피시료자가 소망하는 자세를 취하기 쉬우나, 이러한 구성의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도 전술한 정강이의 바깥 부분을 마사지할 수는 없다.
또한, 일본 특개평10-574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의자형 마사지기가 아니라, 매트리스형 마사지기의 발명이기 때문에, 피시료자는 매트리스 위에 누울 필요가 있고,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종아리 부분의 시료를 받을 수가 없다.
또한, 일본 특개평10-57436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10-1181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공기 주머니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매트리스 부분이 거의 평탄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축 상태에서는 피시료자의 자세를 구속하거나 방해가 되는 돌출 부분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마사지기의 출퇴(出退) 기구는, 퇴행시에는 거의 평탄한 상태로 되는 공기 주머니가 팽창하는 것에 의해 종아리 부분의 아래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아리 부분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자유도가 극히 적어, 시료 패턴이 크게 제약된다. 또한, 돌출하는 것이 공기 주머니 또는 이것들을 덮는 직물제 커버 등이어서 유연성이 크기 때문에, 압박 위치나 압박 각도의 정밀도가 충분하지는 않았다.
또한, 신체를 마사지하는 마사지기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시료자(施 療子) 등의 시료 기구를 돌출 및 퇴행시켜 압박 등을 가하여 마사지를 행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출퇴 동작 기구를 구비한 시료 기구를 덮는 커버로서, 일본 특개평8-11233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커버는, 에어 셀(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지압자(指壓子)를 구비한 지압 구동판을 출퇴 동작시키는 시료기구의 측면을 덮는 것이고, 1장의(솔기나 접합 부분이 없이 연속함) 시트를 주름 모양으로 절곡함과 동시에, 그의 내측에 고무 등의 신축재를 꿰매어 붙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주름 모양의 시트는, 에어 셀의 팽창시에는 상기 신축재의 신장을 수반하면서 전개하고, 또한 에어 셀의 수축시에는 상기 신축재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 절첩되게(접히게) 된다(일본 특개평8-112330호 공보 참조).
이러한 일본 특개평8-112330호 공보에 개시된 커버는, 시료 기구의 신체 측을 덮고 있지 않고, 해당 신체측을 피하여 시료 기구의 측면을 덮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개평10-295753호 공보에서는, 시료 기구의 신체측을 덮는 커버로서, 신축성을 가진 직물이나 고무 시트 등의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성 소재에 의하면, 신체 측으로 출퇴하는 시료 기구의 해당 출퇴에 대응하여 신축하는 커버로 구성할 수 있다(일본 특개평10-295753호 공보 참조).
상기 일본 특개평8-112330호 공보에 개시된 마사지기에서는, 에어 셀의 수축시(시료 기구의 퇴행시)에 있어서 절첩되는 커버의 절첩 부분은, 마사지를 받는 사용자의 신체측을 지지하는 지지면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해당 지지면측을 피한 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신체측을 지지하는 지 지면을 덮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커버는, 사용자의 신체 측을 지지하는 지지면내에 있어서 출퇴 동작을 하는 마사지기의 해당 지지면내에서의 돌출 및 퇴행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출퇴 기구를 가지는 시료 기구의 신체측을 덮을 수 있고, 해당 출퇴 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커버로서는, 일본 특개평10-295753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한 커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성 소재는, 사용 중에 신축의 반복에 의해 신축성이 손상되고, 커버가 늘어난 상태로 느슨해져버려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석 상태의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구속하지 않고, 피시료자가 자유로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아리부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자유도 및 정밀도가 높은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시료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내에서의 출퇴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커버 및 이 커버를 이용한 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팽출(膨出)하고, 또한 퇴행(退行)하는 것이 가능한 팽출부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팽출부가 퇴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팽출부가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팽출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출퇴 동작할 수 있는 시료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듯이 돌출 가능하며 퇴행 가능한 상승부를 가지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상승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승부 및 상기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승부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에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의자형 마사지기이기 때문에, 착석 자세에서 종아리부의 시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승부와 시료부가 퇴행한 때에는, 상기 상승부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에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상승부를 포함하여 그의 좌우 방향 안쪽의 범위내에서 거의 평탄해지고, 피시료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아울러,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듯이 돌출 가능한 상승부 상에 출퇴 동작하는 시료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아리부의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높아진다. 즉, 상승부의 기립 각도와, 시료부의 돌출 각도나 위치를 다양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종아리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시료부의 베이스가 되는 상승부는 지지부의 일부이고, 지지부 자체가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시료부의 위치 어긋남이나 각도 어긋남은 최소한으로 되고,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정밀도는 매우 커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는 판 모양의 받침판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은, 그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그의 이면 측에 배치되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돌출 가능하며 퇴행 가능한 상승부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의자형 마사지기의 소형화나 경량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생산 코스트나 부품 코스트가 저감된다.
상기 시료부는 판 모양의 시료판을 가지고, 상기 시료판은,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받침판과 상기 시료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승부에서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 가능하며 퇴행 가능하여, 종아리를 압박 가능한 시료부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자형 마사지기의 소형화나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생산 코스트나 부품 코스트가 절감된다.
상기 제1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러한 양축의 위치 관계에 의해, 시료자의 위치나 그의 기립 각도의 자유도가 더 한층 커지게 되고, 시료판의 종아리에 대한 압박 위치나 압박 각도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받침판 또는 시료판을 출퇴(出退) 동작 시키는 공기 주머니는, 단면이 대략 부채꼴로 팽창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해당 부채꼴의 중심측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받침판 또는 시료판의 상기 회동축(제1 또는 제2 회동축)과 공기 주머니의 부채꼴 중심이 좌우 방향 동일한 쪽에 배치되어 근접하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각 판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그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 출퇴하는 중앙 시료부를 더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상승부, 상기 시료부 및 그의 중앙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승부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에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승부 상에 설치된 상기 시료부와 그의 중앙 시료부로 종아리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종아리를 확실하게, 또는 강력하게 압박할 수 있다. 아울러, 중앙 시료부 등의 퇴행시에는 상승부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 부분이 대략 평탄하게 되므로, 피시료자에게 방해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시료부는 공기 주머니를 가지고, 상기 공기 주머니는, 상기 지지부의 좌우 방향 중앙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공기 주머니 각각은, 단면이 대략 부채꼴로 팽창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해당 부채꼴의 중심측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공기 주머니가 좌우의 종아리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종아리 측으로 쓰러지듯이 팽창하기 때문에, 좌우의 종아리 각각을 좌우 방향 내측(즉, 좌우 종아리의 사이)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압박하는 중앙 시료부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 주머니를 사용하므로, 중앙 시료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중앙 시료부 등의 퇴행시에 대략 평탄하게 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팽출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는 시료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시료부는, 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 수축하는 공기 주머니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주머니가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거의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머니가 팽창한 때에는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대략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기 주머니가 수축하고 있을 때에는, 다리 받침대의 앞쪽 부분이 대략 평탄하게 되므로, 착석 상태의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구속하지 않고, 피시료자가 자유로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료부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바깥 부분을 시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피시료자의 좌우의 종아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시료부를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면 보다 외측부에 상기 지지면과 거의 평행한 장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가,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대략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타단을 상기 지지면에 근접시켜고 상기 일단을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는 뒤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장착 부위 사이 부분에,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樞軸)에 의하여 피벗 장착되어 있는 받침판과,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피벗축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받침판의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 보다 한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장착면을 계단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상기 시료부를 동작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시료부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압박하는 볼록 모양의 시료자를 더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판의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가,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면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과 거의 평행한 중간 장착면을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고,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고, 팽창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 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중간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중간 시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 보다 한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중간 장착면을 계단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를,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가,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면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과 대략 평행한 중간 장착면을 더 가지고 있으며,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못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어, 대략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각각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일단을 서로 대향시켜서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는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중간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중간 시료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시료부의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중간 공기 주머니를,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쌍을 구성하는 공기 주머니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를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간 시료부를 동작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후에,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를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시키고,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의 팽창을 유지한 채,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수축시키도록,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간 시료부를 동작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가,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가,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받침대가,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이격 거리 변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병설되는 2개의 지지면과,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 안쪽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팽출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는 시료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시료부는, 공기의 공급, 배출에 의해 팽창, 수축하는 공기 주머니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주머니가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머니가 팽창한 때에는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기 주머니가 수축하고 있는 때에는, 다리 받침대의 앞쪽 부분이, 대략 평탄면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 지지돌기가 돌출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착석한 상태의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구속하지 않고, 피시료자가 자유로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시료자가 장딴지의 안쪽이 지지돌기에 접촉하는 위치를 찾을 뿐이고,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똑바로 시료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시료부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시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돌기를,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피시료자의 좌우의 종아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시료부를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가, 각각 상기 지지면 보다 외측 부분에 상기 지지면과 대략 평행한 장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가,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못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어, 대략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지지면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는 뒤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장착 부위 사이 부분에,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장착되는 받침판과, 일단이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이 전개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대략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피벗축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받침판이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 보다 한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장착면을 계단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상기 시료부를 동작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며, 해당 접촉 부위를 압박하는 볼록 모양의 시료자를 상기 시료부가 더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판의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가,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가,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받침대가,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이격 거리 변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안에서 상기 신체쪽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마사지기의 상기 지지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되는 절첩부를 가진다. 이 커버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 내에 있어서의 출퇴 동작에 대응하여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면을 덮는 커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첩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신축의 정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돌출 및 퇴행을 수반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마사지기를 덮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커버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절첩되는 절첩부를 가진다. 이 경우, 절첩부에 의해 출퇴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가 커버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절첩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부의 돌출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그렇게 하면,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커버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절첩부가 방해가 되기 어렵고, 미관도 우수하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덮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퇴행시에 거의 평탄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절첩부는, 상기 퇴행시에 커버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절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첩부가 커버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절첩되기 때문에, 절첩부가 지지면의 평탄성을 거의 훼손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관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신체에 방해가 되기 어려운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는, 복수개의 접힘부를 가짐과 더불어, 이러한 접힘부는, 상기 거의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로 겹쳐지는 커버 부재를 상기 접힘부 근방에서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첩부는 단순히 절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겹쳐진 커버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겹쳐진 결합 상태에 의한 구속력이 생기고, 출퇴 기구의 돌출에 의해 전개한 절첩부가, 출퇴 기구의 퇴행시에 절첩되는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상기 절첩부는, 접음선 방향 단부 위치에서의 전개가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출퇴 기구의 돌출에 의해 전개한 절첩부에 있어서, 상기 규제에 의해 절첩상태로의 구속력이 생기고, 퇴행시에 절첩되는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다리 받침대용 커버는, 좌우 양쪽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내에서 상기 양쪽 다리측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덮는 커버로서, 상기 지지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대응하여 확장/수축 할 수 있는 확축부를 구비한다. 이 커버는, 다리 지지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출퇴 동작에 대응하여 확장/수축할 수 있는 확축부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출퇴 기구를 구비한 다리 받침대를 덮는 커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퇴 기구의 퇴행시에는 확축부가 수축하기 때문에, 해당 퇴행시에 커버가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다리 받침대에는 지지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출퇴 기구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양쪽 다리 사이에 출퇴 기구를 돌출시킬 수 있고, 다리의 마사지에 적절한 구성이 된다.
상기 다리 받침대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다리 받침대에 설치되는 상기 출퇴 기구는, 상기 퇴행시에는 상기 지지면이 대략 평탄하게 됨과 함께, 상기 확축부는,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커버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축부가 커버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절첩할 수 있는 절첩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퇴행시에 거의 평탄해지는 지지면의 평탄성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고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확축부가 방해가 되기 어렵고, 또한 미관이 매우 우수한 커버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내에서 상기 신체측으로 돌출 및 퇴행하는 출퇴 기구와, 상기 지지면을 덮고 있고,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를 가지는 커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신체를 지지하는 한편 출퇴 기구를 가지는 지지면을 커버로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출퇴 동작에 대응하여 전개 및 절첩 가능한 절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미관을 유지 가능한 마사지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다리 받침대를 앞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에어 셀(공기 주머니)이 수축한 상태에서의, 도 2의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의, 도 2의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 에어 셀이 수축한 상태에서의 해당 하부 에어 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하부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의 해당 하부 에어 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은 에어 셀이 수축한 상태에서의, 도 7의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의, 도 7의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에어 셀이 수축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leg rest)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수축되어 있는 상태의 뒤쪽 에어 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8은 팽창되어 있는 상태의 뒤쪽 에어 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회동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레그 레스트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에서의 레그 레스트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에서의 레그 레스트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레그 레스트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각 에어 셀을 팽창시킨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각 에어 셀을 팽창시킨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 내는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에 나타낸 레그 레스트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각 에어 셀을 팽창시킨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의 각 에어 셀을 팽창시킨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장착된 의자형 마사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양쪽 다리 시료 기구를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2a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절첩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2b는 그의 변형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3a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절첩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 73b는 상기 절첩부가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74는 주름형 절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양쪽 다리 시료 기구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있어서의 중앙 절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7은 절첩부의 변형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8은 양쪽 다리 시료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9는 양쪽 다리 시료 기구의 퇴행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0은 양쪽 다리 시료 기구의 돌출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1은 중앙 절첩부의 전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2는 좌우 절첩부의 전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3은 좌우 절첩부의 변형례의 전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의 사시도이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1)는, 시트부(2, 座部)와, 등받이부(3)와, 레그 레스트(4, 다리 받침대: leg rest)와, 암레스트(5, armrest)를 가지고 있다. 레그 레스트(4)는, 시트부(2)의 앞쪽 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한편, 레그 레스트(4)의 상단에 위치하여 해당 상단을 따르는 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그 레스트(4)의 시트부(2)에 대한 장착 각도가 가변되고, 착석하는 피시료자의 무릎의 굽힘 각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등받이부(3)나 시트부(2), 나 아가서는 암 레스트(5) 등에는, 피시료자의 각 부위를 시료하는 시료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레그 레스트(4)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에 의해 덮여져 있으나, 도 1에서는 레그 레스트(4)를 덮는 커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는, 레그 레스트(4)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후술하는 각 에어 셀(공기 주머니)이 수축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동일한 각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 레그 레스트(4)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6)을 가지는 지지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레그 레스트(4)는 좌우 대칭인 구조이고, 피시료자에 있어서 좌우의 종아리 각각을 균등하게 시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란, 의자형 마사지기(1)에 착석한 피시료자로부터 본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고, 상하 방향이란, 지지면(6)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의 상기 좌우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것이다.
지지부(7)는, 대략 평판상의 기초체(16)를 가짐과 함께(도 3 참조), 그의 좌우 방향 양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도록 돌출 가능함과 더불어 퇴행 가능한 상승부(9)를 가지고 있다. 이 상승부(9)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레스트(4)의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판형부재인 받침판(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받침판(13)은, 그의 좌우 방향 안쪽 테두리부에서, 경첩(20)에 의해 지지부(7)의 기초체(16)(도 3 참조)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첩(20)에는 코일 스프링(21)이 장착되어 있고, 받침판(13)을 좌우 방향 바깥쪽(퇴행측)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 경첩(20)의 회동축(Z1)은 상하 방향을 향하도 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받침판(13)의 이면측(裏面側)에 있어서 해당 받침판(13)과 기초체(16)의 사이에는 하부 에어 셀(1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받침판(13)상에는, 시료부(8)로서의 시료판(10)이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시료판(10)은, 상측 시료판(11)과 하측 시료판(12)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은, 그의 좌우 방향 내측 테두리부에서 경첩(20)에 의해 받침판(13)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첩(20)의 회동축(Z2)도, 상기 회동축(Z1)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을 향하고 있다. 경첩(20)에는 코일 스프링(21)이 장착되어 있고,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을 좌우 방향 바깥쪽(퇴행측)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또한, 이들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의 이면측에 있어서 해당하는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과 받침판(13)의 사이에는 에어 셀(17)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 에어 셀(17)도 시료판(19)과 동일하게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즉, 에어 셀(17)은, 상측 시료판(11)과 받침판(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시료 에어 셀(18)과, 하측 시료판(12)과 받침판(13)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시료 에어 셀(19)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는, 상측 시료 에어 셀(18) 및 하측 시료 에어 셀(19)의 윤곽선은,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의 윤곽선과 겹쳐져 있다.
또한,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상의 적절한 위치에는, 피시료자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곡면을 가지는 지압자(指壓子)(26)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시료부(8) 및 상승부(9)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출부가 구성되어 있다.
시료판(10) 및 받침판(13)의 출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각 에어 셀(하부 에어 셀(14), 상측 시료 에어 셀(18), 하측 시료 에어 셀(19)) 및 후술하는 중앙 에어 셀(23)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급배기 장치에 에어 호스 등으로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고, 해당 급배기 장치로부터의 급배기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에어 셀(14)이 팽창하면, 받침판(13)은, 그의 이면측으로부터 하부 에어 셀(14)에 의해 눌려져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는 모양으로 돌출한다. 또한 하부 에어 셀(14)이 수축하면, 전술한 코일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판(13)이 좌우 방향 바깥쪽 향하여 퇴행한다.
또한, 상측 시료 에어 셀(18)이나 하측 시료 에어 셀(19) 등의 에어 셀(17)이 팽창하면, 시료판(10)(상측 시료판(11)이나 하측 시료판(12))이 해당 에어 셀(17)에 의해 이면측으로부터 눌려지고, 상측 시료판(11)이나 하측 시료판(12)이 좌우 방향 안쪽(피시료자의 종아리(22)쪽)을 향하여 쓰러지듯이 돌출한다. 또한, 에어 셀(17)이 수축하면, 전술한 코일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 시료판(11)이나 하측 시료판(12)이 좌우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퇴행한다. 이들 상측 시료 에어 셀(18)과 하측 시료 에어 셀(19)은 서로 독립하여 팽창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들에 눌려지는 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도 서로 독립하여 출퇴 동작(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7)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중앙 시료부(15)로서의 중앙 에어 셀(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앙 에어 셀(23)은, 지지부(7)의 좌우 방향 중앙선(25)(도 2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가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좌우에 각 1개씩 모두 2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에어 셀(23)이 팽창하는 것에 의해, 종아리(22)를 좌우 방향 안쪽으로부터 압박하고, 중앙 에어 셀(23)과 시료판(10)(또는 지압자(26))에 종아리(22)가 끼워진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레그 레스트(4)가 가지는 전체의 에어 셀, 즉 에어 셀(14, 18, 19, 23)이 팽창 수축하는 것에 의해, 시료판(10), 받침판(13) 및 중앙 시료부(15)로서의 중앙 에어 셀(23)의 출퇴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이들 전체의 에어 셀이 수축하여, 시료판(10), 받침판(13) 및 중앙 시료부(15)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받침판(13)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위치하며 중앙 에어 셀(23)을 가지는 지지부(7)와 시료판(10)에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레그 레스트(4)의 전면 전체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하, 각 에어 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하부 에어셀(14)이 수축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동일한 것이 팽창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부 에어 셀(14)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에어 셀(상측 시료 에어 셀(18), 하측 시료 에어 셀(19), 중앙 에어 셀(23))도 동일한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하부 에어셀(14)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여기서는 3개)의 공기 주머니를 적층시킨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이들 복수의 공기 주머니의 공기실 상호간은 관통공(14a)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며, 서로의 공기실 사이로 공기가 왕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공기 주머니는, 하부 에어 셀(14)의 일단측(14b)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해당하는 일단측(14b)에서는 전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부 에어 셀(14)의 타단측(14c)에서는 서로 결합하지 않고, 해당 타단측(14c)에서는 전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급배기 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구(14d)로부터 하부 에어 셀(14)안으로 유입되면, 이러한 공기는 상기 관통공(14a)을 통과하여 상술한 복수의 공기 주머니 전부에 공기가 고루 미치게 되어 하부 에어 셀(14)이 팽창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일단측(14b)에서는 전개가 규제되어 있는 한편, 타단측(14c)에서는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단측(14c)이 주름 모양으로 전개하고, 하부 에어 셀(14)은 단면이 대략 부채꼴로 팽창한다. 그리고, 전개가 규제된 쪽에 있는 일단측(14b)의 단부는 단면이 대략 부채꼴인 부채 모양 중심(14Z)이 된다.
또한, 주입구(14d)는, 이러한 팽창 수축에 의해 이동하지 않는 위치(본 실시예의 하부 에어 셀(14)에서는 가장 아래쪽의 저면 부분(14e))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주입구(14d)가 하부 에어 셀(14)의 팽창을 제약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그 레스트(4)에 있어서는, 모든 에어 셀(14, 18, 19, 23)의 단면이 대략 부채 모양으로 팽창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나아가서는 이들 에어 셀의 배치 방향이 고려되어 있다.
우선, 하부 에어 셀(14)은, 그의 부채꼴 중심(14Z)측이 지지부(7)에서의 좌우 방향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부채꼴 중심(14Z)은, 하부 에어 셀(14)의 전개에 있어서의 전개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 에어 셀(14)의 부채꼴 중심(14Z)과, 하부 에어 셀(14)에 눌려져서 회동하는 받침판(13)의 회동축인 받침판(13)의 좌우 방향 안쪽에 배치된 제1 회동축(Z1)(받침판(13)에 장착된 경첩(20)의 회동축과 동일함)이 좌우 방향 동일한 쪽으로 배치되어 근접하기 때문에, 하부 에어 셀(14)과 받침판(13)은 모두 좌우 방향 바깥쪽이 크게 움직이는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하부 에어 셀(14)의 팽창 수축에 의한 받침판(13)의 회동이 극히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마찬가지의 관계가, 시료판(10)과 에어 셀(17)(상측 시료 에어 셀(18), 하측 시료 에어 셀(19)) 사이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즉,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은, 그의 부채꼴 중심(18Z)(19Z)이 지지부(7)에서의 좌우 방향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부채꼴 중심(18Z)(19Z)은,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의 전개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의 부채꼴 중심(18Z)(19Z)과,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에 눌려져서 회동하는 시료판(10)(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의 회동축인 제2 회동축(Z2)(시료판(10)에 장착된 경첩(20)의 회동축과 동일함)이 좌우 방향 동일한 쪽으로 배치되어 근접하기 때문에,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과 시료판(10)은 모두 좌우 방향 바깥쪽이 크게 움직이는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 셀(19))의 팽창 수축에 의한 시료판(10)(상측 시료판(11) 및 하측 시료판(12))의 회동이 매우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제1 회동축(Z1) 및 제2 회동축(Z2)이란, 이들 각 축(Z1,Z2)을 구성하는 축체(軸體)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회동의 중심이 되는 가상축선의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회동축(Z1,Z2)을 가지는 것으로서는, 전술한 경첩(20)과 같이 축체를 가지는 것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얇은 두께의 힌지 등과 같이, 축체 자체는 가지지 않지만 회동 중심이 되는 가상 축선을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시료부(8)나 상승부(9)의 구조를 매우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자형 마사지기(특히 레그 레스트(4))의 소형화나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생산 비용이나 부품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중앙 시료부로서의 중앙 에어 셀(23)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에어 셀(23)은 좌우 양측으로 각 1개씩이, 좌우 방향 중앙선(25)을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좌우의 중앙 에어 셀(23)은, 각각 그의 부채꼴 중심(23Z)측이 좌우 방향 바깥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부채꼴 중심(23Z)은 중앙 에어 셀(23)의 전개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의 중앙 에어 셀(23)이,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22) 각각에 대하여 해당 종아 리(22)쪽으로 쓰러지듯이 팽창하기 때문에, 좌우의 종아리(22) 각각을 그의 좌우 방향 안쪽(즉, 좌우의 종아리(22) 상호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중앙 시료부(15)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에어 셀(23)과 시료판(10)(상측 시료판(11), 하측 시료판(12))에 의해, 종아리(22)를 끼워넣듯이 시료할 수 있으므로, 종아리(22)를 확실하게 또는 보다 강력하게 압박 또는 시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는, 의자형 마사지기이기 때문에, 피시료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종아리(22)의 시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시료부(8), 상승부(9) 및 중앙 시료부(15)의 퇴행시에는, 상승부(9)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지지대(7)와 시료부(8)에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피시료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 피시료자의 자세의 자유도가 매우 커진다. 또한, 의자형 마사지기(1)로서도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지고, 미관이 우수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승부(9)는, 지지부(7)의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더불어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듯이 돌출하기 때문에, 거꾸로 퇴행시는 좌우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퇴행한다. 따라서, 상승부(9)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승부(9)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있어서의 지지부(7)가 차지하는 좌우 방향 범위는 종아리(22)가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넓은 범위로 된다.
그리고,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 가능한 상승부(9)의 위에 더욱 출퇴 동작하는 시료판(1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아리(22)에 대한 시료부(8)의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커진다. 즉, 상승부(9)의 상승 각도와, 시료판(10)의 위치나 그의 돌출 각도를 다양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종아리(22)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커진다. 그리고, 시료판(10)은, 유연성이 큰 에어 셀의 상부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7)의 일부인 상승부(9)의 받침판(13)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료부(8)는 강성이 높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시료판(10)의 위치 어긋남이나 각도 어긋남은 최소한이 되고,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 나아가서는 압박력의 설정 정밀도는 매우 높아진다.
의자형 마사지기로서 매우 중요한 것은, 피시료자에 대하여 최적의 시료를 시행하는 것이고, 피시료자의 종아리(22)를 시료하는 시료기에 관하여 언급하면, 각 피시료자의 종아리(22)에 대하여 그의 압박 위치, 압박 각도 및 압박력을 어떻게 최적으로 또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의 설정 자유도 및 정밀도를 높이는 것은 마사지기의 성능으로서 매우 높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종아리(22)를 그의 대략 앞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는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료판(10)(또는 지압자(260))의 종아리(22)에 대한 압박 위치나 압박 각도는, 회동하는 받침판(13)의 위에 설치된 시료판(10)의 위치나 각도 등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들면, 종아리에 존재하는 복수의 경혈의 위치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압박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비교적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시료부(8)를 회동하는 시료판(10)에 의해 구성하 고, 또한 상승부(9)를 회동하는 받침판(13)에 의해 구성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받침판(13)의 회동축인 제1 회동축(Z1)과, 시료판(10)의 회동축인 제2 회동축(Z2)이 다른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제1 회동축(Z1) 및 제2 회동축(Z2)은 모두 레그 레스트(4)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나, 제2 회동축(Z2)은 제1 회동축(Z1)보다도 좌우 방향 바깥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회동축(Z1)과 제2 회동축(Z2)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시료판(10)의 종아리(22)에 대한 압박 각도나 압박 위치의 설정 자유도가 매우 커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4)에서는, 시료판(10)을 상측 시료판(11)과 하측 시료판(12)의 상하 2개로 분할하였으나, 이러한 분할을 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좌우로 분할하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분할하여도 좋다. 혹은, 받침판(13)을 적절히 분할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분할하고, 또한 그들 판을 미는 에어 셀도 이러한 분할된 각 판에 대응시켜서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분할한 각 판을 독립하여 출퇴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료 패턴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지지부(7)에 있어서의 기초체(16)는, 지지면(6) 부분이 한 단계 높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의 좌우 방향 양측이 한 단계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승부(9)(받침판(13)) 및 시료부(8)(시료판(10))의 퇴행시에는, 이 한 단계 낮은 부분에 받침판(13) 및 시료판 (10)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평탄성이 가일층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시료부(15)(중앙 에어 셀(23))의 배치 부분도 한 단계 낮게 되어 있고, 이 한 단계 낮은 부분에 중앙 에어 셀(2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전술한 평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7 ∼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에 장착된 레그 레스트(4)의 도면이고, 도 7은 앞쪽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평면도(도 8은 에어 셀 수축시, 도 9는 에어 셀 팽창시의 도면)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중앙 시료부(15)로서의 중앙 에어 셀(23)은 2개(좌우에 각 1개씩 모두 2개)가 아니라 1개만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앙 에어 셀(23)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면이 대략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는 것이 아니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전체가 대략 비슷하게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형태의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기에서는 중앙 에어 셀(23)은, 가상선인 좌우 방향 중앙선(25)을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그의 좌우 방향 폭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무릎 측으로부터 발목 측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는 종아리(22)의 형상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시료부(15) 또는 상승부(9) 혹은 시료부(8)의 배치를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 돌출시에 있어 서 시료부(8)와 중앙 시료부(15)의 간격이 지지부(7)에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시료판(10)이나 지압자(26)를 설치하지 않고, 시료부(8)는 상측 시료 에어 셀(18) 및 하측 시료 에어 셀(1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여기에서는, 시료판(10)이나 지압자(26)를 개재하지 않고서 상측 시료 에어 셀(18)(하측 시료 에어셀(19))에 의해 종아리(22)의 압박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예 3)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4)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에어 셀이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지지부(7)에 중앙 시료부(15)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지지부(7)의 받침판(13)이 완전한 평판 모양이 아니라, 그의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 근방에서 앞쪽으로 각도(α)만큼 절곡되어 있고, 해당 절곡 부분보다도 좌우 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시료부(8)로서의 상측 시료 에어 셀(18)이나 하측 시료 에어 셀(1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각 에어 셀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승부(9) 및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있어서의 지지부(7)와 시료부(8)에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피시료자에 의하여 방해가 되지 않고, 착석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의 자유도가 커진다. 또한, 이 각도(α)가 지나치게 커지면 평탄성이 감소하므로, 이 각도(α)는 3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는, 의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시트부(102), 등받이부(103), 레그 레스트(104, 다리 받침대) 및 암레스트(105)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트부(102)는, 그의 하부 양측에 각각 다리부(102a)를 가지는 기초대(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상면이 시트면(102b)으로서 이용되도록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쿠션부(102c)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쿠션부(102c)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 스펀지(sponge), 또는 발포 스티롤제의 내장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얹혀져 있고, 또한 그것을 폴리에스테르(polyester)제의 기모(起毛) 트리코트(tricot), 합성 피혁 또는 천연 피혁 등으로 이루어진 외장재(커버)로서 덮어서 구성되어 있다.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의자형 마사지기(101)에 착석한 피시료자가 볼 때의 앞쪽을 말함. 또한 이하에 있어서 왼쪽이란 의자형 마시지기(101)에 착석한 피시료자가 볼 때의 왼쪽을 말하고, 오른쪽이란 동일한 피시료자가 볼 때의 오른쪽을 말한다)에는, 피시료자의 발목 및 장딴지를 마사지하기 위한 레그 레스트(104)의 상단부가 피벗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그 레스트(104)는, 그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레그 레스트(104)는, 전체로서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의 전면에서 피시료자의 장딴지 부분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레그 레스트(104)에는 복수의 에어 셀(공기 주머니)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에어 셀이 시트부(102) 또는 등받이부(103)에 내장된 펌프 및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배기 장치(109)에 에어 호스(139)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도 21 참조), 해당 급배기 장치(109)로부터의 급배기에 의하여 에어 셀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 해당 에어 셀이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대하여 압박 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에어 셀이, 시트부(102)의 시트면 안쪽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들 에어 셀도 또한, 에어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급배기 장치(109)에 접속되어 있고, 급배기 장치(109)로부터의 급배기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02)의 시트면 중앙의 안쪽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바이브레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시료자가 시트부(102)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 셀의 팽창. 수축을 반복하는 것으로, 피시료자의 엉덩이부에 압박 자극을 줄 수 있고, 동일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피시료자의 항문부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시트부(102)의 뒤쪽에는, 등받이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103)는, 피시료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도록,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이 의자형 마사지기(101)에 착석한 때에, 해당 성인의 신체의 일부가 그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전면에서 보면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등받이부(103)의 하단부는, 시트부(102)의 뒤쪽에 횡방향의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어 있고, 이 피벗축을 중심으로 등받이부(103)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전후로 리크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03)의 양측부에는, 시트부(102)의 기초대에 고정 지지된 암레스트(1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암레스트(105)는, 등받이부(103)의 양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피시료자가 의자형 마사지기(101)에 착석한 때에, 팔받침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등받이부(103)의 내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사지 기구(10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가 가지는 마사지 기구(106)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마사지 기구(106)는 피시료자의 신체에 기계적인 자극을 주는 4개의 롤러 모양의 시료자(110, 施療子)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시료자(110)를 변위 구동하는 DC 서보모터인 모터(111, 112)가 설치되어 있다. 시료자(110)는 2개의 V-자 모양의 아암(113)의 선단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113)은 대략 V-자 모양을 이루는 2개의 커넥팅 로드(114)에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커넥팅 로드(114)에는, 결합공(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115)에는 회전축(16)의 양단에 설치된 경사부(117)가 유격을 가지고 끼워진다. 이 경사부(117)는, 회전축(116)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회전축(116)의 중간 부분에는, 헬리컬 기어(118a)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헬리컬 기어(118a)가 워엄(118b)과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헬리컬 기어(118a)와 워엄(118b)으로 워엄 기어 기구(118)가 구성되어 있다.
워엄(118b)의 일단에는, 풀리(119a)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벨트 (119b)에 의해 상기 풀리(119a)와 모터(111)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119c)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11)의 회전운동은 벨트(119b)를 통하여 워엄(118b)으로 전달되고, 워엄(118b)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16)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116)의 회전에 따라서, 경사부(117)가 원추형의 궤적을 그리도록 변위하고, 이것에 의해 커넥팅 로드(114)가 규칙적으로 동작하여, 좌우의 시료자(110)가 접근, 이격되도록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대략 타원을 그리듯이 이동한다. 이것이 시료자(110)의 '주무름' 동작이 된다. 또한, 시료자(110)의 주무름 동작에는, 좌우의 시료자(110)가 접근할 때에 전방(시료자(施療者)쪽)으로 이동하고, 좌우의 시료자(110)가 이격할 때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주무름 동작에서는 시료자(110)가 3차원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넥팅 로드(114)의 하부에는 결합구멍(1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구멍(120)에 연결부재(121)에 설치된 돌출부(122)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재(121)에는, 횡방향의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23)에, 회전축(124)의 양단부에 설치된 편심부(125)가 유격을 가지고 끼워져 있다. 또한, 회전축(124)의 중간 부분에는 풀리(126a)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벨트(126b)에 의해서 상기 풀리(126a)와 모터(112)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126c)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12)의 회전운동은 벨트(126b)를 통하여 회전축(124)에 전달되고, 회전축(124) 양단의 편심부(125)의 공전에 의하여 연결부재(121)가 대략 상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커넥팅 로드(114)가 결합공(115)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하므로 시료자(110)가 원호를 그리도록 대략 상하로 왕복 이동한다. 모터(112)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 때에는, 일정한 주기로 시료자(110)가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것이 시료자(110)의 두드림 동작이 된다. 또한, 모터(112)를 그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회전시킬 때에는, 변칙적인 주기로 시료자(110)가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것이 시료자(110)의 지압 동작이 된다.
이와 같이, 모터(111)의 구동에 의하여 시료자(110)의 주무름 동작이 행해지며, 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시료자(110)의 두드림 동작 및 지압 동작이 행해지고, 모터(111,112)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에 의해, 주무름 동작 및 두드림 동작, 또는 주무름 동작 및 지압 동작이 복합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물론, 각 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사지 기구(106)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승강대(128)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승강대(128)의 양측단부에는 롤러(128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128a)는, 가이드 레일(129)에 구름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승강대(128)에는 도시되지 않은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너트에 상기 가이드 레일(129)과 평행하게 설치된 나사봉(130)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봉(130)은 그의 상하단이 피벗 지지되어 있고, 또한 그의 하단이 등받이부(103)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나사봉(130)이 회전할 때에는, 롤러(128a)가 가이드 레일(12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너트를 가지는 승강대(128)가 나사봉(130)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상기 너트와 상기 나사봉(130)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승강대(128) 및 마사지 기구(106)가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피시료자가 등 받이부(103)에 상반신을 기댄 상태에서 마사지 기구(106)를 승강시킴으로써, 시료자(110)가 피시료자의 등허리를 상하로 구름 운동하는 롤링(rolling)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그 레스트(10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히 내용 중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레그 레스트(104)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104)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14∼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104)는, 지지부(131)와, 시료부(132)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131)는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의 상단변(上端邊)이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어 있다(도 12 참조).
도 14∼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31)의 폭방향 중앙 부분은,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뒤쪽 즉, 장딴지를 지지하는 지지면(133)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131)의 상기 지지면(133)의 좌우 양측에는, 지지면(133)보다도 한 단계 낮게 형성된, 지지면(133)과 대략 평행한 장착면(1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장착면(134)에는, 뒤쪽 에어 셀(뒤쪽 공기 주머니)(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앞쪽 공기 주머니)(137)을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된 시료부(13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면(134)이 지지면(133)보다 한 단계 낮게 되도록, 지지면(133) 및 장착면(134)이 계단 모양으로 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면(133) 및 장착면(134)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7은, 수축되어 있는 상태의 뒤쪽 에어 셀(13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18은 팽창되어 있는 상태의 뒤쪽 에어 셀(13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135)은, 복수(도 17 및 도 18에서는 3개)의 공기 주머니(135a∼c)가 겹쳐진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공기 주머니(135a∼c) 중 인접하는 2개 즉, 공기 주머니(135a) 및 (135b), 또한 공기 주머니(135b) 및 공기 주머니(135c)의 접합 부분에는, 구멍(138)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공기 주머니(135a∼c)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장착면(134)에 접하는 공기 주머니(135c)에는, 공기의 공급, 배출에 사용되는 에어 호스(139)가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131)의 장착면(134)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하여 에어 호스(139)가 시트부(102) 또는 등받이부(103)에 설치된 급배기 장치(109)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 급배기 장치(109)로부터의 급배기에 의하여 뒤쪽 에어 셀(135)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135)의 외측단 즉, 지지면(133)과 이격된(멀리 떨어진) 쪽의 단부는, 주름 모양으로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뒤쪽 에어 셀(135)의 내측단 즉, 지지면(133)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전개 규제부(135d)로 이루어지고, 공기 주머니(135a∼c)의 단부끼리 서로 이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개 규제부(135d)에 있어서는, 공기 주머니(135a)의 단부와 공기 주머니(135c) 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공기 주머니(135a) 및 (135c)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공기 주머니(135b)는, 공기 주머니(135a) 및 (135c)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135a) 및 (135c)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지 않으면, 공기 주머니(135b)의 단부가 이것들로부터 이격되지는 않는다.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의 내측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135)로부터 공기를 배출한 상태인 때에는, 뒤쪽 에어 셀(135)은 대략 평탄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뒤쪽 에어 셀(135)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135)의 내측단은 전개하지 않은 채 외측단이 전개하고, 그 결과, 뒤쪽 에어 셀(135)이 대략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게 된다.
도 14 ∼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135)은, 그의 전개 규제부(135d)가 장착면(134)에 고착되어, 장착면(134)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이 부채 모양으로 팽창한 때에, 뒤쪽 에어 셀(135)의 내측단이 장착면(134)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135)의 전방에는 받침판(136)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판(136)은, 뒤쪽 에어 셀(135)의 주요 면(面) 부분 보다 약간 큰 면적의 대략 사각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135)의 전체를 덮어 감추도록, 뒤쪽 에어 셀(13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판(136)은, 그의 주요 면이 장착면(134) 보다도 약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고, 그의 내측단 중앙부가 지지부(131)의 장착면(134)과 지지면(134)의 계단부 근방에 힌지(140)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어 있 고, 이 힌지(140)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136)은, 금속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9는, 받침판(136)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힌지(140)는, 장착면(134)의 지지면(133)과 계단부 근방인, 종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상하로 나란하게 돌출하고 있는 2개의 지지부재(140a)와, 양쪽 지지부재(140a) 사이에 걸치는 핀(140b)을 가지고 있다. 받침판(136)의 기초단 중앙부로부터는, 양쪽 지지부재(140a)의 이격 거리보다도 약간 폭(종방향 길이)이 작은 연장부(140c)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부(140c)에는, 종방향 즉, 받침판(136)의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40c)는, 양쪽 지지부재(140a) 사이에 배치되고, 핀(140b)이 상기 구멍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관통되어, 이렇게 받침판(136)이 지지부(131)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받침판(136)은 코일 스프링(140d)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탄성 가압되고 있다. 코일 스프링(140d)은, 그의 양단부에 코일부(140e)를 가지고, 2개의 코일부(140e) 사이를 직선 모양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나의 선(線) 모양의 스프링강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코일부(140e)는 연장부(140c)와 지지부재(14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코일부(140e)를 핀(140b)이 관통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40d)의 양단은 각각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장착면(134)의 지지부재(140a)보다 바깥 부분에는 걸림판 (134a)이 돌출되어 있고, 이 걸림판(134a)에 코일 스프링(140d)의 양단이 각각 걸려져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40d)의 상기 연결부는 연장부(140c)에 걸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140d)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판(136)이 장착면(13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되어 있고, 뒤쪽 에어 셀(135)이 팽창한 때에는, 코일 스프링(140d)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받침판(136)이 전방으로 회동하고, 뒤쪽 에어 셀(135)이 수축한 때에는 코일 스프링(140d)이 탄성력에 의해 받침판(136)이 장착면(134)과 대략 평행한 위치까지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136)의 복귀 수단은 코일 스프링(140d)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받침판(136)의 후면에 뒤쪽 에어 셀(135)의 전면 부분을 접착하고, 에어 셀(135)의 수축과 동시에 받침판(136)이 장착면(134)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위치까지 복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는 등,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4∼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판(136)의 전면에는, 2개의 앞쪽 에어 셀(137)이 상하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앞쪽 에어 셀(137)은,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한 구성이고, 그의 사이즈를 작게 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하게 대략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앞쪽 에어 셀(137)은, 그의 폭방향 치수가 받침판(136)의 폭방향 치수의 약 절반으로 되어 있고, 받침판(136)의 전면의 대략 바깥쪽 절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각 앞쪽 에어 셀(137)은,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 즉 지지면(133)과 근접하는 쪽으로 향하고,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 즉 지지면(133)과 이격되는 쪽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전개 규제부(137d)(도 17 및 도 18 참조)가 받침판(136)에 고착되어, 받침판(136)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성의 시료부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출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의자형 마사지기(10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을 각각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시료부(132)의 앞쪽 부분이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레그 레스트(104)가 외관상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어, 의자형 마사지기(101) 전체가 심플(simple)한 미관을 띠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의 의자형 마사지기(101)에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는, 레그 레스트(104)의 전면이 대략 평탄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시료자가 레그 레스트(104)에 종아리를 올려놓기 쉽다. 또한, 종아리 부분의 마사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의자형 마사지기(101)를 단순히 안락 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레그 레스트(104)의 전면이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구속되지 않고, 피시료자는 소망하는 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또한, 피시료자의 장딴지 부분을 지지면(13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을 팽창시킨 때에는, 뒤쪽 에어 셀(135)이 부채 모양으로 팽창함으로써, 좌우 받침판(136)이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바깥 부분과 대략 마주하도록 힌지(140)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하고, 에어 셀(137)이 부채 모양으로 팽창함으로써, 좌측의 앞쪽 에어 셀(137)의 전면인 압박면이 우측 후방으로, 우측의 앞쪽 에어 셀(137)의 압박면이 좌측 후방으로 각각 회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삼리혈, 풍륭혈 등의 경혈이 존재하는 정강이의 바깥 부분이 내측 후방을 향하여 압박된다. 따라서, 피시료자의 혈행 촉진, 피로 회복, 릴랙스, 각종 내장의 기능 조정 등의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0은, 레그 레스트(104)의 회동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부(102)의 내부에는 프레임 구조(1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 구조(141)에 2개의 직동식 액추에이터(142,143)가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직동식 액추에이터(142)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구조(141)에 그 일단이 피벗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등받이부(103)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어 있다. 직동식 액추에이터(142,143)는, 각각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고, 해당 전동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동식 액추에이터(142,143) 자체가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직동식 액추에이터(142)와 프레임 구조(141)와의 피벗 결합 위치는, 직동식 액추에이터(142)와 등받이부(103)와의 피벗 결합 위치보다 앞쪽에 있고, 직동식 액추에이터(142)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03)는, 그의 하단부 근방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144)에 의하여 프레임 구조(141)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직동식 액추에이터(142)가 신축할 때에는, 등받이부(103)가 피벗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리크라이닝 각도의 변경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직동식 액추에이터(143)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구조(141)에 그의 일단이 피벗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레그 레스트(104)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어 있다. 이 직동식 액추에이터(143)와 프레임 구조(141)의 피벗 결합 위치는, 직동식 액추에이터(143)와 레그 레스트(104)와의 피벗 결합 위치보다 후방에 있고, 직동식 액추에이터(143)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그 레스트(104)는, 그의 상단 부근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145)에 의해 프레임 구조(141)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직동식 액추에이터(143)가 신축할 때에는, 레그 레스트(104)가 피벗축(145)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레그 레스트(104)의 경사 각도의 변경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등받이부(103)의 리크라이닝 수단 및 레그 레스트(104)의 회동 수단을 각각 모터를 가지는 직동식 액추에이터(142,143)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공기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등의 다른 직동식 액추에이터이어도 좋고, 공기 주머니에 의하여 등받이부(103) 또는 레그 레스트(104)를 회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수동으로 등받이부(103)의 리크라이닝 또는 레그 레스트(104)의 회동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형 마사지기(101)에는, 제어회로(146)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제어회로(146)는, CPU, ROM, RA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트부(102) 또는 등받이부(10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146)는, 복수의 조작키가 설치된 조작부(147) 및 구동회로(148∼150)에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147)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작 신호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구동회로(148∼150)로 각각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146)에는, 조작 키 및 그의 조합에 대응하여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동작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고, 피시료자가 소망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조작 키를 누를 때에, 이 조작 신호가 제어회로(146)에 송신되고, 제어회로(146)는 해당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회로(148, 149)는, 직동식 액추에이터(142,143)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조작부(147)의 조작에 대응하여, 리크라이닝 각도 및 레그 레스트(104)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회로(150)는 급배기 장치(109)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146)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급배기 장치(109)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어회로(146)에 의하여 급배기 장치(109)의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급배기 장치(109)는, 전자 밸브 등의 절환 밸브 및 에어 펌프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에어 호스(139)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배기장치(109)는,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흡기 및 배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레그 레스트(104)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 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에 있어서의 레그 레스트(104)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의자형 마사지기(101)에 착석한 피시료자가 조작부(147)에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하고, 레그 레스트(104)에 의한 종아리의 마사지의 개시를 지시한 때(단계 S1),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50)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뒤쪽 에어 셀(135)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만큼 급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09)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2). 이것에 의해, 받침판(136)이 전방으로 회동하고, 그후 뒤쪽 에어 셀(135)로의 급기가 정지한 시점에서 받침판(136)이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5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앞쪽 에어 셀(137)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만큼 급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09)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 이것에 의해, 앞쪽 에어 셀(137)이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고,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이 내측 후방을 향하여 압박된다.
앞쪽 에어 셀(137)로의 급기 개시로부터 성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5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앞쪽 에어 셀(137)로부터 배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09)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4).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정강이 외측 부분에 대한 압박력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어회로(146)는, 피시료자에 의하여 종아리의 마사지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 종료 지시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단계 S5에 있어서, 종료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5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뒤쪽 에어 셀(135) 로부터 배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09)의 동작을 제어하고(단계 S6),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피시료자로부터 종아리의 마사지의 종료 지시를 받지 않는 한, 앞쪽 에어 셀(137)이 팽창, 수축을 반복하고,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이 반복하여 압박되게 된다. 또한, 종아리의 마사지 강도는 피시료자가 조작부(147)에 소정의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마사지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뒤쪽 에어 셀(135)로의 급기 시간이 길게 설정되고, 마사지 강도를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뒤쪽 에어 셀(135)로의 급기 시간이 짧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앞쪽 에어 셀(137)로의 급기 시간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 또는 앞쪽 에어 셀(137)의 급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급기 시간에 있어서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마사지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5)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의 크기를 대략 같게 하고, 피시료자의 한쪽의 종아리에 대하여 각각 1개씩 설치하는 등,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받침판(136)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뿐이어도 좋고, 받침판(136)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겹친 구성 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예 5)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는,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레그 레스트(153)의 상단부가 피벗 결합되어 있고, 해당 레그 레스트(153)의 폭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 중간 에어 셀(중간 공기 주머니)(154)(도 24∼도 26 참조)을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된 중간 시료부(155)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레그 레스트(153)의 구성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특히 내용 중에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레그 레스트(153)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15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그 레스트(153)는, 지지부(156)와, 중간 시료부(155)와, 시료부(132)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156)는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의 상단변이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어 있다(도 23 참조).
도 24∼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56)의 폭방향 중앙 부분은, 중간 시료부(155)를 장착하는 중간 장착면(15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부(156)의 중간 장착면(157)의 좌우 양측에는,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158)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양측 지지면(158)의 외측은 시료부(132)를 장착하는 장착면(159)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장착면(157), 지지면(158) 및 장착면(159)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중간 장착면(157)은 지지면(158)보다도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고, 장착면(159)은 이것보다 더욱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장착면((157)과 지지면(158)의 사이 및 장착면(159)과 지지면(158)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 장착면(157)은, 아래쪽을 향해 감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지지면(158)과 각각의 계단부가 대략 ハ-자 모양을 이루도록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지지면(158) 및 중간 장착면(157)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지지면(158) 및 중간 장착면(159)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중간 장착면(157)에는, 해당 중간 장착면(157)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되어 있고 중간 장착면(157)과 마찬가지로 아래쪽을 향하여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중간 에어 셀(15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중간 에어 셀(154)은, 수축하고 있을 때에는 지지면(158)과 거의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거의 편평한 형상을 이루고, 이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는, 지지면(158)보다 전방으로 팽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시료자의 종아리는 지지면(158)만에 의하여 지지될 필요는 없고, 지지면(158)에 의하여 장딴지의 일부가 지지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중간 에어 셀(15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회로(146)에는, 구동회로(148,149,160)가 접속되어 있고, 각각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회로(160)는, 급배기 장치(161)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146)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급배기 장치(161)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어회로(146)에 의하여 급배기 장치(161)의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급배기 장치(161)는, 전자 밸브 등의 절환 밸브 및 에어 펌프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에어 호스(139)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배기장치(161)는,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중간 에어 셀(154)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흡기 및 배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레그 레스트(153)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에 있어서의 레그 레스트(153)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의자형 마사지기(152)에 착석한 피시료자가 조작부(147)에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하여, 레그 레스트(153)에 의한 종아리의 마사지의 개시를 지시한 때(단계 S21),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60)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중간 에어 셀(154)에 소정 시간만큼 급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61)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22). 이것에 의해, 중간 에어 셀(154)은 지지면(158)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고, 피시료자가 장딴지의 안쪽 부분을 중간 에어 셀(154)에 눌러 접촉하도록 종아리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종아리의 마사지를 받 기 위한 올바른 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2의 뒤에 이어지는 단계 S23∼S27의 처리는,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단계 S2∼S6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5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을 각각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시료부(132) 및 중간 시료부(155)의 앞쪽 부분이 거의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레그 레스트(153)가 외관상 거의 평판 형상을 이루고, 의자형 마사지기(152)의 전체가 심플한 미관을 띠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의 의자형 마사지기(152)에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는, 레그 레스트(152)의 전면이 거의 평탄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시료자가 레그 레스트(153)에 종아리를 얹기 쉽다. 또한, 종아리 부분의 마사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의자형 마사지기(152)를 단순히 안락 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레그 레스트(153)의 전면이 거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구속되지 않고, 피시료자는 소망하는 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에어 셀(154)을 팽창시킨 때에는,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안쪽 부 분이 상기 중간 에어 셀(154)에 접촉하게 되고,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상태에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을 각각 팽창시킨 때에는, 앞쪽 에어 셀(137)의 압박면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이 안쪽 후방을 향하여 압박되고, 그 결과,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앞쪽 에어 셀(137)과 중간 에어 셀(154)에 끼여서 이른바 '쥐어 주무르기'를 받게 된다.
여기서, 쥐어 주무르기란, 마사지사 등의 시료자(施療者)가 피시료자의 다리부 또는 팔부를 지압에 의해 시료하는 경우에, 시료자가 해당 다리부 또는 팔부를 끼워 잡고(쥐고), 이 쥐는 힘에 강약을 주는 것에 의하여 시료하는 마사지 방법을말하고, 피시료자에 있어서 기분 좋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마사지 방법중 하나이다.
이 때, 중간 에어 셀(154)이 아래쪽을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지지부(15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에어 셀(154)이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향의 일부밖에 중간 에어 셀(154)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간 에어 셀(154)이 아래쪽을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중간 에어 셀(154)을 장방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안쪽 부분이 중간 에어 셀(15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정강이의 바깥 부분이 안쪽 후방을 향하여 압박될 때에,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안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료부(132)만에 의하여 정강이의 바깥 부분에 마사지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한층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 레스트(153)의 동작 제어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을 각각 팽창시킨 상태에서부터, 뒤쪽 에어 셀(135)만을 수축시키고, 그 후에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을 각각 수축시키는 동작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을 각각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시료부(132)와 중간 시료부(155)에 끼워지고, 이 상태로부터 뒤쪽 에어 셀(135)만을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앞쪽 에어 셀(137)이 코일 스프링(140d)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시료부(132)와 중간 시료부(155)에 끼워진 그대로 뒤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이른바 '당겨 주무르기'를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시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당겨 주무르기란, 시료자가 피시료자의 종아리 등의 시료 부위를 끼워 잡고(쥐고), 잡은 상태 그대로 시료 위치(손가락 등이 피시료자의 신체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시료 부위의 바깥으로 비켜 놓도록 시료하는 마사지 방법을 말한다. 이 당겨 주무르기도 또한, 피시료자에 있어서 기분 좋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마사지 방법중 하나이다.
또한, 그 이외에도, 뒤쪽 에어 셀(135)을 팽창시킨 상태에서,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54)을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레그 레스트(153)의 동작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쥐 어 주무르기가 반복하여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의 개수, 크기는 제5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받침판(136)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136)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중간 에어 셀(1154)의 개수, 크기도 제5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중간 에어 셀(154)을 상하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6)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는,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레그 레스트(163)의 상단부가 피벗 결합되어 있고, 해당 레그 레스트(163)의 폭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 한 쌍의 중간 에어 셀(164)(도 30∼도 32 참조)을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된 중간 시료부(164)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레그 레스트(163)의 구성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특별히 내용 중에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레그 레스트(163)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16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1 및 도 32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그 레스트(163)는, 지지부(165)와, 중간 시료부(166)와, 시료부(132)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165)는 그의 폭방향 중앙 부분이 중간 시료부(166)를 장착하기 위한 중간 장착면(167)(도 30에서 이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사다리꼴 모양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부(165)의 중간 장착면(167)의 좌우 양측에는,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168)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양측 지지면(168)의 외측은 시료부(132)를 장착하는 장착면(169)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장착면(167), 지지면(168) 및 장착면(169)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중간 장착면(157) 및 지지면(168)은 단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즉 높이를 일치시켜서 형성되어 있고, 장착면(169)은 이들 보다도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면(169)과 지지면(168)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장착면(169)과 지지면(168)에 의하여 평탄면이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중간 장착면(167)이 지지면(168)보다 한 단계 낮게 되도록, 중간 장착면(167)과 지지면(168)을 계단 모양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중간 장착면(167)에는, 한 쌍의 중간 에어 셀(164)이 좌우로 나란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중간 에어 셀(164)은, 뒤쪽 에어 셀(135)의 가로 폭을 작게 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 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각 중간 에어 셀(164)은,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며, 또한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ハ-자 모양으로 중간 장착면(167)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에어 셀(164)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의 지지면(133)에의 장착 구조와 마찬가지로, 전개 규제부(164d)가 중간 장착면에 고착되어, 중간 장착면(167)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에어 셀(164)을 서로 경사시켜서 중간 장착면(167)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 에어 셀(164)을 서로 평행하고 나란하게 중간 장착면(167)에 장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피시료자의 종아리는 지지면(168)만에 의하여 지지될 필요는 없고, 지지면(168)에 의하여 장딴지의 일부가 지지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수축되어 있을 때의 중간 에어 셀(16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항상 중간 에어 셀(164)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고, 더 한층 효율적인 중간 에어 셀(164)의 압박력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회로(146)에는, 구동회로(148, 149, 170)들이 접속되어 있고, 각각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회로(170)는, 급배기 장치(171)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146)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급배기 장치(171)를 구동하도록 구성되 어 있어, 제어회로(146)에 의하여 급배기 장치(171)의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급배기 장치(171)는, 전자 밸브 등의 절환 밸브 및 에어 펌프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에어 호스(139)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배기장치(171)는,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흡기 및 배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레그 레스트(163)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에 있어서의 레그 레스트(163)의 동작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의자형 마사지기(162)에 착석한 피시료자가 조작부(147)에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하여, 레그 레스트(163)에 의한 종아리의 마사지의 개시를 지시한 때(단계 S31),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70)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으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만큼 급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71)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2).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이 팽창하고,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에 앞쪽 에어 셀(137)이, 장딴지의 안쪽 부분에 중간 에어 셀(164)이 각각 접촉하여, 앞쪽 에어 셀(137)과 중간 에어 셀(164)에 의하여 종아리가 끼워지듯이 압박된다.
이때, 중간 에어 셀(164)이 아래쪽을 향해 감에 따라서 그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지지부(16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에어 셀(164)이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어,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 향의 일부밖에 중간 에어 셀(164)에 접촉하지 않다고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의 급기 개시로부터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7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뒤쪽 에어 셀(135)로부터 배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71)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3).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이 수축하고, 코일 스프링(140d)의 탄성력에 의하여 받침판(136)이 후방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앞쪽 에어 셀(137)이 후퇴한다. 이렇게 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앞쪽 에어 셀(137)과 중간 에어 셀(164)에 끼워진 상태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이른바 '당겨 주무르기'가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시행된다.
뒤쪽 에어 셀(135)의 배기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어회로(146)는 구동회로(170)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으로부터 배기하도록 급배기 장치(171)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4).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대한 압박력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어회로(146)는, 피시료자에 의하여 종아리의 마사지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5), 종료 지시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2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단계 S35에 있어서, 종료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피시료자로부터 종아리의 마사지의 종료 지시를 받지 않는 한, 레그 레스트(163)에 의한 종아리의 당겨 주무르기가 반복 실행된다. 또한, 종아리의 마 사지 강도는 피시료자가 조작부(147)에 소정의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마사지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단계 S32에 있어서의 뒤쪽 에어 셀(135), 앞쪽 에어 셀(137) 및 중간 에어 셀(164) 각각으로의 급기 시간이 길게 설정되고, 마사지 강도를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그의 급기 시간이 짧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받침판(136)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136)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중간 에어 셀(164)의 개수, 크기도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중간 에어 셀(164)을 상하 2열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7)
도 3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172)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6 및 도 37은 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레그 레스트(172)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도 3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172)의 시료부(240)는, 각 앞쪽 에어 셀(137)의 앞쪽에 2개의 지압 헤드(지압자)(173)가 각각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 에어 셀(137)의 전면에, 주면(主面)이 이것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누름판(174)이 고착되어 있고, 그 누름판(174)의 전면에, 2개의 지압 헤드(173)가 상하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이 팽창한 때에는, 지압 헤드(173)가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압박하게 되고, 마치 마사지사에 의하여 해당 부분이 지압되고 있는 듯한 자극을 피시료자에 줄 수 있다.
또한, 지압 헤드(17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이어도 좋고 합성수지이어도 좋으나,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각종 우레탄 폼, 그 외에 발포재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에게 주는 자극이 너무 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압 헤드(173)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반구형(半球形)인 경우와 같이, 날카롭고 뽀족한 부분이 없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받침판(136)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136)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135)과 앞쪽 에어 셀(137)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 에어 셀(164)의 개수, 크기도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중간 에어 셀(164)을 상하 2열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8)
도 3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0 및 도 41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39∼도 4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175)의 시료부(241)가 가지는 받침판(176)은, 그의 폭방향 외측 단부가 소정 각도로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해당 받침판(176)에는, 그의 절곡 부분 보다 바깥 부분에 앞쪽 에어 셀(13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135)은 받침판 (176)의 기초 단부가 지지면(168)에 대하여 수직을 이룰 때까지 팽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135)이 팽창한 때에는, 지지면(168)의 전방이 받침판(176)의 외측 단부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176)은, 굴곡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으나, 금속 또는 상온 부근에서 가소성(可塑性)을 나타내는 플라스틱 등의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받침판이 평판 모양인 경우에 비하여, 뒤쪽 에어 셀(135)이 팽창한 때에 앞쪽 에어 셀(137)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더 한층 가깝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앞쪽 에어 셀(137)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정강이의 바깥 부분을 포함하는 종아리의 앞쪽 부분이 대략 후방으로 압박되어, 해당 정강이의 바깥 부분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앞쪽 에어 셀(137)을 더 소형의 것으로 한 경우에도, 마사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176)을 1개소에서 전방으로 굴곡시킨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받침판 전체를 원호 모양으로 전방으로 만곡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6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62)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76) 및 앞쪽 에 어 셀(137)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받침판(176)의 전방에 2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것을 배치하여도 좋고, 받침판(176)의 후방에 2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것을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 에어 셀(164)의 개수, 크기도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중간 에어 셀(164)을 상하 2열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3 및 도 44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42∼도 4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242)는, 지지부(165)의 중간 장착면(167)이 장방형을 이루고 있고(도 42에서 이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한 쌍의 중간 에어 셀(164)로 이루어지는 중간 시료부(166) 대신에, 해당 중간 장착면(167)에 사각 형상의 편평한 중간 에어 셀(243)로 이루어지는 중간 시료부(24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중간 에어 셀(243)은, 수축하고 있는 때에는 편평하고, 이것에 의해 지지부(165)의 전면이 거의 평탄해진다. 중간 에어 셀(243)이 팽창한 때에는, 도 4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면(168)보다 전방으로 팽출하고,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안쪽 부분에 중간 에어 셀(243)이 접촉하고, 해당 개소를 압박하게 된다. 또한, 피시료자가 지지부(165)에 종아리를 올려놓은 때에 중간 에어 셀(243)에 장딴지의 안쪽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장딴지를 지지면(168) 상의 시료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에어 셀(243)을 장방형으로 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아래쪽을 향해 감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중간 에어 셀(243)의 개수, 크기도 이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중간 에어 셀을 상하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9)
도 4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177)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6은 그의 측면도이다.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177)는, 피시료자의 종아리, 즉 무릎으로부터 발목까지의 부분을 시료하는 종아리 시료 유닛(178)과, 피시료자의 발, 즉 발목으로부터 발끝 부분을 시료하는 발 시료 유닛(179)을 가지고 있다. 종아리 시료 유닛(178)은, 중간 시료부(180)가 2쌍의 중간 에어 셀(181)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양측의 시료부(183)가, 시료부(132)의 뒤쪽 에어 셀(135) 및 받침판(136)을 상하로 2분할하여, 각각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뒤쪽 에어 셀(184) 및 받침판(185)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7실시예에서 설명한 레그 레스트(16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간 시료부(18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간 장착면(167)의 위쪽 절반 부분에, 1쌍의 중간 에어 셀(181)이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간 장착면(167)의 아래쪽 절반 부분에, 또 한 쌍의 중간 에어 셀(181)이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쌍을 구성하는 중간 에어 셀(181)은,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각각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2개의 중간 에어 셀(181), 즉 우측의 2개의 중간 에어 셀(181) 또는 좌측의 2개의 중간 에어 셀(181)은 직선적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마사지할 때에, 중간 에어 셀(181)이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향의 일부밖에 중간 에어 셀(181)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료부(183)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장착면(169)에는, 각각 2개의 뒤쪽 에어 셀(184)이 상하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184)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184)은, 그의 주면(主面) 부분이 장착면(169)의 위쪽 절반(또는 아래쪽 절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 즉 지지면(168)쪽을 향하게 하고,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한 형태로 장착면(169)상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184)의 전방에는 받침판(185)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판(185)은, 뒤쪽 에어 셀(184)의 주면 부분 보다 약간 큰 면적의 대략 사각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184)의 전체를 덮어 감추도록, 뒤쪽 에어 셀(184)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해당 받침판(185)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동일한 형태로 힌지(186)에 의하여 장착면(169)에 장착되어 있다. 그의 상세한 사항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의 장착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받침판(185)의 전면의 외측 절반 부분에는, 1개의 앞쪽 에어 셀(137)이 제4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마찬가지로, 받침판(185)은, 금속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뒤쪽 에어 셀(184), 받침판(185) 및 앞쪽 에어 셀(137)에 의하여 시료부(183)가 구성된다.
발 시료 유닛(179)은, 거의 평판 모양을 이루는 발바닥 지지부(187)와 에어 셀(공기 주머니)(188∼191) 및 바이브레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발바닥 시료부(192)를 가지고 있다. 에어 셀(188∼191)은,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바닥 지지부(187)는, 폭방향 중앙 부분이 에어 셀(188) 및 바이브레이터를 장착하는 중간 장착면(193)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발바닥 지지부(187)의 중간 장착면(193)의 좌우 외측 부분에는 피시료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19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바닥 지지부(187)의 상면의 외측 단부인 지지면(194)의 좌우 양쪽 외측 부분은, 에어 셀(189,190)을 장착하는 장착면(195)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장착면(193), 지지면(194) 및 장착면(195)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중간 장착면(193)은 지지면(194)보다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고, 장착면(195)은 그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장착면(193)과 지지면(194)의 사이 및 장착면(195)과 지지면(194)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면(194) 및 중간 장착면(193)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지지면(194) 및 장착면(195)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중간 장착면(193)의 앞쪽 절반 부분에는, 한 쌍의 에어 셀(188)이 좌우로 나란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에어 셀(188)은,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중간 장착면(19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장착면(193) 중 2개의 에어 셀(188) 각각의 후방 부분에는, 전술한 바이브레이터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바이브레이터는,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인 피시료자가 발 시료 유닛(179)에 발을 얹어 놓은 때에, 정확히 발바닥 장심(掌心)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면(195)의 앞쪽 절반(前半) 부분인, 정확히 에어 셀(188)의 측방의 위치에는 에어 셀(189)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 셀(189)은, 장착면(195)의 전반 부분보다도 약간 작은 주면(主面) 치수를 가지고 있고,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에어 셀(189)의 상면에는, 이것과 대략 동일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받침판(196)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받침판(196)의 상면에는 에어 셀(191)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에어 셀(189, 191) 및 받침판(196)의 배치 및 구성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 의 배치 및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면(195)의 뒤쪽 절반(後半) 부분인, 정확히 바이브레이터의 측방의 위치에는 에어 셀(19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셀(190)은, 에어 셀(189)에 비하여 약간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고, 에어 셀(189)과 동일하게,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47은, 각 에어 셀(188∼191)을 팽창시킨 때의 레그 레스트(177)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8은 그의 측면도이다.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인 피시료자의 발바닥을 발 시료 유닛(179)에 올려놓은 때에는, 지지면(194)에 발바닥의 일부가, 에어 셀(188) 및 바이브레이터의 위에 나머지의 일부가 각각 올려지고, 이 상태에서 에어 셀(189,191)을 팽창시킨 때에는,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셀(191)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등이 위로부터 압박된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발등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고, 또한 피시료자의 발을 위로부터 눌러서 다른 에어 셀(188,190) 또는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할 때에도, 피시료자의 발이 그의 압박 또는 진동에 의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셀(188)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끝의 이면측 부분으로부터 내측 부분에 걸쳐 압박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셀(190)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복사뼈 부분을 압박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바닥 장심 부분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 셀(188∼191)을 각각 독립하여 또는 동조시켜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고, 또한 이것들과 독립하여 또는 동조시켜서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 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에게 기분 좋은 자극을 주도록 피시료자의 발을 마사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아리 시료 유닛(178)과 발 시료 유닛(179)은, 도 45∼도 48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79)에 의하여 연결되어 레그 레스트(177)가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프레임(179)에 신축 기구를 설치하고, 종아리 시료 유닛(178)과 발 시료 유닛(179)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임(197) 등에 의하여 종아리 시료 유닛(178)과 발 시료 유닛(179)을 연결하지 않고, 종아리 시료 유닛(178)만 시트부(102)에 피벗 결합하고, 발 시료 유닛(179)을 독립시켜서, 발 시료 유닛(179)을 사용할 때에 종아리 시료 유닛(178)의 아래쪽의 마루면에 발 시료 유닛(179)을 얹어 놓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종아리 시료 유닛(178)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4∼9실시예 중 어떠한 레그 레스트와 동일한 형태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발 시료 유닛(179)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 셀(189,191) 및 받침판(196) 없이 구성하여도, 및/또는 에어 셀(188,190) 및 바이브레이터 중 한 쌍은 복수개가 아닌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다른 에어 셀 또는 바이브레이터를 상술한 에어 셀(188∼191) 및 바이브레이터와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에어 셀(188∼191) 및 바이브레이터 한 쌍은 복수 개를 상기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184), 받침판(185) 및 앞쪽 에어 셀(137)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184)과 앞쪽 에어 셀(137)을 받침판(185)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185)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184)과 앞쪽 에어 셀(137)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예 10)
도 4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198)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특별히 내용 중에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레그 레스트(198)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198)는, 상측 유닛(199a), 하측 유닛(199b) 및 신축 기구(이격 거리 변화 수단)(200)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 유닛(199a)은 상측 지지부(201a), 시료부(202a) 및 중간 시료부(203a)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하측 유닛(199b)은 하측 지지부(201b), 시료부(202b) 및 중간 시료부(203b)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지 지부(201a) 및 하측 지지부(201b)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측 유닛(199a)은, 시트부(102)의 시트면(102b)의 전방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의 아래쪽에 하측 유닛(199b)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유닛(199a) 및 하측 유닛(199b)은,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피벗축(204)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신축 기구(200)의 앞쪽에 각각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즉, 제9실시예에서 설명한 종아리 시료 유닛(178)을 상하로 2분할한 것과 같이, 상측 유닛(199a) 및 하측 유닛(199b)이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상측 유닛(199a)은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는 상측 지지부(201a)를 가지고 있다. 상측 지지부(201a)는, 그의 폭방향 중앙 부분이 중간 시료부(203a)를 장착하기 위한 중간 장착면(205a)(도 49에서 2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201a)의 중간 장착면(205a)의 좌우 양측은,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206a)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양쪽 지지면(206a)의 외측은 시료부(202a)를 장착하는 장착면(207a)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장착면(205a), 지지면(206a) 및 장착면(207a)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중간 장착면(205a) 및 지지면(206a)은 단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즉 높이를 일치시켜서 형성되어 있고, 장착면(207a)은 이들 보다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면(207a)과 지지면(206a)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장착면(207a)(207b)과 지지 면(206a)(206b)에 의하여 평탄면이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중간 장착면(205a)(205b)이 지지면(206a)(206b)보다 한 단계 낮게 되도록, 중간 장착면(205a)(205b)과 지지면(206a)(206b)을 계단 모양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좌우 장착면(207a)에는, 각각 뒤쪽 에어 셀(208a)이 장착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208a)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208a)은, 그의 주요면 부분이 장착면(207a)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 즉 지지면(206a) 쪽을 향하게 하고,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한 형태로 장착면(207a)상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208a)의 전방에는 받침판(209a)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판(209a)은, 뒤쪽 에어 셀(208a)의 주면 부분 보다 약간 큰 면적의 대략 사각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208a)의 전체를 덮어 감추도록, 뒤쪽 에어 셀(208a)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해당 받침판(209a)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동일한 형태로 힌지(201a)에 의하여 장착면(207a)에 장착되어 있다. 그의 상세한 사항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의 장착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마찬가지로, 받침판(209b)은, 금속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받침판(209a)의 전면에는, 1개의 앞쪽 에어 셀(211a)이 장착되어 있다. 해당 앞쪽 에어 셀(211a)은, 그의 주면 부분이 받침판(209a)의 주면 외측 절반과 대략 동일한 면적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으로,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으로 각각 향하여,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앞쪽 에어 셀(137)과 동일한 형태로 받침판(209a)의 전면의 대략 외측 절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뒤쪽 에어 셀(208a), 받침판(209a) 및 앞쪽 에어 셀(211)에 의하여 시료부(202a)가 구성된다.
한편, 중간 장착면(205a)에는, 한 쌍의 중간 에어 셀(212a)이 좌우로 나란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중간 에어 셀(212a)은, 뒤쪽 에어 셀(208a) 및 앞쪽 에어 셀(211a)과 동일한 형태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각 중간 에어 셀(212a)은,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며, 또한 아래를 향해 감에 따라서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ハ-자 모양으로 중간 장착면(205a)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에어 셀(212a)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의 지지면(133)에의 장착 구조와 마찬가지로, 전개 규제부가 중간 장착면에 고착되어, 중간 장착면(167)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중간 에어 셀(212a)에 의하여, 중간 시료부(203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중간 에어 셀(212a)(212b)을 서로 경사시켜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 에어 셀(212a)(212b)을 서로 평행하고 나란하게 중간 장착면(205a)(205b)에 장착한 구성이어도 좋다.
하측 유닛(199b)은, 하측 지지부(201b)와, 해당 하측 지지부(201b)의 장착면(207b)에 장착된 뒤쪽 에어 셀(208b), 받침판(209b) 및 앞쪽 에어 셀(211b)로 이루어지는 시료부(202b)와, 하측 지지부(201b)의 중간 장착면(205b)(도 30중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사다리꼴 부분)에 장착되고, 2개의 중간 에어 셀(212b)로 이루어지는 중간 시료부(203b)를 주요 요소로 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중간 에어 셀(212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유닛(199a)과 하측 유닛(199b)을 근접시킬 때에, 상측 유닛(199a) 각각의 중간 에어 셀(212a)과 직선적으로 늘어서도록, 중간 에어 셀(212a)보다도 각각의 중간 에어 셀(212b)끼리 크게 이격된 상태로 ハ-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중간 에어 셀(212b)의 종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중간 에어 셀(212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측 유닛(199b)의 그 밖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상측 유닛(199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상측 유닛(199a) 및 하측 유닛(199b)은,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기구(200)에 장착되어 있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0∼도 53은, 신축 기구(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0 및 도 51은, 최대한 수축시킨 상태의 신축 기구(200)를 앞쪽 및 뒤쪽에서 경사져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이고, 도 52 및 도 53은, 최대한 신장시킨 상태의 신축 기구(200)를 앞쪽 및 뒤쪽에서 경사져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50 및 도 5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축 기구(200)는, 상부 부재(213)와, 중간 부재(214)와, 하부 부재(215)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213)는, 2개의 평행한 세로 각파이프(216)를 가지고 있고, 해당 각파이프(216)의 상단 부분이 서로 연결부재(217)에 의하여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강도 확보를 위하여, 봉형의 강도(强度)부재(218)가 2개의 각파이프(216)의 중간 부분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217)는 그의 중간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이 돌출부(217a)에 신축 아암(219)의 일단의 관절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어 있다. 신축 아암(219)은 3개의 마름모꼴이 연속한 팬터그래프(pantograph) 기구이다.
또한, 각각의 각파이프(216)의 중간 부분의 앞쪽에는, 장착부재(216a)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부재(216a)는 전방을 향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평면 부분에 전술한 상측 유닛(199a)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도 49 참조).
또한, 각각의 각파이프(216)의 상단부 외측에는, 전술한 피벗축(204)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부재(213)는 시트부(10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벗축(204)은, 시트부(102)에 피벗 지지되어 있고, 직동식 액추에이터(143)의 선단이 신축 기구(200)의 뒤쪽에 설치된 피벗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피벗 결합되어 있고, 조작부(147)에 대하여 피시료자가 소정의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레그 레스트(198)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중간 부재(214)는, 평행한 세로의 각봉 형상을 이루는 2개의 슬라이드 봉(220)과, 양쪽 슬라이드 봉(220)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연결봉(221)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봉(220)은, 각각 각파이프(216)에 삽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슬라이드 봉(220)이 일체적으로 각각의 각파이프(216)에 진입 및 퇴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봉(221)의 횡방향 중앙에는, 세로 너트(222)의 하단이 장착되어 있고, 해당 너트(222)에 나사봉(223)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너트(22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나사봉(223)의 상부가 돌출되어 있다.
나사봉(223)은, 연결 부재(217)의 돌출 부분(217a)의 안쪽 즉, 오목형으로 들어간 부분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217)의 나사봉(223)의 장착 개소 측방에는, 모터(224)가 장착되어 있고, 해당 모터(224)와 나사봉(223)이, 벨트 및 풀리에 의해 구성된 회전 전달 기구(224a)로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224)의 출력축의 회전 운동이 나사봉(223)에 전달되고, 나사봉(223)을 너트(222)에 진입 및 퇴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너트(222)는 그의 외관이 각봉(角棒)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서 신축 아암(219)의 중간의 2개의 링크가 교차한 관절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224)를 구동시킴에 따라 중간 부재(214)가 하강 또는 상승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신축 아암(219)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각각의 각파이프(216)의 대향면 즉, 내측면의 하단으로부터 중앙 부분에 걸쳐서, 상하로 긴 절결홈(21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봉(220)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는, 연결판(220a)이 내측으로 즉, 타방의 슬라이드 봉 (220)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판(220a)에 슬라이드 봉(220)과 평행한 환공을 가지는 가이드(225)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판(220a)은 절결홈(216b)을 관통하여 각파이프(216)의 내외에 걸쳐져 있고, 이것에 의해, 연결판(220a)과 각파이프(216)가 간섭하지 않고, 슬라이드 봉(220)을 각파이프(216)에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슬라이드 봉(220)을 각파이프(216)로부터 퇴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 봉(220), 연결판(220a) 및 가이드(225)는 승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부재(215)는, 2개의 슬라이드 봉(226)과, 2개의 장착 부재(227)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봉(226)은, 가이드(225)에 설치된 환공보다도 약간 직경이 작은 환봉 모양을 이루고 있고, 가이드(225)의 환공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봉(226)의 하단은, 가로 연결부재(22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슬라이드 봉(226)의 하단 부분에는, 각각 장착 부재(227)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부재(227)는, 전방을 향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평면 부분에 전술한 하측 유닛(199b)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도 49 참조).
각각의 장착 부재(227)의 상단은, 가로 연결판(227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판(227a)에는, 신축 아암(219)의 하단의 관절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24)의 구동에 의하여 중간 부재(214)가 상부 부재(213)에 대하여 이격 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신축 아암(219)이 신장 또는 수축할 때에, 하부 부재(215)도 중간 부재(214)에 대하여 이격 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며, 신축 기구(200)가 전체로서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레그 레스트(198)는 피벗축(204)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측 유닛(199a)과 하측 유닛(199b)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켜서, 레그 레스트(198) 자체를 신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레그 레스트(198)를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체격에 상관없이, 상측 유닛(199a)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하측 유닛(199b)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에어 셀(212a, 212b)이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그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지지부(16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에어 셀(212a, 212b)이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향의 일부 밖에는 중간 에어 셀(212a, 212b)에 접촉하지 못한다고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측 유닛(199a) 및 하측 유닛(199b)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4∼9실시예중 어떠한 레그 레스트를 상하로 2분할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208a)(208b), 받침판(209a)(209b) 및 앞쪽 에어 셀(211a)(211b))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208a)(208b)과 앞쪽 에어 셀(211a)(211b)을 받침판(209a)(209b)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209a)(209b)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208a)(208b)과 앞쪽 에어 셀(211a)(211b)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예 11)
도 5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시지기(101)의 레그 레스트(104)를,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레그 레스트(304)로 교체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그 레스트(304)는, 그의 전면의 폭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 세로의 지지돌기(3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전면의 해당 지지돌기(331)의 양측 부분에서 피시료자의 장딴지 부분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그 레스트(304)에는 복수개의 에어 셀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에어 셀이 시트부(102) 또는 등받이부(103)에 내장된 펌프 및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배기 장치(109)에 에어 호스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해당 급배기 장치(109)로부터의 급배기에 따라서 에어 셀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 해당 에어 셀이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대해 압박 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다.
레그 레스트(30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히 내용중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레그 레스트(304)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304)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6 및 도 57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55∼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04)는, 지지부(332)와, 시료부(333)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332)는 세로로 설치된 평판의 전면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 세로의 지지돌기(331)가 돌출 형성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의 상단변이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어 있다(도 54 참조).
도 55∼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332)의 지지돌기(331)의 좌우 양측은,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334)으로 되어 있고, 또한 양쪽 지지면(334)의 외측은, 뒤쪽 에어 셀(336), 받침판(337) 및 앞쪽 에어 셀(338)을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된 시료부(333)를 장착하는 장착면(335)으로 되어 있다. 또한, 뒤쪽 에어 셀(336) 및 앞쪽 에어 셀(338)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동일한 구성이고, 받침판(337)의 구성 및 그의 회동 구조는,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받침판(136)의 구성 및 회동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면(334) 및 장착면(335)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장착면(335)은 지지면(334)보다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면(335)과 지지면(334) 사이는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서는, 장착면(335)이 지지면(334)보다 한 단계 낮아지도록, 지지면(334) 및 장착면(335)이 계단 모양으로 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면(334) 및 장착면(335)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지지돌기(331)는, 우레탄 폼, 스펀지, 발포 스티롤, 저반발(低反撥) 우레탄 또는 칩(chip) 우레탄제로서, 지지부(332)의 전면 중앙부에 상하 방향 전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면(334)보다도 약간 전방으로 돌출 되어 있다. 그 돌출량은,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인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두께에 비하여 충분히 작게 이루어지고, 피시료자가 레그 레스트(304)에 종아리를 올려놓은 때에, 양측 종아리의 후방 안쪽 부분 즉, 장딴지의 안쪽 부분에만 지지돌기(331)의 양측단 부분이 각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가 가지고 있던 중간벽 또는 측벽 등에 비하여 해당 지지돌기(331)의 높이는 충분히 낮고, 그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피시료자가 종아리를 교차시킨 것과 같은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는, 지지면(334)으로부터 종아리를 약간 들어서 종아리를 교차시키는 것만으로, 피시료자는 용이하게 소망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331)는,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해당 레그 레스트(304)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피시료자의 종아리가 지지면(334)만으로 지지되어도 좋고, 지지면(334)에 의하여 장딴지의 일부가 지지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지지돌기(331)에 의하여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지지돌기(331)는, 우레탄 폼, 스펀지, 발포 스티롤, 저반발 우레탄 또 는 칩 우레탄제라고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재료 이외의 재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의자형 마사지기(30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5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336) 및 앞쪽 에어 셀(338)을 각각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시료부(333)의 앞쪽 부분이, 그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만 돌출 부분이 형성된 대략 평탄면을 형성하므로, 레그 레스트(304)가 외관상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어,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전체가 심플한 미관을 띠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의 의자형 마사지기(301)에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는, 레그 레스트(304)의 전면이 그의 폭방향 중앙 부분을 제외하고 대략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레그 레스트(304)의 전방 및 측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피시료자가 레그 레스트(304)에 종아리를 올려놓기 쉽다. 또한, 피시료자가 지지부(332)에 종아리를 올려놓은 때에 장딴지 안쪽을 지지돌기(33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장딴지를 지지면(334)상의 시료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종아리 부분의 마사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의자형 마사지기(301)를 단순히 안락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피시료자가 다리를 꼰 것과 같은 자세를 취할 때에도, 종래의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에 형성되어 있던 중간벽 등에 비하여 지지돌기(331) 의 높이가 충분히 낮은 것에 의해, 해당 지지돌기(331)가 방해 되는 일이 없이, 피시료자가 자유로운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31)가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돌기(331)에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일치시키기 쉽고,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향의 일부 밖에는 지지돌기(331)에 접촉하지 않는다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31)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돌기를 상하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12)
도 58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가 가지는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9 및 도 60은 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1은 도 60에 나타낸 레그 레스트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8∼도 6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51)의 시료부(352)는, 각 앞쪽 에어 셀(338)의 앞쪽에 2개의 지압 헤드(시료자)(353)가 각각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 에어 셀(338)의 전면에, 주면(主面)이 이것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누름판(354)이 고착되어 있고, 그 누름판(354)의 전면에, 2개의 지압 헤드(353)가 상하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336) 및 앞쪽 에어 셀(338)이 팽창한 때에는, 지압 헤드(353)가 피시료자의 정강이 바깥 부분을 압박하 게 되어, 마치 마사지사에 의하여 해당 부분이 지압되고 있는 것과 같은 자극을 피시료자에 줄 수 있다.
또한, 지압 헤드(35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이어도 좋고 합성수지이어도 좋으나,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각종 우레탄 폼, 그 외에 발포재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에게 주는 자극이 너무 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압 헤드(353)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반구형인 경우와 같이, 날카롭고 뾰족한 부분이 없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336), 받침판(337) 및 앞쪽 에어 셀(338)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336)과 앞쪽 에어 셀(338)을 받침판(337)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337)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336)과 앞쪽 에어 셀(338)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1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돌기(331)의 개수, 크기도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돌기를 상하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13)
도 62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3 및 도 64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62∼도 6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61)의 시료부(362)가 가지는 받침판(363)은, 그의 폭방향 외측 단부가 소정 각도로 전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서 반전된 '∧'자 모양을 가지고 있다. 해당 받침판(363)에는, 그의 굴곡 부분 보다 바깥 부분에 앞쪽 에어 셀(33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6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 에어 셀(336)은 받침판(363)의 기초 단부가 지지면(334)에 대하여 수직을 이룰 때까지 팽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뒤쪽 에어 셀(336)이 팽창한 때에는, 지지면(334)의 전방이 받침판(363)의 외측 단부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363)은, 굴곡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으나, 금속 또는 상온 부근에서 고강도 및 고강성을 나타내는 플라스틱 등의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받침판이 평판 모양인 경우에 비하여, 뒤쪽 에어 셀(336)이 팽창한 때에 앞쪽 에어 셀(338)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더 한층 가깝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앞쪽 에어 셀(338)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정강이의 바깥 부분을 포함하는 종아리의 앞쪽 부분이 거의 후방으로 압박되어, 해당 정강이의 바깥 부분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앞쪽 에어 셀(338)을 보다 소형의 것으로 한 경우에도, 마사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363)을 1개소에서 전방으로 굴곡시킨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받침판의 전체를 원호 모양으로 전방으로 만곡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336), 받침판(363) 및 앞쪽 에어 셀(338)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받침판(363)의 전방에 2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것을 배치하여도 좋고, 받침판(363)의 후방에 2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것을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1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돌기(331)의 개수, 크기도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돌기를 상하로 나란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14)
도 65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371)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6은 그의 측면도이다. 도 65 및 도 66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71)는, 피시료자의 종아리, 즉 무릎으로부터 발목까지의 부분을 시료하는 종아리 시료 유닛(372)과, 피시료자의 발, 즉 발목으로부터 발끝 부분을 시료하는 발 시료 유닛(373)을 가지고 있다. 종아리 시료 유닛(372)은, 좌우 양측의 시료부(374)가, 제11실시예에 도시된 시료부(333)의 뒤쪽 에어 셀(336) 및 받침판(337)을 상하로 2분할하여, 각각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성의 뒤쪽 에어 셀(336) 및 받침판(337)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레그 레스트(30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시료부(37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장착면(335)에는, 각각 2개의 뒤쪽 에어 셀(375)이 상하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375)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375)은, 그의 주면 부분이 장착면(335)의 위쪽 절반(또는 아래쪽 절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 즉 지지면(334)쪽을 향하고,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을 향한 상태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한 형태로 장착면(335)상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375)의 전방에는 받침판(376)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판(376)은, 뒤쪽 에어 셀(375)의 주면 부분 보다 약간 큰 면적의 대략 사각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375)의 전체를 덮어 감추도록, 뒤쪽 에어 셀(37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해당 받침판(376)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동일한 형태로 힌지(377)에 의하여 장착면(335)에 장착되어 있다. 그의 상세한 사항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의 장착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받침판(376)의 전면의 외측 절반 부분에는, 1개의 앞쪽 에어 셀(338)이 제4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마찬가지로, 받침판(376)은, 금속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뒤쪽 에어 셀(375), 받침판(376) 및 앞쪽 에어 셀(338)에 의하여 시료부(374)가 구성된다.
발 시료 유닛(373)은, 대략 평판 모양을 이루는 발바닥 지지부(378)와 에어 셀(379∼382) 및 바이브레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발바닥 시료부(383)를 가지고 있다. 에어 셀(379∼382)은, 뒤쪽 에어 셀(336) 및 앞쪽 에어 셀(338)과 마찬가지로, 대략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바닥 지지부(378)는, 폭방향 중앙 부분이 에어 셀(379) 및 바이브레이터를 장착하는 중간 장착면(384)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발바닥 지지부(378)의 중간 장착면(384)의 좌우 외측 부분에는 피시료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38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바닥 지지부(378)의 상면의 외측 단부인 지지면(385)의 좌우 양쪽 외측 부분에는, 에어 셀(380,381)을 장착하는 장착면(386)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장착면(384), 지지면(385) 및 장착면(386)은 각각 서로 평행하고, 중간 장착면(384)은 지지면(385)보다도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고, 장착면(386)은 이것 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장착면(384)과 지지면(385)의 사 이 및 장착면(386)과 지지면(385)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면(385) 및 중간 장착면(384)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지지면(385) 및 장착면(386)이 평탄면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중간 장착면(384)의 앞쪽 절반 부분에는, 한 쌍의 에어 셀(379)이 좌우로 나란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에어 셀(379)은,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중간 장착면(38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장착면(384) 중 2개의 에어 셀(379) 각각의 후방 부분에는, 전술한 바이브레이터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바이브레이터는,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인 피시료자가 발 시료 유닛(373)에 발을 얹어 놓은 때에, 정확히 발바닥 장심(掌心)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면(386)의 앞쪽 절반 부분인, 정확히 에어 셀(379)의 측방의 위치에는 에어 셀(38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 셀(380)은, 장착면(386)의 앞쪽 절반 부분보다도 약간 작은 주면(主面) 치수를 가지고 있고,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에어 셀(380)의 상면에는, 이것과 대략 동일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받침판(387)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받침판(387)의 상면에는 에어 셀(382)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셀(380, 382) 및 받침판(387)의 배치 및 구성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받침판(136) 및 앞쪽 에어 셀(137)의 배치 및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면(386)의 뒤쪽 절반 부분인, 정확히 바이브레이터의 측방의 위치에는 에어 셀(381)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셀(381)은, 에어 셀(380)에 비하여 약간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고, 에어 셀(380)과 마찬가지로,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있다.
도 67은, 각 에어 셀(379∼382)을 팽창시킨 때의 레그 레스트(371)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8은 그의 측면도이다. 표준적인 체격의 성인인 피시료자의 발바닥을 발 시료 유닛(373)에 올려놓은 때에는, 지지면(385)에 발바닥의 일부가, 에어 셀(379) 및 바이브레이터 위에 나머지의 일부가 각각 올려지고, 이 상태에서 에어 셀(380,382)을 팽창시킨 때에는, 도 67 및 도 6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셀(382))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등이 위로부터 압박된다. 이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발등 부분을 마사지할 수 있고, 또한 피시료자의 발을 위로부터 눌러서 다른 에어 셀(379,381) 또는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할 때에도, 피시료자의 발이 그의 압박 또는 진동에 의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셀(379)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끝의 이면 부분으로부터 내측 부분에 걸쳐 압박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셀(381)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복사뼈 부분을 압박할 수 있고,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바닥 장심 부분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 셀(379∼382)을 각각 독립하여 또는 동조시켜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고, 또한 이것들과 독립하여 또는 동조시켜서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에게 기분 좋은 자극을 주도록 피시료자의 발을 마사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아리 시료 유닛(372)과 발 시료 유닛(373)은, 도 65∼도 68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88)에 의하여 연결되어 레그 레스트(371)가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프레임(388)에 신축 기구를 설치하고, 종아리 시료 유닛(372)과 발 시료 유닛(373)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임(388) 등에 의하여 종아리 시료 유닛(372)과 발 시료 유닛(373)을 연결하지 않고, 종아리 시료 유닛(372)만 시트부(102)에 피벗 결합하고, 발 시료 유닛(373)을 독립시켜서, 발 시료 유닛(373)을 사용할 때에 종아리 시료 유닛(372)의 아래쪽의 마루면에 발 시료 유닛(373)을 얹어 놓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종아리 시료 유닛(372)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1∼13실시예중 어떠한 레그 레스트와 동일한 형태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발 시료 유닛(373)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 셀(380,382) 및 받침판(387) 없이 구성하여도, 및/또는 에어 셀(379,381) 및 바이브레이터 중 한 쌍은 복수개가 아닌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다른 에어 셀 또는 바이브레이터를 상술한 에어 셀(379∼382) 및 바이브레이터와 별개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에어 셀(379∼382) 및 바이브레이터 중 한 쌍은 복수개를 상기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375), 받침판(376) 및 앞쪽 에어 셀(338)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375)과 앞쪽 에어 셀(338)을 받침판(376)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376)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375)과 앞쪽 에어 셀(338)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예 15)
도 6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레그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특히 내용 중에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91)를 시트면(102b)의 전단으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펼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391)는, 상측 유닛(392), 하측 유닛(393) 및 신축 기구(이격 거리 변화 수단)(200)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 유닛(392)은 상측 지지부(395), 시료부(396) 및 지지돌기(397)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하측 유닛(393)은 하측 지지부(398), 시료부(399) 및 지지돌기(400)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395) 및 하측 지지부(398)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측 유닛(392)은, 시트부(102)의 시트면(102b)의 전방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의 아래쪽에 하측 유닛(393)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유닛(392) 및 하측 유닛(393)은, 시트부(102)의 상부 앞쪽에 피벗축(204)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신축 기구(200)의 앞쪽에 각각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즉, 제14실시예에서 설명한 종아리 시료 유닛(372)을 상하로 2분할한 것과 같이, 상측 유닛(392) 및 하측 유닛(393)이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상측 유닛(392)은 거의 평판 모양을 이루는 상측 지지부(395)를 가지고 있다. 상측 지지부(395)는, 그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서 지지돌기(397)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395)의 지지돌기(397)의 좌우 양측은,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402)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양쪽 지지면(402)의 외측은 시료부(396)를 장착하는 장착면(4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면(402) 및 장착면(403)은 서로 평행하고, 장착면(403)은 지지면(206a)보다 한 단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면(403)과 지지면(402)의 사이는 각각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착면(403)(405)과 지지면(402)(404)에 의하여 평탄면이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좌우 장착면(403)에는, 각각 뒤쪽 에어 셀(406)이 장착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406)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뒤쪽 에어 셀(135) 및 앞쪽 에어 셀(137)과 마찬가지로, 거의 편평한 상태에서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 에어 셀(406)은, 그의 주면 부분이 장착면(403)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 고, 그의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 즉, 지지면(402)측을 향하고, 그의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을 향한 상태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뒤쪽 에어 셀(135)과 동일한 형태로 장착면(403)상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뒤쪽 에어 셀(406)의 전방에는 받침판(407)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판(407)은, 뒤쪽 에어 셀(406)의 주면 부분 보다 약간 큰 면적의 대략 사각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뒤쪽 에어 셀(406)의 전체를 덮어 감추도록, 뒤쪽 에어 셀(406)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해당 받침판(407)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동일한 형태로 힌지(408)에 의하여 장착면(403)에 장착되어 있다. 그의 상세한 사항은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의 장착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4실시예의 받침판(136)과 마찬가지로, 받침판(407) 및 후술하는 받침판(411)은, 금속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받침판(407)의 전면에는, 1개의 앞쪽 에어 셀(409)이 장착되어 있다. 해당 앞쪽 에어 셀(409)은, 그의 주면 부분이 받침판(407)의 주면의 외측 절반과 대략 동일한 면적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개 불가능한 단부를 내측으로, 전개 가능한 단부를 외측으로 각각 향하여,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앞쪽 에어 셀(137)과 동일한 형태로 받침판(407)의 전면의 대략 외측 절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뒤쪽 에어 셀(406), 받침판(407) 및 앞쪽 에어 셀(409)에 의하여 시료부(396)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돌기(397)는,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양 측단의 테두리가 'ハ'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돌기(397)가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면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볼 때 장방형을 이루도록, 양 측단의 테두리가 평행하게 형성된 구성이어도 좋다.
하측 유닛(393)은, 하측 지지부(398)와, 해당 하측 지지부(398)의 장착면(405)에 장착된 뒤쪽 에어 셀(410), 받침판(411) 및 앞쪽 에어 셀(412)로 이루어지는 시료부(399)를 주요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측 지지부(398)의 폭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는,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한 지지돌기(40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돌기(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유닛(392)과 하측 유닛(393)을 접근시킨 때에, 그의 측단의 테두리가 상측 유닛(392)의 지지돌기(397)의 측단의 테두리와 직선적으로 나란하도록, 지지돌기(397)보다 폭이 크게 되어 'ハ'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돌기(400)의 측단 테두리의 종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지지돌기(397)의 측단 테두리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지지부(398)의 지지돌기(400)의 좌우 양측은, 피시료자의 좌우 장딴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면(40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하측 유닛(393)의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상측 유닛(39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상측 유닛(392) 및 하측 유닛(393)은,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신축 기구(200)에 장착되어 있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신축 기구(200)의 구성 및 작용 효 과는,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레그 레스트(391)는 피벗축(204)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측 유닛(392)과 하측 유닛(393)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켜서, 레그 레스트(391) 자체를 신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레그 레스트(391)를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체격에 상관없이, 상측 유닛(392)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하측 유닛(393)을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97, 400)가 아래를 향해 갈수록 그의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돌기(397, 400)가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게 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의 길이 방향의 일부밖에는 지지돌기(397, 400)에 접촉하지 않는다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30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측 유닛(392) 및 하측 유닛(393)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1∼14실시예 중 어떠한 레그 레스트를 상하로 2분할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뒤쪽 에어 셀(406)(410), 받침판(407)(411) 및 앞쪽 에어 셀(409)(412)의 개수, 크기는 본 발명 의 제15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개수, 크기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뒤쪽 에어 셀(406)(410)과 앞쪽 에어 셀(409)(412)을 받침판(407)(411)을 개재하여 겹친 구성으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개의 공기 주머니만 있어도 좋고, 받침판(407)(411)을 개재하지 않고 뒤쪽 에어 셀(406)(410)과 앞쪽 에어 셀(409)(412)을 겹친 구성이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3개 이상의 공기 주머니를 겹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예 16)
도 7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마사지용 커버(501)가 장착된 마사지기의 사시도이다. 이 마사지기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502)와, 사용자의 등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503)와, 양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레그 레스트(504)와, 좌우 양측의 팔걸이부(510)를 가지는 의자 본체(505)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로 되어 있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에는, 커버(50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커버(501)는, 등받이부(503)를 덮는 등받이 커버(506)와, 이 등받이 커버(506)와는 분리 가능한 별도의 커버인 시트부(502)와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하부 커버(507)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트부(502)와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커버를 일체로 하지 않고, 레그 레스트(504)만을 덮는 부분을 분리한 레그 레스트용 커버로 구성하여도 좋다.
커버(501)의 장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등받이 커버(506)는, 등받이부(503)의 신체 안착면쪽의 전체면을 덮음과 동시에 그의 위쪽 테두리 부분 및 양측 테두리 부분이 등받이부(503)의 배면측으로 되접어 꺽여 있다. 그리고, 되접어 꺽 인 각 테두리 부분의 단부에서 파스너(fastener)에 의해 등받이부(503)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507) 중 시트부(502)를 덮는 부분은, 시트부(502)의 둘레부에서 면(面) 파스너에 의해 시트부(50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507) 중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은, 레그 레스트(504)용 커버로서 기능하고 있는 부분이나, 도 71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부(530)가 이면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되접어 꺽이게 되고, 또한 상기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부(530)의 상하측 테두리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중앙 절첩부(509)의 표측(表側) 부분의 상하측 테두리부가 서로 봉합에 의해 닫혀져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절첩부(509)의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 부분에는 각각 포켓(pocket) 모양의 주머니부(532)가 형성되어 있다(도 71 참조). 상기 좌우의 주머니부(532)는, 각각 중앙 절첩부(509)의 이면측에서 좌우 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로부터, 후술하는 세움판(513), 상측 에어 셀(515), 받침판(522) 및 지압자(523)가 주머니부(532) 안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세움판(51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세워진 상태로 할 수가 있으나, 상기 삽입은, 세움판(513)이 세워진 상태에서 행한다. 이러한 삽입후에 세움판(513)을 좌우방향 외측으로 쓰러뜨려 퇴행시키면, 도 7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부(530)가 하측 에어 셀(514)과 세움판(513)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커버(507) 중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은, 레그 레스트(504)와의 사이에 파스너나 면 파스너 등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레그 레스트(50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머니부(532)가 상기 세움판(513) 등 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레그 레스트(504)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레그 레스트용 커버의 구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501)는, 등받이 커버(506)와 하부 커버(507) 모두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좌우 양측의 팔걸이부(510)의 전방 부분에는, 손바닥 등의 손 부분을 관통시킬 수 있는 아치형의 손 수용부(510a)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손 수용부(510a)의 내면에는 에어 셀(도시 생략) 등의 시료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손 부분의 마사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 본체(505)의 레그 레스트(504)는, 의자 본체(505)에 착석한 사용자의 좌우 양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518)과, 이 지지면(518) 안에서 양 다리 쪽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 79는, 이러한 출퇴 기구(508)에 있어서 에어 셀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의(퇴행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80은 전체의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의(돌출시에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8은 출퇴 기구(508)의 정면도이다.
도 79 및 도 8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퇴 기구(508)는, 해당 출퇴 기구(508)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에어 셀(511)과, 좌우 방향 양쪽 둘레부에 위치하는 좌우 에어 셀(512)을 가진다. 좌우 에어 셀(512)은, 세움판(513)의 하측(이면측)에 배치된 하측 에어 셀(514)과, 세움판(513)의 상측(표면측)에 배치된 상측 에어 셀(5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리 마사지를 받을 때에 는, 이러한 중앙 에어 셀(511)과 좌우 에어 셀(512)의 사이에 좌우의 다리가 얹혀진다. 도 79 및 도 80에서는, 이 때에 얹혀진 좌우의 다리(517)의 단면 윤곽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8∼도 8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움판(513)의 좌우 방향 내측에는 경첩(520)이 장착되어 있고, 기초체(516)와 세움판(513)이 이러한 경첩(52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경첩(520)에 의해, 세움판(513)은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첩(520)에는 코일 스프링(521)이 장착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521)에 의해 세움판(513)은 좌우 방향 바깥쪽을 향해 탄성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에어 셀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세움판(513)은 도 79와 같이 퇴행한 상태가 된다.
세움판(513)의 상측(표면측)에는, 경첩(520)에 의해 받침판(522)이 장착되어 있고, 해당 경첩(520)은 받침판(522)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판(522)은,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넘어져 들어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첩(520)에는 코일 스프링(52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521)에 의해, 세움판(513)은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탄성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에어 셀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세움판(513)은 도 79와 같이 퇴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도 79의 퇴행 상태에 있어서는, 출퇴 기구(508)의 전체가 대략 평탄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양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518)은, 출퇴기구(508)는 그의 퇴행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보아서 거의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에어 셀(511, 514, 515)은, 도 8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두 단 면이 대략 부채 모양을 이루어, 해당 부채가 펼쳐지도록 하여 팽창한다.
중앙 에어 셀(511)은, 도 78의 정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좌우 대칭으로 1개씩 모두 2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8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에어 셀(511)은 좌우로도 그의 단면의 부채꼴의 중심이 좌우 방향의 바깥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에어 셀(511)이 팽창하면, 해당 좌우의 중앙 에어 셀(511)은 각각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가 된다.
한편, 좌우의 하측 에어 셀(514)은, 기초체(516)의 좌우 테두리부와 세움판(5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도 8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의 단면의 부채꼴 중심이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에어 셀(514)이 팽창하면, 해당하는 좌우의 하측 에어 셀(514)이 각각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세움판(513)을 이면측으로부터 누른다. 이것에 의해 세움판(513)이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세워진다. 여기서 또한 상측 에어 셀(515)이 팽창하면, 상기 상측 에어 셀(515)이 받침판(522)을 이면측으로부터 눌러서 받침판(522)이 좌우 방향 안쪽으로 쓰러진다. 받침판(522)의 표면측에는 대략 반구형으로 돌출된 지압자(5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압자(523)와 상기 중앙 에어 셀(511)에 끼워져서 좌우의 다리가 마사지된다. 상측 에어 셀(515)의 상기 부채꼴 중심은 받침판(522)을 장착하는 경첩(520)의 측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상측 에어 셀(515)이 단면이 대략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받침판(522)을 누를 수 있다.
또한, 도 7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 에어 셀(515)은, 상하 방향으로 2분 할 되어, 장딴지용 에어 셀(515a)과 발목용 에어 셀(515b)로 이루어지고, 각각 독립하여 출퇴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8의 정면도에서는, 받침판(522)나 지압자(523) 등의 기재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의자 본체(505)의 레그 레스트(504)에는 출퇴 기구(508)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출퇴기구(508)를 덮는 것이 커버(501) 중 하부 커버(507)이다. 상기 하부 커버(507)가 출퇴 기구(508)를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 71에 나타낸다. 상기 도 7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커버(507)는, 그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중앙 에어 셀(511)의 돌출(팽창)에 대응하여 전개 가능한 절첩부로서의 중앙 절첩부(509)를 가진다.
출퇴기구(508)가 퇴행한 상태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를 이루는 중앙 절첩부(509)의 확대 단면도가 도 72a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는, 하부 커버(507)의 표면 부분을 구성하는 제1표면부(509a) 및 제2표면부(509b)와, 상기 제1표면부(509a)의 이면측에 배치된 제1중복부(509c)와, 아울러 상기 제1중복부(509c)의 이면측에 배치된 제2중복부(509d)로 이루어진다. 제1표면부(509a)의 좌우 방향 내측단(t1)과, 제2표면부(509b)의 좌우 방향 내측단(t2)은, 슬릿(간극)(S)을 개재하여 맞대어진 상태로 이루어진다. 슬릿(S)은, 도 7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양측 다리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절첩부(509)가 절첩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는, 제1표면부(509a) 및 제2표면부(509b)로 가려져,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다(다만, 슬릿(S)으로부터 제2중복부(509d)의 극히 일부가 보인다).
또한, 미관의 관점에서는, 슬릿(S)은 가급적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커버(507)의 치수 설계상은 슬릿(S)을 거의 제로(zero)로 하여 두는 것이 좋다.
중앙 에어 셀(511)이 팽창하여 돌출하면, 중앙 절첩부(509)는, 커버 표면의 면적이 커지도록 좌우 방향을 향하여 전개한다. 도 73a, 도 73b는, 이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7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미소한 간격의 슬릿(S)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가 외측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중앙 에어 셀(511)이 팽창하여 돌출하면,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하고,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가 커버 표면쪽으로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커버(507) 중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은, 커버 표면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늘어난다.
이와 같이,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가 늘어나므로, 커버의 소재로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합성 피혁이나 천연 가죽 등의 피혁 등의 비신축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절첩부가 전개하는 것에 의해 커버가 늘어나기 때문에, 해당 신축성 소재 자체의 신축은 적어진다. 따라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도 내구성이 향상되고, 미관이 유지된다. 아울러, 신축성 소재는 일반적으로 합성 피혁 등의 비신축성 소재 보다 코스트가 높으므로, 비신축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저 코스트화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코스트의 관점에서는, 커버 소재로서는 합성 피혁이 가장 적합하다.
도 72a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를 구성하는 제1표면부(509a), 제2표면부(509b), 제1중복부(509c), 제2중복부(509d)의 4개의 커버 부재는, 중앙 절첩부(509) 안에서는 각각 서로 절단되어 있고, 이들 절단된 각 커버부의 단부끼리가 적절한 봉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속한 하부 커버(507)를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중복부(509c)의 일단의 측단(t3) 근방과 제1표면부(509a)의 좌우 방향 내측단(t1) 근방이 봉합되어 제1접힘부(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중복부(509c)의 타단의 측단(t4) 근방과 제2중복부(509d)의 일단의 측단(t5) 근방이 봉합되어 제2접힘부(c2)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중복부(509d)의 타단의 측단(t6) 근방과 제2표면부(509b)의 좌우 방향 내측단(t2) 근방이 봉합되어 이음선(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접힘부 및 이음선에있어서의 결합 방법으로서는, 봉합이 채용되어 있으나, 봉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봉합 가능한 커버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봉합 방법으로서는 결합 강도가 높고, 낮은 코스트인 봉합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접힘부(c1, c2)와 이음선(g)은 상이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도 72a의 단면에서 볼 때, 접힘부(c1, c2)는, 봉합되는 2 부재가 해당 접힘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늘어선 구성(즉, 주름 모양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데 비하여, 이음선(g)은 봉합되는 2 부재가 해당 이음선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늘어선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중복부(509c)와 제2중복부(509d)는 동일한 쪽(도 72a에서는 좌측)으로 절첩되고, 제1표면부(509a)의 이면에 제1중복부 (509c)가 배치되며, 또한 제1중복부(509c)의 이면에 제2중복부(509d)가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제1표면부(509a), 제1중복부(509c), 제2중복부(509d) 및 제2표면부(509b)는, 모두 커버 표면(h)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표면이란, 해당 중앙 절첩부(509)에서 커버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분을 말하고, 도 72a의 실시예에서는, 중앙 절첩부(509)에 있어서의 제1표면부(509a)의 외측 표면 및 제2표면부(509b)의 외측 표면이 커버 표면(h)이다.
도 72b는, 중앙 절첩부(509)의 변형례이다. 여기에서는, 도 72a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표면부(509b)와 제2중복부(509d)로 알려진 부재가 일체로 된 제2표면부(509b)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 72a의 실시예에서 존재하고 있던 이음선(g)을 형성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외측에서 보이는 접힘부 또는 이음선은 제1접힘부(c1) 1개만이 되고, 슬릿(S)이 없어진다는 외관상의 이점을 가진다.
도 72a의 실시예에서는, 제1접힘부(c1)이나 제2접힘부(c2)와 같은 접힘부를 형성하고, 이들 접힘부(c1, c2)는, 거의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에서 겹쳐진 각 커버 부재(509a, 509c, 509d)를 해당하는 접힘부(c1, c2) 근방에서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하는 중첩된 결합 상태에 의한 구속력이 생기므로, 출퇴 기구의 돌출에 의해 전개한 절첩부가, 출퇴 기구의 퇴행시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로 복원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구속력에 의한 효과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도 72a와 같이 이음선(g)을 형성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이음선(g) 근방(k)에 있어서 평행하게 중첩된 제2표면부(509b)와 제2중복부(509d)를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평행한 중첩 부분의 휨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단 전개한 후에 절첩된 상태로 복원되기 쉬워진다. 아울러, 제1접힘부(c1)와 함께 제3이음선(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표면부(509a)와 제2표면부(509b)가 슬릿(S)을 개재하여 맞대어진 상태가 되고, 이러한 제1표면부(509a)와 제2표면부(509b)가 면(面) 하나인 상태로 되기 쉬워지므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버 표면의 단차(段差)가 비교적 적어진다. 이렇게 하면, 미관이 향상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단차가 최소한으로 된다.
이음선(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디자인적인 이점도 잇다. 도 70의 사시도에 있어서, 중앙 절첩부(509)의 슬릿(S)의 양측에는, 스티치 라인(stitch line)(5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스티치 라인(525)은 좌우 방향 중앙의 라인(L2)와 함께 등받이부(503)으로부터 시트부(502)를 경유하여 중앙 절첩부(509)의 양측을 통하여 레그 레스트(504)의 최하부에 까지 이른다.
중앙 절첩부(509)의 양측의 스티치 라인(525) 중 하나는, 도 72의 이음선(g)에 있어서의 제2표면부(509b)와 제2중복부(509d)의 봉합선이다. 즉, 이러한 이음선(g)을 형성하여 그 근방에서 봉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좌우 2개의 스티치 라인(525)을 하부 커버(507)의 시트부 피복부로부터 레그 레스트 피복부의 가장 아래 부분까지 연속하여 형성시킬 수 있고,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가령, 도 72(b)와 같이 이음선(g)이 없는 경우에는, 도 72a에 있어서의 제2표면부(509b)와 제2중복부 (509d)를 봉합하는 스티치 라인이 없어지므로, 중앙 절첩부(509)에 있어서 스티치(S)를 따라서 형성되는 스티치 라인(525)은, 제1표면부(509a)와 제1중복부(509c)를 봉합하는 스티치 라인(525)중 뿐이고, 도 70과 같이 슬릿(S)의 좌우 양측에 스티치 라인(525)이 존재하는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음선(g)을 봉합하는 것에 의해 슬릿(S)의 좌우 양측에 스티치 라인(525)이 형성되고,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절첩부에 있어서의 결합을 봉합으로 하고, 이 봉합 스티치 라인(봉합선)을 다른 스티치 라인과 연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제2표면부(509b)와 제2중복부(509d)를 일체물로 하지 않고 서로 절단한 것에 의해, 제1표면부(509a)와 제2중복부(509d)가 동일 사이즈로 되고, 동일 형지(型紙)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하부 커버(507)와 레그 레스트(504)의 지지면(518)과의 사이에는, 도 71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뒷면 커버(531)가 설치되고, 하부 커버(507)와 적절하게 봉합되어 있다. 상기 이면 커버(531)는, 예를 들면 잠수복에 사용되는 소재와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이용된다. 상기 이면 커버(531)의 존재에 의해, 중앙 절첩부(509)가 절첩된 상태로 복원되기 쉬워지는 정도가 더 한층 높아진다. 또한, 출퇴 기구(508)가 직접적으로 하부 커버(507)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출퇴 기구(508)의 돌출시에 하부 커버(507)가 출퇴 기구(508)에 끌려가 걸리는 등에 의해 하부 커버(507)에 강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 커버(507)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접힘부 근방(k)에 있어서의 봉합의 봉합 위치에 대하여는, 봉합되는 두 부재의 단부 위치와 봉합 위치와의 거리(d)(도 72a 참조)를 3mm ∼ 7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거리(d)가 너무 작으면, 이러한 봉합에 의해 겹쳐져서 봉착된 부분(α)이 감소하고,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거리(d)가 너무 크면, 커버 부재의 낭비가 심해진다.
커버 부재의 재질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으나, 상기 봉합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복원이 쉽게 하기 위하여는, 소정 이상의 휨 강성을 가지는 커버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휨 강성이 너무 높으면 전개하기 어려워지므로, 예를들면 두께 0.4mm ∼ 1mm 정도, 나아가서는 0.5mm ∼ 0.75mm 정도의 피혁(합성 피혁이나 천연 피혁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절첩부(509)는, 해당 중앙 절첩부(509)의 커버 표면(h)과 대략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로 되고, 또한, 중앙 절첩부(509)의 지지면(518)은 퇴행시에 거의 평면이 되므로, 해당 절첩부의 외측으로의 돌출이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평탄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쪽 다리(517)를 올려놓기 쉬워지고, 방해를 받지 않는다. 또한 미관적으로 매우 우수한 커버가 된다.
또한, 하부 커버(507)가 덮은 출퇴 기구(508)는, 퇴행시에 평탄한 지지면(518)(도 79 참조)을 구성하고 있고, 중간 절첩부(509)는 상기 지지면(518)의 일부를 덮고 있다. 이 경우, 중앙 절첩부(509)는 대략 평탄한 지지면(518)에 평행하게 절첩되는 것에 의해, 중앙 절첩부(509)에 의하여 지지면(518)의 평탄성은 거의 손상되는 것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면(518)상에 다리(517)를 올려놓을 때에 하부 커버(507)의 중앙 절첩부(509)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레그 레스트 (504)를 마사지기로서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발 받침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평탄한 지지면(518)의 평탄성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미관적으로 우수한 커버가 된다.
도 7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 본체(505)를 덮는 커버(501)에는,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등받이 커버(506)로부터 하부 커버(507)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3개의 라인(L1, L2, L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절첩부(509)는, 이 중 좌우 방향 중앙의 중앙 라인(L2)의 하방 연장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중앙 절첩부(509)의 제1접힘부(c1)와 이음선(g)(도 72a 참조)으로 라인(L2)의 하부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7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라인(L2)의 양측에는, 해당 라인(L2)을 따른 스티치 라인(525)이 하부 커버(507)의 최하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7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의 접힘부(c1)가 형성하는 접음선의 연장선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중앙 절첩부(509)의 근방(533)에 있어서, 상기 각 커버 부재(제1표면부(509a), 제2 표면부(509b), 제1중복부(509c), 제2중복부(509d))가 서로 전개 불가능하도록 봉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절첩부(509)는, 접음선 방향 단부 위치에 있어서의 전개가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중앙 절첩부(509)는 절첩 상태로 구속되고, 중앙 에어 셀(511)의 퇴행시에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절첩부(509)의 접음선 방향 양측 근방을 전개 불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접음선 방향의 한쪽만을 전개 불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전개 불가능하게 된 중앙 절첩부(509)의 근방(533)의 위치는, 중앙 에어 셀 (511)의 배치와 연관되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7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릿(S)을 구성하는 접힘부(c1)의 접은선 방향의 길이(Lc)는, 해당 중앙 절첩부(509)의 근방에 형성된 출퇴 기구로서의 중앙 에어 셀(511)의 상기 접음선 방향의 길이(Le)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개 불가능한 근방(533)에 의해 중앙 에어 셀(511)의 돌출이 규제되는 것이 대부분 없어진다.
또한, 이 경우, 출퇴 기구인 중앙 에어 셀(511)은, 중앙 절첩부(509)의 접음선 방향 중앙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 에어 셀(511)과 전개 불가능한 부분(근방(533))과의 거리가 중앙 에어 셀의 양측에서 균등해지므로, 절첩상태에의 구속력도 균등하게 된다.
또한, 레그 레스트(504)를 사용자의 다리(517) 위치에 일치시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하부 커버(507)와 중앙 에어 셀(511)과의 상하 방향 상대 위치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 중앙 에어 셀(511)의 슬라이드 범위의 전체에 있어서 중앙 에어 셀(511)의 상하 방향 양단부 위치가 중앙 절첩부(509)의 상하 방향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상하 방향 중앙 근처)이 되도록, 상기 길이(Lc)를 상기 길이(Le)보다 길게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인(L1, L2, L3)의 3개의 라인이 있으나, 도 7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커버(507)의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에 있어서, 라인(L1, L3)의 존재 위치에 절첩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이들 라인(L1 및 L3)은 접힘부이나 이음선은 아니고, 중앙 절첩부(509)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L1 및 L3은 주로 디자인 적인 요청으로부터 설 치되는 것이다.
도 7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는, 시료되는 신체로서의 좌우 다리(517)가 올려진 위치를 피하여, 다리(517)가 올려진 위치 즉, 좌우의 다리(51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중앙 절첩부(509)가 다리(517)와 출퇴 기구(508)(마사지기)의 사이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중앙 에어 셀(511)의 돌출(팽창)시에 중앙 절첩부(509)가 원활하게 전개된다. 또한, 해당 돌출시에 다리(517)와 출퇴 기구(508)의 사이에서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하는 것에 의해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첩부는, 사용자의 상기 신체가 올려지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료되는 신체가 올려지지 않은 위치」란, 마사지기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신체를 올려놓아야 할 위치 이외의 위치이다.
또한, 중앙 절첩부(509)는 중앙 에어 셀(511) 근방에 배치되고, 나아가서는, 중앙 에어 셀(511)을 덮도록 위치되어 있다. 가령, 중앙 절첩부(509)가 중앙 에어 셀(511)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면, 중앙 에어 셀(511)의 팽창에 끌려가서, 중앙 절첩부(509)로부터 중앙 에어 셀(511) 방향을 향하여 커버가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끌려가는 부분에 다리(517)가 올려져 있는 경우에는, 해당 커버의 이동에 따라서 다리(517)가 본래의 시료 목적과 상이한 외력을 받는, 위화감을 느껴버린다. 또한, 중앙 절첩부(509)의 전개에 수반하는 커버의 이동이 크기 때문에, 해당 전개가 원활히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절 첩부(509)가 중앙 에어 셀(51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에어 셀(511)이 팽창하여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할 때의 커버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절첩부(509)가 원활하게 전개 가능하게 되고, 또한 신체와 마사지기의 사이에서 커버가 이동하는 것에 의한 사용자의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첩부는, 출퇴 기구의 돌출부 근방, 더욱 바람직하게는 출퇴 기구의 돌출부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의 전개시에 있어서 커버가 이동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첩부가 원활하게 전개 가능하게 되고, 또한 신체와 마사지기 사이에서 커버가 이동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절첩된 상태에서, 중앙 절첩부(509)의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는, 커버 표면(h)측에, 바꾸어 말하면 제1표면부(509a) 및 제2표면부(509b)의 이면측(내부)측에, 수용된다. 즉, 중앙 절첩부(509)는, 커버 표면(h)의 이면측에 수용되도록 절첩되어 있다. 따라서, 절첩된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가 커버의 이면측에 수용되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미관이 우수하다. 또한, 절첩되어 느슨해진 상태의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가 표면측(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제16실시예의 하부 커버(507)의 좌우 방향 양단 부분에는, 주름형 절첩부(5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름형 절첩부(526)는, 주로, 출퇴 기구(508)의 하측 에어 셀(514) 및 상측 에어 셀(515)이 팽창하여 세움판(513) 및 받침판(522)이 돌출할 때에 전개되어 늘어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507)는 레그 레스트(504)와의 사이에서는 특별히 고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령 주름형 절첩부(526)가 없는 경우에는, 받침판(522)의 돌출(또는 상측 에어 셀(515)의 팽창)에 하부 커버(507)가 추종할 수 없고, 하부 커버(507)가 레그 레스트(504)로부터 벗어나 버리거나, 또는 하부 커버(507)의 레그 레스트(504)에 대한 피복 위치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주름형 절첩부(526)의 존재에 의해 이러한 하부 커버(507)의 벗어남이나 어긋남이 방지된다.
상기 주름형 절첩부(526)는, 통상적인 주름 모양의 커버와 달리, 절첩된 상태로 복원이 쉽게 되어 있다. 도 74는 주름형 절첩부(526)의 확대 단면도이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주름형 절첩부(526)를 구성하는 각 커버 부재인 표면부(526a), 제1중복부(526b), 제2중복부(526c), 제3중복부(526d), 제4중복부(526e), 제5중복부(526f), 제6중복부(526g) 및 이면부(526h)는, 퇴행시에 있어서의 출퇴 기구(508)의 지지면(518)과 거의 평행하게 절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커버 부재(526a ∼ 526h)는, 접힘부(c)의 근방(k)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각 커버 부재(526a ∼ 526h)를 두께 방향으로 결합(봉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중앙 절첩부(509)와 마찬가지로, 출퇴 기구(508)의 퇴행시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지고, 미관이 향상된다.
(실시예17)
도 75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버(507)가 퇴행시의 출퇴 기구(508)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에서는, 출퇴 기구(508)의 지지면(518) 위를 해당 지지면(518)과 거의 평행하게 접혀져 형성되어 있는 절첩부로 하여, 중앙 절첩부(509) 외에 좌우 절첩부(5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6실시예에서의 주름형 절첩부(526)는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서는 중앙 절첩부(509)의 확대 단면도를 도 76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의 중앙 절첩부(509)에서는, 제1표면부(509a)와 제2표면부(509b)가 슬릿(S)을 개재하여 맞대어져 있다. 그리고, 제1표면부(509a)의 슬릿(S) 측단부와 제1중복부(509c)의 슬릿(S) 측단부가 봉합되어 제1접힘부(c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표면부(509b)의 슬릿(S) 측단부와 제3중복부(509e)의 슬릿(S) 측단부가 봉합되어 제4접힘부(c4)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중복부(509c, 509e)의 슬릿(S)측과 반대측의 단부와 제2중복부(509d)의 양단부가 각각 봉합되고, 제2접힘부(c2) 및 제3접힘부(c3)를 형성하고 있다. 제1중복부(509c) 및 제3중복부(509e)의 좌우 방향 폭은 동일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중복부(509d)의 좌우 방향 폭은 이러한 중복부(509c, 509e)의 좌우 방향 폭의 약2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커버 부재(509a∼509e)가 커버 표면(h)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좌우 절첩부(519)는, 예를들면 도 72b에 나타낸 실시예의 절첩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 75에 나타낸 실시예의 하부 커버(507)의 사시도도 도 70과 같이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L1∼L3의 3개의 라인을 가지나, 이러한 라인 중 중앙 절첩부(509)의 좌우에 위치하는 라인(L1) 및 라인(L3)은, 좌우 절첩부(519)의 제1 접힘부(c1)(도 72b 참조)로 이루어지는 슬릿이다.
이와 같이, 절첩 상태에 있어서의 절첩부의 접힘부으로부터 접음선을 커버 (501) 위에서 외관상 다른 라인의 연장선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해당 접힘부가 라인과 일체화하여 눈에 띄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디자인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반대로, 절첩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경우에, 해당 복수개의 절첩부에 의해 생기는 복수개의 접힘부으로부터 생기는 접음선의 연장선상에 커버(501) 위에서 외관상 다른 라인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접힘부으로 이루어지는 접음선 및 이들 접음선을 그의 일부로 하는 라인의 개수나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6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앙 절첩부(509)와 마찬가지로, 출퇴 기구(508)의 퇴행시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든 커버 부재(509a ∼ 509e)는 봉합부에서 절단되어 있으나, 모든 접힘부(c1∼c4)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로 겹쳐진 각 커버 부재(509a ∼ 509e)를 각 접힘부(c1 ∼ c4)의 근방(k)에서 두께 방향으로 봉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7실시예의 중앙 절첩부(509)도, 상술한 제16실시예에 따른 중앙 절첩부(509)와 마찬가지로,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또한, 절첩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느슨해지는 부분인 제1중복부(509c), 제2중복부(509d) 및 제3중복부(509e)는, 커버 표면(h)의 이면측 즉, 제1표면부(509a) 및 제2표면부(509b)의 이면측에 수용되므로, 미관이 우수하고, 또한 느슨해진 부분이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7실시예로서, 출퇴 기구(508)가 출퇴 동작을 하는 때의 해당 커버(507)의 전개 모습을 설명한다. 중앙 에어 셀(511)이 수축한 상태(퇴행 상태)에서는, 도 8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는 절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중앙 에어 셀(511)이 팽창한 상태(돌출 상태)에서는, 도 8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 절첩부(509)가 전개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중앙 에어 셀(511)의 팽창(돌출)에 대응하여 전개 가능한 하부 커버(507)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절첩부(509)의 봉제(縫製)는, 제1접힘부(c1) ∼ 제4접힘부(c4) 근방에 있어서, 거의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로 겹쳐진 커버 부재(509a ∼ 509e)가 두께 방향으로 봉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봉합의 구속력에 의해, 도 81b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중복부(509c)는, 그의 좌우 방향 양단 부분(제1접힘부(c1) 및 제2접힘부(c2) 근방)에서 대략 U-자 모양으로 만곡한 상태로 된다. 이 점에서, 제3중복부(509e)의 좌우 방향 양단 부분(제3 접힙선(c3) 및 제4 접힘부(c4) 근방)도 마찬가지로 대략 U-자 모양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러한 제1중복부(509c)나 제3중복부(509e)등의 커버 부재는 소정 값의 휨 강성을 가지고, 휘어진 경우에는 대략 평탄한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만곡한 상태와 같이, 휘어진 정도(곡률)가 클수록 평탄하게 복원하려는 힘이 커진다. 그리고, 상기 봉합에 의한 구속력에 의해, 전개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의 곡률이 커지므로, 절첩된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따라서, 도 81b의 전개 상태로부터 다시 중앙 에어 셀(511)이 수축한 경우에, 중앙 절첩부(509)는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한편, 좌우 절첩부(519)는, 좌우 에어 셀(512) 중 상측 에어 셀(515)의 팽창(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한다. 도 82는 이의 좌우 절첩부(519)의 전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2에 있어서는, 하측 에어 셀(514), 받침판(522), 지압자 (523) 등의 기재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하측 에어 셀(514)(도시 생략)이 팽창하는 것에 의해 세움판(513)이 세워진 상태(도 82a))에서는, 좌우 절첩부(519)는 어느 것도 전개하지 않는다. 이는, 전술한 대로 하부 커버(507)의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부(530)는 세움판(513)과 하측 에어 셀(514)의 사이에 끼워져 있고, 또한 레그 레스트(504)측과의 고정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부 커버(507)가 세움판(513)의 상승에 수반하여 끌려가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8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 에어 셀(515)이 팽창(돌출)하면, 이것에 대응하여 좌우 절첩부(519)가 전개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 절첩부(519)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부 커버(507)의 좌우 방향 양단 테두리부(530)가 상측 에어 셀(515)의 팽창에 당겨져서 이동하고, 하부 커버(507)가 레그 레스트(504)로부터 벗어나거나 어긋나려고 하지만, 좌우 절첩부(519)가 전개하는 것에 의해 그와 같은 일은 없다.
도 82b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좌우 절첩부(519)의 제1 접힘부(c1), 및 제2 접힘부(c2) 근방에서 커버 부재가 만곡한 상태가 되므로, 전술한 것처럼 그것이 거의 평탄한 모양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도 83은, 좌우 절첩부(519)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전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이 변형예의 좌우 절첩부(519)는 도 76에 도시한 실시예의 중앙 절첩부(50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좌우 절첩부(519)도, 상측 에어 셀(515)의 팽창시에 있어서 도 83b와 같이 전개하고, 각 접힘부(c1∼c4)에서 커버 부재가 만곡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원래대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절첩된 상태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76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중앙 절첩부(509)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균등하게 전개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도 7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대칭으로 돌출하는 돌출 기구인 2개의 중앙 에어 셀(511)의 돌출 대칭축과, 절첩부의 대칭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전개가 보다 원활해진다.
도 77a 및 77b는 중앙 절첩부(509)의 변형례이다. 다만, 이들 절첩 구조는 좌우 절첩부(519) 등 모든 위치의 절첩부에 사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77a의 실시예는, 도 72a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음선(g)이 제1표면부(509a) 및 제1중첩부(509c)의 이면측(아래쪽)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 다르다. 즉, 여기에서는, 이음선(g)이 커버 표면(h)의 이면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절첩된 상태에서는 이음선(g)이 가려지기 때문에, 제1 접힘부(c1)가 1개 밖에 보이지 않고 슬릿(S)(도 72a 참조)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도 72a의 실시예와 같이 제1표면부(509a)와 제2표면부(509b)가 맞대어진 상태가 되지 않고, 제1접힘부(c1) 부분이 단차를 이룬다.
또한, 도 77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 7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이고, 접힘부 모양의 접힘부(c1∼c4)를 가지지만, 제4접힘부(c4)가 제1표면부(509a) 및 제1중복부(509c)의 이면측(아래쪽)으로 이루어져 있고, 커버 표면(h)의 이면측에 수용되어 있는 점에서 도 7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76의 실시예와 같이 제1접힘부(c1)와 제4접힘부(c4)가 맞대어진 상태로 되지 않고, 제1접힘부(c1) 부분이 단차져버리지만, 한편, 절첩된 상태에서는 제4접힘부(c4)가 가려지므로, 외측에서 보이는 접힘부는 제1접힘부(c1) 하나만이 되고, 슬릿(S)(도 76 참조)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절첩부에 있어서는, 절첩된 상태에서 겹쳐지는 커버 부재의 최대 매수를 4매 이하, 또는 3매 이하로 하면, 절첩된 상태에서의 해당 절첩부의 돌출이 최소한이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도 72a에 도시된 중앙 절첩부(509)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대 매수는 3매(즉, 제1표면부(509a), 제1중복부(509c) 및 제2중복부(509d)의 3매)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도 76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앙 절첩부(509)도 동일하게 3매이다. 이에 대해, 도 7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매(즉, 제1표면부(509a), 제1중복부(509c), 제2중복부(509d) 및 제2표면부(509b)의 4매)이고, 도 7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5매이다. 이 최대 중복 매수가 많아질수록, 커버가 크게 부풀어올라 버리고, 신체를 올려놓는데도 방해가 되며, 미관적인 관점에서도 불리해진다. 한편, 절첩부를 구성하기 위하여는 통상적으로 3매 이상의 커버 부재를 중복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커버의 평탄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상기 최대 중복 매수는 3매∼4매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매가 더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사지기는, 레그 레스트(504)에 있어서 좌우 양쪽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518)과, 이 지지면(518)내에서 다리(517)쪽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508)와, 상기 지지면(518)을 덮고 있고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될 수 있는 중 앙 절첩부(509)를 가지는 커버(50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마사지기에서는, 신체를 지지함과 더불어 출퇴 기구를 가지는 지지면(518)을 커버로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출퇴 동작에 대응하여 전개 및 절첩 가능한 절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커버에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신축성 소재를 사용한 경우라도 신축의 정도가 감소한다. 신축성 소재는, 사용하고 있는 사이에 신축의 반복에 따라서 신축성을 잃어버리고, 펼쳐진 상태에서 느슨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또는 신축의 정도가 감소하므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마사지기가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커버(507) 중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은, 레그 레스트용 커버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레그 레스트용 커버는, 좌우 양쪽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518)과, 이 지지면(518)내에서 다리(517)쪽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지지면(518)의 좌우 방향 중앙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따라 확장, 축소할 수 있는 확축부로서 중앙 절첩부(509)를 구비하고 있다.
레그 레스트(504)에 있어서 좌우 양쪽 다리의 마사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좌우 다리를 각각 독립하여 시료할 필요로부터, 좌우 양쪽 다리 사이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좌우 양쪽 다리 각각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분리벽이 있으면 다리를 올려놓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좌우 양쪽 다리 사이에서 돌출하는 출퇴 기구를 설치하면 상기 분리벽을 없앨 수 있고, 다리를 올려놓기 쉬워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확축부를 지지면(518)의 좌우 방향 중앙부 상 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중앙부에서의 돌출에 따라서 확장하고, 또한 퇴행에 따라서 축소되는 커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퇴행에 따라서 축소되므로, 퇴행시에 다리를 올려놓을 때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확축부는, 좌우 양쪽 다리(517)의 얹음 위치를 피하여, 좌우 양쪽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원활하게 확축 가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이 최소한으로 된다.
아울러, 출퇴 기구의 퇴행시에 있어서, 레그 레스트(504)의 양쪽 다리 지지면(518)을 거의 평탄하게 하면, 양쪽 다리를 더 한층 올려놓기 쉬워짐과 더불어 미관에도 우수하다.
이러한 확축부의 재질은 불문하고, 예를 들면 각종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만, 신축성 소재는 사용하는 동안에 신축의 반복에 의하여 신축성이 손상되고, 펼친 상태에서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피혁(합성 피혁 등)을 비롯하여 비신축성 소재를 사용하고 또한 전술한 중앙 절첩부(509)와 같은 절첩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절첩부를 커버 표면(h)과 거의 평행하게 절첩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레그 레스트(504)의 지지면(518) 상에서 커버의 돌출이 최소한으로 되고, 다리를 올려놓기 쉬워짐과 더불어 미관이 우수한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그 효과는, 지지면(518)이 거의 평탄한 경우에 의해 커지는 것은 전술한 그대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중앙 절첩부(509)나 좌우 절첩부(519)의 절첩 구조는, 레그 레스트(504)를 덮는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모든 부위의 절첩 부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등받이부(503), 팔걸이부(510), 시트부(502)등 모든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형 마사지기에 한정되지 않고, 출퇴 동작을 수반하는 모든 마사지기에 응용할 수 잇다. 또한, 출퇴 동작은, 마사지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개량이나 다른 실시 형태가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하나의 예시로서만 해석해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을 실행하는 가장 양호한 실시 형태를 당업자에 교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세부적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 마사지기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다리 등의 신체를 마사지 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또는 다리 받침대용 커버, 이들 커버를 구비한 마사지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6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팽출하고, 또한 퇴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료부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가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병설된 2개의 지지면과, 각각 상기 지지면보다 외측 부분에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장착면과,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피시료자의 장딴지 안쪽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시료부는,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어 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하는 뒤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앞쪽에 배치된 앞쪽 공기주머니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장착 부위 사이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피벗축을 구비하며,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는,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일단이 전개되어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는,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 및 뒤쪽 공기주머니가 모두 팽창하여 상기 시료부가 팽출한 때에, 팽창상태의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앞쪽 바깥부분을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상기 타단을 상기 일단보다 상기 피벗축에 근접시키고, 또 상기 타단을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아래를 향하여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피시료자의 좌우의 종아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는,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지지면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보다 한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장착면이 계단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압박하는 볼록 모양의 시료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이격 거리 변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좌우 양쪽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안에서 상기 양쪽 다리측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레그 레스트를 덮는 커버로서,
    상기 지지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따라서 확대 축소할 수 있는 확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 레스트에 설치되는 상기 출퇴 기구는, 상기 퇴행시에는 상기 지지면이 평탄하게 되고,
    상기 확축부는,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으며,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커버 표면과 평행하게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레스트용 커버.
  40. 돌출 및 퇴행을 수반하는 출퇴 기구와,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으며,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첩부는, 나란하게 설치된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와, 이들의 배후에 설치되어 양측 표면부를 접속하고,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따라서 확대 축소하는 확축부를 가지고,
    상기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는, 상기 확축부가 축소된 때에 면일(面一)의 커버 표면을 형성하는 마시지기용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마사지기용 커버를 가지는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1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접힘부와, 상기 제2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접힘부는 상기 제1접힘부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41.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팽출하고, 또한 퇴행하는 것이 가능한 팽출부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팽출부가 퇴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팽출부가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팽출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출퇴 동작할 수 있는 시료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하여 솟아오르듯이 돌출 가능하며 퇴행 가능한 상승부를 가지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상승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승부 및 상기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승부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에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승부는 판 모양의 받침판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은,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료부는 판 모양의 시료판을 가지고,
    상기 시료판은, 그의 좌우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과 상기 시료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 수축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에 대하여 상기 제2회동축이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머니는, 단면이 부채꼴로 팽창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해당 부채꼴의 중심 쪽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 출퇴하는 중앙 시료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승부,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앙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승부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에서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시료부는 공기 주머니를 가지고,
    상기 공기 주머니는, 상기 지지부의 좌우 방향 중앙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공기 주머니 각각은, 단면이 부채꼴로 팽창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해당 부채꼴의 중심 쪽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보다 외측부에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장착면을 가지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지지면보다 한 단계 더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장착면이 계단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시료판의 앞쪽에 배치되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압박하는 볼록 모양의 시료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8.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팽출하고, 또한 퇴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료부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가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보다 외측 부분에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장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어 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하는 뒤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 공기주머니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장착 부위 사이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피벗축을 구비하며,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는,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일단이 전개하여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는,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 및 뒤쪽 공기주머니가 모두 팽창하여 상기 시료부가 팽출한 때에, 팽창상태의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앞쪽 바깥부분을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상기 타단을 상기 일단보다 상기 피벗축에 근접시키고, 또 상기 타단을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피시료자의 좌우의 종아리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는,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지지면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1. 삭제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보다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장착면이 계단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3. 제50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어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압박하는 볼록 모양의 시료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외측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면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중간 장착면을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고,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평탄면을 형성하고, 팽창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는 중간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중간 시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간 장착면이 상기 지지면보다 한 단계 낮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중간 장착면이 계단 모양으로 구성되고, 수축한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와 상기 지지면이 면일(面一)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는, 아래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9.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면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중간 장착면을 더 가지고 있으며,
    일단이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이 전개하지 못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각각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일단을 서로 근접시키고 각각의 상기 타단은 서로 이격시켜서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는,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중간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중간 시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료부의 한 쌍 또는 복수 쌍의 중간 공기 주머니는, 아래를 향해 갈수록, 쌍을 이루는 공기 주머니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간 시료부는,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를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2.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간 시료부는,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킨 후에,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를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시키고, 상기 앞쪽 공기 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 주머니의 팽창을 유지한 채,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를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바깥 부분을 당겨 주무르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이격 거리 변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4. 돌출 및 퇴행을 수반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마사지기를 덮는 커버로서,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으며,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첩부는, 나란하게 설치된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와, 이들의 배후에 설치되어 양측 표면부를 접속하고,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따라서 확대 축소하는 확축부를 가지고, 상기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는, 상기 확축부가 축소된 때에 면일(面一)의 커버 표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1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접힘부와, 상기 제2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가지고,
    상기 제2접힘부는 상기 제1접힘부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65. 삭제
  66.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안에서 상기 신체쪽으로 돌출 및 퇴행을 행하는 출퇴 기구를 가지는 마사지기의 상기 지지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돌출에 대응하여 전개할 수 있으며, 상기 퇴행에 대응하여 절첩될 수 있는 절첩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은, 퇴행시에 평탄하게 되고,
    상기 절첩부는, 나란하게 설치된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와, 이들의 배후에 설치되어 양측 표면부를 접속하고, 상기 출퇴 기구의 돌출 및 퇴행에 따라서 확대 축소하는 확축부를 가지고, 상기 제1표면부 및 제2표면부는, 상기 확축부가 축소된 때에 면일(面一)의 커버 표면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1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접힘부와, 상기 제2표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가지고,
    상기 제2접힘부는 상기 제1접힘부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67. 제64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복수의 접힘부를 가지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로 겹쳐지는 커버 부재를 상기 접힘부 근방에서 두께 방향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68. 제64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접음선 방향 단부 위치에서의 전개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커버.
  69.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팽출하고, 또한 퇴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료부를 가지는 다리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받침대는, 상기 시료부가 퇴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시료부가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보다 외측 부분에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장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어 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하는 뒤쪽 공기 주머니와,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뒤쪽 공기 주머니의 장착 부위 사이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축에 의하여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판과,
    일단은 주름 모양으로 전개가 가능하고, 타단은 전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편평한 상태로부터 급기된 때에 부채 모양으로 팽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을 상기 피벗축에 근접시키고, 상기 일단을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받침판의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 공기 주머니를 구비하며,
    상기 시료부는, 상기 뒤쪽 공기주머니 및 앞쪽 공기주머니가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뒤쪽 공기주머니 및 앞쪽 공기주머니가 팽창한 때에는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가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정강이 바깥부분을 후방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는, 피시료자의 좌우 종아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면이 좌우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지지면 사이에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중간 장착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간 장착면에 장착되고, 수축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과 평탄면을 형성하고, 팽창한 때에는 상기 지지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는 중간 공기주머니를 가지는 중간 시료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중간 시료부는, 상기 뒤쪽 공기주머니를 팽창시킨 후에,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주머니를 동조시켜서 각각 팽창시키고, 상기 앞쪽 공기주머니 및 상기 중간 공기주머니의 팽창을 유지한 채, 상기 뒤쪽 공기주머니를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바깥 부분을 당겨 주무르도록 동작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KR1020057021951A 2003-05-26 2004-04-30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마사지기 KR100724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8173A JP3854944B2 (ja) 2003-05-26 2003-05-26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3-00148173 2003-05-26
JPJP-P-2003-00184464 2003-06-27
JP2003184464A JP2005013559A (ja) 2003-06-27 2003-06-27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3331423A JP4263977B2 (ja) 2003-09-24 2003-09-24 マッサージ機用カバー、フットレスト用カバー、及びこれらのカバーを用いたマッサージ機
JPJP-P-2003-00331423 2003-09-24
JP2003379329A JP4263984B2 (ja) 2003-11-10 2003-11-10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3-00379329 2003-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815A KR20060010815A (ko) 2006-02-02
KR100724750B1 true KR100724750B1 (ko) 2007-06-07

Family

ID=3347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951A KR100724750B1 (ko) 2003-05-26 2004-04-30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마사지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7868B2 (ko)
EP (1) EP1629819A4 (ko)
KR (1) KR100724750B1 (ko)
AU (1) AU2004241837A1 (ko)
CA (1) CA2527188A1 (ko)
HK (1) HK1088210A1 (ko)
TW (1) TWI240625B (ko)
WO (1) WO20041032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446B1 (ko) * 2011-12-01 2014-03-06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공기압 안마기능을 구비한 쿠션형 마사지기
KR101515758B1 (ko) * 2014-09-04 2015-04-28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안마의자용 목 안마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3659B2 (ja) * 2004-06-25 2008-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WO2009057518A1 (ja) * 2007-10-31 2009-05-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他動運動機器
JP5238232B2 (ja) * 2007-11-29 2013-07-17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JP5215922B2 (ja) * 2009-04-09 2013-06-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ッサージ用エアバッグ
CN104918519B (zh) 2012-07-27 2017-03-01 泰普尔-派迪克管理有限责任公司 包括振动马达及其安装设备的床垫基座
WO2014018059A1 (en) 2012-07-27 2014-01-30 Tempur-Pedic Management, Inc. Mattress foundation including vibration motor assemblies
US20140142478A1 (en) * 2012-11-19 2014-05-22 Lalkrushna C. MALAVIYA Portable Arm Massager
KR101548646B1 (ko) 2014-01-21 2015-09-0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KR101662766B1 (ko) * 2014-12-24 2016-10-06 주식회사 세라젬 에어포켓 타입의 마사지장치
DE102015204492A1 (de) * 2015-03-12 2016-09-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Massage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JP2017042282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エアマッサージ装置
CN105769505A (zh) * 2016-02-25 2016-07-20 山东康泰实业有限公司 一种按摩椅及其手臂按摩装置
KR102474142B1 (ko) * 2016-06-20 2022-12-06 패밀리 이나다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 유닛 및 그 마사지 유닛을 가지는 마사지기
KR20180024571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척추 디스크 및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펄스전자기장을 장착한 안마의자
CN106617906A (zh) * 2016-09-14 2017-05-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床垫的控制方法及装置
CN106580650A (zh) * 2017-01-23 2017-04-26 惠州金桔家具有限公司 一种膨胀垫按摩装置
US10842708B2 (en) * 2017-01-25 2020-11-24 Luraco, Inc. Massage apparatus for legs and feet and massage chair having the massage apparatus
US11730662B2 (en) * 2017-01-25 2023-08-22 Kevin Le Massage chairs having massage apparatuses for legs and feet and for hands and arms
JP2018171286A (ja) * 2017-03-31 2018-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オットマ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マッサージ機
US10724549B2 (en) 2017-05-11 2020-07-28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noise-reducing, enclosure device
US11179290B2 (en) 2017-05-11 2021-11-23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wireless charger, armrest sliding, hammering devices, and oxygen generation
KR102287897B1 (ko) * 2017-08-17 2021-08-09 코웨이 주식회사 하체 부위의 혈자리 안마가 가능한 안마 의자
US10639230B2 (en) * 2018-04-29 2020-05-05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position of fluid massage element for arm massaging
JP7249005B2 (ja) * 2018-10-18 2023-03-30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7189811B2 (ja) * 2019-03-08 2022-12-1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コントローラチェア
DE102019203553A1 (de) * 2019-03-15 2020-09-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Unterschenkelstütz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DE102019124570A1 (de) * 2019-09-12 2021-03-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itz mit Liegefunktion
CN111281751B (zh) * 2020-03-16 2022-02-01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腿部康复用辅助护理装置
CN111685983B (zh) * 2020-06-15 2022-04-19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疗护理用背部按摩装置
KR102552125B1 (ko) 2021-03-25 2023-07-06 주식회사 세라젬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오토만
US11596572B2 (en) * 2021-05-25 2023-03-07 Ffl Brands Llc Massage chair assemblies with air cel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3757A (ja) 1982-02-19 1983-08-26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H06193028A (ja) * 1992-12-25 1994-07-12 Nkk Corp 沿岸域廃棄物処理場の護岸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H0852185A (ja) * 1994-08-17 1996-02-27 Tec Corp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08221277A (ja) * 1995-02-14 1996-08-30 Sumitomo Metal Ind Ltd エ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1057436A (ja) 1996-08-22 1998-03-03 Tec Corp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1180041A (ja) 1997-09-01 1999-03-23 Mitsubishi Chem Corp トリエ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0102577A (ja) * 1998-07-30 2000-04-11 Toshiba Tec Corp マッサ―ジ機
JP2001182538A (ja) * 1999-12-24 2001-07-06 Osaka Gas Co Ltd エンジン
JP2002301125A (ja) * 2001-04-06 2002-10-15 Family Kk 脚用空気マッサージ機
JP2002369847A (ja) * 2001-06-15 2002-12-24 Family Kk 脚用空気マッサージ機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7249A (ja) * 1983-04-25 1984-11-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3012127B2 (ja) * 1993-10-29 2000-02-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マッサージ装置
JP3012780B2 (ja) * 1994-07-29 2000-02-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08112330A (ja) * 1994-10-18 1996-05-07 Shosuke Tsutsui 指圧器
JP2782181B2 (ja) * 1996-04-05 1998-07-30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3631883B2 (ja) * 1996-07-16 2005-03-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マッサージ器およびこのエアーマッサージ器を取り付けた身体支持装置
JPH10295753A (ja) * 1997-04-25 1998-11-10 Family Kk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3655094B2 (ja) * 1998-04-24 2005-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2000140054A (ja) 1998-09-09 2000-05-23 Family Kk マッサ―ジ器
JP2002360645A (ja) * 2001-06-06 2002-12-17 Omron Corp マッサージ機
US6984197B2 (en) * 2002-07-08 2006-01-10 Skylite Corporation Exercise apparatus
EP1537845A4 (en) * 2002-09-09 2008-07-16 Family Co Ltd MASSAGE DEVICE AND MASSAGE MACHINE FOR THE FOREARM
US20060217643A1 (en) * 2003-04-11 2006-09-28 Mitsuhisa Yonekawa Massaging device
JP4121913B2 (ja) * 2003-08-08 2008-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3757A (ja) 1982-02-19 1983-08-26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H06193028A (ja) * 1992-12-25 1994-07-12 Nkk Corp 沿岸域廃棄物処理場の護岸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H0852185A (ja) * 1994-08-17 1996-02-27 Tec Corp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08221277A (ja) * 1995-02-14 1996-08-30 Sumitomo Metal Ind Ltd エ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1057436A (ja) 1996-08-22 1998-03-03 Tec Corp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1180041A (ja) 1997-09-01 1999-03-23 Mitsubishi Chem Corp トリエ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0102577A (ja) * 1998-07-30 2000-04-11 Toshiba Tec Corp マッサ―ジ機
JP2001182538A (ja) * 1999-12-24 2001-07-06 Osaka Gas Co Ltd エンジン
JP2002301125A (ja) * 2001-04-06 2002-10-15 Family Kk 脚用空気マッサージ機
JP2002369847A (ja) * 2001-06-15 2002-12-24 Family Kk 脚用空気マッサージ機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446B1 (ko) * 2011-12-01 2014-03-06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공기압 안마기능을 구비한 쿠션형 마사지기
KR101515758B1 (ko) * 2014-09-04 2015-04-28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안마의자용 목 안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7868B2 (en) 2010-05-18
CA2527188A1 (en) 2004-12-02
AU2004241837A1 (en) 2004-12-02
HK1088210A1 (en) 2006-11-03
TWI240625B (en) 2005-10-01
WO2004103251A1 (ja) 2004-12-02
EP1629819A1 (en) 2006-03-01
US20070016119A1 (en) 2007-01-18
KR20060010815A (ko) 2006-02-02
EP1629819A4 (en) 2009-03-18
TW200500057A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50B1 (ko)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용 커버, 다리 받침대용 커버 및마사지기
JP3339849B2 (ja) 下肢用マッサージ機とこのマッサージ機を用いた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JP4943202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773272B2 (ja) 施療機
JP4784459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3310683A (ja) マッサージ機
JP3854944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7325774A (ja) 施療機
JP2004215938A (ja) 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JP4078676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JP4789739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776452B2 (ja) 施療機の膨縮袋構造
JP5474281B2 (ja) マッサージ機
JP5047723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12040421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5200131B2 (ja) 施療機
JP200501355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1231657A (ja) 椅 子
JP2004236776A (ja) マッサージ機
JP2003310685A (ja) マッサージ機
JP2004202091A (ja) 空気袋装置とマッサージ装置
JP5302950B2 (ja) マッサージ機
JP5174885B2 (ja) マッサージ機
JP5452464B2 (ja) マッサージ機
JP2011251152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