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374B1 -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 Google Patents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5374B1 KR100715374B1 KR1020057024547A KR20057024547A KR100715374B1 KR 100715374 B1 KR100715374 B1 KR 100715374B1 KR 1020057024547 A KR1020057024547 A KR 1020057024547A KR 20057024547 A KR20057024547 A KR 20057024547A KR 100715374 B1 KR100715374 B1 KR 100715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ing
- hardware
- bolt
- joining hardware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45—Interdigitated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쪽 모두의 응력의 전달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 방향에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1개의 볼트(4)에, 그 볼트(4)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층측 및 하층측에 배치되어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11)에 고정되는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7)이 각각 배치되고 각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홈에 상기 볼트는 착탈 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는 동시에, 접합 철물(7)은 볼트(4)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서,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각층에 배치되는 접합 철물이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 철물(7)과 수직 프레임재(11)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박히는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사용한 접합 방법이다.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철물, 암나사 철물, 패스터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스틸 하우스에 있어서의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 상호 또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나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 현재(弦材) 상호 등, 직접 또는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이러한 부재에 압축력 및 인장력을 직접 전달 가능하게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과 그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상층측의 벽 패널 등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와 하층측의 벽 패널 등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를 연결하는 경우, 두 개의 홀다운 철물과 연결 볼트·너트의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층측의 벽 패널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홀다운 철물을 고정하고, 하층측의 벽 패널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홀다운 철물을 고정하고, 이러한 홀다운 철물을 볼트·너트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접합 철물을 사용한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지진 또는 바람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주로 인장력 밖에 전달할 수 없 기 때문에, 압축력을 바닥 골조 부분에서 전달하게 되어, 상하층 벽 패널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에 끼워지는 바닥 골조 내부에 압축 보강 철물을 삽입하는 등 복잡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고, 피스수가 증대하고, 설계·시공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22 및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 골조 내부에 별개로 배치되는 압축 보강 철물을 대신하여,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체(25)의 상하에 플랜지(26)을 설치하고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7)를 구성하고, 그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7) 내에 연결 볼트(28)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하의 홀다운 철물(30, 31)을 상기 연결 볼트(28)에 끼우는 너트(29)에 의하여 연결하는 형태의 접합 구조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311110호 참조)
상기 종래의 경우는 모두, 2개의 홀다운 철물(30, 31)과 연결 볼트·너트 (28, 29)와 압축 보강 철물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플랜지가 있는 통상체(27) 등 3개 별개의 응력을 전달하는 강성의 큰 철물을 필요로 하고, 철물 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상하 각 층측에서의 홀다운 철물(30, 31)의 배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이들 상하층의 홀다운 철물(30, 31)의 심 어긋남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볼트 삽통공을 대공(大孔)으로 하고 연결 볼트(28)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고, 홀다운 철물(30, 31)의 수직 프레임재 접합부로부터 연결 볼트 중심축선(C)까지의 수평 방향의 거리(L)가 커져, 휨 강성이 큰 홀다운 철물(30, 31)을 필요로 하고,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바닥 골조(32) 내부에 플랜지 선부 통상체(27)를 삽입하는 것은 고난이도의 시공 능력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경사된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 응력 모두 전달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접합 철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합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 응력 모두 전달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그 부재를 사용한 간단한 구조로 시공이 용이한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1개의 볼트에, 그 볼트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별개의 부재에 고정되는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홈에 상기 볼트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합 철물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서는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1개의 볼트에, 그 볼트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층측 및 하층측에 배치되어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고정되는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홈에 상기 볼트는 착탈 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합 철물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제3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은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3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상기 접합 철물은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접합용 플랜지를 가지는 단면 하트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합 철물의 홈 내에 볼트 축부를 수용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의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의 홈에 있어서 측방 개구 폭은 볼트 축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의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은 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고 단면 측방 개구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 발명에서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의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의 상하부에 볼트에 끼운 암나사 철물을 각각 배치하고, 상하의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접합 철물을 압착하고, 접합 철물을 볼트 긴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 발명에서는 제7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과 상기 암나사 철물의 사이에, 상기 볼트를 삽통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9 발명에서는 제8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양측판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는 각부를 가지는 단면 ㄷ자형의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0발명에서는 제8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는 각부를 가지는 단면 ㄷ자형의 와셔와, 그 단면 ㄷ자형의 와셔와 암나사 철물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1 발명에서는 제7 발명 내지 제10발명의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 철물이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 발명에서는 제7 발명 내지 제11 발명의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철물의 홈에 볼트 외주부가 접촉하도록 감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3 발명의 건축물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의 몇 가지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이 사용되고, 건축물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 상호 등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4 발명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의 몇 가지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각 접합 철물이, 각각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 철물과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5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제13 발명 또는 제14 발명의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 중의 어느 한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각 접합 철물 중 어느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고, 접합 철물과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해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6 발명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제13 발명 또는 제14 발명의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각층에 걸쳐 배치되는 접합 철물 중 어느 한쪽 접합 철물을, 상하의 어느 한쪽 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하고, 접합 철물과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박아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 철물을 한쪽 층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으로 접촉하여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7 발명의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제13 발명 또는 제14 발명의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의 어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볼트에, 상층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암나사 철물을 장착하고, 상기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볼트가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게 한 상태로, 상층측으로부터 하층측에 상기 볼트를 배치한 후, 다른 암나사 철물을 볼트에 장착함과 동시에, 각층의 접합 철물을 볼트에 끼우고, 다음으로, 접합 철물을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하여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별개의 부재에 걸쳐 배치할 수 있는 이음부가 없는 연속된 하나의 소정 길이의 볼트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합 철물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고, 또한 압축력 및 인장력 양쪽 모두의 응력 전달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트는 접합 철물의 측방 개구 홈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으므로, 접합 철물은 상기 볼트에 장착하는 경우에 볼트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단체를 조립할 경우 또는 각 접합 철물을 볼트에 감합 장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 개구 홈 내에 볼트를 감합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하여야 할 별개의 부재와 볼트 중심축선의 심 어긋남을 줄일 수 있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작용하는 휨 응력을 줄일 수 있고, 측방 개구 홈을 가지는 접합 철물의 판 두께를 얇게 하여 경제적인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 방향에 배치할 수 있는 이음부가 없는 연속된 하나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볼트의 축 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합 철물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고, 한편 압축력 및 인장력의 양쪽 모두의 응력이 전달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트는 접합 철물의 측방 개구 홈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으므로, 접합 철물을 상기 볼트에 장착하는 경우에 볼트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감합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단체를 조립하는 경우 상하층의 접합 철물을 볼트에 감합 장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 개구 홈 내에 볼트를 감합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와 볼트 중심 축선의 심 어긋남을 줄일 수 있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작용하는 휨 응력을 줄일 수 있고, 측방 개구 홈을 가지는 접합 철물의 판 두께를 얇게 하고 경제적인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은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소정의 위치에, 접합 철물의 볼트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 조정을 하는 동시에, 위치 고정하여 수직 프레임재에 고정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홈 내에 볼트 축부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접합용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하의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접합 철물의 홈 내에 볼트 축부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재의 부착부와 볼트 축심과의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접합 철물에 작용하는 휨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접합 철물의 판 두께를 얇게 하고 경제적인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의 홈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폭이 볼트 축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접합 철물을 측방 개구부로부터 볼트 축부에 압입하여 감합 장착된 후에 있어서 볼트 축부로부터 접합 철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단면 측방 개구 홈형의 접합 철물을 염가의 강판을 절곡 가공하여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의 상하에 배치된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합 철물을 볼트의 축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 철물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8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과 암나사 철물과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너트 등의 암나사 철물을 접합 철물의 단부에 직접 접촉하여, 암나사 철물을 회동시키면서 직접 압압(押壓)하지 않기 때문에, 암나사 철물로부터의 압압력을 와셔에 의하여 분산시키고, 접합 철물에 전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암나사 철물이 직접, 접합 철물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암나사 철물을 회동 공구에 의하여 회동하고, 접합 철물을 와셔를 사이에 두고 압압 파지하는 경우에, 암나사 철물이 직접,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암나사 철물의 회동에 의하여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어 측판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9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에 접촉하는 와셔로서 단면 ㄷ자형의 와셔가 사용되고, 그 단면 ㄷ자형의 와셔에 있어서 각부가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되어 있으므로, 접합 철물을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암나사 철물이 회동되어도, 측판이 각부에 맞물림으로써, 적극적으로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0발명에 따르면, 평와셔와 각부를 가지는 단면 ㄷ자형 와셔인 2개의 와셔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평와셔에 의하여 암나사 철물의 압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단면 ㄷ자형의 와셔에 전달할 수 있어 또한, 단면 ㄷ자형의 와셔에 의하여, 평와셔로부터의 압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접합 철물에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단면 ㄷ자형의 와셔에 있어서의 각부에 의하여 접합 철물의 측판이 벌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암나사 철물을 염가의 너트로서 접합 철물을 볼트의 축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접합 철물의 홈에 볼트 축부의 외주부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볼트 중심축선과 접합 철물의 구부 중심축선이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양호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로 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弦材) 상호 등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를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 구조가 간단한 구조가 됨과 동시에 시공도 용이하게 되고, 또는 압축력 및 인장력를 확실히 전달할 수 있는 접합 구조로 할 수 있고 또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또는 경사된 방향 등의 적당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높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각 접합 철물을, 각각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과 접촉하고, 수평 방향으로 박히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하고,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드릴 나사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거쳐, 상하 방향의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의하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각 접합 철물 중 어느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고, 접합 철물과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여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므로, 간단한 구조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그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접합 철물을 드릴 나사 등의 간단한 접합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직렬 또는 간격을 두고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별개의 부재 상호를 용이하게 연결 접합할 수 있고 시공도 용이하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6 발명에 의하면, 압축력 및 인장력이 전달 가능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구조를 시공하는 경우에, 볼트 축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감합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접합 철물을 구비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므로,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17 발명에 의하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볼트에, 상층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나사 철물을 장착하고, 상기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볼트가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도록 한 상태로, 상층측으로부터 하층측에 상기 볼트를 배치하므로, 볼트를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는 상태로, 상하층에 걸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볼트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그 후의 볼트에 대한 암나사 철물 등의 부품의 장착, 특히 접합 철물의 장착도 수평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와의 접합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본 발명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해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볼트 축부와 볼트 축부를 삽통하는 각 부품의 볼트 삽통공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횡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b는 상하의 플랜지에 긴 구멍을 설치하였을 경우의 볼트와 긴 구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8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상측 프레임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접합 구조에 있어서의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11은 도 10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평와셔 및 단면 ㄷ자형 와셔 및 측방 개구 홈형의 접합 철물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도이다.
도 13b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평와셔 및 단면 ㄷ자형 와셔 및 측방 개구 홈형의 접합 철물의 평면 분해도이다.
도 14a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평와셔를 제거한 변형 형태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b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평와셔를 제거한 변형 형태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a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단면 ㄷ자형 와셔를 제거한 변형 형태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b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단면 ㄷ자형 와셔를 제거한 변형 형태의 접합 철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을 사용해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a는 도 17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7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7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고 상하에 서로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재를 접합하는 경우의 접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19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은 볼트에 와셔 및 암나사 철물을 장착하고 마지막으로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볼트에 감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2는 홀다운 철물을 사용하는 종래의 접합 철물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홀다운 철물을 사용한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대하여, 도 6a, 도 6b 및 도 7a, 도 7b,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은 건물, 특히 스틸 하우스를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층의 벽 패널 등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벽 패널 등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상하 양단부에 수나사부(2, 3)를 구비한 1개의 볼트(4)의 상하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오목 홈(5a)을 가지는 U자상부(5)의 양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용 플랜지(6)를 구비한 접합 철물(7)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5a)이 볼트(4)에 감합되고, 상기 접합 철물(7)의 상하에 후술하는 암 나사 철물(8, 9)이 압착되어 위치 고정 및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하 양단부의 수나사부(2, 3)는 각각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 또는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나사 방향은 적절하게 하면 된다.
상기 오목 홈(5a)과 볼트(4)가 접촉하고 있으면, 즉, 오목 홈(5a) 내면과 볼트(4)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갭이 없는 상태로 하면, 볼트(4)로 접합 철물(7)의 수평 방향의 차이를 방지하고, 접합 철물(7) 볼트(4)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 접합 철물(7)은 도시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판 두께 1mm 전후로부터 3.2mm 정도의 장방형상 박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고, 오목 홈(5a)이 형성된 U자상부(5)를 구비하고, 그 U자상부(5)의 양측판(5b)에 원호상 가이드부(6a)를 사이에 두고 접합용 플랜지(6)가 일체로 굴곡 연설된 횡단면이 하트형 형상인 부재로 되고, 각 접합용 플랜지(6)의 폭 방향 중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드릴 나사용 소경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상부(5)의 기단측에 있어서, 단면 원호상부(5c)의 원호상 내면(5d)의 내경은 볼트(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고, 볼트(4)와 원호상 내면(5d)이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이러한 상대적인 수평 방향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오목 홈(5a)은 볼트(4)의 축부를 감합 수납하기 위한 홈으로, U자상부(5)의 양측에 접합용 플랜지(6)가 일체로 설치되고 각 접합용 플랜지(6)는 동일 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합 철물(7)이 U자상부(5)의 양측에 접합용 플랜지(6)를 구비한 형상이므로, 도22 및 도23에 나타내는 종래의 홀다운 철물(30, 31)의 세로 부분(33)의 판 두께를 증가시켜 휨 강성을 증대시키거나, 세로 부분(33)과 베이스부(34)에 직각으로 보강 리그(35)를 용접에 의하여 고착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형태에 비하여, 한 장의 강판을 단면 하트형으로 굴곡 형성하여, 휨 강성 및 굴곡 강도가 높은 접합 철물(7)로 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철물(7)의 접합용 플랜지(6)에 의하여 건물측과의 접합 국면과 볼트(4)의 중심축선 사이의 치수는 본 발명에서는 접합용 플랜지(6) 사이에 판재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홀다운 철물(30, 31)에 비하여, 적어도 세로 부분(33)의 판 두께만큼 적게 접근시켜, 굽힘 모멘트 부담이 적은 구조로 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접합 철물(7)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합 철물(7)의 변형이 적은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로 할 수 있다.
상하의 각 접합 철물(7)의 상하 양단면부에는 볼트(4)에 끼운 암나사 철물로서 너트로 이루어지는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와 암나사 철물로서 너트로 이 루어지는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이 각각 압착되고, 각 접합 철물(7)은 각각 볼트(4)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 위치 조정 가능하게, 또 위치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각 접합 철물(7)의 상하 양단부의 U자상부(5)의 양측판에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가 압착됨으로써 일체화되어 보강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각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을 사이에 두고 인장력 및 압축력이 전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로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의 어느 한쪽 압착용 암 나사 철물을 느슨하게 하여 접합 철물(7)로부터 떨어지게 한 상태로, 한쪽 압착용 암 나사 철물를 회전시킴으로써, 접합 철물(7)을 볼트(4)에 대하여 상하 방향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한쪽 압착용 암 나사 철물를 접합 철물(7)의 단면에 압착하도록 단단하게 조음으로써, 접합 철물(7)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는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로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을 접합 철물(7)의 상하 양 단면에 압착 고정하고, 접합 철물(7)을 볼트(4)의 축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변형 형태로서 도 8a, 도 8b 및 도 9a, 도 9b,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U자상부(5)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측판 사이의 폭 치수를 부분적으로, 볼트(4)의 축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치수 d로 하여도 좋고, 이와 같이 볼트(4)의 축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치수(d)의 측방 개구 홈(10)으로 해두면, 볼트(4)의 축부를 오목 홈(5a)에 감합하여 접합 철물(7)을 가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접합 철물(7)이 볼트 (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변형 형태로서 도 12a, 도 12b 및 도13a, 도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오목 홈(5a)를 가지는 각형 U자상부(5)의 양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합용 플랜지(6)를 가지는 접합 철물(7)로 하고, 또한, 그 각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오목 홈(5a)를 전체 나사 볼트로 이루어지는 볼트 (4)에 감합하고, 각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7)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각각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와 그 외측에 평와셔(37)를, 각각 볼트(4)에 미리 장착하고, 상기 평와셔(37)를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압압함으로써, 상기 평와셔(37) 및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을 사이에 두고, 접합 철물(7)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에 있어서의 각 각부(38)는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측판(5b)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각 각부(38) 상호를 접속하는 접속판(39)에는 볼트 삽통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평와셔(37)이 설치되는 것으로,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압압력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에 전달할 수 있고 또한,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에 있어서의 접속판(39)에 의하여 접합 철물(7)의 단면에 응력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판(39)에는 상기 접속판(39)의 배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마킹선(marking-off line)(44)이 각설되어 마킹선(44)측이 접합 철물(7)의 플랜지(6) 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합 철물(7)의 각부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에 있어서의 각부(38)가, 접합 철물(7)에 있어서 측판(5b)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압압하도록 상기 암 나사 철물(8, 9)을 회동 공구에 의하여 회동하였을 경우,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측판(5b)이 볼트(4)의 축부측(내측)과 반대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 작용을 하고 있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암 나사 철물(8, 9)이 접합 철물(7)의 측판(5b)의 단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암 나사 철물(8, 9)을 회동 공구로 회동하여 접합 철물(7) 단면을 압착하였을 경우, 측판(5b)에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의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측판(5b)의 강성을 높인 접합 철물(7)로 할 필요가 있으나,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형태의 접합 철물(7)에서는 이러한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여 접합 철물(1)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접합 철물(7)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및 접합 철물(7) 단면에 균등하게 압압력이 작용하도록, 도 14a, 도 14b에 변형 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평와셔(37)를 생략하고, 단면 ㄷ자형의 와셔(36)만으로 하여도 좋고,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의 접속판(39)에 의하여, 암 나사 철물(8, 9)의 회동에 의하여 압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 접합 철물(7)의 단면에 압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키도록 하고, 암 나사 철물(8, 9)의 회동에 의하여,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였을 경우에, 와셔(36)의 각부(38)을 측판(5b)의 외측에 계합시키 고, 항상 측판(5b)을 볼트(4)측(내측)에 비틀림 모멘트를 작용시키도록 하고, 측판(5b)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도 14a, 도 14b의 변형 형태로서 도 15a,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ㄷ자형의 와셔(36)를 대신하여, 평와셔(37)만으로 하고, 암 나사 철물(8, 9)을 회동 공구로 회동하여 평와셔(37)를 사이에 두고 접합 철물(7) 단면을 압착하였을 경우, 평와셔(37)에 의하여 압압력을 접합 철물(7)의 단면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전달시킬 수 있고, 또한, 암 나사 철물(8, 9)을 회동 공구로 회동하였을 경우, 다소 접합 철물(1)의 비틀림 모멘트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와셔를 개재시키는 형태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 또는 평와셔(37)의 외측에, 추가로 용수철 와셔를 개재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 볼트(4)로서 육각 머리부가 있는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의 접합 철물(7)의 어느 한 편을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및 그 부재를 이용한 접합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 이외에도, 도시를 생략하지만, 건축물에 있어서의 직렬로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을 구성하는 현재 상호 등,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직렬로 서로 이웃하는 부재 단부 상호 또는 간격을 둔 부재 단부 상호 또는 지붕틀에서는 직렬 또는 접근하도록 경사하여 병렬하는 부재 단부 상호에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 부재 상호의 연결 접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경사된 방향이어도 되고, 부재 간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접합이 되지만, 이하에,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사용하여, 일례로서 상층 및 하층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재 상호를 접합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a,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형태의 스틸 하우스에서는 하층측에 배치 고정되어 있는 하층 측벽 패널(12)은 박강판을 홈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형성된 단면 홈 형상의 상측 프레임재(위 수평 프레임재)(13)와 하측 프레임재(아래 수평 프레임재, 도시 생략)와 이들에 단부가 연결되는 횡단면 립(lip)이 있는 홈형의 수직 프레임재(11) 및 이러한 측면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나사 또는 드릴 나사 등의 고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는 박강판 등의 구조용 면재(14)를 구비하고 있다.
기초 또는 하위의 벽 패널 등에 하층 측벽 패널(12)은 연결되어 세워지고, 그 하층 측벽 패널(12) 상측 프레임재(13)의 위에 이것에 따라서 목제 각재 등의 상측 프레임 보강재(15)가 재치되어 드릴 나사 등의 고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또는 프레임 보강재(15)에,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프레임재(13) 등의 내력이 큰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프레임 보강재(15)를 생략하고, 상측 프레임재(13) 위에 직접,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설치된다.
상기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는 도시를 생략한 바닥 장선 또는 천정 장 선이 가설 고정되고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 및 바닥 장선의 상측 플랜지(21)에 바닥 밑판(floor sub-lining material)(17)이 재치되어 드릴 나사 등의 고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바닥 밑판(17) 상에, 상기 하층 측벽 패널(12)과 같은 구조의 상층 측벽 패널(18)이 하층 측벽 패널(12)과 동일 수직면상에 세워지고 상층 측벽 패널(18)에 있어서 홈형 단면 하측 프레임재(19)의 웹(23)은 바닥 밑판(17) 상에 재치되고 드릴 나사 등의 고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바닥 밑판(17)상에 재치되어 있는 상층 측벽 패널(18)에 있어서의 홈형 단면하측 프레임재(19)와 바닥 밑판(17)과 상측 프레임 보강재(15)와 하층 측벽 패널(12)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재(13)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폭 방향 중앙부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20)이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또한,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 선단부에는 볼트(4)의 축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V자상 등의 절결부(22)를 형성하거나,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플랜지(21)의 폭 방향 중간부에 구멍이 천설되어 예를 들면 부재 길이 방향으로 긴, 긴 구멍(22)이 형성된다.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상층 및 하층에 걸쳐 배치하는 경우의 한 형태로서 부재 상호 접합 철물(1)에 있어서의 상부의 접합 철물(7)을 또는 아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볼트(4)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여 위치 고정한 상태로, 또한, 하부의 접합 철물(7) 및 또는 아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층측으로부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볼트(4)의 하부를 상기 각 부재(19, 17, 15, 13)의 긴 구멍(20)에 삽입하고 하층측에 볼트(4)의 하부를 배치한다.
그리고,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의 절결부(22)에 볼트(4)의 중간 축부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층측의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각 접합 플랜지(6)를 상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에 있어서의 웹(23)에 접촉시키고, 필요한 내력을 얻을 수 있는 적당의 개수의 수평방향 드릴 나사(24)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한, 하층측에 배치된 볼트(4)의 하부에, 상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을 끼우고, 또한, 접합 철물(7)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장착하여 상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위치 고정하고, 각 접합 플랜지(6)를 상기 하층측의 벽 패널(12)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로 이루어지는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에, 필요한 내력을 얻을 수 있는 적당한 개수의 수평 방향 드릴 나사(24)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상층 및 하층에 걸쳐 배치하는 경우의 다른 한 형태로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있어서 하부의 접합 철물(7)을, 그 상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볼트(4)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여 위치 고정시킨 상태로, 또한, 상부의 접합 철물(7) 및 또는 아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하층측으로부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의 볼트(4)의 상부를 상기 각 부재(13, 15, 17, 19)의 긴 구멍(20)에 삽입하고 상층측에 볼트(4)의 상부를 배치한다.
그리고, 단 장선 또는 측 장선 (16에 있어서의 상하의 플랜지(21)의 절결부(22)에 볼트(4)의 중간 축부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하층측의 접합 철물(7)에 있어서의 각 접합 플랜지(6)를 하층측의 수직 프레임재(11)에 있어서의 웹(23)에 접촉시키고, 필요한 내력을 얻을 수 있는 적당한 개수의 수평방향 드릴 나사(24)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층측에 배치된 볼트(4)의 상부에, 상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을 끼우고, 또한, 접합 철물(7)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장착하여 상하의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9)에 의하여 위치 고정하고, 각 접합 플랜지(6)를 상기 상층측의 벽 패널(12)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 스터드로 이루어지는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에, 필요한 내력을 얻을 수 있는 적당의 개수의 수평방향의 드릴 나사(24)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한다.
도16 내지 도19에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형태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사용하고, 하층 측벽 패널(내력벽)(12)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11)와 마루 패널(40)을 사이에 두고 상층 측벽 패널(18)의 수직 프레임재(11)를 접합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중, 부호(41)는 기초, 부호(42)는 앵커 볼트, 부호(43)는 1층의 벽 패널(내력벽)(12)로 앵커 볼트(42)를 일체로 연결하는 홀다운 철물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형태, 또는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형태,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형태의 접합 구조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설치하여 접합하는 경우의 방법으로서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대표 형태로 하고, 도 16 내지 도 18a, 도 18b, 도 18c에 나타내는 상하층의 벽 패널(내력벽)(12, 18)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11)을 접합하는 경우의 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접합 철물(1)에 있어서, 볼트(4)에 장착되어 있는 접합 철물(7) 및 각 와셔(36, 37) 및 암 나사 철물(8, 9) 중, 상층측에 배치되는 접합 철물(7) 하부의 적어도 암 나사 철물(9)을 장착하고, 암 나사 철물(9)이 있는 볼트(4)로 하고, 그 암 나사 철물(9)이 있는 볼트(4)를,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측 하측 프레임재(19)의 긴 구멍(20), 마루 패널(40)에 있어서의 바닥 밑판(floor sub-lining material)(17)의 긴 구멍(20)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의 절결부 또는 긴 구멍(22)에 삽통한다. 이 경우, 상기 암 나사 철물(9)이 각 구멍보다 크기 때문에, 볼트(4)가 하층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4)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층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암 나사 철물(9)이 한 개 있으면 되고, 상층측에 배치되는 이외의 부품을 장착한 상태라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 나사 철물(9)이 있는 볼트(4)를, 상층측으로부터 하층측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암 나사 철물(9)이 있는 볼트(4)에, 또는 상층측의 볼트(4)의 축부에, 평와셔(37)와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와 평와셔(37) 및 암 나사 철물(8)를 차례차례 장착하고, 또한, 하층측의 볼트(4)의 축부에, 암 나사 철물(8) 및 평와셔(37)와 상하 한 쌍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와 평와셔(37) 및 암 나사 철물(9)을 차례차례 장착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측에 있어서 상부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 및 평와셔(37)를 상승시킨 상태로, 접합 철물(7)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볼트(4)에 감합하고, 또한, 하층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상부의 단면 ㄷ자형의 와셔(36) 및 평와셔(37)를 상승시킨 상태로, 접합 철물(7)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볼트(4)에 감합시킴과 동시에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하층의 암 나사 철물(8, 9)을 회동하고, 각 와셔(36, 37)를 사이에 두고 접합 철물(7)을 압착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이 상태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웹(23)을 뒷면끼리를 포개어 한 쌍의 립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직 프레임재(11)의 각 웹(23)에, 드릴 나사(24)를 끼워 일체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볼트(4)에, 상층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나사 철물을 장착하고, 상기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볼트가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게 한 상태로, 상층측으로부터 하층측에 상기 볼트를 배치하면, 볼트를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는 상태로, 상하층에 걸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볼트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그 후의 볼트에 대한 암나사 철물 등의 부품의 장착, 특히 접합 철물의 장착도 수평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상하층의 수직 프레임재를 본 발명의 접합 철물을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에 의하여 연결된 상층 측벽 패널(18) 및 하층 측벽 패널(12)에서는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상층 측벽 패널(18)에 상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상층 측벽 패널(18)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 등의 패스너재, 상층측의 접 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볼트(4), 하층측의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 하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하층 측벽 패널(12)의 웹을 사이에 두고 하층 측벽 패널(12)에 전달되고,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상층 측벽 패널(18)에 아래로 향한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상층 측벽 패널(18)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상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 볼트(4), 하층측의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하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하층 측벽 패널(12)의 웹을 사이에 두고 하층 측벽 패널(12)에 전달되어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대하여, 하층 측벽 패널(12)에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하층 측벽 패널(12)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하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볼트(4), 상층측의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 상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상층 측벽 패널(12)의 웹을 거쳐 상층 측벽 패널(18)에 전달되어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진시 또는 바람 하중 등에 있어서, 하층 측벽 패널(12)에 아래로 향 한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하층 측벽 패널(12)의 수직 프레임재(11)의 웹(23)으로부터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하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 볼트(4), 상층측의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상층측의 접합 철물(7)의 접합 플랜지(6), 복수의 드릴 나사(24)의 패스너재, 상층 측벽 패널(12)의 웹을 사이에 두고 상층 측벽 패널(18)에 전달되어 바닥 밑판(17) 및 단 장선 또는 측 장선(16)이 압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을 구성하는 상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8) 및 하면 압착용 암 나사 철물(9)로서는 각각 락(lock) 너트를 포함한 2개의 너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볼트(4)로서는 축방향의 양단부 측에 수나사부를 가지는 볼트로 하여도 좋고, 중간 축부를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한, 축방향 양단에 볼트 축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각 축부를 구비한 볼트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의 볼트(4)로서 상하 방향의 일단측에, 육각의 볼트 머리 부분을 가지고, 양단측에 수나사부를 가지는 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되고, 이 경우는 볼트 중간 축부의 외경을 나사 홈보다 작게 하고, 또는 모든 나사 볼트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오목 홈(5a) 및 접합용 플랜지(6)를 가지는 접합 철물(7)로서는 복수의 강판을 용접에 의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또한, 접합 철물(7)을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1) 내에 있어 상하 대칭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7)
-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1개의 볼트에, 그 볼트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별개의 부재에 고정되는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홈에 상기 볼트는 착탈 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합 철물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상층의 수직 프레임재와 하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직 방향에 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1개의 볼트에, 그 볼트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층측 및 하층측에 배치되고,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에 고정되는 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접합 철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홈에 상기 볼트는 착탈 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합 철물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은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있어서,측방 개구 홈형 단면의 상기 접합 철물은 수평 방향의 양측에 접합용 플랜지를 가지는 단면 하트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합 철물의 홈 내에 볼트 축부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의 홈에 있어서의 측방 개구 폭은 볼트 축부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은 강판에 절곡 가공이 실시되어 단면 측방 개구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의 상하부에 볼트에 끼운 암나사 철물을 각각 배치하고, 상하의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접합 철물을 압착하고, 접합 철물을 볼트 긴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과 상기 암나사 철물의 사이에, 상기 볼트를 삽통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와셔는 상기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측판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는 각부를 가지는 단면 ㄷ자형의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와셔는 상기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양측판의 외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는 각부를 가지는 단면 ㄷ자형의 와셔와 그 단면 ㄷ자형의 와셔와 암나사 철물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암나사 철물이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합 철물의 측방 개구 홈에 볼트 외주부가 접촉하도록 감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 제1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이 이용되고, 건축물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수평 프레임재 상호 또는 바닥 장선 상호 또는 지붕틀의 현재 상호 등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구조.
- 제1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각 접합 철물이, 각각 상하에 서로 이웃하는 각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되고, 접합 철물과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구조.
- 제13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 각 접합 철물 중 어느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고, 접합 철물과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걸쳐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한쪽 접합 철물을 접합하여야 할 한쪽 부재에 접촉하여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상호의 접합 방법.
- 제14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상하의 각층에 배치되는 접합 철물 중 어느 한쪽 접합 철물을 상하의 어느 한쪽 층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시키고, 접합 철물과 수직 프레임재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다음으로, 다른 한쪽 접합 철물을 다른 한쪽 층에 있어서의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시켜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
- 제14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로 함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에 있어서의 볼트에, 상층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나사 철물을 장착하고, 상기 암나사 철물에 의하여 볼트가 하층측에 낙하하지 않게 한 상태로, 상층측으로부터 하층측에 상기 볼트를 배치한 후, 다른 암나사 철물을 볼트에 장착함과 동시에 각층의 접합 철물을 볼트에 설치하고, 다음으로, 접합 철물을 수직 프레임재의 수직 측면에 접촉시켜 수평 방향으로 드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패스너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도구를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의 접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40021 | 2004-11-25 | ||
JP2004340021 | 2004-11-25 | ||
JP2005229253A JP4364177B2 (ja) | 2004-11-25 | 2005-08-08 | 部材相互の接合金具および上下階縦枠材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
JPJP-P-2005-00229253 | 2005-08-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264A KR20060086264A (ko) | 2006-07-31 |
KR100715374B1 true KR100715374B1 (ko) | 2007-05-08 |
Family
ID=3546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4547A KR100715374B1 (ko) | 2004-11-25 | 2005-09-05 |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856787B2 (ko) |
JP (1) | JP4364177B2 (ko) |
KR (1) | KR100715374B1 (ko) |
CN (1) | CN100489204C (ko) |
TW (1) | TWI281960B (ko) |
WO (1) | WO200605710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58690B2 (en) * | 2003-10-24 | 2011-06-14 | Simpson Strong-Tie Co., Inc. | Stitching system hold-down |
JP2006241745A (ja) * | 2005-03-01 | 2006-09-14 | Nice Corp | 通し柱の補強構造と補強金物 |
WO2008109139A2 (en) * | 2007-03-06 | 2008-09-12 |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 Continuity tie for prefabricated shearwall |
JP4937833B2 (ja) * | 2007-05-24 | 2012-05-23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耐力壁並列式の壁構造および建築構造物 |
KR100830239B1 (ko) * | 2007-07-02 | 2008-05-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시공 앵커를 이용한 경량 합성구조 시스템의 상하층경량합성 벽체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복합화방법 |
CN101925713B (zh) * | 2008-01-24 | 2013-03-27 | 新日铁住金株式会社 | 接合金属器件及具备该接合金属器件的建筑物 |
HRP20110582A2 (hr) * | 2011-08-04 | 2013-04-30 | Tomislav PRLIĆ | Zidna montažna struktura za pasivne zgrade, primjena i postupak proizvodnje |
US20130114994A1 (en) * | 2011-11-04 | 2013-05-09 | Robert Erik Grip | Truss end pad fitting |
JP5995466B2 (ja) * | 2012-03-12 | 2016-09-21 | 住友林業株式会社 | 木造建築構造躯体 |
US9366020B2 (en) * | 2012-11-06 | 2016-06-14 | Fc Modular, Llc | Modular building unit connection system |
JP6202931B2 (ja) * | 2013-08-06 | 2017-09-27 | 住友林業株式会社 | 結合部材、結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木部材接合構造 |
CN104831816B (zh) * | 2015-05-29 | 2018-03-16 | 郴州远大住宅工业有限公司 | 装配式建筑墙板与楼板拉接铆榫一体节点及其施工方法 |
JP6794688B2 (ja) * | 2016-07-14 | 2020-12-02 | 日本製鉄株式会社 | 壁パネルの連結構造 |
CN108729564B (zh) * | 2017-04-19 | 2024-04-16 |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 装配式建筑体系 |
JP6762621B2 (ja) * | 2018-08-23 | 2020-09-30 | 株式会社グリーン・リボーン | 接合具、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
JP6726379B1 (ja) * | 2019-09-13 | 2020-07-22 | 長瀬 健一 | 鉄骨軸組構造建造物 |
CN111411688B (zh) * | 2020-04-01 | 2021-04-23 | 扬州市丰扬新特建材科技有限公司 | 钢筋混凝土框架结构 |
CA3173717A1 (en) * | 2020-04-03 | 2021-10-07 | Thomas M. Espinosa | Reinforced tie rod and a building wall using the same |
AU2021414233A1 (en) | 2020-12-31 | 2023-07-20 | Mitek Holdings, Inc. | Rapid assembly construction modules and methods for use |
CA3155059A1 (en) * | 2021-02-09 | 2022-08-09 | Arash Niazi | Composite joist with integrated stud of joist without welding in connections of joist |
TR202102472A2 (tr) * | 2021-02-22 | 2021-03-22 | Oezguer Yoeney | YENİ BİR MODÜL KOLONU ve MODÜLER BİNA BİRLEŞİM KONSTRÜKSİYONU |
CN114876085B (zh) * | 2022-06-23 | 2023-07-25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叠合楼板与预制墙体的装配式抗震构造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869A (ja) * | 2001-03-29 | 2002-10-09 | Kanai:Kk | 引寄せ金物 |
KR20030006886A (ko) * | 2001-10-15 | 2003-01-23 | 경민산업주식회사 | 구조용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목구조 건축의 구조 모델과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접합철물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25815A (en) * | 1943-10-23 | 1953-01-20 | Eric A Black | Adjustable anchorage |
JPS5513379A (en) * | 1978-07-17 | 1980-01-30 | Tozuka Koumuten Kk | Building such as house |
US4875314A (en) * | 1987-01-06 | 1989-10-24 | Boilen Kenneth T | Connection system for preventing uplift of shear walls |
US5092097A (en) * | 1990-09-10 | 1992-03-03 | United Steel Products Co. | Holddown connector |
JP2602054Y2 (ja) * | 1993-04-20 | 1999-12-20 | 宏樹 金井 | 建材引き寄せ金具 |
JPH10311110A (ja) | 1997-05-13 | 1998-11-24 | Sugimoto Kenchiku Kenkyusho:Kk | 建築物の接合構造 |
US6014843A (en) * | 1998-02-13 | 2000-01-18 | Crumley; Harvel K. | Wood frame building structure with tie-down connectors |
US6550200B1 (en) * | 1999-06-16 | 2003-04-22 | Lee W. Mueller | Anchor interconnect device |
US6158188A (en) * | 1999-09-13 | 2000-12-12 | Mga Construction Hardware & Steel Fabricating Ltd. | Holdowns |
US6625945B2 (en) * | 2000-08-08 | 2003-09-30 | Alfred D. Commins | Balanced, multi-stud hold-down |
US6453634B1 (en) * | 2000-12-01 | 2002-09-24 |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 Moment-resisting strap connection |
US6920724B1 (en) * | 2001-01-04 | 2005-07-26 | Epic Metals Corporation | Bracket for a structural panel and a structural panel made with such a bracket |
CN2496948Y (zh) * | 2001-07-10 | 2002-06-26 | 高文展 | 钢框架复合外墙板与梁、柱及墙板间的连接结构 |
CN2494395Y (zh) * | 2001-08-17 | 2002-06-05 | 晋禾企业股份有限公司 | 使用于钢结构上的锁合装置 |
JP3655584B2 (ja) * | 2001-12-21 | 2005-06-02 | コマツハウス株式会社 | 建物ユニットの柱構造 |
JP3881899B2 (ja) * | 2002-01-31 | 2007-02-14 | 三井ホーム株式会社 | 引寄せ金物 |
JP3088396U (ja) * | 2002-03-06 | 2002-09-06 | 株式会社カナイ | 引寄せ金物 |
US7117648B1 (en) * | 2003-10-21 | 2006-10-10 | John Duncan Pryor | Cross tie connection bracket |
US7958690B2 (en) * | 2003-10-24 | 2011-06-14 | Simpson Strong-Tie Co., Inc. | Stitching system hold-down |
US7124550B1 (en) * | 2004-04-14 | 2006-10-24 | Richard Allen Deming | Anchoring framework to a masonry wall |
-
2005
- 2005-08-08 JP JP2005229253A patent/JP4364177B2/ja active Active
- 2005-09-05 TW TW094130354A patent/TWI28196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9-05 US US10/559,041 patent/US78567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05 WO PCT/JP2005/016676 patent/WO200605710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05 CN CNB2005800005254A patent/CN10048920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05 KR KR1020057024547A patent/KR1007153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869A (ja) * | 2001-03-29 | 2002-10-09 | Kanai:Kk | 引寄せ金物 |
KR20030006886A (ko) * | 2001-10-15 | 2003-01-23 | 경민산업주식회사 | 구조용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목구조 건축의 구조 모델과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접합철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30006886 |
142948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39235A (zh) | 2006-09-27 |
TWI281960B (en) | 2007-06-01 |
KR20060086264A (ko) | 2006-07-31 |
US7856787B2 (en) | 2010-12-28 |
JP4364177B2 (ja) | 2009-11-11 |
CN100489204C (zh) | 2009-05-20 |
WO2006057100A1 (ja) | 2006-06-01 |
US20070110513A1 (en) | 2007-05-17 |
TW200617249A (en) | 2006-06-01 |
JP2005320860A (ja) | 2005-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5374B1 (ko) |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 |
JP3878742B2 (ja) | 凹形シートを備えるホールダウン接合具 | |
AU719125B2 (en) | Connector with concave seat | |
KR20060090572A (ko) | 부재 상호의 접합 철물 및 상하층 수직 프레임재 접합 구조및 접합 방법 | |
JP3209111U (ja) |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 |
JP4937833B2 (ja) | 耐力壁並列式の壁構造および建築構造物 | |
JP4057797B2 (ja) | 角形鋼接合用の変形防止金物とフレームの組立て方法。 | |
JPH11166305A (ja) | 手すり壁構造 | |
JPH0716812Y2 (ja) | 屋根組用ア−チトラス | |
JP5829887B2 (ja) | 建物の屋根補強構造及び建物の屋根補強方法 | |
JPS5918011Y2 (ja) | 小屋組み装置 | |
JP3922797B2 (ja) | 木造建築の小屋組み工法 | |
JPH10121634A (ja) | 床または屋根の支持方法 | |
JP2004084353A (ja) | 屋根用トラス梁の据付構造及び据付方法 | |
KR100511651B1 (ko) | 박판 경량 형강을 이용한 건축물의 접합 구조 | |
JPH023863B2 (ko) | ||
JP3698059B2 (ja) | 切妻屋根の小屋組構造 | |
JP3032005U (ja) | フレ−ムの接合構造 | |
JP2002317520A (ja) | 床構造及び床の施工方法 | |
JP2002167891A (ja) | コーナ部連結金物および上下階接続構造 | |
JP3742512B2 (ja) | ユニット建物 | |
JPH041823B2 (ko) | ||
AU746401B2 (en) | A framing system for buildings | |
JP3703895B2 (ja) | 金属製結合桁 | |
JP2000120220A (ja) | 軽量梁とその取り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