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792B1 - 혈압계 - Google Patents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792B1
KR100712792B1 KR1020050084532A KR20050084532A KR100712792B1 KR 100712792 B1 KR100712792 B1 KR 100712792B1 KR 1020050084532 A KR1020050084532 A KR 1020050084532A KR 20050084532 A KR20050084532 A KR 20050084532A KR 100712792 B1 KR100712792 B1 KR 10071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od pressure
pressure monitor
cuff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194A (ko
Inventor
히로시 키시모토
요시히코 사노
히로미치 카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ntis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이 혈압계에 채용된 하우징은,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가지며, 커프스 띠(10)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굴곡부(B)가 마련되고, 굴곡부(B)를 경계로 하여, 커프스 띠(10)의 외주 표면의 일방측에 제 1 하우징(20)이 배설되고, 타방측에 제 2 하우징(30)이 배설되어 있다. 이로써, 측정시와 수납시와의 비교에 있어서, 그 전체의 체적을 크게 변화시킴에 의해, 수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혈압계를 제공할 수 있다.
혈압계

Description

혈압계{SPHYGMOMANOMETER}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측면도(커프스 띠만의 단면도).
도 3은 도 1중 Ⅲ-Ⅲ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에 채용되는 커프스 띠의 컬러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컬러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를 생체에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를 생체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를 수납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커프스 띠만의 단면도).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장착 상태에서의 측면도(커프스 띠만의 단면도).
도 11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커프스 띠만의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장착 상태에서의 측면도(커프스 띠만의 단면도).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 그 수납성, 휴대성에 관한 혈압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인체의 상완(上腕) 또는 손목에 커프스 띠를 휘감아서 측정을 행하는 혈압계에서는, 일상의 사용시에는 항상 휴대시간·장소를 불문하고 측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혈압계 본체부 및 커프스 띠의 수납성·휴대성이 필요하게 된다.
문헌1(특개2003-299626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박형화와 컴팩트화를 도모하기 위해, 조혈용(阻血用) 커프스 띠와 혈압계 본체가 겹쳐지는 측정 자세와 조혈용 커프스 띠와 혈압계 본체가 병치(竝置)되는 수납 자세로 전환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고, 조혈용 커프스 띠와 혈압계 본체를 일체화시킨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문헌2(특개평06-105813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클립 판의 외면에 오목홈을 마련하고, 안쪽으로 접어갬이 자유로우며 원호형상 단면(斷面)에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접어개고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형성한 혈압계의 커프스 띠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문헌3(실개평05-1078203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하우징의 곡률이 변화하여 장착성이 향상하도록, 커프스 띠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분할된 강체부를 가요성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문헌4(특개평09-285453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손목시계형 혈압계에 있어서 장착성 향상을 위해, 시계부와 혈압 측정부를 커프스 띠 둘레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하고, 펌프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하고 전체를 박형으로 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문헌5(특개평11-056796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본체 구성이 표면에 표시부, 측면에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음에 의해, 표면 전체를 표시부의 배치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조작 스위치의 두께가 전체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문헌6(특개평06-114015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본체 좌우의 비스듬히 하방에 압박대의 외주면에 따르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중량물이 배치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문헌7(특개평11-04227호 공보)에 개시되는 혈압계에서는, 전지(電池)를 본체 양단부에 분배하여 배치하고 있음과 함께 양 전지를 커프스 띠에서 보아 같은 높이에 배치하고 있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각 구성에서는, 수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정시와 본체의 형태나 컬러(curler) 형상을 변화시키는 수납시를 비교한 경우, 전체의 체적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고 그 효과는 작다. 본체를 박형으로 하여 장착성을 향상하여도 컬러의 형상이 그대로이면 수납성은 뒤떨어진다. 한편,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하기 위해 컬러의 형상을 작게 하는 구성, 컬러 자체를 부드러운 재료로 하는 구성 에서는, 커프스 띠의 압박력이나 장착성을 저해하는 것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혈압계 내부 컴포넌트를 소형화로 하고 그 배치 구성을 밀접하게 하여도, 본체 내부에 전지를 배치하고 있는 한, 전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체 형상이 전지 형상에 의존하고 본체 소형화·박형화에 한계가 생긴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압계의 수납시에 있어서, 그 형태가 충분히 소형화되지 않고, 수납성·휴대성의 향상이 충분히 도모되지 않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시와 수납시의 비교에 있어서, 그 전체의 체적을 크게 변화시킴에 의해 수납성·휴대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혈압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에서는, 혈압 측정용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생체에 휘감기는 커프스 띠를 구비하는 혈압계로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커프스 띠에는 절곡되는 굴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커프스 띠의 외주 표면의 일방측에 상기 제 1 하우징이 배설되고, 타방측에 상기 제 2 하우징이 배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에 의하면, 혈압 측정용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분리하고, 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사이에, 커프스 띠의 굴곡부를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굴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충분히 커프스 띠를 절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하우징 및 커프스 띠를 충분히 접어개는 구조로 할 수 있고,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수납 케이스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휴대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프스 띠가 굴곡점을 중심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장착시에 있어서 커프스 띠를 인체에 구속시키기 쉽도록, 비교적 딱딱한 컬러를 내장한 커프스 띠를 이용한 경우라도,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프스 띠를 작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또한 부드럽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프스 띠의 압박 성능 및 장착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에는, 혈압 측정 장치 본체를 수납하고, 제 2 하우징에 전원을 수납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 2 하우징의 크기(두께)는, 전지 등의 전원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지만, 제 1 하우징에서는 전원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욱 휴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의 구조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커프스 띠(1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 혈압계(100A)는 혈압 측정용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40)과, 이 하우징(40)을 지지하고, 생체(1)에 휘감기는 커프스 띠(10)를 구비하고 있다, 커프스 띠(10)는 내부에 공기가 도입됨에 의해 생체의 동맥을 압박하기 위한 공기대(空氣袋)(11)와, 커프스 띠(10)의 형태를, 생체(도 2에서는 손목)에 휘감기 쉬운 형태로 하기 위해, 그 단면(斷面) 형상을 대략 원호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컬러(12)를 가지며, 이 공기대(11)와 컬러(12)는,외포(外布)(13) 및 내포(14)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외포(13)의 일단측의 외면에는, 면 파스너(16)가 마련되고, 외포(13)의 타단측의 내면에는, 커프스 띠(10)의 손목(1)의 휘감는 강도, 및 휘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용 면 파스너(15)가 부착되어 있다.
컬러(1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원호 형상으로 유지된 형상을 가지며, 가소성 수지제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어개여진 상태를 기본 형태(성형 형상 상태)로 하고 있다. 이 컬러(12)는, U자 형상으로 성형된 힌지부(12C)와, 이 힌지부(12C)를 경계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지는 제 1 만곡부(12A) 및 제 2 만곡부(12B)를 가지고, 제 1 만곡부(12A)의 일단이, 제 2 만곡부(12B)의 일단측에 덮여 씌워지는 형태를 갖고 있다. 제 2 만곡부(12B)의 외주면상에는, 계지편(係止片)(12D)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계지편(12D)은 후술하는 제 1 하우징(20)의 저면에 마련된 구멍에 계합함에 의해, 제 1 하우징(20)을 커프스 띠(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계지편을 제 1 만곡부(12A)의 외주면상에 마련함으로써, 후술하는 제 2 하우징(30)을 커프스 띠(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컬러(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접어개여진 상태가 기본 형태로서 안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만곡부(12A) 및 제 2 만곡부(12B)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컬러(12)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을 향하는 힘(도면중 화살표 A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만곡부(12A) 및 제 2 만곡부(12B)가 외측으로 벌려진 상태를, 안정된 상태인 기본 형태(성형 형상 상태)로 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접어개여진 상태에서, 컬러(12)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을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컬러(12)를 구성함으로써, 커프스 띠(10)는 컬러(12)의 힌지부(12C)에서 굴곡부(B)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컬러(12)를 탄성 부재로 성형함으로써, 컬러(12) 자신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도 5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의 변화, 또는,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로의 변화), 원래의 기본 형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40))
재차,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40)은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으로 분리되고, 커프스 띠(10)의 굴곡부(B)를 경계로 하여, 커프스 띠(10) 의 외주 표면의 일방측에 제 1 하우징(20)이 배설되고, 타방측에 제 2 하우징(30)이 배설되어 있다. 제 1 하우징(20)에는 혈압 측정 장치 본체(23)가 수용되고, 그 표면에는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1), 조작부(22)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제어 유닛, 에어 펌프 등의 주요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제 2 하우징(30)에는 전원으로서의 전지(31)가 수용되어 있다. 제 2 하우징(30) 내에는 전지(31)에 접속하는 전지용 전극(32)이 소정 위치에 배설되고, 이 전지용 전극(32)은 케이블(33)에 의해 제 1 하우징(20) 내의 혈압 측정 장치 본체(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0) 내에 마련된 에어 펌프로부터 공기대(11)에의 튜브 등의 공기계 접속 부재는 커프스 띠(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 사이의 커프스 띠(10)의 굴곡부(B)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추축부(樞軸部)(5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추축부(50)에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추축부(50)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60)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추축부(50)에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추축부(5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내측을 향하여 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60)이 배설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컬러(12) 자신의 가요성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접어개여지는 힘이 작용하고 있은 형태를 기본으로 한 경우(도 4에 도시한 형태), 그 작용을 부 가할 목적으로 코일 스프링(60)을 배설하면, 커프스(10)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손목(생체)에의 그립력이 증가하고, 커프스(10)의 장착시의 생체에의 압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코일 스프링(60)을 커프스 띠(10)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시킨 경우에는, 후술하는 케이스(500)로부터 혈압계(100A)를 취출할 때에, 접어개여진 상태에서 벌어진 컬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생체에 장착할 때에 컬러를 벌리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혈압계(100A)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본 상태에서는 커프스 띠(10)가 접어개여진 상태로 되지만,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굴곡부(B)를 경계로 하여 분리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커프스 띠(10)는 굴곡부(B)를 중심으로 하여 크게 절곡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장착 상태에 비하여,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의 수납 케이스(500)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휴대성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0)의 굴곡부(B)측에 위치하는 영역과, 제 2 하우징(30)의 굴곡부(B)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각각 스토퍼 영역으로서의 맞닿은 영역(24, 25)을 마련함으로써, 커프스 띠(40)가 외측을 향하고 벌어진 때(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상태)에, 커프스 띠(40)의 외측으로 소정 이상의 벌어짐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프스 띠(10)가 굴곡점(B)을 중심으로 절 곡되기 때문에, 장착시에 있어서 커프스 띠(10)를 손목에 구속시키기 쉽도록, 비교적 딱딱한 컬러(12)를 내장한 커프스 띠(10)를 이용한 경우라도,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프스 띠(10)를 작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또한 부드럽게 할 필요가 없어, 커프스 띠(10)의 압박 성능 및 장착성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없다.
또한, 제 1 하우징(20) 혈압 측정 장치 본체(23)를 수용하고, 제 2 하우징(30)에 전지(31)를 수용함으로써, 제 2 하우징(30)의 크기(두께)는 전지(31)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지만, 제 1 하우징(20)에서는 전지(31)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0)의 설계에서는 전지(31)의 총 높이에 의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1 하우징(20)의 크기, 커프스 띠(10)의 폭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0)을 박형으로 하여도, 전지(31)의 배치 스페이스에 구애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표시부(21)의 면적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를 박형으로 하여도, 전지 배치 스페이스에 구애되는 일 없이 조작부(22)의 면적 또는 개수를 증가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B)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과,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특징적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는, 하우징(40)에 있어서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은, 추축부(5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B)는, 제 2 하우징(30)이, 제 1 하우징(20)에 대해 완전하게 분리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33) 등의 전기계 접속 부재는, 커프스 띠(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혈압 측정 장치 본체(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혈압계(100B)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하우징(20)에 굴곡부(B)의 위치와 일치하는 추축부(50)를 마련하고 있지만, 추축부(50)를 폐지하고, 제 1 하우징(20)을 제 2 하우징(30)과 마찬가지로, 커프스 띠(10)의 윗면에 독립한 형식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접어개여진 상태를 기본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도 10의 생체에 장착된 상태를 기본 형태로 하고, 컬러(1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접어개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C)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특징적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는, 커프스 띠(10)의 컬러(12)에 힌지부(12C)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C)는, 힌지부(12C)를 마련하지 않고, 제 1 만곡부(12A)와 제 2 만곡부(12B)가 분리된 컬러(12)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제 1 만곡부(12A)와 제 2 만곡부(12B)가 분리된 영역의 윗면측에,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의 추축부(50)를 배치시키고, 이 영역에서 굴곡부(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축부(50)에는, 코일 스프링(6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혈압계(100C)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혈압계(100A)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접어개여진 상태를 기본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도 12의 생체에 장착된 상태를 기본 형태로 하고,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접어개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지(31)의 길이 방향의 배치 방향으로서, 커프스 띠(10)의 늘어나는 방향(휘감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지(31)의 길이 방향과 커프스 띠(10)의 늘어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지(31) 및 제 2 하우징(30)으로서, 충전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상세하고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압계는, 측정시와 수납시의 비교에 있어서, 그 전체의 체적을 크게 변화시킴에 의해 수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혈압 측정용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을 지지하고 생체에 휘감기는 커프스 띠(10)를 구비하는 혈압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은,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가지며,
    상기 커프스 띠(10)에는, 절곡되는 굴곡부(B)가 마련되고, 상기 굴곡부(B)를 경계로 하여, 상기 커프스 띠(10)의 외주 표면의 일방측에 상기 제 1 하우징(20)이 배설되고, 타방측에 상기 제 2 하우징(30)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띠(10) 및 상기 하우징(4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접어개여진 상태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커프스 띠(10)가 외측을 향하여 벌어진 때에, 내측을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원호 형상을 갖는 가요성의 탄성력을 갖는 컬러(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12)에 힌지부(12C)를 마련하고, 이 힌지부(12C)에서, 상기 굴곡부(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띠(10) 및 상기 하우징(4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벌어진 상태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커프스 띠(10)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때에, 외측을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원호 형상을 갖는 가요성의 탄성력을 갖는 컬러(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12)에 힌지부(12C)를 마련하고, 이 힌지부(12C)에서, 상기 굴곡부(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띠(10)는, 원호 형상을 갖는 2개로 분리된 컬러(12A, 12B)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B)를 끼우고, 2개로 분리된 상기 컬러(12A, 12B)가 배설되고, 상기 커프스 띠(10) 자신에 의해 상기 굴곡부(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띠(40)가 외측을 향하여 벌어진 때에, 상기 커프스 띠(40)의 외측으로의 벌어짐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20)의 상기 굴곡부측에 위치한 영역과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상기 굴곡부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각각 맞닿는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20) 및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커프스 띠(2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20)에는, 혈압 측정 장치 본체가 수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30)에는, 전원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KR1020050084532A 2004-09-15 2005-09-12 혈압계 KR100712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8175 2004-09-15
JP2004268175A JP4590998B2 (ja) 2004-09-15 2004-09-15 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94A KR20060051194A (ko) 2006-05-19
KR100712792B1 true KR100712792B1 (ko) 2007-04-30

Family

ID=3538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532A KR100712792B1 (ko) 2004-09-15 2005-09-12 혈압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58687A1 (ko)
EP (1) EP1637073A1 (ko)
JP (1) JP4590998B2 (ko)
KR (1) KR100712792B1 (ko)
CN (1) CN1748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551B2 (en) * 2000-03-02 2007-06-26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1,5-disubstituted-3,4-dihydro-1h-pyrimido[4,5-d]pyrimidin-2-on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csbp/p38 kinase mediated diseases
US20070299350A1 (en) * 2006-06-07 2007-12-27 Mordechai Lev Blood pressure monitor with removable power source
JP2008246044A (ja) * 2007-03-30 2008-10-16 Citizen Holdings Co Ltd 血圧計
JP5176881B2 (ja) * 2008-11-04 2013-04-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計用充電ユニット
JP5487963B2 (ja) * 2009-12-29 2014-05-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895673B2 (ja) * 2012-04-05 2016-03-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
CN103393411B (zh) * 2013-08-12 2015-03-25 苏波 手腕式监护器
CN103622672B (zh) * 2013-11-05 2016-06-08 深圳市世瓴科技有限公司 挂扣结构、挂扣式传感设备及检测人体生理参数的方法
JP6750225B2 (ja) 2016-01-04 2020-09-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機器
CN106618495A (zh) * 2016-12-06 2017-05-10 郭福生 一种脸托及使用该脸托的舌面仪
JP6751666B2 (ja) * 2016-12-28 2020-09-09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並びに機器
US20180325396A1 (en) * 2017-05-09 2018-11-1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Finger cuff connector
JP7102334B2 (ja) * 2018-12-27 2022-07-1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充電用コネクタ
JP6718000B1 (ja) * 2019-06-27 2020-07-0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血圧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5563A1 (en) * 1994-10-07 1996-04-10 Omron Corporation A blood pressure monitor
US6151968A (en) 1998-01-16 2000-11-28 Chou; Deng-Jeng Wrist band type electronic sphygmomanometer
EP1224907A2 (en) * 2001-01-23 2002-07-24 Omron Corporatio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WO2004004558A1 (en) * 2002-07-09 2004-01-15 Healthstats International Pte Ltd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blood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531A (ja) * 1983-06-15 1984-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JPS61217132A (ja) * 1985-03-22 1986-09-26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US4790325A (en) * 1985-11-25 1988-12-13 Lee Arnold S Automatic arterial blood pressure recorder
JPH0578203U (ja) * 1992-03-31 1993-10-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子式血圧計
JP3151307B2 (ja) 1992-09-25 2001-04-03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
JP3175980B2 (ja) 1992-10-02 2001-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US5807266A (en) * 1995-05-25 1998-09-15 Omron Corporation Finger-type blood pressure meter with a flexible foldable finger cuff
JPH09285453A (ja) 1996-04-23 1997-11-04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型血圧計
JPH1142217A (ja) 1997-07-28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
JPH1156796A (ja) 1997-08-13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
DE69938920D1 (de) * 1998-01-13 2008-07-31 Omron Healthcare Co Ltd Handgelenk-blutdruckmesser
US6344025B1 (en) * 1999-02-19 2002-02-05 Omron Corporation Blood pressure monitor
JP2002172095A (ja) * 2000-12-06 2002-06-18 K & S:Kk 脈波測定装置
US20020077558A1 (en) * 2000-12-13 2002-06-20 Kazunobu Itonaga Vital sign detection device
WO2003001180A2 (en) * 2001-06-20 2003-01-03 Purdue Research Foundation Body-member-illuminating pressure cuff for noninvasive optical measurement
DE60315805D1 (de) * 2002-01-23 2007-10-04 Bang & Olufsen Medicom As Blutdruckmessvorrichtung mit manschette aus zwei öffnenden konkaven schalenteilen
JP3956747B2 (ja) 2002-04-10 2007-08-08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及びその収納ケース
JP3972141B2 (ja) * 2002-05-09 2007-09-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脈波計
JP3818220B2 (ja) * 2002-06-03 2006-09-0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手首式血圧計用カフ
JP4186740B2 (ja) * 2003-07-25 2008-11-26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JP4186873B2 (ja) * 2004-05-25 2008-11-26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5563A1 (en) * 1994-10-07 1996-04-10 Omron Corporation A blood pressure monitor
US6151968A (en) 1998-01-16 2000-11-28 Chou; Deng-Jeng Wrist band type electronic sphygmomanometer
EP1224907A2 (en) * 2001-01-23 2002-07-24 Omron Corporatio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WO2004004558A1 (en) * 2002-07-09 2004-01-15 Healthstats International Pte Ltd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blood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8640B (zh) 2010-05-05
US20060058687A1 (en) 2006-03-16
KR20060051194A (ko) 2006-05-19
JP2006081655A (ja) 2006-03-30
EP1637073A1 (en) 2006-03-22
CN1748640A (zh) 2006-03-22
JP4590998B2 (ja)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792B1 (ko) 혈압계
KR100679972B1 (ko) 혈압계
JP3818220B2 (ja) 手首式血圧計用カフ
JP5919706B2 (ja) バンド及び電子機器
JP5580801B2 (ja) 生体情報検出装置
JP2006271406A (ja) カフ帯巻付機構を備えた血圧計
JP5493071B2 (ja) 血圧計
JPH11299749A (ja) 生体圧迫装置
WO2017043260A1 (ja) 脈波検出装置
JP3151307B2 (ja) 血圧計のカフ帯
KR101934682B1 (ko) 배터리 수납형 웨어러블 밴드
JP3911915B2 (ja) 蓋構造
US9564625B2 (en) Flexible cascade unit for cascading electrical elements and device thereof
JP5208657B2 (ja) 生体圧迫装置及び血圧測定装置
EP4342375A1 (en) Wearable physiological measurement apparatus
CN215191511U (zh) 一种腕带式血压测量装置
JP3500904B2 (ja) 血圧計のカフ帯
WO2022062774A1 (zh) 可穿戴设备
WO2024018666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220546403U (zh) 一种按摩机构及眼部按摩仪
KR20180014908A (ko) 배터리 수납형 웨어러블 밴드
JP2004130061A (ja) 携帯用電子機器保護ケース
JP2004028834A (ja) 電子機器
JP2005270354A (ja) クリップ板
JP2003014736A (ja) 唾液乾燥組織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