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441B1 -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 Google Patents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441B1
KR100709441B1 KR1020037014592A KR20037014592A KR100709441B1 KR 100709441 B1 KR100709441 B1 KR 100709441B1 KR 1020037014592 A KR1020037014592 A KR 1020037014592A KR 20037014592 A KR20037014592 A KR 20037014592A KR 100709441 B1 KR100709441 B1 KR 10070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er core
axial
co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952A (ko
Inventor
알레스 카프카
Original Assignee
에프에이비 에이.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Z20011801A external-priority patent/CZ293846B6/cs
Priority claimed from CZ20021294A external-priority patent/CZ293847B6/cs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이비 에이. 에스. filed Critical 에프에이비 에이. 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0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58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non-destructive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9/0026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longitudinally movable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805Freely movable when 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8Rotary plug
    • Y10T70/7593Sliding tumblers
    • Y10T70/7599Transverse of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667Operating elements, parts and adjuncts
    • Y10T70/7706Operating connect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ctuator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부 실린더형 공동에는 키이 채널(22)과 스프링 로드된 텀블러(20, 20')가 장착된 실린더 코어(2)가 정렬된 하우징(1)을 포함하며, 상기 키이 채널 내(22)로 적절치 않은 키이가 삽입될 때에는, 상기 텀블러(20, 20')의 블록킹 돌출부(201)는 실린더 코어(2)가 회전을 위하여 지지되는 부재 내에 형성된 블록킹 홈(13, 13') 내로 돌출하며, 적절한 키이가 충분히 삽입될 때에는, 상기 텀블러(20, 20')의 블록킹 돌출부(201)는 상기 실린더 코어의 외주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실린더 코어가 적절한 키이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실린더형 코어(2)와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와의 커플링을 위하여, 상기 실린더 코어가 부적절한 키이 또는 외부에 의한 강제적으로 회전될 때에는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로부터 실린더형 코어(2)의 비커플링을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에 사용하는 실린더 로크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크의 핵심은 상기 하우징(1)의 실린더형 내부 공동에는 이를 통하여 회전가능한 환형의 홈(11)을 구비하며, 상기 출력 부재(3)로부터 상기 실린더형 코어(2)의 해제 축선 변위 방향(o)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축방향 측면에서 상기 인접하는 회전가능한 환형의 홈(11)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2)가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홈(13)에 의하여 중단되어지며,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은 상기 출력 부재(3)로부터 실린더 코어(2)의 해제 축선 변위 방향(o)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 로크, 실린더형 코어, 외부 부재, 하우징, 환형 홈

Description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CLOSING CYLINDE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로크의 실린더 코어는 키이 채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실린더 코어가 적절한 키이에 의하여 회전될 때 축방향 커플링에 의하여 스프링-로드된 텀블러(spring-loaded tumblers)가 출력 부재와 결합되며, 실린더 코어가 부적절한 키이 또는 이물체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될 때에는 결합이 해제된다. 권한을 받지 않고 실린더 코어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와의 커플링 해제가 일어나므로,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도어 로크 래치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실린더 로크의 실린더 코어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실린더 코어와 출력 부재와의 커블링 또는 비커플링은 대부분 경우에 축방향 병진운동의 제 1 단부 위치에서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와 실린더 코어를 연결하며, 축방향 병진운동의 제 2 단부 위치에서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와 실린더 코어를 해제하는 축방향 커플링에 의하여 실행된다.
예컨대, 이러한 종류의 실린더 로크 부재가 독일 특허출원 DE 43 16 223 A1 과 DE 196 04 350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로크의 각각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케이지가 하우징의 실린더형 내부 공동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한편 실린더형 빈 공간 내에서는 키이 채널이 구비되며 스프링 로드된 텀블러가 장착된 실린더 코어가 지지된다. 만약에 적절하지 않은 키이가 키이 채널 내에 완전히 인입된다면, 텀블러의 블록킹 돌출부는 상기 실린더 코어의 외주부 밖으로 돌출하며 케이지의 블록킹 홈 내에서 맞물린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실린더 코어는 결합 회전을 위하여 케이지에 연결되며, 실린더 코어가 회전될 때, 상기 케이지는 또한 동시에 하우징 내에서 코어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케이지의 외부 단부면에는 하우징의 단부 돌출부에 대응하는 멈춤쇠 부분에 맞물리는 리프팅 프로파일이 제공된 멈춤쇠 부분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지의 회전 동안에 케이지의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 하우징에 관련해서 위치 변화가 일어난다. 이런 축방향 운동 동안에, 동시에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를 구성하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커플링은 실린더 코어와 맞물리지 않게 이동되며, 그 결과로 실린더 코어와 외부 출력부분 사이에 동적 연결은 끊어지며, 이후에 도어 로크 래치의 활성없이 실린더 코어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이와 유사한 구조의 단점으로는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케이지를 사용하면, 실린더 로크의 실린더 코어와 하우징 사이에 추가적인 안전 요소, 예컨대 하우징 밖으로 실린더를 뽑거나 안으로 박아넣는 어떠한 보호 수단를 제공해야 하므로 값이 비싸게 된다.
환형의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커플링이 독일 특허출원 DE 44 10 783 C1에 공지되어 있는바, 상기 커플링의 내부 단부 부분에는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 상에 구비되는 커플링 돌출부와 함께 결합을 하는 인트레인 리세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커플링의 외부 단부 부분에는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 내에 형성된 구속 리세스와 맞물림을 위하여 제공되는 구속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의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커플링은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와 영구적으로 단단하게 회전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커플링은 상술한 구속 돌출부에 의하여 실린더 코어로부터 비커플링된 조건하에 구속 리세스와 맞물려서 결과적으로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는 그 위치에서 구속된다. 실린더 코어로부터 환형의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커플링의 비커플링은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리프팅 프로파일과 함께 구비되는 케이지의 단부면에 형성된 멈춤쇠 부분에 의하여 실행되며, 리프팅 프로화일은 실린더 코어가 권한을 가지지 않고 회전의 경우에는 결합 회전을 위한 실린더 코어에 의하여 인트레인 된다. 상술한 리프팅 프로파일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커플링을 실린더 코어와의 연결로부터 이동시키며, 커플링을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구속 리세스와 함께 단단한 회전 맞물림 연결로 이동시킨다.
실린더 로크를 강제로 열게 한 후에, 적절한 키이로 다시 실린더 로크를 열기를 원할 때에는, 실린더 코어는 케이지와 함께, 실린더 코어의 초기 위치로 회전하여야 하며, 케이지의 단부면과 이에 마주하는 환형 커플링 단부면에 제공된 멈춤쇠 부분과 이와 관련해서 짝을 이룬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술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하여 커플링의 축방향 복귀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그 결과적으로 하우징으로 부터 비커플링을 하고 뿐만아니라 조인트 회전을 위해 커플링과 실린더 코어를 연결한다.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커플링의 단점은 복잡하다는 것이며, 제조관점에서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 내에 축방향 가이던스를 요구하며, 축방향 변위를 위하여 멈춤쇠 부분이 장착된 케이지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뿐만아니라 실린더 코어와 맞물림 상태로 커플링의 복귀 변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없는 스프링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상술한 단점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회피되며, 본 발명의 핵심은 하우징의 실린더형 내부 공동이 회전가능한 환형 홈을 구비하며, 실린더 코어와 출력 부재사이의 커플링의 해제가 일어나는 동안, 실린더 코어의 축선 변위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축방향 측면에서 인접하는 홈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홈에 의하여 중단되며, 실린더 코어와 출력 부재사이의 커플링의 해제가 일어나는 동안, 실린더 코어의 축선 변위의 방향으로 블록킹 홈의 측면이 분기하는 것이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 실린더 코어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케이지의 사용없이 커플링의 분리가 얻어지며, 이는 실린더 코어의 추출에 대하여 또는 하우징으로 박혀들어가는 것에 대하여 안전 장치를 구체화하는 실린더 코어와 하우징 상에 구성물의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 두 개의 절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관점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의 실린더형 내부 공동 내에 위치하는 리브들 내에 이를 통하여 회전가능한 환형 홈과 블록킹 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뿐아니라 실린더 로크의 단순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의 실린더 내부 공동은 적어도 하나의 환형 지지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는 축방향 리웨이(a)를 갖는 실린더 코어의 환형 외부 칼라를 수용하며, 상기 축방향 리웨이(a)는 커플링의 해제에 필요한 축방향 변위의 범위(b)에 대응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질적으로 실린더 코어가 밖으로 추출되거나 하우징내로 박혀들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하우징 내에서 한 쌍을 이루는 보유 장치(paired holding arrangements)의 블록킹 홈은 서로 상대적으로 180°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실린더 로크의 제조를 간단하게 하며 충분한 수의 로크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블록킹 홈의 측면은 블록킹 홈의 대칭면에 동일 예각(β)으로 둘러싸이는 평면 패시트(planer face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기술을 간단하게 할뿐아니라 블록킹 홈의 경사진 측면 상에 보유 장치의 문제 없는 미끄러짐을 보장하게 한다.
상기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는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의 제 2 커플링 요소와 맞물릴 때 인트레인 부재의 제 1 커플링 요소의 위치를 명백하게 결정하는 제 1 축방향 교대를 구비하며, 실린더 코어는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의 제 2 커플링 요소와 해제할 때 인트레인 부재의 제 1 커플링 요소의 위치를 명백하게 결정하는 제 2 축방향 교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하 우징 내에 인트레인 부재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이는 제조 관점에서 간단하며 실린더 로크의 최소한의 구성 부분들을 사용하면서 실린더 코어와의 맞물림과 하우징과의 맞물림 모두에 신뢰할 만한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는 축방향 연장부 상에 구비되는 환형 칼라 내에 형성되는 제 1 방사상 리세스와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방사상 리세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 코어의 환형 칼라와 내부 오프셋 사이에 환형 홈이 형성되며, 환형 홈의 제 1 측면은 제 2 축방향 교대를 구성하는 내부 오프셋 표면을 향하며, 제 1 커플링 요소는 인트레인 부재의 내부 방사상 돌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린더 코어의 최소 길이와 상호 맞물림 안과 밖으로 커플링 요소들의 최소 변위 길이가 얻어질 수 있다.
적어도 상기 환형 칼라 뒤에 있는 축방향 연장부의 직경은 환형 홈의 바닥의 직경보다 더 크며, 인트레인 부재의 방사상 돌출부는 환형 홈의 바닥과 접촉하는 오목 단부면을 가지며, 제 1 방사상 리세스는 적어도 환형 홈의 바닥까지 축방향 연장부 내로 리세스되어 있으므로 출력 부재를 향하는 측면으로 제 1 축방향 교대를 구성하고, 제 2 방사상 리세스는 환형 홈의 바닥 아래 축방향 연장부 내로 리세스되어 있으며 제 1측면에서는 제 2환형홈 측면의 평면내에서 종결되며, 제 2측면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제 2 슬립-온 홈으로 병합하며, 상기 슬립 -온 홈의 바닥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축방향 연장부의 표면과는 최대로 환형 홈의 바닥의 직경(D1)과 동일한 거리(L)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환형 칼라 뒤에 있는 축방향 연장부의 직경(D2)은 환형 홈의 바닥의 직경(D1)과 동일하거나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축방향 교대는 안전 디스크 또는 정지 부재 또는 너트의 단부면으로 구성되며, 이는 어떠한 리웨이(leeway) 없이 환 형 칼라 뒤 축방향 연장부 상에 정렬된다. 이러한 구조는 재료 제거 기술로 실린더 코어의 제조를 위하여 더 유리하다.
상기 축방향 연장부 내에 구비되는 블라인드 축방향 공동 내에 복귀 스프링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실린더 로크의 길이를 더 줄이게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면은 다음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Ⅰ의 커플링과 맞물리는 실린더 로크(도 3의 단면 B-B)의 분할면을 취한 세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Ⅰ의 커플링과 맞물리지 않는 실린더 로크(도 4의 단면 H-H)의 분할면을 취한 세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S 방향으로 도 1의 단면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S 방향으로 도 2의 단면 F-F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텀블러를 갖는 실린더 로크의 전면부에서 도 3의 단면 D-D를 취한 도면이다.
도 6은 텀블러를 갖는 실린더 로크의 전면부에서 도 4의 단면 G-G를 취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Ⅰ에 따른 분해된 실린더 로크의 필수 부분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Ⅱ에 따른 커플링과 맞물리는 실린더 로크를 취한 세로 단면 도이다.
도 9는 실시예 Ⅱ에 따른 커플링과 맞물리지 않는 실린더 로크를 취한 세로 단면도이다.
도 10은 축방향 연장부를 취한 세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축방향 연장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 K-K를 취한 도면이다.
도 13은 방향 V로 도 4의 축방향 연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5의 인트레인 부재를 단면 L-L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인트레인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방향 W로 도 14의 인트레인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인트레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Ⅱ에 따른 분해된 실린더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 1" : 하우징 절반
11 : 회전 환형 홈 12 : 리브
13, 13' : 블록킹 홈 130, 131' : 블록킹 홈 측면
14 : 분할면 151 : 제 1 안전 홈
152 : 제 2 안전 홈 16 : 구속 리세스
2 : 실린더 코어 20, 20' : 텀블러
201 : 블록킹 돌출부 21 : 칸막이
22 : 키이 채널 23 : 축방향 연장부
231 : 제 2 커플링 요소 232 : 블라인드 축방향 구멍
233 : 제 2 슬립-온 홈 233' : 제 1 슬립-온 홈
24 : 내부 단부면 25 : 제 1 축방향 교대
251 : 제 1 외부 칼라 252 : 제 2 외부 칼라
26 : 제 2 축방향 교대 27 : 환형 칼라
271 : 제 1 방사상 리세스 272 : 제 2 방사상 리세스
28 : 환형 홈
281 : 제 1 환형 홈 측면(실린더 코어(2)에 접함)
282 : 제 2 환형 홈 측면(출력 부재(3)에 접함)
3 : 출력 부재 30 : 커플링
301 : 제 1 커플링 요소 301' : 방사상 돌출부
31 : 인트레인 부재 310 : 내부 단부면 칼라
312 : 구속 돌출부
313 : (내부 방사상 돌출부의) 오목 단부면
314 : 인트레인 부재 리세스 315 : 인트레인 부재 돌출부
4, 4' : 복귀 스프링 a : 리웨이
b : 해제 변위 o : 해제 변위의 방향
Q : 블록킹 홈(13)의 대칭면
β : 블록킹 홈 측면(130, 131)과 대칭면(Q) 사이의 각
D1 : 환형 홈 바닥의 직경 D2 : 축방향 연장부(23)의 직경
L : 슬립-온 홈 바닥의 상호 길이
도 1 내지 도 7은 실린더 로크의 실시예 Ⅰ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8 내지 도 18은 실시예 Ⅱ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두 실시예 Ⅰ과 Ⅱ는 커플링(30), 인트레인 부재(entraining member, 31) 및 복귀 스프링(4, 4')의 구조적 실행에 의하여 서로 구별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 로크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 두 개의 반쪽 하우징(1', 1")로 구성된 하우징(1)을 포함한다. 두 개의 반쪽 하우징(1', 1")의 분할면(parting plane, 14)은 블록킹 홈(13, 13')의 대칭면(Q)과 동일한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칸막이(21) 내에서 지지되는 텀블러(20, 20')와 키이 채널(22)을 구비하는 실린더 코어(2)가 하우징(1)의 실린더 공동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텀블러(20, 20')는 스프링 가압되어 있으며, 적당한 키이가 채널(22)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텀블러(20, 20')의 블로킹 돌출부(201)는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외주부 밖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의 분할면(14)을 따라 대칭적으로 하우징(1)의 내부 실린더형 공동 내에 구비되는 리브(12) 내에서 형성되는 블로킹 홈(13, 13')으로 돌출한다. 상기 텀블러(20)의 블로킹 돌출부(201)은 블록킹 홈(13)으로 돌출하며, 상기 텀블러(20)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 힘의 영향 하에 이동되는 텀블러(20')의 블록킹 돌출부(201')는 블록킹 홈(13') 내로 돌출한다. 상기 블록킹 홈(13, 13')들은 상기 리브(12)들의 단부면에 형성된 블로킹 홈 측면(130, 131)들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블록킹 홈 측면(130, 131)들은 상기 블록킹 홈(13)의 세로 대칭면(Q)에 대해 예각(β)을 이룬다. 완전히 삽입되는 적당한 키이가 없이 또는 외부힘을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 코어(2)를 회전하려고 할 때에는, 상기 텀블러(20, 20')의 측면(201, 201')은 상술한 블록킹 홈 측면(130, 131)에 접촉한다. 상기 키이 채널(22) 내에 적절한 키이가 완전히 삽입한 때에는, 상기 텀블러(20, 20')는 블록킹 돌출부(201, 201')가 실린더 코어(2)의 외주면 밖으로 연장되지 않게 정렬되며 하우징(1) 내에서 자유롭게 실린더 코어(2)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한 키이를 갖는 실린더 코어(2)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기능적 조건에서 커플링(30)에 의하여 실린더 코어(2)와 함께 연결되는 상기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도 함께 회전한다. 실시예 Ⅰ에서는, 상기 커플링(30)은 축방향 연장부(23) 상에 구비되는 제 2 커플링 요소(231)들과 상기 하우징(1)의 실린더형 공동 내에 외주면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인트레인 부재(31) 상에 구비되는 제 1 커플링 요소(301)로 구성되며,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와 함께 항시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또 커플링(30)의 구조를 달리 할수 있는데, 예컨대, 축방향 연장부(23)의 제 2 커플링 요소(231)는 직접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는 출력 부재(3) 상에 구비되는 제 1 커플링 요소(301)에 맞물린다.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 로크 래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부적절한 키이가 키이 채널(22)로 삽입될 때, 또는 상기 텀블러(20, 20')를 외향 이동시키면서 실린더 코어(2)를 강제적으로 돌리려고 할 때에, 상기 실린더 코어(2)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지면 상기 블록킹 돌출부(201, 201')의 측면들은 상기 블록킹 홈(13, 13')의 블록킹 홈 측면(130)에 접촉(도 3 및 도 5 참조)하며, 실린더 코어(2)가 시계 방향으로 돌려지면 블록킹 홈 측면(131)에 맞물린다. 상기 블록킹 홈 측면(130, 131)들이 경사진 평면(도 5 및 도 6 참조)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이 실린더 코어(2)의 연결을 해제하는 축방향 변위의 방향(o)으로 분기해서 블록킹 홈(13, 13')의 대칭면(Q)과 예각(β)을 이루므로, 실린더 코어(2)의 이러한 회전 동안에 방향(o)으로의 축방향 변위와 블록킹 홈 측면(130, 131)들의 경사진 평면을 따른 상기 블록킹 돌출부(201, 201')의 측면의 미끄러짐은 발생된다. 이 결과로, 또한 텀블러(20, 20')가 지지되어 있는 칸막이(21) 내에서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변위를 방향(o)으로 야기한다. 상기 텀블러(20, 20')의 축방향 변위는 힘 F1을 블록킹 홈 측면(130)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요소 F3와 방향(o)으로 상기 텀블러(20, 20')의 축방향 변위를 야기하는 제 2 힘 부재 F2의 분해 결과(도 5 참조)로 발생한다. 힘 F1은 강제 개방 시도 동안에 실린더형 코어(2)에 적용되는 토크로부터 발생한다.
실린더형 코어(2)의 축방향 변위의 과정에서, 제 2 커플링 부재(231)의 길이에 대응하는 변위 길이(b)의 한도(도 2 참조)에서 변위 동안에, 인트레인 요소(31) 상에 제공되는 제 1 커플링 부재(301)로부터 실린더형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3) 상에 제공되는 제 2 커플링 부재(231)의 이동이 발생한다. 제 2 커플링 부재(231)로부터의 이동은 디스크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귀 스프링(4)의 힘에 대항하여 발생하고, 커플링(30)의 해제가 일어날 때까지, 즉 상기 블록킹 돌출 부(201)가 블록킹 홈(13, 13')의 경사진 블록킹 홈 측면(130, 131)에서 회전 환형 홈(11)으로 미끄러지는 시점까지 계속한다. 이 위치에서, 실린더형 코어(2)와 하우징(1)의 출력 부분(3) 사이의 커플링(30)이 이미 해제되어서, 실린더형 코어(2)를 더 회전하는 동안에는, 회전 환형 홈(11) 내로 블록킹 돌출부(201, 201')의 가이던스로 인하여, 실린더형 코어(2)가 오른쪽 단부 위치에 유지되어지는 과정에서, 실린더 코어(2)의 회전 운동은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3)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 환형 홈(11)의 측면은 상기 리브(12)의 표면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이의 단부 표면은 경사진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을 만들어 낸다. 180°로 상기 실린더형 코어(2)를 회전한 후에는, 상기 텀블러(20, 20')의 돌출하는 블록킹 돌출부(201)가 상기 블록킹 홈(13, 13')과 정렬한 때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4)의 예비 응력의 영향하에,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변위는 왼쪽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며, 실린더 코어(2)와 출력 부분(3) 사이에 커플링(30)이 반복되게 맞물린다. 이러한 실린더 로크의 초기 위치에서, 다시 한 번 승인된 키이를 키이 채널(22)에 충분히 삽입하여 실린더 로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로크가 잠기는 위치(도 1 및 도 5 참조)에서는, 실린더형 코어(2)는 왼쪽 초기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커플링(30)은 맞물려 있고, 실린더 코어(2) 상에 제공되는 제 1 외부 칼라(outer collar, 251)는 회전 환형 홈(11)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며, 오른쪽 측면은 왼쪽 측면 상에 제 1 환형 홈(11)를 한정하는 리브(12)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코어(2) 상에 형성된 제 2 외부 칼라(252)는 오른쪽 측면에서 최종 환형 홈(11)을 한정하는 최종 리브(12)의 오른 쪽 측면에 접촉한다. 상기 두 개의 외부 칼라(251, 252)는 측면 축방향 리웨이(a)를 갖는 안전 홈(151, 152) 내에 수용되며, 상기 측면 축방향 리웨이(a)는 제 1 커플링 요소(301)로부터 제 2 커플링 요소(231)의 이동에 요구되는 축방향 변위(b)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크다. 이 위치에서, 외부 칼라(251, 252)는 상기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으로부터 실린더 코어(2)의 추출을 막는다.
실린더 로크의 회전 위치(도 1 및 도 5 참조)에서는, 상기 실린더 코어(2)는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플링(30)은 해제되고, 실린더 코어의 제 1 외부 칼라(251)는 제 1 리브(12)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며 제 2 외부 칼라(252)는 하우징(1) 내에 제공되는 제 2 안전 홈(152)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한다. 이 위치에서, 우선 외부 칼라(251, 252)는 하우징(1)과 실린더 코어(2)가 박혀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두 번째로 실린더 코어(2)의 키이 채널(22)로의 추출 스크루우의 나사 결합을 방지하는데, 실린더 코어(2)가 비도시된 추출 나사에 작용하는 축방향 압력으로 인하여 오른쪽 회전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되며, 그 결과로 상술한 추출 스크루우의 나사 결합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물론 분기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을 평면과는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패시드(facet)가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변위를 방향(o)에서 분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당연히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실린더 코어(2)가 해제하는 변위로 실린더 로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경사진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은 반대방향으로 정렬되며, 부적절한 키이로 돌리거나 또는 외부힘을 적용하여 돌리는 과정에서, 실린더 코어(2)는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 으로 이동된다. 또한, 복귀 스프링(4)은 나선형 스프링 또는 다른 탄력있는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8에서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 로크의 다른 실시예 Ⅱ가 도시되어 있으며, 인트레인 부재(31)가 회전과 축방향 변위를 위하여 하우징(1)의 내부 빈 공간 내의 외주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3)는 인트레인 부재(31)를 통과하며, 상기 인트레인 부재를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분(3)의 인트레인 돌출부(315)와 영구적으로 회전 연결되어 있다.
적절한 키이를 완전히 삽입하지 않거나 또는 강제적인 힘을 사용하여 실린더 코어(2)를 회전하려고 할 때는, 경사진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을 따라서 텀블러(20)의 블록킹 돌출부(201)의 미끄러짐은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된 복귀 스프링(4)의 힘에 대항해서 하우징(1) 내에서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변위를 야기한다. 이 변위의 제 1 국면 동안에는, 인트레인 부재(31) 내에서 커플링 리세스의 형태로 형성된 제 1 커플링 요소(301)로부터 축방향 연장부(23) 상에 커플링 연장부의 형태로 형성된 제 2 커플링 요소(231)의 이동이 일어나며, 이에 더하여 제 2 축방향 교대(26)와 인트레인 부재(31)의 접촉이 일어난다. 이 결과로, 커플링(30)의 해제와 또한 계속적으로 출력 부재(3)로부터 실린더 코어(2)가 해제하게 된다. 변위의 제 2 국면에는, 인트레인 부재(31) 상에 실린더 코어(2)의 제 2 축방향 교대(26)에 의한 압력을 주므로써, 인트레인 부재를 더 변위시키며 그 결과로, 하우징(1)과 회전 연결이 이루어진다. 실린더 로크의 하우징(1) 내에 형성된 구속 리세스(16) 내로 인트레인 부재(31)의 외부 단면 상에 구비되는 구속 돌출부(312)의 이동의 결과로 이러한 회전 연결이 이루어진다. 실린더 코어(2) 변위의 제 2 국면의 마지막으로는, 회전 환형 홈(11) 내에 구비되는 블록킹 홈(13)으로부터 상기 텀블러(20)의 블록킹 돌출부(201)의 이동의 결과로, 하우징(1) 내에 실린더 코어(2)의 회전가능한 마운팅이 발생한다. 이 때에, 실린더 로크의 실린더 코어(2)는 회전될 수 있지만, 커플링(30)의 해제로 이 회전 운동이 더 이상 인트레인 부재(31)에 전달되지 않는데, 이 위치에서는 상기 인트레인 부재는 하우징(1)과 회전 연결 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인트레인 부재(31)는 출력 부재(3)와 영구적인 회전 연결 상태이므로, 비도시된 도어 로크 래치와 비도시된 기계적인 전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출력 부재(3)를 회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린더 로크를 완전히 삽입된 적절한 키이로 출력 부재(3)와 함께 실린더 코어(2)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동작 상태도 한번 더 가져가기를 원할 때에는, 실린더 코어(2)를 상기 텀블러(20)의 블록킹 돌출부(201)가 회전 환형 홈(11)으로부터 후퇴하고 블록킹 홈(13, 13') 내로 인입하는 모서리가 있는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그곳에서는 복귀 스프링(4)은 실린더 코어(2)를 왼쪽 초기 위치로 되돌려 놓는다. 이 초기위치에서는, 상기 실린더 코어(2)는 다시 인트레인 부재(31)와 커플링(30)에 의하여 다시 단단하게 회전연결되며, 상기 인트레인 부재(31)는 하우징(1)으로부터 해제된다.
상술한 실린더 코어(2)의 되돌림 변위는 다시 두 단계의 국면으로 구성된다. 제 1 국면 동안에는, 축방향 연장부(23)의 제 2 커플링 요소(231)의 상기 인트레인 부재(31)의 제 1 커플링 요소(301)로의 이동이 일어나며, 동시에 상기 인트레인 부 재(31)와 함께 실린더 코어(2)의 제 1 축방향 교대(25)의 결합이 일어나며, 이 결과로 커플링(30)의 결합이 발생한다. 제 2 국면 동안에는, 상기 인트레인 부재(31) 상에 실린더 코어(2)의 제 1 축방향 교대(25)에 의한 압력을 가한 결과로, 인트레인 부재(31)의 강요된 복귀 변위와 이에 따른 하우징(1) 내에 구비되는 구속 리세스(arresting recess, 16)로부터 구속 돌출부(312)의 이동이 발생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3)는 실린더 코어(2)의 내부 단부면(24) 내에 구비되는 오프셋으로부터 돌출하며, 그 내부에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상으로 복귀 스프링(4)를 수용하기 위하여 눈에 보지 않는 축방향 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다. 예비응력이 가해진 복귀 스프링(4)이 실린더 코어(2)와 출력 부재(3) 사이에서 정렬되며, 실린더 코어(2)와 인트레인 부재(31) 사이에 커플링(30)이 맞물리는 초기 위치를 향하여 실린더 코어(2)를 가압한다.
축방향 연장부(23) 상에는, 제 1 방사상 리세스(271)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 칼라(27)가 구비되며, 후자의 반대편에는 제 2 방사상 리세스(27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방사상 리세스(271, 272)는 제 2 커플링 요소(231)를 구성하며, 그 내부로는 상기 커플링(30)이 맞물릴 때 방사상 돌출부(301')에 의하여 구성되는 인트레인 부재(31)의 제 1 커플링 요소(301)를 연장한다. 환형 칼라(27)와 실린더 코어(2)의 내부 단부면(24) 사이에는 환형 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 코어(2)를 향하는 측면(281)은 인트레인 부재(31)를 위하여 제 2 축방향 교대(26)를 구성한다. 도 10 및 도 13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방사상 리세스(271)가 환형 칼라(27)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환형 홈(28)의 바닥의 레벨로 축방향 연장부(23) 내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하며, 출력 부재(3)를 향하는 제 1 방사상 리세스(271)의 축방향 측벽은 인트레인 부재(31)를 위한 실린더 코어(2)의 제 1 축방향 교대(25)를 구성한다. 제 1 방사상 리세스(271)의 제 2 측면은 환형 홈 측면(281)의 평면 내에 있으며 실린더 코어(2)의 제 2 축방향 교대(26)를 구성한다. 상기 제 2 방사상 리세스(272)는 제 1 방사상 리세스(271) 반대편에서 환형 칼라(27) 내에 형성되며 환형 홈(28) 바닥 레벨 아래에 축방향 연장부(23)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며, 실린더 코어(2)의 내부 축방향 단부면(24)을 향하는 측벽은 출력 부재(3)를 향하는 제 2 환형 홈 측면(282)의 평면 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방사상 리세스(272)는 환형 홈(28)의 바닥으로 연장하지 않으며, 환형 홈(28)과 환형 칼라(27)의 경계에 정확히 일축방향으로 종결되는 반면에, 제 2축방향으로 제 2 슬립-온 홈(233)으로 병합되며, 제 2 슬립-온 홈(233)은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5)상에 인트레인 부재(3)의 방사상 돌출부(301')의 미끄러짐을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제 1 커플링 요소(301)를 구성하는 인트레인 부재(31)의 방사상 돌출부(301')는 커플링(30)이 맞물릴 때 제 2 커플링 요소(231)를 구성하는 환형 칼라(27) 내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방사상 리세스(271, 272)의 측면과 함께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인트레인 부재(31)는 하우징(1)의 실린더 빈 공간에서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외부 실린더 외주면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도 14 내지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인트레인 부재(31)는 실 린더 외주면을 갖는 링 모양이며, 단부면에서 외부 부재(3)가 하우징(1) 내에 구비되는 구속 리세스(16) 뿐만아니라 외부 부재(3)의 돌출부(315)의 인트레인을 위한 인트레인 리세스(314)와 맞물리게 되는 구속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인트레인 부재(31)의 반대편 단부면에는, 내부 단부 링(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으로부터 방사상 돌출부(301')의 형상인 제 1 커플링 요소(301)가 오목 단부면(313)으로 돌출한다. 상기 커플링(30)이 해제할 때에는 상기 오목 단부면(313)은 환형 홈(28)의 바닥에 접촉하며, 바닥 내에는 내부 방사상 돌출부(301')가 실린더 코어(2)의 권한을 가지지 않은 회전의 경우에서도 회전한다. 오목 단부면들 사이에 간격이 환형 칼라(27) 뒤의 축방향 연장부(23)의 직경(D2) 보다 더 작은 환형 홈(28) 바닥의 직경(D1)에 대응하면, 축방향 연장부(23)에는 제 2 방사상 리세스(272)와 인접하는 제 2 슬립-온 홈(233)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제 1 슬립-온 홈(23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슬립-온 홈(233)의 바닥은 축방향 연장부(23)의 반대 위치에 배치된 표면 또는 반대 위치에 배치된 제 1 슬립-온 홈(233')의 바닥으로부터 최대 거리 L만큼 분리되어 있으며, 거리 L은 환형 홈(28) 바닥의 직경(D1)과 동일하여, 실린더 로크를 조립하는 동안에 축방향 연장부(23) 위에 인트레인 부재(31)의 내부 방사상 돌출부(301')를 끼울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주사 몰딩에 의하여 실린더 코어(2), 인트레인 부재, 및 하우징(1)의 단순한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만아니라 실린더 로크의 부재의 숫자를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물론, 다른 수단들로 예컨대 환형 칼라(27)의 뒤에 위 치하는 안전 홈 내에 장착되는 안전 링의 단부면에 의하여 또는 축방향 연장부(23)에 고정된 교대에 의하여 또는 축방향 연장부(23) 위에 홈을 낸 홈 너트의 단부면에 의하여 축방향 연장부(23) 상에 제 1 축방향 교대(25)를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로크는 심지어 인정받지 않은 강제적인 조작에도 잠금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예컨대 자동차와 같은 하우징 밖으로 및/또는 안으로 실린더 코어의 추출 및/또는 박아넣음에 매우 강한 모든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내부 실린더형 공동에는 키이 채널과 스프링 로드된 텀블러(tumbler)들이 장착된 실린더 코어가 정렬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키이 채널 내로 적절치 않은 키이가 삽입될 때에는, 상기 텀블러의 블록킹 돌출부(blocking preojection)들은 실린더 코어가 회전을 위하여 지지되는 부재 내에 형성된 블록킹 홈 내로 돌출하며, 적절한 키이가 충분히 삽입될 때에는, 상기 텀블러의 블록킹 돌출부는 상기 실린더 코어의 외주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실린더 코어가 적절한 키이로 회전될 때에는 실린더 로크의 실린더 코어와 출력 부재와의 커플링을 하고, 상기 실린더 코어가 부적절한 키이 또는 외부에 의한 강제적으로 회전될 때에는 실린더 로크의 출력 부재로부터 실린더 코어의 비커플링을 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실린더 로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실린더형 내부 공동에는 이를 통하여 회전가능한 환형 홈(annular groove, 11)들을 구비하며,
    상기 출력 부재(output member, 3)로부터 상기 실린더 코어(2)의 해제 축선 변위 방향(o)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축방향 측면에서 상기 인접하는 회전가능한 환형 홈(11)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2)가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홈(13)에 의하여 중단되며,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이 상기 출력 부재(3)로부터 실린더 코어(2)의 해제 축선 변위 방향(o)으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 두 개의 하우징 절반(1', 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실린더 공동은 축방향 리웨이(leeway, a)를 갖고 실린더 코어(2)의 외부 칼라(outer collar, 251, 252)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링 홈(151, 152)을 구비하며, 상기 축방향 리웨이(a)는 적어도 커플링(30)의 해제에 필요한 축방향 변위의 거리(b)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텀블러(20, 20')를 위한 블록킹 홈(13)이 서로에 대하여 180°로 하우징(1) 내에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홈 측면(130, 131)은 상기 블록킹 홈(13)의 대칭면과 동일한 예각(β)을 이루는 평면 패시트(planar facet)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3)는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축방향 연장부(23)의 제 2 커플링 요소(231)와,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231)와 맞물릴 때 인트레인 부재(entraining member, 31)의 제 1 커플링 요소(301)의 위치를 명백하게 결정하는 제 1 축방향 교대(abutment, 25)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 코어(2)는 축방향 연장부(23)의 제 2 커플링 요소(231)를 해제할 때 인트레인 부재(31)의 제 1 커플링 요소(301)의 위치를 명백하게 결정하는 제 2 축방향 교대(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231)는, 상기 축방향 연장부(23) 상에 구비되는 환형 칼라(27) 내에 형성되는 제 1 방사상 리세스(271)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 방사상 리세스(272)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코어(2)의 상기 환형 칼라(27)와 내부 오프셋 표면(24) 사이에 환형 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오프셋 표면(24)을 향하는 상기 환형홈의 제 1 환형 측면(281)은 제 2 축방향 교대(26)를 구성하며,
    제 1 커플링 요소(301)는 인트레인 부재(31)의 내부 방사상 돌출부(3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환형 칼라(27) 뒤에 있는 축방향 연장부(23)의 직경(D2)은 환형 홈(28)의 바닥의 직경(D1)보다 더 크며, 인트레인 부재(31)의 방사상 돌출부(301')는 환형 홈(28)의 바닥과 접촉하는 오목 단부면(313)을 가지며,
    제 1 방사상 리세스(271)는 적어도 환형 홈(28)의 바닥까지 축방향 연장부(23) 내로 리세스되어 있으므로 출력 부재(3)를 향하는 측면으로 제 1 축방향 교대(25)를 구성하고,
    제 2 방사상 리세스(272)는 환형 홈(28)의 바닥 아래 축방향 연장부(23) 내로 리세스되어 있으며 제 1측면에서는 제 2환형홈 측면(282)의 평면내에서 종결되며, 제 2측면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제 2 슬립-온 홈(233)으로 병합하며, 상기 슬립 -온 홈의 바닥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축방향 연장부(23)의 표면과는 최대로 환형 홈(28)의 바닥의 직경(D1)과 동일한 거리(L)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칼라(27) 뒤에 있는 축방향 연장부(23)의 직경(D2)은 환형 홈(28)의 직경(D1)과 동일하거나 더 작으며, 제 1 축방향 교대(25)는 어떠한 리웨이 없이 환형 칼라 뒤에 있는 축방향 연장부 상에 정렬되는 안전 디스크 또는 정지 부재 또는 너트의 단부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10. 제 7 항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4)은 상기 축방향 연장부(23)의 블라인드 구멍(blind bore, 232)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로크.
KR1020037014592A 2001-05-22 2002-05-22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KR100709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20011801A CZ293846B6 (cs) 2001-05-22 2001-05-22 Válcový zámekŹ obzvláště pro motorová vozidla
CZPV2001-1801 2001-05-22
CZ20021294A CZ293847B6 (cs) 2002-04-11 2002-04-11 Válcový zámekŹ obzvláště pro motorová vozidla
CZPV2002-1294 2002-04-11
PCT/CZ2002/000032 WO2002097222A2 (de) 2001-05-22 2002-05-22 Schliesszylind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952A KR20040005952A (ko) 2004-01-16
KR100709441B1 true KR100709441B1 (ko) 2007-04-18

Family

ID=2574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592A KR100709441B1 (ko) 2001-05-22 2002-05-22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137280B2 (ko)
EP (1) EP1389253B1 (ko)
JP (1) JP4225483B2 (ko)
KR (1) KR100709441B1 (ko)
CN (1) CN1298957C (ko)
AU (1) AU2002257516A1 (ko)
BR (1) BR0209611B1 (ko)
DE (1) DE20221962U1 (ko)
ES (1) ES2282058T3 (ko)
HU (1) HU225253B1 (ko)
MX (1) MXPA03010627A (ko)
PL (1) PL205924B1 (ko)
RU (1) RU2268978C2 (ko)
SK (1) SK287651B6 (ko)
WO (1) WO20020972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4428A2 (en) * 2003-05-16 2004-12-02 Shur-Lok Corporation Solid shank pawl pin with redundant locking system
JP4353848B2 (ja) * 2004-04-15 2009-10-28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
BE1016106A3 (fr) * 2004-06-30 2006-03-07 Euro Locks Sa Rotor et clefs pour serrure, serrure munie d'un tel rotor et de telles clefs, et utilisation de ceux-ci.
JP4549904B2 (ja) * 2005-03-15 2010-09-22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及び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FR2889859B1 (fr) 2005-08-17 2007-10-19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Verrou debrayable pour un mecanisme de serrure automobile
FR2895762A1 (fr) * 2005-12-30 2007-07-06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Verrou debrayable pour un mecanisme de serrure automobile
JP4704935B2 (ja) * 2006-03-07 2011-06-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装置及び係合解除機構
FR2899619B1 (fr) * 2006-04-11 2012-09-21 Valeo Securite Habitacle Agencement de transmission de mouvement entre notamment un verrou et une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FR2909952B1 (fr) * 2006-12-19 2009-03-20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Antivol de vehicule comprenant un boitier equip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dit boitier.
FR2912174B1 (fr) * 2007-02-02 2009-05-01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 verrou rotatif de vehicule automobile
JP4884282B2 (ja) * 2007-04-11 2012-02-29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
JP5005459B2 (ja) * 2007-07-30 2012-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JP4926874B2 (ja) * 2007-07-30 2012-05-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JP5014914B2 (ja) * 2007-08-08 2012-08-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装置
IL186219A0 (en) * 2007-09-24 2008-01-20 Beer Metal Ind Ltd J Pin tumbler cylinder lock
JP4907489B2 (ja) * 2007-10-25 2012-03-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US20090277235A1 (en) * 2008-05-06 2009-11-12 Chao-Ming Huang Lock cylinder assembly
KR100974547B1 (ko) * 2008-05-27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US20120125061A1 (en) * 2009-07-24 2012-05-24 Pingdingshan Dahan Lock Co., Ltd. Linkage anti-theft lock head
DE102009052406A1 (de) * 2009-11-10 2011-05-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FR2954385B1 (fr) 2009-12-21 2012-04-13 Valeo Securite Habitacle Verrou a securite renforcee
CN101819900B (zh) * 2010-02-10 2012-09-05 厦门中锁锁业科技有限公司 一种开关锁
GB2485190B (en) * 2010-11-04 2016-06-01 Euro-Locks S A Pull-up latch mechanism
CN102022029B (zh) * 2010-12-21 2013-03-13 程友良 H形薄片上下锁定锁芯及其圆柱形钥匙
JP5875071B2 (ja) * 2012-04-25 2016-03-0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シリンダ錠
FR3048011A1 (fr) * 2016-02-19 2017-08-25 U Shin France Sas Verrou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7916850A (zh) * 2017-12-24 2018-04-17 宫明辉 基于扭簧扭矩的锁栓锁筒结构及调整方法
FR3079546B1 (fr) * 2018-03-30 2022-03-25 U Shin France Cardan de type baionnette pour verrou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FR3080637B1 (fr) * 2018-04-25 2022-09-09 U Shin Franc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verrou
CN109403752B (zh) * 2018-12-20 2020-06-30 宁波磐宇五金制品有限公司 拖车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5627A1 (en) * 2003-06-23 2004-12-23 Shimon Gary C. Freewheeling lock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03072A1 (en) * 2003-11-13 2005-05-19 Ufo International Corp. Lock with roses having pairs of ledges of different lengths to cope with different key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944A (en) * 1962-02-14 1965-02-02 Wellekens John F Tumbler lock
US3499209A (en) * 1967-11-24 1970-03-10 Rhodes Inc M H Lock assembly
FI48870C (fi) * 1970-09-08 1981-07-17 Ansala Oy Cylinderlaos
SE465473B (sv) * 1990-01-26 1991-09-16 Ferenc Moricz Uppbrytningssaekra laas, speciellt foer bilar
US5265453A (en) * 1990-11-30 1993-11-30 Alpha Corporation Cylinder lock
DE4122414C1 (de) * 1991-07-06 1992-12-03 Huelsbeck & Fuerst Schließzylinder
DE4316223A1 (de) 1992-05-18 1993-11-25 Ewald Witte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schlösser
JP3585550B2 (ja) * 1994-02-03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ースイッチ装置
DE4410736A1 (de) * 1994-03-28 1995-10-05 Ewald Witte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schlösser
DE4410783C1 (de) * 1994-03-28 1995-04-27 Huelsbeck & Fuerst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an Kraft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
DE4412609A1 (de) * 1994-04-13 1995-10-19 Huelsbeck & Fuerst Verschlußvorrichtung für insbesondere an Kraft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en
DE19604350B4 (de) 1995-03-08 2005-04-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an 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en
JP4221691B2 (ja) * 1998-05-30 2009-02-12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とくに車両において実行可能な閉鎖機能のための閉鎖装置
SE517283C2 (sv) * 1998-12-10 2002-05-21 Volvo Personvagnar Ab Anordning vid cylinderlås
JP3709146B2 (ja) * 2000-03-09 2005-10-19 株式会社アルファ シリンダ錠
US6860131B2 (en) * 2002-09-26 2005-03-01 Newfrey Llc Rekeying a lock assembly
US6854306B2 (en) * 2003-03-05 2005-02-15 Schlage Lock Company Self-contained lock assembly
US6868705B2 (en) * 2003-06-27 2005-03-22 Jin Tay Industries Co., Ltd Lock with a sliding block movably received in the control knob to selectively drive the la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5627A1 (en) * 2003-06-23 2004-12-23 Shimon Gary C. Freewheeling lock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03072A1 (en) * 2003-11-13 2005-05-19 Ufo International Corp. Lock with roses having pairs of ledges of different lengths to cope with different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303726A2 (hu) 2004-03-01
KR20040005952A (ko) 2004-01-16
ES2282058T1 (es) 2007-10-16
US7137280B2 (en) 2006-11-21
HU225253B1 (hu) 2006-08-28
CN1298957C (zh) 2007-02-07
JP4225483B2 (ja) 2009-02-18
EP1389253B1 (de) 2012-02-01
HUP0303726A3 (en) 2005-05-30
MXPA03010627A (es) 2004-03-09
SK287651B6 (sk) 2011-05-06
RU2268978C2 (ru) 2006-01-27
PL363642A1 (en) 2004-11-29
WO2002097222A2 (de) 2002-12-05
AU2002257516A1 (en) 2002-12-09
DE20221962U1 (de) 2009-10-29
RU2003136743A (ru) 2005-04-20
BR0209611B1 (pt) 2011-09-20
WO2002097222A3 (de) 2003-11-06
EP1389253A2 (de) 2004-02-18
JP2004529282A (ja) 2004-09-24
CN1524152A (zh) 2004-08-25
PL205924B1 (pl) 2010-06-30
US20040250579A1 (en) 2004-12-16
BR0209611A (pt) 2004-03-30
SK13332003A3 (sk) 2004-08-03
ES2282058T3 (es)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441B1 (ko)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JP3529795B2 (ja) 取り外し可能なプラグを有した錠
RU2121557C1 (ru) Болванка для ключа, ключ и комбинация из ключа и цилиндрового замка
RU2551273C2 (ru) Замковый механизм
JP3350525B2 (ja) シリンダ錠
KR100589533B1 (ko) 열림방지 장치가 구비된 실린더 자물쇠
JP4704935B2 (ja) シリンダ錠装置及び係合解除機構
US6578396B2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US8746025B2 (en) Key, lock and locking mechanism
US9598880B2 (en) Lock cylinder including modular plug
WO1996036782A1 (en) Removable core cylinder lock
US20230366242A1 (en) Padlock basic assembly kit and padlock system
PL207157B1 (pl) Zespół klucza i bębenka zamka bębenkowego oraz system zabezpieczeń utworzony z zestawu zamków bębenkowych
US5400629A (en) Axial pin tumbler lock
EP0960245B1 (en) Improved cylinder lock system
JPH045114B2 (ko)
US4342478A (en) Knob-connector spring
US5511400A (en) Lock mechanism for use in a securing device
JP7278265B2 (ja) ロック装置
CN112709497B (zh) 锁芯
EP3960969B1 (en) Detainer disc locking system which forms a deviated picking path
US4445347A (en) Padlock
KR101787259B1 (ko) 해정난이도가 향상된 자물쇠와 열쇠 조합체
JP3654848B2 (ja) シリンダ錠
KR200218338Y1 (ko) 자물쇠용 실린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