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428B1 -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428B1
KR100709428B1 KR1020027004357A KR20027004357A KR100709428B1 KR 100709428 B1 KR100709428 B1 KR 100709428B1 KR 1020027004357 A KR1020027004357 A KR 1020027004357A KR 20027004357 A KR20027004357 A KR 20027004357A KR 100709428 B1 KR100709428 B1 KR 10070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head
cover
heat
sprinkler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855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Publication of KR2002007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많은 스프레이 헤드(330a, 380a)와, 소화매체를 스프레이 헤드로 안내하는 배관계(38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인입 소화매체용 입구를 가지는 홀더 본체와, 하나 이상의 노즐과, 상기 장치가 비활성 모드일 때 상기 노즐 전면의 보호위치에 잠금되고 장치의 홀성화 시에 잠금의 해제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노즐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노즐은 소화매체를 분사한다. 먼지와 오염물에 심하게 노출되는 환경에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하여, 또한 화재지역으로부터 오지 않는 열 또는 충격에 노출된 장치의 스프레이 헤드가 이로 인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레이 헤드(330a, 380a)는 홀더 본체에 대한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이동되고 잠금에 대하여 힘을 발휘하여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INSTALLATION FOR FIGHTING FIRE, SPRAY HEAD}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프레이 헤드와 상기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매체를 안내하는 배관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스프레이 헤드는 들어오는 소화매체용 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가지는 홀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개방된 장소 및 폐쇄된 장소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송수단과 소화장치의 결합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수송수단이라는 표현은 기차, 로리(lorry), 선박뿐만 아니라 이러한 차량용 기동차 (railway wagon)(특히 개방형)와 트레일러(특히 개방형) 등의 세미트레일러 등 모든 종류의 차량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tunnel)과 소화장치의 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홀더 본체와 인입 소화매체(incoming extinguishing medium)용 입구를 구비한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청구항 24의 서문에 따른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열활성화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스프레이는 US 5020601호로부터 공지된 것이다. 커버 플레이트는 열- 활성화 이후에 스프레이 헤드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그 이후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은 해제되고 스프레이 헤드는 물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소화장치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화재발생지역에 가능한 한 빨리 소화를 하는 방식으로 화재감지와 동시에 실제 소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화장치는 WO 93/10860호로부터 공지되었다. 이 장치는, 각 그룹이 많은 스프레이 헤드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많은 스프레이 헤드를 구비한다. 각 특정그룹의 스프레이 헤드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이 해제수단이 열에 의해 녹거나 폭발할 때, 상기 장치는 소화매체를 그 그룹의 다른 스프레이 헤드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그룹은 해제되지 않는다. 더 많은 그룹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더 많은 그룹의 해제수단이 녹거나 폭발해야 한다. 이러한 공지의 구조는 화재가 없는 지역에 소화매체를 분사하지 않으면서 화재 부근의 한정된 지역에 소화매체를 분사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소화매체로 해나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는 통상 잘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만족할 만하게 기능하지 못하거나 전혀 기능하지 못하는 환경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로써, 노즐과 열-활성화 수단 등의 스프레이 헤드의 구성요소가 기능할 수 없게 하는 먼지, 침적물 및 다른 종류의 불순물에 스프레이 헤드가 노출되는 환경이 있다(매우 더러워져서 화재로부터의 열에 반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노즐이 차단되고, 열-활성화 해제수단은 만족할만하게 기능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방형 기동차는 그러한 환경의 예이다. 개방형 기동차는 불에 타기 쉬운 화재위험이 있 는 차량과 기타 장비 및 물건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종래의 소화장치가 개방형 기동차에 설치된다면, 매우 더러워져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기능할 수 없다. 덮개가 있는 기동차(및 트레일러)라 하여도, 기동차를 매우 빨리 더러워지게 하는 그러한 물건이 수송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덮개가 있는 기동차(및 트레일러)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의 다른 예로는 화실이나 제철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동차, 터널, 카데크, 대형 저장고와 같이 화재가 급속히 번질 수도 있는 환경에서는, 스프링클러를 해제함으로써 너무 크지 않은 영역이 커버되지 않는 방식으로 화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O 93/10860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화장치를 구획(section)들로 나누는 것은 효과적인 소화를 위한 충분한 해결이 아닌 바, 이는 그러한 환경에서는 스프링클러가 관계없는 구획(화재가 없는 구획)에서도 해제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바람이 부는 환경 때문에 화재로 발생된 뜨거운 가스가 화재가 전혀 없는 지역으로 신속히 흘러가고, 그 결과 소화매체는 잘못된 지역, 즉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으로 전달된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도 개방형 기동차와 같은 수송수단에 장착된 공지의 소화장치는 신뢰할 수 없게 기능한다. 이 때문에 소화매체는 손실되고, 차량은 제한된 용량의 소화매체를 수송하기 때문에, 수송수단에 적용할 때 치명적인 결함을 구성한다. 또한, 소화매체를 "잘못된" 지역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재료는 손상될 수도 있다. 화재가 발생할 때에 기차가 140km/h의 속도로 달릴 때가 전형적인 예이다. 화재로부터의 열이 퍼져서 스프링클러의 앰플(ampoule)은 실제 화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폭발하 여, 물 등의 소화매체가 잘못된 장소에서 분출되게 된다. 터널과 차고에서는, 로리(lorry)로부터의 뜨거운 배기가스는 스프링클러를 향해 위로 향하고, 또한 스프링클러가 화재가 없이, 심지어는 화재 위험도 없이 해제되게 된다.
이에 기초하여, 기능하는 소화장치가 대단히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 이러한 어려운 환경은 소화장치를 결여하고 있다.
또한, 기계적 하중은 소화장치가 불필요하게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특히 장치의 해제수단의 파손 시에). 그러한 기계적 하중은 트럭, 로리 등에 의한 충격 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에 연결하는 파이프가 초기에는 물을 함유하지 않는 소화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냉동의 위험이나 무게문제 때문이다. 파이프를 충진하는 데에는 약간의 시간(전형적으로는 60초)이 걸리고, 물이 스프링클러에 도달하기 전에, 신속히 발생한 화재는 너무 많은 스프링클러를 해제할 수도 있다. 화재가 신속히 발전하는 환경의 예는 차량을 수송하는 선박이다: 갑판 위의 화재는 신속히 퍼져나갈 수도 있다.
어떤 환경에서는, 화재는 폭발적으로 시작할 위험이 있다. 그러한 환경에서는, 폭발의 압력으로 인해 소화장치의 모든 앰플은 해제되어 소화장치가 화재진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만든다. 변압기, 페인트 캐비닛(paint cabinet), 페인트 저장고는 마지막으로 언급한 환경의 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를 위하여 중요한 스프레이 헤드의 해제를 보다 어렵 고 불가능하게 만드는, 예컨대 먼지, 침적물, 기계적 충격, 및 바람이 부는 환경에 스프레이 헤드가 노출되는 어려운 환경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문제점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스프레이 헤드가,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홀더 본체에 대하여 위치이동되어, 잠금(locking)에 힘을 발휘하여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displaceable devic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상은, 수동으로 또는 화재감지기(예를 들면, 표면이나 복사열에 반응하는 연기 또는 열감지기, 또는 광학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커버가 제거(해제되어 노즐의 바깥에 있음)될 때까지 소화매체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설치한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단순히 열을 가하는 것만으로는 분사될 수 없다. 원한다면, 커버는 동시에 먼지, 오염물 및 침적물에 대한 보호로서 (제거되기 전에) 기능한다.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단순히 열을 가하는 것만으로는 분사될 수 없다. 스프레이 헤드가 해제되기 전에, 감지기는 신호를 주거나, 또는 양자택일로 스프레이 헤드는 수동으로 활성화되고, 이는 활성화시스템을 가압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다(개방형 노즐 스프레이 헤드). 커버가 해제된 위치로 이동된 경우, 이 스프링클러는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도록 배치되고, 대기모드에서 열-활성화된 해 제수단은 손상되지 않은 채로 있어서 열에 반응할 수 있고, 그리하여 문제의 스프링클러 해제를 제공하고,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활성화모드(active mode)로 가져온다. 화재감지 시에, 그러한 장치는 화재 가능성이 높은 지역/지역들에 소화매체를 즉시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지점"에서의 온도가 충분히 높이 상승될 때 이러한 "지점"에서의 소화매체의 분사를 강화하도록 채용된다.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 2 내지 15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가장 큰 이점은, 스프레이 헤드가 먼지 및 오염물에 노출되는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장치가 먼지에 오랜 기간 노출되었지만, 신뢰가능하게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화매체는 필요한 장소에만 방출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매우 적은 양의 소화매체만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예컨대 터널, 차고 등의 스프링클러는, 이러한 스프링클러를 향해 위로 향할 수 있고 상기 장치를 불필요하게 기능하게 만들 수 있는 로리의 뜨거운 배기가스에 의해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장치의 스프레이 헤드는 또한 기계적 하중에 대하여 보호된다. 그러한 경우에, 스프레이 헤드의 커버는 상당한 정도로 해제를 방지한다. 폭발의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도, 스프레이 헤드는 스프레이 헤드는 불필요하게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송수단과 소화장치의 조합은 첨부된 청구항 16에 기재된 바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17 및 18에 나타내었다.
조합의 가장 큰 이점은, 화재 시에 소화매체가 필요한 장소에만 방출되고, 상기 장치는 먼지에 오랜 기간 노출되어 있었지만 신뢰가능하게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먼저 언급한 특징은 매우 중요한 바, 이는 실제로 차량은 매우 많은 양의 소화매체를 휴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차량에 있어서는, 많은 양의 소화매체를 수송하는 것은 에너지 소비적이고 비싸다는 이유만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소화매체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터널과 소화장치의 조합은 첨부된 청구항 19 내지 23에 기재된 바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상기 조합의 가장 큰 이점은, 장치가 오랜 기간 먼지에 노출되어 왔더라도, 소화매체는 필요한 장소에만 방출된다는 점이다. 청구항 21은 비용의 상당한 절감을 의미하는 구성을 규정하고, 청구항 23은 화재가 번져나가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구성을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는 홀더 본체에 대하여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이동되어 잠금에 대해 힘을 발휘하여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청구항 25 내지 28에 기재하였다.
그러한 스프레이 헤드는 먼지 및 침적물에 대해 보호되고, 따라서 오랜 기간 전에 설치되었더라도, 먼지 많은 환경에서도 신뢰가능하게 기능할 수 있다. 노즐과 다른 구성요소들은, 화재에 반응하거나 소화매체를 전달하는 스프레이 헤드의 특성을 손상시키는 먼지, 오염물 기타 물질로부터 보호되고, 열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고서 대기모드/활성화모드로 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화재가 없는 원치 않는 장소에 소화매체가 전달되게 하는 원치 않는 사전 활성화(pre-activation)를 야기하는, 떨어진 위치의 화재로부터 바람에 의해 수송되는 열에 잠시라도 노출되지 않고서, 비활성화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활성화 모드로의 스프레이 헤드의 활성화가 다른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다. 실제로, 스프레이 헤드로 향한 열은 커버가 해제된 위치 또는 자유위치로 이동되게 하지 않지만, 전위(displacement)는 유체압력에 의해 제공된다. 한편, 유체 압력은 수동으로 또는 예컨대 표면 열이나 복사열에 반응하는 화재감지기에 의해, 또는 광학적 화염감지기에 의해 제공된다. 화재감지기는, 예를 들면 유체를 스프레이 헤드에 전달하기 위하여 펌프를 개시하는 신호를 발하거나, 유체(소화매체)를 스프레이 헤드에 전달하기 위하여 개방되는 밸브에 신호를 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가 제 1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프링클러가 사전-활성화 직후의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스프링클러가 대기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대기 모드에 있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활성화 직후의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프레이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 직후의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장치에서 목적물을 향하여 소화매체를 방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제 1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230)를 나타낸다. 스프링클러는 노즐본체(1)와 홀더(19)에 의해 노즐본체에 장착된 유리앰플(glass ampoule)(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노즐(2)을 구비하는 노즐본체(1)는 나사이음에 의하여 홀더본체(3)에 장착되고, 홀더본체는 다시 홀더본체(3)의 입구와 노즐 본체의 상부(22)에 소화매체를 전달하는 도관(conduit)(4)에 장착된다.
홀더본체(3)는 원통형 슬리브 부분(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슬리브 부분 (6)은 홀더본체(3)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슬리브 부분(6)과 홀더본체(3) 사이에는 압력챔버(7)가 있다. 압력챔버(7)는 홀더본체(3)와 슬리브 부분(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압력챔버(7)는 홀더본체(3)에 만들어진 링 그루브(ring groove)(11)와, 슬리브 부분(6)의 제 1 원통형 내부면(9)과 제 2 내부면(8)에 의해 규정된다. 표면(8과 9) 사이의 전이(transition)는, 스프레이 헤드의 세로방향에서 보면 돌출된 링표면(10A) 또는 고리모양의 돌출면적을 형성하는 쇼울더(10)를 규정한다.
압력챔버(7)는 참조번호 12로 나타낸 통로 위에서 입구(5)에 접촉되어 있다.
슬리브 부분(6)은 제 1 원통형 내부면(9)에서의 제 1 링 씨일(ring seal) (23)과 제 2 원통형 내부면(8)에서의 제 2 링 씨일(24)에 의해 홀더본체(3)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링 씨일(23, 24)은 홀더본체(3)의 상응하는 링 그루브(25와26)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구성이 간단하다. 슬리브 부분(6)은 링 씨일(23,24)에 대하여 상응하는 얕은 링 그루브를 구비하며, 상기 그루브는 제 1 원통형 내부면 (9)에 위치된다.
스프링클러는 유리앰플(18)과 노즐(2)을 덮는 컵 형태의 커버(13)를 구비하며, 커버는 링 씨일(14)에 의해 플랜지형 부분(15)에 대향하여 장착되며, 플랜지형 부분은 다시 홀더본체(3)에 고정된다. 플랜지형 부분(15)은 링 씨일(14)용 링 그루브(16)를 형성한다. 커버(13)는 링 씨일(14)을 수납하는 원통형 그루브(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 씨일(14)은 링 그루브(16)와 원통형 그루브(17) 사이에 약간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씨일(14)과 함께 원통형 그루브(17)는 커버(13)를 보호위치에 위치를 유지하는 잠금(locking)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링 씨일(14)에 대향하는 압축력 때문에, 커버(13)는 스프링클러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뿐만 아니라, 노즐(2)과 유리앰플(18) 등 스프링클러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스프링클러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 밀폐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이 커버 (13) 없이는 스프링클러를 쓸모 없이 만들고 그 기능을 신뢰할 수 없게 하는 먼지에 노출되는, 상이한 환경에서 스프링클러를 사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 1에서, 커버(13)는 보호위치에 있으며, 여기서 커버는, 예컨대 로리의 배기 다기관으로부터,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에 대향하는 짧은 뜨거운 가스흐름 때문에 앰플(18)이 바람직하지 않게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폐기(thermal shield)로서도 기능한다. 화재 시에,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가 개방형 기동차와 같은 수송수단에 장착될 때, 그러한 뜨거운 공기유동이 발생한다.
사전 활성화에 의해, 도 1의 스프링클러는 도관(4)으로부터 통로(12)로 압력화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기모드로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유체 압력은 쇼울더(10) 위에 발생되고, 슬리브 부분(6)을 아래로 누르려고 하는 힘을 제공한다. 힘의 강도는 유체압력과, 홀더본체(즉, 도관)의 세로방향에서 보여지고 쇼울더(10)에 의해 규정된 돌출된 링표면(10A)과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힘의 강도가 링 씨일(14) 및 그루브(17)에 의해 구성되는 잠금을 개방하기에 요구되는 힘을 초과하면, 커버(13)는 링 씨일(14)로부터 분리되어 도 2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해제)되며, 슬리브 부분의 하부에지(lower edge)(21)에 의해 눌려진다. 이 대기모드에서, 스프링클러의 노즐(2)은 아직 소화매체를 분사하지 않는다.
도 2 및 1은 슬리브 부분(6)이 플랜지형 부분(15)에 대하여 지탱하는 정지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도 2 및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플랜지형 부분은 제동부(15)라 호칭할 수 있다.
커버(13)가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클러로부터 떨어지고, 슬리브 부분(6)으로부터 해제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위치에 위치된다. 커버(13)가 도 3에 나타낸 해제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클러는 대기모드에 있다.
스프링클러가 대기 모드로 이동될 때, 슬리브 부분(6)은 링 씨일(14)에 대향하여 밀봉·지탱하도록 배치된 제 3 원통형 내부표면(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어떤 이유로 링 씨일(23)이 기밀하지 않는 경우에, 링 씨일(14)은 누수에 대하여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슬리브 부분(6)의 상부(30)는 링 씨일(24)이 홀더본체(3)에 대향하여 액체기밀(liquid tightly)하게 지탱하기에 충분히 높다.
스프링클러가 도 3에 나타낸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스프링클러는 유리 앰플 (18)이 열에 의해 폭발된 후에 종래의 방법으로 해제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 28은 체인이나 이와 유사한 세로 요소(29)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부를 표시하며, 그 타단부는 그 근처에 또는 스프링클러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 요소(29)는 스프링클러가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될 때 컵(13)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많은 적용의 경우에, 열-활성화된 유리앰플(18)이 바람직하다. 열-활성화된 유리앰플 대신에, 다른 타입의 열-활성화된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은, 예를 들면 공정금속(eutectic metal)이나 저온에서 용융되는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대기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2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압력챔버(7")와 입구(5")의 사이에 통로가 없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다르다. 스프링클러는 대기 모드로 활성화되고, 대기 모드에서 커버(13")는 이동되지만(도 3 참조), 홀더 몸체(3")의 통로(46") 위로 압력챔버(7')와 유체소통(fluid communication)되는 별도의 라인 (45")에 의해 앰플(18")은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클러는 제어라인으로 호칭할 수도 있는 라인(45")에서 유체압력에 의해, 또는 압력매체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대기모드로 되고, 유체는 스프링클러가 활성화 모드인 때에도 파이프(4)에서 소화매체와 연결될 필요는 없다. 그리하여, 유체는 가스, 예를 들면 공기일 수도 있다. 또한, 유체는 파이프(4) 내의 소화매체, 예컨대 물과 동등한 것일 수도 있다. 스프링클러가 비활성 모드일 때, 파이프(45")에서의 유체는 입구(5")와 유체소통되지 않는다.
도 4의 실시예의 중요한 이점은, 작은 밸브{도 17에서 밸브(482a와 482b); 도 19에서 밸브(582a); 및 도 22와 도 23에서 밸브(682a, 782a)}와 작은 컨트롤 파이프{도 17, 19, 22 및 23에서 파이프(445, 545, 645 및 745)}에 의해 대기모드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약 수 십 킬로미터 길이의 긴 터널(도 17, 도 19 참조)에 소화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시간에 대하여는, 커버(13")는 파이프(4)가 가압되거나 가압되지 않음에 관계없이, 즉 유체가 노즐에 주입되든 아니든에 관계없이 떨어져 나갈 수 있고, 또한, 스프링클러는 라인(45")과 파이프(4") 모두가 가압되는 조건에서만 분사되게 될 수 있다. 터널의 경우에, 특히 파이프(4){도 17과 도 19에서 파이프(481과 581)}는 정상적으로 가압된다.
도 5는 어떠한 열-활성화된 해제수단도 없는 스프레이 헤드(280)를 나타낸다. 따라서, 입구(5")에 작용하는 소화매체의 압력은 초기에 슬리브(6")가 아래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어서, 커버(13")는 아래로 가압되어서, 소화매체는 노즐(2")로부터 즉시 분사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3와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부분에 사용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제 1 비활성화 모드와 활성화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프레이 헤드(280')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사용된 것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노즐 본체의 입구(47')로부터 노즐(2', 2c')로 소화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41')이 마련되고 스프링 (48')에 의해 적재되는 전위가능한 스핀들(40')과 같은 부속 구성요소를 가지는 노즐본체(1')는 바람직하게는 국제공개공보 WO 96/08291호에 기재되어 있는 압력-보상형(압력-평형형)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스프레이 헤드는 압력보상형일 필요는 없다. 노즐(2')로 안내하는 채널의 입구에 작용하는 가능한 고압은, 스핀들(40')이 이동될 때까지는 노즐에 도달하지 않는다. 스핀들(40')이 이동될 때, 닫는 부 분(42')은 개방되면서 노즐본체의 입구와 노즐(2') 사이의 유체소통은 개방되어, 이들은 소화매체를 분사할 수 있다. 초기에는, 스프레이 헤드는, 라인(45')과 파이프(4) 모두가 가압되는 환경에서만 분사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파이프(4)에 유체가 없다면, 상기 사전활성화는 문제가 되고, 이는 커버(13')가 옆으로 이동된 것을 의미할 뿐이다. 도 6의 스프레이 헤드(280')는 도 13, 14, 19, 22 및 23의 소화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헤드는 압력평형형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소화매체의 압력이 초기에 입구에 작용하지 않는 건식 배관계에는 특히 그러하다. 습식 배관계에서도 또한, 커버(13')가 폐쇄된 채로 스프레이 헤드가 수동형모드인 때에, 스핀들(40')이 스프링(48')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닫는 부분(42') 때문에 비압력평형형 스프레이 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압력챔버(7')가 가압될 때, 커버(13')와 커버에 고정된 닫는 부분(42')는 아래로 가압되고, 그 결과 스핀들(48')의 힘과 상기 스핀들로 향한 소화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40')은 아래로 가압되어, 스핀들은 입구(5')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소화매체는 채널(41') 위의 입구(5')로부터 노즐(2', 2c')로 흐를 수 있다. 스프레이 헤드가 도 6에 나타낸 비활성모드일 때, 닫는 부분(42')은 제 1 로킹부분 (54')과 제 2 로킹부분(55')을 구비하는 로킹에 의해 노즐본체(1')에 유지된다. 제 1 로킹부분(54')는 전위가능한 요소(50'), 예컨대 금속구(metal sphere)에 의해 노즐본체(1')에 잠금된다. 제 2 로킹부분(55')은, 스프레이 헤드가 비활성모드일 때, 제 2 로킹부분(55')의 원통형 그루브(53')에 위치된 O링(52')에 의해 제 1 로킹부분(54')에 고정된다. 커버(13')가 아직 장착되지 않았지만, 상기 O링은 제 2 로킹부분(55')를 제 1 로킹부분(54')에 유지한다. 이 때문에, 스프레이 헤드의 최종 장착은 간단하다. O링(52')과 로킹부분(54', 55')은 공장에서 (이미)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커버(13')만을 스프레이 헤드가 위치될 장소에 장착하면 된다. 또한, 제 2 로킹부분(55')은 커버(13') 내의 개구(58')에 고정된다. 코터 (cotter)(28')나 임의의 잠금요소는, 원칙적으로 커버(13')로부터 제 2 로킹부분 (55')으로 힘을 전달하여, 커버가 이동될 때에 따라온다. 제 2 로킹부분(55')은 지지부(57')가 커버의 개구(58')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요소(50')는, 제 2 로킹부분(55')이 제 1 로킹부분에 관하여 이동될 때, 노즐본체(1')로부터 제 1 로킹부분(54')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커버(13')가 제어라인(45')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아래로 가압될 때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핀들(40')은 노즐본체로부터 제 1 로킹부분을 떨어지도록 가압하여, 스프레이 헤드는 도 7에 나타낸 활성화모드로 된다.
도 8 및 도 9는 차량(99)와 같은 물건을 수송하는 개방형 기동차(98)를 예시한다.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스프링클러(230)는 기동차에 장착된다. 스프링클러 (230)는, 화재 시에 소화매체, 바람직하게는 수계 소화매체(water-based extinguishing medium)를 공급하는 배관계(81) 위의 소화매체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배관계(81)는 기차의 모든 기동차를 따라 연장되고, 그들 중 하나만을 도 8에 도시하였다. 참조번호(81d)는 분배라인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90은 화재감지기를 나타낸다. 감지기(90)는, 예를 들면 복사선 (radiation)에 반응하는 타입의 것이다. IR감지기인 것이 바람질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UV방사선에 반응하는 감지기이어도 좋다. 또한, 광케이블 감지기, 연기감지기 또는 가스감지기도 가능하다. 화재감지 시에, 예를 들면 화재에 의해 가열된 표면의 감지 시에, 감지기(90)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신호를 보내서, 도관 (81)으로의 소화매체의 전달을 개시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스프링클러(230)의 커버는 떨어져 나가고, 스프링클러는 뜨거운 연기 가스에 반응할 수 있는 대기 모드로 들어간다.
장치의 수동 활성화는 상기 감지기 활성화 시스템을 보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사용된 것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0의 장치는 기동차(198)가 구획밸브(section valve)(182a, 182b)에 의해 구획(183a, 183b)으로 나누어진다는 점에서 도 8의 장치와 다르다.
감지기(190a)가 화재에 반응하면, 구획밸브(182a)에 신호를 보내어 개방한다. 그런 다음, 앰플이 벗겨진 채로 스프링클러(130a)는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뜨거운 연기가스가 스프링클러(130a)를 향하여 흐르면, 앰플은 폭발하고 스프링클러는 해제된다. 감지기(190ab)는 구획밸브(182a와 182b), 즉 구획(183a)와 구획 (183b) 양자에 신호를 보내도록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차를 4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대신에, 한편으로는, 예를 들면 구획(183a와 184b)이 단지 하나의 구획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기동차(198)를 2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구획밸브(예컨대 182a)이면 충분하다.
도 12는 기동차(198) 내의 로리(199)를 나타내며, 스프링클러(130a)가 로리를 향하여 어떻게 분사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장치에 유사한 장치를 나타내지만, 스프링클러(230ab)뿐만 아니라, 해제수단이 없는 스프레이 헤드(280a, 280b), 예컨대 도 5에 기재된 타입의 스프레이 헤드도 구비한다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스프링클러(230ab)와 스프레이 헤드(280a, 280b), 보다 정확하게는 그 안의 노즐은 또한 WO 98/58705호에 기재된 타입의 것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일체로 된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스프레이 헤드는 변동하는 k인자를 가지는 노즐을 가지며, 흐름은 소화매체의 증가하는 압력과 함께 강하게 증가한다. 도 10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도 8의 부분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0과 비교하여 다른 차이점은, 상기 장치는 구획밸브(282a)가 구획(283b)의 스프레이 헤드(280b)에 소화매체를 보내는 것을 방지하는 1방향유통밸브(non-return valve)(89a, 8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이다. 1방향유통밸브(89a, 89b)는 상응하는 밸브(282a, 282b)에 내장되지만, 양자택일적으로는 소화매체를 스프레이 헤드/스프링클러에 분배하는 도관에 직접 연결될 수 있어서, 장치의 기능에 관한 한, 동일한 결과를 갖는다.
도 13의 장치는, 감지기(290a)가 신호를 발하고, 그에 의해 구획밸브(282a)는 개방되고, 스프레이 헤드(280a)는 즉시 소화매체를 분사하기 시작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스프링클러(230ab)는 앰플이 열에 의해 폭발할 때까지는 분사를 시작하 지 않는다. 감지기(290ab)가 개방되면, 구획밸브(282a) 및 구획밸브(282b) 양자를 개방하는 신호를 보낸다. 스프레이 헤드(280a와 280b)는 소화매체를 즉시 분사하기 시작하지만, 스프링클러(230ab)는 앰플이 열에 의해 폭발할 때까지는 분사를 시작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앞의 도면들의 것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4의 장치는, 기동차(398)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스프링클러(330a)와 스프레이 헤드(380a) 양자를 구비하는 구획(3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재감지기(390a)가 구획밸브(382)에 신호를 보내면, 소화매체는 스프링클러(330a)와 스프레이 헤드(380a)로 흐른다. 스프레이 헤드(380a)는 즉시 분사하기 시작하지만, 스프링클러는 앰플이 열에 의해 폭발할 때까지는 분사를 시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레이 헤드(380a)(앰플이나 다른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가지지 않음)가 화재가 감지된 구획에서 초기 냉각에 주의함과 동시에, 기동차(398)를 따라 최고 온도를 가지는 어떤 지점에 대부분의 소화매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획(383) 내의 스프레이 헤드(380a)는 기동차(398)의 반대편에 위치된 구획 내의 스프레이 헤드와 스프링클러가 시기상조로 기능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소화매체는 불필요하게 전달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4의 실시예는 스프레이 헤드(380a)가 위로 향하여지는 방식으로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다(도 16참조). 스프레이 헤드(380a)가 소화매체를 기동차의 상부부분으로 전달한다는 점 때문에, 그렇지 않았다면 온도가 높고 연기가스이 점 화와 화재의 신속한 전개를 유발할 수도 있었을 지역에서 효과적인 냉각이 달성된다. 물론, 도 8, 10 및 13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 헤드/스프링클러가 위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스프링클러(330a)와 스프레이 헤드(380a)의 분사각도가 바람직하게는 어떻게 되는 지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은 기차터널(400)에 장착되는 장치를 나타낸다. 배관계(481)는 터널(400)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장치의 스프링클러(430a, 430b)는 도 4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다. 스프링클러(430a, 430b)는 배관계(481)에 직접 장착된다. 공압라인(pneumatic line)(445p)에 의해, 화재감지기(490a, 490ab, 또는 490b)가 신호를 보낸 후에, 스프레이 헤드(430a, 430b)는 구획밸브(482a, 482b) 위의 대기모드로 가져와진다. 화재감지기(490a)는 구획(483a)을 제어하고, 화재감지기(490ab)는 구획(483a와 483b)을 제어하며, 화재감지기(490b)는 구획(483b)을 제어한다. 라인(445p)의 압력은 라인(481)의 압력{및 앞선 도면에서 라인(81, 181 및 381)}보다 훨씬 낮은(10분의 1이하), 예를 들면 6 bar이다. 구획밸브(482a, 482b)는, 도 10, 13 및 14의 구획밸브(예를 들면, NS20타입의 것)와 비교하여 작은 치수(예컨대, NS 1,5)이고 비싸지 않다. 도 8 내지 도 13의 라인(분배라인)(81d, 181d 및 381d)의 치수, 예를 들면 25mm 및 라인(481)(및 81, 181, 281 및 381)의 치수, 예를 들면 50mm와 비교하여 볼 때, 라인(445p)의 치수, 예를 들면 6mm는 작은 것일 수 있다. 이는 스프링클러의 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라인을 구비하지 않는 타입의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장치가 매우 긴 터널과 이와 유사한 적용에 있어서 비용의 상당한 절감을 의미하며, 이는 그 길이가 터널의 길이에 상응하는 대략적인 분배라인이 구획밸브와 스프링클러 사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7에서, 스프링클러의 부분은 열-활성화된 해제수단,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 없는 스프레이 헤드로 변경될 수 있다.
기동차(498)의 안쪽에는, 도 8, 10, 13 및 14에 예시된 타입의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차량터널(500)용 장치를 나타낸다. 유사한 것에 대하여는 도 17과 도 18에 사용된 것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스프링클러 (530a, 530b)는 도 4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고, 스프레이 헤드는 도 6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의 장치는 소화매체를 도관(581)으로부터 스프링클러(530a, 530b, 530ab)와 스프레이 헤드(580a)의 컨트롤 파이프(545){도 6 및 도 4의 파이프 (45'와 45")}로 주입하도록 구획밸브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7과 도 18의 장치와 다르다. 게다가, 1방향유통밸브(589a, 589b)는 유체가 한 구획으로부터 다른 구획 {예를 들면, 구획(583a)으로부터 구획(583b)으로, 및 그 역으로}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 파이프(545)에 배치된다. 제어라인이 긴 제어라인에 결합되는 경우에, 1방향유통밸브 또한 당연히 도 17의 제어라인(445a, 445b)에 연결되어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530ab)는 구획(583a와 583b)에 대하여 일반적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530a, 530b)는 터널(500)의 중앙부분과 로리(599)를 향하는 반면에, 스프레이 헤드(580a)의 적어도 일부는 연기가스가 점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매체를 터널(500)의 상부 부분을 향하여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천정(지붕)레벨에서 분사하는 스프레이 헤드(580a) 내의 물의 양은 스프링클러(530a)에서보다 상당히 작은 것일 수 있고, 스프레이 헤드는 효과적인 냉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은 액적(droplet) 크기{전형적으로는 스프링클러 (530a)가 가지는 것보다 작음}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스프레이 헤드(580a, 580b)의 일부는 터널 중앙부분을 향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반적인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앞선 도면에서 사용된 참조번호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22의 장치는, 예를 들면 공장시설장치, 대향 저장고 및 수송선의 카데크에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630a)와 스프레이 헤드(680a)가 구획밸브 (682a)와 제어라인(645a) 위의 소화매체의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고, 스프링클러 (630b)와 스프레이 헤드(680b)는 구획밸브(682b)와 제어라인(645b) 위의 소화매체의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구획밸브(682a, 682b)는 제어라인(645a, 645b)과 파이프 라인(681)에 결합된다. 화재감지기(690a)는 구획밸브(682a)와 구획(683a)을 제어하고, 화재감지기(690b)는 구획밸브(682b)와 구획(683b)을 제어한다. 스프레이 헤드(680abcd)는, 화재감지기(690a, 690b, 690c 또는 690d) 중 어느 것이라도 신호를 보내면 활성화된다.
스프링클러(630a, 630b)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고, 스프 레이 헤드(680a, 680b, 680abcd)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나타낸 타입의 것이다.
도 22의 스프링클러의 일부나 그 모두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는 스프레이 헤드로 변경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반적인 디자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앞선 도면에서 사용된 참조번호에 상응하는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22의 장치와 같이, 도 23의 장치는, 예를 들면 공장시설장치, 대형 저장고 및 수송선의 카데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의 장치는 구획밸브(782a, 782b)가 소화매체 파이프(781)에 연결되지 않는 공압제어라인(pneumatic control line)(745a, 745b 및 745p)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22의 장치와 다르다.
도 8 내지 도 20의 모든 장치는 소화매체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수계 유체(water-based fluid)가 소화매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헤드의 적어도 일부는 WO 92/20453호에 기재된 타입의 것, 즉 화재지역으로 침투할 수 있는 응축된 침투수 분무(concentrated penetrating mist of wa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지 일 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세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많은 점에서 예를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획으로 나누는 것은 적용에 따라서는 바뀔 수도 있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 내지 도 16의 적용은 반드시 기동차 형태의 수송수단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여객선 등의 약간 다른 수송수단일 수 있 다. 또한, 상기 장치는 수송수단과 전혀 관계가 없는 다른 장소, 개방된 장소와 폐쇄된 장소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많은 스프레이 헤드(130a, 130b; 230; 230ab, 280a, 280b; 330a, 380a; 430a, 430b; 530a, 530b, 530ab, 580a; 630a, 630b, 630ab, 680a, 680b, 680ab, 680abcd; 730a, 730b, 780a, 780b, 780ab, 780abcd)와, 상기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매체를 안내하는 배관계(81; 181; 281; 381; 481; 581; 681; 78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장치로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인입 소화매체용 입구(5, 5', 5", 5''')를 가지는 홀더본체(3, 3', 3", 3''')와, 하나 이상의 노즐(2, 2', 2", 2''')과, 상기 장치가 비활성모드일 때 상기 노즐(2, 2', 2", 2''')의 전면에서 보호위치에 잠금(14, 17, 14', 17' 14", 17", 14''', 17''')되고 상기 장치의 활성화 시에 잠금(14, 17, 14', 17' 14", 17", 14''', 17''')의 해제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커버(13, 13', 13", 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노즐을 제거하여, 노즐은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모드일 때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130a, 130b; 230; 230ab, 280a, 280b; 330a, 380a; 430a, 430b; 530a, 530b, 530ab, 580a; 630a, 630b, 630ab, 680a, 680b, 680ab, 680abcd; 730a, 730b, 780a, 780b, 780ab, 780abcd)는 홀더본체(3, 3', 3", 3''')에 대하여 유체 압력의 효과에 의해 위치이동되고, 그리하여 잠금(14, 17, 14', 17' 14", 17", 14''', 17''')에 대하여 힘을 발휘하여, 커버(13, 13', 13", 13''')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6, 6', 6", 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위가능한 장치(6, 6', 6", 6''')는 전위가능한 장치를 이동시키고 압력챔버(7, 7', 7", 7''')의 유체압력에 의해 잠금(14, 17, 14', 17' 14", 17", 14''', 17''')에 대향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배치된 돌출면(10A, 10A', 10A", 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위가능한 장치는 슬리브형 부분(6, 6', 6", 6''')이고, 홀더본체(3, 3', 3", 3''')와 함께 압력챔버(7, 7', 7", 7''')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가 비활성모드일 때, 압력챔버(7, 7''')는 통로(12, 12''') 위의 입구(5, 5''')와 유체소통되어, 입구에서의 소화매체의 압력이 상기 잠금(14, 17, 14''', 17''')에 대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챔버(7', 7")는 제어라인 내의 압력매체의 압력이 상기 잠금(14', 17', 14", 17")에 대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방식으로 통로 위의 제어라인(45', 45", 445a, 445b; 545; 645a, 645b; 745a, 745b)과 유체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430a, 430b, 730a, 730b, 780a, 780b, 780ab, 780abcd)가 비활성모드일 때, 제어라인(45', 45", 445a, 445b; 745a, 745b)은 입구(5', 5")와 유체소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130a, 130b; 280a, 280b; 330a, 380a; 430a, 430b; 530a, 530b, 530ab, 580a; 630a, 630b, 630ab, 680a, 680b, 680ab, 680abcd; 730a, 730b, 780a, 780b, 780ab, 780abcd)는 많은 구획(183a, 183b; 283a, 283b; 383; 483a, 483b; 583a, 583b; 683a, 683b; 783a, 783b)에 배치되어 별개로 또는 그룹으로 활성화되고, 각 구획은 많은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소화매체를 많은 구획 중의 한 구획(283a, 283b; 583a, 583b; 683a, 683b; 783a, 783b)으로 안내하고 소화매체가 인접한 구획 내의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1방향유통밸브(89a, 89b; 589a, 589b; 689a; 78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230ab; 330a; 530a, 530b, 530ab; 630a, 630b, 630ab; 730a, 730b, 730ab)이고,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280a, 280b; 380a, 380b; 580a; 680a, 680b, 680abcd; 780a, 780b, 780ab, 780abcd)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으며, 보호위치에 있는 상기 스프링클러의 커버(13, 13")는 열에 대하여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보호하도록 적용되어, 노출되어 열에 반응하지 않지만, 열에 반응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스프링클러의 해제를 제공하며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대기모드로 가져오기 위하여, 상기 커버가 해제된 위치로 이동될 때 스프링클러를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손상되지 않는 대기모드로 놓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는 스프레이 헤드(280a; 380a; 480a; 680a; 780a)와 스프링클러(230ab; 330a; 430a) 양자를 구비하는 구획(283a, 283b; 383, 585a; 683a, 683b; 783a, 78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소화매체의 스프레이 헤드(130a, 130b; 280a, 280b; 330a, 380a; 430a, 430b; 530a, 530b, 530ab, 580a; 630a, 630b, 630ab, 680a, 680b, 680ab, 680abcd; 730a, 730b, 780a, 780b, 780ab, 780abcd)로의 주입을 시작하고, 상기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광학감지기 또는 복사열이나 연기에 반응하는 감지기(90; 190; 290; 390; 490a; 590a; 690a; 790a, 790b, 790c, 790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그룹에 속하는 스프레이 헤드(430a; 530a, 580a; 630a, 680a; 730a, 780a)의 제어라인(445a, 445b; 545; 645a, 645b; 745a, 745b)은, 화재감지 시에 유체를 스프레이 헤드로 흐르게 하도록 배치된 컨트롤 밸브(482a; 582a; 682a; 782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밸브(482a; 582a; 682a; 782a)는 감지시에 공기를 스프레이 헤드(430a; 530a, 580a; 630a, 680a; 730a. 780a)로 안내하기 위한 공정라인(445a, 445b; 545; 645a, 645b; 745a, 745b)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밸브(582a; 682a)는 활성화 시에 소화매체를 스프레이 헤드(530a, 580a; 630a, 680a)에 안내하는 배관계(581; 68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1방향유통밸브(589a; 689; 789)는 어떤 스프레이 헤드의 커버를 분리하고 남아있는 스프레이 헤드의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라인(545; 645a, 645b; 74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16. 많은 스프레이 헤드(230, 230ab; 280a, 280b; 330a, 380a)와 상기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매체를 안내하는 배관계(81; 181; 281; 381)를 구비하는 소화장치와 수송수단의 조합으로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각각 홀더본체(3, 3''')와 인입 소화매체용 입구(5, 5''')와 하나 이상의 노즐(2, 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장치와 수송수단의 조합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는, 상기 장치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노즐(2, 2''') 전면의 보호위치에 잠금(14, 17, 14''', 17''')되고 상기 장치의 활성화 시에 잠금(14, 17, 14''', 17''')의 해제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커버(13, 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13, 13''')는 상기 노즐로부터 제거되어,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 모드일 때 노즐은 소화매체를 분사하며,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홀더본체(3, 3")에 대한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이동되고 잠금에 대해 힘을 발휘하여 상기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6, 6''')에 의해 상기 커버(13, 13''')는 해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수송수단의 조합.
  17. 제 16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130a, 130b; 230ab, 280a, 280b, 280ab; 330a, 380a)는 많은 구획(183a, 183b; 283a, 283b; 383)에 배치되어 별개로 또는 그룹으로 활성화되고, 각 구획은 많은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수송수단의 조합.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18)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230ab; 330a)이고,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280a)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으며, 보호위치에 있는 상기 스프링클러의 커버(13)는 열에 대하여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보호하도록 적용되어, 노출되어 열에 반응하지 않지만, 열에 반응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스프링클러의 해제를 제공하며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대기모드로 가져오기 위하여, 상기 커버가 해제된 위치로 이동될 때 스프링클러를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손상되지 않는 대기모드로 놓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수송수단의 조합.
  19. 많은 스프레이 헤드(430a, 430b; 530a, 530b; 580a)와 상기 스프레이 헤드에 소화매체를 안내하는 배관계(481; 581)를 구비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으로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는 각각 홀더본체(3', 3")와 인입 소화매체용 입구(5', 5")와 하나 이상의 노즐(2', 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430a, 430b; 530a, 530b; 580a)는 상기 장치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노즐(2', 2") 전면의 보호위치에 잠금(14', 17', 14", 17")되고 상기 장치의 활성화 시에 잠금(14', 17', 14", 17")의 해제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커버(13', 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노즐로부터 제거되어,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 모드일 때 노즐은 소화매체를 분사하며,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홀더본체(3, 3")에 대한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이동되고 잠금에 대해 힘을 발휘하여 상기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6', 6")에 의해 상기 커버는 해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
  20. 제 19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헤드(430a, 430b; 530a, 530b; 580a)는 많은 구획(483a, 483b; 583a, 583b)에 배치되어 별개로 또는 그룹으로 활성화되고, 각 구획은 많은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가능한 장치(6', 6")는 압력챔버(7', 7") 내의 유체압력에 의해 잠금(14', 17', 14", 17")에 대향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배치된 돌출면(10A, 10A")을 구비하며, 상기 압력챔버는 제어라인 내의 소화매체의 압력이 상기 잠금에 대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방식으로 통로(46', 46") 위의 제어라인(45', 45")과 유체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 (18")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530a, 530b, 530ab)이고,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 (580a)는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없으며, 보호위치에 있는 상기 스프링클러의 커버(13")는 열에 대하여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을 보호하도록 적용되어, 노출되어 열에 반응하지 않지만, 열에 반응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스프링클러의 해제를 제공하며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대기모드로 가져오기 위하여, 상기 커버가 해제된 위치로 이동될 때 스프링클러를 열-활성화된 해제수단이 손상되지 않는 대기모 드로 놓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
  23. 제 19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의 일부(580a, 580b)는 상기 터널의 상부 부분에서 소화매체를 분사하도록 향하여지는 반면에, 다른 스프레이 헤드(530a, 530b, 530ab)는 터널의 보다 중앙부분에 위치된 지역에서 소화매체를 분사하도록 향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와 터널의 조합.
  24. 홀더본체(3', 3''')와, 인입 소화매체용 입구(5', 5''')와, 하나 이상의 노즐(2', 2''')과, 상기 장치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노즐 전면의 보호위치에 잠금(14', 17', 14''', 17''')되고 상기 장치의 활성화 시에 잠금(14', 17', 14''', 17''')의 해제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커버(13', 13''')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스프레이 헤드로서,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노즐로부터 제거되어, 스프레이 헤드가 활성화 모드일 때 노즐은 소화매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헤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헤드(280'; 280''')는 홀더본체(3',3''')에 대한 유체압력의 효과에 의해 이동되고 잠금(14', 17', 14''', 17''')에 대하여 힘을 발휘하여 상기 커버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전위가능한 장치(6', 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13', 13''')는 전위가능한 장치(6', 6''')가 이동될 때 상기 스프레이 헤드(280'; 280''')를 활성화 모드로 가져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헤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가능한 장치(6''')는 압력챔버(7''') 내의 압력에 의해 잠금(14''', 17''')에 대향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배치된 돌출면( 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력챔버(7''')는 상기 스프레이 헤드가 비활성 모드일 때 통로(12''') 위의 입구(5''')와 유체소통되어 입구의 소화매체의 압력이 전위가능한 장치(6''')를 이동시키고 잠금에 대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헤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가능한 장치(6')는 압력챔버(7') 내의 압력에 의해 잠금(14', 17')에 대향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배치된 돌출면(1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력챔버(7')는 상기 스프레이 헤드가 비활성 모드일 때 통로(46') 위의 제어라인(45')과 유체소통되어 제어라인의 소화매체의 압력이 전위가능한 장치(6')를 이동시키고 잠금에 대향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헤드.
  27. 삭제
  28. 삭제
KR1020027004357A 1999-10-08 2000-10-06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 KR100709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92172A FI108216B (sv) 1999-10-08 1999-10-08 Installation för att släcka brand, spruthuvud
FI19992172 199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855A KR20020075855A (ko) 2002-10-07
KR100709428B1 true KR100709428B1 (ko) 2007-04-18

Family

ID=855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57A KR100709428B1 (ko) 1999-10-08 2000-10-06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296062B1 (ko)
EP (1) EP1224015B1 (ko)
JP (1) JP4777567B2 (ko)
KR (1) KR100709428B1 (ko)
CN (1) CN1168516C (ko)
AT (1) ATE354406T1 (ko)
AU (1) AU766602B2 (ko)
CA (1) CA2385708C (ko)
DE (1) DE60033544T2 (ko)
DK (1) DK1224015T3 (ko)
ES (1) ES2280248T3 (ko)
FI (1) FI108216B (ko)
FR (1) FR2799379B1 (ko)
GB (1) GB2355403B (ko)
HK (1) HK1044301B (ko)
HR (1) HRP20020292B1 (ko)
NO (1) NO20021595L (ko)
PL (1) PL193531B1 (ko)
RU (1) RU2248232C2 (ko)
WO (1) WO2001026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1571B2 (en) 2001-02-27 2014-06-10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PN triggered collaboration
US7912193B2 (en) 2001-02-27 2011-03-22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management with user intervention
US8488766B2 (en) 2001-02-27 2013-07-1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ser selective notification
US8761363B2 (en) 2001-02-27 2014-06-24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forwarding of communications to a preferred device
US8503650B2 (en) 2001-02-27 2013-08-0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nd providing conference calls
US8761816B2 (en) 2002-11-25 2014-06-24 Telesector Resources Grou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ingle number text messaging
ES2182720B1 (es) * 2001-07-31 2004-09-16 Metro De Madrid, S.A. Sistema y metodo para la proteccion contra incendios en unidades moviles.
US6750897B1 (en) 2001-08-16 2004-06-15 Verizon Data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nternet video conferencing using standard phone calls
DE10160102A1 (de) * 2001-12-07 2003-06-26 Fogtec Brandschutz Gmbh & Co Vorrichtung zum Löschen eines Brandes in einer Rohrleitung zum Absaugen eines Gasstroms
FI113945B (fi) 2002-06-28 2004-07-15 Marioff Cor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alon sammuttamiseksi
GB0305212D0 (en) * 2003-03-07 2003-04-09 Reeve Dean Fire sprinkler/mist head penetration protection device
DE102004002648A1 (de) * 2004-01-16 2005-08-18 Hemsing Sachverständigenbüro für Brandschutz GmbH Gebäude-Hohlraum mit einer Löschanlage
AU2005245038B2 (en) * 2004-05-21 2011-03-24 Spray Nozzle Engineering Pty Ltd Nozzle protector cap
NZ551960A (en) * 2004-05-21 2010-11-26 Spray Nozzle Eng Pty Ltd Nozzle protector cap
US20090056958A1 (en) * 2007-08-30 2009-03-05 Polan George S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US8573316B2 (en) * 2004-10-26 2013-11-05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Concealed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US8776903B2 (en) * 2004-10-26 2014-07-15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Lodgment prevention arrangements for fire sprinklers
US7275603B2 (en) * 2004-10-26 2007-10-02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FI122096B (fi) * 2006-01-18 2011-08-31 Marioff Corp Oy Sprinkleri
GB2436538B (en) * 2006-03-30 2008-04-09 Watermist Ltd Spray nozzle primarily for fire protection
FI118458B (fi) * 2006-06-12 2007-11-30 Marioff Cor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suihkutuspään yhteydessä sekä suihkutuspään suojaelin
JP5128591B2 (ja) * 2006-07-01 2013-01-23 カマー、ペーター 熱トリップ機器を有する自動消火器及びノズル用密封装置
US7878419B2 (en) * 2006-09-19 2011-02-01 Sta-Rite Industries, Llc Spray head with covers
FI118515B (fi) * 2006-09-26 2007-12-14 Marioff Corp Oy Suihkutuspää, suihkutuslaitteisto ja menetelmä palon sammuttamiseksi
US8607886B2 (en) * 2007-01-03 2013-12-17 Fm Global Technologies, Llc Combined plug and sealing ring for sprinkler nozzle and related methods
CN103736232A (zh) * 2008-07-12 2014-04-23 韩铁夫 一种带前置热敏机构的喷洒装置
FI125802B (fi) 2011-04-08 2016-02-29 Marioff Corp Oy Suihkutuspää
DE202012013539U1 (de) * 2012-01-10 2017-08-24 Michael Wedowski Schutzeinrichtung
CN103537037A (zh) * 2012-07-17 2014-01-29 全龙浩 多点控制无源自动启闭消防系统
US20140202723A1 (en) * 2013-01-18 2014-07-24 GelTech Solutions, Inc. Aerial bucket lift electrical fire safety apparatus
US9636530B2 (en) * 2014-02-21 2017-05-02 Williamsrdm, Inc. Stovetop fire suppressor with thermal glass bulb actuation and method
US9452305B2 (en) 2014-08-04 2016-09-27 Factory Mutual Insurance Company Radiation-activated sprinkler and related methods
CN104549810B (zh) * 2014-12-26 2017-07-04 中北大学 主动式隔爆旋流喷头
RU2605986C2 (ru) * 2015-05-05 2017-0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службы Министер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делам гражданской обороны, чрезвычайным ситуациям и ликвидации последствий стихийных бе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в высотных зданиях
DE102015219208A1 (de) 2015-10-05 2017-04-06 Minimax Gmbh & Co. Kg Sprinkler für Feuerlöschanlagen
DE102015219191A1 (de) * 2015-10-05 2017-04-06 Minimax Gmbh & Co. Kg Sprinklergehäuse für einen Sprinkler, sowie Sprinkler für Feuerlöschanlagen mit selbigem und Verwendung desselben
CN106693261A (zh) * 2016-11-29 2017-05-24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自主寻的消防水炮系统及控制方法
CN109568856B (zh) * 2018-10-30 2020-12-01 湖州达立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压强感应调整的沿海地区用自动灭火装置
KR20210029352A (ko) 2019-09-06 2021-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 화재 진압 시스템
EP3868447A1 (en) * 2020-02-18 2021-08-25 Marioff Corporation OY Deployable sprinkler fire suppression system
DK180794B1 (en) * 2020-03-03 2022-04-01 Joeni Holding Aps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CN112172926B (zh) * 2020-09-28 2022-06-28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复合材料的客车顶盖
EP4059577A1 (en) * 2021-03-18 2022-09-21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such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5204A (en) * 1988-02-24 1989-09-20 James Steel Fire protection system for passenger carriers
JPH05184693A (ja) * 1992-01-08 1993-07-27 Nohmi Bosai Ltd トンネル用防災設備
JPH05345045A (ja) * 1992-06-16 1993-12-27 Yamato Protec Co 消火設備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20010089554A (ko) * 1999-10-08 2001-10-06 마리타 순드홀름 해제형 커버를 가지는 스프링클러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38A (en) * 1894-03-06 Lauthlin
US399519A (en) * 1889-03-12 Island
US2327528A (en) * 1942-08-15 1943-08-24 Rockwood Sprinkler Co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2389331A (en) * 1944-07-12 1945-11-20 Tyden Emil Sprinkler head
US2389332A (en) * 1944-07-14 1945-11-20 Tyden Emil Sprinkler head
US3727695A (en) * 1971-04-26 1973-04-17 B Danton Sprinkler head protective cover
JPS51142896A (en) * 1975-06-03 1976-12-08 Ngk Insulators Ltd Water spray fire extinguishing system
US5072792A (en) * 1989-04-13 1991-12-17 Star Sprinkler Corporation Concealed sprinkler head assembly
US5080176A (en) * 1989-05-25 1992-01-14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Directly mounted pendent-style sprinklers and covers
US5020601A (en) * 1990-03-26 1991-06-04 Viking Corporation Concealed sprinkler assembly
JP3047117B2 (ja) * 1990-11-20 2000-05-29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装置
US5152344A (en) * 1991-03-25 1992-10-06 Grinnell Corporation Fire protection sprinkler
CA2103070C (en) 1991-05-20 2003-07-22 Goran Sundholm Fire fighting equipment
FI915669A0 (fi) 1991-11-26 1991-11-29 Goeran Sundholm Eldslaeckningsanordning.
FI915730A0 (fi) * 1991-12-04 1991-12-04 Goeran Sundholm Eldslaeckningsanordning.
FI922623A0 (fi) * 1992-06-05 1992-06-05 Goeran Sundholm Eldslaeckningsanordning.
JPH0639053A (ja) * 1992-07-28 1994-02-15 Hiroshi Kajitani ビル火災無人消火システム並びに装置
US5372203A (en) * 1993-04-30 1994-12-13 Star Sprinkler Corporation Concealed sprinkler head
FI97864C (fi) * 1994-09-14 1997-03-10 Goeran Sundholm Sprinkleri
JPH08299486A (ja) * 1995-05-01 1996-11-19 U G Kk 複数階集合住宅用消火装置
FI103386B1 (fi) * 1997-06-13 1999-06-30 Goeran Sundholm Sprinkleri tai suihkutuspää
FI104152B (fi) 1997-06-13 1999-11-30 Marioff Corp Oy Suutin ja palonsammutuslaitteisto
JP3681862B2 (ja) * 1997-07-25 2005-08-10 ホーチキ株式会社 開放型放水ヘッド
FI102728B (fi) * 1997-09-15 1999-02-15 Marioff Corp Oy Palonsammutuslaitteisto
FR2769508B1 (fr) * 1997-10-15 1999-12-17 Jean Aime Andre Poncet Dispositif d'extinction automatique d'incendie integre a un convoi ferrovia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5204A (en) * 1988-02-24 1989-09-20 James Steel Fire protection system for passenger carriers
JPH05184693A (ja) * 1992-01-08 1993-07-27 Nohmi Bosai Ltd トンネル用防災設備
JPH05345045A (ja) * 1992-06-16 1993-12-27 Yamato Protec Co 消火設備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20010089554A (ko) * 1999-10-08 2001-10-06 마리타 순드홀름 해제형 커버를 가지는 스프링클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8955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020292A2 (en) 2003-06-30
EP1224015B1 (en) 2007-02-21
CA2385708C (en) 2009-12-29
EP1224015A1 (en) 2002-07-24
HRP20020292B1 (en) 2005-06-30
DE60033544D1 (de) 2007-04-05
GB0002064D0 (en) 2000-03-22
AU7792300A (en) 2001-04-23
FR2799379A1 (fr) 2001-04-13
RU2248232C2 (ru) 2005-03-20
PL193531B1 (pl) 2007-02-28
GB2355403A (en) 2001-04-25
FI108216B (sv) 2001-12-14
US6296062B1 (en) 2001-10-02
ES2280248T3 (es) 2007-09-16
CA2385708A1 (en) 2001-04-19
FR2799379B1 (fr) 2002-08-09
DE60033544T2 (de) 2007-11-22
WO2001026742A1 (en) 2001-04-19
JP2003511168A (ja) 2003-03-25
HK1044301B (zh) 2007-06-08
PL354327A1 (en) 2004-01-12
NO20021595D0 (no) 2002-04-04
JP4777567B2 (ja) 2011-09-21
CN1168516C (zh) 2004-09-29
AU766602B2 (en) 2003-10-16
HK1044301A1 (en) 2002-10-18
FI19992172A (fi) 2001-04-09
DK1224015T3 (da) 2007-06-18
GB2355403B (en) 2001-10-10
ATE354406T1 (de) 2007-03-15
NO20021595L (no) 2002-06-10
CN1378475A (zh) 2002-11-06
KR20020075855A (ko) 200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428B1 (ko) 소화장치, 스프레이 헤드
EP1150747B1 (en) Sprinkler with releasable cover
US8544556B2 (en) Sprinkler
US6345670B1 (en) Spray head
US20090208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spraying head
CN101500659B (zh) 用于灭火液体的防冻容器
AU2007259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spraying head and protective element of spraying head
KR100709427B1 (ko) 소화장치
US20230061990A1 (en) Fire suppression sprinkler device
GB2320681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