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547B1 -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 Google Patents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547B1
KR100707547B1 KR1020060058914A KR20060058914A KR100707547B1 KR 100707547 B1 KR100707547 B1 KR 100707547B1 KR 1020060058914 A KR1020060058914 A KR 1020060058914A KR 20060058914 A KR20060058914 A KR 20060058914A KR 100707547 B1 KR100707547 B1 KR 10070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lifting
lift
hooks
slid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83A (ko
Inventor
아서 슈뵈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064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754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8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빌딩의 콘크리트 구간(14)에 고정하기 위한 상승 폼웍의 상승 슈(10)는 그 위에 갈고리들(50)이 제공된 슬라이딩 슈 부분(16)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갈고리(50)가 슬라이딩 슈 부분(16)에 피벗 및/또는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승 슈, 슬라이딩 슈 부분, 피벗, 텔레스코핑, 갈고리, 상승 폼웍

Description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DIVISIBLE CLIMBING SHOE OF A CLIMBING FORMWORK}
도 1은 상승 레일을 이동할 수 없도록 가이드하고 지탱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가 어떻게 콘크리트 벽 위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는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폴이 상승 슈 내로 피벗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폴이 상승 슈의 바깥쪽으로 하중 베어링 핀과 맞물림 없이 피벗되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상승 슈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콘크리트 구간의 판상에 놓여져서 이에 고정되는 판상 슈 부분을 포함하는 상승 슈를 도시한다.
도 5는 상승 슈가 콘크리트 구간에 어떻게 고정되며 갈고리에 의해 상승 레일 둘레에 어떻게 붙잡는지를 보여주는 상승 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승 레일을 제거하기 위한 갈고리 한쪽이 개방된, 상승 슈가 벽의 콘크리트 구간에 어떻게 고정되는지를 보여주는 상승 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수직 및 수평으로 배향된 축 둘레로 카르단식(cardanic) 지지대를 갖 는, 상승 슈가 콘크리트 구간의 벽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어떻게 고정되는지를 보여주는 상승 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상승 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평행하게 정렬된 레일 성분들 또는 콘솔들을 지탱하는 상승 레일들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간의 볼록 벽면에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카르단식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 슈들을 도시한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 상승 슈 12: 벽면
14: 콘크리트 구간 20: 상승 레일
16: 슬라이딩 슈 부분 18: 벽면 슈 부분
22: 폴 24: 하중 베어링 핀
38: 스프링 26: 상승 실린더
34: 스터브 샤프트 46: 판상 슈 부분
50: 갈고리 56: 잠김 핀
40: 레버 30: 힌지 샤프트
28: 하우징 32: 안전 핀
본 발명은 빌딩의 콘크리트 구간에 고정하기 위한 상승 폼웍(climbing formwork)의 상승 슈(climbing shoe)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미 건축이 된 콘크리트 구간들 위에 제작되는 빌딩의 벽을 따라 가이드된 상승 레일을 지탱한다. 한편으론 상승 슈들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다른 한 편으론 빌딩의 벽면 위에 가이드된 상승 레일들을 지탱하는 식으로 상승 레일 둘레로 붙잡는(grip) 상승 슈들이 알려져 있다. 상승 슈들이 벽면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면 상승 레일들은 상승 슈들로부터 밀어내야 하며, 그 결과 콘크리트 구간에 제공된 고착점에 고정된 상승 슈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 레일에 의해 맞물릴 때조차 콘크리트 구간에 고정된 속박(fixed fastening)이 제거될 수 있는 상승 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갈고리들 사이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 상승 레일을 가이드방식으로 지탱하는 갈고리들이 그 위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슈 부분을 포함하는 상승 슈에 의해 해결되는데, 여기에서 갈고리들은 상승 레일들의 구간들 둘레에서 붙잡으며 적어도 하나의 갈고리는 슬라이딩 슈 부분 위에 피벗, 텔레스코핑, 또는 피벗 및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제공된다.
슬라이딩 슈 부분 위에서 갈고리가 슬라이딩 슈 부분 위에 피벗, 텔레스코핑, 또는 피벗 및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배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는 빌딩에 부착된 다수의 상승 슈들 중에서, 의도된 상승 폼웍 위에서 더 이상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때 이미 벽으로부터 항상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구간이 완성되고 새로운 콘크리트 구간이 만들어져야 할 때 항상 그렇다. 상승 폼웍을 위해 활용되는 상승 레일들은 만들어지는 두 개의 콘크리트 구간들의 높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가장 낮은 상승 슈들은 상승 레일들이 가장 낮은 상승 슈들을 완전히 이탈할 만큼 상승될 때까지 만들어지는 벽 상에 항상 남아 있어야 한다. 상승 레일들이 상승 슈들과 맞물림에서 벗어날 때, 이들 상승 슈들은 제거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알려진 이들 상승 슈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보조 플랫폼들 또는 피니슁 플랫폼들이 일반적으로 필요하고 선행 기술에 알려진 상승 폼웍을 기능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큰 상승 슈들의 스타킹이 공지된 상승 폼웍을 작동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들이 활용되면, 이들 상승 슈들은 상승 레일들과 여전히 맞물려 있으면서 벽으로부터 이미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상승 슈들을 분리하기 위해 추가의 피니슁 플랫폼들이 필요하지 않다. 요구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는 상승 레일 위 어느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승 레일로부터 상승 슈를 분리할 때 얻어지는 모든 이점들은 상승 레일 위에 상승 슈를 장착하는 것에도 이전될 수 있다.
상승 슈의 특정 구현예는 상승 슈의 두 개의 갈고리들이 구간들에서 상승 레일 둘레에서 붙잡을 때 상승 슈가 분리되는 것을 가능케 하고 갈고리는 슬라이딩 슈 부분 위에 피벗 방식으로 제공된다. 피벗 가능한 지지대는 슬라이딩 슈의 갈고리 위에서 쉽고 비용 효과적으로 설정가능하며 피벗 이동은 잠김 핀 방식에 의해 아주 쉽게 구속될 수 있다. 잠김 핀이 제거될 때, 갈고리는 피벗되어 나가서 상승 레일로부터 제거된다. 갈고리가 피벗되어 나갈 때, 이는 피벗 가능한 갈고리가 제거될 때 제어할 수 없이 피벗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동일 잠김 핀 방식에 의해 잠겨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가 수평 배향된 스터브 샤프트 방식에 의해 서로 이탈가능하도록 연결된 슬라이딩 슈 부분 및 벽면 또는 판상 슈 부분으로 배치되면, 상승 슈를 분리하는 것은 보다 더 단순해지는데, 이는 피벗 방식의 갈고리를 갖는 것 외에도 나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상승 슈는 수직으로 배향된 축을 벽면 슈 부분에 포함한다. 이는 주변 상승 슈들이 상승 슈들 및 서로 평행하게 이에 연결된 브래킷들 내에서 지탱되는 상승 레일들과 항상 정렬하도록 콘크리트 구간들의 둥글게 된 벽들 위에도 상승 슈가 배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폼웍 패널 등을 실어나르는 폼웍 캐리지가 브래킷들 또는 레일들 위에서 벽으로 끌려오거나 또는 벽으로부터 끌려갈 수도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슈는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하기 도면들에 의해 도시되고 기술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물을 아주 개략적으로 예시하며 일정한 비례로 그려진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같은 기능적 원소들은 가능한 한 하기에 기술된 도면에서 동일 참조 기호를 가지고 나타내었다. 이들 기능적 원소들은 아주 다른 대상물 표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상승 슈(10)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상승 슈가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 고착점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보여준다. 상승 슈(10)는 슬라이딩 슈 부분(16)과 벽면 슈 부분(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승 레일(20)은 슬라이딩 슈 부분(16) 위에서 폴(22) 방식으로 지탱되고 상승 레일(20)의 하중 베어링 핀(24) 아래에서 폴(22) 붙잡기(gripping)의 결과로서 측면으로 가이드된다. 폴(22)은 최대 가능한 편향에서 도시되었으며, 슬라이딩 슈 부분(16) 내에 위치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배치된 카운터 베어링은 폴(22)의 추가 시계방향 편향을 막는다.
상승 실린더(26)는 상승 슈(10)의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상단 위에 놓인다. 상승 실린더(26) 중에서 실린더의 가장 아래쪽 부분만이 보이는데, 여기에 하우징(28)이 결합하여 있으며, 이에 의해 상승 실린더(26)는 상승 슈(10)의 힌지 샤프트(30) 위에 들어맞게 된다. 안전 핀(32)은 힌지 샤프트(30)에 대하여 상승 실린더(26)의 피벗 범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힌지 샤프트(30)에 하우징(28)을 고정한다. 안전 핀(32)이 힌지 샤프트(30)에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서 스프링 힘에 반대로 잡아당겨질 때, 상승 실린더(26)는 힌지 샤프트(30)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상승 실린더의 하우징(28)은 고무 또는 점탄성 원소(33)에 의해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하우징 벽면상에 그 자체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수평으로 배향된 스터브 샤프트(34)를 거쳐 벽면 슈 부분(18)에 힌지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벽면 슈 부분(18)에 대하여 스터브 샤프트(34)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 부분(16) 내에서 폴(22)은 스프링(38)의 압력에 거슬러서 회전지점(36)에 대해 피벗 가능한 반시계방향이다.
폴(22)이 상승 레일(20)의 하중 베어링 핀(24)에 의해 중량 하중에 놓이지 않으면, 폴(22)은 레버(40)를 거쳐 슬라이딩 슈 부분(16) 내로 스프링(38) 압력에 반대로 수동으로 피벗될 수 있다. 이는 상승 레일(20)이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배치된 상승 슈(10)에 대해 아래쪽으로 추진되어야 할 때마다 필요하다.
도면은 콘크리트 구간(14), 상승 레일(20) 및 상승 실린더(26)의 일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을 따라서 상승 실린더(26)에 의해 화살표(42)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때의 상승 레일(20)의 스냅사진을 도시한다. 화살표(42) 방향으로 상승 레일(20)의 상승 과정을 위해 상승 실린더(26)의 피스톤은 바깥으로 추진되는데, 이는 이의 자유 말단 위에 폴을 또한 가지며, 상승 레일(20) 위에서 하중 베어링 핀(24)을 품고 아래쪽으로 붙잡을 수 있다.
상승 레일(20)이 화살표(42) 방향으로 상승 실린더(26)에 의해 추진되면, 상승 레일(20) 위 하중 베어링 핀(24)은 폴(22)의 돌출 베벨(44) 위에 압박하고 스프링(38)의 압력에 반대로 회전(36) 중심에 대해 폴(22)을 피벗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폴(22)은 상승 슈(10)의 슬라이딩 슈 부분(16) 내로 피벗된다.
도 3은 폴(22)이 스프링(38)의 압력 하에서 회전 중심(36)에 대해서 피벗되 어 이의 처음 위치로 돌아갈 때,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의 도 1 및 도 2의 상승 슈(10)를 도시한다. 상승 레일(20)은 하중 베어링 핀(24)이 폴(22)을 풀어주도록 화살표(42) 방향으로 상승 실린더(26)에 의해 추가 추진되었는데, 이는 처음 위치로 피벗되어 돌아갈 수 있었다.
상승 실린더가 추진되면, 하중 베어링 핀(24)은 폴(22) 위에 자리잡고 상승 슈는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승 레일(20)을 지탱한다.
도 4는 변형된 상승 슈(10)의 측면도인데, 이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및 판상 슈 부분(46)을 포함한다. 판상 슈 부분(46)은 콘크리트 구간(14)의 판상 위에서 지탱하며 또한 이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스터브 샤프트(34)를 거쳐 판상 슈 부분(46)에 힌지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터브 샤프트(34)가 판상 슈 부분(46)으로부터 취해지면, 갈고리들(50)을 가진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판상 슈 부분(46)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승 레일이 수축될 때 상승 레일의 하중 베어링 핀 아래에서 붙잡거나 상승 과정 동안에 피벗될 수 있는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폴 또는 폴들은 갈고리들(50)에 의해 감춰진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에서 폴에 힌지된 레버(40)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슈 부분(16)에서 폴 또는 폴들은 레버(40)에 의해 수동적으로 피벗될 수 있다.
래치(52)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힌지 샤프트(30)를 품는다. 상승 실린더는 힌지 샤프트(30)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도 5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및 벽면 슈 부분(18)을 포함하는 상승 슈(10)의 평면도로서 어떻게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고정되는지를 보여준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스터브 샤프트(34)를 거쳐 벽면 슈 부분(18)에 힌지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갈고리들(50)은 상승 레일(20)의 U-형 프로파일의 다리 둘레에서 붙잡으며, 벽면(12) 위 상승 레일(20)을 가이드방식으로 지탱한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폴들(22)은 상승 레일(20)의 한쪽 면 위에 하중 베어링 핀(24) 아래에서 붙잡는다. 힌지 샤프트(30)는 상승 실린더 위에서 밀기 위해 슬라이딩 슈 부분(16) 위에 배열된다. 갈고리들(50)의 절반은 좌측 갈고리(50)의 가능한 피벗 움직임을 막기 위한 잠김 핀(56)이 이의 리테이너로부터 잡아당겨진다면 축(54)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도 6은 한쪽 면 위에 바깥으로 피벗된 갈고리(50)를 갖는 도 5의 상승 슈(10)를 도시한다.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 상승 슈(10)가 상승 레일(20)의 존재하여 분리되거나 제거되어야 한다면, 잠김 핀(56)이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견고한 벽 구간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리고 갈고리(50) 내 입구로부터 잡아당겨질 때 슬라이딩 슈 부분(16)의 갈고리(50)는 바깥으로 피벗될 수 있다. 열림 수단(unlocking means)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축(54)에 대해 갈고리(50)를 피벗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갈고리(50)가 바깥으로 피벗되면, 잠김 핀(56)은 갈고리(50)를 잠그는 위치로 다시 삽입되어 돌아갈 수 있으며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갈고리(50)가 남아있는 것이 보장된다. 게다가, 슬라이딩 슈 부분(16)과 벽면 슈 부분(18) 사이의 스터브 샤프트(34)가 이를 공통 지지대로부터 화살표(57)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후속적으로 제거되면,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상승 레일(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요구된다면, 벽면 슈 부분(18)도 벽면 내 고착점으로부터 이탈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에 카르단식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 슈(10)의 측면도이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스터브 샤프트(34)를 거쳐 벽면 슈 부분(18)에 힌지 수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상승 슈에 덧붙여 벽면 슈 부분(18)은 수직으로 배향된 축(58)을 갖는데, 이 축에 대해 슬라이딩 슈 부분(16)을 지닌 벽면 슈 부분(18)이 요구되는 경우 피벗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30)를 품는 래치(52)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위에 배치되었다. 갈고리들(50)은 갈고리들(50) 사이에 놓인 폴들을 숨긴다.
도 8은 카르단식 수단에 의해 지지된 도 7의 상승 슈의 평면도이다. 상승 슈(10)는 콘크리트 구간(14)의 벽면(12) 위에 고정된 위치로 지탱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축 및 수평으로 배향된 축에 대해 피벗할 수 있는데, 후자는 스터브 샤프트(34)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스터브 샤프트(34)를 거쳐 벽면 슈 부분(18) 위에 피벗 방식으로 지탱되며 벽면 슈 부분(18)은 축(58)에 의해 그 자체 피벗 가능하다. 갈고리(50)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및 피벗 가능한 갈고리(50) 사이에 견고한 갈고리 연결을 삽입 상태에서 창출하는 잠김 핀(56)과 함께 축(54)에 대해 피벗 방식으로 장착된다. 피벗 가능한 폴들(22)은 슬라이딩 슈 부분(16) 내 갈고리들(50) 사이에 배열된다.
도 9는 둥근 방식으로 형상화된 콘크리트 구간(14)의 평면도이다. 콘크리트 구간(14) 위에 제공된 고착점에는 상승 슈들(10)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은 갈고리들(50) 사이에 상승 레일(20)을 가이드하고 상승 슈들(10) 내 배열된 폴들에 의해 상승 레일들(20)은 상승 레일들(20) 내에 제공된 하중 베어링 핀들(24)에 의해 제 위치로 지탱된다. 카르단식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 슈들(10)로 콘크리트 구간(14)에 평행하게 항상 운행하는 브래킷들 또는 레일들(60)은 상승 레일들(20)에 고정된다. 브래킷들 또는 레일들(60)이 콘크리트 구간(14)의 가장 상이한 만곡부분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항상 정렬된다면, 폼웍 캐리지는 레일들(60)에 의해 콘크리트 구간(14)으로 밀어지거나 콘크리트 구간(14)으로부터 밀려나갈 것이다. 수직으로 배향된 축들(58)에 의해 상승 레일들(20)을 지닌 상승 슈들(10)은 브래킷들(60) 또는 레일들이 서로 평행하게 운행하도록 항상 정렬되며, 이는 콘크리트 구간(14)의 곡률반경에 독립적이다.
빌딩의 콘크리트 구간(14)에 고정하기 위한 상승 폼웍의 상승 슈(10)는 그 위에 갈고리들(50)이 제공된 슬라이딩 슈 부분(16)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갈고리(50)는 슬라이딩 슈 부분(16) 위에 피벗, 텔레스코핑, 또는 피벗 및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제공된다.

Claims (5)

  1. 갈고리들(50) 사이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 상승 레일(20)을 가이드방식으로 지탱하는 갈고리들(50)이 위에 제공된 슬라이딩 슈 부분(16)으로 구성되는 빌딩의 콘크리트 구간(14)에 고정하기 위한 상승 폼웍의 상승 슈로서, 상기 갈고리들(50)은 상기 상승 레일(20)의 구간들 둘레로 붙잡고, 하나 이상의 갈고리(50)가 상기 슬라이딩 슈 부분(16)에 피벗, 텔레스코핑, 또는 피벗 및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제공되는 상승 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승 슈(10)의 두 개의 갈고리들(50)이 상기 상승 레일(20)의 구간들에서 상기 상승 레일(20) 둘레를 붙잡으며, 상기 갈고리(50)는 상기 슬라이딩 슈 부분(16)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슈.
  3. 제2항에 있어서, 피벗 이동이 상기 갈고리(50)의 바깥 방향으로 피벗된 상태 및 닫힌 상태 모두에서 잠김 핀(56)에 의해 잠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슈(10)는 상기 슬라이딩 슈 부분(16) 외에 벽면 또는 판상 슈 부분(18; 46)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슈 부분(16)은 수평 배향된 스터브 샤프트(34)에 의해 상기 벽면 또는 판상 슈 부분(18; 46)에 이탈가능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슈(10)의 상기 벽면 슈 부분(18)은 수직으로 배향된 축(5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슈.
KR1020060058914A 2005-06-29 2006-06-28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KR100707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0333.1 2005-06-29
DE102005030333.1A DE102005030333C5 (de) 2005-06-29 2005-06-29 Teilbar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83A KR20060087483A (ko) 2006-08-02
KR100707547B1 true KR100707547B1 (ko) 2007-04-13

Family

ID=371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914A KR100707547B1 (ko) 2005-06-29 2006-06-28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14512B2 (ko)
EP (1) EP1899548B1 (ko)
JP (1) JP4809891B2 (ko)
KR (1) KR100707547B1 (ko)
AU (1) AU2006264099B9 (ko)
CA (1) CA2613151C (ko)
DE (1) DE102005030333C5 (ko)
ES (1) ES2532911T3 (ko)
PL (1) PL1899548T3 (ko)
RU (1) RU2369703C1 (ko)
WO (1) WO20070001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58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0927259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1297572B1 (ko) * 2011-02-25 2013-08-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Rcs 안전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6201B4 (de) * 2006-06-06 2008-04-10 Doka Industrie Gmbh Selbstklettersystem
DE102007018851A1 (de) *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Führungsschuh und Kombination eines Führungsschuhs mit einem Kletterprofil
DE102008015682A1 (de) * 2008-03-25 2009-10-08 Peri Gmbh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gsstücken
KR100895614B1 (ko) * 2008-06-16 2009-05-06 이송복 건축물 시공방법
DE112009005086B4 (de) * 2009-07-21 2023-08-10 Tms Tüfekc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rägerkopf mit Bolzenmechanismus für mit Kolben angetriebene Klettersysteme
ES2401552T3 (es) 2010-03-05 2013-04-22 Ulma C Y E, S. Coop. Sistema de protección perimetral autotrepante para obras de construcción en edificios
EP2518239B1 (en) 2011-04-28 2016-02-24 ULMA C y E, S. COOP.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CN102352685A (zh) * 2011-07-29 2012-02-15 中国葛洲坝集团股份有限公司 液压升降式施工平台
US8757593B2 (en) 2012-05-10 2014-06-24 Commonwealth Dynamics, Inc. Ratchet pawl system, device and method
AU2014224104B2 (en) * 2013-09-10 2020-04-23 Evan Zannis Construction Site Safety Screen System
US9963889B2 (en) * 2013-12-17 2018-05-08 Shenzhen Techen Technology Co., Ltd Sealed and integrated climbing scaffold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4563501B (zh) * 2014-05-14 2018-10-09 山东国兴模板脚手架有限公司 建筑设施附墙挂座的使用方法
EP3438377B1 (de) 2014-08-27 2020-10-07 DOKA GmbH Vorrichtung zum führen eines trägers für ein schalungs- oder schutzelement
GB2533142B (en) * 2014-12-11 2019-08-14 Ischebeck Titan Ltd Hook arrangement
CN104695693A (zh) * 2015-03-02 2015-06-10 赵金海 一种液压爬升式外墙脚手架
US10465401B2 (en) * 2015-04-15 2019-11-05 Ronald A. Bullock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DE102016205956A1 (de)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CN105780728A (zh) * 2016-04-26 2016-07-20 南通铁军机械有限公司 一种航道墙体式护岸整体自动震捣滑模装置
EP3241959B1 (en) 2016-05-04 2018-11-07 ULMA C y E, S. COOP. Climbing shoe for fixing a climbing scaffold to a concrete section of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DE102016220051A1 (de) * 2016-10-14 2018-04-19 Peri Gmbh Konsolgerüst
DE102017202264A1 (de) 2017-02-13 2018-08-16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zum Absenken einer Kletterschiene und Verfahren zum Absenken einer Kletterschiene
US11053699B2 (en) * 2017-10-27 2021-07-06 Doka Gmbh Climbing shoe, safety screen support system and safety screen system
IL257315B (en) * 2018-02-01 2022-08-01 Sba Metal Works Ltd Climbing screen scaffolding system
DE102018202097A1 (de) 2018-02-12 2019-08-14 Peri Gmbh Klett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lettersystems
DE102018204961A1 (de) 2018-04-03 2019-10-10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mit Antrieb über ein umlaufendes Antriebsmittel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elbstklettersystems
KR102069702B1 (ko) * 2018-09-14 2020-01-23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DE102019104548A1 (de) * 2019-02-22 2020-08-27 Peri Gmbh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freivorbaugerät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2144402B (zh) * 2020-09-03 2022-04-15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旋转顶升方法
DE102020214455A1 (de) 2020-11-17 2022-05-19 Doka Gmbh Klettergerüst
DE102020134812A1 (de) 2020-12-23 2022-06-23 Peri Se Kletterschuhvorrichtung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DE102020134813A1 (de) 2020-12-23 2022-06-23 Peri Se Kletterschuh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3147939B (zh) * 2021-03-23 2022-06-07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行程可调间歇式顶模爬升系统及其爬升框和爬升方法
DE102022214177A1 (de) 2022-07-20 2024-01-25 Hünnebeck GmbH Kletterschuh, Klinkenvorrichtung, Befestigungsteil und Verfah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287A (en) 1988-12-14 1991-03-19 Peri Gmbh Displaceable platform movable sectionwise on a wall
KR200355424Y1 (ko) 2004-04-23 2004-07-06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200391342Y1 (ko) 2005-04-30 2005-08-02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393396Y1 (ko) 2005-04-11 2005-08-22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8662A1 (fr) 1975-01-27 1976-08-20 St Amand Outinord Coffrage auto-relevable
DE2814930C2 (de) 1978-04-06 1986-07-03 Peri-Werk Artur Schwörer GmbH & Co KG, 7912 Weißenhorn Klettergerüst
DE3006491C2 (de) * 1980-02-21 1983-01-05 Streif AG, 5461 Vettelschoß Versetzbares, an einem Bauwerk verankertes Gerüst
FR2487410A1 (fr) 1980-07-24 1982-01-29 Bouygues Sa Coffrage grimpant pour la coulee de parois en beton
FR2487892A1 (fr) * 1980-08-01 1982-02-05 Huennebeck Gmbh Appareil a dispositif elevateur pour grimper le long d'une paroi, notamment pour echafaudage grimpant
SU968262A1 (ru) 1981-03-11 1982-10-23 Проектный 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Донецкий ПромстройНИИпроект" Подъемно-переставна опалубка
US4892169A (en) * 1989-02-21 1990-01-09 Sinco, Inc. Perimeter debris net lifting system
DE4302197A1 (de) 1993-01-27 1994-07-28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RU2078884C1 (ru) 1993-03-01 1997-05-10 Нижегородски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го здания и подвиж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557817B2 (en) * 2000-01-18 2003-05-06 Wilian Holding Company Wall climbing form hoist
JP4163177B2 (ja) 2002-05-06 2008-10-08 チュー,ワイ,ファーン 足場システム
KR100483898B1 (ko) 2002-05-11 2005-04-18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狹支) 장치
AU2002951070A0 (en) 2002-08-29 2002-09-12 Formula One Self Driving Screens Pty Ltd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287A (en) 1988-12-14 1991-03-19 Peri Gmbh Displaceable platform movable sectionwise on a wall
KR200355424Y1 (ko) 2004-04-23 2004-07-06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200393396Y1 (ko) 2005-04-11 2005-08-22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0391342Y1 (ko) 2005-04-30 2005-08-02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58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0927259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1297572B1 (ko) * 2011-02-25 2013-08-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Rcs 안전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9891B2 (ja) 2011-11-09
KR20060087483A (ko) 2006-08-02
EP1899548B1 (de) 2015-01-28
US8714512B2 (en) 2014-05-06
AU2006264099B2 (en) 2009-12-17
RU2369703C1 (ru) 2009-10-10
DE102005030333C5 (de) 2017-09-28
JP2008545073A (ja) 2008-12-11
RU2008103263A (ru) 2009-08-10
US20090146041A1 (en) 2009-06-11
AU2006264099A1 (en) 2007-01-04
ES2532911T3 (es) 2015-04-01
DE102005030333B4 (de) 2010-04-22
WO2007000136A1 (de) 2007-01-04
CA2613151C (en) 2011-03-01
DE102005030333A1 (de) 2007-01-04
EP1899548A1 (de) 2008-03-19
AU2006264099B9 (en) 2010-03-18
CA2613151A1 (en) 2007-01-04
PL1899548T3 (pl)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547B1 (ko)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KR100707546B1 (ko) 상승 폼웍의 힌지 상승 슈
AU2006264097B2 (en) Climbing cylinder on a self-climbing shuttering
KR100707545B1 (ko) 클라이밍폼의 상승 브래킷용 이동성 지지대
JP2013528545A (ja) リフトシャフトドアのロック解除機構
KR20080079682A (ko)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KR200453229Y1 (ko) 오토바이 수리용 리프트
US77089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cing a floor table mold
CN105209783B (zh) 开启辅助器
JP3650736B2 (ja) 安全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01

Effective date: 2012122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40411

Effective date: 2014050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40723

Effective date: 201505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626

Effective date: 201601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50611

Effective date: 20160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5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70331

Effective date: 201705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5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523

Effective date: 201811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