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107B1 - 노면표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노면표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107B1
KR100706107B1 KR1020050076797A KR20050076797A KR100706107B1 KR 100706107 B1 KR100706107 B1 KR 100706107B1 KR 1020050076797 A KR1020050076797 A KR 1020050076797A KR 20050076797 A KR20050076797 A KR 20050076797A KR 100706107 B1 KR100706107 B1 KR 10070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waste
space
housing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512A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05007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07B1/ko
Priority to PCT/KR2006/003295 priority patent/WO2007024087A1/en
Publication of KR2007002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by thermal or cryogenic treatment, excluding heating to facilitate mechanical wor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표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면표시의 제거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노면표시를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수단과, 상기 연소수단에 의해 연소되어 노면에 붙어있는 잔유물을 2차적으로 파괴하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도로면으로 부터 제거된 노면표시의 폐기물을 3차적으로 진공흡입하는 흡입수단을 구비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노면표시를 제거시킴과 아울러 제거된 폐기물을 자동회수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노면표시 제거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연소수단의 노면표시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와 노면표시 파괴시 발생되는 먼지 및 페인트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진되어 필터링수단을 통해 배출 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분사수단의 강구 또는 금속입자를 분리수단에 의해 폐기물과 분리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노면표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사수단, 연소수단, 흡입수단, 이송수단

Description

노면표시 제거장치 {Removal device a surface ind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이송수단의 수평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분사수단의 분기관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폐기물수거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폐기물수거함에서 분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필터링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제1 구획벽
120: 제2 구획벽 200: 제2 공간부
210: 연소수단 220: 유입로
221: 분기로 222: 통로
223: 배기공 230: 가스탱크
231: 연결관 232: 밸브
234: 가스노즐 235: 점화장치
240: 정화수단 241: 수용부
242: 하우징 243: 경사판
250: 연결관 260: 흡입팬
270 : 배출구 300: 제1 공간부
310: 분사수단 320: 관통공
330: 분기관 340: 저장탱크
350: 에어컴프레서 360 : 에어호스
400: 제3 공간부 410: 흡입수단
420: 관통공 430: 흡입관
440: 흡입펌프 450: 폐기물수거함
451: 분리판 452: 폐기물수용부
453: 강구수용부 454: 배출관
455: 위치감지센서 456: 배출도어
460: 연결관 470: 분리수단
471: 가이드홈 472: 가이드돌기
473: 프레임 474 : 전자석
475: 래크 476: 피니언
477: 모터 500: 이송수단
510: 래크 520: 피니언
530: 모터 531: 모터축
540: 지지바 541: 관통공
542: 베어링 543: 가이드홈
550:프레임 560: 유압실린더
570: 로드 580: 완충스프링
590: 위치감지센서 600: 기밀부재
본 발명은 노면표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도색된 각종 노면표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시킴과 아울러 제거된 폐기물을 자동회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노면표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상에는 주행선, 안내를 위한 각종차선, 횡단보도선, 글씨, 안내표시등 각종 노면표시가 도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로에 도색되어 있는 노면표시는 차선 변경이나 새로운 차선 추가등으로 노면 표시를 수정함에 있어 기존 노면표시를 지워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종래에는 도로의 노면표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연마석 또는 커터날등의 제거공구가 장착된 대차를 이용하여 노면표시의 페인트를 깍거나 파쇄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노면표시의 페인트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도로가 일부 파손될 뿐만아니라 화학물질을 원자재로 한 페인트 분진 및 연마석 분진이 대기중에 비산되어 공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노면표시의 페인트가 도로면으로 부터 깨끗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PG가스를 이용해서 수작업으로 노면표시에 직접 열을 가하고 연소시켜 노면표시를 연소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가스의 점화가 외부로 노출되어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므로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에너지 소모도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먼지로 인한 환경오염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건강을 해치며,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에게도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마석 또는 커터날등의 제거공구를 이용하여 노면표시를 깍거나 파쇄하는 작업은 물론 LPG가스를 이용하여 노면표시를 연소하는 작업은 작업후 파쇄된 페인트 잔유물, 연소된 페이트의 재 및 먼지등을 별도의 후작업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중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길이지므로 교통의 혼잡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표시의 제거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노면표시를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수단과, 상기 연소수단에 의해 연소되어 노면에 붙어있는 잔유물을 2차적으로 파괴하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도로면으로 부터 제거된 노면표시의 폐기물을 3차적으로 진공흡입하는 흡입수단을 구비하여 각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노면표시를 제거시킴과 아울러 제거된 폐기물을 자동회수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노면표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의 점화가 하우징내에서 이루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열손실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와 노면표시 파괴시 발생되는 먼지 및 페인트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진되어 필터링수단을 통해 배출 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작업자는 물론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의 불편함을 해소 시킬 수 있는 노면표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수단이 강구 또는 금속입자인 경우 분리수단에 의해 폐기물과 분리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노면표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표시를 덮도록 하부로 개구되는 제1 공간부와 그 제1 공간부의 양측에 제 1 및 제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2 및 제3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벽에는 외부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하나 이상 형성한 하우징과;
압축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강제배출되는 저장탱크의 미니알갱이가 상기 제1 공간부의 관통공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어 노면표시를 파괴하는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수단이 원활히 파괴하도록 상기 노면표시를 1차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가스탱크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로와, 상기 제2 공간부에 의해 덮혀진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정화수단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 공간부의 하부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공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수단과;
상기 제3 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파괴된 노면표시의 폐기물을 흡입펌프에 의해 강제로 폐기물수거함으로 이송시키는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도 1은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로서 차량의 일측벽을 절개하여 도시하고, 하우징이 단면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이송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이송수단중 수평이동수단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분사수단의 분기관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폐기물수거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폐기물수거함에서 분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노면표시 제거장치에서 필터링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여기에서 노면표시는 주행선, 중앙선 및 각종차선, 횡단보도선, 글씨, 화살표의 안내표시등 도로상에 표현된 선,글씨,그림을 통틀어 말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노면표시 제거장치는 도로의 노면표시를 덮도록 하부로 개구되는 하우징(100)의 제1 공간부(300)에는 일측에 제1 구획벽(110)을 형성하여 제2 공간부(200)를 형성하고 타측에 제2 구획벽(120)을 형성하여 제3 공간부(400)를 형성하되, 상기 제 2공간부(200)에는 노면표시의 제거가 원활이 이루어 지도록 노면표시를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수단(210)을 구비하고, 제 1 공간부(300)에는 상기 연소수단(210)에 의해 연소되어 노면에 붙어있는 잔유물을 2차적으로 파괴하는 분사수단(310)을 구비하며, 제 3 공간부(400)에는 상기 분사수단(310)에 의해 도로면으로 부터 제거된 노면표시의 폐기물을 3차적으로 진공흡입하는 흡입수단(41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공간부(300)에 구비하는 분사수단(310)은, 제1 공간부(300)의 내벽에 외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32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320)에는 미니알갱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340)와 연결하는 분기관(330)을 구비하며, 상기 분기관(33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컴프레서(350)와 연결된 에어호스(360)를 구비한다.
이때, 저장탱크(340)와 에어컴프레서(350)는 차량에 구비하되, 이에 연결되는 에어호스(360)와 분기관(330)은 하우징(100)을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 시킬때 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사수단(310)은 저장탱크(340)로 부터 분기관(330)을 통해 제1 공간부(300)내로 배출되는 미니알갱이에 분기관(330)의 일측에서 제1 공간부(300)를 향해 압축공기가 고압분사되므로 미니알갱이가 압축공기와 함께 고압분사되어 노면표시를 파괴시킨다.
이때, 제1 공간부(300)의 크기와 분사면적에 따라 분기관(330)은 다수개 구비할 수 있으며, 각 분기관(330)마다 에어컴프레서(350)와 연결된 에어호스(3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니알갱이는 강구, 모래, 금속입자 등 노면을 파괴시킬 수 있는 작은 알갱이체를 통틀어 말한다.
상기 제2 공간부(200)에 구비하는 연소수단(210)은, 제2 공간부(200)의 내벽면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유로는 제2 공간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천공되는 유입로(220))와 상기 유입로(220)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간부(200)의 내부로 일정간격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로(221)가 형성하고, 상기 제2 공간부(200)의 내벽면 하측부에는 유해가스가 집진되는 통로(222)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22)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223)이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로의 유입로(220)와 분기로(221)에는 노면표시(a)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LPG가스로서, 상기 유입로(220)의 유입구에는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도록 내부에 연소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230)를 구비하되, 상기 가스탱크(230)는 차량에 별도로 장착하여 유입로(220)의 유입구와 연결관(231)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231)에는 가스를 조절하는 밸브(232)를 구비한다.
상기 분기로(221)의 토출구에는 상기 제2 공간부(200)의 개구방향으로 가스노즐(234)을 설치하고, 상기 제2 공간부(200) 내벽에는 점화장치(235)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노즐(234)에서 분사되는 연소가스가 제2 공간부(220)내의 점화장치(235)에 의해 점화되어 노면표시를 연소시킨다.
한편, 가열수단에 의해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공(223)에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정화수단(240)을 구비한 다.
이때, 상기 배기공(223)과 정화수단(240)을 연결하는 연결관(250)에는 유해가스를 강제 흡입하는 흡입팬(260)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정화수단(240)은 물이 담겨지는 수용부(241)를 갖는 하우징(242)의 하부에는 흡입팬(260)과 연결관(250)이 연결되고, 상부에는 배출구(27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42)의 수용부(241)내부 양 측면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경사판(243)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공기입자가 경사판(243)의 하부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서서히 이동하게 함으로써 물입자와의 접촉거리를 길게 하여 더 많은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물은 수용부(241)에 약 80%정도만 채워지도록 하여 상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며 이와같이 유해가스가 걸러진 공기층은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가스탱크(230)와 정화수단(240)은 차량에 구비하는 것이 안전하므로, 하우징(100)의 유로와 가스탱크(230)를 연결하는 연결관(231)과 배기공(223)과 정화수단(240)을 연결하는 연결관(250)은 하우징(100)을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 시킬때 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를 가진 고무재질의 호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공간부(400)에 구비하는 흡입수단(410)은, 제3 공간부(400)의 내벽에 외부로 관통하는 관통공(42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420)에는 흡입펌프(440)가 구비된 흡입관(430)을 구비하며, 상기 흡입관(430)의 타단에는 폐기물을 수거하 는 폐기물수거함(450)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흡입펌프(440)와 폐기물수거함(450)은 차량내에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흡입관(430)은 하우징(100)을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 시킬때 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흡입수단(410)은 제1 공간부(300)에서 분사수단(310)에 의해 파괴된 노면표시의 잔유물, 재, 먼지, 미니알갱이 등을 흡입펌프(440)를 통해 흡입관(430)으로 진공흡입시켜 폐기물수거함(450)으로 자동 수거한다.
이때, 폐기물수거함(450) 일측에는 폐기물 흡입시 발생되는 먼지를 정화하도록 연소수단(210)에 구비된 정화수단(240)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460)을 구비한다.
그리고, 분사수단(310)의 미니알갱이가 강구나 금속입자와 같이 자성체에 의해 분리가능할 경우 폐기물수거함(450)내에 분리수단(470)을 구비하여 폐기물과 분리된 미니알갱이를 저장탱크(340)로 재유입시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폐기물수거함(450)은 내측에 폐기물과 강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수직하는 분리판(451)을 구비하여 폐기물수용부(452)와 강구수용부(453)로 구분하고, 상단에는 분리수단(470)을 구비한다.
상기 강구수용부(453)의 일측에는 저장탱크(340)와 연결되는 배출관(454)를 형성하고, 상기 폐기물수용부(452) 하단 일측에는 수거된 폐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도어(45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분리판(451)은 강구수용부(453)로 분리된 강구가 자동으로 저장탱크(340)내로 유입되도록 바닥면이 배출관(454)과 연결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폐기물수거함(450)내부 상단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455)를 구비하여 분리수단(470)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성체에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의 분리수단(470)은 상기 폐기물수거함(450) 내부 상단 일측에는 가이드홈(47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471)에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돌기(472)가 형성된 프레임(473)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473)은 자력이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재나 알루미늄재를 사용한다. 상기 프레임(473)의 하부에는 전원투입시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474)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473)의 상측에는 래크(475)를 구비하며, 상기 래크(475)의 상부에 치합되어 모터(477)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476)을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리수단(47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기물수거함(450)의 유입구에 분리수단(470)이 위치할때 위치감지센서(455)에 의해 분리수단(470)의 위치가 감지되어 전자석(474)에 전원 공급되어 자성을 갖으면 폐기물수거함(450)으로 유입되는 폐기물에서 폐기물은 폐기물수용부(452)로 떨어지고 강구 또는 금속입자는 전자석(474)에 붙어 폐기물과 분리된다. 상기 강구 또는 금속입자가 붙어있는 분리수단(470)이 모터(477)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의 피니언(476)과 맞물리는 래크(475)가 이동하여 강구수용부(453) 상부로 이동하면 위치감지센서(455)에 의해 전자석(474)에 전원이 차단되어 강구는 강구수용부(453) 내로 떨어져 분리판(451)의 경사면을 타고 저장탱크(340)로 유입되어 진다.
이처럼 제1 공간부(300)에 분사수단(310)이 구비되고, 제2 공간부(200)에 연소수단(210)이 구비되며, 제3 공간부(400)에 흡입수단(410)이 구비된 하우징(100)은 이송수단(500)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한다.
상기 이송수단(500)은 하우징을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수평이동수단과, 하우징을 승강시켜주기 위한 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일측면에 래크(510)를 구비하되, 상기 래크(510)의 후면에는 가이드홈(543)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543)에 슬라이드 되는 지지바(54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540)에는 모터(530)의 구동축(531)이 끼워져 회전되도록 베어링(542)이 장착된 관통공(54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541)에 끼워진 모터(530)의 구동축(531)에는 래크(510)에 맞물려 이동되는 피니언(52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540)의 일단에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프레임(550)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550)의 양측단에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부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게 수직설치되는 유압실린더(5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560)와 하우징 (100)사이에는 완충스프링(580)이 구비하여 도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경사진면에서도 고른 접지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수단(500)의 수평이동은 차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510)에 맞물리는 피니언(520)이 모터(5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래크후면 가이드홈(543)에 슬라이드 되는 지지바(540)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바(540)에는 하우징(100)과 승강수단이 연결된 프레임(55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바(540)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100)이 같이 수평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크(510)의 길이는 하우징(100)내에 제2 공간부(200)의 연소하는 단계에 제1 공간부(300)의 분사하는 단계를 거쳐 제3 공간부(400)의 흡입하는 단계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 과정이 끝나는 래크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피니언(520)의 이동은 제2 공간부(200)의 연소하는 단계가 끝나면 모터가 회전하여 제2 공간부(200)에 제1 공간부(300)가 위치하도록 이동하며, 제1 공간부(300)의 분사하는 단계가 끝나면 모터(530)가 회전하여 제1 공간부(300)에 제3 공간부(400)가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상기 래크(510)의 일측 끝단부에는 위치감지센서(590)를 구비하여 수평이동되는 피니언(520)이 래크(510)의 끝에 위치하여 한 과정이 끝났을때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면서 아울러 모터(530)가 역회전하여 래크(510)의 선단으로 피니언(5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은 프레임에 고정된 유압실린더가 유압공급부로 부터 가압된 작동유를 공급받으면 유압실린더(560)의 로드(570)가 돌출되면서 본체가 하강하여 도로면에 착지하게 되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유압실린더(560)의 작동유 공급의 중단으로 로드(570)가 최소한으로 수축되어 하우징이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지므로 위치를 옮기거나 통상적인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의 이송수단(500)은 일실시예일뿐 하우징을 수평이동시키고, 승강시키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 둘레부를 따라 기밀부재(600)를 구비하여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사되는 미니알갱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폐기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한, 연소수단, 분사수단, 흡입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운전자의 운전석의 일측에 형성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상황에 맞게 각각의 공간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과 같이 구성된 노면 표시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미니알갱이는 강구로 설명한다.
먼저, 유압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가압된 작동유를 공급받으면 유압실린더(560)의 로드(570)가 돌출되면서 하우징(100)이 하강하여 도로의 노면표시 위에 착지한다. 상기 노면표시위에 착지된 하우징의 제2 공간부(200)의 연소수단(210)은 가스탱크(230)로 부터 가스노즐(234)을 통해 공간부내로 분사된 가스에 점화가 이루어지고 제2 공간부(210)내에 수용되는 도로의 노면표시에 열이 가해져 노면표시인 페인트를 연소시킨다.
이때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흡입팬(260)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공(223)으로 흡입되어 정화수단(240) 거치면서 유해가스가 걸러진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제2 공간부(200)의 연소과정이 끝나면 이송수단(500)의 모터(530)가 구동되어 피니언(520)이 래크(510)에 맞물러 수평이동하여 하우징(100)의 제2 공간부(200)의 위치에 제1 공간부(300)가 위치이동하게 되고, 제1 공간부(300)의 분사수단(310)이 1차 연소된 노면표시에 강구를 고압분사 하여 도로면으로부터 노면표시가 파괴되어 떨어져 나가도록 한다.
상기 제1 공간부(300)의 분사수단(310)으로 노면표시가 파괴되는 분사과정이 끝나면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520)이 래크(510)와 맞물려 수평이동을 하고 아울러 하우징(100)의 제1 공간부(300)의 위치에 제3 공간부(400)가 위치하여 바닥면에는 고압분사된 미니알갱이와 페인트잔유물, 먼지등의 폐기물을 진공흡입하여 흡입관(430)을 통해 폐기물수거함(450)으로 자동수거 한다.
상기 흡입관(430)을 통해 폐기물수거함으로 흡입되는 폐기물은 폐기물수용부(452)로 떨어지고 강구는 분리수단의 전자석(474)에 붙어 폐기물과 분리된다. 상기 강구가 붙어있는 분리수단(470)이 모터(477)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의 피니언(476)과 맞물리는 래크(475)가 이동하여 강구수용부(453) 상부로 이동되면 위치감지센서(455)에 의해 전자석(474)에 전원이 차단되어 강구는 강구수용부(453) 내로 떨어져 분리판(451)의 경사면을 타고 저장탱크(340)로 유입되어 재사용 된다.
상기와 같이 노면표시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면 이송수단(500)의 피니언(520)이 래크(510)의 끝에 위치하게되어 위치감지센서(590)에 의해 자동으로 하우징(100)이 승강되고, 모터의 역회전으로 피니언(520)이 래크(510)의 선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차량이 이동하여 다음 위치에서 반복적인 작업으로 노면표시를 연소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과 함께 이동되고, 연소수단, 분사수단, 흡입수단의 단계적인 과정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노면표시를 제거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진 되어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를 통해 유해가스가 걸러진 공기만 배출 되도록 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건강을 지킬 뿐만아니라 주변을 지나는 시민들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의 점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열손실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사수단이 강구 및 금속입자일경우 분리수단으로 폐기물로부터 분리시켜 재사용 하므로서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도로의 노면표시를 덮도록 하부로 개구되는 제1 공간부(300)와 그 제1 공간부의 양측에 제 1 및 제2 구획벽(110,120)에 의해 구획되는 제2 및 제3 공간부(200,4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300)의 내벽에는 외부로 관통하는 관통공(320)을 하나 이상 형성한 하우징(100)과;
    압축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350)에 의해 강제배출되는 저장탱크(340)의 미니알갱이가 상기 제1 공간부(300)의 관통공(320)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어 노면표시를 파괴하는 분사수단(310)과;
    상기 분사수단(310)이 원활히 파괴하도록 상기 노면표시를 1차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공간부(200)의 내벽에 형성되어 가스탱크(230)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로(220)와, 상기 유입로(220)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간부(200)의 내부로 일정 간격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로(221)와, 상기 제2 공간부(200)에 의해 덮혀진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정화수단(240)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 공간부(200)의 하부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공(223)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수단(210)과;
    상기 제3 공간부(400)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수단(310)에 의해 파괴된 노면표시의 폐기물을 흡입펌프(440)에 의해 강제로 폐기물수거함(450)으로 이송시키는 흡입수단(4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저면 둘레부에는 하우징의 둘레부를 따라 기밀부재(60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노면표시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사수단의 알갱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흡입수단의 흡입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하우징(100)을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수단(50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유입로(220)에 연결되어 노면표시를 연소시키도록 내부에 연소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230)와, 상기 분기로(221)에 상기 제2 공간부(200)의 개구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스노즐(234)과, 상기 제2 공간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노즐(234)로 분사되는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2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240)은 상기 폐기물수거함(450)으로 폐기물을 흡입시 발생되는 먼지를 정화하도록 상기 폐기물수거함(450)과 연결되는 연결관(4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240)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부(241)를 갖되 그 수용부(241) 하부에는 상기 폐기물수거함(450)과 연결되는 연결관(460)과 상기 연소수단(210)의 배기공(223)에 연결되는 연결관(250)이 형성되고, 그 수용부(241) 상부에는 배출구(270)가 형성되는 하우징(242)과;
    상기 수용부(241) 내에 채워지는 물에 잠긴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유해가스를 물입자와의 접촉을 통해 필터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하부면이 상방향으로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판(2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수거함(450)은;
    내측에 폐기물과 강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수직하는 분리판(451)을 구비하여 폐기물수용부(452)와 강구수용부(453)로 구분하되, 상기 폐기물수용부(452) 하부일측에는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도어(456)를 구비하고, 상기 강구수용부(453)에는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배출관(454)을 구비하며, 상기 폐기물수거함(450) 내부 상단에는 분리수단(470)을 구비하여 폐기물수용부(452)의 상부와 강구수용부(453)의 상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470)은;
    상기 폐기물수거함(450) 내부 상단 일측에 가이드홈(47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되는 프레임(473)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473)의 하부에는 전원투입시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474)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473)의 상측에는 래크(475)를 구비하며, 상기 래크(475)의 상부에 치합되어 모터(477)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4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제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50076797A 2005-08-22 2005-08-22 노면표시 제거장치 KR10070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97A KR100706107B1 (ko) 2005-08-22 2005-08-22 노면표시 제거장치
PCT/KR2006/003295 WO2007024087A1 (en) 2005-08-22 2006-08-22 Removal device a surface ind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97A KR100706107B1 (ko) 2005-08-22 2005-08-22 노면표시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27U Division KR200403861Y1 (ko) 2005-08-22 2005-08-22 노면표시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512A KR20070022512A (ko) 2007-02-27
KR100706107B1 true KR100706107B1 (ko) 2007-04-12

Family

ID=3777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797A KR100706107B1 (ko) 2005-08-22 2005-08-22 노면표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6107B1 (ko)
WO (1) WO200702408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423B1 (ko) *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9400B1 (ko) *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0199B1 (ko) 2010-02-19 2011-07-19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노면 표시 제거 장치
KR101202065B1 (ko) 2010-03-03 2012-11-15 박홍수 도로 도색면 제거 흡입기
KR20180137440A (ko) * 2018-09-1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히터 및 리사이클러를 구비한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
KR20180137439A (ko) * 2018-09-1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가열판
KR20180137441A (ko) * 2018-09-2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프리히터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01B1 (ko) * 2008-05-30 2010-10-08 김조순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도로의 절삭면의 미세먼지 및이물질제거장치
KR101052954B1 (ko) * 2011-03-31 2011-07-29 김기환 페인트 조각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677048B (zh) * 2016-12-19 2019-03-08 宜昌亚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车道自动划线装置
CN112942763A (zh) * 2021-01-27 2021-06-11 陈长华 一种解决涂料涂覆效果不佳问题的地坪涂料涂刷装置
CN115467221A (zh) * 2022-08-18 2022-12-13 禧天龙(江苏)科技发展有限公司 道路标线清除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456A (ja) * 1998-12-17 2000-06-30 Nec Corp 加入者無線装置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KR200190074Y1 (ko) * 2000-02-29 2000-07-15 서윤진 전자기 유도가열 인덕터를 사용하는 차선의 도색, 재생및 제거용 차량
KR20030084475A (ko) * 2002-04-27 2003-11-01 전인택 평삭기와 블라스팅기 겸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104B1 (en) * 1999-01-08 2001-01-16 Douglas J. Fields Highway marking tape removal apparatus
JP2002004234A (ja) * 2000-06-20 2002-01-09 Bridgestone Corp 硬質床面及び路面の付着物除去方法
US6565282B1 (en) * 2002-02-14 2003-05-20 Apply-A-Line, Inc. Tractor implement for scarring pavement in paint line remov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456A (ja) * 1998-12-17 2000-06-30 Nec Corp 加入者無線装置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KR200190074Y1 (ko) * 2000-02-29 2000-07-15 서윤진 전자기 유도가열 인덕터를 사용하는 차선의 도색, 재생및 제거용 차량
KR20030084475A (ko) * 2002-04-27 2003-11-01 전인택 평삭기와 블라스팅기 겸용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199B1 (ko) 2010-02-19 2011-07-19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노면 표시 제거 장치
KR101202065B1 (ko) 2010-03-03 2012-11-15 박홍수 도로 도색면 제거 흡입기
KR101029423B1 (ko) *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9400B1 (ko) * 2010-04-01 2011-04-14 이약우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7440A (ko) * 2018-09-1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히터 및 리사이클러를 구비한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
KR20180137439A (ko) * 2018-09-1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가열판
KR102145038B1 (ko) * 2018-09-17 2020-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가열판
KR102191114B1 (ko) * 2018-09-17 2020-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히터 및 리사이클러를 구비한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
KR20180137441A (ko) * 2018-09-27 2018-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프리히터 장비
KR102191112B1 (ko) * 2018-09-27 2020-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 표층 재생 아스팔트 포장장치의 프리히터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4087A1 (en) 2007-03-01
KR20070022512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107B1 (ko) 노면표시 제거장치
EP2350390B1 (en) Road planer for milling road-surface
EP2265765B1 (en) Improved road planer for milling road-surface
US20060185689A1 (en) Transportable holding tank for stripe removal system
CN105862639A (zh) 一种路面施工吸尘车
WO2022222362A1 (zh) 一种抽吸挖掘机器人及其应急救援设备
WO2022222364A1 (zh) 一种建筑物坍塌应急救援设备
CN113123383A (zh) 一种应急救援设备的气固分离装置及其应急救援设备
KR200403861Y1 (ko) 노면표시 제거장치
CN214883967U (zh) 一种抽吸挖掘机器人及其应急救援设备
CN102371596A (zh) 切割设备及切割方法
KR100829947B1 (ko) 전기로집진기의 고착지금 제거장치
CN206328722U (zh) 粉碎清渣机
CN214883968U (zh) 一种应急救援设备的动力装置及其应急救援设备
CN109365436A (zh) 一种封闭环境内清理机器人及其清理方法
CN206328720U (zh) 清渣机
CN213203941U (zh) 一种用于路面干洗施工的除尘装置
JP4365088B2 (ja) 廃車解体システム
CN211142747U (zh) 一种无尘式清缝机
JP2005350951A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JP4256235B2 (ja) 焼却灰中の磁性廃棄物の選別収集方法
CN210459075U (zh) 除冰液回收车
KR100285616B1 (ko) 표면 가공용 다용도 샌드블라스터
JP2003184041A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舗装の排水機能回復車、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方法および除去システム
CN219953422U (zh) 一种煤矿开采用空气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