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922B1 - 튀김기의 배유장치 - Google Patents

튀김기의 배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922B1
KR100705922B1 KR1020060038422A KR20060038422A KR100705922B1 KR 100705922 B1 KR100705922 B1 KR 100705922B1 KR 1020060038422 A KR1020060038422 A KR 1020060038422A KR 20060038422 A KR20060038422 A KR 20060038422A KR 100705922 B1 KR100705922 B1 KR 10070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ryer
oil tank
tank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준
한병훈
황인성
강원상
강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
Priority to KR102006003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922B1/ko
Priority to PCT/KR2007/002093 priority patent/WO20071262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9Fry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11)이 구비되는 유조(2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조리용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유수단(30)과;
상기 배유수단(30)의 작동레버(50)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유수단(3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5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51)가 형성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11)을 제어하는 볼밸브(4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50)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4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축(60)으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는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배유수단(30)에 있어서, 배유 손잡이(52)와 작동레버(50)가 튀김기의 본체(10)가 전면에서 일측부로 형성되어, 배유 손잡이(52)와 연계된 작동레버(50)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좌,우 조작을 통해 유 조(2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튀김기의 설치 편의성 및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것이다.

Description

튀김기의 배유장치{Device of Draining Oil for Fry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배출홀
20 - 유조 30 - 배유수단
40 - 볼밸브 41 - 밸브하우징
50 - 작동레버 51 - 고정부
52 - 배유 손잡이 60 - 회전축
70 - 걸림편 80 - 폐유처리통
본 발명은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에서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유조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유수단을 형성하여, 튀김기의 설치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식품(후라이드식품 또는 냉동식품 등)을 조리하기 위해서, 본체의 내측 및 유조 등에 구비된 버너부를 통해서 유조를 가열시키는 방식으로 유조내부의 조리용 기름 온도를 상승시켜서 조리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가스를 원료원으로 사용하는 튀김기의 구성은 본체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유조와, 상기 유조의 저면부로 위치되는 버너부와, 상기 유조의 내측 소정 위치에서 설치되어, 버너부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유조 내부로 수납되는 조리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침관과,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버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튀김기에서 유조 내부에 수납된 튀김 조리용 기름의 배출방법은 통상 배유레버가 튀김기의 본체 측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튀김기 본체 일측으로 형성된 배유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유조의 내측 저면부 배출홀을 차단시키고 있는 볼밸브를 개방시켜 유조 내부에 수납되었던 튀김 조리용 기름을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튀김기 본체 전면부에서 링크구성에서 폐유를 배출시키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튀김기에 있어서, 튀김 조리용 기름의 배유수단은 작동레버가 튀김기의 본체 측면부로 형성되는 관계로, 튀김기의 설치편의성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는 튀김기의 측면부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경우도 발생되지만, 튀김조리용 기름의 배유장치에 있어서, 작동레버가 측면부로 형성되면, 튀김기의 설치공간 및 장소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튀김기의 특성상 유조의 외측부분, 즉, 양측면부는 유조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 온도의 복사열로 인하여 튀김기의 측면판은 항상 고온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튀김기의 측면부로 설치된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단계에서 측면판과 접촉되면서, 화상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튀김기에 있어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작동레버가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튀김기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튀김기의 포장 및 운반과정에서도 튀김기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레버가 돌출성형되는 관계로, 이동 및 포장 등에 있어서도 많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튀김기 본체 전면부에서 레버를 조작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구성 또한, 링크 구성에 의해 배유수단인 볼밸브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므로, 제작성 및 조작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에서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유조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유수단을 형성하여, 튀김기의 설치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배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배유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11)이 구비되는 유조(2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조리용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유수단(30)과;
상기 배유수단(30)의 작동레버(50)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유수단(3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5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51)가 형성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11)을 제어하는 볼밸브(4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50)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4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축(6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는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배유수단(30)에 있어서, 배유 손잡이(52)와 작동레버(50)가 튀김기의 본체(10)가 전면에서 일측부로 형성되어, 배유 손잡이(52)와 연계된 작동레버(50)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좌,우 조작을 통해 유조(2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튀김기의 설치 편의성 및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 튀김기 배유장치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있어서, 배유수단(30) 중 작동레버(50)는 유조(20)의 배출홀(11)에 설치된 볼밸브(40)의 방향전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튀김기 전면에서 일측에서 후측 유조(20) 방향 즉,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50)는 몸체 전면부에 배유 손잡이(5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51)에는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11)을 제어하는 볼밸브(4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50)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4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축(60)이 설치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레버(50)의 전면부로 형성되는 배유 손잡이(52)가 밸브하우징(41)과 회전축(60)에 의해 축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폐유 배출시 배유 손잡이(52)를 전면방향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에 의해 간단하게 볼밸브(40)를 회전시켜 폐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종래 튀김기 배유구성과는 달리 배유 손잡이(52)가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좌,우 회전 조작에 의해 작동레버(50)가 연동되면서 밸브하우징(41) 내의 볼밸브(40)를 회전시켜 유조(20)의 배출홀(11)을 통해 폐유를 외부 폐유처리통(80)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유 손잡이(52)의 작동 조작범위 내에는 오조작 등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걸림턱 및 걸림부재와 같이 배유 손잡이(5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수단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유 손잡이(52)의 후측으로 선택적으로 축지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걸림편(70)을 통해서 배유 손잡이(5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편(70) 구성이 아닌 통상적인 단속수단 구성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 튀김기 구성에서 폐기름의 배유작업시 유조(20) 내측에서 조작하는 방식과 전면에서 조작은 하지만 링크구성을 통해 폐기름을 배출시키지 않고 본체(10) 전면부에서 간편하게 배유 손잡이(52)의 회전조작으로 폐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로 배유손잡이를 포함하는 작동레버가 형성되므로, 튀김기의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로 배유 손잡이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튀김기의 측면부가 아닌 전면부에서 유조 내측에 수납되었던 폐기름을 배유 손잡이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11)이 구비되는 유조(2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조리용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유수단(30)과;
    상기 배유수단(30)의 작동레버(50)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1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유수단(3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5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51)가 형성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11)을 제어하는 볼밸브(4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50)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4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축(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배유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배유 손잡이(52)의 작동 조작범위 내에는 오조작 방지를 위해 등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유 손잡이(52)의 후 측으로 선택적으로 축지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걸림편(7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배유장치.
KR1020060038422A 2006-04-27 2006-04-27 튀김기의 배유장치 KR10070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422A KR100705922B1 (ko) 2006-04-27 2006-04-27 튀김기의 배유장치
PCT/KR2007/002093 WO2007126268A1 (en) 2006-04-27 2007-04-27 Oil draining system for a f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422A KR100705922B1 (ko) 2006-04-27 2006-04-27 튀김기의 배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922B1 true KR100705922B1 (ko) 2007-04-13

Family

ID=3816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422A KR100705922B1 (ko) 2006-04-27 2006-04-27 튀김기의 배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5922B1 (ko)
WO (1) WO20071262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27Y1 (ko) * 2010-07-08 2012-10-18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용 배유 레버
KR101448613B1 (ko) 2014-03-18 2014-10-13 (주)그랜드우성 튀김기 배유구의 개폐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5093A (zh) * 2010-11-09 2011-03-30 无锡国电华新起重运输设备有限公司 一种温度可控电加热简易油锅
US10743714B2 (en) 2017-02-03 2020-08-18 Illinois Tool Works Inc. Kitchen cooking appliance with mobile drain fluid recepta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96A (ja) * 2001-07-04 2003-01-14 Pentax Corp オートクレーブ装置
KR20030010296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의 배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649A (en) * 1988-03-15 1990-02-13 The Frymaster Corporation Deep fat fry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cooking fluid filtration system
JP3923381B2 (ja) * 2002-06-28 2007-05-30 株式会社ニシヤマ 食用油体の給排装置
JP4225489B2 (ja) * 2004-01-30 2009-02-1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フライヤーの排油用パイプ補強構造
KR200350422Y1 (ko) * 2004-02-27 2004-05-12 이윤탁 튀김오일 정제장치용 잔유 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96A (ja) * 2001-07-04 2003-01-14 Pentax Corp オートクレーブ装置
KR20030010296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의 배유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10296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27Y1 (ko) * 2010-07-08 2012-10-18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용 배유 레버
KR101448613B1 (ko) 2014-03-18 2014-10-13 (주)그랜드우성 튀김기 배유구의 개폐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밸브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6268A1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9789A1 (en) Cooking device and procedure
EP2187130B1 (en) Vapor cooker
KR101609390B1 (ko) 조리기기
AU7704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foodstuffs by baking inside an oven cavity
KR100705922B1 (ko) 튀김기의 배유장치
JP6305421B2 (ja) 加熱調理器
KR102087713B1 (ko) 전기 튀김기
KR100766464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KR100704892B1 (ko) 조리용기의 뚜껑구조
US20040250689A1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KR100436827B1 (ko) 튀김기의 배유장치
KR200389888Y1 (ko) 비전기식 튀김기
JP2022103445A (ja) 加熱調理器
WO2016199448A1 (ja) 加熱調理器
EP3446043B1 (en) Boiler
KR100737683B1 (ko) 튀김기의 유조커버 보관구조
KR100186535B1 (ko)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의 식용유 교환시기 알림장치
JPH0736596Y2 (ja) 電気貯湯容器
EP3846628B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KR20036631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36630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23517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100440773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솥
KR100222392B1 (ko) 감지센서가 내장된 노즐
KR200232220Y1 (ko) 압력식 그릴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