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827B1 - 튀김기의 배유장치 - Google Patents

튀김기의 배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827B1
KR100436827B1 KR10-2001-0045190A KR20010045190A KR100436827B1 KR 100436827 B1 KR100436827 B1 KR 100436827B1 KR 20010045190 A KR20010045190 A KR 20010045190A KR 100436827 B1 KR100436827 B1 KR 10043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tank
fryer
lever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296A (ko
Inventor
강영철
장기현
한병훈
황인성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인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8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21)이 구비되는 유조(2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소정 위치에서 설치되어, 유조(20) 내부로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버너부(3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유수단(4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비부(4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43)가 형성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상호 연계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하부로는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연결되는 단속홀(61)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고정홀(62)이 형성되는 링크편(60)과;
상기 링크편(60)의 상부 고정홀(62)과,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21)을 제어하는 볼밸브(5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41)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5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축(70)과;
상기 작동레버(41)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1)의 몸체 후측으로는 작동레버(41)의 오조작으로 인한 폐유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단차를 갖고 절곡된 단턱부(93)가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는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배유수단(40)에 있어서, 작동레버(41)가 튀김기(80)의 본체(10)가 전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작동레버(41)의 전,후 조작에 의하여 유조(2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튀김기(80)의 설치편의성 및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유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튀김기의 배유장치{OIL EXHAUST OF FRYER}
본 발명은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튀김기의 본체 전면 조작부 일측에서 후측으로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유조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유수단을 형성하여, 튀김기의 설치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식품(후라이드식품 또는 냉동식품 등)을 조리하기 위해서, 본체의 내측 및 유조 등에 구비된 버너부를 통해서 유조를 가열시키는 방식으로 유조내부의 조리용 기름 온도를 상승시켜서 조리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가스를 원료원으로 사용하는 튀김기의 구성은 본체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유조와, 상기 유조의 저면부로 위치되는 버너부와, 상기유조의 내측 소정 위치에서 설치되어, 버너부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유조 내부로 수납되는 조리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침관과,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버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튀김기에서 유조 내부에 수납된 튀김 조리용 기름의 배출방법은 통상 배유레버가 튀김기의 본체 측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튀김기 본체 일측으로 형성된 배유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유조의 내측 저면부 배출홀을 차단시키고 있는 볼밸브를 개방시켜 유조 내부에 수납되었던 튀김 조리용 기름을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튀김기에 있어서, 튀김 조리용 기름의 배유수단은 작동레버가 튀김기의 본체 측면부로 형성되는 관계로, 튀김기의 설치편의성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는 튀김기의 측면부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경우도 발생되지만, 튀김조리용 기름의 배유장치에 있어서, 작동레버가 측면부로 형성되면, 튀김기의 설치공간 및 장소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튀김기의 특성상 유조의 외측부분, 즉, 양측면부는 유조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 온도의 복사열로 인하여 튀김기의 측면판은 항상 고온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튀김기의 측면부로 설치된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단계에서 측면판과 접촉되면서, 화상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튀김기에 있어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작동레버가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튀김기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튀김기의 포장 및 운반과정에서도 튀김기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레버가 돌출성형되는 관계로, 이동 및 포장 등에 있어서도 많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기의 본체 전면 조작부 일측에서 후측으로 일정기간 사용한 튀김 조리용 기름을 유조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유수단을 형성하여, 튀김기의 설치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배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배유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조리용 기름의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유조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볼밸브가 전환되는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유조의 배출홀을 제어하는 볼밸브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볼밸브가 전환되어 유조의 배출홀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유조
21 - 배출홀 30 - 버너부
40 - 배유수단 41 - 작동레버
42 - 배유 손잡이부 43 - 고정부
44 - 절곡부 50 - 볼밸브
51 - 배수홀 52 - 밸브하우징
60 - 링크편 61 - 단속홀
62 - 고정홀 70 - 회동축
80 - 튀김기 90 - 단속수단
91 - 폐유처리통 92 - 덮개
93 - 단턱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21)이 구비되는 유조(20)와;상기 유조(20)의 내측 소정 위치에서 설치되어, 유조(20) 내부로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버너부(30)와;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유수단(4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비부(4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43)가 형성되는 작동레버(41)와;상기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상호 연계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하부로는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연결되는 단속홀(61)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고정홀(62)이 형성되는 링크편(60)과;상기 링크편(60)의 상부 고정홀(62)과,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21)을 제어하는 볼밸브(5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41)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5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축(70)과;상기 작동레버(41)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작동레버(41)의 몸체 후측으로는 작동레버(41)의 오조작으로 인한 폐유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단차를 갖고 절곡된 단턱부(93)가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는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을 배출시키는 배유수단(40)에 있어서, 작동레버(41)가 튀김기(80)의 본체(10)가 전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작동레버(41)의 전,후 조작에 의하여 유조(2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튀김기(80)의 설치편의성 및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튀김조리용 기름의 배유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유조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볼밸브가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유조의 배출홀을 제어하는 볼밸브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볼밸브가 전환되어 유조의 배출홀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요부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에 있어서, 배유수단(40) 중 작동레버(41)는 유조(20)의 배출홀(21)에 설치된 볼밸브(50)의 방향전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튀김기(80) 전면 일측에서 후측 유조(20) 방향 즉,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41)는 몸체 전면부에 배유 손잡이비부(4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3)는 후술될 링크편(60)의 단속홀(61)에 단속된 후 작동레버(41)의 전,후 이동시 링크편(60)이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1)와 링크편(60)에 상호 체결되는 구성은 링크편(60)의 단속홀(61)에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 단부가 직각방향에 대하여 절곡부(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동레버(41)의 전,후 조작시 링크편(60)의 단속홀(61)에 절곡부(44)가 끼워진 상태에서 링크편(60)이 작동레버(41)의 조작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 구성과 링크편(60)의 단속홀(61) 구성은 절곡부(44)에 의한 삽입 구성외에 통상의 체결 구성역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편(60)의 몸체 상부에는 고정홀(62)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편(60)의 몸체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홀(62)은 후술될 회동축(70)과 고정된 상태에서, 링크편(60)의 회전작동에 의해 유조(20)의 저면 배출홀(21)을 제어하는 볼밸브(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링크편(60)의 고정홀(62)에 끼워져 위치고정되는 회동축(70)은 일측단부가 본체(10)의 측면판넬과 회동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볼밸브(50)와 축지되어 있으므로, 작업자 작동레버(41)를 앞쪽으로 당기면, 상기 링크편(60)이 연계 작동되면서, 링크편(60)과 고정된 회동축(70)이 회전되면서, 유조(20)의 배출홀(21)을 차단하고 있던 볼밸브(50)를 회동시켜, 볼밸브(50)의 배수홀(51)을 통해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50)가 설치되는 유조(20)의 저면부는 유조(20)의 저면부로 밸브하우징(52)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내측으로 볼밸브(5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유조(20)의 저면부에 볼밸브(50)가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41)의 몸체에는 사용자의 오조작 등으로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기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속수단(90)이 형성된다.
상기 단속수단(9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41)의 몸체 후측으로 절곡된 단턱부(93)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오조작에 대비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유처리통(91)의 몸체 상부에 덮개(92)를 설치한 상태에서 유조(20)의 저면으로 셋팅시킨 후 유조(20)의 내부의 기름을 배출시킬 때는 폐유처리통(91)의 덮개(9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레버(41)를 작동시켜, 폐유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작동레버(41)의 몸체 후측으로 절곡된 단턱부(93)가 형성되는 관계로, 폐유처리통(91)의 상부에 덮개(92)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작동레버(41)를 작동시키더라도, 단턱부(93)의 위치(h1)가 폐유처리통(91)의 덮개(92)와 접촉되는 위치를 유지하므로, 작동레버(41)의 작동을 단턱부(93)가 덮개(92)와 상호 접촉에 의해 작동레버(41)의 이동을 차단시켜 유조(20) 내부기름의 배출을 차단시 킬 수 있는 것이고, 실제적으로, 유조(20) 내부의 폐유를 배출시킬 경우 덮개(92)를 개방시키면, 단턱부(93)의 위치(h2)가 하부로 이동가능하므로, 오조작에 의한 폐유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튀김기의 배유장치는 유조(20) 내부에 수납된 후 일정기간 사용한 폐기름을 배유시키는 배유수단(40)이 튀김기(80)의 본체(10) 전면 일측으로 작동레버(41)를 형성하여 상기 작동레버(41)의 전,후 조작에 의해 유조(20) 내부에 수납되었던 폐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성 및 튀김기(80)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로 작동레버가 형성되므로, 튀김기의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튀김기의 본체 전면부로 작동레버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튀김기의 측면부가 아닌 전면부에서 유조 내측에 수납되었던 폐기름을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배출되는 폐기름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폐유처리통 상부로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작동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하여 작업자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후라이드 식품 또는 냉동식품을 온도가 상승된 조리용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형성되며, 내측 저면부에는 배출홀(21)이 구비되는 유조(2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소정 위치에서 설치되어, 유조(20) 내부로 수납된 튀김조리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버너부(30)와;
    상기 유조(20)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유수단(40)은 본체(10) 전면부에서 후측 유조(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배유 손잡이비부(42)가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고정부(43)가 형성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상호 연계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하부로는 작동레버(41)의 고정부(43)와 연결되는 단속홀(61)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로는 고정홀(62)이 형성되는 링크편(60)과;
    상기 링크편(60)의 상부 고정홀(62)과, 유조(20)의 저면부에서 배출홀(21)을 제어하는 볼밸브(50)에 연계설치되어, 작동레버(41)의 조작에 의하여 볼밸브(5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축(70)과;
    상기 작동레버(41) 조작에 의해서 유조(20) 저면부의 배출홀(21)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밸브(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1)의 몸체 후측으로는 작동레버(41)의 오조작으로 인한 폐유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단차를 갖고 절곡된 단턱부(9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배유장치.
  2. 삭제
KR10-2001-0045190A 2001-07-26 2001-07-26 튀김기의 배유장치 KR10043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90A KR100436827B1 (ko) 2001-07-26 2001-07-26 튀김기의 배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90A KR100436827B1 (ko) 2001-07-26 2001-07-26 튀김기의 배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96A KR20030010296A (ko) 2003-02-05
KR100436827B1 true KR100436827B1 (ko) 2004-06-23

Family

ID=2771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90A KR100436827B1 (ko) 2001-07-26 2001-07-26 튀김기의 배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9B1 (ko) 2007-09-12 2009-0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
KR101674108B1 (ko) 2015-07-08 2016-11-08 하해인 튀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922B1 (ko) * 2006-04-27 2007-04-13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의 배유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185U (ko) * 1973-07-09 1975-03-26
JPS5036892U (ko) * 1973-07-31 1975-04-17
JPS5961733U (ja) * 1982-10-20 1984-04-23 服部工業株式会社 揚物製造機
US4502373A (en) * 1983-03-25 1985-03-05 Keating Richard T Cleaning system for deep fryer
US5215001A (en) * 1992-07-23 1993-06-01 Narcisi Henry R Fast cook pasta machine and pasta combination
JPH0984702A (ja) * 1995-09-20 1997-03-31 Tokyo Gas Co Ltd フライヤー
KR980000300A (ko) * 1996-06-10 1998-03-30 구자홍 전기튀김의 식용유 배출장치
US5832810A (en) * 1997-01-10 1998-11-10 Marine Kleen, Inc. Cooking fluid container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185U (ko) * 1973-07-09 1975-03-26
JPS5036892U (ko) * 1973-07-31 1975-04-17
JPS5961733U (ja) * 1982-10-20 1984-04-23 服部工業株式会社 揚物製造機
US4502373A (en) * 1983-03-25 1985-03-05 Keating Richard T Cleaning system for deep fryer
US5215001A (en) * 1992-07-23 1993-06-01 Narcisi Henry R Fast cook pasta machine and pasta combination
JPH0984702A (ja) * 1995-09-20 1997-03-31 Tokyo Gas Co Ltd フライヤー
KR980000300A (ko) * 1996-06-10 1998-03-30 구자홍 전기튀김의 식용유 배출장치
US5832810A (en) * 1997-01-10 1998-11-10 Marine Kleen, Inc. Cooking fluid container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9B1 (ko) 2007-09-12 2009-0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기
KR101674108B1 (ko) 2015-07-08 2016-11-08 하해인 튀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96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2307B1 (en) Cooker
AU7704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foodstuffs by baking inside an oven cavity
TWI699182B (zh) 電烹飪器
KR100436827B1 (ko) 튀김기의 배유장치
KR20090002411A (ko) 증기배출 기능을 구비한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100705922B1 (ko) 튀김기의 배유장치
US6153858A (en) Automatic lighting control system for a cooking cavity
EP1186269B1 (en) Valve opening/closing device of a fryer
US6002119A (en) Control circuit for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ITMI950700A1 (it) Dispositivo di comando della valvola di lavoro di una pentola a pressione
KR200205071Y1 (ko) 압력솥의 내부 증기압 배출장치
KR20030065323A (ko) 가스 기구
KR200389888Y1 (ko) 비전기식 튀김기
KR20040001175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100476443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예열보조장치
KR200212708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970004676B1 (ko) 전자레인지 조리 종료후 도어개폐 제어방법
GB2301882A (en) Cooker
KR880002786Y1 (ko) 가열식 전자레인지의 히터 회동장치
KR100412105B1 (ko) 전자렌지
KR960014109B1 (ko) 전자렌지 도어 개폐장치
KR200235169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 고정장치
KR200232220Y1 (ko) 압력식 그릴 오븐
KR200237715Y1 (ko) 작동레버를 갖는 레버식 가스밸브
EP1117319B1 (en) Loader for automatic coffee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