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53B1 -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 - Google Patents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53B1
KR100704753B1 KR1020020022344A KR20020022344A KR100704753B1 KR 100704753 B1 KR100704753 B1 KR 100704753B1 KR 1020020022344 A KR1020020022344 A KR 1020020022344A KR 20020022344 A KR20020022344 A KR 20020022344A KR 100704753 B1 KR100704753 B1 KR 10070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otor
shaft
rotor
drive sid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85A (ko
Inventor
가와카미다케노부
스즈키게이지로
사이토우도시히로
아다치다다시
야마모토히로아키
마스다도시유키
시바타고우지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8Slidably suppor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모터에 의하면, 클러치(20)의 구동측 회전자(35)는 회전축(6)의 연결부(6a)가 연결공(35e)과 연결부(6a) 사이의 공간(S)에 느슨하게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연결공(35e)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은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에 결합가능하다.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21n)는 브러시 홀더(9)와 기어 하우징(21)이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기어 하우징(21)에 제공된다.
기어 하우징, 구동측 회전자, 종동측 회전자, 연결공, 연결돌기

Description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Motor having rotatable shaft coupled with worm shaf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다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 는 모터의 클러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모터의 기어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도 6a 는 모터의 구동측 회전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 는 도 6a 의 VIB-VI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c 는 도 6a 및 도 6b 에 도시한 구동측 회전자를 도시한 배면도.
도 7a 는 다른 실시예의 구동측 회전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7b 는 도 7a 의 VIIB-VII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c 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구동측 회전자를 도시한 배면도.
도 8 은 모터의 금속 안착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모터 클러치의 조립을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0 은 도 2 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 은 클러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 는 클러치의 동작을 도시한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 은 모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 는 도 13에 도시한 모터의 회전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5a 는 모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5b 는 도 15a에서 XVB 섹션을 도시한 확대도.
도 16 은 모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7 은 종래 제안된 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 은 도 17 에 도시한 모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모터 본체 3: 감속 유닛
4: 요크 6: 회전축
7: 아마츄어 8: 정류자
9: 브러시 홀더 9c: 클램프부
9d: 위치결정공 10: 브러시
12: 베어링 20: 클러치
21: 기어 하우징 21n: 위치결정 돌기
23: 워엄축 29: 종동측 회전자
35: 구동측 회전자
본 발명은 회전축이 워엄축에 결합된 클러치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파워 윈도우 시스템(power window system)에서 이용되는 종래 제안된 일예의 모터는, 도 1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본체(52)와, 감속 유닛(54) 및 클러치(5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본체(52)는 회전축(51)을 회전시킨다. 상기 감속 유닛(54)은 워엄축(53)를 포함하고, 상기 워엄축(53)의 회전 구동력을 부하측(예를 들면,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도어 윈도우 창측)으로 전달한다. 상기 클러치(55)는 상기 회전축(51)과 워엄축(53) 사이에 위치된다.
도 1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55)는 구동축 회전자(61)와, 종동측 회전자(62)와, 칼라(collar)(63) 및 롤링 부품(6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61)는 회전축(51)의 말단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다. 상기 종동측 회전자(62)는 상기 워엄 축(53)의 기단(base end)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칼라(63)는 구동축 회전자(61)와 종동측 회전자(62) 모두를 둘러싸고, 상기 감속 유닛(54)의 기어 하우징(56)에 고정된다. 상기 롤링 부품(64)은 상기 종동측 회전자(62)와 칼라(6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클러치(55)에 있어, 상기 구동축 회전자(61)가 회전될 경우, 각 롤링 부품(64)은 상기 종동측 회전자(62)의 대응하는 제어면(62a)과 상기 칼라(63)의 내주면(63a) 사이에서 클램핑(clamping)되지 않 고, 상기 구동축 회전자(61)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종동측 회전자(62)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와 결합되며, 그 구동측 회전자(61)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종동축 회전자(6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력이 부하측(워엄축(53) 측)으로부터 종동측 회전자(62)로 제공될 경우, 각 롤링 부품(64)은 상기 종동측 회전자(6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동측 회전자(62)의 대응하는 제어면(62a)과 칼라(63)의 내주면(63a)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51)이 모터 본체(52)에 의하여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축(51)의 회전 구동력은 윈도우 창을 승강시키도록 클러치(55)를 통하여 워엄축(53)으로 전달된다. 한편, 회전력을 워엄축(53)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부하(예를 들면, 윈도우 창의 무게 또는 윈도우 창의 진동)가 윈도우 창에 하방향으로 제공될 경우, 상기 워엄축(53)의 회전은 윈도우 창의 예기치 못한 하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치(55)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기 클러치(55)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와 종동측 회전자(62)는 그 구동측 회전자(61)의 회전축이 종동측 회전자(62)의 회전축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의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공(61a)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1)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부(51a)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의 연결공(61a)으로 압입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51) 및 구동측 회전자(6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의 중심축(연결공(61a))과 회전축(51)의 중심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모터의 조립이 요구된다.
그러나, 일 예로, 대응하는 각 연결부의 제조 오차로 인하여, 구동측 회전자(61)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회전축(rotatable shaft)(51)의 회전축 사이의 정렬 불일치(예를 들면, 구동측 회전자(61)의 회전축에 대한 회전축(51)의 경사 또는 회전축(51)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동측 회전자(61)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51) 회전축(rotational axis)의 방사상으로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정렬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와 회전축(51) 사이의 연결부위에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이 작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측 회전자(61)와 회전축(51)이 회전될 경우, 그 구동측 회전자(61)와 회전축(51)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큰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로터의 회전축과 워엄축 사이의 연결부에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본체와, 감속 유닛 및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본체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감속 유닛은 모터 본체에 연결되며, 워엄축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회전축과 워엄축을 결합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그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측 회전자는 워엄축에 연결되어 그 워엄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회전방향으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와 느슨하게 삽입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와 일체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그 회전축의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본체와, 브러시 홀더와, 감속 유닛과, 결합 수단 및 위치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본체는 요크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요크 하우징은 회전축과 정류자를 포함하는 아마츄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브러시 홀더는 요크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는 정류자에 미끄럼 접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감속 유닛은, 상기 브러시 홀더가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와 요크 하우징의 개구부 사이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요크 하우징에 연결된 기어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 하우징은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 워엄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회전축과 워엄축을 결합한다.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 서로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되는 모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모터(1)는 플랫(flat) 모터 본체(2)와, 감속 유닛(3) 및 클러치(결합 수단)(20)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본체(2)는 요크 하우징(이하, 간략히 요크로 인용함)(4)과, 한 쌍의 자석(5)과, 회전축(6)과, 아마츄어(7)와, 정류자(8)와, 브러시 홀더(9) 및 브러시(10)들을 포함한다.
상기 요크(4)는 플랫(flat)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5)은 요크(4)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된다. 상기 아마츄어(7)는 요크(4)내에 방사상 내측으로 배열된다. 상기 아마츄어(7)는 회전축(6)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6)의 베이스단은 요크(4)의 바닥 중앙에 배열된 베어링(1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정류자(8)는 회전축(6)의 선단부 소정부위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반대의 플랫 외벽면을 갖는 연결부(6a)가 상기 회전축(6)의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요크(4)의 개구단(개구부)에는, 두 개의 플랜지(4a)가 상기 요크(4)의 연장된 측부 단면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9)는 요크(4)의 개구단내에 수용 고정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9)는 홀더 본체(9a) 및 커넥터(9b)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본체(9a)는 요크(4)의 개구단을 견고하게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9b)는 홀더 본체(9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4)의 방사 방향으로 홀더 본체(9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브러시(10)는 홀더 본체(9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브러시(10)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커넥터(9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류자(8)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홀더 본체(9a)의 중앙에는 베어링(12)이 지지된다. 상기 정류자(8)와 연결부(6a)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축(6)의 중간부는 상기 베어링(1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을 참조해 보면, 클램프부(9c)는 상기 홀더 본체(9a)의 전체 외주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클램프부(9c)는 요크(4)의 개구단과 후술되는 기어 하우징(21)의 개구단(개구부) 사이에서 상기 요크(4)의 개구단의 내주변 전체를 따라 클램핑된다. 상기 클램프부(9c)가 요크(4)와 기어 하우징(21) 사이에서 클램핑될 때, 밀봉 부재가 그 사이의 연결부를 통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탄성 밀봉 부재로 덮힌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9a)의 기어 하우징(21) 측에, 한 쌍의 원형 위치결정공(9d)이 각각 상기 홀더 본체(9a)의 대향하는 대각선 코너에서 클램프부(9c)의 방사상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위치결정 공(9d)은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열되고(즉, 각 위치결정공(9d)은 회전축(6)으로부터 동일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홀더 본체(9a)을 통해 관통된다.
전력은 상기 커넥터(9b)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브러시(10)로 공급된다. 상기 전력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브러시(10) 및 정류자(8)를 통해 아마츄어(7) 주위에 감긴 코일 권선으로 제공될 경우, 상기 아마츄어(7)(회전축(6)), 즉 상기 모터 본체(2)는 회전된다.
상기 감속 유닛(3)은 기어 하우징(21)과, 베어링(22a)(22b)과, 워엄축(23)과, 워엄휠(24) 및 출력축(25)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 하우징(21)은 수지류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본체(2)가 고정되는 하우징(21)의 개구단(이 개구단은 도 1 에서 상부측의 개구단으로, 이하 상부 개구단이라 칭함)은 상기 요크(4)의 개구단과 대응하는 플랫 연장 단면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해 보면, 상기 기어 하우징(21)의 상부 개구단에, 브러시 홀더(9)의 홀더 본체(9a)가 수용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하우징(21)의 상부 개구단의 결합홈(21a) 주위에는 고정부(21b)가 형성된다. 상기 요크(4)의 플랜지(4a)는 요크(4)를 기어 하우징(21)으로 고정하도록 고정부(21b)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21b)의 3곳의 소정 위치에는 3개의 스크류 수용공(21c)이 형성된다. 상기 각 스크류 수용공(21c)에는 너트(미도시)가 수용된다. 상기 결합 홈(21a)으로 고정되게 삽입된 홀더 본체(9a)를 구비한 기어 하우징(21)은 3개의 스크류(13)(도 1에서는 1개만 도시됨)를 상기 요크(4)의 플랜지(4a)에 형성된 스크류 수용공(미도시)를 통하여 스크류 수용공(21c)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수용공(21c)에 수용된 너트로 스크류(13)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기어 하우징(21)은 그의 중앙부에 상기 결합홈(21a)의 베이스로부터 형성된 홈(21d)을 구비한다. 상기 홈(21d)은 결합홈(21a)의 연장 단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기어 하우징(21)은 클러치 수용 원형홈(21e) 및 워엄축 수용부(21f)를 포함한다(도2 및 도3). 또한, 상기 클러치 수용홈(21e)은 그 중앙에 상기 홈(21d)의 베이스로부터 홈 형성된다. 상기 워엄축 수용부(21f)는 회전축(6)의 축방향으로 그 중앙에 클러치 수용홈(21e)으로부터 홈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 하우징(21)은 휠 수용부(21g)를 포함한다. 상기 휠 수용부(21g)는, 워엄축 수용 부(21f)의 축상 중간부에서 그 워엄축 수용부(21f)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엄축 수용부(21f)와 연통된다(즉, 상기 휠 수용부(21g)는 도 1 에서 워엄축 수용부(21f)의 우측에 위치된다.)
도 4 를 참조해 보면, 상기 클러치 수용홈(21e)의 개구단에 환형 플랜지 결합홈(21h)이 형성된다. 상기 홈(21d)의 연장 측부 단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홈(21h)으로부터 대향된 결합홈(21i)이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홈(21d)의 베이스에는, 두 개의 베이스부(21j)가 형성된다. 대응하는 결합홈(21i)을 감싸도록 각 베이스부(21j)가 형성된다. 즉, 각 베이스부(21j)는 말굽 형태이고, 상기 결합홈(21i)의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주연 벽면을 구비한다. 상기 각 베이스부(21j)는 각각 홈(21d)의 측부 단면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대향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 베이스부(21j)의 대향단의 상부면 각각에는 원통형 결합 돌기(21k)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해 보면, 상기 클러치 수용홈(21e)의 베이스로부터 베어링 지지부(21l)가 돌출된다. 상기 원통형 베어링 지지부(21l)는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21l)는 대략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고, 워엄축 수용부(21f)의 내경보다 큰 내경 및 클러치 수용홈(21e)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 지지부(21l)는 대략 클러치 수용홈(21e)의 중앙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 와 도 3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지지부(21l)의 베이스 단에서 그의 외주면을 따라 8개의 리브(21m)가 동일 각 간격(45도)으로 배열된다. 상기 리브(21m)는 클러치 수용홈(21e)의 내주면으로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22a)(22b)은 금속 재질(금속 베어링)로 형성된 래디얼 베어링이다. 상기 베어링(22a)은 베어링 지지부(21l)에 수용된다. 상기 베어링(22a)의 내경은 워엄축 수용부(21f)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베어링(22b)은 워엄축 수용부(21f)의 베이스부(도 1 에서 바닥측)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각각 브러시 홀더(9)의 위치 결정공(9d)에 대응하는 관계로 기어 하우징(21)의 홈(21d) 베이스에 한 쌍의 원통형 위치 결정 돌기(21n)가 제공된다. 각 위치결정 돌기(21n)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응하는 위치 결정공(9d)에 결합된다. 상기 위치 결정 돌기(21n)가 위치 결정홈(9d)과 각각 결합될 경우, 상기 브러시 홀더(9) 및 기어 하우징(21)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21n) 및 위치 결정홈(9d)은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 홀더(9)의 클램프부(9c)는 기어 하우징(21)의 결합홈(21a)에 수용된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부(9c)는 탄성 밀봉 부재로 덮히게 되어, 상기 클램프부(9c)는 정확한 위치결정을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시 홀더(9) 및 기어 하우징(21)은 기어 하우징(21)의 위치 결정 돌기(21n)와 브러시 홀더(9)의 위치결정공(9d)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그 결과, 회전축(6)과 워엄축(23) 사이의 누적 오차는 감소되어,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워엄축(23)의 회전축 사이의 정렬 불일치(예를 들면, 워엄축(23)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6)의 회전축의 경사 또는 회전축(6)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워엄축(23)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6)의 회전축의 방사 상 변위)는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워엄축(23)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축 본체(28) 및 그 워엄축 본체(28)의 모터 본체(2)측에 워엄축 본체(28)와 일체로 형성된 종동측 회전자(29)를 포함한다. 상기 워엄축 본체(28)는 그의 축방향 중간 부분에 워엄(28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워엄축 본체(28)는 그의 대향단에서 베어링(22a)(22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워엄축 수용부(21f)내에 수용된다. 볼(36)(후술함)이 워엄축(23)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워엄축(23)의 모터 본체(2) 측단면(종동측 회전자(29)의 단면)에 접촉 부재(26)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 부재(26)는 상기 볼(36)과 점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접촉 부재(26)는 상기 볼(36)과 접촉하는 그의 접촉부의 과도한 마멸을 방지하도록 상기 워엄축(23)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금속 재질(경화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워엄휠(24)은 워엄(28a)과 맞물리고, 상기 워엄축(23)에 직교하는 방향(도 1 에에서 도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의 회전축에 대하여 워엄휠(24)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휠 수용부(21g)내에 수용된다. 상기 워엄휠(24)이 회전할 때, 그 워엄휠(24)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출력축(25)이 상기 워엄휠(24)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축(25)은 윈도우 창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지의 윈도우의 레귤레이터(미도시)에 구동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6)은 클러치(20)를 통하여 워엄축(23)에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20)는 종동측 회전자(29)와, 칼라(31)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롤링 부품(32)과, 지지 부재(33)와, 스토퍼(34)와 구동측 회전자(35) 및 볼(36)을 포함한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한 회전축(6)에 대하여 90도 회전된 회전축(6) 주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도 6a의 VIB-VIB 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6b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즉, 도 2 는 도 6a의 VIB-V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7a의 VIIB-VIIB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7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즉, 도 3 은 도 7a의 VIIB-VIIB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칼라(31)는 원통형 외측링(31a)과, 환형 플랜지부(31b) 및 한 쌍의 결합부(31c)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플랜지부(31b)는 원통형 외측링(31a)의 일단(도 2 내지 도 4 에서 상단)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결합부(31c)는 180도의 각 간격을 갖고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랜지부(31b)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칼라(31)의 외측링(31a)은 클러치 수용부(21e) 내에 삽입된다. 상기 칼라(31)의 플랜지부(31b)는 플랜지 결합홈(21h)내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31c)는 각각 결합홈(21i)에 삽입되어, 칼라(31)의 회전은 방지된다. 상기 칼라(31)의 외측링(31a) 타단(도 2 및 도 3 에서 하단)은 베어링 지지부(21l)의 선단(도 2 및 도 3 에서 상단)에 가까운 지점으로 삽입되고, 베어링 지지부(21l)의 굽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외측링(31a)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축부(29a) 및 3개의 결합 돌기(29b)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29a)는 모터 본체(2)측(회전축(6)측)에서 워엄축 본체(28)의 베이스단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한다. 상기 결합 돌기(29b)는 축부(29a)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동일 각 간격(약 120도)으로 배열된다. 각 결합 돌기(29b)는 그의 방사상 외측으로 증가하는 점진 증가 원주폭을 갖는다. 도 2 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결합 돌기(29b)의 방사상 외측면은 제어면(41)을 구성한다. 각 제어면(41)은 회전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변화하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칼라(31)의 외측링(31a) 내주면(31d)으로부터 이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각 제어면(41)은 그의 각 원주단으로 감소하는 간격을 위하여 칼라(31)로부터 공간을 유지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결합 돌기(29b)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29c)를 포함한다. 상기 각 보강 리브(29c)는 한 쌍의 결합 돌기(29b)와 각각 원주상으로 인접하는 원주상 대향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각 롤링 부품(32)은 수지류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롤링 부품(32)은 대응하는 결합 돌기(29b)의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롤링 부품(32)의 외경은 제어면(41)의 중앙부(원주 중앙)(41a)와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제어면(41)의 각 단부(원주 단부)(41b)(41c)와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즉, 상기 롤링 부품(32)의 외경은 칼라(31)의 내주면(31d)과, 중앙부(41a)외 각 원주단(41d)(41c) 사이에 위치된 각 중간부(41d)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상기 지지 부재(33)는, 롤링 부품(32)이 실질적으로 동일 각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방식으로, 그 롤링 부품(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해 보면, 상기 지지 부재(33)는 수지류로 이루어지고, 링(33a)과, 3개의 내측 돌기(33b)와, 3 쌍의 롤러 지지체(33c) 및 3개의 커넥터(33d)를 포함한다. 상기 링(33a)은 외측링(31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돌기(33b)는 링(33a)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동일 각 간격으로 원주상으로 배열된다. 각 쌍의 롤러 지지체(33c)는 각 내측 돌기(33b)에 제공된다. 상기 쌍의 롤러 지지체(33c)는 내측 돌기(33b)의 방사상 내측 영역에서 각각 원주단으로부터 축상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커넥터(33d)는 한 쌍중 하나의 롤러 지지체(33c)를 다음 쌍의 뒤를 잇는 롤러 지지체(33c)를 연결하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쌍의 롤러 지지체(33c)에서, 그 롤러 지지체(33c)의 선단에 원주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결합 돌출부(33e)가 형성된다. 각 롤링 부품(32)은, 롤링 부품(32)이 원주방향 및 축방향으로 링(33a)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쌍을 이루는 롤러 지지체(33c) 사이 및 내측 돌기(33b)와 대향하는 결합 돌출부(33e)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상기 롤링 부품(32)를 유지시키는 지지 부재(33)는, 각 롤링 부품(32)를 대응하는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각 롤링 부품(32)이 외측링(31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링(33a)은 축방향으로 플랜지부(31b)에 대하여 접촉한다.
상기 스토퍼(34)는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34)는 환형 결합부(34a) 및 한 쌍의 연장부(34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4a)의 내경은 지지 부재(33)의 링(33a)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 다. 상기 연장부(34b)는 서로 180도 각 간격의 공간을 유지하고, 결합부(34a)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 해 보면, 상기 결합부(34a)의 내경 및 외경은 각각 칼라(31)의 원통형 외측링(31a)의 내경 및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각 연장부(34b)는 고정부(34c)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4c)는, 그 고정부(34c)가 각각 기어 하우징(21)의 대응하는 결합 돌기(21k)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네 곳의 모서리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결합 돌기(21k)는 스토퍼(34)를 기어 하우징(21)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고정부(34c)로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34)의 결합부(34a)는 지지부재(33)의 링(33a) 위에 위치된다.(도 1 에서 상부측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33)의 링(33a)이 스토퍼(34)의 결합부(34a)에 대하여 접촉하면, 상기 스토퍼(34)는 지지 부재(33)와 상호 동작하여 각 롤링 부품(32)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해 보면, 각 연장부(34b)는 그의 중앙에 제한부(34d)를 구비한다. 각 제한부(34d)는 상기 연장부(34b)의 대응하는 중앙부를 절단한 다음, 경사지게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각 제한부(34d)의 선단은 칼라(31)의 축방향을 이동을 방지하도록 그 칼라(31)의 대응하는 결합부(31c)에 대하여 접촉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축부(35a)와, 디스크부(35b) 및 볼 유지부(35c)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부(35b)는 축부(35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볼 유지부(35c)는 디스크부(35b)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볼(36)을 유지하기 위한 볼 수용홈(35d)은 상기 볼 유지부(35c)에 형성된다. 상기 볼(36)은, 그 볼(36)이 상기 볼 수용홈(35d)로부터 축상 양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그의 일축단에서 회전축(6)의 단면과 연결되고, 그의 대향단에서 워엄축(23)(접촉 부재(26))의 단면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볼 수용홈(35d)에서 유지된다. 상기 접촉 부재(26)와 유사하게, 상기 볼(36)은 높은 경도를 갖도록 경화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축상 중심부를 통하여 축부(35a)의 베이스단(도 2 및 도 3 의 상단)으로부터 볼 유지부(35c)로 연결공(35e)이 축상으로 연장한다. 상기 연결공(35e)은 연결부로서 작용하고, 정반대로 대향하는 두 개의 플랫 내벽면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는 연결공(35e)으로 느슨하게 삽입된다. 즉, 상기 연결공(35e)의 크기는 소정량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35e)과 회전축(6)의 연결부(6a) 사이에 공간 S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연결공(35e)내에서 회전축(6)의 연결부(6a)에 느슨하게 삽입으로써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축(6)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는 연결공(35e)내에 느슨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모터의 조립체에서는 구동축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사이의 어느 정도의 정렬 불일치(예를 들면,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에 대한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의 경사 또는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에 대한 회전축(6) 회전축의 방사상 변위)를 허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로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의 적용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워엄축(23)은 그가 회전하는 동안 구동측 회전자(35)의 경사를 일으키 도록 구부러지고, 이어서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사이에서 정렬 불일치가 발생될 경우라도,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로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의 적용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이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될 경우, 상기 회전축(6)의 단면은 볼(36)과 점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6)은 구동측 회전자(35)를 용이하게 추종(追從)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동측 회전자(35)는 대략 구동측 회전자(35)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수지체 내에 금속판(37)을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 다음, 후술되는 탄성 유지부(38)와 완충 부재(43)를 형성하기 위하여,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상기 수지체내에 일체로 몰딩한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37)은 디스크부(37a)와 3개의 아암부(37b)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판(37)의 디스크부(37a)는 구동측 회전자(35)의 디스크부(37a)내에 인서트 몰딩된다. 상기 각 아암부(37b)는 디스크부(37a)로부터 후술될 대응하는 돌기(42)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금속판(37)은 구동측 회전자(35)의 강도, 특히 종동측 회전자(29)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그 종동측 회전자(29)에 연결되는 각 돌기(42)의 강도와, 상기 회전축(6)으로부터 구동측 회전자(35)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그 회전축(6)의 연결부(6a)에 연결되는 연결공(35e)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동측 회전자(35)내로 삽입된다.
상기 금속판(37)의 디스크부(37a)의 중앙에 연결공(37c)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37c)은 결합공으로서 작용하고, 연결공(35e)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공(37c)의 단면 형태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공(35e)과 일치한다. 상기 연결공(37c)의 내주면은 연결공(35e)의 내주면과 동일 평면을 갖는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몰딩 다이(미도시)내에 수지 재질을 부어 넣음으로써 몰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금속판(37)은 수지 재질이 몰딩 다이로 부어지기 전에 상기 몰딩 다이에 미리 위치된다. 상기 연결공(37c)은 몰딩 다이에서 금속판(37)을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금속판(37)의 연결공(37c)이 위치된 상기 연결공(35e)은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공(35e)의 축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상기 연결공(35e)의 강도는 금속판(37)에 의하여 증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구동측 회전자(35)로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구동측 회전자(35)의 축방향 크기는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35e)의 축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구동측 회전자(35)에 대한 회전축(6)의 허용 경사각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의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될 경우라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유지부(38)는 그 탄성 유지부(38)가 연결공(35e)의 개구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구동측 회전자(35)에 일체로 몰딩된다. 상기 일체로 몰딩된 탄성 유지부(38)를 갖는 축부(35a)의 개구단(도 6b에서 상단)에 위치된 대향 내벽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연결공(35e)의 공간보다 크 다. 도 6a 내지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37) 연결공(37c)의 대향 플랫 내벽면(도 6b 에서 좌우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탄성 유지부(38)의 대향 내벽면(도 6b에서 좌우 벽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금속판(37) 연결공(37c)의 대향 플랫 내벽면 사이의 공간보다 작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회전축(6)의 연결부(6a)의 플랫 외벽면과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모터(1)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회전축(6)에 설치될 경우,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탄성 유지부(38)에 의하여 회전축(6)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따라서 회전축(6)의 탈락을 방지하며, 결국 상기 모터(1)의 조립 동작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사이의 정렬 불일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어떠한 악영향없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4 및 도 6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 및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팬 형태의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돌기(42)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디스크부(35b)의 선단측(도 2 에서 바닥측)에 실질적으로 동일 각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각 돌기(42)는 칼라(31)의 내주면(31d)을 따라 원주상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각 돌기(42)의 아치형 외면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31)의 내주면(31d)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아치를 따라 연장한다. 즉,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상기 돌기(42)가 스토퍼(34) 결합부(34a)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돌기(42)에는, 그 각 돌기(42)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절반정도 커플링 요홈(42a)(도 10 참조)이 연장된다. 각 돌기(42)는 인접한 결합 돌출부(29b) 사이와 외측링(31a)내의 인접하는 롤링 부품(32)(롤러 지지체(33c))사이에서 원주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43)는 상기 각 돌기(42)의 커플링 요홈(42a)에 일체로 몰딩된다. 상기 완충 부재(43)는 구동측 회전자(35)의 수지부에서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35f)(도 2 및 도 6 참조)를 통하여 탄성 유지부(38)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 부재(43)에는 완충 세그먼트(43a)가 형성된다. 상기 각 완충 세그먼트(43a)는 각 돌기(42)의 커플링 요홈(42a)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완충 세그먼트(43a)의 원주방향 폭은 대응하는 돌기(42)의 내주면의 원주방향 폭보다 약간 길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종동측 회전자(29)에 대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각 완충 세그먼트(43a)의 일측면(반시계방향측의 면)은 결합 돌출부(29b)의 시계방향측 면의 방사상 내측 영역에 형성된 제1 완충면(29e)과 결합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소정 위치를 넘어서 반시계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더 회전할 경우, 상기 돌기(42)의 방사상 내측 영역에 형성된 일측면(반시계 방향측의 면)은 결합 돌출부(29b)의 시계방향측 면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형성된 제1 결합면(29f)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 세그먼트(43a)는 원주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반시계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소정 위치를 넘어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종동측 회전자(29)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화살표 Y 방향)으로 소정 위치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각 완충 세그먼트(43a)의 타측면(반시계방향측 면)은 결합 돌출부(29b)의 반시계방향측 면의 방사상 내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완충 면(29g)과 결합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소정 위치를 넘어서 시계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더 회전할 경우, 상기 돌기(42)의 방사상 내측 영역에 형성된 타측면(42c)(시계방향측 면)은 결합 돌출부(29b)의 반시계방향측 면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형성된 제2 결합면(29h)과 결합한다. 상기 완충 세그먼트(43a)는 원주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시계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소정 위치를 넘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1 을 참조해 보면, 각 구성요소(32)(42)(29b)(33c)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대응하는 돌기(42)의 일측면(42b)가 결합 돌출부(29b)의 제1 결합면(29f)와 결합되고, 상기 돌기(42)의 반시계방향측 면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 형성된 제1 가압면(42d)이 대응하는 롤러 지지체(33c)(도 11 참조)와 결합되는 경우, 각 롤링 부품(32)은 상기 대응하는 제어면(41)의 중앙부(41a)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축부(35a) 주위에 환형 검출 자석(45)이 고정된다. 상기 환형 검출 자석(45)은 그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개의 N극과 복수개의 S극을 구비한다. 상기 검출 자석(45) 가까이의 브러시 홀더(9)에 홀(hall) 소자 또는 자석 저항 소자와 같은 자석 검출 소자(46)가 제공된다. 상기 자석 검출 소자(46)는 구동측 회전자(35)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검출 자석(45)이 회전하는 동안에, 자계의 변화를 검출한다.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모터(1)에서, 모터 본체(2)가 도 10 의 반시계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축(6)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될 경우,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돌기(42))는 동일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축(6)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돌기(42)의 일측면(42b)는 결합 돌출부(29b)의 제1 결합면(29f)와 결합되고, 돌기(42)의 제1 가압면(42d)은 대응하는 롤러 지지체(33c)와 결합될 경우, 대응하는 롤링 부품(32)은 대응하는 제어면(41)의 중앙부(41a)(이하에서 이 위치를 "중립 위치"라 칭함)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 각 완충 세그먼트(43a)의 일측면(43b), 돌기(42)의 일측면(42b)이 결합 돌출부(29b)의 제1 결합면(29f)와 결합되기 전에, 먼저 결합 돌출부(29b)의 제1 완충면(29e)과 결합하고, 그 결과 결합시의 충격을 감소시킨다.
이 중립 위치에서, 각 롤링 부품(32)는 상기 결합 돌출부(29b)의 대응하는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에서 클램핑되지 않게 되어,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칼라(3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될 경우,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력은 돌기(42)를 통하여 종동측 회전자(29)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구동측 회전자(35)와 함께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회전력은 동일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대응하는 돌기(42)의 제1 가압면(42d)으로부터 각 롤러 지지체(33c)(지지 부재(33))로 제공되어, 상기 롤러 지지체(33c)(지지 부재(33))는 동일 방향으로 롤링 부품(32)과 함께 회전한다.
한편, 회전축(6)이 도 10 에서 시계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각 롤링 부품(32)은 대응하는 돌기(42)에 의하여 중립 위치에 위치된다. 이 중립 위치에서, 각 롤링 부품(32)는 결합 돌출부(29b)의 대응하는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 사이에서 클램핑되지 않게 되어, 종동측 회전자(29)는 칼라(3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력은 돌기(42)를 통하여 종동측 회전자(29)로 전달되어, 종동측 회전자(29)는 구동측 회전자(35)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워엄축(23)이 회전하고, 워엄휠(24) 및 출력 축(25)이 상기 워엄축(23)의 회전과 함께 동시에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축(25)에 연결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창을 승하강시키도록 동작한다.
모터(1)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하측(윈도우 창측)으로부터 상기 출력축(25)으로 공급되는 하중은 상기 종동측 회전자(29)(워엄축(23))을 회전시킬려고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도 10 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각 롤링 부품(32)는 대응하는 결합 돌출부(29b)의 제어면(41)의 원주방향 단부(41b)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링 부품(32)이 중간 부분(41d)에 도달할 경우, 상기 롤링 부품(32)은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 사이에서 클램핑된다(잠김 상태). 외측링(31a)이 고정되면,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종동측 회전자(29)에 의하여 회전될 수 없다.
한편, 상기 종동측 회전자(29)가 도 10 에서 반시계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상기한 하중에 의하여 회전될 경우, 각 롤링 부품(32)는 대응하는 결합 돌출부(29b)의 제어면(41)의 원주방향 단부(41c) 측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상기 롤링 부품(32)가 중간 부분(41d)에 도달할 경우, 상기 롤링 부품(32)은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 사이에서 클램핑된다(잠김 상태). 상기 외측링(31a)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종동측 회전자(29)는 더 회전될 수 없게 되어, 구동측 회전자(35)는 종동측 회전자(29)에 의하여 회전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측(윈도우 창측)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출력축(25)에 제공되더라도, 종동측 회전자(29)의 회전은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축(25)과 연결된 위도우 창은 그의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모터(1) 조립 동작에 있어, 아마츄어(7)와, 브러시 홀더(9) 및 그에 설치된 다른 구성품들을 구비한 요크(4)가 워엄축(23)과 또 다른 구성품들이 설치된 기어 하우징(21)에 연결될 경우, 클러치(20)는 조립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9 를 참조하여, 구동측 회전자(35)는 회전축(6)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구동측 회전자(35) 이외의 클러치(20) 구성품들은 기어 하우징(21)에 미리 설치된다. 상기 요크(4)와 기어 하우징(21)이 서로 연결될 경우,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종동측 회전자(29)와 지지부재(33)등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되고, 따라서 클러치(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사이에서, 예를 들면, 각 대응하는 연결부의 제조 오차로 인한 정렬 불일치(예를 들면,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에 대한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의 경사 또는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동측 회전자(35)의 회 전축에 대한 회전축(6)의 회전축의 방사상 변위)가 발생되더라도, 대응하는 구성품의 크기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 내에서 회전축(6)의 연결부(6a)의 느슨한 삽입이 허용될 수 있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상기 정렬 불일치는 모터의 조립시에 허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 연결부로의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워엄축(23)이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경사가 일어나고 이어서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사이의 정렬 불일치가 발생하여 상기 워엄축(23)이 구부러지더라도,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로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큰 소음 및 진동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내에 느슨하게 삽입되더라도,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공(35e)에 제공된 탄성 유지부(38)에 의하여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회전축(6)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조립 동작에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6)의 하단 주위에 설치될 경우거나,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를 회전축(6)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에 원심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회전축(6)으로부터의 탈락없이 회전축(6) 주위에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의 조립 동작은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회전축(6)의 연결부(6a)는,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의 회전이 일체로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공(35e)내에 연결부(6a)를 느슨하게 삽입함으로써 정반대의 대향하는 두 플랫 내벽면을 포함하는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과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사이의 소정량의 정렬 불일치, 예를 들면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의 제조 오차에 의하여 일어나는 정렬 불일치는 조립시에 허용된다. 그 결과,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워엄축(23)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워엄축(23)이 구부러져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경사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과 회전축(6)의 회전축(6a) 사이에서 정렬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라도,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상 하중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외 회전축(6) 사이의 연결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2)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수지 몰딩에 의하여 제공되고, 연결공(37c)을 구비한 금속판(37)이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내로 인서트 몰딩된다. 상기 금속판(37)의 연결공(37c)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에 배치되고,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회전방향으로 직접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공(35e)의 단면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금속판(37)의 연결공(37c)은 회전축(6)과 회전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 회전자(35)와 회전축(6) 사이 연결부의 강도는 전체적으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구동측 회전자에 비하여 증가한다. 그 결과,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부(연결공(35e))의 축방향 크기에서의 감소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에 대하여 회전축(6)의 허용 경사 각도를 증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의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라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대응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37)은 구동측 회전자(35)에 인서트 몰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에 금속판(37)의 별도의 조립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3)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조립시에 구동측 회전자(35)를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축(6)에 대하여 구동측 회전자(3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지부(38)를 구비한다. 즉,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는 회전축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사이에서 소정량의 정렬 불일치가 허용하기 위하여 회전축(6)(연결부(6a))와 느슨한 끼워 넣음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 유지부(38)가 제공되지 않게 되면,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조립동작에서,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가 하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경우나,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를 회전축(6)으로부터 밀어 내는 원심력이 구동측 회전자(35)에 작용할 경우,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회전축(6)으로부터 구동측 회전자(35)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1) 조립 동작에서의 자유도(自由度)를 향상시킨다.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구동측 회전자(35)에 일체로 몰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로의 탄성 유지부(38)의 조립 동작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모터(1)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축(6)과 구동측 회전자(35)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진동의 발생은 상기 탄성 유지부(38)의 탄성 유지력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4) 상기 회전축(6)의 각 연결부(6a)와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은 정반대의 대향 플랫 벽면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부(6a)와 연결공(35e)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 사이의 결합은, 상기 연결부(6a)와 연결공(35e)이 회전방향으로의 두 지점에서 서로 결합되는 사실로 인하여, 회전방향으로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다.
(5)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는 돌기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과 구동측 회전자(35) 사이의 연결부는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6a)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의 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부(6a)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6) 위치결정공(9d) 및 위치결정 돌기(21n) 형태로 이루어진 위치결정 수단은 상기 회전축(6)을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9)와 워엄축(23)을 지지하는 기어 하우징(21)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9)와 기어 하우징(21)은 상기 위치결정 수단으로서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위치결정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6)과 워엄축(23) 간의 누적 오차는 감소되고,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워엄축(23)의 회전축 사이의 정렬 불일치(예를 들면,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및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 서로에 대한 어느 하나의 경사 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축(6)의 회전축 및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간의 방사상 변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회전축(6)과 클러치(20)(구동측 회전자(35)) 사이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방사항 하중은 상기 회전축(6)과 클러치(20)(구동측 회전자(35)) 사이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큰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지할 수 있다.
(7) 위치결정공(9d)과 위결결정 돌기(21n)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요크(4)와 기어 하우징(21)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브러시 홀더(9)의 클램프부(9c)의 방사상 내측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상기 요크(4)와 기어 하우징(21)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위치결정 수단에 별도의 방수포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8) 상기 브러시 홀더(9)와 기어 하우징(2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은 각각 상기 위치결정공(9d)을 위치결정 돌기(21n)로 결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용이하게 이행된다.
(9)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21n)와 두 개의 위치결정공(9d)이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브러시 홀더(9) 및 기어 하우징(21)은 서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워엄축(23)의 회전축 간의 정렬 불일치는 최소화될 수 있다.
(10) 상기 두 위치결정 돌기(21n)는 대향 대각선 코너에서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두 위치결정 공(9d)은 대각선 코너에서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브러시 홀더(9) 및 기어 하우징(21)은 서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6)의 회전축과 워엄축(23)의 회전축 간의 정렬 불일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 각각은 정반대의 대향 플랫 벽면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e) 각각의 단면은, 회전방향으로 회전축(6)의 연결부(6a)와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 공(35e) 간에 결합될 수 있는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른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의 연결부(6b)는 별 형태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6b)는 6개의 방사상 연장 돌기를 구비하며, 각 돌기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g)는 대응하는 별 형태 단면을 갖는다(또한, 금속판(37)의 연결 공(37d)도 대응하는 별 형태 단면을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연결공(35g)와 회전축(6)의 연결부(6b)는, 그 연결공(35g)과 연결부(6b)가 함께 느슨하게 끼워 넣어지도록(연결공(35g)와 연결부(6b)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축(6)의 회전축과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사이에 소정량의 정렬 불일치가 허용된다. 또한, 별 형태 단면을 갖는 연결부(6b)는 정반대의 대향 플랫 내면을 갖는 연결부(6b)의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모터(1)(모터 본체(2))의 출력이 증가될 경우, 상기 별 형태 단면 연결부(6b)의 이용이 적합하다.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원통부(6c)는 회전축(6)의 연결부(6b)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구동측 회전자(35)의 탄성 유지부(38a)는 그 구동측 회전자(35)가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부(6c)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그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 유지부(38a)는 원통부(6c)의 전체 원주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탄성 유지력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의 선단면에 연결홈(6d)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홈(6d)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돌기(35h)가 구동측 회전자(3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6d) 및 연결돌기(35h)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회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정반대의 대향하는 플랫 벽면에 구비되거나, 다각형 단면(예를 들면, 사각형, 육각형) 또는 별 형태 단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과 같이, 상기 연결돌기(35h)의 중앙 코어부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축(6)의 연결홈(6d)과 직접적으로 결합하도록 연결돌기(35h)의 축방향 중간 부분에 금속판(39)이 고정된다. 상기 금속판(39)은 회전축(6)의 연결홈(6d)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단면 형태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금속판(39)과 연결홈(6d)은 금속판(39)이 회전축(6)의 연결홈(6d)내에 느슨하게 끼워 넣어지는 크기로 이루어져, 그들 사이에 공간 S가 형성된다. 상기 금속판(39) 이외의 연결돌기(35h) 주위에 탄성 유지부(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유지부(40)는, 모터(1)의 조립시, 구동측 회전자(35)가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6)의 주위에서 구동측 회전자(35)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도록 그 회전축(6)의 연결홈(6d)의 내벽과 밀접하게 결합된다.
도 15 에서 도시한 변형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모터(1)의 조립시에 회전축(6)의 회전축(rotational axis)과 구동측 회전자(35)의 회전축 사이에서 정렬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연결돌기(35h)의 금속판(39)이 회전축(6)의 연결홈(6d)내에 느슨하게 끼워 넣어짐으로 인하여 상기 정렬 불일치가 허용된다.
상기 금속판(37) 형태의 변형은 상기한 금속판(39)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속판(37)은 어떠한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판(37)은 구동측 회전자(35)내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러나, 상기 금속판(37)은 구동측 회전자(35)로부터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고, 그 구동측 회전자(35)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재질의 상기 구동측 회전자(35)는 충분한 강도를 갖을 경우, 상기 금속판(37)은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탄성 유지부(38)의 형태 및 재질은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 및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 및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측 회전자(35)에 일체로 몰딩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구동측 회전자(38)와는 별개로 제작될 수 있고, 구동측 회전자(35)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6)에 탄성 유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되는 동안 상기 구동측 회전자(35)가 회전축(6)으로부터 탈락 될 가능성이 없을 경우(예를 들면, 연결부(6a)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측 회전자(35)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연결부(6a)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탄성 유지부(38)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브러시 홀더(9)와 기어 하우징(21)을 서로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은 위치결정공(9d)과 위치결정 돌기(21n)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공(9d) 및 위치결정 돌기(21n)의 형태, 위치, 개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공(9d)은 브러시 홀더(9)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결정 돌기(21n)는 기어 하우징(21)에 제공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위치결정 돌기는 브러시 홀더(9)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위치결정공은 기어 하우징(21)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공(9d)의 개수는 두 개이고, 위치결정 돌기(21n)의 개수도 두 개이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위치결정공(9d)과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위치결정 돌기(21n)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위치결정 공(9d)과 그에 대응하는 개수의 위치결정 돌기(21n)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 위치결정 공(9d)은 원형 단면을 갖으며, 각 위치결정 돌기(21n)는 원통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각 위치결정 공(9d)은 다각형 단면을 갖을 수 있으며, 각 위치결정 돌기(21n)는 다각형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 돌기(21n)는 대각선 코너에서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위치결정 공(9d)은 대응하는 위치결정 돌기(21n)에 대향하는 관계로 상기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결정 돌기(21n)는 하우징(21)의 연장 개구단의 단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위치결정 공(9d)은 대응하는 위치결정 돌기(21n)에 대향하는 관계로 상기 회전축(6)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클러치(20) 구조는 적절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20)는 종동측 회전자(29)를 잠금상태가 되도록 롤링 부품(32)가 종동측 회전자(29)의 대응하는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부하측으로부터 종동측 회전자(29)를 통하여 구동측 회전자(35)로 회전력 전달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클러치는 소정 회전력이 칼라(31)의 내주면(31d)과, 종동측 회전자(29)의 대응하는 제어면(41)과 칼라(31)의 내주면(31d)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각 롤링 부품(32)로부터 종동측 회전자(29)로 제공되는 동안, 종동측 회전자(29)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20)는 회전축(6)을 워엄축(23)에 구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클러치(20) 대신에, 상기 회전축(6)을 워엄축(23)으로 구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결합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 본체(2) 및 감속 유닛의 구조는 적절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1)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동원으로서 이 용된다. 상기 모터(1)는 어떠한 다른 장치 및 시스템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터는 회전축과 워엄축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연결부를 구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본체;
    상기 회전축과 동축을 이루는 워엄축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본체에 연결되는 감속 유닛; 및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으로 그 회전축의 연결부와 결합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측 회전자 및 상기 워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워엄축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으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결합가능한 종동측 회전자를 구비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수지 몰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구동측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으로 회전축의 연결부와 직접적으로 결합가능한 금속판을 포함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구동측 회전자에 인서트 몰딩되는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자의 연결부는 그 회전축의 연결부가 느슨하게 삽입되는 연결공이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구동측 회전자의 연결공의 단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연결공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으로 회전축의 연결공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구동측 회전자의 연결공내에 위치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구동측 회전자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유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모터가 조립되는 동안 회전축으로부터 탈 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에 일체로 몰딩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클러치이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워엄축으로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종동측 회전자로부터 구동측 회전자로 상기 워엄축의 회전력의 전달을 방지하는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클러치이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통하여 워엄축으로 회 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측 회전자에 소정 마찰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종동측 회전자로부터 구동측 회전자로 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모터.
  9. 회전축과 정류자를 구비하는 아마츄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요크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 본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정류자와 미끄럼 접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유지하며, 상기 요크 하우징의 개구에 위치되는 브러시 홀더;
    상기 브러시 홀더가 기어 하우징과 요크 하우징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요크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과 동축을 이루는 워엄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감속 유닛;
    상기 회전축과 워엄축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 및
    상기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을 서로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
    을 포함하는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기어 하우징의 개구와 요크 하우징의 개구 사이에서 상기 요크 하우징의 개구 내경 전체를 따라 클램핑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상기 클램프부의 내측 반경방향에 위치되는
    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수단은
    상기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돌기; 및
    상기 브러시 홀더와 기어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결정 돌기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공을 포함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돌기는 두개 이상의 위치결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공은 두개 이상의 위치결정공인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위치결정 돌기중 적어도 두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열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위치결정공중 적어도 두개는 각각 두 개 이상의 위치결정 돌기중 적어도 두개에 대향하는 관계로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열되는
    모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포함하는 클러치이고,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측 회전자는 워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워엄축에 연결되고 회전방향으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워엄축에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종동측 회전자로부터 구동측 회전자로 상기 워엄축의 회전력 전달을 방지하는
    모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포함하는 클러치이고, 상기 구동측 회전자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그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종동측 회전자는 상기 워엄축에 연결되어 그 워엄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방향으로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측 회전자와 종동측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워엄축으로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종동측 회전자에 소정 마찰력이 가해지는 동안 상기 종동측 회전자로부터 구동측 회전자로 워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KR1020020022344A 2001-04-25 2002-04-23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 KR100704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7582 2001-04-25
JPJP-P-2001-00127582 2001-04-25
JP2001131523 2001-04-27
JPJP-P-2001-00131523 200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85A KR20020082785A (ko) 2002-10-31
KR100704753B1 true KR100704753B1 (ko) 2007-04-06

Family

ID=2661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344A KR100704753B1 (ko) 2001-04-25 2002-04-23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727613B2 (ko)
EP (1) EP1253700B1 (ko)
KR (1) KR100704753B1 (ko)
DE (1) DE6023896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18B1 (ko) 2007-02-28 2010-03-17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직류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0018A1 (de) * 2000-04-22 2001-11-08 Brose Fahrzeugteile Elektromechanische Antriebsvorrichtung
JP3836369B2 (ja) * 2001-12-27 2006-10-2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US6969933B2 (en) * 2002-01-22 2005-11-2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Electric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JP2004007891A (ja) * 2002-05-31 2004-01-08 Mitsuba Corp モータ
DE10319173A1 (de) * 2003-04-29 2004-11-18 Robert Bosch Gmbh Bürstenträg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TWI221049B (en) * 2003-05-23 2004-09-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Double-phase half-wave brushless DC motor having two sensor/drive members
US7005767B2 (en) * 2003-11-24 2006-02-2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nap-fit coverplate and gearhousing for electric motor
US7135801B2 (en) * 2004-08-24 2006-11-14 Asmo Co., Ltd. Motor apparatus having rotational position detector
JP4319629B2 (ja) * 2005-01-21 2009-08-2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
JP4907100B2 (ja) * 2005-04-26 2012-03-28 株式会社 五十嵐電機製作所 電動アクチュエータ
EP1717930B1 (en) * 2005-04-26 2016-05-18 Igarashi Electric Works Ltd. Electric actuator and a motor used therein
JP4843286B2 (ja) * 2005-09-29 2011-12-21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68804B2 (ja) * 2006-02-16 2011-04-1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006592B2 (ja) * 2006-07-28 2012-08-22 株式会社ミツバ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DE102007035650B4 (de) * 2006-07-28 2021-12-02 Mitsuba Corp. Elektromotor mit Untersetzungsgetriebemechanismus
AT504080B1 (de) * 2006-09-12 2008-07-15 Miba Sinter Austr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nrunden zahnriemenrädern oder kettenrädern
US8901800B2 (en) * 2010-12-28 2014-12-02 Asmo Co., Ltd. Motor
DE102012101139A1 (de) * 2011-02-18 2012-08-23 Johnson Electric S.A. Permanentmagnetmotor
JP5779469B2 (ja) 2011-09-30 2015-09-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CN103307125B (zh) 2012-03-09 2019-12-3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扭矩传动组合装置及联轴器
US9114798B1 (en) 2012-12-12 2015-08-25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Electric actuator for drive apparatus
JP6536015B2 (ja) 2014-11-1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ョイント構造、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583075B2 (ja) * 2016-03-17 2019-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モータ及びパワーウインド装置
DE102016105193B4 (de) * 2016-03-21 2020-11-12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Störsicherer elektromechanischer Aktuator, Verfahren zu dessen Betrieb und Verwendung eines elektromechanischen Aktuators
CN107394956A (zh) * 2016-05-16 2017-11-24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驱动装置及应用该驱动装置的车窗升降器
JP6422190B2 (ja) 2016-06-17 2018-11-14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装置
DE102016211681B3 (de) * 2016-06-29 2017-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1682A1 (de) 2016-06-29 2018-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16103675U1 (de) 2016-06-29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11047433B2 (en) * 2017-03-17 2021-06-29 Denso Corporation Clutch and motor
US11404933B1 (en) 2017-04-04 2022-08-02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Electric actuator and 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drive apparatus
FR3074887B1 (fr) * 2017-12-08 2020-02-14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educteur pour systeme d'essuyage de vehicule automobile
JP7160016B2 (ja) * 2019-10-29 2022-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US11993972B2 (en) * 2021-03-05 2024-05-28 Albany Magneto Equipment, Inc. Universal rotary actua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349A (ja) * 1996-02-16 1997-08-26 Asmo Co Ltd モータ装置
JPH10285870A (ja) * 1997-04-02 1998-10-23 Mabuchi Motor Co Ltd 減速機付小型モータ
JPH1175343A (ja) * 1997-08-28 1999-03-16 Jidosha Denki Kogyo Co Ltd 小型モータ
JP2000324756A (ja) * 1999-05-06 2000-11-24 Asmo Co Ltd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13750A1 (de) * 1966-03-17 1969-07-24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er
JP2515645Y2 (ja) * 1989-11-21 1996-10-30 アスモ 株式会社 減速機付モ−タ
KR100458378B1 (ko) * 1996-05-17 2005-04-0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JPH10225048A (ja) * 1997-01-31 1998-08-21 Mabuchi Motor Co Ltd 減速機付き小型モータ
DE69941205D1 (de) * 1998-05-14 2009-09-17 Mabuchi Motor Co Kleinmotor mit schneckenantrieb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GB9812844D0 (en) * 1998-06-16 1998-08-12 Lucas Ind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US6288464B1 (en) * 1999-07-13 2001-09-11 Asmo Co., Ltd. Motor having worm gear mechanism
JP2001218420A (ja) * 2000-02-20 2001-08-10 Asmo Co Ltd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5913A (ja) * 2000-04-12 2001-10-2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樹脂歯車及びその製造法
US6550599B2 (en) * 2000-06-06 2003-04-22 Asmo Co., Ltd. Motor having clu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349A (ja) * 1996-02-16 1997-08-26 Asmo Co Ltd モータ装置
JPH10285870A (ja) * 1997-04-02 1998-10-23 Mabuchi Motor Co Ltd 減速機付小型モータ
JPH1175343A (ja) * 1997-08-28 1999-03-16 Jidosha Denki Kogyo Co Ltd 小型モータ
JP2000324756A (ja) * 1999-05-06 2000-11-24 Asmo Co Ltd 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18B1 (ko) 2007-02-28 2010-03-17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직류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8961D1 (de) 2011-03-03
EP1253700B1 (en) 2011-01-19
US6921994B2 (en) 2005-07-26
EP1253700A3 (en) 2009-06-03
KR20020082785A (ko) 2002-10-31
EP1253700A2 (en) 2002-10-30
US20040164629A1 (en) 2004-08-26
US6727613B2 (en) 2004-04-27
US20020158527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753B1 (ko) 워엄축과 결합된 회전축을 갖는 모터
KR100359505B1 (ko) 회전검출센서를 가지는 전동기
US8552605B2 (en) Dynamo-electric machine
US7592726B2 (en)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n axial spring-loaded element
US7975365B2 (en) Method of making a stepping motor
US4900967A (en) Electric motor assembly
KR100500563B1 (ko) 클러치를 갖는 모터 및 그 제조방법
JP3836369B2 (ja) モータ
JP4540001B2 (ja) モータ
JP2007100846A (ja) 回転力伝達装置及びモータ
JP3993010B2 (ja) モータ
JP2002364713A (ja) モータ
JP6399935B2 (ja) モータ装置
JP2007330084A (ja) ロータ
JP2002034207A (ja) モータ
JP2018174692A (ja) モータ取付ハウジング及びモータユニット
JP7172236B2 (ja)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5391030B2 (ja)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3875536B2 (ja) モータ
JP7351015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
JP4839200B2 (ja) モータ
CN210531198U (zh) 一种风机组件及空调器
KR101104072B1 (ko) 모터
JP4417589B2 (ja) ブラシ装置の支持構造
JP2003235205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