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943B1 -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 Google Patents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943B1
KR100700943B1 KR1020017014038A KR20017014038A KR100700943B1 KR 100700943 B1 KR100700943 B1 KR 100700943B1 KR 1020017014038 A KR1020017014038 A KR 1020017014038A KR 20017014038 A KR20017014038 A KR 20017014038A KR 100700943 B1 KR100700943 B1 KR 10070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lide
elastic
socke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993A (ko
Inventor
호텔리어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쉬바쉬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바쉬 에스.아. filed Critical 쉬바쉬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200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Spring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1), 케이스의 안쪽에 배열된 슬라이드(3), 그 자체가 슬라이드 둘레에 설장된 락킹 소켓(11)으로 구성된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소켓은, 케이스가 스프링(7)의 압축에 대항하여 굴절식 너클(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케이스(1)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켓을 붙잡는 탄성 탭(1)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1)가 케이스 안쪽으로 슬라이드(3)을 병진운동(translation)으로 유도하는 하우징(5)을 가지고 있고, 탄성 탭(19)이 하우징(5) 안쪽으로 출현하는 케이스(10)의 구멍(21)내에 삽입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배열은, 슬라이드가 케이스 안쪽으로의 병진운동으로 유도될 때 활동을 줄여줄 수 있고, 케이스내에 탭을 유지하는 더욱 큰 능력을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도, 이것은 케이스의 너비를 줄임으로써, 프레임의 심미적 외관을 강화시킨다.

Description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Elastic Articulating Component For Optical Frame}
본 발명은 광학 프레임(optical frame)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resilient articulation component)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case) 및 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된 슬라이드(slide)로 구성된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스프링은 정지부(stop) 및 락킹 소켓(locking socket) 사이에 슬라이드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락킹 소켓은 그 자체가 슬라이드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와 일체화되어있는 굴절식 너클(articulating knuckle)은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있다.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은 광학 프레임의 암(arm)에 견고히 체결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 자체가 프레임의 전장부(front tenon)에 견고히 체결되어있는 두 번째 굴절식 구성부품에 굴절식으로 연결되어(articulated) 있음으로써, 프레임 힌지(frame hinge)를 형성한다. 굴절식 축(articulating shaft)은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너클을, 두 번째 굴절식 구성부품과 일체화되어있는, 두 개의 캠-타입 너틀(cam-type knuckle)에 연결한다.
캠(cam)은, 암이 밀폐(closure) 위치와 정상의 개봉(open) 위치 사이의 중간 피버팅(intermediate pivoting) 위치에 있을 때,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스프링을 더욱 강력하게 압축할 수 있도록 형상되어있다. 이는 이들 두 위치 중의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의 암의 탄성적 회복을 초래하고, 따라서 위치에 대해 안정한 특성을 부여한다.
정상 개봉(normal opening)의 위치에서, 암은 프레임의 전장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있다. 만일, 암이 정상 개봉 위치를 넘어서 움직인다면, 스프링의 압축에 대항하여, 너클에 대해 상대적으로, 케이스에 한차례 이상 압력이 가해진다. 그로 인해 암의 탄성 회복이 초래되고, 따라서 과도한 개봉 위치에서 후자에 불안정한 특성을 부여한다.
이전에 개시된 유형의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부재는 특히 1994년 2월 11일에 발행된 프랑스 특허 제2,694,643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는 슬라이드의 돌출부(projecting part)가 삽입되는 슬롯(slot)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슬라이드와 케이스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의 병진운동(translation)을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그러한 유도는 슬롯의 세로방향의 크기(longitudinal dimension)로 한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케이스는 슬라이드 둘레에 고정된 소켓의 단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원형 단면의 수용부(receptacle)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용부 안쪽으로의 슬라이드 병진운동의 유도는, 소켓의 탭들(tabs) 사이에서 슬라이드 병진운동으로의 유 도에 의해 완료된다. 그러나, 소켓이 슬라이드의 가이드로서 작용하는(수용부 사이에서의 유도 활동(guiding play)) 영역에서 소켓과 슬라이드가 축적되어있기(accumulated) 때문에,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의 병진운동 중에 상대적으로 실질적인 운동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소켓은 케이스 수용부의 두 보유 영역들(retention areas)내에 삽입되는 두 개의 탄성 탭을 가지고 있음이 상기 공지 실시예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두 영역은 그루브(groove)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것은 케이스 안쪽에 삽입된 그루브 도구 수단에 의한 기계작업(machining)을 요구한다. 광학 프레임 분야에서 굴절식 구성부품들의 크기를 고려할 때, 도구를 세로축 수용부에 삽입하는 것과 수용부의 일정한 깊이로 보유 영역을 기계작업하는 것은 실제 실행에 문제가 있는 과정이다.
또한, 소켓의 탄성 탭의 개발은 케이스의 너비에 의해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방향으로 실행된다. 이는 상기 너비를 케이스의 제한된 크기로 억제하는 배열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 안쪽에 배치된 슬라이드(slide), 정지부(stop) 및 그 자체가 슬라이드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락킹 소켓(locking socket)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의 둘레에 고정된 스프링(spring), 및 슬라이드와 일체화되어있고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있는 굴절식 너클(articulating knuckle)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소켓은 케이스가 스프링의 압축에 대항하여 굴절식 너클에 대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 케이스에 대해 소켓을 잠글 수 있도록 탄성 탭(resilient tab)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는 케이스 안쪽으로의 병진운동으로 슬라이드를 유도하는 수용부(receptacle)를 가지고있는 것과, 락킹 소켓은 케이스의 구멍(aperture)내에 삽입되고 수용부내로 열려있는(open) 탄성 탭을 가지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용부는, 락킹 소켓과는 독립적으로, 케이스내로의 병진운동으로 슬라이드를 유도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의 부분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슬라이드와 케이스 사이의 유도 활동(guiding play)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부분은 슬라이드와 케이스를 회전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되어있다.
소켓의 보유 구멍(retention aperture)은 케이스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은 수용부 안쪽으로의 기계작업과 관련하여 매우 간편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수용부의 오목부(recess)내에 삽입되는 이차 탄성 탭을 가지고 있다. 구멍은 케이스를 프레임(frame)의 암(arm)에 견고히 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base)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구멍과 함께 정렬되어있다.
이러한 방향은 케이스의 높이를 정의한다. 따라서, 소켓의 탄성 탭은 수직 방향, 즉, 통상적으로는 케이스의 너비(width)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높이로 배열된다. 또한, 베이스의 구멍은 프레임 암 상에 케이스를 단단히 체결함으로써 감춰진다. 바람직하게도, 베이스에 수직으로 천공하는 작업에 의해 구멍과 공동(cavity)이 동시에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개시 내용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도 1A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세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1B는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가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2A는 구성부품 중 락킹 소켓과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이 장착된 슬라이드의 전면도이고;
도 2B는 슬라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3A는 락킹 소켓의 전면도이고;
도 3B는 락킹 소켓의 측면도이고;
도 4A는 구성부품 중 케이스의 전면도이고;
도 4B는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4C는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기재의 연속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도면이라도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은, 세로 방향(L)으로 뻗어있는 케이스(1)와, 세로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안쪽에 배치된 슬라이드(3)로 구성되어있다. 스프링(7)은 정지부(9)와 락킹 소켓(11)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의 일체화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로드(34)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다. 소켓 그 자체는 로드(34)의 둘레에 고정되어있다. 슬라이드와 일체로 되어있는 굴절식 너클(13)은 케이스로부터 상대적으로 돌출되어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락킹 소켓(11)은 잘린 상태로 펼쳐져있는 부분(cut and rolled part)으로서, 로드(34)의 단부(30)의 정사각형 단면에 상보적인 정사각형 단면의 베이스(110)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두 개의 구성부품을 회전상태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소켓에 대한 스프링의 지지면(supporting surface)을 늘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케이스(1)는 슬라이드(3)를 병진운동으로 유도하는 수용부(5)를 가지고있다.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5)는 직사각형 형상, 더 일반적으로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S5)을 가지고 있다. 도 2A 및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3)는 또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S3)의 유도부(guiding part: 36)를 가지고있고, 이것은 케이스 안쪽으로의 슬라이드의 병진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용부(5)의 단면에 상보적이다. 또한, 두 다면들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은 두 요소들을 회전상태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이들 두 요소들에서 슬라이드와 케이스 사이의 유도 활동을 제한한다. 달리 말하면, 락킹 소켓은 슬라이드와 케이스 사이의 중간 유도부(intermediate guiding part)로서 설계되어있지 않다.
유도부(36) 뿐만 아니라 로드(34) 및 슬라이드(3)의 굴절식 너클(13)은 하나의 단위로서 절삭되어 생산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클림프(crimp)나 접착(glue)되어 조립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클림핑(crimping)의 경우, 로드(34)의 단부를 노취(notch)시켜 슬라이드의 세로축 구멍내에 삽입한다.
또한, 소켓은 수용부(5)의 안쪽으로 열려있는(open) 케이스(1)의 구멍(21)내에 삽입되는 탄성 탭(19)을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구멍(21)은 케이스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바, 이것은 수용부 안쪽에서 실행되는 기계작업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매우 간편하다.
도 4A 및 도 4B는 굴절식 구성부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바, 여기서 락킹 소켓(11)은 수용부(5)의 오목부(17)내로 삽입되는 이차 탄성 탭(15)을 가지고 있다. 구멍(21)은 프레임 암(25)에 대한 케이스(10)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10)내에 형성되고, 오목부(17)는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10)에 수직한 방향(T)으로 배열되어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향(T)은 케이스의 높이를 정의한다. 탄성 탭(15 및 19)은 케이스의 높이를 따라 배열되는바, 이는 이러한 요소의 너비, 즉, 케이스의 높이와 세로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구성부품의 너비는 2 밀리미터(㎜)의 크기로까지 줄어들 수 있다. 더욱 작은 너비의 케이스는 더욱 작은 너비의 프레임 암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조립체의 심리적 매력을 부가한다.
바람직하게도, 구멍(21)과 오목부(17)는 높이를 따라 베이스를 천공함으로써 동시에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내의 구멍(21)은 프레임 암(25)에 대해 케이스를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감춰진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프레임의 심미적 매 력을 부가하므로, 구멍이 너비내에 제공됨으로써 외형상에 남게되는 경우들과 구별된다.
땜납(솔더: solder)이 주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반원형 챔버(27)를 관통 구멍(21)의 가장자리(edge)에, 견고한 체결 베이스(10)의 측면에 형성하거나, 또는, 케이스가 프레임 암에 땜납된다면 구멍의 천공 전면부에만 형성한다.
스프링의 압축에 대항하여 케이스(1)가 굴절식 너클(13)에 대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 락킹 소켓(11)을 케이스(1)에 체결할 수 있도록, 락킹 소켓(11)의 탄성 탭(15 및 19)은 수용부(5)의 보유 영역(17 및 21)내에 삽입된다. 또 3A 및 3B는, 락킹 소켓(11) 및, 그것의 두 탄성 탭(15 및 19)의 바람직한 예를 보여주고 있는바, 두 탄성 탭(15 및 19)은, 직사각형 단면의 베이스(10)에 수직인, 소켓의 축 방향(A)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있다. 두 탄성 탭(15 및 19)의 단부는, 케이스 보유부(17 및 21)의 영역내 지지면을 늘리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라운드(round)되어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락킹 소켓(11)이 도 1A에서처럼 로드(34)의 둘레에 고정되어있고 락킹 소켓(11)의 베이스와 로드(34)의 단부(30)의 정사각형 단면의 상보적 특성에 의해 유도될 때, 두 개의 탄성 탭(15 및 19)은 스프링의 압축력을 슬라이드(3)에 평행한 결과적인 팩터(resultant factor)로 분배한다. 이것은 소켓과 슬라이드 사이의 접촉 마찰의 저감을 초래하므로, 케이스 수용부내로 슬라이드의 미끄러짐(sliding)에 대한 저항을 제한하고 이들 두 부분을 시기상조석 마모(premature wear)에 대해 보호한다.
도 2A 및 2B는 슬라이드(3)의 바람직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유도 부분(S3)은 수용부(5)의 유도 단면에 상보적인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두 요소들을 회전상태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로드(34)의 단부는, 케이스의 수용부내로 슬라이드를 삽입하는 동안에 탄성 탭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도 단면(S3)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슬라이드의 로드(34)를,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나 경화 합금(hardened alloy)과 같은 내성 물질로 만들어진 와이어로 대체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는 예를 들어 롤(roll)의 형태로 되어있어서, 굴절식 너클(13)에 클림프되거나 납땜될 수고 있고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와이어와 너클을 남땜하는 순간에, 락킹 소켓(11)과 스프링(7)은 와이어의 둘레에 아직 고정되어있지 않고, 따라서 납땜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금속의 부가에 의한 고주파수 납땜(high-frequency soldering)이나 전기 납땜(electronic soldering)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떠한 부가없이 전기 용접(electric welding)으로 두 개의 상용성 물질(compatible material)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지부(9)는 로드(43)나 와이어의 한쪽 단부(32)의 세로방향으로 행해지는 파쇄(crushing)에 의해 형성된다. 도 2A에서 파쇄된 단부(32)는 점선으로 나타나있다. 이러한 배열은 정지부 요소를 부가하는 과정을 제거하고 스프링을 위한 원형 지지링을 제공함으로써 굴절식 구성부품의 부품수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잇점에 따르면, 마모 또는 마찰부(29)는 케이스(1)와 굴절식 너클(13) 사이에서 슬라이드(3)의 둘레에 고정된다. 이러한 부분은, 첫째로, 케이스와 프레임용 두 번째 굴절식 구성부품(케이스와 접해있음) 사이의 접촉면에서 최대 표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로, 이러한 부분은, 케이스와 두 번째 구성부품의 캠식 너클(cam-type knuckle)이 서로 비상용적(incompatible)일 때, 케이스와 너클 사이의 마찰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마모부(29)는 케이스의 수용부(5)내에 슬라이드(3)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케이스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암에 대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지만, 또한 암의 단부에 견고히 체결될 수도 있다. 케이스는 그것의 단부에서 기계작업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프레임 암의 일체화 부분일 수 있다.
슬라이드는, 케이스가 프레임 암에 대해 견고히 체결된 후에, 소켓 및 스프링과 함께 케이스내에 삽입된다. 케이스 및 프레임 암 사이를 납땜하는 경우, 이러한 조립방법은 스프링에 유해할 수 있는 열에 스프링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는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의 케이스의 일체화 부분이다. 이러한 배열은 프레임 암에 대한 케이스의 납땜을 용이하게 한다. 케이스의 베이스가 프레임 암 그 자체로 구성되는 오픈 케이스(open case)의 경우에, 납땜 동안에 추가적인 예비 조치가 행해져야 하는데, 과도한 납땜의 부가는 프레임 암과 케이스 사이의 결합부의 하부 외연(lower periphery of the joint)에 큰 챔퍼(chamfer)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의 벽을 따라 상승한 납땜은 케이스 안쪽으로의 슬라이드의 병진운동에 유해할 수 있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일체화된 베이스를 가진 케이스는 슬라이드를 병진운동으로 유도하는 수용부의 유도부를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오픈 케이스에서, 유도부는 프레임 암을 견고히 체결함에 도움이 된다. 특히, 납땜 결합부의 두께는 수용부의 높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높이의 변화는 이러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의 유도 활동을 수용부내로 유도할 수 있다.

Claims (7)

  1. 케이스(1), 케이스 안쪽에 배치되어있는 슬라이드(3), 정지부(9)와 그 자체가 슬라이드에 고정되어있는 락킹 소켓(11) 사이에서 슬라이드의 둘레에 고정되어있는 스프링(7), 슬라이드와 일체화되어있고 케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굴절식 너클(13)로 구성되어있고, 여기서 락킹 소켓(11)은, 스프링(7)의 압축에 대항하여 케이스(1)가 굴절식 너클(13)로부터 떨어질 때, 케이스에 대해 소켓을 잠글 수 있도록 탄성 탭(19)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1)는 케이스 안쪽으로 슬라이드(3)를 병진운동(translation)으로 유도하는 수용부(5)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탄성 탭(19)은 케이스(1)의 구멍(21)내에 삽입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멍(21)은 프레임 암(25)에 대한 케이스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락킹 소켓(11)은 이차 탄성 탭(15)을 가지고 있고 그것은 수용부(5)의 오목부(17)내에 삽입되며, 구멍(21)은 프레임 암(25)에 대한 케이스(1)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10)에 형성되고, 오목부(17)는 견고한 체결을 위해 베이스(10)에 수직인 방향(T)쪽으로 구멍과 함께 정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부(5)와 슬라이드(3)는 다각형 형상의 유도 단면부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서로(S3 및 S5) 상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는, 스프링(7)의 정지부(9)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32)가 파쇄(crush)된 로드(34)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는, 스프링(7)의 정지부(9)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32)가 파쇄된 와이어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마모 또는 마찰부(29)가 케이스(1)와 굴절식 너클(13) 사이에서 슬라이드(3)의 둘레에 고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KR1020017014038A 1999-05-06 2000-05-05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KR100700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6124A FR2793323B1 (fr) 1999-05-06 1999-05-06 Composant d'articulation elastique pour monture optique
FR99/06124 1999-05-06
PCT/IB2000/000582 WO2000068730A1 (fr) 1999-05-06 2000-05-05 Composant d'articulation elastique pour monture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993A KR20020034993A (ko) 2002-05-09
KR100700943B1 true KR100700943B1 (ko) 2007-03-28

Family

ID=954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038A KR100700943B1 (ko) 1999-05-06 2000-05-05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47389B2 (ko)
EP (1) EP1175638B1 (ko)
JP (1) JP2003504648A (ko)
KR (1) KR100700943B1 (ko)
CN (1) CN1144077C (ko)
AT (1) ATE272227T1 (ko)
AU (1) AU4423200A (ko)
DE (1) DE60012501T2 (ko)
FR (1) FR2793323B1 (ko)
HK (1) HK1044381B (ko)
WO (1) WO2000068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7170B1 (fr) * 2000-03-30 2002-06-28 Sipal Charniere elastique a frottement reduit
DE10042016A1 (de) * 2000-08-26 2002-03-21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DE10128383A1 (de) * 2001-06-06 2003-02-27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DE10204821A1 (de) * 2002-02-01 2003-08-1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DE10234209A1 (de) * 2002-02-22 2003-11-06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für Brillen
EP1478967B1 (de) 2002-02-22 2007-05-02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für brillen
ITBL20030011A1 (it) * 2003-07-22 2005-01-23 Milan Di Kacavenda Milenko Ora Ske Yottica Di Kac Cerniera ad incasso per l'elasticizzazione delle astine degli occhiali
FR2863059B1 (fr) * 2003-11-28 2006-01-21 Comotec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a lame
FR2870011B3 (fr) * 2004-05-06 2006-07-21 Comotec Sa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compact pour monture de lunettes
FR2870010B1 (fr) * 2004-05-06 2006-06-16 Comotec Sa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compact pour monture de lunettes
ITTV20040029U1 (it) * 2004-06-16 2004-09-16 Ideal Srl Cerniera elastica particolarmente ridotta, per l'elasticizzazione d'una astina per occhiali, strutturata per la riduzione dei giochi e con carrello ad alta scorrevolezza
DE102004045202A1 (de) * 2004-09-17 2006-04-06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einer Brille
WO2006029776A1 (de) * 2004-09-17 2006-03-23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einer brille
FR2912516B1 (fr) 2007-02-08 2009-05-01 Comotec Sa Charniere elastique compacte pour monture de lunettes
AT504656B1 (de) * 2007-07-27 2008-07-15 Redtenbacher Praez Steile Ges Federscharnier für eine brille
CN101498844B (zh) * 2008-01-31 2010-06-02 美光眼镜厂有限公司 眼镜架
CN101498843B (zh) * 2008-01-31 2010-06-02 美光眼镜厂有限公司 眼镜架
CN102007443B (zh) * 2008-04-30 2012-07-04 Obe-工厂翁玛赫特与鲍姆盖特纳公司 用于眼镜的弹簧铰链
US8978204B2 (en) 2008-10-06 2015-03-17 Mazzucchelli International B.V. Elastic hinge element for spectacles frame
FR2938350A1 (fr) * 2008-11-12 2010-05-14 Comotec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pour monture de lunettes.
IT1399200B1 (it) 2010-03-30 2013-04-11 Comotec S A Cerniera flessibile per occhiali
IT1399199B1 (it) 2010-03-30 2013-04-11 Mazzucchelli 1849 Spa Cerniera flessibile compatta per occhiali.
WO2013016874A1 (zh) * 2011-08-04 2013-02-07 深圳市龙岗区横岗镇高雅眼镜厂 眼镜快换镜腿的弹性铰链
ITMI20111504A1 (it) 2011-08-05 2013-02-06 Visottica Ind Spa Fermaglio elastico per carrelli a forcella in cerniere elastiche.
CN102566083B (zh) * 2012-02-16 2015-02-25 叶兰相 一种眼镜脚
ITMI20131909A1 (it) * 2013-11-18 2015-05-19 Visottica Ind Spa Fermaglio elastico per carrelli di cerniere elastiche in montature di occhiali e relativa cerniera elastica.
ITUB20155545A1 (it) * 2015-11-12 2017-05-12 Visottica Ind Spa Cerniera elastica per montature di occhiali e procedimento per il suo montaggio
CN107797303A (zh) * 2017-11-15 2018-03-13 台州华强眼镜有限公司 一种能使眼镜脚外展的弹性铰链及其生产方法
EP4250695A3 (en) 2017-11-23 2023-11-22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structure
IT201800002345A1 (it) * 2018-02-02 2019-08-02 Visottica Ind Spa Cerniera elastica per la montatura in plastica di un occhiale e metodo di assemblaggio di detta cerniera elastica a detta montatura
IT201800003212A1 (it) * 2018-03-02 2019-09-02 Visottica Ind Spa Cerniera elastica per astine di montature di occhiali, con fermaglio di bloccaggio inserito sul corpo del carrello
IT201800010646A1 (it) 2018-11-28 2020-05-28 Visottica Ind Spa Cerniera flessibile senza vite, per astine di montature di occhiali
IT201900003847A1 (it) * 2019-03-15 2020-09-15 Visottica Ind Spa Metodo di assemblaggio di cerniere elastiche ad una montatura di occhiali e cerniera elastica suscettibile di essere impiegata in detto metod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763A1 (fr) * 1997-01-29 1998-08-05 LN Industries S.A. Charnière élastiqu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4917U1 (ko) * 1991-11-30 1993-03-25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DE9306387U1 (ko) * 1992-07-27 1993-07-08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FR2702572B1 (fr) * 1993-03-09 1995-05-24 Chevassus Charnière élastique pour lunettes.
US5400090A (en) * 1993-12-29 1995-03-21 Chau-Chen Industry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glasses temple with a glasses frame
IT1279281B1 (it) * 1995-03-17 1997-12-09 Ideal Srl Asta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montature di occhiali, e relativo dispositivo di elasticizzazione
FR2739197B1 (fr) * 1995-09-25 1999-03-19 Chevassus Charniere elastique de lunettes a coulisse
DE19735230C2 (de) * 1997-08-14 1999-10-1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763A1 (fr) * 1997-01-29 1998-08-05 LN Industries S.A. Charnière élas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8730A1 (fr) 2000-11-16
US6547389B2 (en) 2003-04-15
CN1144077C (zh) 2004-03-31
JP2003504648A (ja) 2003-02-04
EP1175638A1 (fr) 2002-01-30
ATE272227T1 (de) 2004-08-15
DE60012501D1 (de) 2004-09-02
HK1044381B (zh) 2005-02-08
DE60012501T2 (de) 2005-08-04
AU4423200A (en) 2000-11-21
EP1175638B1 (fr) 2004-07-28
HK1044381A1 (en) 2002-10-18
FR2793323A1 (fr) 2000-11-10
CN1349619A (zh) 2002-05-15
KR20020034993A (ko) 2002-05-09
FR2793323B1 (fr) 2001-08-17
US20020092960A1 (en)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943B1 (ko)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US5533233A (en) Spring hinge
US7350271B2 (en) Compact elastic hinge element for a spectacle frame
KR100209185B1 (ko) 스프링 힌지
KR100217496B1 (ko)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US5791015A (en) Eyeglass hinge
US6952859B2 (en) Spring hinge
US10928651B2 (en) Elastic hinge for spectacle frame temples, with locking clip engaged on the body of the carriage
JPS63115128A (ja) 弾性ヒンジ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KR0157759B1 (ko)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US20030172492A1 (en) Spring-loaded hinge
KR20010040235A (ko) 스프링 힌지
US20030020867A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EP1646906B2 (en) Recessed hinge to make the temples of spectacles elastic
KR20040103370A (ko) 안경용 탄성 힌지
US20190265511A1 (en) Hinge for a spectacles frame comprising at least one internal end stop
KR20000068576A (ko) 신축성을 갖는 안경테 측면부의 경첩
KR100393638B1 (ko) 티타늄재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연결부 제조방법
KR200279327Y1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0279326Y1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JP3684753B2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
JP2003100372A (ja) 雌型コンタクト
KR200183446Y1 (ko) 안경 힌지용 패킹
KR200222156Y1 (ko) 안경다리
KR20020031146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