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185B1 - 스프링 힌지 - Google Patents

스프링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185B1
KR100209185B1 KR1019960704110A KR19960704110A KR100209185B1 KR 100209185 B1 KR100209185 B1 KR 100209185B1 KR 1019960704110 A KR1019960704110 A KR 1019960704110A KR 19960704110 A KR19960704110 A KR 19960704110A KR 100209185 B1 KR100209185 B1 KR 10020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spring
spring hinge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872A (ko
Inventor
레네르트 오토
Original Assignee
라이너 바그너
오베-베르크 온마흐트 운트 바움게르트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 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169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91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너 바그너, 오베-베르크 온마흐트 운트 바움게르트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 게 filed Critical 라이너 바그너
Publication of KR97070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pring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부재와 셀을 구비한 안경용의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이 셀(3)속에 체결되어 제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셀을 전방으로 폐쇄하는 베어링면(38)을 구비하는 폐쇄 부재(13), 그리고 안내면(19, 21, 23)을 구비하고 폐쇄 부재(13) 쪽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함께, 상기 셀은 힌지 부재중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고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다.

Description

스프링 힌지
이런 종류의 스프링 힌지들은 공지되어 있다. 이 힌지들은 통상 스프링 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힌지와 결합된 귀걸이 부재를 선회시켜 착용 위치로 되도록 하고, 귀걸이 부재에 예비 부하를 가하며, 이 부하에 의해 귀걸이 부재는 안경 착용자의 머리 쪽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그 스프링 힌지를 제조하면 비용이 다소 많이 드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이는 단점이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 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내측 공간을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하우징의 크기가 작다는 관점에서 고도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비싸다.
또한, 그와 같은 하우징의 안내 특성이 항상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귀걸이 부재와 연결되는 힌지 부재도 신뢰할 정도로 보장되지 못하며, 따라서 헐거워지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비교적 매우 광범위한 구조적인 비용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는데 관련되어 있다.
그 외에, 스냅식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힌지들에 있어서, 이 힌지의 중간 부분에 있는 캠이 하우징의 단부면을 따라 변위되면 문제점이 제기된다. 특히, 이러한 활주면(run-on surface)의 재료 특성은 귀걸이 부재 상에 하우징을 납점하는데 필요한 가열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활주면이 소정 시간 동안 가해지는 캠 압력을 지탱할 수 없게 되고, (그 캠 압력이) 사라지면 손상을 입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활주면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안경용의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 부재 및 힌지 부재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기초로 아래에 설명된다. 도면에서,
제1도는 스프링 힌지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하우징 속에 정렬된 폐쇄 부재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정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제6도는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저면도이다.
제8도는 스프링 힌지의 폐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저면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용 폐쇄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저면도이다.
제13도는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와 함께 이용된 폐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수한 안내 특성에 의해 특징을 이루는 스프링 힌지이다. 또한, 압력 작용을 더 받게 될 때, 활주면은 그 활주 특성을 상실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가지는 힌지에 의해 달성된다. 그 이유는 힌지 부재를 안내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독립하여 활주면을 형성하는 폐쇄 부재를 하우징이 수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하우징의 구조는 한편으로는 보다 단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 재료와 다른 재료로 선택된 활주면 및 힌지 부재용의 신뢰성 있는 안내부가 특정 요구 조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기재된 특징을 구비한 스프링 힌지에 의해 달성된다. 그 이유는 하우징, 폐쇄 부재 그리고/또는 힌지 부재가 간단하고 매우 저렴한 재료로 스탬핑 및/또는 세이핑 가공되기 때문에, 그 제조는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이다. 특히, 밀링 또는 드릴링과 같은 값비싼 형상 가공 및 기계 가공 단계들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해 두께가 일정한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또 다시 장점이 생긴다. 그때, 사실상, 하우징 벽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예를 들면, 하우징을 유도 가열하는 도중에 보다 얇은 영역이 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에 수용된 스프링 및 힌치 부재와 더불어, 폐쇄 부재가 안경의 귀걸이 부재상에 미리 장착되써 하우징 속으로 슁게 삽입될 수 있는 예비 조립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힌지의 실시예는 특히 유리하다. 그러므로, 그와 같이 형성된 스프링 힌지의 최종 조립은 간단하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는 또 다른 종속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전술한 종류의 스프링 힌지들은 안경의 중간 부분에 안경의 귀걸이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힌지는 이 귀걸이 부재에 부착되며, 귀걸이 부재를 중간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안경의 중간 부분의 힌지와 상호 작용하는 힌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 귀걸이 부재는 스프링 힌지의 스프링 부재가 복귀력을 가하면서 원래 위치에서 착용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치(1)는 종단면을 나타낸 제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디이프-드로우잉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공정에 의해 변형성 재료, 즉 금속으로 제조되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하우징(3)은 그 바닥(5)이 개방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7)가 하우징(3) 속에 배치되어 힌지 부재(11)의 세장형 연장부(9) 상에 지지된다. 이 연장부(9)는 나선형 스프링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세장형 핀으로서 성형되고, 가령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그 끝에서 확장되어, 그 결과 나선형 스프링에 대한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의 대향한 끝에서, 나선형 스프링인 스프링 부재(7)는 하우징 속에 배치되는 폐쇄 부재(13)를 지지하며, 이 폐쇄 부재를 관통하여 힌지 부재(11)가 연장된다.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 속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힌지 부재(11)는 그 끝에 하우징(3) 밖으로 돌출한 암힌지(15)를 구비한다. 이 암힌지(15)는 안경의 중간 부분(도시 생략)에 제공된 힌지와 상호 작용한다. 스프링 부재(7) 및 폐쇄 부재(13)는 이 부재들(7, 13)의 어떤 부분도 하우징(3)의 바닥을 통해 돌출하지 않도록 크기 조정된다. 대신에, 스프링부재(7)의 표면과 폐쇄 부재(13)의 표면은 귀걸이 부재의 외면 상에 지지되고, 이 외면에 가령 납점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는 하우징(3)의 바닥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제조된다.
암힌지(15)와 힌지 부재(11)는 한개의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또한, 연장부(9)는 힌지부재(11)의 일부분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형성하는 부재의 수는 최소로 감소된다.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7)가 그때 끝이 찌그러지는 연장부(9) 상에 장착되고 나면, 그 스프링 부재(7)와 힌지 부재(11)는 단일의 유닛을 형성한다.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의 바닥과 정렬되기 때문에, 이 폐쇄 부재(13)의 바닥은 하우징(3)이 귀걸이 부재에 고정될 때 귀걸이 부재의 외면 상에 편평하게 위치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3)의 단부면 가까이에 있는 폐쇄 부재(13)는 하우징의 내면(17)에 대해 지지된다. 힌지(1)가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 속에 최적으로 유지된다.
폐쇄 부재(13)는 힌지 부재(11)가 위치하는 매끄러운 내면(19)을 구비한다. 이 내면(19)은 스프링 부재(7)의 편향력에 대해 변위 가능한 힌지 부재(11)의 제 1 안내면으로서 역할을 한다 제 2 안내면(21)은 힌지 부재가 폐쇄 부재(1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된 결과로서 형성된다. 제 3 안내면(23)은 힌지 부재(11)의 각각의 표면에 의해 맞물리는 폐쇄 부재(13)의 내면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암힌지(15)는 그 정지 숄더(25)가 하우징(3)의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크기 조정되며, 따라서 이 단부면은 정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때 힌지 부재(11)는 미리 부하가 걸린 스프링 부재(7)에 의해 하우징(3)의 단부면(35)으로 당겨진다.
힌지 부재(11)가 폐쇄 무재(13)를 관통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그리고 이 힌지 부재(11)의 더 넓은 부분(9)에 대해 지지되는 스프링 부재(7)가 힌지 부재(11)에 미리 부하를 거는 힘을 가하기 때문에, 힌지 부재(11), 스프링 부재(7), 그리고 폐쇄 부재(13)로 이루어진 예비 조립체(ready-to-be-used assembly)가 제공된다.
이 조립체는 하우징(3)이 가령 용접 또는 납점에 의해 귀걸이 부재에 부착된 연후에 하우징(3) 속으로 끼워진다. 폐쇄 부재에는 캣치 노우즈(catch nose)(27)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 캣치 노우즈는 폐쇄 부재(13)의 본체에 힌지식으로 부착되고, 하우징(3)의 벽에 제공된 구멍(29)에 맞물린다. 캣치 노우즈(27)의 지지 숄더(31)는 하우징(3)의 구멍(29) 밖으로 캣치 노우즈(27)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캣치 노우즈(27)의 외면이 하우징(3)의 외면과 동일한 높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구멍(27)은 캣치 노우즈가 연장됨으로써 하우징(3) 속에 폐쇄 부재(13)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하는 오목부로서 하우징(3)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실시예에서, 구멍, 즉 오목부(29)가 하우징 벽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며, 그 결과 캣치 노우즈(27)는 외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따라서 맞물림이 쉽게 해제된다. 캣치 노우즈(27)는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폐쇄 부재(13)의 본체와 연결된다.
제2도는 암힌지(15)가 하우징(3)의 단부면(35)으로부터 돌출하고, 이 표면 보다 더 좁은 것을 나타낸다. 또, 제2도는 캣치 노우즈(27)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9)이 정사각형인 것을 나타낸다. 구멍(29) 및 캣치 노우즈(27)의 크기는 하우징(3)의 내부가 이 내부로 오물의 침투로부터 방지되도록 선택된다. 이에 대응하여, 폐쇄 부재(13)의 크기도 하우징의 단부면(35)으로부터 하우징(3)의 내부로 오물의 침투를 유사하게 방지하도록 선택된다.
제3도는 폐쇄 부재(13)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내면(19)은 힌지 부재(11)용의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추가로, 폐쇄 부재(13)의 내면은 제 2 안내면(21)과 제 3 안내면(23)을 포함한다. 안내면들(19, 21, 23)은 힌지 부재(11)가 폐쇄 부재(13)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변위되도록 서로 상호 작용한다. 이는 하우징(3)의 내부에서 힌지 부재(11)의 선택적인 변위를 보장한다.
제3도는 또한 아암(33)을 명료하게 나타내며, 이 아암은 이미 제1도에 대하여 캣치 노우즈(27) 및 지지 숄더(31)와 함께 설명되었다.
폐쇄 부재(13)의 내측 크기는 힌지 부재(11)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변위되도록 힌지 부재(11)의 내측 크기와 맞춰진다.
제4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13)의 정면도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통로(37)가 안내면들(19, 21) 사이에 형성되며, 이 안내면들을 관통하여 바람직하게는 이 통로에 대응하는 정사각형 부분을 또한 구비하는 힌지 부재(11)가 연장된다. 제4도는 또한 제 3 안내면(23)을 나타낸다. 그 외에, 제4도는 제 3 안내면의 활주면을 형성하는 단부면(38)을 나타낸다. 이 활주면의 정확한 기능은 이하 설명된다.
폐쇄 부재(13)의 형상은 하우징(3)의 내측 윤곽과 맞추어지고, 그 결과 스프링 힌지(1)가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의 바닥(39)은 하우징(3)의 내면(17)을 지지하는 최상부면(41) 및 하우징(3)의 내부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측면(43, 45)과 더불어, 귀걸이 부재의 외면 또는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스프링 힌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따라서 폐쇄 부재(13)는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하우징(3)의 내부에 유지된다.
제4도는 또한 폐쇄 부재(13)가 모든 방향에서 힌지 부재(11)를 에워싸며, 따라서 전술한 일체의 구조체가 형성된다.
제5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13)의 평면도는 캣치 노우즈(27)의 너비가 폐쇄 부재(13)자체의 너비 보다 더 작다는 것을 예시한다. 캣치 노우즈(27)를 지지하는 스프링아암(33)은 연속 브릿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작은 아암이 이용될 수 있거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V 형상의 2개의 스프링 아암(33)은 캣치 노우즈(27)를 폐쇄 부재(13)의 본체와 탄력적으로 연결한다.
제1도 또는 제3도에 따르면, 캣치 노우즈(27)는 활주 경사면으로서 형성되는 상부면을 구비한다. 이 상부면은 조립체를 유지 지탱하는 준 스냅식 연결부(quasi snap connection)를 형성하며, 하우징(3)의 내부에 스프링 부재(7), 힌지 부재(11), 그리고 폐쇄 부재(13)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다. 캣치 노우즈(27)는 스프링 아암(33)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하우징(3)의 구멍(29) 속에 유지 지탱된다.
힌지 부재(11) 뿐만 아니라 폐쇄 부재(13)는 금속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무니켈 금속, 바람직하게는 티타늄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안경 착용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모를 감소시킨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6도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힌지 스프링의 동일한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에 대하여 사용된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힌지(101)는 마찬가지로 폐쇄 부재(13)가 수용되는 하우징(3)을 구비한다. 힌지 부재(11)는 폐쇄 부재(13)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또한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7)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세장형 연장부(9)를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7)는 폐쇄 부재(13)에 의해 한쪽 끝에서 지지되고, 힌지 부재(11)의 연장부(9) 상에 지지된 정지링(47)에 의해 다른쪽 끝에서 지지되며, 가령 힌지 부재(7)의 자유단에 형성된 확장 부분에 의해서도 유지된다. 스프링 부재(7)는 미리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연장부(9) 상에 장착되어, 암힌지(15)가 하우징(3)의 단부면으로, 그리고 폐쇄 부재(13)의 단부면으로 당겨지도록, 힌지 부재가 폐쇄 부재(13) 쪽으로 당겨진다.
하우징(3)은 스프링 부재(7)나 힌지 부재(11)중 어느 것도 하우징(3)의 바닥을 관통하여 돌출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3)이 귀걸이 부재에 장착되고, 예컨대 이 귀걸이 부재에 덮힐 때, 폐쇄 부재(13)의 바닥은 귀걸이 부재의 상부면상에 편평하게 위치한다. 폐쇄 부재(13)의 최상부면은 하우징(3)의 내면(17)을 지지하여, 스프링 힌지가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의 내부에 신뢰성 있게 유지 지탱되고, 힌지 부재(11)를 안내한다. 힌지 부재(11)는 그것의 표면을 스프링 부재(7)용의 지지면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 1 및 제 2 안내면(19,21) 상에 지지되게 한다. 하우징(3)의 단부면(35) 가까이에서, 폐쇄 부재(13)는 제 1 안내면(19)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내측의 안내면(23)을 구비한다. 제 1 안내면(19)으로부터 제 3 안내면(23)의 간격은, 힌지 부재(11)가 이 영역에서 더 높기 때문에, 표면(19)으로부터 제 2 안내면(21)의 간격 보다 더 넓다.
바람직하게는, 힌지 부재(7)는 굴곡 부재로서, 다시 말하면 제 3 안내면(23)에 대해 지지되는 후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진 소구멍을 암힌지 영역에서 형성하는 세장형 와이어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힌지 부재(11)는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제7도의 저면도를 보면, 정지링(47)은 하우징(3)의 내면에 대해 지지되고, 따라서 연장부(9)를 따라 신뢰성 있게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폐쇄 부재(13)의 측벽은 하우징(3)의 측면에 접촉하며, 하우징(3) 속에 폐쇄 부재(13)를 신뢰성 있게 안내하는 것을 보장한다.
폐쇄 부재(13)는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폐쇄 부재(13)의 본체 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2개의 캣치 노우즈(27a, 27b)를 구비한다. 이들 캣치 노우즈(27a, 27b)는 하우징(3)의 측벽에 제공된 구멍(29) 속에 맞물린다. 일반적으로, 구멍(29)은 캣치 노우즈(27a, 27b)가 맞물리는 톱니형 오목부로서 하우징(3)의 측벽에 형성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구멍(29)은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캣치 노우즈(27a, 27b)가 구멍(29) 속에 맞물릴 때, 이 캣치 노우즈(27a, 27b)의 외면은 하우징(3)의 측방 외면과 높이가 동일하다. 따라서, 스프링 힌지(101)를 보았을 때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캣치 노우즈(27a, 27b)는 폐쇄 부재(13)에 분리 가능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캣치 노우즈(27a, 27b)는 스냅식 작용으로 구멍(29) 속에 맞물린다. 스프링 아암(33)의 체결 작용은 캣치 노우즈(27a, 27b)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7)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도움을 받고, 그 결과 캣치 노우즈는 구멍(29) 속에서 외향으로 편향된다. 귀걸이 부재가 지나치게 신장될 때, 스프링 부재(7)의 편향력에 대해 하우징(3)속에서 변위 가능한 힌치 부재(11)는 하우징(3) 밖으로 당겨지고, 스프링 부재(7)는 압축된다. 따라서, 캣치 노우즈(27a, 27b)의 체결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은 증가하고, 그 결과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폐쇄 부재(13)를 고정하는 것은 스프링 힌지에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에도 보장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13)의 바닥은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13)는 캣치 노우즈(27a, 27b)를 폐쇄 부재(13)와 연결하는 스프링 아암(33)을 형성하는 2개의 슬롯(53)을 구비한다.
제8도는 보다 가벼운 폐쇄 부재(13)를 나타내며, 그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8도에 도시되지 않은 힌지 부재는 한편으로 제6도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안내면(21,23)에 의해 안내되고, 다른 한편으로 폐쇄 부재를 지지하는 귀걸이 부재의 상부면에 의해 안내된다.
폐쇄 부재(113)의 투상 저면도는 캣치 노우즈(27a, 27b)의 형상을 명료하게 나타내며, 이 캣치 노우즈(27a, 27b)는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외향으로 밀릴 때, 전술한 스냅식 연결하기 위해 어느 정도 원추형 표면을 구비한다.
폐쇄 부재(13)의 바닥(39)은 귀걸이 부재의 상부면 상에 편평하게 위치하도록 동일하게 만들어져 힌지 부재(11)를 칙적으로 안내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도 및 제6도의 실시예의 스프링 힌지는 힌지 부재, 스프링 부재, 그리고 폐쇄 부재로 형성되어 귀걸이 부재 상에 고정된 하우징 속으로 삽입되는 유닛은, 스프링 힌지가 귀걸이 부재에 고정될 경우에, 폐쇄 부재의 캣치 노우즈가 외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도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힌지 부재(11) 및 스프링 부재(7)와 더불어, 하우징(3)을 구비하는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힌지 부재(11)는 세장형 연장부(9)와 암힌지(15)를 구비하며, 이 둘 모두는 일체형 힌지 부재(1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힌지 부재(11)는 적어도 말발굽형 부재로서 이 힌지 부재(11)를 둘러싸는 폐쇄 부재(13) 속에 연장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이 하우징이 스프링 부재(7), 힌지 부재(11), 그리고 폐쇄 부재(13)로 형성된 조립체를 에워싸는 바닥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도 및 제6도의 실시예의 하우징과 다르다.
폐쇄 부재(13)에는 하우징(3)의 구멍(29) 속에 맞물리는 캣치 노우즈(27)가 마찬가지로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29)은 바닥(55) 속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힌지(102)가 귀걸이 부재 상에 장착된 연후에, 캣치 노우즈(27)는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다. 하우징(3)의 내부는 먼지와 오물 뿐만 아니라 귀걸이 부재에 하우징을 납땜하면서 생기는 이물질로부터 더 양호하게 보호된다. 스프링 부재(7)는 그 한쪽 끝에서 힌지 부재(11)의 연장부(9) 상에 고정된 정지링(47)에 대해 지지된다. 이 정지링(47)은 연장부의 끝 부분의 변형에 의해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힌지 부재(11)는 그 바닥과 함께 제 1 안내면을 형성하는 바닥(딜)의 내면에 편평하게 위치한다. 제 2 안내면(21)은 스프링 부재(7) 가까이에 형성되고, 제 3 안내면(23)은 하우징(3)의 단부면 가까이에 형성된다. 이들 3개의 안내면을 제공하면, 폐쇄 부재(13) 속에 힌지 부재(11)를 신뢰성 있게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폐쇄 부재(13)의 내부 크기는 폐쇄 부재(13) 속에 힌지 부재(11)를 최적을 안내하는 것이 보장되도록 힌지 부재의 내부 크기와 부합된다.
정지면(25)을 구비한 힌지 암힌지(15)와 하우징(3)의 단부면 사이에, 폐쇄판(57)이 하우징(3)의 내부로 오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10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부재(11)는 하우징(3) 보다 더 작다. 제10도는 구멍(29)은 캣치 노우즈(27)를 사방에서 둘러싸는 관통 구멍이라는 것을 또 다시 나타낸다.
제11도는 폐쇄 부재(13)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캣치 노우즈(27)를 폐쇄 부재(13)의 본체에 연결하는 스프링 아암(33)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9)에 의해 폐쇄 부재(13)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막대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제11도에 또 다시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13)에는 하우징(3)의 단부면을 폐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9도에 도시된 폐쇄판(57) 대용으로 될 수 있는 비드(bead)(6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정치부 또는 힌지 부재(11)를 형성하고, 힌지부재(11)를 그 내부에서 특히 우수하게 안내한다.
스프링 아암(33)은 그것의 내면을 스프링 부재(7)가 캣치 노우즈(27)를 그 체결 위치로 변위시키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는 활주 경사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힌지 부재(11)가 제9도에서 축방향 왼쪽으로 변위될 때, 스프링 부재는 하우징(3)의 바닥(57)에 있는 구멍(29) 속에 보다 잘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 캣치 노우즈(27)에 증가된 편향력을 가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캣치 노우즈(27)의 너비는 폐쇄 부재(13)의 너비 보다 더 작은 반면, 비드(61)의 너비는 폐쇄 부재(13)의 너비를 능가하여, 하우징(3)의 단부면을 폐쇄하는 것을 보장하고, 이 단부면에서 하우징(3)의 횡단면 상의 활주면이 증가된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변형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디이프-드로우잉될 수 있는 재료로 성형된다. 폐쇄 부재와 힌지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 나, 바람직하게는 티타늄과 같은 무니켈 재료가 폐쇄 부재 및 힌지부재를 제작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13도는 바닥(55)을 갖춘 하우징(3)을 구비한 스프링 힌지(30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가령,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7)는 하우징 속에 수용되고, 힌지 부재(11)의 세장형 연장부(9) 상에 변위되고, 이 연장부(9)의 확장된 부분에 의해 지지된 정지링(47)에 대해 지지된다. 이 정지링(47)은 스프링 부재(7)용의 제 1 정지부를 형성하며, 폐쇄 부재(213)는 또 다른 정지부를 형성한다.
힌지 부재(11)에는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하는 암힌지(15)가 마련되어 있고, 이 암힌지의 크기는 암힌지(15)의 정지면(25)이 하우징(3)의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선택된다. 스프링 부재에 미리 부하가 펄리면, 암힌지(15)는 하우징(3)의 단부면에 대해 가압된다.
하우징(3)의 바닥(55)은 폐쇄 부재(213)의 캣치 노우즈(27)가 맞물리는 관통 구멍(29)을 구비한다. 이 폐쇄 부재(213)는 굴곡된 판재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이 폐쇄 부재(213)는 안내면이 스프링 부재(7)의 편향력에 대해 힌지 부재(11)를 수평 변위시킨다. 폐쇄 부재(213)는 구멍(65)을 구비하는 바, 이 구멍의 원주면이 힌지 변위 안내부를 형성하도록 힌지 부재(11)의 연장부(9)의 윤곽과 맞춰진다.
폐쇄 부재(213)은 그 상부면이 하우징(3)의 내면(17) 상에 편평하게 위치하고, 그 바닥면은 하우징(3)의 바닥(55)의 내면 상에 위치하며, 이는 하우징(3) 속에 폐쇄 부재(213)를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제14도는 제13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을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 폐쇄 부재(213)의 외면 전체는 하우징(3)의 각각의 내면 상에 위치하여 폐쇄 부재(213)가 하우징(3)의 내면에 의해 사방에서 둘러싸여지며, 따라서 폐쇄 부재(213)는 하우징(3) 속에 신뢰성 있게 수용된다. 이 폐쇄 부재(213)는 그 바닥에서 2개의 사이드 아암(67,69)을 구비하며, 이 아암의 내면은 힌지 부재(1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폐쇄 부재(213)의 바닥(39)은 하우징(3)의 바닥(55) 상에 편평하게 위치하고, 힌지 부재(11)를 적절하게 안내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5도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폐쇄 부재(213)의 기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폐쇄부재(213)는 아암(67, 69)을 구비하며, 이 아암의 인접한 내면은 힌지 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안내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15도는 연장부(9)가 통과해서 돌출하는 구멍(65)을 나타내며, 이 구멍의 내면은 상기 연장부용의 안내면을 형성한다.
사이드 아암(67, 69)은 폐쇄 부재(213)를 하우징(3) 속으로 삽입한 이후에 이 부재를 신뢰성 있게 유지시키는 캣치 노우즈(27)용의 스프링 아암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먼저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부재(11)는 연장부(9) 및 암힌지(15)를 구비한다.
힌지 부재(11)가 모든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스프링부재(7), 힌지 부재(11), 그리고 폐쇄 부재(213)는 하우징(3) 속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는 단일 조립체를 형성한다.
하우징(3)이 바닥(55)을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의 단일 조립체는 하우징이 귀걸이 부재에 고정되기 전에 하우징(3) 속에 삽입되며, 따라서 스프링 힌지 조립체가 형성된다. 그때, 하우징(3)은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귀걸이 부재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 힌지 조립체의 스프링 특성을 고려하면, 접착(gluing)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단일 조립체를 귀걸이 부재 상에 납땜하거나 용접하는 경우에, 그 단일 조립체는 귀걸이 부재에 하우징이 고정되고 나서 하우징 속으로 삽입된다. 이는 폐쇄 부재의 활주면의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납점 또는 용접과 관련해서 폐쇄 부재로 열을 전달하지 못하게 예방한다.
사이드 아암, 즉 스프링 아암(67, 69)과 캣치 노우즈(27) 사이의 전이 영역에, 제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71)이 제공된다. 스프링력이 폐쇄 부재(213)의 아암(73)에 가해지며, 아암(73)은 경사면에 대해 가압되고, 캣치 노우즈(27)를 또 다시 그 체결 위치로 하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힌지 부재(11)가 좌향 변위한 결과로써 스프링 부재(7)에 추가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캣치 노우즈(27)의 체결 작용은 활주 경사면(71)에 의해 증가된다.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스프링 힌지(303)는 폐쇄 부재(213)를 특히 경제적으로 제작함으로써 특징을 이루게 되며, 이 스프링 힌지는 스프링 힌지 하우징(3) 속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고, 폐쇄 부재(213)의 상부면은 하우징(3)의 내면(17)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아암(67, 69)의 바닥면은 하우징의 바닥(55)의 내면 상에(제3도 참조) 편평하게 위치한다. 하우징(3) 속에 폐쇄 부재(213)의 신뢰성 있는 유지로 인해, 심지어 폐쇄 부재(213)가 이 부재를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판재로부터 성형되는 경우에도 힌지 부재(11)를 최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하우징 속에 삽입된 스프링 부재, 힌지 부재 및 폐쇄 부재의 단일 조립체인 경우에 있어서, 이 하우징은 그 속에 단일 조립체를 유지하기 위해 폐쇄 부재의 캣치 노우즈가 맞물리는 구멍이 있는 바닥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이 귀걸이 부재 상에 고정된 연후에, 캣치 노우즈가 외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단일 조립체는 더 이상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만약 스프링 힌지가 예비 조립된 유닛으로서 형성되고 나서, 귀걸이 부재 상에 고정되면, 캣치 노우즈는 유닛이 귀걸이 부재 상에 고정되기 전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스프링 무재,힌지 부재 및 폐쇄 부재의 단일 조립체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단일 조립체의 간단한 구조는 귀걸이 부재 상에 고정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하우징 속에 그 조립체를 쉽게 장착하는 것과, 하우징 속에 폐쇄 부재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고, 동시에 하우징 속에 힌지 부재를 최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폐쇄 부재에는 하우징을 귀걸이 부재에 납점하거나 용접하는 동안 연화 현상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 최적의 특성을 지닌 활주면이 마련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단순하게 제작되는 스탬핑은 스프링 힌지를 경제적으로 제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하우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폐쇄 부재가 하우징에 의해 적어도 3개의 측면으로부터 포위되고, 제 4 측면은 귀걸이 부재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먼지, 락커 흔합물 그리고/또는 폴리싱 흔합물이 스프링 힌지 속으로 침투할 수 없으며, 이는 스프링 힌지의 매우 우수한 기능을 보장한다. 하우징의 단부면은 또한 폐쇄 부재에 의해 실실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고, 귀걸이 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오물의 어떠한 침투로부터 완전하게 보호된 스프링 힌지가 어떤 실질적인 비용없이 생산된다. 또한, 힌지 부재를 안내하기 위해 폐쇄 부재를 이용하면, 또 다시 구조적인 비용과 제작 단가가 감소된다.
이미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하우징과 힌지 부재는 단지 소수의 작동 단계로 각각 이루어진 스탬핑 및 세이핑 가공에 의해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생산된다. 가공 조작은 더 이상 필요없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폐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싱과 벤딩과 같은 다이 스탬핑을 이용하여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 및 힌지 부재로서 생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무니켈 금속, 가령 티타늄이 이용된다.
스탬핑 및 세이핑 가공 기술(종래의 가공과 비교해서)의 보다 작은 치수 정확도는 적합한 폐쇄 부재의 삽입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기재 내용으로 판단해보면, 전술한 부품의 제작은 매우 간단하고, 따라서 매우 비용 효과적이다는 것이 명백하다.
값비싼 외형은 하우징과 힌지 부재가 이 외형으로부터 제거되었기 때문에, 사라지게 된다. 또한, 제거된 외형의 필요한 가공은 전술한 제작 공정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
제1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는 스프링 부재 및 폐쇄 부재와 함께 단일조립체를 형성하는 힌지 부재가 하우징 속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이 하우징 속에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폐쇄 부재가 스냅식 체결 요소로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이루어진다. 삽입과 동시에, 단일 조립체는 스프링 힌지를 조립하는데 더 비싸게 하는 다른 연결 수단에 대한 어떠한 요구도 없이 하우징 속에 체결된다.
용이한 조립에도 불구하고, 힌지 부재는 폐쇄 부재를 통하여 전적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이 힌지 부재를 매우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부재를 안내하는 것은 U형 부재로서 폐쇄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보장되고, 힌지 부재는 스프링 힌지가 장착되는 귀걸이 부재에 편평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힌지 부재의 모든 방향에서 힌지 부재를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특히, 폐쇄 부재의 기하학적인 변수인 길이(L), 높이(H), 그리고 너비(B)가 LHB의 관계를 가질 때, 힌지 부재를 양호하게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들 치수는 한편으로 하우징 속에 폐쇄 부재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고 하우징속에 폐쇄 부재를 공차 없이 배치하는 것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 속에 폐쇄 부재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기 때문에, 그리고 폐쇄 부재 속에 힌지 부재를 공차 없이 변위시키기 때문에 힌지 부재를 양호하게 안내하는 것을 보장한다.
비록 스프링 힌지가 단일 유닛이 쉽게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 스탬핑된 하우징을 구비할지라도, 현재까지 매우 비싼 제작 비용으로만 달성될 수 있는 매우 고도의 기술적인 특성이 달성된다.
스프링 힌지의 비용 효과적인 제작은 지금까지 하우징 내측에 힌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특별한 체결 요소들을 또한 제거할 수 있었던 폐쇄 부재의 특별한 형상으로 인한 스프링 힌지 하우징 속의 특별한 안내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Claims (15)

  1. 안경을 귀걸이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힌지로서, 전방으로 개방되는 세장형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연장부 및 암힌지를 구비한 세장형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를 당길 경우에 압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 속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고, 활주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하우징을 전방으로 폐쇄하는 상기 하우징의 구멍을 향한 단부면(38)을 가진 폐쇄 부재(13)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부재(13)를 관통하여 안내면(19, 21, 23)을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 속에 상기 힌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3)의 종방향으로 상기 안내면을 통하여 안내되어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바닥(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벽의 두께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료)은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13, 113, 213), 스프링 부재(7), 및/또는 힌지 부재(11)는 미리 조립된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힌지 부재(11)용의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닥에, 하나 이상의 측벽에 및/또는 하우징(3)의 최상부에 상기 폐쇄 부재 상에 제공된 캣치 노우즈(27)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9)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213)는 굴곡된 공작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 부재, 스프링 부재, 그리고 폐쇄부재는 미리 조립된 소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스냅식 체결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의 길이는 그 높이 보다 더 크고, 이 폐쇄 부재의 높이는 그 너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 폐쇄 부재(13), 및/또는 힌지 부재는 금속으로 프레싱 및/또는 세이핑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스트립 형상의 티타늄과 같은 무니켈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11)는 상기 폐쇄 부재(13) 속에 수용되며, 상기 힌지 부재 상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그 힌지 부재 상에 고정되며, 상기 폐쇄 부재 및 힌지 부재는 함께 하우징 속에 삽입되어 하우징, 폐쇄 부재, 힌지 부재의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쇄 부재 및 힌지 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귀걸이 부재 상에 먼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KR1019960704110A 1994-04-30 1995-04-28 스프링 힌지 KR100209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15307A DE4415307C2 (de) 1994-04-30 1994-04-30 Federscharnier für Brillen, mit einem Gehäuse
DEP4415307.4 1994-04-30
PCT/EP1995/001621 WO1995030171A1 (de) 1994-04-30 1995-04-28 Federscharn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872A KR970700872A (ko) 1997-02-12
KR100209185B1 true KR100209185B1 (ko) 1999-07-15

Family

ID=651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110A KR100209185B1 (ko) 1994-04-30 1995-04-28 스프링 힌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55010A (ko)
EP (1) EP0758461B1 (ko)
JP (1) JP3135578B2 (ko)
KR (1) KR100209185B1 (ko)
CN (1) CN1059503C (ko)
AT (1) ATE163326T1 (ko)
DE (2) DE4415307C2 (ko)
ES (1) ES2113200T3 (ko)
HK (1) HK1007661A1 (ko)
WO (1) WO1995030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5495A1 (de) * 1995-04-27 1996-10-31 Obe Werk Kg Federscharnier
IT1288611B1 (it) * 1996-04-29 1998-09-23 Luciano Montagner Dispositivo particolarmente ridotto per l'elasticizzazione di una astina per occhiali
DE29613160U1 (de) * 1996-07-30 1996-09-19 Tech Buero Huber Gehäuse als Bauteil für Brillenbügel
DE19735230C2 (de) * 1997-08-14 1999-10-1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JP2001159745A (ja) * 1999-12-02 2001-06-12 Yuurobijon:Kk テンプル構造体及びモダン
IT1306702B1 (it) * 1999-04-15 2001-10-02 Visottica Spa Cerniera elastica per occhiali con blocco di sicurezza.
DE10128383A1 (de) * 2001-06-06 2003-02-27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ATE361483T1 (de) * 2002-02-22 2007-05-15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für brillen
DE10261765A1 (de) * 2002-12-19 2004-07-15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ITPD20030117A1 (it) * 2003-05-29 2004-11-30 Ideal Srl Cerniera elastica per occhiali.
ITTV20040029U1 (it) * 2004-06-16 2004-09-16 Ideal Srl Cerniera elastica particolarmente ridotta, per l'elasticizzazione d'una astina per occhiali, strutturata per la riduzione dei giochi e con carrello ad alta scorrevolezza
TWI450054B (zh) * 2005-09-20 2014-08-21 Mitsubishi Rayon Co 碳粉用聚酯樹脂、其製造方法以及碳粉
FR2907558B1 (fr) * 2006-10-24 2009-01-16 Comotec Sa Elements de charniere elastique a grande amplitude pour monture de lunettes
CN102216831B (zh) * 2008-10-06 2013-08-28 玛珠舍利国际公司 用于眼镜框的弹性铰链元件
WO2011103949A1 (de) * 2010-02-24 2011-09-01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DE102011012377A1 (de) * 2011-02-23 2012-03-01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ührungsteil, Gehäuse, Federscharnier, Brillen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Befestigung eines Gehäuses auf einem Brillenelement
IT201900003847A1 (it) * 2019-03-15 2020-09-15 Visottica Ind Spa Metodo di assemblaggio di cerniere elastiche ad una montatura di occhiali e cerniera elastica suscettibile di essere impiegata in detto metodo
US11378817B2 (en) 2020-02-18 2022-07-05 Snap Inc. Hyperextending hinge having FPC service loops for eyewear
US11543679B2 (en) 2020-02-18 2023-01-03 Snap Inc. Hyperextending hinge having cosmetic trim for eyewear
US11880093B2 (en) * 2020-02-18 2024-01-23 Snap Inc. Hyperextending hinge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0055C2 (de) * 1979-10-03 1982-05-06 OBE-Werk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Federscharnier für Brillen
CH676156A5 (ko) * 1988-04-29 1990-12-14 Nationale Sa
FR2641382A1 (fr) * 1989-01-04 1990-07-06 Malfroy Jean Yves Charniere elastique pour branche de monture de lunettes
DE8905610U1 (ko) * 1989-05-04 1990-08-30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DE4008086A1 (de) * 1989-11-04 1991-09-19 Obe Werk Kg Federscharnier fuer brillen
IT1243287B (it) * 1990-07-19 1994-05-26 Visottica Spa Cerniera elastica perfezionata per occhiali
GB2268282A (en) * 1992-06-23 1994-01-05 Ottica Far East Ltd Elastic hinge for spectacles
DE9306387U1 (ko) * 1992-07-27 1993-07-08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DE9210056U1 (ko) * 1992-07-27 1992-09-17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DE9301985U1 (ko) * 1993-02-12 1993-04-01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CH688666A5 (fr) * 1993-06-09 1997-12-31 Nationale Sa Charnière de lunettes.
US5400090A (en) * 1993-12-29 1995-03-21 Chau-Chen Industry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glasses temple with a glasses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5578B2 (ja) 2001-02-19
WO1995030171A1 (de) 1995-11-09
DE4415307C2 (de) 1998-02-19
EP0758461B1 (de) 1998-02-18
CN1139488A (zh) 1997-01-01
DE59501468D1 (de) 1998-03-26
HK1007661A1 (en) 1999-04-16
US5755010A (en) 1998-05-26
CN1059503C (zh) 2000-12-13
JPH09507717A (ja) 1997-08-05
ATE163326T1 (de) 1998-03-15
EP0758461A1 (de) 1997-02-19
ES2113200T3 (es) 1998-04-16
DE4415307A1 (de) 1995-11-02
KR970700872A (ko) 1997-02-12
DE59501468C5 (de)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185B1 (ko) 스프링 힌지
US5533233A (en) Spring hinge
KR100700943B1 (ko)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US8166610B2 (en) Spring hinge
US6042433A (en) Electrical contact
US20030172492A1 (en) Spring-loaded hinge
KR0157759B1 (ko)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US4880401A (en) Electric female connector piece
US6952859B2 (en) Spring hinge
US20110016666A1 (en) Spring hinge for spectacles
EP1770829B1 (en) Connector
JP2709283B2 (ja) Icキャリア
KR20000077479A (ko) 로커 아암 및 로커 아암 본체의 제조 방법
US5983669A (en) Spring for earring clip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289298A (ja) 可動型コネクタ組立体
EP1284525A2 (en) Plug type connector
JP6617187B1 (ja) 可動コネクタ
US4205905A (en) Holder for nosepads on metal spectacles
EP1617520B1 (en) A connector
US6953369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inhibiting insertion of a thinner card with a simple structure
US4336431A (en) Solderless circuit board contact
JPH0735317Y2 (ja) コネクタ用接続端子
JP4195909B2 (ja) ブスバー接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43053Y2 (ja) スイッチの可動接点組付構造
US20040037631A1 (en) Cast fixing element for a wipe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702

Effective date: 2005012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225

Effective date: 200607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227

Effective date: 200705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