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759B1 -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759B1
KR0157759B1 KR1019960706744A KR19960706744A KR0157759B1 KR 0157759 B1 KR0157759 B1 KR 0157759B1 KR 1019960706744 A KR1019960706744 A KR 1019960706744A KR 19960706744 A KR19960706744 A KR 19960706744A KR 0157759 B1 KR0157759 B1 KR 015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inge
spring
hinge member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873A (ko
Inventor
뫼스너 하인츠
Original Assignee
라이너 바그너
오베-베르크 온마흐트 운트 바움개르트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605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77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ublication of KR9707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873A/ko
Application filed by 라이너 바그너, 오베-베르크 온마흐트 운트 바움개르트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라이너 바그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24Hinge making 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89Obtaining plural product pieces from unitary workpiece
    • Y10T29/49798Dividing sequentially from leading end, e.g., by cutting or bre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99Providing transitory integral holding or handling por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Spr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부재(11)와 스프링 부재(7)를 포함하는 스프링 힌지-조립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힌지 부재(11)는 밴드형 재료와 같은 재료(481)로 부터 스탬핑 및/또는 성형되며, 스프링 부재(7)는 힌지 부재(11)가 밴드형 재료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힌지 부재(11)상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 방법
스프링 힌지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프링 힌지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부재가 수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힌지와 결합된 안경 다리가 통상의 착용 위치를 넘어 선회될 수 있도록 해주고, 그 안경 다리가 안경 착용자의 두부(頭部)에 가압되도록 안경 다리에 편향력을 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 힌지는 그것을 제조하는 데 상당히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스프링 힌지 부품들을 절삭 가공해야 함은 물론 매우 고가의 형상재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개 힌지 부재, 폐쇄 부재 및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스프링 힌지는 개개의 부품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그것을 조립하기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개개의 부품은 통상 대량 생산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조립중 각각의 부품을 정위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이들 부품의 정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 힌지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힌지의 예비 조립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과도 연관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제1 실시예의 스프링 힌지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하우징에 사용될 수 있는 폐쇄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폐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폐쇄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의 스프링 힌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저면도이며,
도 8은 폐쇄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예의 스프링 힌지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따른 스프링 힌지에 사용되는 폐쇄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스프링 힌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지시된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따른 스프링 힌지와 함께 사용되는 폐쇄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하우징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힌지 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예비 조립 유닛의 조립을 위한 개개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여러 힌지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할 뿐 아니라, 스프링 힌지를 형성하는 개개의 부품을 취급하기 쉽게 하는 스프링 힌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띠형 판금재(strip material)로 힌지 부재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띠형 판금재로 형성되는 폐쇄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상기 힌지 부재가 상기 띠형 판금재에 아직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그 힌지 부재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힌지 부재가 띠형 판금재로 형성되고, 폐쇄 부재와 스프링 부재는 힌지 부재가 아직 띠형 판금재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그 힌지 부재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전에 그 부품을 검사하는 단계와 그들 부품을 상호 정렬시키는 단계가 생략된다.
또한, 띠형 판금재를 사용하는 까닭에 기계적인 절삭 가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하우징 및 힌지 부재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을 균일한 두께의 띠형 판금재로 제조하면 또 다른 장점을 얻게 된다. 즉, 띠형 판금재를 사용할 경우, 하우징의 벽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예컨대 하우징을 안경 다리에 납땜하기 위하여 유도 가열을 하는 동안 얇은 영역에서 연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예비 조립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부품들을 띠형 판금재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것들을 취급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술된 형태의 스프링 힌지는 안경 다리를 안경의 렌즈 테 부분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 스프링 힌지는 통상 안경 다리에 부착된다. 이 스프링 힌지의 힌지 부재는 안경의 렌즈 테 부분에 있는 힌지와 협동하여 안경 다리를 안경의 렌즈 테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안경 다리는 절첩된 초기 위치로부터 착용 위치로 이동되고, 또 이 착용 위치를 지나 선회될 수 있으며, 스프링 힌지의 스프링 부재가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힌지(1)는 단면도로 도시된 것으로, 예컨대 금속과 같은 변형 가능한 재료로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공정, 바람직하게는 엠보싱(embossing)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하우징(3)을 구비한다. 하우징(3)의 제조 방법은 도 16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하우징(3)은 그것의 저부(5)에서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3)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 부재(7)가 설치되며, 이 스프링 부재(7)는 힌지 부재(11)의 긴 연장부(9)에 장착된다. 연장부(9)는 코일 스프링을 관통해서 뻗어 있는 핀으로 형성되는데, 그것의 단부는 예컨대 클럼핑(crumping) 공정에 의해 확경(擴徑)되어 코일 스프링의 받침부를 형성한다. 코일 스프링, 즉 스프링 부재(7)는 상기 받침부와 반대측 단부에서 하우징(3)내에 설치된 폐쇄 부재(13)에 지지되며, 이 폐쇄 부재(13)를 통해 힌지 부재(11)가 뻗어 있다. 폐쇄 부재(13)는 완전히 하우징(3)내에 수납된다. 스프링 힌지(11)는 그것의 단부에 하우징(3)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는 힌지 아이(15; hinge eye)를 구비한다. 그 힌지 아이(15)는 안경의 렌즈 테 부분에 설치된 힌지와 협동한다. 스프링 부재(7) 및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의 저부(5)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전혀 없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오히려, 스프링 부재(7)와 폐쇄 부재(13)의 표면들은 안경 다리의 표면에 지지되어 이 표면에 예컨대 납땜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된 하우징(3)의 저면과 동평면에 있게 된다.
힌지 아이(15)와 힌지 부재(11)는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9)도 역시 힌지 부재(11)의 일부이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1)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이 갯수가 최소로 감소된다.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부재(7)를 연장부(9)상에 장착하고, 스프링이 더 이상 빠져 나갈 수 없도록 연장부(9)의 단부를 클럼핑한 후에는, 스프링 부재(7)와 힌지 부재(11)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의 저부(5)와 정렬되기 때문에, 하우징(3)이 안경 다리에 고정되면 폐쇄 부재(13)의 저면이 안경 다리의 표면상에 평탄하게 놓인다. 다른 한편으로,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의 단부 근처에서 하우징(3)의 내측면(17)에 지지된다. 즉, 스프링 힌지(1)이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가 최적으로 유지된다.
폐쇄 부재(13)는 힌지 부재(11)가 평탄하게 접하는 평활한 내측면(19)을 구비한다. 내측면(19)은 스프링 부재(7)의 편향력을 거슬러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3)내에 설치되는 힌지 부재(11)를 위한 제1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2 안내면(21)은 폐쇄 부재(13)가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힌지 부재(11)를 둘러쌈에 따라 형성된다. 제3 안내면(23)은 힌지 부재(11)의 각 표면과 접하는 폐쇄 부재(13)의 내측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힌지 아이(15)는 그것의 정지 턱(25)이 하우징(3)의 단부면(35)과 맞닿도록 크기가 정해지는데, 이에 따라 하우징의 단부면(35)은 힌지 부재(11)가 미리 부하가 가해진 스프링 부재(7)에 의해 하우징(3)의 단부쪽으로 당겨질 때 힌지 부재의 정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힌지 부재(11)가 폐쇄 부재(13)를 통해 뻗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힌지 부재의 확경된 받침부(9)에 의해 지지된 스프링 부재(7)에 의해 힌지 부재(11)에 미리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힌지 부재(11), 스프링 부재(7) 및 폐쇄 부재(13)로 이루어지는 예비 조립 유닛이 형성된다.
이러한 예비 조립 유닛은, 하우징(3)이 예컨대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안경 다리에 고정된 후, 그 하우징(3)내에 삽입된다. 폐쇄 부재(13)에는 본체에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캐치 노즈(27; catch nose)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캐치 노즈(27)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3)의 벽부에 마련된 절결부(29)내에 맞물린다. 캐치 노즈(27)의 버팀부(31)는 캐치 노즈(27)가 하우징(3)의 절결부(29)로부터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캐치 노즈(27)의 외면이 하우징(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평면에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절결부(29)는 단지 하우징(3)의 벽부에 오목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오목부내에 캐치 노즈(27)가 맞물리게 함으로써, 하우징(3)내에 폐쇄 부재(13)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절결부(29)가 하우징(3)의 벽부를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캐치 노즈(27)에 접근 가능하며, 따라서 쉽게 분해될 수 있다. 캐치 노즈(27)는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폐쇄 부재(13)의 본체와 연결된다.
도 2의 평면도로부터, 힌지 아이(15)가 하우징(3)의 단부면(35)을 벗어나 돌출되고 그 단부면(35)보다 좁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또한 캐치 노즈(27)를 수납하는 절결부(29)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절결부(29) 및 캐치 노즈(27)의 치수는 하우징(3)의 내부로 오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도록 선택된다. 이에 상응하게, 폐쇄부(13)의 치수도 오물이 하우징(3)의 단부면(35)으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도록 정해진다.
도 3은 분해된 상태의 폐쇄 부재(13)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폐쇄 부재에 있어서는 내측면(19)이 힌지 부재(11)를 위한 제1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폐쇄 부재(13)의 내측면은 제2 안내면(21)과 제3 안내면(23)도 포함하는 데, 상기 제1 안내면(19)과 제2 안내면(21), 그리고 제3 안내면(23)은 상호 협동하여 상기 힌지 부재(11)가 폐쇄 부재(13)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틈새 없이 변위되게 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3)내에서 힌지 부재(11)가 최적으로 안내된다.
도 3은 앞서 도 1을 참고로해서 논의되었던 스프링 아암(33)을 캐치 노즈(27) 및 버팀부(31)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폐쇄 부재(13)의 내부 치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부재(11)가 실질적으로 틈새 없이 안내되도록 힌지 부재(11)의 크기에 맞춰진다.
도 4에 도시된 폐쇄 부재(13)의 정면도로부터, 제2 안내면(21)과 내측면, 즉 제1 안내면(19) 사이에 대략 정방형으로 통로(37)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통로(37)를 통해 역시 이 통로에 상응한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힌지 부재(11)가 통과한다. 도 4로부터 제3 안내면(23)도 찾아 볼 수 있다. 폐쇄 부재(13)의 단부면은, 정확한 기능에 대해서 아래에서 논의될 작동면을 형성한다.
폐쇄 부재(13)의 형상은 하우징(3)의 내측 윤곽에 맞춰 형성되므로, 스프링 힌지(1)가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의 저면(39)은 안경 다리의 상부 표면상에 놓이고, 상부면(41)과 측면(43,35)은 하우징(3)의 각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프링 힌지(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에 의해 실질적으로 틈새 없이 고정적으로 하우징(3) 내부에 유지된다.
도 4로부터, 폐쇄 부재(13)가 힌지 부재(11)의 모든 면을 둘러싸서 전술된 예비 조립 유닛을 형성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폐쇄 부재(13)의 평면도로부터, 캐치 노즈(27)의 폭이 폐쇄 부재(13)의 폭보다 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치 노즈(27)를 지지하는 스프링 아암(33)은 연속된 브릿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작은 스프링 아암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대략 V자형의 2개의 스프링 아암(33)이 마련되어 있는데, 스프링 아암은 캐치 노즈(27)를 폐쇄 부재(13)의 본체와 탄성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캐치 노즈(27)는 활주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상부면을 구비하는데, 그 상부면은 스프링 부재(7), 힌지 부재(11) 및 폐쇄 부재(13)로 구성된 예비 조립 유닛을 하우징(3)의 내부에 유지시키는 스냅식 체결부와 유사한 체결부를 형성한다. 캐치 노즈(27)는 스프링 아암(33)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절결부(29)내에 유지된다.
폐쇄 부재(13)는 물론 힌지 부재(11)도 금속, 특히 니켈이 없는 금속, 양호하기로는 티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편으로 안경 착용자의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마모 손상을 최소화 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의 스프링 힌지(101)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힌지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힌지(101)는 마찬가지로 하우징(3)을 구비하며, 그 하우징내에는 폐쇄 부재(13)가 수용되어 있다. 힌지 부재(11)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7)를 통해 뻗는 연장부(9)를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7)는 폐쇄 부재(13)에 의해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에서는 힌지 부재(11)의 연장부(9)에 지지된 정지 링(47)에 의해 지지되어, 힌지 부재(7)의 자유단에 형성된 확경부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 부재(7)는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연장부(9)상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힌지 부재(11)는 힌지 아이(15)가 하우징(3) 및 폐쇄 부재(13)의 단부면쪽으로 당겨지도록 폐쇄 부재(13)안으로 당겨진다.
하우징(3)은 스프링 부재(7)나 폐쇄 부재(13)가 모두 하우징(3)의 저부(5)를 벗어나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하우징(3)이 안경 다리에, 예컨대 납땜되어 있는 경우, 폐쇄 부재(13)의 저부가 안경 다리의 표면상에 평탄하게 놓이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폐쇄 부재(13)의 상부면은 하우징(3)의 내측면(17)에 접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 힌지(101)이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내에 신뢰성있게 유지되어 힌지 부재(11)를 위한 안내부를 형성한다. 힌지 부재(11)는 그것의 면들이 스프링 부재(7) 지지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안내면(19) 및 제2 안내면(21)에 지지된다.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의 단부면(35)에 근접하여 내측에 제3 안내면(23)을 구비하는데, 이 제3 안내면은 제1 안내면(19)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안내면(19)으로부터 제3 안내면(23)까지의 거리는 제1 안내면(19)으로부터 제2 안내면(21)까지의 거리보다 멀다. 제1 안내면(19)으로부터 제3 안내면(23)까지의 거리를 더 멀게 하는 것은 힌지 부재(11)의 더 높은 높이 부분을 이 영역에 수용하기 위함이다.
힌지 부재(11)는 절곡된 부재, 즉 힌지 아이의 영역에서 고리를 형성하고 그 고리 후방으로 제3 안내면(23)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긴 와이어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예의 힌지 부재(11)는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힌지 부재(11)의 자세한 제조 방법은 도 17과 관련하여 후술된다.
도 7의 저면도로부터, 정지 링(47)이 스프링 힌지(101)의 하우징(3)의 내측면에 접하여 연장부(9)를 따라 신뢰성있게 안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폐쇄 부재(13)의 측벽은 하우징(3)의 내측면에 접하며, 이에 의해서도 또한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내에서 확실하게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 부재(13)가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폐쇄 부재(13)의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된 2개의 캐치 노즈(27a, 27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치 노즈(27a, 27b)는 하우징(3)의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절결부(29)내에 맞물린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절결부(29)는 안에 캐치 노즈(27a, 27b)가 맞물리는 오목부로 형성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절결부(29)가 측벽(21)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캐치 노즈(27a, 27b)는 그 외측면이 하우징(3)의 외측면과 일치하게 체결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 힌지(101)의 시각적 외관이 나빠지지 않으며, 폐쇄 부재(13)의 분해를 위해 용이하게 캐치 노즈에 접근할 수 있다. 캐치 노즈(27a, 27b)는 스냅식 체결부로서 절결부(29)내에 맞물린다. 스프링 아암(33)의 체결 작용은 캐치 노즈(27a, 27b)가 절결부(29)내에서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캐치 노즈(27a, 27b)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7)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보조된다. 안경 다리가 과도하게 신장될 경우, 스프링 부재의 편향력을 거슬러 하우징(3)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 힌지(101)는 하우징(3)의 밖으로 당겨지며, 스프링 부재(7)는 압축된다. 이에 의해, 캐치 노즈(27a, 27b)의 체결 고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이 상승되므로, 스프링 힌지(101)에 부하가 걸릴 때 폐쇄 부재(13)가 하우징(3)내에 걸쇠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폐쇄 부재(13)의 저부가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폐쇄 부재(13)는 스프링 아암(33)을 형성하는 2개의 슬릿(53)만을 구비하며, 스프링 아암(33)은 캐치 노즈(27a, 27b)를 폐쇄 부재(13)의 잔여부에 연결한다.
도 8에는 폐쇄 부재(113)의 간단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폐쇄 부재(113)는 하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힌지 부재(11)가 도 6에 도시된 제2 안내면(21) 및 제3 안내면(23)과 유사한 안내면에 의해, 그리고 폐쇄 부재를 지지하는 안경 다리의 상부면에 의해 안내된다.
도 8의 폐쇄 부재(113)의 저면 사시도로부터, 캐치 노즈(27a, 27b)의 형상을 명확히 알 수 있는데, 이들 캐치 노즈(27a, 27b)의 외측면은 쐐기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전술된 스냅식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편, 캐치 노즈가 스프링 아암(33)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다.
폐쇄 부재(113)의 저면(39)이 편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저면은 안경 다리의 표면상에 평탄하게 놓여져 힌지 부재(111)를 위한 최적의 안내를 보장한다.
도 1 및 도 6의 스프링 힌지는, 조립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폐쇄 부재의 캐치 노즈에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힌지 부재, 스프링 부재 및 폐쇄 부재로 구성되고 하우징(3)을 안경 귀걸이의 표면상에 설치한 후 하우징내에 수납된 예비 조립 유닛이 필요에 따라 수시로 재분해될 수 있다는 점에 관한한 서로 일치한다.
도 9는 스프링 힌지(20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스프링 힌지(201)도 하우징(3), 하우징(3)내에 수납된 스프링 부재(7) 및 역시 하우징(3)내에 수납된 힌지 부재(11)를 포함한다. 힌지 부재(11)는, 한편으로는 연장부(9)를, 다른 한편으로는 연장부(9)에 일체로 연결된 힌지 아이(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힌지 부재(11)는 그 힌지 부재를 적어도 U자형으로 둘러싸는 폐쇄 부재(13)내로 연장된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전술된 하우징과는 다르게 스프링 부재(7), 힌지 부재(11) 및 폐쇄 부재(13)로 구성되어 하우징내에 수납된 조립 유닛을 둘러싸는 저부(5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폐쇄 부재(13)는 하우징(3)에 있는 절결부(29)내에 맞물리는 캐치 노즈(27)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절결부(29)가 저부(55)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201)를 안경 다리에 설치한 후에는 캐치 노즈(27)에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하우징(3)의 내부는 먼지 및 납땜시에 생길 수 있는 오물로부터 보다 양호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역시, 스프링 부재(7)는 정지 링(47)에 의해 연장부(9)상에 고정되며, 연장부(9)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정지 링(47)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 부재(11)는 그것의 저면이 제1 안내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저부(55)의 내측면상에 평탄하게 놓인다. 스프링 부재(7) 근처에 제2 안내면(21)이 형성되며, 하우징(3)의 단부면 근처에 제3 안내면(23)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힌지 부재(11)가 폐쇄 부재(13)를 통해 확실하게 안내된다. 폐쇄 부재(13)의 내부 치수는 그 폐쇄 부재(13)내에서의 힌지 부재의 최적의 측방 안내가 보장되도록 힌지 부재(11)의 치수에 맞춰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의 단부면과, 역시 정지면(25)을 형성하는 힌지 아이(15)와의 사이에는 하우징 단부면에서의 오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폐쇄판(5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의 저면도로부터, 힌지 부재(11)가 하우징(3)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3)의 벽부를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된 절결부(29)도 또한 명확히 볼 수 있는데, 이 절결부(29)는 사방으로 캐치 노즈(27)를 둘러싼다.
도 11은 폐쇄 부재(13)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캐치 노즈(27)를 폐쇄 부재(13)의 본체에 연결시키는 스프링 아암(33)을 명확히 볼 수 있다. 스프링 아암(3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59)에 의해 분리된 폐쇄 부재의 측벽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도 11은 폐쇄 부재(13)에 비드부(61)가 마련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비드부(61)는 하우징(3)의 단부면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고, 경우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폐쇄판(57)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에서는, 폐쇄 부재(13)가 힌지 부재(11)의 정지면을 형성하고 그것의 내부에서 힌지 부재(11)를 양호하게 안내한다.
스프링 아암(33)은 활주 경사면(63)으로 형성된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프링 부재(7)는 본 실시예의 경우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추가의 편향력을 상기 활주 경사면에 가하여 캐치 노즈(27)를 그것의 체결 고정 위치로 변위시킨다. 힌지 부재(11)의 축방향으로 도 9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프링 부재(7)가 높은 편향력을 캐치 노즈(27)에 가하여 캐치 노즈가 하우징(3)의 저부(57)에 있는 절결부(29)내에 보다 양호하게 고정되게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 노즈(27)의 폭이 잔여 폐쇄 부재(13)보다 좁게 될 수 있다. 반면에, 비드부(61)의 폭이 폐쇄 부재(13)의 폭을 초과함으로써 하우징(3)을 폐쇄하고, 하우징(3)의 단부에서 하우징의 횡단면상의 주행면이 증가된다.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모두 변형 가능한 재료, 적합하게는 디프 드로잉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폐쇄 부재 및 힌지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예컨대 티탄과 같은 니켈이 없는 금속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3은 역시 저부(55)를 가진 하우징(3)을 포함하는 스프링 힌지(301)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내에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부재(7)가 배치되며, 이 스프링 부재(7)는 힌지 부재(11)의 연장부(9)상에 장착되고, 정지 링(47)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측에 설치된 확경부에 의해 유지된다. 정지 링(47)은 제1 정지면을 형성하며, 폐쇄 부재(213)는 제2 정지면을 형성한다.
힌지 부재(11)는 연장부(9) 이외에도 하우징(3)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힌지 아이(15)를 포함하는데, 힌지 아이(15)의 치수는 하우징(3)의 단부면에 접하는 정지면(25)이 형성되도록 그 치수가 정해진다. 스프링 부재(7)는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하에 있기 때문에, 힌지 아이(15)는 하우징(3)의 단부면에 가압된다. 하우징(3)의 저부(55)는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부로서 형성되는 절결부(29)를 구비한다. 이러한 절결부(29)내에는 폐쇄 부재(213)의 캐치 노즈(27)가 맞물리며, 폐쇄 부재(213)는 절곡된 판금 부재로서 형성된다. 폐쇄 부재(213)는 힌지 부재(11)가 스프링 부재(7)의 힘을 거슬러 수평으로 변위되게 하기 위한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폐쇄 부재(213)는 관통부(65)를 구비하며, 관통부(65)의 주면(周面)은 힌지 부재가 변위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도록 연장부(9)의 윤곽에 맞춰 형성된다.
폐쇄 부재(213)는 그 상부면이 하우징(3)의 내측면(17)상에 평탄하게 접하는 한편, 저부는 하우징의 저부(55) 내측면에 편평하게 놓이며, 이에 의해 폐쇄 부재(213)가 하우징(3)내에 최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13에 지시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인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 부재(213)의 외측면들이 모두 하우징(3)의 각 내측면상에 위치하여 폐쇄 부재(213)의 모든 측면이 하우징(3)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에 따라 폐쇄 부재(213)는 하우징(3)내에 확실히 수용된다. 저부(55)에 2개의 측부 아암(67, 69)을 구비하는데, 이들 측부 아암의 내측면이 힌지 부재(11)를 위한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폐쇄 부재(213)의 저면(39)은 하우징(3)의 저부(55)상에 평탄하게 놓임으로써 힌지 부재(11)의 적절한 안내를 보장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폐쇄 부재(213)의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측부 아암(67, 69)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측부 아암(67, 69)의 서로를 향한 내측면은 힌지 부재(11)의 외측면에 접하여 안내면을 형성한다. 도 15는 또한 연장부(9)가 통과하여 돌출되는 관통부(65)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관통부(65)의 내측면은 연장부(9)를 위한 안내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치 노즈(27)는 폐쇄 부재(213)를 하우징(3)내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미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힌지 부재(11)는 힌지 아이(15) 및 스프링 부재(7)가 장착되는 연장부(9)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재(7), 힌지 부재(11) 및 폐쇄 부재(213)는 하우징(3)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는 예비 조립 유닛을 형성한다.
하우징(3)이 저부(55)를 구비하는 실시예들에서는, 하우징을 안경 다리에 장착하기 이전에 스프링 부재, 힌지 부재 및 폐쇄 부재로 이루어진 예비 조립 유닛이 하우징(3)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예비 조립 유닛이 하우징(3)에 삽입된 후, 그 스프링 힌지 조립체는 적절한 방식으로 안경 다리에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 힌지 조립체가 갖는 스프링 특성 때문에, 스프링 힌지 조립체를 안경 다리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접착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하우징과 안경 다리 사이를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부착할 경우에는, 예비 조립 유닛이 나중에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폐쇄 부재가 폐쇄 부재의 주행면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납땜열 또는 용접열을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213)의 실시예에서는, 측부 아암(67, 69)과 캐치 노즈(27) 사이의 천이 영역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활주 경사면(71)이 마련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폐쇄 부재(213)의 아암(73)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7)로 인하여 아암(73)이 활주 경사면(71)에 맞대어 가압되므로, 캐치 노즈(27)를 하방으로 그것의 체결 고정 위치로 가압시킨다. 다시 말해서, 안경 다리에 과부하가 걸려 스프링 부재(1)의 편향력이 증대되면, 활주 경사면(71)에 의해 캐치 노즈(27)의 체결 고정 작용도 향상된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301)의 실시예는 폐쇄 부재(213)를 특히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경우 폐쇄 부재(213)의 상부면(41)이 하우징(3)의 내측면에 확실히 접하는 한편, 측부 아암(67, 69)의 하부면(39)이 하우징(3)의 저부의 내측면에 평탄하게 놓인 상태로(도 13 참조), 폐쇄 부재(213)가 하우징(3)내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폐쇄 부재(213)가 하우징(3)내에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폐쇄 부재(213)가 박판 부재로서 형성되어 매우 저렴하게 제조되더라도, 힌지 부재(11)의 최적의 안내가 보장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 힌지 부재 및 폐쇄 부재로 구성된 예비 조립 유닛이 저부를 가진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이 하우징의 저부에 폐쇄 부재의 캐치 노즈를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하우징을 안경 다리에 장착한 후에는 외부로부터 캐치 노즈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예비 조립 유닛을 빼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사전에 조립된 예비 조립 유닛으로 스프링 힌지를 형성하고 그 스프링 힌지를 안경 다리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힌지의 예비 조립 유닛이 안경 다리에 장착되기 전에는 캐치 노즈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유닛을 하우징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경우에도, 스프링 힌지의 예비 조립 유닛의 단순한 구조는 안경 다리에 고정된 또는 고정 가능한 하우징내에 그것을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고 폐쇄 부재가 하우징내에 확실하게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함과 동시에, 힌지 부재가 하우징 내에서 최적으로 변위될 수 있게 보장한다. 또한, 폐쇄 부재에는 납땜 또는 용접 중의 템퍼링(tempering)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는 지지면이 마련된다.
모든 경우, 간단하게 제조되는 스탬핑 부재가 하우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폐쇄 부재가 하우징의 3개 이상의 측면중 하나 이상을 둘러싸는 한편, 하우징의 4번째 측면이 안경 다리의 측면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오물은 물론 래커 또는 연마제가 하우징의 내부에 침입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 힌지의 매우 높은 기능성이 보장된다. 하우징의 단부면도 또한 폐쇄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될 뿐 아니라, 하우징이 안경 다리상에 평탄하게 놓여지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함이 없이 오물로부터 보호되는 스프링 힌지가 제공된다. 또한, 힌지 부재를 위한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폐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부재를 위한 복잡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가 절감된다.
도 16은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7개의 단계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원자재로서, 예컨대 티탄과 같은 니켈이 없는 금속인 것이 적합한 띠형 판금재(481)가 사용된다. 띠형 판금재(481)의 두께는 제조될 하우징의 예정된 최대 벽 두께에 해당한다.
우선, 제1 단계(I)에서는, 재단 또는 펀칭에 의해 초기면(483)을 형성한다. 이러한 초기면(483)은 절곡된(folded) 하우징의 면보다 다소 크다.
제2 단계(II)에서는, 초기면(483)의 중앙 영역을 스탬핑 공정, 예컨대 드로잉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485)을 성형한다. 이에 따라, 측벽(485)과 하우징 상부(487)로 이루어지는 U자형 횡단면부가 형성된다. 초기면(483)의 드로잉되지 않은 양 측부 영역은 날개부(489)를 형성한다. 하우징의 상부(487)를 전방측 단부(S)로부터 반대쪽 단부(H)를 향해 경사지도록 성형함으로써(도 1 참조), 측벽(485)은 중앙 영역 및 후방 영역(M 내지 H)에서보다 전방 단부 영역(S)에서 더 높게 된다. 이에 상응하여, 날개부(489)도 전방 단부 영역(S)에서 보다 중앙 영역(M)에서 더 넓게 된다.
날개부(489)의 불균일한 윤곽은 제3 단계(III)에서 교정된다. 동시에, 날개부(489)에는 하우징의 종축선에 대해 면대칭으로 노치(49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날개부(489)의 교정 및 노치(491)의 형성은 스탬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적합하다. 제3 단계(III)에서는, 또한 양 날개부(489)를 후방 영역(H)에서 위쪽으로 절곡하여 후방 하우징 벽(493)으로부터 하우징 측벽으로 깔끔하게 이행하는 천이 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의 제4 단계(IV)에서는, 양 날개부(489)를 하우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윗쪽으로 절곡하며, 이에 따라 이들 날개부(489)가 각각 측벽(485)과 동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제5 단계(V)에서는, 전방 단부 영역(S)을 띠형 판금재(481)로부터 절단하여 하우징이 후방 하우징 벽(493)에서만 띠형 판금재(481)에 연결되도록 한다. 전방측에 있는 스탬핑된 연부(495) 보다 더 내측에서 전방측 단부 영역(S)을 절단함으로써, 이 단부 영역(S)에 하우징 내부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6 단계(VI)에서는, 측벽(485)을 예정된 상태로 정렬하고 날개부(489)를 절곡시키기 위한 절곡 가공용 심봉(bending mandrel)을 전술된 개구부내에 삽입한다. 도 16에 표시된 화살표(P)는 날개부(489)만이 아니라 측벽(485)도 압력을 받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내측으로 절곡된 날개부(489)는 하우징의 저부를 형성하며, 이때 양 노치(491)는 폐쇄 부재의 캐치 노즈를 수납하기 위한 절결부를 함께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제7 단계(VII)에서, 완성된 하우징을 얻기 위해 단지 띠형 판금재(481)와 후방 하우징 벽(493) 사이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작업만을 수행하면 된다.
도 17은 전술된 도 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부재(11)의 제조 방법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을 제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띠형 판금재(481)가 제조 원자재로 사용된다. 예컨대 티탄과 같은 니켈을 함유하지 않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우선, 제1 단계(I)에서 힌지 부재의 기본 외형을 재단한다. 이때, 연장부(9) 및 추후 연장부(9)에 연접하여 힌지 아이를,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형성할 영역(497)의 적어도 일부의 기본 윤곽을 재단해 낸다. 즉, 힌지 부재(11)는 이 영역(497) 및 이 영역과 반대쪽의 연장부(9) 단부에 의해 띠형 판금재(481)에 연결된다.
물론, 빗금으로 나타낸 절단 영역이 띠형 판금재의 연부까지 확대되어 재단된 힌지 부재(11)가 한쪽에서만 띠형 판금재(481)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단계(II)에서는, 예컨대 2개의 반원형 스탬핑 다이를 상응하게 상호 작용시킴으로써 연장부(9)에 필요한 둥근 단면 형상을 부여한다.
제3 단계(III)에서는, 2개의 인접한 연장부(9) 사이에 있는 금속 스트립을 예컨대 펀칭 다이로 절단한다.
제4 단계(IV)에서는, 연장부(9)와 띠형 판금재(481) 사이의 연결부를 완전히 절단한다. 동시에, 상기 영역(497)에 예컨대 펀칭 다이로 힌지 아이(15)를 형성한다.
제5 단계(V)에서는, 힌지 아이(15)를 비롯한 영역(497)을 성형하고, 힌지 부재(11)를 띠형 판금재(481)로부터 절단한다. 이 작업도, 펀칭 다이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술된 폐쇄 부재(13)도 스탬핑 공구와 펀칭 공구, 그리고 절곡 공정을 사용하면 하우징 및 힌지 부재와 유사한 방식으로 금속제 띠형 판금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예컨대 티탄과 같은 니켈이 없는 금속, 예컨대 티타늄재 띠형 판금재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6 및 도 17, 두 도면과 관련된 설명으로부터, 전술된 부재들의 제조가 매우 간단하며, 이에 따라 매우 비용 절감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우징 및 힌지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값비싼 형상재가 더 이상 불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값비싼 형상재를 연속해서 절삭하는 기계 가공도 전술된 제조 방법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8은 스프링 힌지용 예비 조립 유닛의 조립 방법을 6 단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비 조립 유닛은 도 1 내지 17과 관련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힌지 부재(11), 폐쇄 부재(13) 및 스프링 부재(7)를 구비한다.
제1 단계(I)와 제2 단계(II)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17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띠형 판금재(481)로 힌지 부재(11)를 제조한다. 도 18은 최초 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연장부(9)가 스탬핑 다이(501)에 의해 둥근 단면 형상을 얻게 되는 것을 제2 단계(II)에 다시 한 번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제3 단계(III)에서는, 힌지 부재(11)상에 폐쇄 부재(13)를 장착한다. 이어서, 제4 단계(IV)에서 스프링 부재(7)를 연장부(9)상에 장착하고, 추후 슬리브(503)를 끼워 스프링 부재를 고정시킨다(제5 단계(V)). 제6 단계(VI)에서는, 슬리브(503)가 고정되도록 연장부(9)의 단부를 압착한다. 압착에 의해 형성된 평평한 면은 X로 도시되어 있다.
예비 조립 유닛이 이 처럼 조립되고 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아이를 포함한 영역을 띠형 판금재(481)로부터 절단하여 예비 조립 유닛을 띠형 판금재(481)로부터 분리하는데, 이 공정 역시 제6 단계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전술된 예비 조립 유닛은 분리된 예비 조립 유닛에 비해 양호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띠형 판금재(481)에 고정된 채 유지될 수도 있다.
예비 조립 유닛이 단지 힌지 부재(11)와 스프링 부재(7)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8에 도시된 제3 단계(III)는 생략 가능하다. 이 예비 조립 유닛은 도 19a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 대신에, 예컨대 체결 블록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링(502)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링(502)은 도 19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는 스프링 부재 및 폐쇄 부재와 함께 예비 조립 유닛을 형성하는 힌지 부재가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그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폐쇄 부재가 스냅식 체결 고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 조립 유닛은 삽입시 힌지 부재의 조립에 많은 비용이 들게 하는 추가의 결합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우징에 체결 고정된다.
조립이 간단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힌지 부재가 전체적으로 폐쇄 부재를 통해 안내되기 때문에, 힌지 부재의 매우 정확한 안내가 실현된다. 도 8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실시예에서도, 폐쇄 부재를 U자형 부재로 성형하고 그 힌지 부재가 스프링 힌지가 장착되는 안경 다리의 표면에 평탄하게 접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힌지를 확실하게 안내하는 것이 실현된다. 즉, 후자의 경우에도, 힌지 부재의 모든 측부에서 힌지 부재를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폐쇄 부재의 길이 L, 높이 H 및 폭 B의 기하학적 변수가 L 〉H 〉B의 관계를 만족하면, 힌지 부재의 특히 양호한 안내가 보장된다. 이러한 치수 선정에 의해, 한편으로는 조립된 하우징내에 폐쇄 부재가 확실하게 유지하여 하우징 내에서의 폐쇄 부재의 틈새 없는 장착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바로 이와 같이 스프링 힌지에서 폐쇄 부재가 확실하게 유지됨에 의해, 그리고 힌지 부재의 변위 동작이 폐쇄 부재내에서 틈새 없이 안내됨에 의해 힌지 부재의 매우 양호한 안내가 보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지는 스탬핑에 의해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비 조립 유닛을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탬핑된 하우징을 구비하면서도, 본 발명이 있기까지는 매우 높은 제조비를 들여야만 달성될 수 있었던 높은 기술적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지의 비용 효율적인 제조는 폐쇄 부재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 스프링 힌지 하우징에 특별한 안내 장치가 생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제까지 힌지 부재를 하우징내에 유지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해왔던 특별한 체결 고정 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띠형 판금재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절삭 가공없이 힌지 부재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이 힌지 부재가 금속 밴드에 연결된 상태로, 그 힌지 부재와 함께 스프링 부재 및 폐쇄 부재를 포함한 예비 조립 유닛을 조립하므로, 소형 부품의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공정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더욱 절감될 수 있다.

Claims (7)

  1. 하우징과 힌지 부재 및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스프링 힌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힌지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띠형 판금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힌지 부재의 형상에 거의 상응하는 영역을 재단(裁斷)하는 단계와, 스탬핑에 의해 원형 횡단면을 갖도록 성형함으로써 힌지 부재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힌지 부재의 힌지 아이를 펀칭하는 단계, 그리고 힌지 부재를 띠형 판금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2.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 성형 방법으로서, 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띠형 판금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띠형 판금재의 일정 영역을 재단해내는 단계와, 재단된 영역을 드로잉에 의해 성형하여 하우징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재단된 영역 측부의 날개부를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날개부를 절곡하여 하우징 저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성형된 하우징을 띠형 판금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성형 방법.
  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판금재는 두께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성형 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가 아직 띠형 판금재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힌지 부재에 스프링 부재를 장착하여 예비 조립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유닛은 폐쇄 부재와 고정 링 중 하나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스프링 부재를 상기 힌지 부재에 장착하기 전에 상기 폐쇄 부재와 고정 링 중 하나를 상기 힌지 부재에 장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유닛이 조립된 후 상기 힌지 부재를 상기 띠형 판금재로부터 절단해내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유닛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KR1019960706744A 1995-04-27 1997-04-24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KR0157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5495.9 1995-04-27
DE19515495A DE19515495A1 (de) 1995-04-27 1995-04-27 Federscharnier
PCT/EP1996/001697 WO1996034308A1 (de) 1995-04-27 1996-04-24 Federscharn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873A KR970700873A (ko) 1997-02-12
KR0157759B1 true KR0157759B1 (ko) 1999-03-20

Family

ID=776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744A KR0157759B1 (ko) 1995-04-27 1997-04-24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22840A (ko)
EP (1) EP0823066B1 (ko)
JP (1) JP3423321B2 (ko)
KR (1) KR0157759B1 (ko)
CN (2) CN1073710C (ko)
AT (1) ATE190411T1 (ko)
DE (2) DE19515495A1 (ko)
ES (1) ES2143198T3 (ko)
HK (1) HK1004426A1 (ko)
WO (1) WO1996034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7817C2 (de) * 1995-12-20 1998-02-19 Obe Werk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illenscharniers
DE10042016A1 (de) * 2000-08-26 2002-03-21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DE10106337A1 (de) * 2000-12-06 2002-07-0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für Brillen
WO2002046831A1 (de) * 2000-12-06 2002-06-13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für brillen
DE10128383A1 (de) * 2001-06-06 2003-02-27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DE10204821A1 (de) * 2002-02-01 2003-08-1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ATE361483T1 (de) 2002-02-22 2007-05-15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für brillen
KR20030096609A (ko) * 2002-06-17 2003-12-31 박상우 안경용 힌지부재의 제조방법
CN1308731C (zh) * 2003-09-10 2007-04-04 黄陈才 眼镜架弹性铰链及其制造方法
EP1803028B1 (de) * 2004-09-17 2012-03-21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einer brille
DE102004045202A1 (de) * 2004-09-17 2006-04-06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Federscharnier einer Brille
US7802365B2 (en) * 2004-09-29 2010-09-28 Ged Integrated Solutions, Inc. Window component scrap reduction
CN100434231C (zh) * 2006-06-20 2008-11-19 黄秉共 弹性眼镜脚用弹簧芯子的制作方法
ITUD20070060A1 (it) * 2007-03-22 2008-09-23 Visottica Ind Sp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erniera per occhiali, e cerniera cosi' realizzata
AT504437B8 (de) * 2007-05-02 2008-09-15 Redtenbacher Produktions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arnierelementes für ein federscharnier einer brille
TW201006362A (en) * 2008-07-25 2010-02-01 Jarllytec Co Ltd Micro hinge, it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EP2597507B1 (en) * 2011-08-04 2017-03-22 Elegance Optical (Shenzhen) Limited Elastic hinge of quick change temple bar for glasses
JP5803737B2 (ja) * 2012-02-27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扁平パイプの製造方法
ITTV20120133A1 (it) * 2012-07-18 2014-01-19 Ideal Srl Cerniera a molla per occhiali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56A (en) * 1890-12-16 George p
US3588990A (en) * 1969-01-16 1971-06-29 Ibm Manufacturing technique of self-punch and self-clinch component assembly
US3691601A (en) * 1971-03-26 1972-09-19 Oherg Mfg Co Inc Method of making hose clamps
DE2342314A1 (de) * 1973-08-22 1975-02-27 Bernd Schuessler Verfahren zur automatischen zufuehrung der metalleinlagen in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brillenbuegeln
US4283811A (en) * 1978-08-03 1981-08-18 George Peter J Improved knuckle hinge
GB2093906B (en) * 1981-03-04 1985-02-20 Ryswyk Henricus Johannes Van Method of making articles comprising two components hinged one to the ohter
IT1153157B (it) * 1982-07-30 1987-01-14 Piero Consolati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una cerniera elastica per occhiali
DE3414641A1 (de) * 1984-04-18 1985-10-24 Artur 7250 Leonberg Weiss Brillengestell mit am brillenrahmen schwenkbar angeordneten brillenbuegeln
FR2641382A1 (fr) * 1989-01-04 1990-07-06 Malfroy Jean Yves Charniere elastique pour branche de monture de lunettes
DE4008086A1 (de) * 1989-11-04 1991-09-19 Obe Werk Kg Federscharnier fuer brillen
DE9114917U1 (ko) * 1991-11-30 1993-03-25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DE9306387U1 (ko) * 1992-07-27 1993-07-08 Obe-Werk Ohnmacht & Baumgae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De
US5400090A (en) * 1993-12-29 1995-03-21 Chau-Chen Industry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glasses temple with a glasses frame
DE4415307C2 (de) * 1994-04-30 1998-02-19 Obe Werk Kg Federscharnier für Brillen, mit einem Gehäuse
DE4415308C1 (de) * 1994-04-30 1995-11-09 Obe Werk Kg Federscharn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710C (zh) 2001-10-24
JPH11504132A (ja) 1999-04-06
KR970700873A (ko) 1997-02-12
CN1166879A (zh) 1997-12-03
EP0823066A1 (de) 1998-02-11
DE59604605D1 (de) 2000-04-13
ES2143198T3 (es) 2000-05-01
DE19515495A1 (de) 1996-10-31
HK1004426A1 (en) 1998-11-27
EP0823066B1 (de) 2000-03-08
WO1996034308A1 (de) 1996-10-31
ATE190411T1 (de) 2000-03-15
CN1281996A (zh) 2001-01-31
JP3423321B2 (ja) 2003-07-07
US5822840A (en)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759B1 (ko) 스프링 힌지 제조 방법 및 그 스프링 힌지용 하우징의 성형방법
US7543931B2 (en) Glasses frame
JP2843260B2 (ja) ばねヒンジ装置
US5791015A (en) Eyeglass hinge
KR100209185B1 (ko) 스프링 힌지
US5760869A (en) Eyeglasses frame with spring hinges
US6952859B2 (en) Spring hinge
US6892422B2 (en) Spring-loaded hinge
JPH1013315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US5710614A (en) Auxiliary clip-on frames for spectacles
US5983669A (en) Spring for earring clip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489452B1 (en) Screwless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JP2001154156A (ja) メガネフレーム
EP1726985A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JP3451365B2 (ja) 眼鏡枠
KR200168091Y1 (ko) 안경용 힌지 조립구조
JP3020337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バネ蝶番ツルへの装飾部品の取着構造
JP3001750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100274813B1 (ko) 금속 안경다리
JP3130221B2 (ja) 電磁継電器
JPH0676925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バネ付き蝶番
JP3004260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3103511U (ja) 眼鏡用丁番構造及びこの丁番構造を備えた眼鏡
JP3002594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015

Effective date: 200007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