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496B1 -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 Google Patents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496B1
KR100217496B1 KR1019970015132A KR19970015132A KR100217496B1 KR 100217496 B1 KR100217496 B1 KR 100217496B1 KR 1019970015132 A KR1019970015132 A KR 1019970015132A KR 19970015132 A KR19970015132 A KR 19970015132A KR 100217496 B1 KR100217496 B1 KR 10021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cover
elastic member
base en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728A (ko
Inventor
미노루 미타무라
Original Assignee
쿠로다 이치로
아이텍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로다 이치로, 아이텍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로다 이치로
Publication of KR97007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이 템플의 탄성부재 수납부의 선단측과 커버의 접촉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다. 2부분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이 상기 판 스프링의 2개의 개방 선단중 하나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저면 상의 단차와 맞물린 채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에 더 인접한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커버의 오목부 내에 수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를 향해 활주되어 미끌어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정상 사용 위치에서, 상기 커버의 기저 단부측 상의 외측 단부면은 림의 선단면과 접촉된다. 상기 템플이 정상 사용 위치를 넘어 더 전개되면, 상기 커버는 림의 선단면에 의해 눌려,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템플의 안내부재를 따라 선단을 향해 활주한다.

Description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Eyeglasses Frame with Spring Hinges}
본 발명은 안경의 착용자가 안경테의 템플(temple) 각각을 그 자신의 머리부분과 접하는 위치를 넘어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착용감을 개선하는 한편 각각의 힌지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경의 착용자가 탄성력에 대항하여 정상 사용 위치를 넘어 각각의 템플을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힌지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힌지 본체가 스프링 기구와 일체화되어, 힌지 본체 자신이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참조: 일본 특허공고 제 6-64264호(1994)]. 이러한 스프링 힌지에서는, 림(rim)측 나비편(leaf)이 림에 고정되는 한편, 템플측 나비편은 템플의 기저 단부 상에 제공된 안내홈에 의해 템플 상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에 대해 멈춤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블록체가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 내에 삽입됨으로써, 템플이 탄성력에 대항하여 템플측 나비편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힌지를 조립시에는, 상기 힌지 본체의 템플측 나비편은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와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이 그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부로 도입된다. 상기 블록체는 그것의 돌기가 템플의 안내홈 내부에 형성된 노치(notch) 내부와 맞물리고 노치에 고정되도록 삽입된다. 그후, 템플측 나비편과 림측 나비편과 연결됨으로써 힌지가 완성된다.
이러한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는, 스프링 기구와 일체화된 힌지 본체가 템플의 기저 단부 및 림과 서로 연결되어,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자세가 소정의 위치가 되도록 연결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한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는,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자세가 복잡한 스프링 기구 부품의 가공 정밀도와 납땜 위치 정밀도에 의해 쉽게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동가능성은 납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되어야 하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더우기, 이러한 스프링 힌지의 조립과정은 근본적으로 번거로운 과정으로, 작업효율을 떨어뜨린다.
더우기, 블록체가 삽입되어 고정된 이후에는, 블록체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블록체가 고장난 경우에는 힌지를 수리하기가 어렵다. 각각의 코일 스프링을 서로 다른 탄성력을 지닌 코일 스프링으로 교체함으로써 착용자가 적절한 착용감을 얻도록 하기 위해 안경의 조절에 대한 요구가 있었지만, 이러한 요구사항은 충족될 수 없었다.
템플의 개폐 방향에서, 상기 힌지 본체는 림과 템플 간의 연결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한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는, 힌지 본체가 스프링 기구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갖는 스프링 기구가 힌지에 대한 연결부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힌지 주위의 부분의 두께가 증가되고 폭도 증가되어, 안경의 디자인에 제약을 받게 된다. 템플의 전방측에 장식을 설치하기 위한 요구 또한 있었지만, 내측에 제공된 스프링 기구 때문에, 외측 상에 입체적인 장식을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지녀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정상적인 사용 위치의 자세로 있는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더 전개된 위치에 있는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a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c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저면도,
도 3d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4a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c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저면도,
도 4d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조립된 상태로부터 커버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사용 위치의 자세로 있는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더 전개된 위치에 있는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a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b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c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저면도,
도 7d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8a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평면도,
도 8b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c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저면도,
도 8d는 조립되기 전의 제 2 실시예의 템플을 나타낸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힌지 본체 2a,2b : 나비편
4 : 나사 6 : 림
8 : 템플 16 : 코일 스프링
18 : 판 스프링 20 : 커버
26 : 접촉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템플의 기저 단부와 그것과 연결되는 림의 선단 사이에 간극을 지니면서 템플을 림에 연결하는 힌지 본체와, 템플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외측 단부면과 연통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의 측부가 안내부재로 작용하도록 탄성부재를 수납하는 탄성부재 수납부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개구를 폐쇄하고, 그것의 측부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안내부재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며, 탄성부재 수납부의 개구에 대향한 표면 상의 그것의 선단측에 상기 탄성부재를 위한 접촉면을 지녀,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템플 자세에서 기저 단부 상의 외측 단부면이 림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하는 커버와, 커버가 템플의 기저 단부를 향해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부재 수납부 내의 선단측과 커버의 접촉면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또는 주름진 판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제조되거나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템플과 림이 힌지 본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한편, 템플이 탄성력에 대항하여 정상 사용 위치를 넘어 더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가 템플의 기저 단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를 덮는 커버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림에 대해 눌려진다. 따라서,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템플과 림은 힌지 본체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템플과 림에 대한 나비편 각각의 납땜 위치 정밀도가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템플의 변동가능성이 억제될 수 있어, 조립과정에 대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는 장식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를 교체함으로써,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멈춤수단의 제 1 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개구의 저면에 형성되어 더 높은 기저 단부측을 제공하는 단차와, 커버의 기저단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개방 선단중 하나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개구의 저면 상의 단차와 맞물린 채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에 더 인접한 일측이 개방되도록, 2부분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의 오목부 내에 수납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멈춤수단을 구비한 힌지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상기 템플의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수납되어, 판 스프링이 기저 단부측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의 오목부 내에 수납되고, 조립과정 중에 상기 커버는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활주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개방 선단의 하나가 상기 단차와 맞물릴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따라서, 상기 힌지는 조립하기가 극히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차와 맞물린 판 스프링의 일단을 외부에서 누르기 위해 삽입되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 내의 단차 주위의 저부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탄성부재 및 판 스프링이 상기 템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지보수시, 상기 핀이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을 밀어 그것을 상기 단차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커버를 상기 템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멈춤수단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개구의 저면 상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와, 상기 커버의 기저단측 상에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용 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멈춤수단을 구비한 힌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템플의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수납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안내부재를 따라 활주되어 상기 커버의 접촉면이 상기 나사구멍을 통과할 때까지 밀어넣어지며, 조립과정 중에 상기 나사는 상기 접촉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힌지는 조립하기가 극히 용이하다. 간단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기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템플을 상기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간단한 구조를 지녀, 조립이 용이하고, 그 결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유지보수가 간단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안경테의 절반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정상 사용 위치의 자세로 있는 템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더 전개된 상태의 템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d는 조립되기 전의 커버를 나타내며, 도 4a 내지 도 4d는 조립되기 전의 템플을 나타낸 것이다.
힌지 본체(2)는 나사(4)에 의해 서로 연결된 나비편(2a, 2b)으로 이루어지며,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나비편(2a, 2b)은 림(6)의 내측과 템플(8)의 기저 단부에 각각 납땜된다. 림(6)에 더 근접한 템플(8)의 일측을 기저단측이라 부른다. 도 2a에 도시된 정상 사용 위치에 있어서 림(6)과 템플(8)의 기저 단부의 단부면(6a, 8a) 사이에 간극이 주어지도록, 힌지 본체(2), 림(6) 및 템플(8)의 납땜 위치가 설정된다.
도 4a∼도 4d에 도시된 것 같이, 기저 단부면(8a)과 연통하는 개구(10)가 템플(8)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제공된다[힌지 본체(2)와 연결된 측면을 내측이라 부르며, 그 반대측을 외측이라 부른다]. 코일 스프링(16)과 판 스프링(18)을 수납하는 탄성부재 수납부인 개구(10)에는 더 높은 기저 단부측을 제공하기 위한 단차(12)가 그것의 저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10)의 내측면에는 커버(20)에 대한 안내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10)에는 그것의 저면에 구멍(22)이 제공되어, 외부에서 판 스프링(18)의 개방 선단중 하나를 누르기 위한 핀이 삽입됨으로써,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 같이 판 스프링(18)을 단차(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측면에 홈(24)이 형성된 커버(20)는 템플(8)의 기저 단부면(8a)에 제공된 개구(1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재(14)에 의해 안내되어, 템플(8)의 기저 단부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커버(20)에는 코일 스프링(16)을 그것의 선단측(도 3c에 있어서 우측)으로 누르기 위한 접촉면(26)에 형성되는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 같이, 판 스프링(18)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8)가 그것의 기저단측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20)의 상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장식부재(20b)가 상기 함몰부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16)은 템플(8)의 탄성부재 수납부의 선단측과 커버(20)의 접촉면(26)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다. 2부분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18)은 템플(8)의 기저 단부에 더 근접한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커버(20)의 오목부(28) 내에 수납된다. 상기 판 스프링(18)의 2개의 개방 선단의 하나(도 2a에 있어서는 하측단)는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된 단차(12)와 맞물려, 상기 커버(20)가 템플(8)의 기저단측을 향해 미끌어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정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기저단측의 외측 단부면(20a)이 림(6)의 선단면(6a)과 접촉하도록 각 부품의 치수가 설정된다.
도 2b는 정상 사용 위치로부터 각도 θ만큼 더 외부로 개방된 상태의 템플(8)을 나타낸다. 상기 템플(8)이 정상 사용 위치로부터 전개됨에 따라, 상기 커버(20)는 림(6)의 선단측(6a)에 의해 눌려, 그것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템플(8)의 안내부재(14)를 따라 선단측(도 2b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활주된다. 상기 각도 θ는 림(6)의 선단면(6a)이 템플(8)의 기저 단부면(8a)과 접촉하는 위치의 각도이며, 상기 템플(8)은 상기 각도 θ를 넘어 전개되어질 수 없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코일 스프링(16)을 상기 템플(8)의 개구(10)의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위치시키는 한편, 판 스프링(18)을 기저 단부에 더 근접한 일측을 개방하면서 상기 커버(20)의 오목부(28) 내에 삽입한다. 커버(20)를 안내부재(14)를 따라 활주시켜, 커버(20)의 접촉면(26)에 의해 코일 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밀어넣는다. 커버(20)를 판 스프링(18)의 개방 선단 중 하나(도 2a에서는 하측)가 단차(12)와 맞물릴 때까지 밀어넣으면, 커버(20)가 템플(18)에 고정된다.
도 5a 및 도 5b는 템플(8)으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것 같이 핀(30)이 판 스프링(18)의 선단 중 하나를 누르도록 구멍(22)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판 스프링(18)은 단차(1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버(20)가 코일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기저단측(도 5b에서는 좌측)을 향해 눌려, 도 5b에 도시된 위치가 얻어진다. 그후, 커버(20)를 기저단측을 향해 손으로 활주시키면, 커버가 템플(8)로부터 분리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버(20)가 템플(8)로부터 미끌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 스프링(18)을 사용한 반면에, 제 2 실시예에서는 나사(58)를 사용한다.
템플(48)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형성된 개구(5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기저 단부면과 연통되어, 코일 스프링(16)에 대한 탄성부재 수납부로서의 기능과 함께, 그것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24)과 함께 커버(60)에 대한 안내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구(50)의 저면에는 나사구멍(5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커버(60)는 그것의 저면의 선단측에 상기 코일 스프링(16)을 누르기 위한 접촉면(26)을 구비한다. 상기 템플(48)의 나사구멍(5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와 맞물리도록, 또 다른 접촉면(49)이 커버(60) 저면의 기저 단부측에 설치된다.
도 6a에 도시된 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코일 스프링(16)이 개구(50)의 탄성부재 수납부의 선단과 커버(60)의 접촉면(26)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다. 커버(60)가 미끌어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58)가 나사구멍(52)에 나사결합되어, 커버(60)의 접촉면(49)에 맞물린다.
상기 템플(48)이 정상 사용 위치로부터 더 전개되면, 도 6b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커버(60)는 안내부재(14)를 따라 템플(48)의 선단을 향해 활주한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6)을 상기 개구(50)의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커버(60)를 상기 템플(48)의 안내부재(14)를 따라 활주시켜, 커버(60)의 접촉면(26)에 의해 코일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밀어넣는다. 상기 커버(60)의 접촉면(49)이 나사구멍(52)의 위치를 통과할 때, 나사(58)를 나사구멍(5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나사(58)가 나사구멍(5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커버(60)가 활주되어 템플(4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템플과 림이 힌지 본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한편, 템플이 탄성력에 대항하여 정상 사용 위치를 넘어 더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가 템플의 기저 단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를 덮는 커버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 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림에 대해 눌려지므로, 구성부품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힌지의 조립이 극히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템플과 림은 힌지 본체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템플과 림에 대한 나비편 각각의 납땜 위치 정밀도가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템플의 변동가능성이 억제될 수 있어, 조립과정에 대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더우기,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는 장식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커버를 교체함으로써,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보수시, 상기 커버를 상기 템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예시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다만 예시를 위해 주어진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템플의 기저 단부와 그것과 연결되는 림의 선단 사이에 간극을 지니면서 상기 템플을 상기 림에 추축으로 연결하는 힌지 본체와,
    탄성부재와,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의 외측에 외측 단부면과 연통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고 상기 탄성부재를 수납하며, 상기 개구의 측부가 안내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부재 수납부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고, 그것의 측부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에 대향한 표면 상에 상기 탄성부재를 위한 접촉면을 지녀, 정상 사용 위치에서의 템플 자세에서 기저 단부측 상의 상기 커버의 외측 단부면이 상기 림의 상기 선단과 접촉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를 향해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 내의 선단측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접촉면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상기 개구의 저면에 형성되어 더 높은 기저 단부측을 제공하는 단차와, 상기 커버의 기저단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2부분으로 절곡되고 2개의 개방 선단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 선단중 하나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상기 단차와 맞물린 채 상기 템플의 기저 단부에 더 인접한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기 오목부 내에 수납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와 맞물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을 외부에서 누르기 위해 삽입되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상기 템플의 상기 기저 단부 내의 단차 주위의 저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탄성부재 수납부의 상기 개구의 저면 상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와, 상기 커버의 상기 기저단측 상에 형성된 상기 나사용 접촉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KR1019970015132A 1996-05-13 1997-04-23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KR10021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555 1996-05-13
JP8143555A JP2739572B2 (ja) 1996-05-13 1996-05-13 眼鏡用バネ機構付き蝶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728A KR970078728A (ko) 1997-12-12
KR100217496B1 true KR100217496B1 (ko) 1999-09-01

Family

ID=1534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132A KR100217496B1 (ko) 1996-05-13 1997-04-23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60869A (ko)
EP (1) EP0807843A3 (ko)
JP (1) JP2739572B2 (ko)
KR (1) KR100217496B1 (ko)
CN (1) CN1165966A (ko)
CA (1) CA2203217A1 (ko)
TW (1) TW3437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587B1 (ko) 2021-09-15 2022-10-14 조성중 안경 다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3363B1 (it) * 1997-05-29 1999-02-25 Killer Loop Eyewear Srl Dispositivo di interconnessione, particolarmente per occhiali
ITPD980133A1 (it) * 1998-05-28 1999-11-28 Caston Sound Management Ltd Cerniera elastica per occhiali
JP3363422B2 (ja) * 1999-10-27 2003-01-08 オーベーエー オンマフト アンド バウムガルトナ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シーオー.カーゲー 眼鏡用ばね付きヒンジ
DE10216514C1 (de) * 2002-04-09 2003-12-18 Obe Ohnmacht & Baumgaertner Demontierbares Federscharnier
CN1308731C (zh) * 2003-09-10 2007-04-04 黄陈才 眼镜架弹性铰链及其制造方法
FR2907558B1 (fr) * 2006-10-24 2009-01-16 Comotec Sa Elements de charniere elastique a grande amplitude pour monture de lunettes
US8905541B2 (en) 2010-07-02 2014-12-09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spectacle frames
US8979259B2 (en) 2010-07-02 2015-03-17 Mitsui Chemical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US10613355B2 (en) 2007-05-04 2020-04-07 E-Vision, Llc Moisture-resistant eye wear
US8944590B2 (en) 2010-07-02 2015-02-03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spectacle frames
US8801174B2 (en) 2011-02-11 2014-08-12 Hpo Assets Llc Electronic frames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US11061252B2 (en) 2007-05-04 2021-07-13 E-Vision, Llc Hinge for electronic spectacles
TWI352835B (en) * 2008-06-19 2011-11-21 High Rainbow Ent Co Ltd Glasses, elastic element and the assembly method t
RU2011133200A (ru) * 2009-01-09 2013-02-20 Пикселоптикс, Инк. Электроактивные оч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WO2012003500A2 (en) 2010-07-02 2012-01-05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TW201227047A (en) 2010-07-09 2012-07-01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WO2012074797A1 (en) 2010-11-19 2012-06-07 Pixeloptics, Inc. Electronic spectacle frames
AU2012296482A1 (en) 2011-08-17 2014-02-27 Pixeloptics, Inc. Moisture-resistant electronic spectacle frames
JP5529192B2 (ja) * 2012-03-12 2014-06-25 株式会社エクセル眼鏡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CN102681204A (zh) * 2012-05-30 2012-09-19 苏州远望光学有限公司 眼镜架用一体式弹性铰链构件
IT201900019918A1 (it) 2019-10-29 2021-04-29 Visottica Ind Spa Cerniera elastica per occhiali e metodo di smontaggio di detta cerniera
CN111679447A (zh) * 2020-07-10 2020-09-18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微调镜片距离的眼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3248A (en) * 1962-06-18 1966-03-29 Speer Frederick Spring loaded spectacle frame hinge
CH664449A5 (fr) * 1985-05-01 1988-02-29 Nationale Sa Charniere elastique pour lunettes.
IT1221195B (it) * 1986-10-20 1990-06-21 Faoms S N C Di Curto & Longo Metodo di cedimento elastico della stanghetta nelle montature di occhiali
FR2665268B1 (fr) * 1990-07-27 1994-05-13 Robert Sonthonnax Monture de lunettes a charnieres elastiques.
DE69205972D1 (de) * 1992-06-05 1995-12-14 2 M S R L Biegsame elastische Scharniervorrichtung für Brillenbügel.
FR2704950B1 (fr) * 1993-05-04 1995-07-28 Chevassus Charnière élastique de lunettes.
US5671036A (en) * 1996-12-10 1997-09-23 Huang; Chun-Chu Eyeglass temple having a sp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587B1 (ko) 2021-09-15 2022-10-14 조성중 안경 다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304741A (ja) 1997-11-28
US5760869A (en) 1998-06-02
CA2203217A1 (en) 1997-11-13
TW343742U (en) 1998-10-21
EP0807843A3 (en) 1998-05-13
KR970078728A (ko) 1997-12-12
CN1165966A (zh) 1997-11-26
JP2739572B2 (ja) 1998-04-15
EP0807843A2 (en) 199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496B1 (ko) 스프링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JP2689282B2 (ja) スプリングヒンジ付き眼鏡
EP0217763A2 (en) Hinge for spectacle frames
US5889575A (en) Eyeglass temple device
US7625083B2 (en) Spring hinge structure for eyewear
KR20020034993A (ko)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JP2000147438A (ja) 眼鏡用のバネ蝶番
EP1272891B1 (fr) Procede de montage d'une charniere elastique de monture de lunettes et charniere elastique adapte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832478A (en) Spectacle hinge assembly
US6338556B1 (en) Rim lock of glasses frame and glasses frame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CN213592685U (zh) 电子烟壳体加工用夹具
US5841508A (en) Spring hinge assembly having a tension bar for energizing the spring
JP4869897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連結部の組み立て方法
CN215416772U (zh) 人脸识别装置、门锁及门
CN219266707U (zh) 阻尼铰链及智能眼镜
JP3035510B2 (ja) 連結部の構造
JPS6144648Y2 (ko)
JP3059147U (ja) 眼鏡用のバネ蝶番
CN220064528U (zh) 一种眼镜
JP2003185981A (ja) 眼鏡フレーム及び眼鏡
KR200349712Y1 (ko) 안경
JP5529192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CN118226661A (zh) 阻尼铰链及智能眼镜
KR920007702Y1 (ko) 안경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